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704A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704A
KR20150090704A KR1020140011640A KR20140011640A KR20150090704A KR 20150090704 A KR20150090704 A KR 20150090704A KR 1020140011640 A KR1020140011640 A KR 1020140011640A KR 20140011640 A KR20140011640 A KR 20140011640A KR 20150090704 A KR20150090704 A KR 20150090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base station
serving
period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8822B1 (ko
Inventor
김성훈
게르트 잔 반 리에샤우트
정경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1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822B1/ko
Priority to CN201580013175.9A priority patent/CN106105302B/zh
Priority to US15/115,481 priority patent/US10045243B2/en
Priority to PCT/KR2015/000977 priority patent/WO2015115835A1/ko
Publication of KR20150090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한 측정 결과 보고를 기반으로 서빙 셀 추가가 결정되면, 상기 단말이 위치한 피코 셀의 피코 기지국과 서빙 셀 추가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이 지시한 측정 대상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DATA USING A PLURALITY OF CARRIERS BY USER EQUIP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성을 확보하면서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음성 통신은 물론 고속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근래에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중 하나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 대한 규격 작업이 진행 중이다. 상기 LTE 시스템은 현재 제공되고 있는 데이터 전송률보다 높은 최대 100 Mbps 정도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고속 패킷 기반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며 현재 규격화가 거의 완료되었다.
최근 LTE 통신 시스템에 여러 가지 신기술을 접목해서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는 진화된 LTE 통신 시스템(LTE-Advanced, LTE-A)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상기 새롭게 도입될 기술 중 대표적인 기술로 캐리어 집적(CA: Carrier Aggregation)을 들 수 있다. 캐리어 집적이란 종래에 단말(terminal)이 하나의 다운링크 캐리어와 하나의 업 링크 캐리어만을 이용해서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것과 달리, 하나의 단말이 다수의 다운링크 캐리어와 다수의 업 링크 캐리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현재 LTE-A에서는 기지국 내 캐리어 집적(intra-ENB carrier aggregation)만 정의되어 있다. 이로 인해 현재 캐리어 집적 기능의 적용 가능성은 한계가 있어, 특히 다수의 피코(pico) 셀들과 하나의 매크로(macro) 셀을 중첩 운용하는 시나리오에서는 매크로 셀과 피코 셀을 집적하지 못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단말이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서빙 셀과 주변 셀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한 측정 결과 보고를 기반으로 서빙 셀 추가가 결정되면, 상기 단말이 위치한 피코 셀의 피코 기지국과 서빙 셀 추가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이 지시한 측정 대상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수신한 측정 결과 보고를 기반으로 서빙 셀의 추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셀의 추가를 결정한 경우, 상기 측정 결과 보고로부터 상기 단말이 위치한 피코 셀의 피코 기지국을 확인하고, 상기 피코 기지국에게 서빙 셀 추가 요청을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부터 서빙 셀 추가 요청에 대한 수락을 수신하면, 상기 피코 기지국과 상기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베어러 설정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한 측정 결과 보고를 기반으로 서빙 셀 추가가 결정되면, 상기 단말이 위치한 피코 셀의 피코 기지국과 서빙 셀 추가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서빙 기지국이 지시한 측정 대상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장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수신한 측정 결과 보고를 기반으로 서빙 셀의 추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서빙 셀의 추가를 결정한 경우, 상기 측정 결과 보고로부터 상기 단말이 위치한 피코 셀의 피코 기지국을 확인하고, 상기 피코 기지국에게 서빙 셀 추가 요청을 전달하도록 송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부터 서빙 셀 추가 요청에 대한 수락을 수신하면, 상기 피코 기지국과 상기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베어러 설정 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지국들 간에 캐리어들을 집적함에 의해서 단말의 송수신 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LTE 시스템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ENB 내 캐리어 집적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캐리어 집적 방식인 기지국 간 캐리어 집적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UE가 서빙 주파수 측정에 대한 측정 주기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한 도면,
도 6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E가 임의의 캐리어에 대한 주파수 내 측정(서빙 주파수에 대한 측정, 혹은 intra-frequency 측정)을 위한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E가 inter-frequency 측정을 위한 CG를 결정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E가 임의의 캐리어에 대한 주파수 간 측정(non-서빙 주파수에 대한 측정, 혹은 inter-frequency 측정)을 위한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측정 샘플링 주기와 측정 보고 주기가 변경될 경우, UE가 임시 측정 보고 주기를 적용하는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측정 샘플링 주기가 변경될 경우, UE가 측정 보고 주기를 결정하는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E가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전체 신호 처리 동작 흐름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E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의 일 예,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NB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의 일 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 표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었으며, 다음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LTE 시스템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는 차세대 기지국들(Evolved Node B, 이하 'ENB' 또는, 'Node B' 또는 '기지국'이라 칭함)(105, 110, 115, 120)과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125) 및 S-GW(Serving-Gateway, 13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이라 칭함)(135)은 상기 ENB들(105, 110, 115, 120) 및 상기 S-GW(1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1에서 상기 ENB(105, 110, 115, 120)들은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된다. 상기 ENB들(105, 110, 115, 120)은 상기 UE(135)와 무선 채널을 통해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한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된다. 그러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상기 ENB들(105, 110, 115, 120)이 담당한다. 하나의 ENB(105, 110, 115, 120)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100 Mbps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 시스템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한다. 또한, 각 ENB(105, 110, 115, 120)는 UE(135)의 채널 상태에 상응하게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MC: 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을 수행한다.
상기 S-GW(130)는 데이터 베어러(data bearer)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125)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한다. 상기 MME(125)는 UE(135)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eNB들 예를 들어 상기 ENB(105, 110, 115, 120)들과 연결된다.
도 2는 일반적인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UE와 ENB에서 각각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205, 240), RLC(Radio Link Control 210, 235), MAC (Medium Access Control 215,230) 및 PHY(220, 225)으로 이루어진다.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205, 240)는 IP(Internet Protocol)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하고, 무선 링크 제어(RLC: Radio Link Control)(210, 2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해서 ARQ(Automatic Repeat reQuest) 동작 등을 수행한다. MAC(215, 230)은 하나의 UE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 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물리 계층(PHY, 220, 2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도 3은 일반적인 ENB 내 캐리어 집적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ENB는 일반적으로 여러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다중 캐리어들(multi-carriers)을 송출하고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NB(305)로부터 다운링크 중심 주파수가 f1인 캐리어(315)와 다운링크 중심 주파수가 f3인 캐리어(310)가 송출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일반적으로는, 하나의 UE가 상기 두 개의 캐리어들(310, 315) 중 하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러나 캐리어 집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UE의 경우, 동시에 여러 개의 캐리어들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ENB(305)는 캐리어 집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 일 예로, UE(330)에 대해서는 상황에 따라 더 많은 캐리어들을 할당함으로써 상기 UE(330)의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ENB가 송출하고 수신하는 다운링크 캐리어와 업 링크(UpLink) 캐리어들을 집적하는 것을 "기지국 내 캐리어 집적"이라 칭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서로 다른 ENB에서 송출되고 수신되는 다운링크 캐리어와 업 링크 캐리어들을 집적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캐리어 집적 방식인 기지국 간 캐리어 집적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ENB 1(405)은 중심 주파수가 f1인 캐리어를 송수신하고, ENB 2(415)는 중심 주파수가 f2인 캐리어를 송수신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UE(430)가 다운링크 중심 주파수가 f1인 캐리어와 다운링크 중심 주파수가 f2 캐리어를 집적(결합)하면, 하나의 UE가 둘 이상의 ENB로부터 송수신되는 캐리어들을 집적하는 결과로 이어지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기지국 간(inter-ENB) 캐리어 집적' 혹은 '기지국 간 CA'라고 명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기지국간 캐리어 집적을 '다중 연결(DC: Dual Connectivity)'이라 정의한다. 예를 들어, DC가 설정되었다는 것은 기지국 간 캐리어 집적이 설정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빈번하게 사용될 용어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나의 ENB가 송출하는 하나의 다운링크 캐리어와 상기 ENB가 수신하는 하나의 업 링크 캐리어가 하나의 셀을 구성할 경우, 캐리어 집적이란 UE가 동시에 여러 개의 셀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이때, 최대 전송 속도와 집적되는 캐리어의 수는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진다.
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UE가 임의의 다운링크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임의의 업 링크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것은, 상기 캐리어를 특징짓는 중심 주파수와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셀에서 제공하는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히, 캐리어 집적을 '다수의 서빙 셀이 설정된다'는 것으로 표현할 것이며, 프라이머리 서빙 셀(PCell: Primary Cell)과 세컨더리 서빙 셀(SCell: Secondary Cell), 혹은 활성화된 서빙 셀 등의 용어를 사용할 것이다. 상기 용어들은 LTE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그대로의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캐리어, 컴포넌트 캐리어, 서빙 셀 등의 용어가 혼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동일한 ENB에 의해서 제어되는 서빙 셀들의 집합을 셀 그룹 혹은 캐리어 그룹(CG: Cell Group)으로 정의한다. 셀 그룹은 다시 마스터 셀 그룹 (MCG: Master Cell Group)과 세컨더리 셀 그룹(SCG: Secondary Cell Group)로 구분된다. MCG란 PCell을 제어하는 ENB(MeNB: Master ENB)에 의해서 제어되는 서빙 셀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그리고, SCG란 PCell을 제어하는 ENB가 아닌 ENB, 다시 말해서 SCell들만을 제어하는 ENB(SeNB: Slave ENB)에 의해서 제어되는 서빙 셀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소정의 서빙 셀이 MCG에 속하는지 SCG에 속하는지는 해당 서빙 셀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ENB가 UE에게 알려준다. 하나의 UE에는 하나의 MCG와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SCG가 설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SCG가 설정되는 경우만 고려하지만, 하나 이상의 SCG가 설정되더라도 본 발명의 내용이 별다른 가감 없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PCell과 SCell은 UE에 설정되는 서빙 셀의 종류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PCell과 SCell 사이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PCell은 항상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SCell은 ENB의 지시에 따라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를 반복한다. UE의 이동성은 PCell을 중심으로 제어되며, SCell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부가적인 서빙 셀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PCell과 SCell은 LTE 규격 36.331이나 36.321 등에서 정의된 PCell과 SCell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매크로 셀과 피코 셀을 고려한다. 매크로 셀은 매크로 ENB에 의해서 제어되는 셀로 비교적 넓은 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반면, 피코 셀은 SeNB에 의해서 제어되는 셀로 통상적인 매크로 셀에 비해서 현저하게 좁은 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매크로 셀과 피코 셀을 구분하는 엄격한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매크로 셀의 영역은 반경 500 m 정도, 피코 셀의 영역은 반경 수십 m 정도로 가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코 셀과 스몰 셀을 혼용하여 사용한다.
도 4를 참조하면, ENB 1(405)이 MeNB이고 ENB 2(415)가 SeNB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심 주파수 f1인 서빙 셀(410)이 MCG에 속하는 서빙 셀이고 중심 주파수 f2인 서빙 셀(420)이 SCG에 속하는 서빙 셀이다.
