KR20150094085A - 절연성 섬유직물체를 이용한 차량용 휠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휠 - Google Patents

절연성 섬유직물체를 이용한 차량용 휠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085A
KR20150094085A KR1020140014930A KR20140014930A KR20150094085A KR 20150094085 A KR20150094085 A KR 20150094085A KR 1020140014930 A KR1020140014930 A KR 1020140014930A KR 20140014930 A KR20140014930 A KR 20140014930A KR 20150094085 A KR20150094085 A KR 20150094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vehicle wheel
fiber
wheel
knuck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0296B1 (ko
Inventor
윤형석
이찬호
최민석
Original Assignee
현대성우메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성우메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성우메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4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296B1/ko
Publication of KR20150094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5/00Wheels, spokes, disc bodies, rims, hubs, wholly or predominantly made of non-metallic material
    • B60B5/02Wheels, spokes, disc bodies, rims, hubs, wholly or predominantly made of non-metallic material made of synthetic material

Landscapes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절연성 섬유직물체를 이용한 차량용 휠 제조방법은, 섬유직물체를 이용하여 차량용 휠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섬유직물체를 소정 두께만큼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조될 차량용 휠이 차량의 허브-너클 어셈블리에 접촉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절연성을 가지는 제2섬유직물체를 더 적층하여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조체를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휠은, 제1섬유직물체 및 차량의 허브-너클 어셈블리에 접촉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적층되고, 절연성을 가지는 제2섬유직물체의 다단 적층 구조를 가지는 구조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절연성 섬유직물체를 이용한 차량용 휠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휠{Manufacturing Method of Wheel Using Insulation Fiber Fabric and Wheel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섬유직물체를 이용하여 차량용 휠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섬유직물체 및 절연성을 가지는 제2섬유직물체를 이용하여 갈바닉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휠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탄소섬유, 즉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등을 이용하여 차량용 휠을 제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CFRP는 일반적으로 탄소 섬유(CF)를 강화재로 하는 플라스틱계 복합재를 말하며, 이는 경량 구조용 재료로서 뛰어난 특성을 갖고 있으며, 비강도는 철강의 6배, 비탄성률은 철강의 3배로 되어 있다. 또 정적 강도뿐만 아니라 뛰어난 피로특성을 갖고 있으며, 내마찰(耐摩擦), 내마모성이 뛰어나다. 그리고 기능적으로 열팽창 계수가 작기 때문에 치수 안정성이 뛰어나고, 전기 전도성, 내식성, 진동 감쇠성, X선 투과성 등이 뛰어난 성능을 갖고 있다.
그리고 차량용 휠의 제조를 위해서는 CFRP를 서로 직조하고, 수지를 함침시켜 섬유직물체를 형성한 뒤 이를 적층하여 고온에서 가열 및 가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상과 같이 CFRP를 이용하여 제조된 차량용 휠은 종래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휠에 비해 강도를 비롯한 다양한 특성이 우수하며, 또한 이와 동시에 중량이 크게 감소되어 그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은 CFRP를 이용하여 제조된 차량용 휠은 차량의 허브-너클 어셈블리에 결합시킬 경우, 허브-너클 어셈블리와의 접촉 부분 및 연계된 구성요소들에 전위 차에 의한 갈바닉 부식(Galvanic Corrosion)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갈바닉 부식이 방치된 상태로 진행될 경우, 차량용 휠 및 허브-너클 어셈블리의 강도 및 강성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천공 등이 발생하는 등 손상이 발생하게 되어 심각한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73714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허브-너클 어셈블리와의 접촉 부분에 갈바닉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휠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갈바닉 부식을 방지하면서도 제조 단가 및 제조 공정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휠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절연성 섬유직물체를 이용한 차량용 휠 제조방법은, 섬유직물체를 이용하여 차량용 휠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섬유직물체를 소정 두께만큼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조될 차량용 휠이 차량의 허브-너클 어셈블리에 접촉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절연성을 가지는 제2섬유직물체를 더 적층하여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조체를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용 휠에는 상기 허브-너클 어셈블리와 대향되는 결합면이 형성되며, 상기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결합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2섬유직물체를 적층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휠에는 상기 허브-너클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허브홀이 형성되며, 상기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허브홀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2섬유직물체를 적층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용 휠에는 상기 허브-너클 어셈블리와 상기 차량용 휠을 결합하기 위한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홀이 형성되며, 상기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볼트홀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2섬유직물체를 적층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차량용 휠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차량용 휠은, 제1섬유직물체 및 차량의 허브-너클 어셈블리에 접촉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적층되고, 절연성을 가지는 제2섬유직물체의 다단 적층 