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420A -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420A
KR20150092420A KR1020140012605A KR20140012605A KR20150092420A KR 20150092420 A KR20150092420 A KR 20150092420A KR 1020140012605 A KR1020140012605 A KR 1020140012605A KR 20140012605 A KR20140012605 A KR 20140012605A KR 20150092420 A KR20150092420 A KR 20150092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image data
data
display
re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7567B1 (ko
Inventor
김진필
고재현
김흰돌
손석윤
안국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2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567B1/ko
Publication of KR20150092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1Resolution modifying circuits, e.g. variable screen forma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8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image processing hardwa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6Determination of a pixel data signal depending on the signal applied in the previous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1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해상도보다 낮은 제2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타이밍 제어부 및 상기 제3 영상 데이터 중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전압을 제1 클럭에 대응하여 생성하고,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 전압을 상기 제1 클럭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인 제2 클럭에 대응하여 생성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의 종류에는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및 전계 발광 표시 패널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을 수 있으며 표시 패널의 종류에 따라 표시 장치의 종류는 달라질 수 있다.
구동부는 타이밍 제어부, 데이터 구동부 및 스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화상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여 데이터 구동부 및 스캔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는 표시 패널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에 각각에 표시되는 계조를 제어하는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에 제공할 수 있다. 스캔 구동부는 복수의 화소 각각에 데이터 신호가 전달될지 여부를 제어하는 스캔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 패널에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는 생성된 데이터 전압을 표시 패널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다만, 표시 장치가 대형화되고 해상도가 높아짐에 따라 이러한 데이터 라인의 수는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품질을 제공하면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품질을 제공하면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1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해상도보다 낮은 제2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타이밍 제어부 및 상기 제3 영상 데이터 중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전압을 제1 클럭에 대응하여 생성하고,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 전압을 상기 제1 클럭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인 제2 클럭에 대응하여 생성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해상도는 상기 제2 해상도의 n^2 배이고, 상기 제1 클럭의 주파수는 상기 제2 클럭의 주파수의 n 배이며, 상기 n은 2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해상도 변환부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온 전압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포화 영역에 대응되는 게이트 전압이고, 상기 제2 온 전압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선형 영역에 대응되는 게이트 전압일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n x n 매트릭스 형태의 화소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해상도 변환부는 상기 화소 블록의 화소들의 계조 값을 상기 화소 블록의 평균 계조 값으로 보정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시선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영역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와 이전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영역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클럭에 대응하여 제공하는 제1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클럭에 대응하여 제공하는 제2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광원부는 상기 표시부의 영역별로 서로 다른 세기의 광을 제공하며,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광의 세기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광의 세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1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해상도보다 낮은 제2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제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제2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전압을 제1 클럭에 대응하여 생성하고,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 전압을 상기 제1 클럭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인 제2 클럭에 대응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해상도는 상기 제2 해상도의 n^2 배이고, 상기 제1 클럭의 주파수는 상기 제2 클럭의 주파수의 n 배이며, 상기 n은 2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상기 제3 영상 데이터 출력 단계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해상도 변환 단계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와 이전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시선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n x n 매트릭스 형태의 화소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해상도 변환 단계는 상기 화소 블록의 화소들의 계조 값을 상기 화소 블록의 평균 계조 값으로 보정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에 광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광 제공 단계는 상기 표시부의 영역별로 서로 다른 세기의 광을 제공하며,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광의 세기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광의 세기보다 클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 있다.
즉, 소비 전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임장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바,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해상도 변환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제3 영상 데이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제1 클럭과 제2 클럭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임베디드 된 제1 데이터 전압과 제2 데이터 전압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부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보정 영상 데이터 출력 단계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식별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제어부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부의 블록도이며, 도 4는 해상도 변환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는 제3 영상 데이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부(110), 타이밍 제어부(120), 데이터 구동부(130) 및 스캔 구동부(140)을 포함한다.