후술될 설명에서는 이해를 위해 MCG와 SCG대신 다른 용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셋'과 '세컨더리 셋' 혹은 '프라이머리 캐리어 그룹'과 '세컨더리 캐리어 그룹' 등의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 용어만 다를 뿐, 그 의미하는 바는 동일함을 유념하여야 한다. 이러한 용어들의 주요한 사용 목적은 어떠한 셀이 특정 UE의 PCell을 제어하는 ENB의 제어를 받는지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셀이 특정 UE의 PCell을 제어하는 ENB의 제어를 받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대해 UE와 해당 셀의 동작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하나의 UE에 대해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SCG가 설정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SCG는 최대 1개만 설정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SCG는 여러 개의 SCell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중 하나의 SCell은 특별한 속성을 가진다.
통상적인 ENB 내 CA에서 UE는 PCell의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서, PCell에 대한 HARQ(Hybrid ARQ) 피드백과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뿐만 아니라 SCell에 대한 HARQ 피드백과 CSI도 전송한다. 이는 업 링크 동시 전송이 불가능한 UE에 대해서도 CA를 적용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PUCCH는 상향 링크 제어 채널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피드백과 같은 제어 정보가 전송된다. PUCCH의 포맷 등은 규격 36.211, 212, 213을 따른다,
ENB 간 CA의 경우, CSG SCell들의 HARQ 피드백과 CSI를 PCell의 PUCCH를 통해 전송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수 있다. HARQ 피드백은 HARQ RTT(Round Trip Time, 통상 8 ms 정도) 내에 전달되어야 하는데, MeNB와 SeNB 사이의 전송 지연이 HARQ RTT 보다 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송 지연으로 인해서, SCG에 속하는 SCell 중 한 셀에 PUCCH 전송 자원이 설정되고, 상기 PUCCH를 통해 SCG SCell들에 대한 HARQ 피드백과 CSI 등이 전송된다. 상기 특별한 SCell을 pSCell(primary SCell)로 명명한다.
LTE와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UE은 서빙 셀과 주변 셀에 대해서 소정의 주기마다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된 값을 가공하고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서 ENB에게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측정 주기는 UE의 배터리 소모 정도 및 측정 정확도와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진다. 요컨대 측정을 자주할수록 측정의 정확도와 UE의 배터리 소모가 모두 증가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UE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는 것은 중요한 이슈이다. UE가 ENB 와의 연결 상태로 동작한다 하더라도 항상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연결 상태 UE에게 불연속 수신 동작이 설정될 수 있다. 불연속 수신(DRX: Discontinuous Reception) 상태로 동작하는 UE는 자신의 불연속 수신 주기를 기준으로 불연속적으로 다운 링크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불연속 수신 동작이 설정된 UE가 잦은 측정을 수행하면, 불연속 수신 동작을 통해 얻고자 하는 배터리 절약 이득이 희석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UE에 대해서는 불연속 수신 주기와 연동해서 측정 주기를 결정한다. 예컨대, 불연속 주기가 x ms라 가정하면, 일 예로, UE의 측정 주기는 x * 5 ms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측정 주기란, UE가 실제로 측정을 수행하는 주기가 아니라 UE의 물리 계층 장치가 RRC 계층 장치에게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주기를 의미하며, 이하, 설명의 편의상 측정 주기와 측정 보고 주기를 혼용하기로 한다. UE는 측정 보고 주기 마다 5 개의 측정 샘플들 취득한다. 다시 말해서, UE의 물리 계층은 측정 보고 주기 마다 5 번의 측정을 수행하며, UE의 물리 계층이 실제 측정을 수행하는 주기를 측정 샘플링 주기로 명명한다.
앞서 설명한 다중 연결 즉, DC로 동작하는 UE에게는 여러 개의 DRX 주기들이 설정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MeNB에 의해서 설정된 DRX 관련 파라미터는 MCG 서빙 셀들에게 적용되는, 혹은 P-MAC에 설정된 DRX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그리고, SeNB에 의해서 설정된 DRX 관련 파라미터는 SCG 서빙 셀들에게 적용되는, 혹은 S-MAC에게 설정된 DRX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상기 P-MAC은 MCG 서빙 셀들에 대해서 MAC 기능을 제공하는 MAC 엔터티(entity)이고, S-MAC은 SCG 서빙 셀들에 대해서 MAC 기능을 제공하는 MAC 엔터티다. 후술될 '짧은 DRX 주기'와 '긴 DRX 주기'는 각각 규격 36.321에서 정의된 Short DRX cycle과 Long DRX cycle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MeNB와 SeNB는 독립적으로 DRX를 설정하고, UE는 MCG와 SCG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DRX를 적용한다. 예컨대, MCG에 속하는 서빙 셀들에 대해서 동일한 시구간 동안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를 감시하고, SCG에 속하는 서빙 셀들에 대해서 또 다른 동일한 시구간 동안 PDCCH를 감시한다. 여기서, PDCCH는 햐항 링크 제어 채널로 스케줄링 정보 등이 전송된다. PDCCH 의 포맷은 규격 36.211, 212, 213을 따른다. 즉, SCG의 서빙 셀들과 MCG의 서빙 셀들에 대해서 PDCCH 감시 구간(규격 36.321에서 'Active Time'에 대응함)을 독립적으로 관리한다. 즉, MeNB는 짧은 DRX 주기와 긴 DRX 주기를 각각 설정하고, SeNB 역시, 짧은 DRX 주기와 긴 DRX 주기를 각각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PDCCH 감시 구간은 MeNB에 의해서 설정된 짧은 DRX 주기, MeNB에 의해서 설정된 긴 DRX 주기, SeNB에 의해서 설정된 짧은 DRX 주기 및 SeNB에 의해서 설정된 긴 DRX 주기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MCG와 SCG는 다른 주파수 밴드에서 동작하므로, MCG 서빙 셀들과 SCG 서빙 셀들에 대해서는 별도의 RF 회로(RF circuit혹은 RF frontend)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주파수 x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고자 할 때, 상기 주파수 x와 비슷한 주파수에서 동작하고 있는 RF 회로를 이용하면 측정 주파수로의 스위칭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측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임의의 시점에 서빙 셀과 주변 셀에 대한 측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UE는 측정을 수행할 주파수들 즉, SCG 셀의 주파수, MCG 셀의 주파수, SCG 셀의 현재 DRX 주기, MCG 셀의 현재 DRX 주기 등을 고려해서 측정 주기를 결정한다.
UE가 수행하는 측정은 크게 서빙 주파수 측정과 non-서빙 주파수 측정으로 구분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E는 서빙 주파수 측정과 non-서빙 주파수 측정에 대한 측정 주기를 각각 하기와 같이 결정할 수 있다. 서빙 주파수 측정이란, UE의 서빙 셀과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주변 셀 혹은 캐리어 주파수에 대한 측정을 의미하며, 주파수 내 측정(intra-frequency measurement)라고도 한다. 그리고, non-서빙 주파수 측정이란, UE의 서빙 셀의 중심 주파수와 다른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캐리어 주파수에 대한 측정을 의미하며, 주파수 간 측정(inter-frequency measurement)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E는 주파수 내 측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UE에 설정되어 있는 서빙 셀들 중 측정 대상 주파수에 형성된 서빙 셀의 셀 그룹을 고려해서, 어떤 DRX 주기를 적용할지 판단한다. 예컨대, f1에 PCell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면, UE는 f1에 대한 측정 주기를 MCG에 설정된 DRX 주기(혹은 MCG에 적용되는 현재 DRX 주기)를 고려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E는 주파수 간 측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측정 대상 주파수와 UE의 서빙 주파수 사이의 주파수 도메인 상의 거리, 측정 갭 설정 여부 등을 고려해서 어떤 셀 그룹의 DRX 주기를 적용할지 판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UE가 서빙 주파수 측정에 대한 측정 주기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예로, 캐리어 B(510), 캐리어 C(515), 캐리어 F(530), 캐리어 G(535)에 임의의 UE에 대한 서빙 셀이 설정되어 있으며, 이들 각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는 각각 f1, f2, f5, f6인 경우를 가정하자. 상기 UE의 MCG에 대해서는 긴 DRX 주기로 'D_mcg_long'이 설정되어 있고, 짧은 DRX 주기로 D_mcg_short이 설정되어 있다. 상기 UE의 SCG에 대해서는 긴 DRX 주기로 'D_scg_long'가 설정되어 있고, 짧은 DRX 주기로 'D_scg_short' 가 설정되어 있다.
UE는 임의의 서빙 주파수에 대한 측정 주기를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서빙 주파수에 대해서 설정되어 있는 DRX 주기를 고려해서 측정 주기를 결정한다. 예컨대, 측정하고자 하는 주파수가 속하는 셀 그룹에 대해서 설정되어 있는 DRX 주기들 중 현재 사용 중인 DRX 주기를 적용해서 측정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DRX 주기뿐만 아니라 다른 요소, 요컨대 UE가 해당 셀 그룹에서 'Active Time'에서 동작하는 지 여부, 관련 SCell이 비활성화 상태(deactivated state)인지 여부 등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할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가 UE에 설정되어 있는 서빙 셀의 중심 주파수 중 하나와 동일하고, 상기 서빙 셀에 대해서 DRX가 설정되어 있지 않거나, 상기 서빙 셀이 활성화 상태이며 'Active Time'이라면, UE의 RF 서킷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에서 지속적으로 신호를 수신하고 있으며 UE는 측정 보고 주기로 200 ms을 적용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그 이유는, DRX가 적용되지 않는 상태에서 UE의 배터리 소모와 측정 정확도가 적절하게 균형을 이루게 되는 측정 보고 주기는 200 ms 정도이기 때문이다.