구조를 가지는 구조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섬유직물체는, 상기 허브-너클 어셈블리와 대향되는 결합면, 상기 허브-너클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허브홀의 내주면 및 상기 허브-너클 어셈블리와 상기 차량용 휠을 결합하기 위한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홀의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섬유직물체는 유리섬유일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절연성 섬유직물체를 이용한 차량용 휠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휠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절연성을 가지는 제2섬유직물체에 의해 차량용 휠과 허브-너클 어셈블리의 접촉 부분에서 발생하는 갈바닉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별도의 추가 부품이 구비될 필요가 없으므로, 차량용 휠의 제조 단가 및 제조 공정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종래의 제조 설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설비 구축에 소요되는 노력 및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금형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금형 상에 제1섬유직물체를 적층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섬유직물체를 다단 적층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2섬유직물체를 적층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금형에 제2금형을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휠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휠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휠과 허브-너클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휠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제조방법은, 섬유직물체를 이용하여 차량용 휠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섬유직물체를 소정 두께만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될 차량용 휠이 차량의 허브-너클 어셈블리에 접촉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절연성을 가지는 제2섬유직물체를 더 적층하여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조체를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이들 각 단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허브-너클 어셈블리라 함은, 차량용 휠과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 사이에 구비되는 일련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이며, 대표적으로 디스크플레이트, 휠허브, 더스트커버, 너클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외에도 다양한 베어링, 레이스, 오일실, 클립, 볼트, 너트 등 다양한 부속 부품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금형(1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섬유직물체를 적층하기 위한 제1금형(10)을 준비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금형(10)은 제조될 휠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섬유직물체를 적층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조될 휠의 구조체는 림부와, 상기 림부의 중심에 위치된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 및 상기 림부와 연결되어 상기 림부를 지지하는 림 지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금형(10)은 이와 같은 휠의 각부를 구획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구획부(12)를 포함한다. 즉 상기 구획부(12)에 의해 휠 구조체의 중심부에 대응되는 제1공간부(16), 림 지지부에 대응되는 제2공간부(14), 림부에 대응되는 제3공간부(18)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1금형(10)은 본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될 휠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금형(10) 상에 제1섬유직물체(50)를 적층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휠의 제조를 위해 제1섬유직물체(50)를 소정 두께만큼 적층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는 섬유를 서로 직조하고, 수지를 함침시킨 제1섬유직물체(50)를 설계에 따라 재단하여, 적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섬유직물체(50)에 사용되는 섬유의 인장강도는 3500MPa 이상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섬유로는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나일론 섬유, 고강도 탄소섬유(탄소나노튜브 복합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섬유직물체(50)는 탄소섬유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본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나열한 다양한 섬유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섬유직물체(50)를 다단 적층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제1금형(10) 상에 제1섬유직물체(50)를 소정 두께로 다단 적층하게 되며, 이때 제조될 휠의 전체 두께를 고려하여 제1섬유직물체(50)를 적절한 개수로 적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2섬유직물체(60)를 적층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섬유직물체(50)를 소정 두께만큼 적층하는 단계 이후에는, 제2섬유직물체(60)를 더 적층하여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제2섬유직물체(60)로는 절연성을 가지는 섬유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유리섬유, 테프론 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1섬유직물체(50)는 제2섬유직물체(50)에 사용되는 섬유와 서로 다른 종류의 섬유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동일 종류의 섬유가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제1섬유직물체(50) 역시 절연성을 가지는 섬유가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섬유직물체(60)는 이후 제조될 차량용 휠이 차량의 허브-너클 어셈블리에 접촉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허브-너클 어셈블리는 차량의 조향장치에 구비되며, 휠과 결합됨으로써 휠이 조향장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제2섬유직물체(60)는 이와 같은 허브-너클 어셈블리와 접촉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허브-너클 어셈블리는 이후 제조될 차량용 휠의 중심 부분에 체결될 것이므로 상기 제2섬유직물체(60)는 휠 구조체의 중심부에 대응되는 제1공간부(16)에 적층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제2섬유직물체(60)는 전술한 제1섬유직물체(50)와 마찬가지로 다단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제조될 휠은 상기 허브-너클 어셈블리와 