표시부(110)는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표시부(110)는 복수의 스캔 라인(SL1, SL2, ..., SLn), 복수의 스캔 라인(SL1, SL2, ..., SLn)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DL1, DL2, ..., DLm) 및 복수의 스캔 라인(SL1, SL2, ..., SLn) 중 하나와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DL1, DL2, ..., DLm) 중 하나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캔 라인(SL1, SL2, ..., SLn)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형상 일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복수의 스캔 라인(SL1, SL2, ..., SLn)은 순서대로 배치된 제1 내지 제n 스캔 라인(SL1, SL2, ..., SLn)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터 라인(DL1, DL2, ..., DLm) 각각은 복수의 스캔 라인(SL1, SL2, ..., SLn)과 교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데이터 라인(DL1, DL2, ..., DLm)은 제1 방향(D1)과 수직인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D1)은 행 방향과 대응될 수 있으며 제2 방향(D2)은 열 방향과 대응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화소(PX) 각각은 복수의 스캔 라인(SL1, SL2, ..., SLn) 중 하나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DL1, DL2, ..., DLm) 중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 각각은 연결된 스캔 라인(SL1, SL2, ..., SLn)으로부터 제공되는 스캔 신호(S1, S2, ..., Sn)에 대응하여 연결된 데이터 라인(DL1, DL2, ..., DLm)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 영역(110a)은 제2 표시 영역(110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의 범위 및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은 표시 장치(10)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한 시청 거리, 시청 방향 및 시야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 표시 영역(110a)은 사용자의 정면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시야내의 주 시청 영역일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110b)은 사용자의 시야 외각의 보조 시청 영역일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의 범위 및 위치는 기 설정된 상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의 제1 표시 영역(110a) 및 제2 표시 영역(110b)은 사용자 또는 시스템의 신호에 의해 그 범위 및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표시부(110)는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은 하나의 영상의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제1 표시 영역(110a)에서 표시되는 영상과 제2 표시 영역(110b)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서로 해상도가 상이할 수 있다. 즉, 제1 표시 영역(110a)은 제1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2 표시 영역(110b)은 제2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해상도는 제1 해상도보다 낮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해상도는 3840X2160이고, 제2 해상도는 1920X1080로서, 제1 해상도는 제2 해상도의 4배일 수 있다. 보조 시청 영역인 제2 표시 영역(110b)은 제2 해상도로 표시되지만, 주 시청 영역인 제1 표시 영역(110a)은 제1 해상도로 표시되므로, 표시 장치(110)의 사용자는 실질적으로 제1 해상도의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즉, 표시부(110)는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가진 영역을 포함하지만, 주 시청 영역에 해당하는 제1 표시 영역은 고해상도를 유지하기에 실질적으로 시청자가 인식하는 표시 품질은 기타 다른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타이밍 제어 신호(TCS)를 입력 받아 데이터 구동부(13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 신호(DCS) 및 스캔 구동부(140)를 제어하기 위한 스캔 제어 신호(SCS)를 생성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 신호(TCS)는 클럭 신호(CLK),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일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20)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입력 받아 보정된 제3 영상 데이터(DATA3)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타이밍 제어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 제어부(120)는 데이터 변환부(121), 데이터 제어 신호 생성부(122) 및 스캔 제어 신호 생성부(123)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121)는 해상도 변환부(121a) 및 데이터 보정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 데이터(DATA1)는 해상도 변환부(121a) 및 데이터 보정부(121b)에 모두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상 데이터(DATA1)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원시 영상 데이터일 수 있으며, 제1 해상도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해상도 변환부(121a)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제2 영상 데이터(DATA2)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영상 데이터(DATA2)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에 비해 해상도가 감소된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즉, 해상도 변환부(121a)는 고해상도의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데이터 에버리징(Data Averaging) 과정을 수행하여 저해상도인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n x n 매트릭스 형태의 화소 블록(P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블록(PB)는 제1 내지 제4 화소(PX1, ..., PX4)로 구성된 2 x 2 매트릭스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해상도 변환부(121a)는 화소 블록(PB)의 화소들(PX1, ..., PX4)의 계조 값을 화소들(PX1, ..., PX4)의 평균 계조 값으로 보정할 수 있다. 즉,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기준으로 제1 내지 제4 화소(PX1, ..., PX4)에 입력되는 계조 값은 D1, ..., D4일 수 있으며, 상기 계조 값들의 평균 계조 값은 Da일 수 있다. 해상도 변환부(121a)는 제1 내지 제4 화소(PX1, ..., PX4)에 입력되는 계조 값을 Da로 변환하여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2 영상 데이터(DATA2)의 화소 블록(PB)은 동일한 계조 값을 표현할 수 있으며, 이는 하나의 새로운 화소로 간주될 수 있다. 제2 영상 데이터(DATA2)는 화소 블록(B) 단위로써 하나의 화소가 새로이 정의되기에, 제1 영상 데이터(DATA1)에 비해 해상도가 감소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화소를 구성된 화소 블록(PB)으로 데이터 에버리징(Data Averaging)을 수행한다면 제1 영상 데이터(DATA1)의 1/4에 해당하는 해상도를 가지는 제2 영상 데이터(DATA2)가 생성될 수 있다. 해상도 변환부(121a)는 생성된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데이터 보정부(121b)로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보정부(121b)에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와 제2 영상 데이터(DATA2)가 입력될 수 있다. 데이터 보정부(121b)는 표시 영역(110)의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에 각각 대응되도록 제1 영상 데이터(DATA1)와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조합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영상 데이터(DATA3)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와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영상 데이터(DATA1)는 제1 표시 영역(110a)에 입력되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제2 영상 데이터(DATA2)는 제2 표시 영역(110b)에 입력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표시 영역(110a)은 고해상도인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제2 표시 영역(110b)은 저해상도인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표시할 수 있다.
