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1218A - 고글 - Google Patents

고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1218A
KR20150091218A KR1020140182325A KR20140182325A KR20150091218A KR 20150091218 A KR20150091218 A KR 20150091218A KR 1020140182325 A KR1020140182325 A KR 1020140182325A KR 20140182325 A KR20140182325 A KR 20140182325A KR 20150091218 A KR20150091218 A KR 20150091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ink member
frame
link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8256B1 (ko
Inventor
린타로 이누이
마사타카 아사다
Original Assignee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88634A external-priority patent/JP6552173B2/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1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2Use of special optical filters, e.g. multiple layers, filters for protection against laser light or light from nuclear explosions, screens with different filter properties on different parts of the screen; Rotating slit-dis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8Ventilat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고글은 프레임(1)의 양측단 근처의 상하벽에 각각 링크부재(2)의 상하단을 축 지지하고, 상기 링크부재(2)에 렌즈(3)의 측단(3a)을 각각 부착하며, 상기 렌즈(3)의 주위를 상기 프레임(1)의 주위에 접촉되도록 하며, 상기 링크부재(2)를 각각 조작부재(4)에 의해 회동조작함으로써, 상기 렌즈(3)를 프레임(1)으로부터 돌출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렌즈의 강도가 저하되지 않고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 되고, 또한 시계가 방해받지 않고 시인성이 우수한 것이 되며, 프레임내의 환기가 불충분해지지 않고 충분한 김서리 방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글{GOGGLES}
본 발명은 스키, 그 밖의 스포츠를 하거나 오토바이 운전을 하거나, 또는 공장, 건축, 토목 등의 현장에서 각종 작업을 할 때 착용하는 고글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고글을 착용하여 스키를 하고 있을 때나 오토바이 운전을 하고 있을 때에 렌즈에 김이 서리는 경우가 있다. 이 렌즈에 김이 서리는 원인은 착용자가 땀이 나면, 안면에 가까운 고글내의 공기의 습도가 상승하기 때문이다. 또한, 극한 조건하에서는 저온의 렌즈의 내표면에 응축이 발생하여 김이 서리는 경우가 있다.
종래의 고글에는 이와 같은 렌즈의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해, 렌즈 자체에 통기 구멍을 설치한 것이나, 렌즈를 유지하는 프레임에 통기구멍을 설치한 것이다.
렌즈 자체에 통기구멍을 설치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31905호(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에 끼워 넣은 렌즈에 비교적 큰 통기구멍을 설치하고, 이 통기구멍을 덮도록 피복부재를 그 렌즈의 표면에 착탈 자유롭에 부착한 것으로 하며, 피복부재에는 부착상태에서 통기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을 필터로 덮고 있다.
또한, 렌즈를 유지하는 프레임에 통기구멍을 설치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31809호 공보(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내주부에 설치된 홈에 착탈 자유롭게 끼워넣어지는 렌즈를 구비하고, 프레임의 상하벽에 벤틸레이션용의 복수의 통기구멍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프레임의 홈을 구성하는 전후벽에, 대향하는 통기용 개구를 설치한다.
또한, 종래의 고글에는 이와 같은 렌즈의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해, 렌즈에 김서림 방지 코팅을 실시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 김서림 방지 코팅만으로는 충분하다고 할 수 없고, 또한 스크래치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렌즈를 통하여 보는 시계가 방해받는 경우가 있다. 특히, 사용자가 고글 내면에 발생한 김서림을 닦을 때 얇은 김서림 방지 코팅이 긁혀 스크래치가 생긴다거나 박리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2매의 렌즈를 사용하여 김서림 방지성을 확보하고, 또한 김서림 방지 코팅에 스크래치가 생기거나 김서림 방지 코팅이 박리되지 않도록 한 고글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54571호(특허문헌 3)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49281호(특허문헌 4)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부 렌즈와 내부 렌즈를 평행으로 하여 프레임에 끼워넣고, 외부 렌즈, 내부 렌즈 상호의 둘레 가장자리 또는 그 근방을 전둘레 시일(seal)하고, 외부렌즈, 내부렌즈 상호간에 공실을 설치하고, 이 공실을 구성하는 외부 렌즈의 후면측과 내부렌즈의 전면측 중 적어도 한쪽에 무기막을 설치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고글에서는 렌즈 자체에 통기구멍을 설치하므로, 렌즈의 강도가 저하되어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과제를 갖고 있고, 또한 통기구멍을 피복부재로 덮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 피복부재에 의해 시계가 방해받는다는 과제를 갖는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고글에서는 프레임을 크게 하지 않고 넓은 시계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벤틸레이션부로부터의 공기의 유입량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통기용 개구의 면적이 좁고, 프레임내의 환기가 아직 불충분하며, 충분한 김서림 방지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3, 4에 기재된 고글에서도 김서림 방지 코팅에 의한 렌즈의 김서림 방지만으로는 충분한 김서림 방지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4에 기재된 고글에서는 충분한 김서림 방지성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스키장에서의 사용이나, 공장, 건축, 토목 등의 현장에서의 각종 작업 중의 사용에서 고글을 일단, 얼굴에서 벗을 필요가 있는 경우도 종종 있다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렌즈의 강도가 저하되지 않고 내구성이 우수하고, 또한 시계가 방해받지 않고 시인성이 우수하며, 프레임내의 환기가 불충분해지지 않고 충분한 김서림 방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고글은 프레임의 양측단 근처의 상하벽에, 각각 링크 부재의 상하단을 축 지지하고, 상기 링크부재에 렌즈의 측단을 각각 부착하고, 상기 렌즈의 주위를 상기 프레임의 주위에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링크 부재를 각각 조작부재에 의해 회동 조작함으로써, 상기 렌즈를 프레임으로부터 돌출시키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고글에서, 상기 링크 부재는 상부체와 하부체와 중간체로 이루어진 대략 "コ"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링크부재의 상부체를 프레임에 축 지지하고, 링크 부재의 하부체를 프레임에 축 지지하며, 또한 상기 링크 부재의 하부체에 조작부재를 고정 부착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고글에서, 상기 렌즈는 양측단에 걸림부착부재를 설치하고, 이 걸림부착부재에 의해 상기 링크 부재의 중간체에 렌즈의 양측단을 각각 착탈 자유롭게 부착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고글에서, 상기 링크부재의 중간체는 상부체의 하단에 설치한 지지축을, 렌즈의 걸림부착부재의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홈을 상단에 설치한 통체가 스프링으로 상부체를 향하여 밀어올려지도록 하여 이 통체에 관통시키고, 상기 지지축의 하단을 링크부재의 하부체에 설치한 지지구멍에 끼워넣는 것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고글에서, 상기 링크 부재는 중간체의 상단에 렌즈의 걸림부착부재의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홈을 설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고글에서, 상기 링크부재는 단척의 상부체와 장척의 하부체로 이루어진 대략 "く" 자 형으로 형성되고, 링크부재의 상부체를 프레임에 축지지하고, 링크부재의 하부체를 프레임에 축 지지하며, 또한 상기 링크부재의 하부체에 조작부재를 고정 부착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고글에서, 상기 렌즈는 양측단에 걸림부착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착부재에 