대향되는 면인 결합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허브-너클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허브홀과, 상기 차량용 휠을 결합하기 위한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섬유직물체(60)는 상기 결합면에 대응되는 영역, 상기 허브홀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영역, 상기 볼트홀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2섬유직물체(60)를 적층함에 따라 휠 제조를 위한 구조체가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금형(10)에 제2금형(30)을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섬유직물체(50) 및 제2섬유직물체(60)를 더 적층한 후, 도 5와 같이 제1금형(10)에 제2금형(30)을 결합하게 되며, 이때 제2금형(30) 측에도 제1섬유직물체(50) 및 제2섬유직물체(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층된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금형(10)에 제2금형(30)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휠 구조체가 완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는, 구조체를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는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유압 프레스(Press) 등과 같은 시설을 이용하여 소정 시간 동안 구조체를 고온으로 가열하는 동시에 가압을 수행하며, 이후 제품을 탈형하고, 후처리하여 제품을 완성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방법 외에 섬유직물체를 직조한 뒤, 직조된 섬유직물체에 수지를 쏘며 가열 및 가압하는 RTM(Resin Transfer Molding)과 같은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휠(200)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휠(200)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휠(200)과 허브-너클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휠(200)은 제1섬유직물체, 제2섬유직물체의 다단 적층 구조를 가지는 구조체를 포함한다.
특히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조체는 림부(220)와, 상기 림부(220)의 중심에 위치된 중심부(230)와, 상기 중심부(230) 및 상기 림부(220)와 연결되어 상기 림부(220)를 지지하는 림 지지부(21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휠(200)은 상기 허브-너클 어셈블리와 대향되는 면인 결합면(240)이 형성되고, 상기 허브-너클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허브홀(202)과, 상기 차량용 휠 및 허브-너클 어셈블리 간을 결합하기 위한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홀(20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섬유직물체는 결합면(240)에 대응되는 영역에 적층되며, 이에 따라 허브-너클 어셈블리와 휠(200)의 결합 시 허브-너클 어셈블리와 접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허브-너클 어셈블리 중 결합면(240)에 접촉되는 구성요소는 디스크브레이크(310), 휠허브(320) 및 볼트(330)인 것으로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절연성을 가지는 제2섬유직물체가 허브-너클 어셈블리에 접촉되므로, 휠(200)과 허브-너클 어셈블리의 체결부에서 갈바닉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이에 따라 갈바닉 부식이 전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전체 차량용 휠(200)에 적층되는 섬유직물체 중 일부를 제2섬유직물체로 적층하는 것으로 구현이 가능하여 별도의 추가 부품이 구비될 필요가 없으므로, 차량용 휠의 제조 단가 및 제조 공정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휠(200)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제조방법에 따르면, 전술한 일 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제2섬유직물체가 상기 허브-너클 어셈블리와 대향되는 결합면(240), 상기 허브-너클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허브홀(202)의 내주면 및 상기 허브-너클 어셈블리와 상기 차량용 휠(200)을 결합하기 위한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홀(204)의 내주면에 모두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허브-너클 어셈블리와 대향되는 결합면(240)뿐 아니라 허브-너클 어셈블리의 전단부 일부가 접촉되는 허브홀(202)의 내주면, 그리고 볼트에 접촉되는 볼트홀(204)의 내주면에 제2섬유직물체가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경우 허브-너클 어셈블리와의 전체 접촉 영역뿐 아니라 허브-너클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금속성의 볼트가 접촉되는 영역에서 갈바닉 부식이 발생될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제2섬유직물체가 결합면(240) 측에만 구비되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2섬유직물체가 결합면(240), 허브홀(202)의 내주면, 볼트홀(204)의 내주면에 모두 구비되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섬유직물체는 휠(200)의 결합면(240), 허브홀(202)의 내주면, 볼트홀(204)의 내주면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제1금형 12: 구획부
14: 제2공간부 16: 제1공간부
18: 제3공간부 30: 제2금형
50: 제1섬유직물체 60: 제2섬유직물체
200: 차량용 휠 202: 허브홀
204: 볼트홀 210: 림 지지부
220: 림부 230: 중심부
240: 결합면

Claims (6)

  1. 섬유직물체를 이용하여 차량용 휠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섬유직물체를 소정 두께만큼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조될 차량용 휠이 차량의 허브-너클 어셈블리에 접촉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절연성을 가지는 제2섬유직물체를 더 적층하여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조체를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휠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휠에는 상기 허브-너클 어셈블리와 대향되는 결합면이 형성되며,
    상기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결합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2섬유직물체를 적층하는 것으로 하는 차량용 휠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휠에는 상기 허브-너클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허브홀이 형성되며,
    상기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허브홀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2섬유직물체를 적층하는 것으로 하는 차량용 휠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휠에는 상기 허브-너클 어셈블리와 상기 차량용 휠을 결합하기 위한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홀이 형성되며,
    상기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볼트홀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2섬유직물체를 적층하는 것으로 하는 차량용 휠 제조방법.