데이터 제어 신호 생성부(122)는 클럭 신호(CLK) 및 수평 동기 신호(Hsync)를 수신 받을 수 있으며, 데이터 제어 신호(DCS)를 데이터 구동부(130)에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제어 신호(DCS)는 예를 들어,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SSP) 및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일 수 있다. 여기서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서로 주파수가 다른 제1 클럭(SSC1)와 제2 클럭(SSC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스캔 제어 신호 생성부(123)는 클럭 신호(CLK)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수신 받을 수 있으며, 스캔 제어 신호(SCS)를 스캔 구동부(120)에 출력할 수 있다. 스캔 제어 신호(SCS)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및 게이트 샘플링 클럭(Gate Sampling Clock: GSC)일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스캔 구동부(140)는 스캔 제어 신호(SCS)에 수신 받으며, 이에 대응하여 복수의 스캔 신호(S1, S2, ..., Sn)을 표시부(110)에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스캔 신호(S1, S2, ..., Sn)은 대응되어 연결된 복수의 스캔 라인(SL1, SL2, ..., SLn)을 통해서 각각의 화소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턴-온(Turn-on)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데이터 제어 신호(DCS) 및 제3 영상 데이터(DATA3)를 수신 받을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전압은 데이터 라인(DL1, DL2 ..., DLm)을 통해 각각의 턴-온(Turn-on)된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데이터 구동부(13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의 블록도이며, 도 7은 제1 클럭과 제2 클럭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8은 임베디드 된 제1 데이터 전압과 제2 데이터 전압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데이터 구동부(130)는 제1 데이터 구동부(131a) 및 제2 데이터 구동부(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구동부(131a)는 제3 영상 데이터(DATA3) 중 제1 영상 데이터(DATA1)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전압(HD1, HD2, ..., HDm)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제2 데이터 구동부(131b)는 제3 영상 데이터(DATA3) 중 제2 영상 데이터(DATA)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 전압(LD1, LD2, ..., LDm)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구동부(131a) 및 제2 데이터 구동부(131b)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 및 제2 영상 데이터(DATA3)를 각각 수신 받을 수 있다.