의해 상기 링크부재의 하부체에 렌즈의 양측단이 각각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고글에서, 상기 링크부재는 하부체의 상단 및 하단에 렌즈의 걸림부착부재의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홈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고글에서, 상기 조작부재는 단편(短片)형상의 레버로 하고 있고, 상기 조작부재의 회동에 따라서 상기 링크부재가 회동되도록 하며, 상기 링크부재에 부착된 렌즈가 평행한 상태에서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고글에서, 상기 조작부재는 단편형상의 레버로 하고 있고, 상기 조작부재의 회동에 수반하여 상기 링크부재가 회동하도록 하며, 상기 링크부재에 부착된 렌즈가 경사진 상태에서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고글에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부체와 하부체와 중간체로 이루어진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한 레버로 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회동에 따라서 상기 링크부재가 회동하도록 하고, 상기 링크부재에 부착된 렌즈가 평행한 상태에서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고글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렌즈의 강도가 저하되지 않고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 되며, 또한 시계가 방해받지 않고 시인성이 우수한 것이 되고 프레임내의 환기가 불충분해지지 않고 충분한 김서림 방지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고글은 프레임내의 환기를 간단한 조작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 되고 스키, 그 밖의 스포츠를 하고 있는 중간이나 오토바이 운전을 하고 있는 중간, 더욱이 공장, 건축, 토목 등의 현상에서의 각종 작업 중에, 방한용이나 안전용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그 환기의 조작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고글은 스키장에서의 사용에서 종래의 고글에서는 김서림 방지성이 충분하지 않아, 고글을 일단 얼굴로부터 벗을 필요가 있는 경우도 종종 있었지만, 그 필요도 없어지고, 눈부심이나 자외선으로부터의 눈의 보호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고글은 공장, 건축, 토목 등의 현장에서의 각종 작업중에서도 고글을 벗을 필요가 없으므로, 지속적인 시계의 확보, 눈의 보호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 되어, 작업안전면에서도 유익한 것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고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고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고글의 렌즈를 전방으로 돌출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상태의 본 발명의 고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상태의 본 발명의 고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고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고글에서의 렌즈 및 프레임의 각각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고글에서의 조작부재를 고정 부착한 링크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고글에서의 링크부재, 조작부재 및 렌즈의 걸림부착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고글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 중의 A평면에 의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고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고글에서의 렌즈의 전방으로의 돌출조작을 대각선 방향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고글에서의 조작부재를 회동 조작한 경우의 링크부재의 회동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4a 및 1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고글에서의 링크부재와 렌즈의 걸림부착부재와의 착탈조작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고글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고글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고글의 렌즈를 전방으로 돌출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상태의 본 발명의 고글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한 상태의 본 발명의 고글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고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고글에서의 렌즈 및 프레임의 각각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2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고글에서의 조작부재를 고정 부착한 링크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고글에서의 링크부재, 조작부재 및 렌즈의 걸림부착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고글에서의 링크부재와 렌즈의 걸림부착부재의 착탈조작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고글에서의 링크부재와 렌즈의 걸림부착부재의 착탈조작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6a 및 도 2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고글에서의 조작부재를 회동 동작한 경우의 링크부재의 회동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고글에서의 렌즈를 전방으로 돌출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고글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 중의 B평면에 의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고글의 개략 단면도에 도시된 링크부재에 렌즈의 착탈 부재를 부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고글에서의 렌즈의 걸림부착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고글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고글의 평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고글의 렌즈를 전방으로 돌출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3에 도시한 상태의 본 발명의 고글의 평면도이다.
도 35는 도 33에 도시한 상태의 본 발명의 고글의 측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고글에서의 렌즈부와 프레임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고글에서의 렌즈부 및 프레임부의 각각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고글에서의 링크부재, 조작레버 및 렌즈의 걸림부착부재 각각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고글에서의 링크부재, 조작레버 및 렌즈의 걸림부착부재 각각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고글의 일측단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1a 및 도 41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고글에서의 렌즈부의 전방으로의 돌출조작을 대각선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2a 및 도 42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고글에서의 렌즈부의 전방으로의 돌출 조작을 바로 위에서 본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고글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14는 본 발명의 고글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15 ~ 도 26은 본 발명의 고글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도 27 ~ 도 30은 본 발명의 고글의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도 31 ~ 도 42는 본 발명의 고글의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고글은 어떤 실시형태에서도 프레임(1)의 양측단 근처의 상하벽에, 각각 링크부재(2)의 상하단을 축 지지하고, 상기 링크부재(2)에 렌즈(3)의 측단(3a)을 각각 부착하며, 이 렌즈(3)의 주위를 상기 프레임(1)의 주위에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링크부재(2)를 각각 조작부재(4)에 의해 회동 조작함으로써 상기 렌즈(3)를 프레임(1)으로부터 돌출시키도록 하고 있다.