  5. 제1섬유직물체; 및
    차량의 허브-너클 어셈블리에 접촉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적층되고, 절연성을 가지는 제2섬유직물체;
    의 다단 적층 구조를 가지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섬유직물체는,
    상기 허브-너클 어셈블리와 대향되는 결합면, 상기 허브-너클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허브홀의 내주면 및 상기 허브-너클 어셈블리와 상기 차량용 휠을 결합하기 위한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홀의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된 차량용 휠.
KR1020140014930A 2014-02-10 2014-02-10 절연성 섬유직물체를 이용한 차량용 휠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휠 KR101550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930A KR101550296B1 (ko) 2014-02-10 2014-02-10 절연성 섬유직물체를 이용한 차량용 휠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930A KR101550296B1 (ko) 2014-02-10 2014-02-10 절연성 섬유직물체를 이용한 차량용 휠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085A true KR20150094085A (ko) 2015-08-19
KR101550296B1 KR101550296B1 (ko) 2015-09-04

Family

ID=54057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930A KR101550296B1 (ko) 2014-02-10 2014-02-10 절연성 섬유직물체를 이용한 차량용 휠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2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4089A (zh) * 2017-02-27 2019-09-06 宝马股份公司 具有电流隔离且由纤维复合材料制成的车轮
US20200391542A1 (en) * 2017-08-18 2020-12-17 Carbon Revolution Limited Composite wheel with improved mounting forma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4089A (zh) * 2017-02-27 2019-09-06 宝马股份公司 具有电流隔离且由纤维复合材料制成的车轮
CN110214089B (zh) * 2017-02-27 2022-12-13 宝马股份公司 具有电流隔离且由纤维复合材料制成的车轮
US20200391542A1 (en) * 2017-08-18 2020-12-17 Carbon Revolution Limited Composite wheel with improved mounting formation
US11827055B2 (en) * 2017-08-18 2023-11-28 Carbon Revolution Limited Composite wheel with improved mounting 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296B1 (ko) 2015-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5545B2 (ja) フランジ付き構成要素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00266806A1 (en) Anti-intrusion beam for vehicle door assembly
US9759282B2 (en) Air spring
WO2002004826A1 (en) Structural members containing vibration damping mechanism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JP2004502571A (ja) 賦形金属構造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33605A (ko) 자동차 부품용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부품
JP2015178241A (ja) 繊維強化樹脂材の製造方法
KR102176913B1 (ko) 섬유강화복합재료를 이용한 차량용 휠의 제조방법, 섬유강화복합재료를 이용한 차량용 휠 및 차량용 휠 금형
KR101550296B1 (ko) 절연성 섬유직물체를 이용한 차량용 휠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휠
CA2710071A1 (en) Piece made of composite material with areas of different thickness
JP6550786B2 (ja) 軌道輪及び製造方法
US20200247082A1 (en) Edge Structure Of Fiber Reinforced Resin Structure Body
JP5786352B2 (ja) 繊維強化樹脂板材の製造方法
JP2017132063A (ja) 繊維強化樹脂構造体
JP2016147964A (ja)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部材
KR20130012871A (ko) 상용차용 크로스멤버 제조방법
KR101584257B1 (ko) 단방향섬유체를 이용한 차량용 휠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휠
KR101558265B1 (ko) 인서트폼을 이용한 차량용 휠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휠
JP2015098173A (ja) 繊維強化樹脂板材の製造方法
US20170284099A1 (en) Composite structural elemen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11046137B2 (en) Fiber-reinforced resin structure body
US20170307082A1 (en) Hybrid piston p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18138B1 (ko) 푸쉬핀을 이용한 z-피닝장치
KR101910946B1 (ko) 탄소복합재 판 스프링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탄소복합재 판 스프링
KR101425344B1 (ko) 차량용 도어 힌지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