다만, 제1 데이터 구동부(131a)는 제1 클럭(SSC1)이 소스 샘플링 클럭으로 입력될 수 있으며, 제2 데이터 구동부(131b)는 제1 클럭(SSC1)보다 낮은 주파수인 제2 클럭(SSC2)가 소스 샘플링 클럭으로 입력될 수 있다. 즉, 제1 데이터 구동부(131a)는 제1 클럭(SSC1)에 대응하여 소스 스타트 펄스(SSP)를 쉬프트하여 제1 샘플링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제2 데이터 구동부(131b)는 제2 클럭(SSC2)에 대응하여 소스 스타트 펄스(SSP)를 쉬프트하여 제2 샘플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데이터 구동부(131a)는 상기 제1 샘플링 신호에 응답하여 제3 영상 데이터(DATA3) 중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샘플링하여 래치할 수 있으며, 감마 전압 생성부(미도시)에서 출력되는 감마 기준 전압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전압(HD1, HD2, ..., HDm)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구동부(131b)는 상기 제2 샘플링 신호에 응답하여 제3 영상 데이터(DATA3) 중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샘플링하여 래치할 수 있으며, 감마 전압 생성부(미도시)에서 출력되는 감마 기준 전압에 기초하여 제2 데이터 전압(LD1, LD2, ..., LDm)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데이터 전압(HD1, HD2, ..., HDm)은 제1 표시 영역(110a)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데이터 전압(HL1, HL2, ..., HLm)은 제2 표시 영역(110b)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110a)은 제1 클럭(SSC1)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압이 인가될 수 있으며, 제2 표시 영역(110b)은 제2 클력(SSC2)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의 해상도 관계와 제1 클럭(SSC1)과 제2 클럭(SSC2)의 주파수 관계는 대응될 수 있다. 즉, 제1 표시 영역(110a)의 제1 해상도가 제2 표시 영역(110b)의 제2 해상도의 n^2배일 때, 제1 클럭(SSC1)의 주파수는 제2 클럭(SSC2)의 주파수는 n배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해상도가 제2 해상도의 4 배일 때, 제1 클럭(SSC1)의 주파수는 제2 클럭(SSC2)의 주파수의 2 배일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가 낮은 제2 클럭(SSC2)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전력은 제1 클럭(SSC1)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전력보다 낮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 전력이 절감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저해상도 영역에 해당하는 제2 표시 영역(110b)에 제공되는 제2 데이터 전압(HL1, HL2, ..., HLm)이 낮은 주파수인 제2 클럭(SSC2)에 대응되어 생성될 수 있기에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표시 영역(110b)을 저 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하더라도 보조 시청 영역에 해당하기에 사용자가 체감하는 표시 품질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품질을 제공하면서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데이터 전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 신호와 데이터 전압이 병합된 임베디드(embedded) 형태일 수 있다. 고 해상도인 제1 표시 영역(110a)에 제공되는 제1 데이터 전압(HD1)의 패킷에서 영상 데이터 전송에 소모되는 패킷의 수는 저 해상도인 제2 표시 영역(110b)에 제공되는 제2 데이터 전압(HL1)의 패킷에서 영상 데이터 전송에 소모되는 패킷의 수의 두 배일 수 있다. 즉, 제2 데이터 전압(HL1)의 나머지 패킷은 블랭크(Blank) 상태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되는 전력이 절감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언급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부의 블록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는 도 1 내지 도 8의 표시 장치(10)에 비해 표시 영역 설정부(250) 및 광원부(260)를 더 포함하며, 표시 장치(20)의 데이터 보정부(221b)는 표시 영역 설정부(250)에서 제공되는 설정 신호(DS)에 대응하여 제3 영상 데이터(DATA3)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데이터 보정부(221b)는 설정 신호(DS)에 의해 설정된 제1 표시 영역(210a) 및 제2 표시 영역(210b)에 대응되도록 제3 영상 데이터(DATA3)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보정부(221b)는 설정 신호(DS)에 대응하여 광원 제어 신호(LCS)를 생성할 수 있으며, 광원 제어 신호(LCS)를 광원부(260)로 출력할 수 있다.
표시 영역 설정부(250)는 표시부(210)에서 제1 표시 영역(210a)과 제2 표시 영역(210b)의 위치와 범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한 설정 신호(DS)를 데이터 보정부(221b)에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영역 설정부(250)는 사용자의 시선에 의해 제1 표시 영역(210a)과 제2 표시 영역(210b)을 설정할 수 있다. 즉, 표시부(210)에서 화상이 표시되는 일면은 사용자의 시선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표시부(210)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정보가 반사된 사용자의 눈동자를 촬영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눈동자 촬영 정보와 표시부(210)의 영상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응시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응시 방향을 추정하는 데이터를 표시 영역 설정부(250)에 제공할 수 있으며, 표시 영역 설정부(250)는 이를 토대로 사용자의 시선이 주로 머무는 주 시청 영역에 해당하는 제1 표시 영역(210a)와 보조 시청 영역에 해당하는 제2 표시 영역(210b)의 위치 및 범위를 각각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한 설정 신호(DS)를 데이터 보정부(221b)에 제공할 수 있다.