한편, 다른 예로, 측정할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가 UE에 설정되어 있는 서빙 셀의 중심 주파수 중 하나와 동일하고, 상기 셀에 대해서 DRX가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서빙 셀이 활성화 상태이고 Active Time이 아니며, 긴 DRX 주기가 적용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상기 UE는 상기 캐리어에 대해서는 해당 서빙 셀이 속하는 셀 그룹에 대한 긴 DRX 주기에 소정의 정수(예를 들어, 5)를 곱한 값을 측정 보고 주기로 적용할 수 있다. 그 이유는, UE의 RF 서킷들 중 상기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RF 서킷은 긴 DRX 주기마다 한 번씩 구동되어서 다운 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예로, 측정할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가 UE에 설정되어 있는 서빙 셀의 중심 주파수 중 하나와 동일하고, 상기 셀에 대해서 DRX가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서빙 셀이 활성화 상태이고 Active Time이 아니며, 짧은 DRX 주기가 적용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UE는 상기 캐리어에 대해서는 해당 서빙 셀이 속하는 셀 그룹에 대한 짧은 DRX 주기에 소정의 정수 (예를 들어 5)를 곱한 값을 측정 보고 주기로 적용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기 UE의 RF 서킷 중 상기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RF 서킷이 짧은 DRX 주기 마다 한 번씩 구동 되어서 다운 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예로, 측정할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가 UE에 설정되어 있는 서빙 셀의 중심 주파수와 동일하고, 상기 셀에 대해서 DRX가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서빙 셀이 비 활성화 상태인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UE는 상기 캐리어에 대해서 설정된 measCycleSCell이라는 파라미터에 소정의 정수를 곱한 값과 해당 서빙 셀이 속한 셀 그룹에 대해서 현재 적용 중인 DRX 주기에 상기 정수를 곱한 값 중 긴 값을 측정 보고 주기로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임의의 SCell이 비활성화 상태라는 것은 상기 SCell에 대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비활성화 상태의 SCell에 대해서 측정을 자주 수행하면 배터리가 불필요하게 소모된다. 그러므로, ENB는 캐리어 주파수 별로 measCycleSCell이라는 파라미터를 설정하며, UE은 비활성화 상태의 SCell에 대해서는 해당 시점의 DRX 주기와 measCycleSCell 중 긴 값을 적용해서 측정 보고 주기를 설정함으로써, 비활성화 상태의 SCell에 대한 측정이 필요 이상으로 자주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정수는 UE가 측정 보고 주기 마다 측정 샘플을 취득하는 회수에 관한 파라미터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수로 5를 가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건들을 도 5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PCell이 설정되어 있는 캐리어 B(510)에 대한 측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즉, PCell 및 PCell과 동일한 중심 주파수의 주변 셀을 측정함에 있어서, UE는 일 예로, 하기 <표 1>과 같이 측정 보고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참고로, PCell은 항상 활성화 상태이기 때문에, 비활성화 상태 여부에 대한 고려는 하지 않는다. 아래에 MCG가 Active Time이라는 것은, MCG와 연계해서 구동되고 있는 drx-inactivityTimer, onDurationTimer, drx-retransmissionTimer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 중이거나 규격 36.321의 5.7 절에 정의되어 있는 조건에 의해서 MCG의 활성화 상태의 서빙 셀들에 대해서 UE가 PDCCH를 감시하도록 강제되는 조건이 만족한 상태임을 의미한다. SCG가 Active Time이라는 것은, SCG와 연계해서 구동되고 있는 drx-inactivityTimer, onDurationTimer, drx-retransmissionTimer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 중이거나 규격 36.321의 5.7 절에 정의되어 있는 조건에 의해서 SCG의 활성화 상태의 서빙 셀들에 대해서 UE이 PDCCH를 감시하도록 강제되는 조건이 만족한 상태임을 의미한다.
MCG DRX 설정/미설정 MCG Active Time 여부 MCG 현재 DRX 주기 측정 보고 주기 측정 샘플링 주기
미설정 상관 없음 상관 없음 200 ms 40 ms
설정 MCG 서빙셀 중 적어도 하나는Active Time 상관 없음 200 ms 40 ms
설정 모든 MCG 서빙 셀들이 Active Time이 아님 짧은 주기 Max [5 * D_mcg_short, 200] ms Max [D_mcg_short, 40] ms
설정 모든 MCG 서빙 셀들이 Active Time이 아님 긴 주기 Max [5 * D_mcg_long, 200] ms Max [D_mcg_long, 40] ms
다음으로, CG SCell이 설정되어 있는 캐리어 C(515)에 대한 측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즉, SCell 1및 SCell 1과 동일한 중심 주파수(f2)의 주변 셀을 측정함에 있어서, UE은 일 예로, 하기 <표 2>와 같이 측정 보고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활성화/비활성화 MCG DRX 설정/미설정 MCG Active Time 여부 MCG 현재 DRX 주기 측정 보고 주기 측정 샘플링 주기
활성화 미설정 상관 없음 상관 없음 200 ms 40 ms
활성화 설정 MCG 서빙셀 중 적어도 하나는 Active Time 상관 없음 200 ms 40 ms
활성화 설정 모든 MCG 서빙 셀들이 Active Time이 아님 짧은 주기 Max [5 * D_mcg_short, 200] ms Max [D_mcg_short, 40] ms
활성화 설정 모든 MCG 서빙 셀들이 Active Time이 아님 긴 주기 Max [5 * D_mcg_long, 200] ms Max [D_mcg_long, 40] ms
비활성화 미설정 상관 없음 상관 없음 200 ms 40 ms
비활성화 설정 MCG 서빙셀 중 적어도 하나는 Active Time 상관 없음 5 * measCycleSCell ms measCycleSCell ms
비활성화 설정 모든 MCG 서빙 셀들이 Active Time이 아님 짧은 주기 Max [5 * D_mcg_short, 5 * measCycleSCell] ms Max [D_mcg_short, 40] ms
비활성화 설정 모든 MCG 서빙 셀들이 Active Time이 아님 긴 주기 Max [5 * D_mcg_long, 5 * measCycleSCell] ms Max [D_mcg_long, 40] ms
pSCell이 설정되어 있는 캐리어 G(_535)에 대한 측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즉, pSCell 및 pSCell과 동일한 중심 주파수의 주변 셀을 측정함에 있어서, UE은 일 예로, 하기 <표 3>과 같이 측정 보고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참고로 pSCell은 항상 활성화 상태이기 때문에, 비활성화 상태 여부에 대한 고려는 하지 않는다.
SCG DRX 설정/미설정 SCG Active Time 여부 SCG 현재 DRX 주기 측정 보고 주기 측정 샘플링 주기
미설정 상관 없음 상관 없음 200 ms 40 ms
설정 SCG 서빙셀 중 적어도 하나는 Active Time 상관 없음 200 ms 40 ms
설정 모든 SCG 서빙 셀들이 Active Time이 아님 짧은 주기 Max [5 * D_scg_short, 200] ms Max [D_scg_short, 40] ms
설정 모든 SCG 서빙 셀들이 Active Time이 아님 긴 주기 Max [5 * D_scg_long, 200] ms Max [D_scg_long, 40] ms
SCG SCell이 설정되어 있는 캐리어 F에 대한 측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즉 SCell 2및 SCell 2와 동일한 중심 주파수의 주변 셀을 측정함에 있어서, UE는 일 예로, 하기 <표 4>와 같이 측정 보고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활성화/비활성화 SCG DRX 설정/미설정 SCG Active Time 여부 SCG 현재 DRX 주기 측정 보고 주기 측정 샘플링 주기
활성화 미설정 상관 없음 상관 없음 200 ms 40 ms
활성화 설정 SCG 서빙셀 중 적어도 하나는Active Time 상관 없음 200 ms 40 ms
활성화 설정 모든 SCG 서빙 셀들이Active Time이 아님 짧은 주기 Max [5 * D_scg_short, 200] ms Max [D_scg_short, 40] ms
활성화 설정 모든 SCG 서빙 셀들이Active Time이 아님 긴 주기 Max [5 * D_scg_long, 200] ms Max [D_scg_long, 40] ms
비활성화 미설정 상관 없음 상관 없음 5 * measCycleSCell ms measCycleSCell ms
비활성화 설정 SCG 서빙셀 중 적어도 하나는Active Time 상관 없음 5 * measCycleSCell ms measCycleSCell ms
비활성화 설정 모든 SCG 서빙 셀들이Active Time이 아님 짧은 주기 Max [5 * D_scg_short, 5 * measCycleSCell] ms Max [D_scg_short, 5 * measCycleSCell] ms
비활성화 설정 모든 SCG 서빙 셀들이Active Time이 아님 긴 주기 Max [5 * D_scg_long, 5 * measCycleSCell] ms Max [D_scg_long, measCycleSCell] ms
도 6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E가 임의의 캐리어에 대한 주파수 내 측정(서빙 주파수에 대한 측정, 혹은 intra-frequency 측정)을 위한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임의의 캐리어에 대해서 측정을 수행한다는 것은 상기 캐리어에서 식별된 셀들의 수신 신호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혹은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을 주기적으로 측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6a,b를 참조하면, UE에게 임의의 캐리어가 서빙 캐리어로 설정되면(즉, 임의의 캐리어에 대해서 PCell 혹은 SCell이 설정되면), UE는 상기 캐리어에 대한 주파수 내 측정을 주기적으로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UE는 상기 캐리어에 대한 측정 보고 주기 및 측정 샘플링 주기를 결정하기 위해서 UE는 605 단계로 진행한다. 605 단계에서 UE는 DRX가 설정되어 있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DRX가 설정되어 있으면 635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DRX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UE는 610 단계로 진행한다. 610 단계에서 상기 UE는 상기 설정된 서빙 캐리어가 PCell이 설정된 캐리어인지 SCell이 설정된 캐리어인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PCell이 설정된 캐리어이면, UE는 625 단계로 진행하고, SCell이 설정된 캐리어이면, 상기 UE는 615 단계로 진행한다. 615 단계에서 UE는 상기 서빙 캐리어에 설정된 SCell이 pSCell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서빙 캐리어에 설정된 SCell이 pSCell일 경우, 625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SCell이 일반적인 SCell일 경우, 620 단계로 진행한다. 620 단계에서 UE는 상기 일반적인 SCell이 현재 활성화 상태인지 비활성화 상태인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일반적인 SCell이 활성화 상태라면 625 단계로 진행하고, 비활성화 상태라면 630 단계로 진행한다.
625 단계로의 진행은, DRX가 설정되어 있지 않고, 측정을 수행할 캐리어가 'PCell이 설정된 캐리어'이거나 'pSCell이 설정된 캐리어이'거나, '현재 활성화 상태의 SCell이 설정된 캐리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UE는 측정 보고 주기로 200 ms를, 측정 샘플링 주기로 40 ms를 결정한다.
630 단계로의 진행, DRX가 설정되어 있지 않고, 측정을 수행할 캐리어가 '비활성화 상태의 SCell이 설정된 캐리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UE는 측정 보고 주기로 해당 캐리어에 대해서 설정된 measCycleSCell에 5를 곱한 값을 결정하고, 측정 샘플링 주기로 상기 measCycleSCell를 결정한다.
한편, 605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DRX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635 단계에서 UE는 상기 설정된 서빙 캐리어가 PCell이 설정된 캐리어인지 SCell이 설정된 캐리어인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PCell이 설정된 캐리어이면 640 단계로 진행하고, SCell이 설정된 캐리어이면 645 단계로 진행한다.
645 단계에서 UE는 상기 서빙 캐리어에 설정된 SCell이 pSCell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그리고, 검사 결과, pSCell이라면 650 단계로 진행하고, 일반적인 SCell이라면 655 단계로 진행한다.
655 단계에서 UE는 상기 서빙 캐리어에 설정된 SCell이 MCG의 SCell인지 SCG의 SCell인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MCG의 SCell이라면 660 단계로 진행하고, SCG의 SCell이라면 665 단계로 진행한다. 660 단계에서 UE는 MCG의 SCell이 현재 활성화 상태인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MCG의 SCell이 현재 활성화 상태라면, 640 단계로, 비활성화 상태라면 670 단계로 진행한다. 665 단계에서 UE은 상기 SCG의 SCellSCell이 현재 활성화 상태인지 검사한다. 그리고, 상기 검사 결과 SCG의 SCell이 활성화 상태라면 650 단계로 진행하고, 비활성화 상태라면 675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35단계의 검사를 통해서, 640 단계로 진행함은 MCG에 대해서 DRX가 설정되어 있으며, 측정을 수행할 캐리어가 PCell이 설정된 캐리어거나, 활성화 상태의 MCG SCell이 설정된 캐리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UE는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를 각각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결정한다.