우선, 도 1 ~ 도 14에 도시한 본 발명의 고글에서, 상기 프레임(1)은 전방 프레임(1a)과 후방 프레임(1b)으로 이루어지고, 전방 프레임(1a)을 후방 프레임(1b)에 끼워 넣은 것으로 하고 있다.
전방 프레임(1a)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부의 주위에 렌즈(3)의 접촉홈(5)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접촉홈(5)에 렌즈(3)의 주위가 접촉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전방 프레임(1a)에는 양측단 근처의 상벽에 축지지부(6)가 설치되고, 양측단 근처의 하벽에 축구멍(7)이 설치되어 있다.
후방 프레임(1b)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단의 외측에 장착 벨트(B)의 통과구멍(S)이 설치되고, 양측단 근처의 상하벽에 축구멍(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방 프레임(1b)의 상하벽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성의 커버(Ca)로 덮은 벤틸레이션용의 복수의 통과구멍(H)이 설치되어 있고, 후방 프레임(1b)의 후벽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착용자의 안면과의 밀접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진 쿠션(Cu)이 부착되어 있다.
링크부재(2)는 각각 도 8 ~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체(2a)와 하부체(2b)와 중간체(2c)로부터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하고 있고, 상부체(2a)의 상단에는 지지구멍(11)을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구멍(11)과 후방 프레임(1b)의 축구멍(8)을 일치시키고, 이들 구멍에 전방 프레임(1a)의 축 지지부(6)를 축지지시킴으로써, 링크부재(2)의 상부체(2a)를 프레임(1)에 축 지지하고 있다. 상기 링크부재(2)의 하부체(2b)의 하단부에는 끼워맞춤돌기(12)를 설치하여, 전방 프레임(1a)의 축구멍(7)과 후방프레임(1b)의 축구멍(8)을 일치시키고, 이들 구멍에 끼워맞춤돌기(12)를 관통시키고 또한, 후술하는 조작부재(4)의 일단에 설치한 끼워맞춤구멍(41)에 끼워맞춤돌기(12)를 끼워맞춤 고정핀(P)으로 고정하고, 링크부재(2)의 하부체(2b)를 프레임(1)에 축 지지하고, 또한 상기 링크부재(2)의 하부체(2b)에 조작부재(4)를 고정 부착하고 있다.
상기 링크부재(2)의 중간체(2c)는 상부체(2a)의 하단에 설치한 지지축(13)을, 후술하는 렌즈(3)의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부(33)의 걸어맞춤홈(14)을 상단에 설치한 통체(15)가 스프링(16)으로 상부체(2a)를 향하여 밀어올려지도록 하여 상기 통체(15)에 관통시키고, 상기 지지축(13)의 하단을 링크부재(2)의 하부체(2b)에 설치한 지지구멍(17)에 삽입한 것으로 하고 있다.
렌즈(3)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단(3a)에 걸림부착부재(31)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걸림부착부재(31)에 의해 상기 링크부재(2)의 중간체(2c)에 렌즈(3)의 양측단(3a)을 각각 착탈 자유롭게 부착하고 있다. 걸림부착부재(31)는 상하단에 렌즈(3)의 삽입편(32)을 설치하고, 중간부에 링크부재(2)와의 걸어맞춤부(33), 및 렌즈(3)와의 걸어맞춤부(34)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걸림부착부재(31)의 삽입편(32)을 렌즈(3)의 양측단(3a)에 끼워넣고 또한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부(33)를 렌즈(3)의 양측단(3a)에 설치한 걸어맞춤홈(35)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걸어맞춤홈(35)에 걸어맞추고, 상기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부(34)를 상기 렌즈(3)의 양측단(3a)에 설치한 걸어맞춤구멍(36)에 걸어맞추고 있다. 한편,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부(33)를, 링크부재(2)의 통체(5)의 걸어맞춤홈(14)에 착탈 자유롭에 걸어맞추어 부착하고 있다. 또한, 상기 렌즈(3)는 1매인 것으로 하거나 2매를 접합시킨 것으로 하거나, 구면 렌즈, 원통렌즈, 자유곡면렌즈로 할 수 있고, 렌즈의 형상이나 종류는 문제없다.
조작부재(4)는 각각 도 6 ~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편형상의 레버로 하고 있고, 일단에 상기 끼워맞춤구멍(41)을 설치하고 있고, 타단에 손가락 걸이부(42)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 조작부재(4)의 손가락 걸이부(42)에 손가락을 걸어 전방으로 회동함으로써, 이 회동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2)가 회동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2)가 회동함으로써 도 3 ~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2)에 부착된 렌즈(3)가 평행한 상태에서 프레임(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도 15 ~ 도 26에 도시한 본 발명의 고글에서 상기 프레임(1)은 제1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게, 전방 프레임(1a)과 후방 프레임(1b)으로 이루어지고, 전방 프레임(1a)을 후방 프레임(1b)에 끼워 넣은 것으로 하고 있다.
전방 프레임(1a)에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부의 주위에 렌즈(3)의 접촉홈(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접촉홈(5)에 렌즈(3)의 주위가 접촉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a)에는 양측단 근처의 상벽에 축 지지부(6)가 설치되고, 양측단 근처의 하벽에 축구멍(7)이 설치되어 있다.
후방 프레임(1b)에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단의 외측에 장착벨트(B)의 통과구멍(S)이 설치되고, 양측단 근처의 상하벽에 축구멍(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방 프레임(1b)의 상하벽에는 도 16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통기성의 커버(Ca)로 덮은 벤틸레이션용의 복수의 통과구멍(H)이 설치되어 있고, 후방 프레임(1b)의 후벽에는 도 16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착용자의 안면과의 밀접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진 쿠션(Cu)이 부착되어 있다.
