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3930A -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3930A
KR20150093930A KR1020140014527A KR20140014527A KR20150093930A KR 20150093930 A KR20150093930 A KR 20150093930A KR 1020140014527 A KR1020140014527 A KR 1020140014527A KR 20140014527 A KR20140014527 A KR 20140014527A KR 20150093930 A KR20150093930 A KR 20150093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keup
data
user
face
augmented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홍찬
Original Assignee
주홍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홍찬 filed Critical 주홍찬
Priority to KR1020140014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3930A/ko
Publication of KR20150093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4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 G06V40/176Dynamic ex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장치 및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제작된 마커 데이터,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 메이크업 베이스-파우더- 립스틱-립글로우즈-아이쉐도우-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제품 이미지 데이터, 메이크업 베이스-파우더- 립스틱-립글로우즈-아이쉐도우-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제품 색상 데이터, 메이크업 방법에 따른 텍스쳐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사용자 얼굴을 수집하기 위한 카메라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화장품 데이터를 검색하고, 믹스부에서 증강현실 메이크업 툴 사용 키를 입력 시키기 위한 키 입력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 얼굴을 인식하여 마커를 생성한 후 상기 저장부로 보내도록 제어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 사용자 얼굴 마커 데이터, 메이크업 베이스-파우더- 립스틱-립글로우즈-아이쉐도우-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제품 이미지 데이터, 메이크업 베이스-파우더- 립스틱-립글로우즈-아이쉐도우-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제품 색상 데이터, 메이크업 방법에 따른 텍스쳐 데이터를 믹스부로 보내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검색된 화장품을 상기 저장부에서 찾아내어 영상 처리부로 보내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메이크업 툴 사용 키 입력값을 믹스부로 보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수집한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와 사용자 얼굴 마커 데이터가 링크시키고, 사용자 얼굴 마커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가 따라 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수집한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 메이크업 베이스-파우더- 립스틱-립글로우즈-아이쉐도우-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제품 이미지 데이터, 메이크업 베이스-파우더- 립스틱-립글로우즈-아이쉐도우-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제품 색상 데이터, 메이크업 방법에 따른 텍스쳐 데이터, 메이크업 툴 사용 키 입력값을 믹스하여 증강현실 메이크업 툴을 구성시키는 믹스부; 상기 믹스부에서 믹스된 증강현실 메이크업 툴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makeup by using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소비자가 메이크업 제품을 구입하기 전에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이용하여 메이크업 방식에 따라 어떠한 메이크업 제품이 어울리는지, 어떠한 색상들이 서로 어울리는지, 여러 표정을 지었을 때 어떠한 메이크업 제품이 어울리는지 알아보기 위한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장치 및 방법으로 더 자세하게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테블릿등의 단말기에 장착된 웹캠 또는 카메라 또는 키넥트 렌즈를 사용자의 얼굴에 위치시키고, 웹캠 또는 카메라 또는 키넥트 렌즈를 통해 받아들여진 사용자의 얼굴 데이터를 분석하여 마커화 시키고, 마커화된 사용자의 얼굴 데이터를 실사에 가까운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와 링크 시키고, 링크된 사용자의 얼굴 데이터를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추적하도록 시켜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가 따라 할 수 있게 하고, 메이크업 베이스, 파우더, 립스틱, 립글로우즈, 아이쉐도우, 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화장품들을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에 여러 화장 기법으로 표현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하여 소비자가 메이크업 제품을 구입하기 전에 메이크업 방식에 따라 어떠한 메이크업 제품이 어울리는지, 어떠한 색상들이 서로 어울리는지, 여러 표정을 지었을 때 어떠한 메이크업 제품이 어울리는지를 체험하고 본인이 원하는 최적화된 메이크업 제품을 구매하도록 도와주기 위한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제가 발전됨에 따라 삶의 질과 본인의 개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메이크업에 대한 욕구도 높아졌으며, 이에 따라 메이크업 제품들도 여러가지 상품들을 출시하고 있다.