<수학식 1>
측정 보고 주기 = MAX [200, 5 * DRX cycle_mcg_current],
측정 샘플링 주기 = MAX [40, DRX cycle_mcg_current]
여기서, DRX cycle_mcg_current는 MCG 서빙 셀들에 적용되고 있는 현재 DRX cycle를 나타낸다.
상기 645단계의검사 결과를 통해서 650 단계로 진행하였다는 것은 SCG에 대해서 DRX가 설정되어 있으며, 측정을 수행할 캐리어가 pSCell이 설정된 캐리어 거나, 활성화 상태의 SCG SCell이 설정된 캐리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UE는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를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결정한다.
<수학식 2>
측정 보고 주기 = MAX [200, 5 * DRX cycle_scg_current],
측정 샘플링 주기 = MAX [40, DRX cycle_scg_current]
여기서, DRX cycle_scg_current는 SCG 서빙 셀들에 적용되고 있는 현재 DRX cycle을 나타낸다.
상기 660단계의 검사 결과, 670 단계로 진행하였다는 것은 DRX가 설정되어 있으며, 측정을 수행할 캐리어에 MCG SCell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MCSG SCell이 현재 비활성화 상태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UE는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를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결정한다.
<수학식 3>
측정 보고 주기 = MAX [5 * DRX cycle_mcg_current, 5*measCycleSCell],
측정 샘플링 주기 = MAX [DRX cycle_msg_current, measCycleSCell]
여기서, measCycleSCell는 해당 캐리어에 대해서 설정된 것으로 상기 캐리어를 측정 대상 (measurement object)으로 설정하는 제어 메시지를 통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메시지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 메시지의 MeasObjectEUTRA라는 정보를 통해 측정 대상 별 measCycleSCell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665단계의 검사 결과를 통해서 675 단계로 진행함은, DRX가 설정되어 있으며, 측정을 수행할 캐리어에 SCG SCell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SCG SCell이 현재 비활성화 상태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UE는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를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결정한다.
<수학식 4>
측정 보고 주기 = MAX [5 * DRX cycle_scg_current, 5*measCycleSCell],
측정 샘플링 주기 = MAX [DRX cycle_ssg_current, measCycleSCell]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Non-서빙 주파수 측정(주파수 간 측정)에 대한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를 결정하는 방식은, 서빙 주파수 측정(주파수 내 측정)에 대한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를 결정하는 방식과는 상이하다. non-서빙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는 UE는 여분의 RF 서킷을 사용하거나, 현재 사용 중인 RF 서킷의 주파수를 non-서빙 주파수로 변경해서 사용한다. 따라서 non-서빙 주파수 측정에 사용할 RF 서킷의 상태를 반영해서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파수 간 측정은 통상 측정 갭(gap) 동안 수행된다. 따라서 측정 갭이 설정되면, 측정 샘플링 주기는 상기 측정 갭 주기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만약, UE에게 DRX가 설정될 경우, 상기 UE는 측정 갭뿐만 아니라 DRX 주기도 고려해서 측정 샘플링 주기를 결정하며 상기 측정 갭과 DRX는 셀 그룹 별로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UE가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를 결정하기에 앞서 먼저, 어떤 CG의 측정 갭과 DRX를 적용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이때, 결정된 CG를 기준 CG로 명명한다. 측정 갭과 DRX 파라미터는 CG 별로 설정되므로, 기준 CG를 선택한다는 것은 기준 셀을 선택한다는 것과도 동일한 의미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기준 CG로 MCG를 선택한다는 것은 기준 셀로 PCell을 선택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고, 기준 CG로 SCG를 선택한다는 것은 기준 셀로 pSCell을 선택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UE는 기준 CG를 선택함에 있어서 각 CG의 측정 갭 설정 상황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표 5>에서와 같이 기준 CG를 선택할 수 있다. 측정 갭이 설정되었다는 것은 측정 갭이 스케줄링되었다는 것과 혼용될 수 있다.
MG for MCG MG for SCG 임의의 non- 서빙 주파수의 캐리어인 캐리어 _ interf 측정을 위한 기준 CG 선택
Not configured Not configured 캐리어_interf 측정을 위해 측정 갭이 필요한 UE
- 기준 CG를 선택하지 않고 캐리어 _ interf 에 대한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를 무한대로 설정(즉, 캐리어_ interf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지 않음.)
측정갭 없이도 캐리어_interf 측정이 가능한 UE
-소정의 규칙에 따라 기준 CG를 선택
Configured Not configured 캐리어_interf 측정을 위한 기준 CG로 PCell/MCG 선택
Not configured Configured 캐리어_interf 측정을 위한 기준 CG로 pSCell/SCG 선택
Configured Configured 소정의 규칙에 따라 기준 CG 선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E는 임의의 non-서빙 주파수에 대한 기준 CG를 선택하면, 기준 CG의 측정 갭 설정과 DRX 설정을 고려해서 상기 non-서빙 주파수에 대한 측정 샘플링 주기와 측정 보고 주기를 선택한다.
만약, MCG와 SCG 모두에 대해서 측정 갭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를 가정하면 UE는 측정 갭 없이 non-서빙 주파수 측정이 가능한지 판단한다. MCG와 SCG에 대해서 동작 중인 RF 서킷 외에도 여분의 RF 서킷이 존재할 경우, 측정 갭 없이도 non-서빙 주파수에 대한 측정이 가능하며, UE는 소정의 규칙에 따라 기준 셀/ CG를 선택한다. 상기 규칙은 측정의 정확도와 UE의 배터리 소모 중 어떤 것에 우선 순위를 두는 지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만약, 배터리 소모 대비 측정의 정확도에 우선 순위를 둘 경우, UE는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가 짧아지도록 기준 CG를 선택한다(이하, '접근 방식 1'이라 칭함). 반대로, 배터리 소모에 대해 상기 측정 정확도 대비 우선 순위를 둘 경우, UE는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가 길어지도록 기준 CG를 선택한다(이하, '접근 방식 2'라 칭함). 예컨대, 상기 접근 방식 1이 적용될 경우, UE는 MCG와 SCG의 현재 DRX 주기를 검사해서, DRX 주기가 짧은 CG를 기준 CG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CG의 DRX 주기를 적용해서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를 결정한다. 그리고, 접근 방식 2가 적용될 경우, 상기 UE는 MCG와 SCG의 현재 DRX 주기를 검사해서, DRX 주기가 긴 CG를 기준 CG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CG의 DRX 주기를 적용해서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접근 방식 1과 상기 접근 방식2에서 DRX 주기뿐만 아니라 측정 요구 사항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서, 측정이 가장 빈번하게 이뤄지도록 혹은 측정이 가장 드물게 이뤄지도록 기준 CG혹은 기준 셀을 선택할 수도 있다(혹은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가장 긴 측정 주기가 적용 중인 셀을 기준 셀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요구 사항을 전반적으로 고려한다는 것은, DRX 주기, 활성화/비활성화 상태, measCycleSCell 등을 모두 고려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하기 <표 6>에 예시한 상황에서 f1 ~ f4가 아닌 주파수에 대한 측정 보고 주기를 선택함에 있어서 상기 접근 방식 2를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UE는 측정 보고 주기가 가장 긴 SCell 1을 기준 셀로 선택하고, 접근 방식 1을 사용할 경우, 측정 보고 주기가 가장 짧은 UE은 pSCell을 기준 셀로 선택할 수 있다.
현재 DRX 주기 활성화/비활성화 measCycleSCell 측정 보고 주기
PCell (f1) 320 ms 640 ms 1600 ms
SCell 1(f2); MCG 320 ms 비활성화 640 ms 3200 ms
pSCell (f3) 80 ms 320 ms 400 ms
SCell 2 (f4); SCG 80 ms 활성화 640 ms 400 ms
만약, MCG와 SCG 모두에 대해서 측정 갭이 설정되지 않고, 측정 갭 없이 non -서빙 주파수를 측정할 수 없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E는 해당 non-서빙 주파수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만약, MCG와 SCG 중 하나의 CG에만 측정 갭이 설정되어 있다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E는 측정 갭이 설정된 CG를 기준 CG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기준 CG의 DRX 주기 등을 적용해서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MCG와 SCG 모두에 측정 갭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면, UE는 소정의 규칙에 따라 기준 셀/CG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MCG와 SCG 모두에 측정 갭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접근 방식 1 혹은 상기 접근 방식 2를 사용해서 기준 셀/CG를 선택할 수 있다. 혹은, ENB가 RRC 시그널링을 통해 UE에게 어떤 셀/CG의 측정 갭을 사용할지 미리 지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ENB는 SCG에 대한 측정 갭 설정 제어 메시지에 해당 측정 갭이 어떤 측정 대상의 측정에 사용되어야 하는지 명시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CG 측정 갭과 매핑된 측정 대상에 대해서, 상기 측정 대상이 서빙 주파수라면 (즉, intra-frequency 측정과 관련된다면), 전술한 서빙 주파수에 대한 측정 보고 주기 결정 방법과 측정 샘플링 주기 결정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측정 대상이 non-서빙 주파수라면 (즉, inter-frequency 측정과 관련된다면), UE는 상기 측정 대상을 측정함에 있어서 기준 셀/ CG로 SCG를 선택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E는 inter-frequency 측정을 적용해야 할 측정 대상 중, SCG의 측정 갭과 관련되지 않은 측정 대상에 대해서는 MCG를 기준 CG로 선택하고 MCG의 측정 갭을 이용해서 측정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E가 inter-frequency 측정을 위한 CG를 결정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MCG와 SCG 모두에 측정 갭이 설정되어 있고, SCG의 측정 갭과 연관된 측정 대상으로 일 예로, 캐리어 D, E, F, G가 RRC 제어 메시지를 통해 명시적으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E는 나머지 측정 대상 즉, 캐리어 A, B, C는 MCG의 측정 갭과 연관된 것으로 암묵적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임의의 캐리어가 측정 대상이라는 것은 상기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가 측정 대상이라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그리고, 상기 측정 대상 중 서빙 주파수에 해당하는 측정 대상에 대해서는 도 5와 도 6에서 설명한 방법을 이용해서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를 결정하고, non-서빙 주파수에 해당하는 측정 대상인 캐리어 A, D, E는 상기 매핑 정보를 적용해서 기준 CG를 결정한다. 캐리어 A는 MCG의 측정 갭과 관련되므로, UE는 캐리어 A에 대한 기준 CG로 MCG를 선택(715)한다. 캐리어 D와 E는 SCG의 측정 갭과 관련되므로 기준 CG로 SCG를 선택(705, 710)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E는 측정 갭 설정과 무관하게 기준 CG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하기 기준 CG 선택 방식 3가지로 설명될 수 있다.
[non-서빙 주파수 x에 대한 기준 CG 선택 방법 1]
이 경우, non-서빙 주파수 x와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거리가 가까운 셀을 기준 셀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캐리어 E(525)의 중심 주파수 f4와 pSCell 중심 주파수 f6 사이의 거리가, f4와 PCell 중심 주파수 f1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면, UE는 캐리어 E의 기준 셀로 pSCell을 선택한다.