링크부재(2)의 한쪽은 제1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 제1 실시형태의 도 8 ~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체(2a)와 하부체(2b)와 중간체(2c)로부터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하고 있고, 상부체(2a)의 상단에는 지지구멍(11)을 설치하고 있고, 상기 지지구멍(11)과 후방 프레임(1b)의 축구멍(8)을 일치시키고, 이들 구멍에 전방 프레임(1a)의 축 지지부(6)를 축지지시킴으로써 링크부재(2)의 상부체(2a)를 프레임(1)에 축 지지하고 있다. 상기 링크부재(2)의 하부체(2b)의 하단에는 끼워맞춤돌기(12)를 설치하고 있고, 전방 프레임(1a)의 축구멍(7)과 후방 프레임(1b)의 축구멍(8)을 일치시키고, 이들 구멍에 끼워맞춤돌기(12)를 관통시키고 또한 후술하는 조작부재(4)의 일단에 설치한 끼워맞춤구멍(41)에 끼워맞춤돌기(12)를 끼워맞춤 고정핀(P)으로 고정하고, 링크부재(2)의 하부체(2b)를 프레임(1)에 축 지지하고 또한, 상기 링크부재(2)의 하부체(2b)에 조작부재(4)를 고정 부착하고 있다.
상기 링크부재(2)의 중간체(2c)는 상부체(2a)의 하단에 설치한 지지축(13)을, 후술하는 렌즈(3)의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부(33)의 걸어맞춤홈(14)을 상단에 설치한 통체(15)가 패널(16)에서 상부체(2a)를 향하여 밀어올려지도록 하ㅇ여 이 통체(15)에 관통시키고, 상기 지지축(13)의 하단을 링크부재(2)의 하부체(2b)에 설치한 지지구멍(17)에 끼워넣은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2)의 한쪽은, 후술하는 링크부재(2) 중 다른 한쪽과 동일하게 구성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링크부재(2)의 다른 한쪽은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체(2a)와 하부체(2b)와 중간체(2c)로부터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하고 있고, 상부체(2a)의 상단에는 지지구멍(11)을 설치하고 있고, 상기 지지구멍(11)과 후방 프레임(1b)의 축구멍(8)을 일치시키고, 이들 구멍에 전방 프레임(1a)의 축 지지부(6)를 축지지시킴으로써, 링크부재(2)의 상부체(2a)를 프레임(1)에 축 지지하고 있다. 상기 링크부재(2)의 하부체(2b)의 하단에는 끼워맞춤 돌기(12)를 설치하고 있고, 전방 프레임(1a)의 축구멍(7)과 후방 프레임(1b)의 축구멍(8)을 일치시키고, 이들의 구멍에 끼워맞춤돌기(12)를 관통시키고 또한 후술하는 조작부재(4)의 일단에 설치한 끼워맞춤구멍(41)에 끼워맞춤돌기(12)를 끼워맞춤 고정핀(P)으로 고정하여, 링크부재(2)의 하부체(2b)를 프레임(1)에 축지지하고 또한 상기 링크부재(2)의 하부체(2b)에 조작부재(4)를 고정 부착하고 있다.
상기 링크부재(2)는 중간체(2c)의 상단에, 후술하는 렌즈(3)의 걸어맞춤부재(31)의 걸어맞춤부(33)의 걸어맞춤홈(14)을 설치하고 있다.
렌즈(3)는 제1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단(3a)에 걸림부착부재(31)를 설치하고 있고, 이 걸림부착부재(31)에 의해 상기 링크부재(2)의 중간체(2c)에 렌즈(3)의 양측단(3a)을 각각 착탈 자유롭게 부착하고 있다. 걸림부착부재(31)는 상하단에 렌즈(3)의 삽입편(32)을 설치하고, 중간부에 링크부재(2)와의 걸어맞춤부(33) 및 렌즈(3)와의 걸어맞춤부(34)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착부재(31)의 삽입편(32)을 렌즈(3)의 양측단(3a)에 끼워넣고, 또한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부(33)를 렌즈(3)의 양측단(3a)에 설치한 걸어맞춤홈(35)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걸어맞춤홈(35)에 걸어맞추고, 상기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부(34)를 상기 렌즈(3)의 양측단(3a)에 설치한 걸어맞춤구멍(36)에 걸어맞추고 있다. 한편,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부(33)를 링크부재(2)의 걸어맞춤홈(14)에 착탈 자유롭게 걸어맞추어 부착하고 있다.
조작부재(4)는 제1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각각 도 20 ~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편형상의 레버로 하고 있고, 일단에 상기 걸어맞춤구멍(41)을 설치하고 있으며, 타단에 손가락 걸이부(42)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부재(4)의 손가락 걸이부(42)에 손가락을 걸어 전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이 회동에 수반하여 상기 링크부재(2)가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2)가 회동함으로써 도 17~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2)에 부착된 렌즈(3)가 평행한 상태에서 프레임(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27 ~ 도 30에 도시한 본 발명의 고글에서 상기 프레임(1)은 제1, 제2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고, 전방 프레임(1a)과 후방 프레임(1b)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전방 프레임(1a) 및 후방 프레임(1b)도 제1, 제2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링크부재(2)는 각각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척의 상부체(2d)와 장척의 하부체(2e)로부터 대략 "く"자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하고 있고, 상부체(2d)의 상단에는 지지구멍(11)을 설치하고 있고, 상기 지지구멍(11)과 후방 프레임(1b)의 축구멍(8)을 일치키시고, 이들 구멍에 전방 프레임(1a)의 축지지부(6)를 축지지시킴으로써, 링크부재(2)의 상부체(2d)를 프레임(1)에 축지지하고 있다. 상기 링크부재(2)의 하부체(2e)의 하단에는 끼워맞춤돌기(12)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프레임(1a)의 축구멍(7)과 후방 프레임(1b)의 축구멍(8)을 일치시키고, 이들의 구멍에 끼워맞춤돌기(12)를 관통시키고, 또한 후술하는 조작부재(4)의 일단에 설치한 끼워맞춤구멍(41)에 끼워맞춤돌기(12)를 끼워맞춤 고정핀(P)으로 고정하고, 링크부재(2)의 하부체(2e)를 프레임(1)에 축 지지하고 또한 상기 링크부재(2)의 하부체(2e)에 조작부재(4)를 고정 부착하고 있다.
