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489A -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리케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리케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489A
KR20150092489A KR1020140012929A KR20140012929A KR20150092489A KR 20150092489 A KR20150092489 A KR 20150092489A KR 1020140012929 A KR1020140012929 A KR 1020140012929A KR 20140012929 A KR20140012929 A KR 20140012929A KR 20150092489 A KR20150092489 A KR 20150092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application unit
drug
synthetic dru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5744B1 (ko
Inventor
이화민
한진형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2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744B1/ko
Publication of KR20150092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리케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합성 의약품 관리 서버 어플리케이션부로 사용자에 대한 기본 정보를 보내거나 합성 의약품 데이터 요청을 하고, 상기 합성 의약품 관리 서버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처리 결과 및 처리 결과에 따른 합성 의약품 데이터를 수신 받아 디스플레이창에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로 활성화시키는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부와, 상기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부와 NET 리모팅으로 연결되어,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전송받거나 합성 의약품 데이터를 요청받으면, 받은 데이터에 대해 처리를 하고,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부로 처리 결과 및 처리 결과에 따른 데이터를 송신시키는 합성 의약품 관리 서버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약품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위험도를 경고하여 합성 의약품 섭취의 올바른 복용을 돕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리케이션 장치{APPARATUS OF SYNTHETIC DRUGS MANAGEMENT APPLICATIONS IN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약품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위험도를 경고하여 합성 의약품 섭취의 올바른 복용을 돕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리케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항생제 내성에 대한 다제내성결핵 환자는 OECD국가들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항생제 내성균으로 인한 항생제 부작용으로 인체가 병균을 대항할 항체를 거부하는 경우이다. 이는 좀 극단적인 예로 볼 수도 있지만, 그만큼 현재 국민들의 의약품에 대한 높은 의존도 및 낮은 경각심이 위험수위에 달했음을 말해주고 있다.
또한 이러한 합성 의약품(약으로 분류되는 모든 부류) 외에도 웰빙 시대에 맞춰 수요가 늘어난 건강 보조 식품들 또한 무조건 적으로 좋은 효과만 있는 것이 아니다. 이를테면, 아스피린과 같은 감기약에 비타민c 등의 보조제를 함께 복용할 경우 간의 해독능력에 무리를 주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비슷한 효능을 보이는 감기약들 중 아스피린 계열의 약품들은 중복 복용 시 혈압, 뇌압 상승으로 인한 두통 등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우리가 쉽게 구입하고 접할 수 있는 약품들임에도 부작용, 혹은 몸에 해로운 작용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비록 모든 복용약품에 대하여 전문가의 진단 및 처방을 받아서 사용한다면 큰 문제는 없겠지만, 비상시이거나 간편하게 약국, 편의점 등에서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면, 정확한 효능과 의약품들의 궁합을 제대로 알고 복용할 것을 권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시장에는 약품을 검색하거나, 효능을 알아볼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몇 가지 존재한다. 그러나 기존의 합성 의약품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들을 살펴보면, 일반인의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해당 전문가의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일반 사용자에겐 다소 생소한 어플리케이션들이 많다.