너무 많은 종류의 메이크업 제품이 출시되고 있어, 메이크업 제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은 메이크업 방식에 따라 어떠한 메이크업 제품이 어울리는지, 어떠한 색상들이 서로 어울리는지, 여러 표정을 지었을 때 어떠한 메이크업 제품들이 어울리는지 고민하는 시간이 많아졌다.
오프라인 매장에 가서 직접 메이크업 제품을 선택하여 테스트로 사용해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과다한 시간 소비와 장소에 따다 메이크업 제품을 한정적으로 선택하여 테스트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사진을 찍어 정지된 사진 데이터 상에서 메이크업 툴을 제공하여 가상 메이크업 솔루션을 제공하는 곳들도 있지만 메이크업을 입체적인 작업인데, 사진 데이터가 평면적인 단점이 있고, 사용자가 어떠한 빛에 노출되서 찍느냐에 따라 여러 다른 색의 사진이 되다보니 가상 메이크업 솔루션에서 제공하는 색상과 톤이 사용자 사진 색상과 맞지 않아 사진 위에 덩그러니 색깔이미지를 올려놓은것처럼 이질감이 큰 단점이 있고, 메이크업 중 가장 중요한 것중 하나가 메이크업을 하면서 여러 표정을 지어보며 해당 메이크업이 본인의 얼굴형에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메이크업인지를 확인을 해야만 하는게 그러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해 판매자, 소비자 모두 불만족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자가 메이크업 제품을 구입하기 전에 메이크업 방식에 따라 어떠한 메이크업 제품이 어울리는지, 어떠한 색상들이 서로 어울리는지, 여러 표정을 지었을 때 어떠한 메이크업 제품이 어울리는지를 체험하고 본인이 원하는 최적화된 메이크업 제품을 구매하도록 도와주기 위한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장치는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제작된 마커 데이터,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 메이크업 베이스-파우더- 립스틱-립글로우즈-아이쉐도우-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제품 이미지 데이터, 메이크업 베이스-파우더- 립스틱-립글로우즈-아이쉐도우-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제품 색상 데이터, 메이크업 방법에 따른 텍스쳐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사용자 얼굴을 수집하기 위한 카메라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화장품 데이터를 검색하고, 믹스부에서 증강현실 메이크업 툴 사용 키를 입력 시키기 위한 키 입력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 얼굴을 인식하여 마커를 생성한 후 상기 저장부로 보내도록 제어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 사용자 얼굴 마커 데이터, 메이크업 베이스-파우더- 립스틱-립글로우즈-아이쉐도우-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제품 이미지 데이터, 메이크업 베이스-파우더- 립스틱-립글로우즈-아이쉐도우-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제품 색상 데이터, 메이크업 방법에 따른 텍스쳐 데이터를 믹스부로 보내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검색된 화장품을 상기 저장부에서 찾아내어 영상 처리부로 보내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메이크업 툴 사용 키 입력값을 믹스부로 보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수집한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와 사용자 얼굴 마커 데이터가 링크시키고, 사용자 얼굴 마커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가 따라 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수집한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 메이크업 베이스-파우더- 립스틱-립글로우즈-아이쉐도우-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제품 이미지 데이터, 메이크업 베이스-파우더- 립스틱-립글로우즈-아이쉐도우-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제품 색상 데이터, 메이크업 방법에 따른 텍스쳐 데이터, 메이크업 툴 사용 키 입력값을 믹스하여 증강현실 메이크업 툴을 구성시키는 믹스부;
상기 믹스부에서 믹스된 증강현실 메이크업 툴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에 없는 새로운 메이크업 제품이 나왔을 때 제어부가 웹서버를 통해 연관된 데이터를 다운로드 명령 또는 연관된 데이터를 링크시켜 구현하도록 제어하는 유무선 네트워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방법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테블릿등의 단말기에 장착된 웹캠 또는 카메라 또는 키넥트 렌즈를 사용자의 얼굴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웹캠 또는 카메라 또는 키넥트 렌즈를 통해 받아들여진 사용자의 얼굴 데이터를 분석하여 마커화 시키는 단계;
상기 마커화된 사용자의 얼굴 데이터를 실사에 가까운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와 링크 시키는 단계;
상기 링크된 사용자의 얼굴 데이터를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추적하도록 시켜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가 따라 할 수 있게 만드는 단계;