상기 링크부재(2)는 하부체(2e)의 상단 및 하단에, 후술하는 렌즈(3)의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부(33)의 걸어맞춤홈(14)를 설치하고 있다.
렌즈(3)는 제1, 제2 실시형태의 것과 유사하게, 양측단(3a)에 걸림부착부재(31)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걸림부착부재(31)에 의해 상기 링크부재(2)의 하부체(2e)에 렌즈(3)의 양측단(3a)을 각각 착탈 자유롭게 부착하고 있다. 걸림부착부재(31)는 상단에 렌즈(3)의 삽입편(32)을 설치하고, 상하단에 링크부재(2)와의 걸어맞춤부(33)를 설치하고, 중간부에 렌즈(3)와의 걸어맞춤부(34)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착부재(31)의 삽입편(32)을 렌즈(3)의 양측단(3a)에 끼워넣고,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부(33)를 렌즈(3)의 양측단(3a)에 설치한 걸어맞춤홈(도 7 및 도 21에 도시한 걸어맞춤홈(35)에 상당)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걸어맞춤홈에 걸어맞추고, 상기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부(34)를 상기 렌즈(3)의 양측단(3a)에 설치한 걸어맞춤구멍(도 7 및 도 21에 도시한 걸어맞춤구멍(36)에 상당)에 걸어맞추고 있다. 한편,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부(33)를 링크부재(2)의 걸어맞춤홈(14)에 착탈 자유롭게 걸어맞추어 부착하고 있다.
조작부재(4)는 단편형상의 레버로 하고 있고, 제1, 제2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게, 각각 일단에 상기 걸어맞춤구멍(41)을 설치하고 있고, 타단에 손가락 걸이부(42)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 조작부재(4)의 손가락 걸이부(42)에 손가락을 걸어 전방으로 회동함으로써, 이 회동에 수반하여 상기 링크부재(2)가 회동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2)가 회동함으로써,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2)에 부착된 렌즈(3)가 경사진 상태에서, 프레임(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31 ~ 도 42에 도시한 본 발명의 고글에서 상기 프레임(1)은 전방 프레임(1a)과 후방 프레임(1b)으로 이루어지고, 전방 프레임(1a)을 후방 프레임(1b)에 끼워 넣은 것으로 하고 있다.
전방 프레임(1a)에는 도 36 및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부의 주위에 렌즈(3)의 접촉홈(5)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접촉홈(5)의 렌즈(3)의 주위가 접촉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전방 프레임(1a)에는 양측단 근처의 상하벽에 축구멍(7)이 각각 설치되고, 또한 양측단의 상하벽에는 장착 벨트(B)의 지지봉(R)을 축 지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축구멍(7)은 대략 반원형상의 작은 구멍(7a)과 대략 반원형의 큰 구멍(7b)을 서로 연결시킨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후방 프레임(1b)에는 도 36 및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단 근처의 상하벽에 상기 축구멍(7)에 일치하는 위치에 축구멍(8)이 각각 설치되고, 또한 양측단의 상하에는 상기 지지봉(R)의 축구멍(9)을 설치한 지지편(1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방 프레임(1b)의 상하벽에는 도 32 및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통기성 커버(Ca)로 덮은 벤틸레이션용의 복수의 통과구멍(H)이 설치되어 있고, 후방 프레임(1b)의 후벽에는 도 32 및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착용자의 안면과의 밀착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진 쿠션(Cu)이 부착되어 있다.
링크부재(2)는 각각 도 38 ~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체(2a)와 하부체(2b)와 중간체(2c)로부터 대략 "コ" 자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하고 있다. 상부체(2a) 및 하부체(2b)에는 각각 끼워맞춤홈(19)을 설치한 지지돌기(20)를 설치하고 있고, 이들 지지돌기(20)를 전방 프레임(1a) 및 후방 프레임(1b)의 축구멍(7, 8)에 관통시키고, 후술하는 조작부재(4)의 끼워맞춤부(43)를 상기 끼워맞춤홈(19)에 끼워넣어 고정 부착함으로써 링크부재(2)의 상하부체(2a, 2b)를 프레임(1)에 축 지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끼워맞춤홈(19)은 원형홈(19a)에 작은 직사각형홈(19b)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2)의 중간체(2c)에는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동(21)을 설치하고 있고, 상기 공동(21)의 상하벽간에 걸어맞춤축(22)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2)는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체(2c)에 설치한 공동(21)의 상하벽에 각각 끼워맞춤돌기(23)를 설치한 것으로 해도 좋다.
렌즈(3)는 도 36 및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단(3a)에 걸림부착부재(31)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걸림부착부재(31)에 의해 상기 링크부재(2)의 중간체(2c)에 렌즈(3)의 양측단(3a)을 각각 착탈 자유롭게 부착하고 있다. 걸림부착부재(31)는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단에 렌즈(3)의 양측단(3a)에 설치한 걸어맞춤구멍(36)과의 걸어맞춤부(34)를 설치하고, 중간부에 링크부재(2)의 걸어맞춤축(22)과의 걸어맞춤부(37)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부(34)를 렌즈(3)의 걸어맞춤구멍(36)에 걸어맞추고 또한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부(37)를 렌즈(3)의 양측단(3a)에 설치한 걸어맞춤홈(35)으로부터 돌출시키도록 하고, 상기 걸어맞춤홈(35)에 걸어맞추게 하고 있다. 한편,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부(37)를 링크부재(2)의 걸어맞춤축(22)에 착탈 자유롭게 걸어맞추어 부착하고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착부재(31)는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단에 렌즈(3)의 삽입홈(38)을 설치하고, 상하단에 걸어맞춤구멍(39)을 설치한 것으로 해도 좋다.