즉, 도 1a, 도 1b 및 도 1c는 각각 종래 어플리케이션의 검색, 약품 등급 표시, 유사 의약품 검색의 모습으로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어플리케이션은 약품의 이름이나 약의 이름은 들어봤어도 그 내부 효능 등에 대하여 전혀 생소한 단어들로 구성된 전문 지식으로 구성한 경우가 많다. 또한 의약품이라는 전체 카테고리에서 수많은 약품을 표현해 내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의 편의성 보다 다량의 정보 제공을 목표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대부분이다. 또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대표적인 이름 한 가지만을 습득한 채로 정보 검색을 요청하면 비슷하거나 같은 명칭이 들어간 여러 개의 약품들에 대한 정보가 나와 막상 검색을 하더라도 사용자가 어떤 약품을 찾고자 하는지 혼란을 겪을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9797호(공개일 2012.01.0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 대한 기본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기본 정보에 따라 혼합 의약품에 대한 설명을 활성화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약품들 간의 좋지 않은 궁합으로 인해 생기는 부작용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고, 자신의 신체 특성에 따라 일반적으로 안전한 약으로 판명된 약품이더라도 위험도를 달리 표현하여 합성 의약품에 대한 경각심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리케이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리케이션 장치는,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합성 의약품 관리 서버 어플리케이션부로 사용자에 대한 기본 정보를 보내거나 합성 의약품 데이터 요청을 하고, 상기 합성 의약품 관리 서버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처리 결과 및 처리 결과에 따른 합성 의약품 데이터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창에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로 활성화시키는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부와, 상기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부와 NET 리모팅으로 연결되어,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전송받거나 합성 의약품 데이터를 요청받으면, 받은 데이터에 대해 처리를 하고,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부로 처리 결과 및 처리 결과에 따른 데이터를 송신시키는 합성 의약품 관리 서버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리케이션 장치에 따르면, 약물에 대한 내성과 옳지 않은 약품들의 혼합 복용의 부작용을 줄이고,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약품에 대한 기본 정보 및 자신의 상태에 따른 약품 위험성, 그리고 부가적으로 약품을 쉽고 편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 어플리케이션의 검색 모습, 도 1b는 종래 어플리케이션의 약품 등급 표시 모습, 도 1c는 종래 어플리케이션의 유사 의약품 검색의 모습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이 스마트폰에서 실행되어 활성화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의 회원 정보 탭이 스마트폰에서 실행되어 활성화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의 약 검색 탭이 스마트폰에서 실행되어 활성화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의 지도 탭이 스마트폰에서 실행되어 활성화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서버 어플리케이션부 상에 데이터가 저장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어플리케이션부 상의 php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도 측정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입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합성 의약품 관리 서버 어플리케이션부의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1은 데이터베이스의 내부 테이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약품 정보 데이터를 토대로 위험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구축하여 저장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합성 의약품은 약으로 분류되는 모든 부류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어플은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앱)을 짧게 줄인 말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리케이션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 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이는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부(100), 합성 의약품 관리 서버 어플리케이션부(2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부(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부(100)는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합성 의약품 관리 서버 어플리케이션부(200)로 복용 약품, 비교 약품 정보 등 합성 의약품 데이터를 요청(request)하고, 합성 의약품 관리 서버 어플리케이션부(200)로부터 처리 결과 및 처리 결과에 따른 합성 의약품 데이터를 수신 받아 디스플레이창에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로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이는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110)과, 리모팅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110)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창에 회원 정보 탭, 약 검색 정보 탭, 지도 정보 탭, 긴급 전화 정보 탭을 유저인터페이스로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Linux 커널 기반(JAVA)의 안드로이드 및 3G, WiFi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11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에 회원 정보 탭(111), 약 검색 탭(112), 지도 탭(113), 긴급 전화 탭(114)을 항목별로 구성시킨 후, 디스플레이창에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회원 정보 탭(111)은 사용자에 대한 기본 정보로 이름, 현재 병명, 나이, 일반/영유아/임산부 구분, 증상, 처방 약품 정보로 구성된다. 