상기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에 메이크업 베이스, 파우더, 립스틱, 립글로우즈, 아이쉐도우, 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화장품들 이미지 데이터와 색상 데이터와 화장 방법에 따른 텍스처 데이터를 제공하여 여러 화장 기법으로 표현할 수 있는 증강현실 메이크업 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방법에 의하면, 소비자가 메이크업 제품을 구입하기 전에 공간과 시간에 제약없이 메이크업 방식에 따라 어떠한 메이크업 제품이 어울리는지, 어떠한 색상들이 서로 어울리는지, 여러 표정을 지었을 때 어떠한 메이크업 제품이 어울리는지를 체험하고 본인이 원하는 최적화된 메이크업 제품을 구매하도록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장치 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장치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방법의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장치 (100)는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제작된 마커 데이터,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 메이크업 베이스-파우더- 립스틱-립글로우즈-아이쉐도우-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제품 이미지 데이터, 메이크업 베이스-파우더- 립스틱-립글로우즈-아이쉐도우-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제품 색상 데이터, 메이크업 방법에 따른 텍스쳐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104)와, 상기 저장부(104)에 저장된 화장품 데이터를 검색하고, 믹스부(110)에서 증강현실 메이크업 툴 사용 키를 입력 시키기 위한 키 입력부(114)와, 상기 카메라부(102)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 얼굴을 인식하여 마커를 생성한 후 상기 저장부(104)로 보내도록 제어하고, 상기 저장부(104)에 저장된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 사용자 얼굴 마커 데이터, 메이크업 베이스-파우더- 립스틱-립글로우즈-아이쉐도우-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제품 이미지 데이터, 메이크업 베이스-파우더- 립스틱-립글로우즈-아이쉐도우-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제품 색상 데이터, 메이크업 방법에 따른 텍스쳐 데이터를 믹스부(110)로 보내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114)를 통해 검색된 화장품을 상기 저장(104)부에서 찾아내어 영상 처리부(112)로 보내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114)를 통해 입력된 메이크업 툴 사용 키 입력값을 믹스부(110)로 보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08)와, 상기 제어부(108)에서 수집한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와 사용자 얼굴 마커 데이터가 링크시키고, 사용자 얼굴 마커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가 따라 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제어부(108)에서 수집한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 메이크업 베이스-파우더- 립스틱-립글로우즈-아이쉐도우-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제품 이미지 데이터, 메이크업 베이스-파우더- 립스틱-립글로우즈-아이쉐도우-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제품 색상 데이터, 메이크업 방법에 따른 텍스쳐 데이터, 메이크업 툴 사용 키 입력값을 믹스하여 증강현실 메이크업 툴을 구성시키는 믹스부(110)와, 상기 믹스부에서 믹스된 증강현실 메이크업 툴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영상처리부(112)와, 상기 저장부에 없는 새로운 메이크업 제품이 나왔을 때 제어부가 웹서버를 통해 연관된 데이터를 다운로드 명령 또는 연관된 데이터를 링크시켜 구현하도록 제어하는 유무선 네트워크부를(106)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장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테블릿등의 단말기에 장착된 웹캠 또는 카메라 또는 키넥트 렌즈를 사용자의 얼굴에 위치시키고, 웹캠 또는 카메라 또는 키넥트 렌즈를 통해 받아들여진 사용자의 얼굴 데이터를 분석하여 마커화 시키고, 마커화된 사용자의 얼굴 데이터를 실사에 가까운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와 링크 시키고, 링크된 사용자의 얼굴 데이터를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추적하도록 시켜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가 따라 할 수 있게 하고, 메이크업 베이스, 파우더, 립스틱, 립글로우즈, 아이쉐도우, 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화장품들을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에 여러 화장 기법으로 표현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테블릿등의 단말기에 장착된 웹캠 또는 카메라 또는 키넥트 렌즈를 사용자의 얼굴에 위치시킨다(S200).