조작부재(4)는 각각 도 38 ~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체(4a)와 하부체(4b)와 중간체(4c)로부터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한 레버로 하고 있고, 상하부체(4a, 4b)에 상기 끼워맞춤부(43)를 돌출시켜 설치하고 있고, 중간체(4c)에 손가락 걸기부(42)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걸어맞춤부(43)는 단면을, 전방 프레임(1a)에 설치한 축구멍(7)의 작은 구멍(7a)과 동일한 직경으로 한 원형축(43a)에 작은 직사각형 축(43b)을 서로 연결한 상기 끼워맞춤홈(19)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 조작부재(4)의 손가락 걸이부(42)에 손가락을 걸어 전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회동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2)가 회동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링크부재(2)가 회동함으로써, 도 33~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2)에 부착된 렌즈(3)가 평행한 상태에서 프레임(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고글을 착용하고, 스키를 하거나 오토바이 운전을 하고 있을 때, 또는 공장, 건축, 토목 등의 현장에서의 각종 작업을 하고 있을 때, 렌즈에 김이 서린 경우에는 이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재를 회동 조작하면 좋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고글에서는 각각의 조작부재(4)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상태(도 12a 및 도 13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12b 및 도 13b에 도시한 상태)가 될 때까지 회동 조작하면 좋다. 이들 조작부재(4)의 회동조작에 의해,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한 각각의 링크부재(2)도 회동하므로, 이들의 링크부재(2)에 걸림부착부재(31)에 의해 부착된 렌즈(3)가 평행한 상태에서 프레임(1)으로부터 돌출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고글에서는 상기 렌즈(3)와 프레임(1)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이 간극으로부터 외기가 들어와 순환하여, 프레임(1) 내가 환기되므로 렌즈(3)의 김서림은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고글에서는 각각의 링크부재(2)의 상부체(2a)를 향하여 스프링(16)에 의해 밀어올려진 통체(15)를, 상기 도 12b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14a에 도시한 상태가 될 때까지 밀어내리면, 렌즈(3)의 양측단(3a)에 설치된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부(33)를,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체(15)의 걸어맞춤홈(15)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렌즈(3)를 각각의 링크부재(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3)를 각각의 링크부재(2)에 부착하는 데에는 반대로 도 14b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14a에 도시한 상태로 하고, 통체(15)를 도 12b의 상태로 되돌리면 된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고글에서는 사용중의 렌즈(3)가 손상된 경우나, 렌즈(3)의 색채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 등에도, 그 렌즈(3)를 다른 렌즈로 간단히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고글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렌즈(3)를 각각의 링크부재(2)로부터 분리하거나 부착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상태에서 확실하게 렌즈를 교환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고글에서는 각각의 조작부재(4)를,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상태(상기 제1 실시형태의 도 12a 및 도 13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12b 및 도 13b에 도시한 상태, 및 도 26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26b에 도시한 상태를 참조)가 될 때까지 회동 조작하면 좋다. 이들의 조작부재(4)의 회동조작에 의해,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한 각각의 링크부재(2)도 회동하므로, 이들 링크부재(2)에 걸림부착부재(31)에 의해 부착된 렌즈(3)가 평행한 상태에서 프레임(1)으로부터 돌출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고글에서는 상기 렌즈(3)와 프레임(1) 사이에 간극이 있고, 이 간극으로부터 외기가 들어와 순환하고, 프레임(1) 내가 환기되므로 렌즈(3)의 김서림은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고글에서는 한쪽의 링크부재(2)의 상부체(2a)를 향하여 스프링(16)에 의해 밀어올려진 통체(15)를 밀어내리면(상기 제1 실시형태의 도 12b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14a에 도시한 상태를 참조), 렌즈(3)의 일측단(3a)에 설치된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부(33)를,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체(15)의 걸어맞춤홈(14)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렌즈(3)의 일측단(3a)을 한쪽의 링크부재(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한쪽의 링크부재(2)의 중간체(2c)에 설치된 걸어맞춤홈(14)으로부터 렌즈(3)의 다른 일측단(3a)에 설치된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부(33)를 빼내면,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어맞춤홈(14)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렌즈(3)의 다른 일측단(3a)을 다른 한쪽의 링크부재(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2)의 일측단(3a)을 한쪽의 링크부재(2)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그 분리된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상기 제1 실시형태의 도 14b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14a에 도시한 상태, 도 12b의 상태를 참조)로 되돌리면 좋고, 상기 렌즈(3)의 다른 일측단(3a)을 다른 한쪽의 링크부재(2)에 부착하는 것은 그 빼낸 상태로부터 끼워넣으면 원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고글에서는 사용중에 렌즈(3)가 손상된 경우나, 렌즈(3)의 색채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 등에도 그 렌즈(3)를 다른 렌즈로 간단히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고글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렌즈(3)의 다른 일측단(3a)을 다른 한쪽의 링크부재(2)로부터 빼는 것만으로 분리할 수 있고, 또한 렌즈(3)의 다른 일측단(3a)을 다른 한쪽의 링크부재(2)에 끼워넣는 것만으로 부착할 수 있으므로, 제1 실시형태의 고글에 비해, 렌즈교환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고글에서 상기 링크부재(2)의 한쪽을, 링크부재(2)의 다른 한쪽과 동일하게 구성했으므로, 렌즈(3)의 양측단(3a)을 각각의 링크부재(2)로부터 빼는 것만으로 분리할 수 있고, 또한 렌즈(3)의 양측단(3a)을 각각의 링크부재(2)에 끼워넣는 것으로 부착할 수 있으므로, 제1 실시형태의 고글에 비하여 렌즈교환을 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고글에서는 각각의 조작부재(4)를 도 27에 도시한 상태가 되도록 회동 조작하면 좋다. 