이때, 이름, 현재 병명 및 나이는 기본 정보로 저장하여 두고, 나머지 일반/영유아/임산부 구분, 증상, 처방 약품 정보는 합성 의약품 관리 서버 어플리케이션부(200)의 약품 관련 데이터베이스(240)에서 별도로 관리하여, 관리자 입장에서 상기 구분에 따라 처방 약품의 혼합도의 위험성이 달라지는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40)의 자세한 구조는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110)의 회원 정보 탭(111)이 스마트폰에서 실행되어 활성화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회원 정보를 입력한 후 저장을 터치하면 해당 사용자의 일반/영유아/임산부 구분에 따라 혼합 의약품의 복용 시 나타날 수 있는 증상 및 위험도에 대한 설명이 활성화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표 1은 회원 정보 저장 시 토스트(toast) 기능을 이용하여 의약품 정보 및 위험도의 메시지를 표시하는 프로그래밍 소스의 일 실시예이다. 서버 어플리케이션부(200)에 요청한 데이터를 서버 어플리케이션부(200)로부터 수신 받아 디스플레이 화면에 활성화할 때에는 토스트(toast) 메시지 형태, XML 형태, SMS 형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처방 약품이나 복용 중인 약품 없이 단순히 약품의 정보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어플을 사용할 때에는 약품 검색 탭(112)에서 약품 검색 및 출력을 담당하고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토스트 메시지를 통해 약품에 대한 위험도 경고용 정보를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110)의 약 검색 탭(112)이 스마트폰에서 실행되어 활성화된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약 검색 탭(112)은 검색 창으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정보를 얻고 싶은 약품을 검색 창에 입력하면 해당 약품에 대한 효능 등의 설명이 활성화된다. 요청된 약품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Unknown Drug' 메시지를 활성화하여 알 수 없는 약품으로 표시한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여기서, 표 2는 약 검색 시 내부적으로 검색 요청을 처리하는 프로그래밍 소스의 일 실시예이고, 표 3은 검색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불러오는 프로그래밍 소스의 일 실시예이다. 이때, 웹 서버 즉, 본 발명의 서버 어플리케이션부(200)를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JSON 방식의 데이터 교환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get 방식을 이용하여 서버 어플리케이션부(200)에 검색 요청을 시도하면 이후 내용은 이름, 정보 등의 추가 데이터이므로 포스트 방식을 이용하여 검색 요청에 대한 자료를 호출할 수 있다.
이때, JSON 데이터 교환 방식은 순수 문자열만을 사용하므로 오버헤드(overhead)를 최대한 줄일 수 있고, 객체 방식이므로 따로 파싱(parsing)을 할 필요가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보안을 요하는 방식의 프로그램이 목적이라면 적절치 않을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검색에 따른 선택된 정보를 제공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110)의 지도 탭(113)이 스마트폰에서 실행되어 활성화된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도 탭(113)은 GPS를 통해 실행 시 사용자의 위치를 검색하고, 주변 위치를 잡아주며, 자신의 위치를 기반으로 주변에 있는 가장 가까운 약국 정보를 표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지도에 대해서는 스마트폰 OS의 SDK를 활용하여 터치에 의한 확대/축소/전체화면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구글의 기본 제공 api인 'Android google-play-services'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때 'Androidmainfest'파일의 권한 설정 공간에서 구글 서버의 맵 서비스를 지원 받겠다는 권한 해제가 필요하다. 또한, 맵을 관리하는 Activity에서 자신의 위치를 계산해주는 위치 지정 코드가 필요하다.
상기 긴급 전화 탭(114)은 초기 설정한 연락처를 클릭 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를 통해 해당 연락처로 직접 전화를 걸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기본 설정으로는 119를 설정해 둘 수 있다.
상기 리모팅부(120)는 합성 의약품 관리 서버 어플리케이션부(200)에 있는 객채(object)를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 리모트 객체로 등록하여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리케이션부(200)와 NET 리모팅 통신을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의약품 관리 서버 어플리케이션부(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합성 의약품 관리 서버 어플리케이션부(200)는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부(100)와 NET 리모팅으로 연결되어, 합성 의약품 웹 어플리케이션부(100)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전송받거나 합성 의약품 데이터를 요청받으면, 받은 데이터에 대해 처리를 하고, 합성 의약품 웹 어플리케이션부(100)로 처리 결과 및 처리 결과에 따른 데이터를 송신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데이터 컨트롤 모듈(210)과, 리모트 컨트롤 모듈(220)과, 세션 컨트롤 모듈(230)과, 데이터베이스(240)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컨트롤 모듈(210)은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부(100)에서 보낸 사용자에 대한 기본 정보 또는 합성 의약품 데이터의 요청을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하고, 요청된 합성 의약품 데이터를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부로 송신한다. 여기서, 서버 어플리케이션부(200)의 데이터 컨트롤 모듈(210)을 통해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외하고 약품을 인덱스(index)로 분류하여 약품 정보, 위험도 측정 등을 위한 데이터를 비교한다. 이에 의해, 약품 데이터를 갱신할 때 사용자가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부(100)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할 필요 없이,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약품의 정보와 관리자가 추가하고자 하는 정보를 관리자가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은는 서버 어플리케이션부(200) 상에 데이터가 저장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어플리케이션부(200) 상에 저장된 약품명, 약품 정보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각 칼럼(column)의 인덱스를 이용하여 주고받는다. 즉, 약품명을 매핑하여 주고받는 것이 아니라 약품 등록 번호를 통하여 서로 교환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어플리케이션부(200) 상의 php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drug, dangerDrug, separator로 구성되어 있다. drug에는 약품명과 약품 정보(효능)가 들어있고, dangerDrug는 drug 테이블에 있는 약품 정보를 index로 가져와 위험 약품끼리 분류해 놓은 테이블이다. 