그리고 상기 웹캠 또는 카메라 또는 키넥트 렌즈를 통해 받아들여진 사용자의 얼굴 데이터를 분석하여 마커화 시킨다(S202).
상기 마커화된 사용자의 얼굴 데이터를 실사에 가까운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와 링크 시킨다(S204).
상기 링크된 사용자의 얼굴 데이터를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추적하도록 시켜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가 따라 할 수 있게 만든다(S206).
상기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에 메이크업 베이스, 파우더, 립스틱, 립글로우즈, 아이쉐도우, 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화장품들 이미지 데이터와 색상 데이터와 화장 방법에 따른 텍스처 데이터를 제공하여 여러 화장 기법으로 표현할 수 있는 증강현실 메이크업 툴을 제한다(S208).
100 :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장치 및 방법
102 : 카메라부
104 : 저장부 106 : 유무선 네트워크부
108 : 제어부 110 : 믹스부
112 : 영상 처리부 114 : 키 입력부

Claims (3)

  1.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을 이용한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제작된 마커 데이터,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 메이크업 베이스-파우더- 립스틱-립글로우즈-아이쉐도우-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제품 이미지 데이터, 메이크업 베이스-파우더- 립스틱-립글로우즈-아이쉐도우-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제품 색상 데이터, 메이크업 방법에 따른 텍스쳐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사용자 얼굴을 수집하기 위한 카메라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화장품 데이터를 검색하고, 믹스부에서 증강현실 메이크업 툴 사용 키를 입력 시키기 위한 키 입력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 얼굴을 인식하여 마커를 생성한 후 상기 저장부로 보내도록 제어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 사용자 얼굴 마커 데이터, 메이크업 베이스-파우더- 립스틱-립글로우즈-아이쉐도우-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제품 이미지 데이터, 메이크업 베이스-파우더- 립스틱-립글로우즈-아이쉐도우-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제품 색상 데이터, 메이크업 방법에 따른 텍스쳐 데이터를 믹스부로 보내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검색된 화장품을 상기 저장부에서 찾아내어 영상 처리부로 보내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메이크업 툴 사용 키 입력값을 믹스부로 보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수집한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와 사용자 얼굴 마커 데이터가 링크시키고, 사용자 얼굴 마커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가 따라 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수집한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 메이크업 베이스-파우더- 립스틱-립글로우즈-아이쉐도우-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제품 이미지 데이터, 메이크업 베이스-파우더- 립스틱-립글로우즈-아이쉐도우-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제품 색상 데이터, 메이크업 방법에 따른 텍스쳐 데이터, 메이크업 툴 사용 키 입력값을 믹스하여 증강현실 메이크업 툴을 구성시키는 믹스부; 상기 믹스부에서 믹스된 증강현실 메이크업 툴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없는 새로운 메이크업 제품이 나왔을 때 제어부가 웹서버를 통해 연관된 데이터를 다운로드 명령 또는 연관된 데이터를 링크시켜 구현하도록 제어하는 유무선 네트워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장치.