이들의 조작부재(4)의 회동조작에 의해 대략 "く"자 형상으로 형성한 각각의 링크부재(2)도 회동하므로, 이들의 링크부재(2)에 걸림부착부재(31)에 의해 부착된 렌즈(3)가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프레임(1)로부터 돌출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고글에서는 상기 렌즈(3)와 프레임(1)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상기 간극으로부터 외기가 들어와 순환하고, 프레임(1) 내가 환기되므로, 렌즈(3)의 김서림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고글에서는 각각의 링크부재(2)의 걸어맞춤홈(14)으로부터 렌즈(3)의 양측단(3a)에 설치된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부(33)를 빼면,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걸어맞춤부(33)를 링크부재(2)의 걸어맞춤홈(14)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렌즈(3)를 각각의 링크부재(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3)를 각각의 링크부재(2)에 부착하는 데에는 각각의 링크부재(2)의 걸어맞춤홈(14)에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부(33)를 걸어맞추면 좋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고글에서는 사용 중에 렌즈(3)가 손상된 경우나, 렌즈(3)의 색채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 등에도, 그 렌즈(3)를 다른 렌즈로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고글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렌즈(3)의 양측단(3a)을 각각의 링크부재(2)로부터 빼는 것만으로 분리할 수 있고, 렌즈(3)의 양측단(3a)을 각각의 링크부재(2)에 끼워넣는 것만으로 부착할 수 있으므로 제1, 제2 실시형태의 고글에 비하여 렌즈교환을 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고글에서는 각각의 조작부재(4)를, 도 41a 및 도 42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41(b) 및 도 42(b)에 도시한 상태가 될 때까지 회동조작하면 좋다. 이들의 조작부재(4)의 회동조작에 의해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한 각각의 링크부재(2)도 회동하므로, 이들 링크부재(2)에 걸림부착부재(31)에 의해 부착된 렌즈(3)가 평행한 상태에서 프레임(1)으로부터 돌출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고글에서는 상기 렌즈(3)와 프레임(1)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이 간극으로부터 외기가 들어와 순환하고, 프레임(1)내가 환기되므로, 렌즈(3)의 김서림은 방지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재(4)의 회동각(α)은, 이들 조작부재(4)의 직사각형 축(43b)이 상기 프레임(1a)에 설치된 축구멍(7)의 큰 구멍(7b) 내에서 회동하게 되어, 도 4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 50도로 제한하고, 이들 조작부재(4)가 너무 회동하여 렌즈(3)의 전방까지 회동하지 않도록 하여, 착용자의 시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고글에서는 링크부재(2)의 걸어맞춤축(22)을 렌즈(3)의 양측단(3a)에 설치된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부(37)로부터 분리하거나, 링크부재(2)의 걸어맞춤돌기를 렌즈(3)의 양측단(3a)에 설치된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구멍(39)으로부터 빼면, 도 36 ~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3)를 각각의 링크부재(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3)를 각각의 링크부재(2)에 부착하는 데에는, 각각의 링크부재(2)의 걸어맞춤축(22)에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부(37)를 걸어맞추거나, 각각의 링크부재(2)의 걸어맞춤돌기(23)를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구멍(39)에 끼워넣으면 된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고글에서는 사용중에 렌즈(3)가 손상된 경우나, 렌즈(3)의 색채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 등에도 그 렌즈(3)를 다른 렌즈로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고글에서도 상기한 바와 같이 렌즈(3)의 양측단(3a)을 각각의 링크부재(2)에 끼워넣는 것만으로 부착할 수 있으므로 제1, 제2 실시형태의 고글에 비하여 렌즈교환을 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글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3)의 강도가 저하되지 않고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 되며, 또한 착용자의 시계가 방해받지 않고 시인성이 우수한 것며, 프레임(1)내의 환기가 불충분해지지 않고 충분한 김서리 방지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고글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내의 환기를 간단한 조작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스키, 그 밖의 스포츠를 하고 있는 중간이나 오토바이 운전을 하고 있는 중간, 또한 공정, 건축, 토목 등의 현장에서의 각종 작업중에 방한용이나 안전용의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그 환기의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글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키장에서의 사용에서 종래의 고글에서는 김서림 방지성이 충분하지는 않아 고글을 일단 얼굴에서 벗을 필요가 있는 경우도 종종 있지만, 그 필요도 없어지고, 눈부심이나 자외선으로부터 눈의 보호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고글은 공장, 건축, 토목 등의 현장에서의 각종 작업 중에 고글을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지속적인 시계의 확보, 눈의 보호를 할 수 있어 작업안정면에서도 유익하다.
1: 프레임 2: 링크부재
2a: 상부체 2b: 하부체
2c: 중간체 2d: 상부체
2e: 하부체 3: 렌즈
3a: 측단 4: 조작부재
4a: 상부체 4b: 하부체
4c: 중간체 13: 지지축
14: 걸어맞춤홈 15: 통체
16: 스프링 17: 지지구멍
31: 걸림부착부재 33: 걸어맞춤부

Claims (11)

  1. 프레임(1)의 양측단 근처의 상하벽에, 각각의 링크부재(2)의 상하단을 축 지지하고, 상기 링크부재(2)에 렌즈(3)의 측단(3a)을 각각 부착하고, 상기 렌즈(3)의 주위를 상기 프레임(1)의 주위에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링크부재(2)를 각각 조작부재(4)에 의해 회동 조작함으로써 상기 렌즈(3)를 프레임(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한, 고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2)는 상부체(2a)와 하부체(2b)와 중간체(2c)로부터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링크부재(2)의 상부체(2a)를 프레임(1)에 축지지하고, 링크부재(2)의 하부체(2b)를 프레임(1)에 축 지지하며, 또한 이 링크부재(2)의 하부체(2b)에 조작부재(4)를 고정 부착하는, 고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3)는 양측단(3a)에 걸림부착부재(31)를 설치하고, 상기 걸림부착부재(31)에 의해 상기 링크부재(2)의 중간체(2c)에 렌즈(3)의 양측단(3a)을 각각 착탈 자유롭게 부착하는, 고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2)의 중간체(2c)는 상부체(2a)의 하단에 설치한 지지축(13)을, 렌즈(3)의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부(33)의 걸어맞춤홈(14)을 상단에 설치한 통체(15)가 스프링(16)으로 상부체(2a)를 향하여 밀러올리도록 하여 이 통체(15)에 관통시키고, 상기 지지축(13)의 하단을 링크부재(2)의 하부체(2b)에 설치한 지지구멍(17)에 끼워넣는, 고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2)는 중간체(2c)의 상단에 렌즈(3)의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부(33)의 걸어맞춤홈(14)을 설치하는, 고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2)는 단척의 상부체(2d)와 장척의 하부체(2e)로부터 대략 "く"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링크부재(2)의 상부체(2d)를 프레임(1)에 축지지하고, 링크부재(2)의 하부체(2e)를 프레임(1)에 축 지지하며, 또한 상기 링크부재(2)의 하부체(2e)에 조작부재(4)를 고정 부착하는, 고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3)는 양측단(3a)에 걸림부착부재(31)를 설치하고, 상기 걸림부착부재(31)에 의해 상기 링크부재(2)의 하부체(2e)에 렌즈(3)의 양측단(3a)을 각각 착탈 자유롭게 부착하는, 고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2)는 하부체(2e)의 상단 및 하단에 렌즈(3)의 걸림부착부재(31)의 걸어맞춤부(33)의 걸어맞춤홈(14)을 설치하는, 고글.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4)는 단편(短片)형상의 레버로 하고 있고, 상기 조작부재(4)의 회동에 수반하여 상기 링크부재(2)가 회동하도록 하며, 상기 링크부재(2)에 부착된 렌즈(3)가 평행한 상태에서 프레임(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고글.