[non-서빙 주파수 x에 대한 기준 CG 선택 방법 2]
이 경우, non-서빙 주파수 x와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거리가 가까운 셀 그룹을 기준 CG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캐리어 D(520)의 중심 주파수 f3와 MCG(혹은 MCG에 속하는 서빙 셀 중 해당 주파수와 가장 근접한 캐리어/서빙 셀) 사이의 주파수 도메인 상의 거리가, f3와 SCG 사이의 주파수 상의 거리보다 짧다면, UE는 캐리어 D의 기준 CG로 MCG를 선택한다.
[non-서빙 주파수 x에 대한 기준 CG 선택 방법 3]
이 경우, UE는 미리 정해진 소정의 CG를 기준 CG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상 MCG를 기준 CG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측정 갭은 MCG와 SCG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MCG 서빙 셀들에 대해서 제 1 측정 갭이 설정되고, SCG에 대해서 제 2 측정 갭이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UE는 제 1 측정 갭 동안에는 MCG 서빙 셀에서의 송수신을 중단하고, 제 2 측정 갭 동안에는 SCG 서빙 셀에서의 송수신을 중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한 시점에는 측정 갭을 하나만 사용하고, 상기 측정 갭을 MCG에 적용하거나 SCG에 적용할 수 있다. 이처럼 측정 갭이 한 CG에만 설정되는 경우, UE는 이미 설정되어 있는 측정 갭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 해제할 수 있다. UE는 MCG에 대한 측정 갭이 설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SCG를 생성하는 혹은 새로운 SCG SCell을 설정하는 RRC 연결 재설정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 메시지에 측정 갭 설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측정 갭 설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UE는 MCG의 측정 갭을 해제하고 상기 측정 갭 설정 정보에 상응하게 SCG에 새로운 측정 갭을 설정한다. 혹은, MCG에 대한 측정 갭이 설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SCG에 대한 측정 갭 설정을 지시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를 가정하면, UE는 MCG 측정 갭을 해제하고, SCG 측정 갭을 설정한다. 반면, SCG 측정 갭이 설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MCG 측정 갭을 설정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UE은 SCG의 측정 갭을 해제하고, 새로운 측정 갭을 MCG에 설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E가 임의의 캐리어에 대한 주파수 간 측정(non-서빙 주파수에 대한 측정, 혹은 inter-frequency 측정)을 위한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UE에게 임의의 캐리어에 대한 측정이 지시되고, 측정이 지시된 캐리어가 서빙 캐리어가 아니라면(즉, 현재 서빙 셀들의 중심 주파수와 상기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가 서로 다르면, 혹은, UE에게 설정된 서빙 셀들의 중심 주파수가 상기 측정하고자 하는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가 서로 다르면) UE는 상기 캐리어에 대한 주파수 간 측정을 수행한다. 이 경우, UE는 측정 보고 주기 및 측정 샘플링 주기를 결정하기 위해서 805 단계로 진행한다. 805 단계에서 UE는 기준 CG(셀)을 결정한다.
810 단계에서 UE는 상기 결정된 기준 CG에 DRX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DRX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815 단계로 진행하고, DRX가 설정되어 있으면, 845 단계로 진행한다.
815 단계에서 UE는 상기 측정이 지시된 캐리어를 측정하기 위해서 측정 갭의 필요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측정 갭이 필요할 경우, 820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검사 결과 측정 갭이 필요하지 않다면 840 단계로 진행한다. 820 단계에서 UE는 기준 CG에 측정 갭이 설정되어 있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기준 CG에 측정 갭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825 단계로 진행하고, 설정되어 있다면 830 단계로 진행한다.
830 단계에서 UE는 기준 CG에 설정된 측정 갭의 패턴이 0인지 1인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패턴이 '0'이면, 840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패턴이 '1'이면, 835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 갭의 패턴이 '0'으로 설정된 경우, 측정 갭이 40 ms 마다 한 번씩 스케줄링(혹은 발생하는)되는 패턴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측정 갭의 패턴이 '1'로 설정된 경우, 측정 갭이 80 ms 마다 한 번씩 스케줄링되는 패턴을 나타낸다. 상기한 측정 갭의 패턴 '1'은, 주파수 간 측정의 대상에서 넓은 대역폭을 측정할 수 있을 때 설정된다. 통상적으로, UE는 측정 대상의 중심 주파수를 중심으로 '6 PRB Physical Resource Block)'를 측정하지만, 측정 갭 패턴이 1로 설정되면, 측정 대상의 중심 주파수를 중심으로 50 PRB를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 갭 패턴에 대해서는 규격 36.133을 따른다.
여기서, 825 단계로 진행함은, UE가 상기 측정 지시된 캐리어에 대한 주파수간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측정 갭이 필요하지만, 기준 CG에는 측정 갭이 설정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UE는 상기 측정 지시된 캐리어에 대한 측정 샘플링 주기와 측정 보고 주기를 모두 '무한대'로 설정하여 상기 캐리어에 대해서는 측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835 단계로의 진행은, UE가 해당 캐리어에 대한 주파수간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측정 갭이 요구되며, 기준 CG에는 측정 갭이 설정되어 있고, 측정 갭 패턴은 1로 설정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UE는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를 하기 <수학식 5>와 같이 설정한다.
<수학식 5>
측정 보고 주기 = N_current_RCG * 240 ms,
측정 샘플링 주기 = N_current_RCG * 80 ms
여기서, N_current_RCG는 기준 CG를 서비스하는 RF 서킷이 측정하는 non- 서빙 캐리어(혹은 inter-frequency)의 개수, 혹은 해당 CG의 측정 갭을 통해 측정되는 non-서빙 캐리어의 개수를 나타내며, 규격 36.133의 Nfreq와 동일한 의미로 정의된다.
840 단계로의 진행은, UE가 상기 측정 지시에 대한 주파수간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측정 갭이 요구되며, 기준 CG에는 측정 갭이 설정되어 있고, 측정 갭 패턴은 '0'으로 설정되었음을 의미한다. 혹은 측정 갭이 없더라도 UE이 해당 캐리어에 대한 주파수간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UE는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를 하기 <수학식 6>과 같이 설정한다.
<수학식 6>
측정 보고 주기 = N_current_RCG * 480 ms,
측정 샘플링 주기 = N_current_RCG * 40 ms
845 단계에서 UE는 상기 측정 지시된 캐리어를 측정하기 위해서 측정 갭이 필요한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측정 갭이 필요하면 850 단계로 진행하고, 측정 갭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860 단계로 진행한다.
850 단계에서 UE는 기준 CG에 측정 갭이 설정되어 있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측정 갭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825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검사 결과 측정 갭이 설정되어 있다면 855 단계로 진행한다. 855 단계에서 상기 UE는 기준 CG에 설정된 측정 갭의 패턴이 0인지 1인지 검사한다. 상기 측정 갭의 패턴이 '0'이면 860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측정 갭의 패턴이 '1'이면 865 단계로 진행한다.
865 단계로의 진행은, UE가 상기 측정 지시된 캐리어에 대한 주파수간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측정 갭이 필요하며, 기준 CG에는 측정 갭과 DRX가 설정되어 있고, 측정 갭 패턴이 '1'로 설정되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UE는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를 하기 <수학식 7>과 같이 설정한다.
<수학식 7>
측정 보고 주기 = N_current_RCG * MAX[480, 5 * DRX cycle_RCG_current] ms,
측정 샘플링 주기 = N_current_RCG * 80(측정 보고 주기가 N_current_RCG * 480인 경우) or DRX cycle_RCG_current(측정 보고 주기가 5*DRX cycle_RCG_current인 경우) ms,
여기서, DRX cycle_RCG_current는 해당 기준 CG의 현재 DRX 주기를 의미한다.
860 단계로의 진행은, UE가 상기 측정 지시된 캐리어에 대한 주파수간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측정 갭이 필요하며, 기준 CG에는 측정 갭이 설정되어 있고, 측정 갭 패턴은 '0'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혹은, 측정 갭이 없더라도 UE가 상기 측정 지시된 캐리어에 대한 주파수간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UE는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를 하기 <수학식 8>과 같이 설정한다.
<수학식 8>
측정 보고 주기 = N_current_RCG * MAX[240, 5 * DRX cycle_RCG_current] ms,
측정 샘플링 주기 = N_current_RCG * 40 (측정 보고 주기가 N_current_RCG * 240인 경우) or DRX cycle_RCG_current (측정 보고 주기가 5*DRX cycle_RCG_current인 경우) ms
상기한 바와 같이, 측정 지시된 임의의 캐리어에 대한 측정 보고 주기 및 측정 샘플링 주기를 결정한 UE는, 상기 결정된 측정 샘플링 주기에 상응하게 상기 캐리어에 대한 측정을 수행한다. 이때, UE는 측정을 수행할 시점인 '측정 샘플링 시점'과, 측정 결과를 보고할 시점인 '측정 보고 시점'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조정한다. 이 경우, UE는 임의의 n번째 측정 보고 시점과 5*n번째 측정 샘플링 시점이 소정의 기간만큼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최신의 측정 결과가 RRC 계층 장치에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E의 스케쥴링 요청을 수행하는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예로, 측정 샘플링 주기(905)가 40ms이고, 측정 보고 주기(910)가 측정 샘플링 주기(905)*5= 200 ms인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UE는 n번째 측정 보고 시점(920)을 5n번째 측정 샘플링 시점(925)으로부터 처리 마진(margin, 915)만큼 이격시킨다. 상기 처리 마진은 UE의 처리 능력에 따라 결정되며, 적어도 측정 샘플링 주기(905)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n+1)번째 측정 보고 시점(930)에 UE의 물리 계층은 RRC 계층으로 n 번째 측정 보고 시점 이후에 측정된 결과들과 관련된 값(예를 들어, 평균값, 중간값 혹은 최대/최소를 제외한 중간값 등, 이하, '측정 대표값'이라 칭함)을 보고한다. 즉, 5n +1번째 측정 샘플링 시점(935) 내지 5n + 5 번째 측정 샘플링 시점(950)에서 측정된 결과 값으로부터 가공된 측정 대표값을 RRC 계층으로 보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는 현재 DRX 주기, 활성화/비활성화 상태, 측정 대상의 수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서 결정되며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의 DRX 주기는 스케줄링 상황에 따라 '짧은 주기'에서 '긴 주기'로 혹은 '긴 주기'에서 '짧은 주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활성화/비활성화 상태 역시, ENB의 명시적인 지시에 의해서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혹은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측정 샘플링 주기와 측정 보고 주기가 변경될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E는 상기 변경 시점이 측정 보고 시점과 정렬되지 않으면, 상기 주기가 변경되는 사이에 '임시 측정 보고 주기'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측정 샘플링 주기와 측정 보고 주기가 변경될 경우, UE가 임시 측정 보고 주기를 적용하는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예로, 임의의 시점(1025)에서 예를 들어, DRX 주기 변경, 활성화/비활성화 상태 변경, Nfreq 변경 등을 통해서로 측정 샘플링 주기가 제 1 측정 보고 샘플링 주기(1010)='320ms'에서 제 2 측정 보고 샘플링 주기(1040)= '640ms'로 변경된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UE는 측정 샘플링 주기 변경이 발생한 상기 시점(1025)을 기준으로 상기 시점(1025)과 가장 근접한 과거 측정 보고 시점인 [x+1]번째 측정 보고 시점(1020)까지는 제1 측정 보고 주기 즉, 1600ms를 적용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E는 그 다음 측정 보고 시점인 [x+2]번째 측정 보고 시점(1035)을 임시 측정 보고 주기를 적용해서 결정한다. 상기 임시 측정 보고 주기는, 마지막 측정 보고 시점(1025) 이후 첫 번째 측정 샘플링 시점(1055)부터 측정 샘플링 주기 변경이 발생한 상기 시점(1025) 직전의 샘플링 시점(1060)까지 y개의 측정 샘플링에 대해서 제 1 측정 샘플링 주기를 적용하고, 측정 샘플링 주기 변경 사건 발생 시점 이후, (5-y)개의 측정 샘플링에 대해서는 제 2 측정 샘플링 주기를 적용했을 때 발생하는 주기이다. 도 10의 예에서는 3 번의 제 1 측정 샘플링 주기와 2 번의 제 2 측정 샘플링 주기가 임시 측정 보고 주기를 결정하므로, 임시 측정 보고 주기는 320*3+640*2=2240 ms이다. 그리고 UE는 상기 임시 측정 보고 주기를 사용한 후, 상기 제 2 측정 보고 주기의 적용을 개시한다.