  3.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방법에 있어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테블릿등의 단말기에 장착된 웹캠 또는 카메라 또는 키넥트 렌즈를 사용자의 얼굴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웹캠 또는 카메라 또는 키넥트 렌즈를 통해 받아들여진 사용자의 얼굴 데이터를 분석하여 마커화 시키는 단계; 상기 마커화된 사용자의 얼굴 데이터를 실사에 가까운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와 링크 시키는 단계; 상기 링크된 사용자의 얼굴 데이터를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추적하도록 시켜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가 따라 할 수 있게 만드는 단계; 상기 얼굴 3D 모델링 데이터에 메이크업 베이스, 파우더, 립스틱, 립글로우즈, 아이쉐도우, 아이펜슬 등 여러 메이크업 화장품들 이미지 데이터와 색상 데이터와 화장 방법에 따른 텍스처 데이터를 제공하여 여러 화장 기법으로 표현할 수 있는 증강현실 메이크업 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방법
KR1020140014527A 2014-02-09 2014-02-09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장치 및 방법 KR201500939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527A KR20150093930A (ko) 2014-02-09 2014-02-09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527A KR20150093930A (ko) 2014-02-09 2014-02-09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930A true KR20150093930A (ko) 2015-08-19

Family

ID=5405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527A KR20150093930A (ko) 2014-02-09 2014-02-09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393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74879A (zh) * 2016-12-12 2017-05-31 大连文森特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ar虚拟现实技术的整形手术体验系统
WO2018147625A1 (ko) * 2017-02-08 2018-08-16 (주)아모레퍼시픽 메이크업 제품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190022274A (ko) * 2017-08-24 2019-03-06 칼-콤프 빅 데이터, 인크. 신체 정보 분석 장치 및 입술 화장 분석 방법
KR20190085802A (ko) * 2018-01-11 2019-07-19 김지환 증강된 화장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1242765A1 (en) * 2020-05-28 2021-12-02 Snap Inc. Augmented reality content from third-party content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74879A (zh) * 2016-12-12 2017-05-31 大连文森特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ar虚拟现实技术的整形手术体验系统
CN106774879B (zh) * 2016-12-12 2019-09-03 快创科技(大连)有限公司 一种基于ar虚拟现实技术的整形手术体验系统
WO2018147625A1 (ko) * 2017-02-08 2018-08-16 (주)아모레퍼시픽 메이크업 제품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190022274A (ko) * 2017-08-24 2019-03-06 칼-콤프 빅 데이터, 인크. 신체 정보 분석 장치 및 입술 화장 분석 방법
US10515260B2 (en) 2017-08-24 2019-12-24 Cal-Comp Big Data, Inc. Body information analysis apparatus and lip-makeup analysis method thereof
KR20190085802A (ko) * 2018-01-11 2019-07-19 김지환 증강된 화장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1242765A1 (en) * 2020-05-28 2021-12-02 Snap Inc. Augmented reality content from third-party content
US11657575B2 (en) 2020-05-28 2023-05-23 Snap Inc. Generat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based on third-party cont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1153B1 (ko) 2차원 이미지로부터 3차원 아바타를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69964B1 (ko) 이미지 및 뎁스 데이터를 사용하여 3차원(3d) 인간 얼굴 모델을 발생시키는 가상 현실 기반 장치 및 방법
KR100722229B1 (ko) 사용자 중심형 인터페이스를 위한 가상현실 상호작용 인체모델 즉석 생성/제어 장치 및 방법
TWI227444B (en) Simulation method for make-up trial and the device thereof
CN109472365A (zh) 使用辅助输入通过生成式对抗网络来细化合成数据
KR20150093930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이크업 장치 및 방법
US1037334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Muender et al. Does it feel real? Using tangibles with different fidelities to build and explore scenes in virtual reality
Hammady et al. User experience design for mixed reality: a case study of HoloLens in museum
KR101997702B1 (ko) 쓰리디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가상헤어스타일피팅미러 장치 및 시스템
KR101823869B1 (ko) 안면카메라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기반 실시간 동영상 메이크업 구현시스템
CN106682811A (zh) 一种基于密度聚类与力引导算法的市场网络可视化方法
KR20120066773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가상 화장 방법
CN104331564A (zh) 基于终端设备的妆饰指导方法和终端设备
CN108648061A (zh) 图像生成方法和装置
CN107609946A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计算设备
CN106502401B (zh) 一种图像控制方法及装置
CN114170648A (zh) 视频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Bourhim et al. Augmented reality SDK’s: a comparative study
KR102049359B1 (ko) 클라우드 검색 엔진 기반 지능형 3d 캐릭터 모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5690281B (zh) 角色表情的驱动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KR102316735B1 (ko) 빅데이터 기반의 개인별 맞춤 뷰티 클래스 제공 시스템
KR20190023486A (ko) 3차원 피팅 방법 및 장치
EP3872768A1 (en) Method for processing two-dimensional image and device for executing method
CN114782240A (zh) 图片处理方法以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