다만 표시 영역의 설정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의 표시 영역 설정부(250)는 현재 프레임의 제1 영상 데이터(DATA1) 및 이전 프레임의 제1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데이터의 변화량이 큰 동영상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1 표시 영역(210a)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변화량의 적은 정지영상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2 표시 영역(210b)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광원부(260)는 표시부(210)에 광(L)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장치(2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으며, 표시부(210)는 자체 발광을 하지 못하고 배면광을 투과시키는 액정 패널(Liquid panel)일 수 있다. 광원부(260)는 표시부(210)의 영역별로 서로 다른 세기의 광을 제공할 수 있다. 광원부(260)는 표시부(210)의 각 화소(PX)에 대응되는 발광 블록(미도시)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발광 블록(미도시)의 발광 정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데이터 보정부(221b)는 발광 제어 신호(LCS)를 광원부(26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광 블록별로 발광 세기는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발광 제어 신호(LCS)는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이 서로 다른 세기의 광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다. 즉, 데이터 보정부(221b)는 설정 신호(DS)에 의해 설정된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에 대응되는 영역에 서로 다른 세기의 광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발광 제어 신호(LCS)를 광원부(260)에 제공할 수 있다. 광원부(260)는 제1 표시 영역(110a)에 제1 광(L1)을 제공하고 제2 표시 영역(110b)에 제1 광(L)보다 약한 세기를 가진 제2 광(L2)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보조 시청 영역에 해당하는 제2 표시 영역(110b)에는 보다 약한 광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주 시청 영역인 제1 표시 영역(110a)에서 보조 시청 영역인 제2 표시 영역(110b)으로 갈수록 약한 광이 제공되기에, 표시면(210)의 측부로 갈수록 표시 영상은 어두워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 영상의 인장감은 향상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는 보다 높은 표시 품질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그 밖에 표시 장치(20)에 포함된 구성들에 대한 다른 설명은 도 1 내지 도 8의 표시 장치(10)에 포함된 동일한 명칭을 갖는 설명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12는 보정 영상 데이터 출력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11 및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1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110a) 및 상기 제1 해상도보다 낮은 제2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 영역(110b)을 포함하는 표시부(110)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제3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S110) 및 상기 표시 영역별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S120)을 포함한다.
먼저, 제3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S110).
표시부(110)는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은 하나의 영상의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제1 표시 영역(110a)에서 표시되는 영상과 제2 표시 영역(110b)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서로 해상도가 상이할 수 있다. 즉, 제1 표시 영역(110a)은 제1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2 표시 영역(110b)은 제2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해상도는 제1 해상도보다 낮을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 영역(110a)은 사용자의 정면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시야내의 주 시청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표시 영역(110b)은 사용자의 시야 외각의 보조 시청 영역일 수 있다. 보조 시청 영역인 제2 표시 영역(110b)은 제2 해상도로 표시되지만, 주 시청 영역인 제1 표시 영역(110a)은 제1 해상도로 표시되므로, 표시 장치(110)의 사용자는 실질적으로 제1 해상도의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즉, 표시부(110)는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가진 영역을 포함하지만, 주 시청 영역에 해당하는 제1 표시 영역은 고해상도를 유지하기에 실질적으로 시청자가 인식하는 표시 품질은 기타 다른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입력 받고 이를 변환하여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1 영상 데이터(DATA1)가 제1 표시 영역(110a)에 대응되고, 제2 영상 데이터(DATA2)가 제2 표시 영역(110b)에 대응되도록 조합된 제3 영상 데이터(DATA3)를 생성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생성된 제3 영상 데이터(DATA3)를 데이터 구동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3 영상 데이터 출력 단계(S110)는 해상도 변환 단계(S112)와 제3 영상 데이터 생성 단계(S11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타이밍 제어부(120)는 해상도 변환부(121a) 및 데이터 보정부(12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상도 변환부(121a)에서 해상도 변환 단계(S112)가 수행된 후, 데이터 보정부(121b)에서 제3 영상 데이터(DATA3)이 생성하는 단계(S114)가 수행될 수 있다.
제1 영상 데이터(DATA1)는 해상도 변환부(121a) 및 데이터 보정부(121b)에 모두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상 데이터(DATA1)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원시 영상 데이터일 수 있으며, 제1 해상도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해상도 변환부(121a)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제2 영상 데이터(DATA2)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영상 데이터(DATA2)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에 비해 해상도가 감소된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즉, 해상도 변환부(121a)는 고해상도의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데이터 에버리징(Data Averaging)하여 저해상도인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에버리징 과정은 표시 장치(10)에서의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생략하도록 한다.