요약하자면, 임의의 시점에서 제 1 측정 샘플링 주기에서 제 2 측정 샘플링 주기로의 변경이 발생하면, UE는 상기 변경 발생 시점 직전의 측정 보고 시점까지는 제 1 측정 보고 주기를 적용하고, 5 번의 측정 샘플링 시점이 포함되도록 임시 측정 보고 주기를 결정한 후, 임시 측정 보고 주기를 1 회 적용하고 제 2 측정 보고 주기 적용을 개시한다. 따라서 임시 측정 보고 주기가 적용되는 기간에는 제 1 샘플링 주기와 제 2 샘플링 주기가 혼재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측정 샘플링 주기가 변경될 경우, UE가 측정 보고 주기를 결정하는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UE는 임시 측정 보고 주기를 사용하는 대신, 측정 샘플링 주기 변경 사건이 발생한 시점(1125)을 기준으로, 가장 근접한 과거 측정 보고 시점 (1120) 이후의 측정 보고 시점은 제 1 측정 샘플링 주기와 제 2 측정 샘플링 주기 중 짧은 주기에 5를 곱한 값을 적용해서(즉, 제 1 측정 보고 주기와 제 2 측정 보고 주기 중 짧은 주기를 적용해서) 다음 측정 보고 시점(1135)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측정 샘플링 주기=320ms가 제 2 샘플링 주기=640ms보다 짧기 때문에, 측정 샘플링 주기 변경 사건이 발생한 시점(1125) 이후 첫 번째 측정 보고 시점(1135)은 제 1 측정 보고 주기가 적용되어서 결정된다. 이후, UE는 변경된 측정 샘플링 주기 및 측정 보고 주기를 적용한다. 제 1 측정 샘플링 주기가 제 2 측정 샘플링 주기보다 길다면, 상기 측정 샘플링 주기 변경 사건이 발생한 후, 첫 번째 측정 보고 시점(1135)는 제2측정 보고 주기가 적용되어서 결정될 것이다.
요약하자면, 임의의 시점에서 제 1 측정 샘플링 주기에서 제 2 측정 샘플링 주기로의 변경이 발생하면, 상기 변경 사건의 발생 시점 직전의 측정 보고 시점(1120)까지는 제 1 측정 보고 주기를 적용하고, 다음 측정 보고 시점은 제1 측정 보고 주기와 제 2 측정 보고 주기 중 짧은 주기를 결정해서 1회 적용하고, 이후 제 2 측정 보고 주기의 적용을 개시한다.
앞서 설명한 도 5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과정에 따라 측정 보고 주기 및 측정 샘플링 주기를 결정한 UE는, 결정한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를 적용해서 측정 보고 시점과 측정 샘플링 시점을 결정한다. 이때, 측정 보고 시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 샘플링 시점과 처리 지연만큼 이격되도록 결정된다.
그리고, 측정 샘플링 시점은 DRX가 구동 중일 경우, 하기와 같이 결정된다. 먼저, 주파수 내 측정이라면, 측정 샘플링 시점이 DRX의 onDuration 구간에 속하도록 선택한다. 그 이유는, 주파수 내 측정의 경우, 현재 서빙 셀의 신호를 수신하면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onDuration에서 UE의 수신기가 켜졌을 때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서이다.
다음으로, 주파수 간 측정에서 측정 갭 없이 측정이 가능할 경우, 측정 샘플링 시점이 DRX의 onDuration 구간에 속하도록 선택한다. 그 이유는, 측정 갭 없이 측정이 가능한 주파수 간 측정의 경우, 현재 서빙 셀 신호 수신에 사용하는 RF가 아닌 별도의 RF를 사용해서 측정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서빙 셀 신호 수신에 사용하는 RF와 측정을 수행하는 별도의 RF의 구동 구간이 최대한 겹치도록 하는 것이 전력 소모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주파수 간 측정이면서, 측정 갭 없이 측정이 가능하지 않다면, 측정 샘플링 시점이 DRX의 onDuration 구간 직전의 소정의 구간이 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측정 갭이 필요한 주파수 간 측정이라면, 현재 서빙 셀 신호 수신에 사용하는 RF를 이용해서 측정을 수행하므로, 상기 측정 샘플링 구간과 onDuration 구간이 겹쳐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E가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전체 신호 처리 동작 흐름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1225단계에서 UE(1205)는 일 예로, LTE 망에서 요구하는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면, 자신의 성능 보고를 MeNB(1210)에게 전달 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일 예로, 상기 UE(1205)가 ENB로부터 성능 보고 요청을 수신한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UE(1205)의 성능 보고를 MeNB(1210)에게 전달하기 위한 성능 보고 메시지는 'UE가 지원하는 주파수 밴드 리스트'와, 'UE가 지원하는 주파수 밴드 조합 리스트'와, '주파수 밴드 조합 별 MIMO 성능 등' 및 '주파수 밴드 조합 별 측정 갭 필요성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밴드 조합 별 측정 갭 필요성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UE(1205)가 지원하는 주파수 밴드 조합 별로, 상기 UE(1205)가 해당 주파수 밴드 조합에 따라 설정되었을 때, 다른 주파수 밴드에 대한 측정 수행 시 측정 갭의 필요 여부를, 주파수 밴드 당 '1 비트'로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파수 밴드 조합 별 측정 갭 필요성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는 주파수 밴드 조합 당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비트맵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성능 보고 메시지에 상기한 정보들과 함께, 상기 UE(1205)가 지원하는 주파수 밴드 조합 별로 DC 지원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DC 지원 여부는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주파수 밴드 조합에 대해서만 보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밴드 간의 주파수 밴드 조합(혹은 밴드 엔트리가 하나만 존재하는 조합; 이하, '인트라 밴드 조합'이라 칭함)의 경우, DC 지원 여부가 별도로 보고되지 않으면, 해당 주파수 밴드 조합에 대해서는 DC가 지원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밴드 간의 주파수 밴드 조합 (혹은 밴드 엔트리가 둘, 혹은, 둘 이상 존재하는 조합; 이하 '인터 밴드 조합'이라 칭함)의 경우 DC가 지원됨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UE는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인터 밴드 조합에 대해서만 밴드 조합 별 DC 지원 여부를 표시함으로써 메시지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UE(1205)가 매크로 셀의 영역에서 상기 MeNB(1210)와의 데이터 송/수신 중에, 소정의 이벤트, 예를 들어, 임의의 피코 셀의 채널 품질이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를 가정하면, 1230단계에서 상기 UE는 상기 MeNB(1210)에게 측정 결과 메시지를 생성해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 결과 메시지는 채널 품질이 소정의 기준을 충족한 셀의 식별자, 예를 들어, 물리 계층 셀 식별자(PCI 혹은 Physical Cell Id)와, 상기 셀의 채널 품질 혹은 셀의 기준 신호의 수신 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E(1205)로부터 측정 결과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MeNB(1210)는 상기 UE(1205)가 피코 셀의 영역 내에 있음을 인지한다. 그러면, 1235단계에서 상기 MeNB(1210)은 상기 UE(1205)에게 피코 셀 즉, 서빙 셀을 추가로 설정할 것을 결정한다. 상기 피코 셀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은 매크로 셀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에 비해 여러 모로 효율적이다. 따라서 상기 UE_1205)가 피코 셀의 영역에 위치한다면, 상기 UE(1205)가 위치하는 피코 셀을 새로 추가할 것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1240단계에서 상기 MeNB(1210)는 피코 셀의 식별자를 참조하여 상기 피코 셀을 제어하는 ENB 즉, SeNB(1215)를 확인하고, 상기 SeNB(1215)에게 서빙 셀 추가를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서빙 셀 추가를 요청하기 위해 전송되는 제어 메시지는 일 예로, 하기 <표 7>과 같은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름 설명
SCell id 정보 SENB에서 설정될 SCell 들의 식별자와 관련된 정보. 하나 혹은 복수의 SCellIndex-r10으로 구성된다. MENB에서 이미 사용 중인 식별자가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MENB이 결정해서 SENB에게 알려줌.
TAG id 정보 SENB에서 설정될 TAG의 식별자와 관련된 정보. MENB에서 이미 사용 중인 식별자가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MENB이 결정해서 SENB에게 알려줌.
업 링크 스케줄링 관련 정보 UE에 설정된 논리 채널들의 우선 순위 정보와 논리 채널 그룹 정보로 구성됨. SENB은 이 정보를 이용해서 UE의 버퍼 상태 보고 정보를 해석하고 업 링크 스케줄링을 수행함.
데이터 전송 율 관련 정보 UE의 다운 링크/업 링크 예상 데이터 전송율 정보임. SENB은 이 정보를 이용해서, SCell 추가 요청을 수락하지 거절할지 결정함.
SeNB을 통해서 서비스될 DRB 관련 정보 DRB (Data Radio Bearer)란 사용자 평면 데이터 처리를 위해서 설정되는 무선 베어러임. UE기 피코 셀 영역에 진입하면, 모든 사용자 평면 데이터 혹은 대부분의 사용자 평면 데이터들을 피코 셀을 통해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함. MeNB은 SeNB에게 피코 셀을 통해 처리할 DRB들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PDCP 설정 정보 (예를 들어 PDCP 헤더 구조, 헤더 압축 프로토콜 관련 정보 등), RLC 정보 (RLC 동작 모드, 각종 타이머 등), 논리 채널 관련 정보 (논리 채널 식별자, 우선 순위 등) 등을 통보함. SeNB은 향후 상기 정보를 참조해서 DRB의 최종 설정 정보를 판단함.
추가 설정이 요청되는 서빙 셀의 채널 정보 UE가 측정 보고 메시지에서 보고한 채널 품질 정보를 SeNB에게 보고함. SeNB는 이 정보 및 데이터 전송율 관련 정보 등을 이용해서 서빙 셀 추가 요청 수락 여부를 판단함.