이때, 위험도는 어플리케이션 내부 구분에서 어떤 선택을 하는가에 따라 같은 약이더라도 다르게 위험도를 표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도 측정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입력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품들에 대하여 저장된 인덱스(index) 번호를 매개체로 식품 의약청에서 지정한 위험성 있는 약, 혹은 해당 전문가의 의견을 참고하여 관리자가 약품들을 서로 매핑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연관된 약품들을 혼합 복용 시 이 약품들이 어떠한 효과를 가지고 오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같은 약품이라 하더라도 서로 잘 맞거나, 해가 되지 않는 약품 또는 같이 복용 시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주는 것 즉, 각 약품들 간의 궁합성을 검사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경고함으로써 약품에 대하여 경각심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 모듈(220)은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부(100)와 합성 의약품 관리 서버 어플리케이션부(200) 사이의 통신을 위한 리모팅 채널의 상태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지속적으로 리모트 채널을 검사하면서 에러가 날 경우에는 리모트 채널을 다시 시작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리모트 채널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세션 컨트롤 모듈(230)은 스마트폰과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과의 연결상태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database)(240)는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리케이션부에서 보낸 사용자에 대한 기본 정보 또는 합성 의약품 데이터의 요청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서버 어플리케이션부(200)의 데이터베이스(240)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 10 및 데이터베이스(240) 내부 테이블 구조를 나타내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 정보에 따른 복용 약의 정보와, 검색, 비교 등에 쓰이는 약품 정보로 나뉘어 관리한다. 사용자의 상태, 복용 의약품을 쿼리로 받아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240)에 검색 요청을 하면 데이터베이스(240) 내부에 있는 약품 정보, 위험도 등을 웹 어플리케이션부(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주는 방식이다.
도 12는 약품 정보 데이터를 토대로 위험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구축하여 저장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약품 인덱스와 상기 구분에서 쓰이는 separator 란에 번호로 저장하여 분류되어 있다. drug1, drug2 는 약품 데이터베이스에 차례로 저장된 값을 말하고, separator는 회원 정보 입력란의 구분 란에서 사용되는 기호로서, 1은 일반인, 2는 임산부, 3은 영유아를 나타낸다. separator에 의한 구분에 따라 약품의 위험도를 달리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100 :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부
110 :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
120 : 리모팅부
200 : 합성 의약품 관리 서버 어플리케이션부
210 : 데이터 컨트롤 모듈
220 : 리모트 컨트롤 모듈
230 : 세션 컨트롤 모듈
240 : 데이터베이스

Claims (4)

  1.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합성 의약품 관리 서버 어플리케이션부로 사용자에 대한 기본 정보를 보내거나 합성 의약품 데이터 요청을 하고, 상기 합성 의약품 관리 서버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처리 결과 및 처리 결과에 따른 합성 의약품 데이터를 수신 받아 디스플레이창에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로 활성화시키는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부와 NET 리모팅으로 연결되어,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전송받거나 합성 의약품 데이터를 요청받으면, 받은 데이터에 대해 처리를 하고,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부로 처리 결과 및 처리 결과에 따른 데이터를 송신시키는 합성 의약품 관리 서버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 장치.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부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창에 약품의 혼합도의 위험성이 달라지는 정보를 제공하는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 및
    상기 합성 의약품 관리 서버 어플리케이션부에 있는 객체(object)를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 리모트 객체로 등록하여 합성 의약품 관리 서버 어플리케이션부와 NET 리모팅 통신을 하는 리모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일 기반으로 하는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 장치.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창에, 사용자에 대한 기본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기본 정보에 따라 혼합 의약품에 대한 설명을 활성화하는 회원 정보 탭; 검색 요청된 의약품의 정보를 활성화하는 약 검색 탭;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주변 약국 정보를 표출시키는 지도 탭; 및 긴급 상황에서 미리 설정된 연락처로 발신하는 긴급 전화 탭을 유저 인터페이스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 장치.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의약품 관리 서버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부에서 보낸 사용자에 대한 기본 정보 또는 합성 의약품 데이터의 요청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요청된 합성 의약품 데이터를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부로 송신하는 데이터 컨트롤 모듈과,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부와 합성 의약품 관리 서버 어플리케이션부 사이의 통신을 위한 리모팅 채널의 상태를 관리하는 리모트 컨트롤 모듈과,
    스마트폰과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과의 연결 상태를 관리하는 세션 컨트롤 모듈과,
    합성 의약품 관리 웹 어플리케이션부에서 보낸 요청 또는 합성 의약품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 장치.