데이터 보정부(121b)에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와 제2 영상 데이터(DATA2)가 입력될 수 있다. 데이터 보정부(121b)는 표시 영역(110)의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에 각각 대응되도록 제1 영상 데이터(DATA1)와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조합할 수 있다. 제3 영상 데이터(DATA3)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와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영상 데이터(DATA1)는 제1 표시 영역(110a)에 입력되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제2 영상 데이터(DATA2)는 제2 표시 영역(110b)에 입력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데이터 보정부(121b)는 생성된 제3 영상 데이터(DATA3)를 데이터 구동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20)는 데이터 제어 신호(DCS)를 생성하여 데이터 제공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제어 신호(DCS)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 및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일 수 있으며,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제1 클럭(SSC1) 및 제1 클럭(SSC1)보다 낮은 주파수인 제2 클럭(SSC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표시 영역별 데이터 전압을 생성한다(S120).
데이터 구동부(130)는 제3 영상 데이터(DATA3)를 수신 받을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데이터 구동부(130)는 제1 데이터 구동부(131a) 및 제2 데이터 구동부(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구동부(131a)는 제3 영상 데이터(DATA3) 중 제1 영상 데이터(DATA1)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전압(HD1, HD2, ..., HDm)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제2 데이터 구동부(131b)는 제3 영상 데이터(DATA3) 중 제2 영상 데이터(DATA)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 전압(LD1, LD2, ..., LDm)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구동부(131a) 및 제2 데이터 구동부(131b)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 및 제2 영상 데이터(DATA3)를 각각 수신 받을 수 있다.
다만, 제1 데이터 구동부(131a)는 제1 클럭(SSC1)이 소스 샘플링 클럭으로 입력될 수 있으며, 제2 데이터 구동부(131b)는 제1 클럭(SSC1)보다 낮은 주파수인 제2 클럭(SSC2)가 소스 샘플링 클럭으로 입력될 수 있다. 즉, 제1 데이터 구동부(131a)는 제1 클럭(SSC1)에 대응하여 소스 스타트 펄스(SSP)를 쉬프트하여 제1 샘플링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제2 데이터 구동부(131b)는 제2 클럭(SSC2)에 대응하여 소스 스타트 펄스(SSP)를 쉬프트하여 제2 샘플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데이터 구동부(131a)는 상기 제1 샘플링 신호에 응답하여 제3 영상 데이터(DATA3) 중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샘플링하여 래치할 수 있으며, 감마 전압 생성부(미도시)에서 출력되는 감마 기준 전압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전압(HD1, HD2, ..., HDm)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구동부(131b)는 상기 제2 샘플링 신호에 응답하여 제3 영상 데이터(DATA3) 중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샘플링하여 래치할 수 있으며, 감마 전압 생성부(미도시)에서 출력되는 감마 기준 전압에 기초하여 제2 데이터 전압(LD1, LD2, ..., LDm)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데이터 전압(HD1, HD2, ..., HDm)은 제1 표시 영역(110a)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데이터 전압(HL1, HL2, ..., HLm)은 제2 표시 영역(110b)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110a)은 제1 클럭(SSC1)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압이 인가될 수 있으며, 제2 표시 영역(110b)은 제2 클럭(SSC2)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의 해상도 관계와 제1 클럭(SSC1)과 제2 클럭(SSC2)의 주파수 관계는 대응될 수 있다. 즉, 제1 표시 영역(110a)의 제1 해상도가 제2 표시 영역(110b)의 제2 해상도의 n^2배일 때, 제1 클럭(SSC1)의 주파수는 제2 클럭(SSC2)의 주파수는 n배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해상도가 제2 해상도의 4 배일 때, 제1 클럭(SSC1)의 주파수는 제2 클럭(SSC2)의 주파수의 2 배일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가 낮은 제2 클럭(SSC2)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전력은 제1 클럭(SSC1)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전력보다 낮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 전력이 절감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저해상도 영역에 해당하는 제2 표시 영역(110b)에 제공되는 제2 데이터 전압(HL1, HL2, ..., HLm)이 낮은 주파수인 제2 클럭(SSC2)에 대응되어 생성될 수 있기에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표시 영역(110b)을 저 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하더라도 보조 시청 영역에 해당하기에 사용자가 체감하는 표시 품질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품질을 제공하면서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 설정 단계는 해상도 변환 단계(S112) 이후 및 제3 영상 데이터 생성 단계(S114) 이전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의 범위 및 위치는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와 이전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표시 영역(110a)과 제2 표시 영역(110b)의 범위 및 위치는 사용자의 시선에 의해 설정될 수 도 있다.