상기 서빙 셀 추가 요청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SeNB(1215)는 서빙 셀의 채널 정보, UE의 데이터 전송율 관련 정보 등을 이용해서 서빙 셀에 대한 추가 요청을 수락할지 거부할지 판단한다. 만약, 상기 서빙 셀애 대한 추가 요청을 수락하기로 결정한 경우, 1245단계에서 상기 SeNB(1215)는 하나 혹은 복수의 DRB를 설정한다. 향후, SeNB(_1215)는 상기 DRB를 통해 UE(_1205)가 전송한 데이터와 UE(_1205)에게 전송할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때, 상기 SeNB(_1215)이 DRB를 설정하는 것은, 소정의 QoS(Quality of Service)를 요구하는 데이터 스트림을 처리할 PDCP 계층 장치와 RLC 계층 장치를 설정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상기 DRB의 구성은 소스 ENB(_1210)이 알려준 원래 설정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도 있다.
그리고, 1250단계에서 상기 SeNB(1215)는 상기 서빙 셀 추가 요청에 대한 수락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MeNB(1210)에게 전송한다. 상기 응답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어 메시지는 일 예로, 하기 <표 8>과 같은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름 설명
SCellToAddMod SENB에서 설정된 SCell 들과 관련된 정보로, 다음과 같은 정보들로 구성된다. SCellIndex-r10, cellIdentification-r10, radioResourceConfigCommonSCell-r10, radioResourceConfigDedicatedSCell-r10, TAG 관련 정보
PUCCH information for pSCell SCG에 속하는 SCell 중 적어도 하나의 SCell에는 PUCCH 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 설정됨. PUCCH를 통해서는 HARQ feedback이나 CSI(Channel Status Information)이나 SRS (Sounding Reference Signal)나 SR (Scheduling Request) 등의 업링크 제어 정보가 전송됨. 이하, PUCCH가 전송되는 SCell을 'PUCCH SCell'이라 칭함. PUCCH SCell의 식별자 정보와 PUCCH 구성 정보 등이 이 정보의 하위 정보임.
Information for data forwarding MENB과 SENB 사이의 데이터 교환에 사용될 논리 채널 (혹은 논리 터널)의 정보이며, 다운 링크 데이터 교환을 위한 GTP(GPRS Tunnel Protocol) 터널 식별자와, 업링크 데이터 교환을 위한 GTP 터널 식별자 등의 정보로 구성됨.
UE의 식별자 UE가 SCG의 SCell에서 사용할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임.
DRB 설정 정보 MeNB에서 사용된 DRB 설정과 동일하다면 생략될 수 있음.
위치 재설정될 DRB의 리스트 모든 DRB의 위치가 재설정될 경우, 이 정보는 생략될 수 있음.
스케줄링 정보 처리 관련 정보 버퍼 상태 보고(BSR: Buffer Status Report), PHR(Power Headroom Report) 등 스케줄링 정보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트리거링 조건이나 주기적 보고의 주기 등의 정보임. MeNB의 정보와 동일하다면 생략될 수 있음.
그러면, 1255단계에서 상기 MeNB(1210)은 상기 SeNB(1215)으로부터 SCell 추가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위치가 재설정될 DRB의 다운 링크 동작을 중지한다. 즉, 상기 DRB에 대한 다운 링크 데이터 전송을 중지한다. 그러나 상기 DRB의 업 링크 데이터 처리는 지속한다. 그리고, 1260단계에서 상기 MeNB(1210)는 서빙 셀 추가를 지시하는 RRC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UE(1205)에게 전송한다. 상기 서빙 셀 추가를 지시하는 RRC 제어 메시지는 일 예로, 하기 <표 9>에 나타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름 설명
SCellAddMod SENB가 전달한 정보가 그대로 수납됨. 즉, 표 8의 SCellAddMod과 동일한 정보이다. SCell 하나 당 하나의 SCellAddMod 가 수납되며, 상기 정보는 SCellAddModList의 하위 정보임.
PUCCH information for pSCell SENB가 전달한 정보가 그대로 수납됨. 즉, 표 8의 PUCCH information for pSCell과 동일한 정보임.
SCG SCell List 설정되는 SCell들 중 SCG에 속하는 SCell들에 관한 정보임. 상기 SCell들의 식별자들이거나, SCG에 속하는 TAG들의 식별자일 수 있음.
UE의 식별자 UE가 SCG의 서빙 셀에서 사용할 C-RNTI임.
DRB 설정 정보 1250 단계에서 SeNB가 전달한 정보
위치 재설정될 DRB의 리스트 1250 단계에서 SeNB가 전달한 정보
스케줄링 정보 처리 관련 정보 1250 단계에서 SeNB가 전달한 정보
측정 설정 정보 측정 대상 리스트 및 관련 정보, 측정 갭 설정 정보, 측정 보고 설정 정보 등. 측정 대상과 셀 그룹 매핑 정보
DRX 설정 정보 DRX와 관련된 각 종 타이머 값, DRX 주기 시작점을 지시하는 값 등. 규격 36.331에 DRX-config로 특정되는 파라미터. MeNB/MCG/M-MAC과 SeNB/SCG/S-MAP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음.
상기한 정보들은 ASN(Abstract Syntax Notation). 1 코딩 방식으로 코딩되어서 UE(1205)에게 전달된다.
이후, 1265단계에서 상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UE(1205)는 새롭게 설정되는 SCell에 대해서 다운 링크 동기를 취득한다. 그리고, 1270단계에서 상기 UE(1205)는 SCell에 대해서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과정을 수행할 준비가 완료되면, 1275단계에서 서빙 셀 추가 응답 제어 메시지를 생성해서 상기 MeNB(1210)으로 전송한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UE(1205)는 서빙 셀 추가 응답 제어 메시지가 생성되면, P_Cell에서 D-SR을 전송하거나 P_Cell에서 랜덤 액세스 과정을 개시하여 상기 서빙 셀 추가 응답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 할당을 요청한다. 그리고, MCG에 속하는 셀로부터 업 링크 자원이 할당되면, 상기 UE(1205)는 할당된 자원을 사용하여 서빙 셀 추가 응답 제어 메시지를 상기 MeNB(121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1280단계에서 상기 UE(1205)가 상기 SeNB(1215)로부터 서빙 셀 추가 응답 제어 메시지에 대한 HARQ ACK을 수신하거나 RLC ACK을 수신하면, SCG의 소정의 서빙 셀에서 랜덤 액세스 과정을 개시한다. 이때, 상기 UE(1205)는 랜덤 액세스 과정을 개시할 SCG의 서빙 셀을 아래와 같은 방법에 의해 결정한다.
[랜덤 액세스 과정을 개시할 SCG 서빙 셀 결정 방법]
먼저, SCG 서빙 셀 중 랜덤 액세스 관련 정보가 설정된 서빙 셀이 하나인 경우 해당 서빙 셀에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한다. 그리고, SCG 서빙 셀 중 랜덤 액세스 관련 정보가 설정된 서빙 셀이 하나 이상이며, 그 중 pSCell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pSCell 에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은 상기 UE(1205)가 서빙 셀의 소정의 주파수 자원으로 서브 프레임(subframe)에 프리앰블(preamble)을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응답 메시지의 제어 정보에 따라 업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에 의해 랜덤 액세스 과정을 완료하면, 상기SeNB(1215)는 상기 UE(1205)가 SCG의 SCell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UE(1250)에 대한 스케줄링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1285단계에서 상기 UE(1205)는 MCG와 SCG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 DRX, 측정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측정은 MeNB의 제어에 의해서 개시되거나 중지되며, 상기 UE(1205)는 상기 MeNB(1210)가 측정을 명령한 측정 대상에 대해서 소정의 측정 샘플링 주기와 측정 보고 주기를 적용해서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 결과 대표값을 RRC에서 관리한다. 상기 UE(1205)는 임의의 시점에 임의의 측정 대상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고, RRC에 측정 결과 대표값을 입력함에 있어서 해당 시점의 DRX 상태, 측정 대상에 설정된 SCell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 측정 대상의 기준 셀 그룹, Nfreq 등을 모두 고려한다. 상기한 측정 및, 상기 측정을 위한 측정 샘플링 주기와 측정 보고 주기를 결정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도 5 내지 도 11의 동작 설명에 상응한다.
한편, 1270단계에서 상기 MeNB(1210)는 상기 UE(1205)에게 서빙 셀 추가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SeNB(1215) 및 S-GW(1220) 등과 DRB 위치 재설정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절차는 상기 SeNB(1215)에서 처리될 DRB의 데이터들을 상기 MeNB(1210)에서 상기 SeNB(1215)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S-GW(1220)와 상기 MeNB(1210)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EPS(Evoled Packet System) 베어러들 중 위치 재설정되는 DRB와 대응되는 EPS 베어러들을 해제하고, 상기 S-GW(1220)와 상기 SeNB(1215) 사이에 EPS 베어러들을 재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SeNB(1215)에서 가능하면 신속하게 데이터 송/수신을 개시하기 위해서, 상기 UE(1205)는 서빙 셀 추가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SeNB(1215)에 대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먼저 개시할 수도 있다. 즉 상기 UE(1205)는 서빙 셀 추가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후 SCell에서 랜덤 액세스를 개시할 준비가 완료되면, 곧 바로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한다. 상기 서빙 셀 추가 응답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절차가 완료된 후 수행하거나 랜덤 액세스 절차와 병행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UE(_1205)는 서빙 셀 추가 응답 메시지가 MeNB(_1210)으로 전송되도록, MCG에 속하는 서빙 셀에 대한 업 링크 전송 자원이 가용해지는 경우에만 상기 서빙 셀 추가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E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E(1300)는, 일 예로, 송수신부(1305), 제어부(1310),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315), 제어 메시지 처리부(1330), 상위 계층 처리부들(1320, 1325)을 포함한다. 상기한 UE(1300)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부분 장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부분 장치들은 하나의 장치로 통합되거나, 서브 장치들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1305)는 서빙 셀의 업링크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다수의 서빙 셀들이 설정된 경우, 상기 송수신부(1305)는 상기 다수의 서빙 셀들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및 제어 신호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송수신부(1305)는 다수의 RF 회로/전단(Radio Frequency Circuit/Front End)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RF 회로/전단의 동작 주파수가 설정된다. 상기 송수신부(1305)는 미리 결정된 측정 샘플링 주기에 상응하게 주파수 내 측정 및 주파수 간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 보고 주기에 상응하게 측정 결과 대표값을 제어부로 전달한다.
상기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_1315)는 상기 상위 계층 처리부들(1320, 1325)과, 상기 제어 메시지 처리부(1335)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상기 송수신부(1305)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역다중화해서 상기 상위 계층 처리부들(1320, 1325) 또는 상기 제어 메시지 처리부(133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 메시지 처리부(1330)는 RRC 계층 장치이며, ENB로부터 수신된 제어 메시지를 처리해서 필요한 동작을 취한다. 예를 들어, RRC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 메시지 처리부(1330)는 SCell 설정 관련 정보, 측정 관련 정보 등을 상기 제어부(1310)로 전달한다.