KR1020140012929A 2014-02-05 2014-02-05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리케이션 장치 KR101575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929A KR101575744B1 (ko) 2014-02-05 2014-02-05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리케이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929A KR101575744B1 (ko) 2014-02-05 2014-02-05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리케이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489A true KR20150092489A (ko) 2015-08-13
KR101575744B1 KR101575744B1 (ko) 2015-12-10

Family

ID=54056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929A KR101575744B1 (ko) 2014-02-05 2014-02-05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리케이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7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610B1 (ko) 2018-11-16 2021-01-06 주식회사 엔케이어드벤스 사물인터넷기술과 하나되어 온습도 기능을 제어하고 필요한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향정신성의약품 자동 관리장치
KR102095902B1 (ko) 2018-12-03 2020-04-02 주식회사 엔케이어드벤스 중량센서를 이용하여 반출입 및 현재 향정신성의약품의 잔량정보와 같은 정보상태를 안정적이고 빠르고 정확히 실시간 자동 전송 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향정신성의약품 자동관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5744B1 (ko)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ouk et al. Association between state laws facilitating pharmacy distribution of naloxone and risk of fatal overdose
Crico et al. mHealth and telemedicine apps: in search of a common regulation
Foley How well is cancer pain treated?
US20180052964A1 (en) Digital Health Ecosystem
US11862310B2 (en) Proximity-based mobile-device updates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JP2018198940A (ja) 薬剤情報システム及び方法
Vermeer et al. What do we require from surveillance technology? A review of the needs of people with dementia and informal caregivers
US20140257836A1 (en) Automated interactive health care application for patient care
Chikezie et al. Tramadol misuse in the Niger Delta; A review of cases presenting within a year
KR101920466B1 (ko) 처방 약품 분석이 가능한 방법, 시스템 및 휴대형 단말
KR20140028929A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개인 의료 진료 방법 및 장치
US20180052958A1 (en) Patient-owned electronic health records system and method
Malik et al. A simulated client exploration of nonprescription dispensing of antibiotics at drugstores for pediatric acute diarrhea and upper respiratory infection in Lahore, Pakistan
Imteaj et al. A smartphone based application to improve the health care system of Bangladesh
Ruth Chu-Ai Teh et al. Clinical effectiveness of and attitudes and beliefs of health professionals towards the use of health technology in falls prevention among older adults
Fox et al. Potential uses of google glass in the pharmacy
KR101575744B1 (ko)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합성 의약품 관리 어플리케이션 장치
Roberts et al. Help! Someone is beeping...
Ramachandran et al. Patient-centered mobile apps f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Paschou et al. Care@ HOME: a mobile monitoring system for patient treatment and blood pressure tracking
Smith Editor's note: Integration of pharmacotherapy and psychosocial treatment in opiate-addicted youth
Homer et al. Sickle cell disease: a roadmap for getting to excellence everywhere
JP6386789B2 (ja) 薬剤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40003162A (ko) 의료정보 제공방법
Yeo et al. Mental health literacy beliefs: a comparison of psychiatric trained nurses and enrolled nurses in Singap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