  10.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4)는 단편형상의 레버로 하고 있고, 상기 조작부재(4)의 회동에 수반하여 상기 링크부재(2)가 회동하도록 하며, 상기 링크부재(2)에 부착된 렌즈(3)가 경사진 상태에서 프레임(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고글.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4)는 상부체(4a)와 하부체(4b)와 중간체(4c)로부터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한 레버로 하고 있고, 상기 조작부재(4)의 회동에 수반하여 상기 링크부재(2)가 회동하도록 하고, 상기 링크부재(2)에 부착된 렌즈(3)가 평행한 상태에서 프레임(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고글.
KR1020140182325A 2014-01-31 2014-12-17 고글 KR1022582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16888 2014-01-31
JP2014016888 2014-01-31
JP2014188634A JP6552173B2 (ja) 2014-01-31 2014-09-17 ゴーグル
JPJP-P-2014-188634 2014-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218A true KR20150091218A (ko) 2015-08-10
KR102258256B1 KR102258256B1 (ko) 2021-05-28

Family

ID=53730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325A KR102258256B1 (ko) 2014-01-31 2014-12-17 고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58256B1 (ko)
CN (1) CN1048202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6312686A1 (en) * 2015-08-26 2018-04-19 Alejandro A. Goebel Quintana Corrective lens apparatus and method
US20180280197A1 (en) * 2017-03-30 2018-10-04 Illinois Tool Works Inc. Head worn devices having a variable shade component and fixed shade component, and methods of operation
CN112932786B (zh) * 2021-02-02 2024-01-23 陈振林 一种全密封的护目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7175A1 (en) * 2001-04-30 2002-10-31 John Dondero Goggle for protecting eyes with a movable lens and methods for using the goggle
US20120255104A1 (en) * 2010-01-08 2012-10-11 Scott Sports Sa Face fit adjustment system
JP2013522694A (ja) * 2010-03-19 2013-06-13 オークリ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イウェア
JP2013162894A (ja) * 2012-02-10 2013-08-22 Yamamoto Kogaku Co Ltd 眼用保護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1907B2 (ja) * 2008-08-27 2012-11-14 山本光学株式会社 眼鏡
US9301879B2 (en) * 2011-10-18 2016-04-05 Abominable Labs, Llc Goggle with easily interchangeable lens that is adaptable for heating to prevent fogg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7175A1 (en) * 2001-04-30 2002-10-31 John Dondero Goggle for protecting eyes with a movable lens and methods for using the goggle
US20120255104A1 (en) * 2010-01-08 2012-10-11 Scott Sports Sa Face fit adjustment system
JP2013516251A (ja) * 2010-01-08 2013-05-13 スコット スポーツ エス エイ 顔へのフィット性調整システム
JP2013522694A (ja) * 2010-03-19 2013-06-13 オークリ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イウェア
JP2013162894A (ja) * 2012-02-10 2013-08-22 Yamamoto Kogaku Co Ltd 眼用保護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20297B (zh) 2019-04-23
KR102258256B1 (ko) 2021-05-28
CN104820297A (zh)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3288B2 (ja) 受動的通気及び取り外し可能なレンズを有する頭部装着支持体
JP4310649B2 (ja) 複合用途対応型眼鏡
US7648233B2 (en) Protective eyewear including auxiliary lenses
US6959988B1 (en) Eyewear having detachable lens retaining member
JP2010231119A (ja) 眼鏡型の画像表示装置
JP2001231809A (ja) ゴーグル
WO2003016984A3 (en) Sunglasses with removable sealing member
US9895266B2 (en) Goggle lens changing system
US7743432B2 (en) Goggle with interchangeable vent accessories
KR20150091218A (ko) 고글
JP2016515717A (ja) 眼鏡又はヘルメットバイザー用透視パネル
EP2252245A1 (en) Goggles with interchangeable lens, particularly for sports
US2840821A (en) Side shield attachment for goggles and spectacles
KR102498754B1 (ko) 안경다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안경다리의 탈부착이 가능한 아이웨어
US20060072065A1 (en) Eyecup for glasses
JP4827012B2 (ja) 眼鏡着脱式サングラス
JP2001033735A (ja) レンズ交換自在な眼鏡
JP6241508B2 (ja) ゴーグル
KR101436374B1 (ko) 헬멧 쉴드용 렌즈 조립체
US5818565A (en) Eyeglasses with sunshade
JP3173036U (ja) インナー枠付き跳ね上げ式サングラス
KR20180000582U (ko) 기능성 선그라스
KR200174219Y1 (ko) 안경
KR200404180Y1 (ko) 다용도 고글
KR20110004077U (ko) 렌즈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