나아가,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표시부(110)에 광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광 제공 단계는 표시부(110)에 영역별로 서로 다른 세기의 광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표시 영역(110a)에 제공되는 광의 세기는 제2 표시 영역(110b)에 제공되는 광의 세기보다 클 수 있다. 즉, 보조 시청 영역에 해당하는 제2 표시 영역(110b)에는 보다 약한 광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주 시청 영역인 제1 표시 영역(110a)에서 보조 시청 영역인 제2 표시 영역(110b)으로 갈수록 약한 광이 제공되기에, 표시면(210)의 측부로 갈수록 표시 영상은 어두워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 영상의 인장감은 향상될 수 있다.
그 밖에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에 포함된 구성들에 대한 다른 설명은 도 1 내지 도 8의 표시 장치(10)에 포함된 동일한 명칭을 갖는 설명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210: 표시부
120, 220: 스캔 구동부
130, 230: 데이터 구동부
140, 240: 타이밍 제어부
150, 250: 전압 생성부
10, 2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laims (15)

  1. 제1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해상도보다 낮은 제2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타이밍 제어부; 및
    상기 제3 영상 데이터 중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전압을 제1 클럭에 대응하여 생성하고,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 전압을 상기 제1 클럭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인 제2 클럭에 대응하여 생성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상도는 상기 제2 해상도의 n^2 배이고,
    상기 제1 클럭의 주파수는 상기 제2 클럭의 주파수의 n 배이며,
    상기 n은 2이상의 자연수인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해상도 변환부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보정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n x n 매트릭스 형태의 화소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해상도 변환부는 상기 화소 블록의 화소들의 계조 값을 상기 화소 블록의 평균 계조 값으로 보정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표시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선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영역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와 이전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영역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클럭에 대응하여 제공하는 제1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클럭에 대응하여 제공하는 제2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광원부는 상기 표시부의 영역별로 서로 다른 세기의 광을 제공하며,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광의 세기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광의 세기보다 큰 표시 장치.
  9. 제1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해상도보다 낮은 제2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제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제2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전압을 제1 클럭에 대응하여 생성하고,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 전압을 상기 제1 클럭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인 제2 클럭에 대응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상도는 상기 제2 해상도의 n^2 배이고,
    상기 제1 클럭의 주파수는 상기 제2 클럭의 주파수의 n 배이며,
    상기 n은 2이상의 자연수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상 데이터 출력 단계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해상도 변환 단계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와 이전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선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n x n 매트릭스 형태의 화소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해상도 변환 단계는 상기 화소 블록의 화소들의 계조 값을 상기 화소 블록의 평균 계조 값으로 보정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광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광 제공 단계는 상기 표시부의 영역별로 서로 다른 세기의 광을 제공하며,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광의 세기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광의 세기보다 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40012605A 2014-02-04 2014-02-04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107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605A KR102107567B1 (ko) 2014-02-04 2014-02-04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605A KR102107567B1 (ko) 2014-02-04 2014-02-04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420A true KR20150092420A (ko) 2015-08-13
KR102107567B1 KR102107567B1 (ko) 2020-05-08

Family

ID=54056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605A KR102107567B1 (ko) 2014-02-04 2014-02-04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5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7335B2 (en) 2019-10-21 2021-09-21 Samsung Display Co., Ltd. Driving controller for displaying image using dither patterns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7300A1 (ja) * 2011-09-27 2013-04-0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7300A1 (ja) * 2011-09-27 2013-04-0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7335B2 (en) 2019-10-21 2021-09-21 Samsung Display Co., Ltd. Driving controller for displaying image using dither patterns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567B1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659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US8487863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05885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529503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JP2005346052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CN105895044B (zh) 液晶显示器及改善液晶显示器的大视角色偏的方法
KR20150069850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3578412A (zh) 发光二极管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20080044104A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60009188A (ko)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JP2013083978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装置の駆動方法
KR20100055880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0958324B1 (ko) 입력 영상 데이터에 따른 백라이트 휘도 조절 기능을가지는 영상 데이터 처리 장치, 이를 가지는 액정 표시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20140176626A1 (en) Display device and drive method for same
KR102059501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130208024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image display unit
KR20160142473A (ko) 표시 패널 구동 장치,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50110201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50080303A (ko)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019766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50092420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02028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 및 방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50070683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13020269A (ja) 液晶表示装置、該液晶表示装置に用いられる駆動制御回路及び駆動方法
KR20200086241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