상기 상위 계층 처리부들(1320, 1325)은 각각 서비스 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위 계층 처리부들(1320, 1325)은 FTP(File Transfer Protocol)나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등과 같은 사용자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처리해서 상기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315)로 전달하거나, 상기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315)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처리해서 상위 계층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310)는 상기 송수신부(1305)를 통해 수신된 스케줄링 명령, 예를 들어, 업링크 그랜트(grant)들을 확인하여 상기 업링크 그랜트가 지시하는 시점에서 미리 할당된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업링크 전송이 수행되도록 상기 송수신부(1305)와 상기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315)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310)는 또한 SCell 설정과 관련된 제반 절차, 측정과 관련된 제반 절차 등을 총괄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본원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3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UE 동작을 제어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NB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일 예로, ENB(1400)는 송수신부(1405), 제어부(1410),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420), 제어 메시지 처리부 (1435), 상위 계층 처리부들(1425, 1430), 스케줄러(1415)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ENB(140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부분 장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부분 장치들은 하나의 장치로 통합되거나, 서브 장치들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1405)는 다운링크 캐리어를 통해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업링크 캐리어를 통해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다수의 캐리어들이 설정된 경우, 상기 송수신부(1405)는 상기 다수의 캐리어들로 데이터 송수신 및 제어 신호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420)는 상기 상위 계층 처리부들(1425, 1430)이나 상기 제어 메시지 처리부(1435)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상기 송수신부(1405)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역다중화해서 상기 상위 계층 처리부들(1425, 1430)이나 상기 제어 메시지 처리부(1435), 혹은 상기 제어부(141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 메시지 처리부(1435)는 UE가 전송한 제어 메시지를 처리해서 필요한 동작을 취하거나, UE에게 전달할 제어 메시지를 생성해서 하위 계층으로 전달한다.
상기 상위 계층 처리부(1425, 1430)는 베어러 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S-GW 혹은 또 다른 ENB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RLC PDU로 구성해서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420)로 전달하거나,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420)로부터 전달된 RLC PDU를 PDCP SDU로 구성해서 S-GW 혹은 다른 ENB으로 전달한다.
상기 스케줄러(1415)는 UE의 버퍼 상태, 채널 상태 등을 고려해서 UE에게 적절한 시점에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송수신부에게 UE이 전송한 신호를 처리하거나 UE에게 신호를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제어부(1410)는 또한 SCell 설정과 관련된 제반 절차, 측정과 관련된 제반 절차 등을 총괄한다. 즉, 앞서 설명한 도 3 내지 도 12에 기술된 동작 중 ENB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아래 용어들의 정의는 규격 36.211, 212, 213을 따른다.
PUCCH, CSI, CQI, PUSCH, PDSCH, HARQ 피드백, 업 링크 그랜트(Uplink Grant), 다운 링크 어사인먼트 (Downlink Assignment), 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한 측정 결과 보고를 기반으로 서빙 셀 추가가 결정되면, 상기 단말이 위치한 피코 셀의 피코 기지국과 서빙 셀 추가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이 지시한 측정 대상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의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은, 상기 서빙 셀 추가 요청을 통해서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위치한 피코 셀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측정 대상인 캐리어에 대해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캐리어에 대해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셀에 대한 수신 신호 품질을 상기 설정된 주기들에 상응하게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의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 주기와 상기 측정 샘플링 주기를 설정하는 과정은,
    불연속 수신 설정 여부와,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셀에 대한 프라이머리 셀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측정 보고 주기 및 상기 측정 샘플링 주기를 상이하게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의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서빙 기지국과 상기 피코 기지국 중 기준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단말의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이 결정되면, 상기 기준의 불연속 수신 여부와, 상기 캐리어에 대한 측정 갭이 설정될 필요가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측정 보고 주기 및 상기 측정 샘플링 주기를 상이하게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의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8.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수신한 측정 결과 보고를 기반으로 서빙 셀의 추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셀의 추가를 결정한 경우, 상기 측정 결과 보고로부터 상기 단말이 위치한 피코 셀의 피코 기지국을 확인하고, 상기 피코 기지국에게 서빙 셀 추가 요청을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부터 서빙 셀 추가 요청에 대한 수락을 수신하면, 상기 피코 기지국과 상기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베어러 설정 과정을 포함하는 기지국의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위치한 피코 셀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러 설정 과정은,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부터 서빙 셀 추가 요청에 대한 수락을 수신하면, 데이터 무선 베어러의 다운 링크 동작을 중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기지국의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1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한 측정 결과 보고를 기반으로 서빙 셀 추가가 결정되면, 상기 단말이 위치한 피코 셀의 피코 기지국과 서빙 셀 추가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서빙 기지국이 지시한 측정 대상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은, 상기 서빙 셀 추가 요청을 통해서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위치한 피코 셀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대상인 캐리어에 대해 측정 보고 주기와 측정 샘플링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캐리어에 대해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셀에 대한 수신 신호 품질을 상기 설정된 주기들에 상응하게 주기적으로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불연속 수신 설정 여부와,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셀에 대한 프라이머리 셀 설정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측정 보고 주기 및 상기 측정 샘플링 주기를 상이하게 결정함을 특징으로 단말.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빙 기지국과 상기 피코 기지국 중 기준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이 결정되면, 상기 기준의 불연속 수신 여부와, 상기 캐리어에 대한 측정 갭이 설정될 필요가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측정 보고 주기 및 상기 측정 샘플링 주기를 상이하게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수신한 측정 결과 보고를 기반으로 서빙 셀의 추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서빙 셀의 추가를 결정한 경우, 상기 측정 결과 보고로부터 상기 단말이 위치한 피코 셀의 피코 기지국을 확인하고, 상기 피코 기지국에게 서빙 셀 추가 요청을 전달하도록 송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부터 서빙 셀 추가 요청에 대한 수락을 수신하면, 상기 피코 기지국과 상기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베어러 설정 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위치한 피코 셀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부터 서빙 셀 추가 요청에 대한 수락을 수신하면, 데이터 무선 베어러의 다운 링크 동작을 중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40011640A 2014-01-29 2014-01-2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088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640A KR102088822B1 (ko) 2014-01-29 2014-01-2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201580013175.9A CN106105302B (zh) 2014-01-29 2015-01-29 由终端使用多个载波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和装置
US15/115,481 US10045243B2 (en) 2014-01-29 2015-01-2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terminal, using multiple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5/000977 WO2015115835A1 (ko) 2014-01-29 2015-01-2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640A KR102088822B1 (ko) 2014-01-29 2014-01-2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704A true KR20150090704A (ko) 2015-08-06
KR102088822B1 KR102088822B1 (ko) 2020-03-13

Family

ID=53757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640A KR102088822B1 (ko) 2014-01-29 2014-01-2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45243B2 (ko)
KR (1) KR102088822B1 (ko)
CN (1) CN106105302B (ko)
WO (1) WO201511583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721A (ko) * 2017-03-22 2019-11-13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2084969B1 (ko) * 2018-10-10 2020-03-0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 셀 연동 처리를 수행하는 통신 서비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90093B2 (ja) * 2015-04-09 2021-06-18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の測定ギャップのためのユーザ装置の無線周波数及び帯域能力
US10097337B2 (en) * 2016-06-10 2018-10-09 Apple In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econdary cell measurement optimization
CN108632904B (zh) * 2017-03-24 2019-09-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通信方法及设备
WO2018176415A1 (zh) * 2017-03-31 2018-10-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协作小区确定方法及网络设备
CN109246846B (zh) * 2017-05-05 2020-08-07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双连接的测量配置方法、测量方法、调度方法及装置、存储介质、基站、终端
WO2019031943A1 (en) * 2017-08-11 2019-02-1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REPORTING A MEASUREMENT RESULT AND DEVICE SUPPORTING THE METHOD
WO2019098928A1 (en) * 2017-11-16 2019-05-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asurement gap configuration in dual connectivity
CN110012481B (zh) * 2018-01-05 2022-08-23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进行sstd测量的方法、装置及用户设备
US11122399B2 (en) * 2018-01-12 2021-09-14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arrier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
US20210227409A1 (en) * 2018-05-14 2021-07-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of Controlling Adaptive UE Beam Measurement Capability
CN110831053B (zh) * 2018-08-07 2021-06-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测量间隔的配置方法及网络节点
US11370001B2 (en) 2019-08-26 2022-06-28 Jeffrey J. Seippel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heat exchanger or water system
US20230007725A1 (en) * 2019-11-29 2023-01-05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Short cycle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3840320A (zh) * 2020-06-24 2021-12-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双连接系统的通信方法及装置
WO2022061830A1 (en) * 2020-09-27 2022-03-31 Apple Inc. Suspended secondary cell group (scg) state relaxed measuremen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4431A (ko) * 2009-03-24 2011-12-14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이동국 및 이동통신방법
KR20120123392A (ko) * 2010-01-08 2012-11-08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다중-반송파/다중-셀 동작을 위해 비연속 수신 및/또는 비연속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2153683A1 (ja) * 2011-05-06 2012-11-1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WO2013141558A1 (ko) * 2012-03-19 2013-09-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캐리어 집적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보고를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2377B2 (ja) 2007-06-19 2012-10-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基地局装置、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ギャップ生成方法
CN102137410B (zh) * 2010-01-26 2014-05-28 中国移动通信集团江苏有限公司 一种获取无线信道参数的方法及装置
EP2525618B1 (en) 2010-02-25 2018-06-20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headroom information in a multi-carrier system
KR101757383B1 (ko) * 2010-06-29 2017-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송파 결합을 지원하는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csi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804923B1 (ko) * 2010-08-16 2017-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 mdt를 위한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3038686A (ja) * 2011-08-10 2013-02-21 Ntt Docomo Inc 移動局及び移動通信方法
EP2829105A4 (en) * 2012-03-19 2016-03-3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REPORT ASSOCIATED WITH DATA DELIVERY AND AGGREGATION OF CARRIERS
JP6053632B2 (ja) * 2013-08-01 2016-12-27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EP2876967B1 (en) * 2013-10-08 2019-06-12 Nokia Technologies Oy Drx operation with dual connectiv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4431A (ko) * 2009-03-24 2011-12-14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이동국 및 이동통신방법
KR20120123392A (ko) * 2010-01-08 2012-11-08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다중-반송파/다중-셀 동작을 위해 비연속 수신 및/또는 비연속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2153683A1 (ja) * 2011-05-06 2012-11-1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WO2013141558A1 (ko) * 2012-03-19 2013-09-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캐리어 집적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보고를 위한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RAN WG2 Meeting #84, R2-134015, 2013.11.02.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721A (ko) * 2017-03-22 2019-11-13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2084969B1 (ko) * 2018-10-10 2020-03-0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 셀 연동 처리를 수행하는 통신 서비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05302B (zh) 2019-11-08
US20170171768A1 (en) 2017-06-15
WO2015115835A1 (ko) 2015-08-06
US10045243B2 (en) 2018-08-07
CN106105302A (zh) 2016-11-09
KR102088822B1 (ko) 2020-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36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serving and neighboring cells
US117439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08882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200220672A1 (en) Multicarrier-base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42525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EP28493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plurality of carrie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40090533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신장치 및 방법
KR20150131821A (ko) 복수의 캐리어들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4004750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성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09080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96440B1 (ko) 기지국간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9955377B2 (en) Transmission control method for buffer status report, user equipment,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50090821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128527A (ko) 다중 연결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PSCell과 SCell의 활성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