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671A -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의 보호 절체를 위한 원격지 노드 및 국사용 노드 - Google Patents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의 보호 절체를 위한 원격지 노드 및 국사용 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671A
KR20150090671A KR1020140011578A KR20140011578A KR20150090671A KR 20150090671 A KR20150090671 A KR 20150090671A KR 1020140011578 A KR1020140011578 A KR 1020140011578A KR 20140011578 A KR20140011578 A KR 20140011578A KR 20150090671 A KR20150090671 A KR 20150090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optical fiber
ring network
bidirectional si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열
이광용
Original Assignee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1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0671A/ko
Publication of KR20150090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6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87Protection in WD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7Arrangements for networking
    • H04B10/275Ring-typ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78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 H04J14/0283WDM ring archite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ring network)의 보호 절체를 위한 원격지 노드 및 국사용 노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원격지 노드는, 적어도 4개의 필터 및 적어도 2개의 광파워 분배기,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양방향 단일 광섬유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원격지의 광송수신기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의 보호 절체를 위한 원격지 노드 및 국사용 노드{REMOTE NODE AND CENTRAL OFFICE NODE FOR PROTECTING BIDIRECTIONAL SINGLE OPTICAL FIBER WDM RING NETWORK}
본 발명은 광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ring network)의 보호 절체를 위한 원격지 노드 및 국사용 노드에 관한 것이다.
국간망(metro network) 및 전달망(transport network) 등에 사용되어 온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ring network)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원격지 위치에 수동형 필터 소자들로 구성된 광 애드/드롭 다중화기(OADM: optical add/drop multiplexer, 10, 20, 30, 40)들 간을 광섬유(1, 2, 3, 4)로 연결하여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광통신을 수행한다.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의 보호 절체 기능을,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광송수신기(18, 19)를 포함하는 원격지 장비를 기준으로 두개의 광송수신기(38, 39)를 포함하는 원격지 장비와 동쪽 경로(East Path) 및 서쪽 경로(West Path)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법으로 설명한다. 두개의 광송수신기(18, 19)를 포함하는 원격지 장비를 기준으로, 동쪽 경로로 송신되는 광신호는 광송수신기(19)의 송신기에서 출발하여 OADM(10) -> 광섬유(2) -> OADM(20) -> 광섬유(3) -> OADM(30)을 통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광송수신기(38)의 수신기로 전달된다. 또한 동쪽 경로(East Path)로 수신되는 신호는 광송수신기(38)의 송신기에서 출발하여 OADM(30) -> 광섬유(3) -> OADM(20) -> 광섬유(2) -> OADM(10)을 통하여 광송수신기(19)의 수신기로 전달된다. 서쪽 경로로 송신되는 신호는 광송수신기(18)의 송신기에서 출발하여 OADM(10) -> 광섬유(1) -> OADM(40) -> 광섬유(4) -> OADM(30)을 통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광송수신기(39)의 수신기로 전달된다. 또한, 서쪽 경로로 수신되는 신호는 광송수신기(39)의 송신기에서 출발하여 OADM(30) -> 광섬유(4) -> OADM(40) -> 광섬유(1) -> OADM(10)을 통하여 광송수신기(18)의 수신기로 전달된다. 평상시에는 동쪽 경로로만 통신을 수행하다가 동쪽 경로상에 이상이 발생하면 서쪽 경로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보호 절체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용 OADM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OADM들(10, 20, 30, 40)은 하향 광신호의 k 번째 파장(λDK)을 투과 또는 반사시키고 나머지 파장들(λD1,..., λDK -1, λDK +1,..., λDN)은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드롭필터들(11, 13)과 상향 광신호의 k 번째 파장(λUK)을 투과 또는 반사시키고 나머지 파장들 (λU1,..., λUK -1, λUK +1,..., λUN)은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애드필터들로 구성된다.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의 통신에 관한 일반적인 기술 사항 등은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Telecommunication) G.695, ITU-T G.698.1 등에 상술되어 있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본 문헌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8467호 (2004.06.10. 공개)
본 발명은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ring network)의 보호 절체를 위한 원격지 노드 및 국사용 노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ring network)의 보호 절체를 위한 원격지 노드는, 적어도 4개의 필터 및 적어도 2개의 광파워 분배기와, 상기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양방향 단일 광섬유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와, 상기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원격지의 광송수신기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ring network)의 보호 절체를 위한 국사용 노드는, 적어도 4개의 필터 및 적어도 2개의 광스위치와, 상기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양방향 단일 광섬유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와, 상기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국사용 광송수신기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ring network)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노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노드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국사용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노드는, 적어도 4개의 필터 및 적어도 2개의 광파워 분배기와, 상기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양방향 단일 광섬유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와, 상기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원격지의 광송수신기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국사용 노드는, 적어도 4개의 필터 및 적어도 2개의 광스위치와, 상기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양방향 단일 광섬유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와, 상기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국사용 광송수신기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ring network)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노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노드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er)쌍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노드는, 적어도 4개의 필터 및 적어도 2개의 광파워 분배기와, 상기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양방향 단일 광섬유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와, 상기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원격지의 광송수신기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OADM쌍은, 적어도 4개의 필터와, 상기 양방향 단일 광섬유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와, 상기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국사용 광송수신기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의 보호 절체를 위하여 사용되는 광송수신기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원격지 노드가 별도의 보호 절체 기능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인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으며, 보호 절체로 인한 신뢰성이 높은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
도 2는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용 OADM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용 원격지 노드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용 국사용 노드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원격지에 위치한 수동형 광소자를 포함하는 원격지 노드(Remote Node)들과 집중화 국사(Central Office)가 포함하는 국사용 노드들을 하나의 광섬유로 접속하는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ring network) 시스템에 있어서, 원격지 노드 및 국사용 노드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송수신기들(219, 229, 239)과 접속되는 원격지 노드들(410, 420, 430), 국사용 광송수신기들(319, 329, 339)과 접속되는 국사용 노드들(510, 520, 530)을 각각 하나의 광섬유들(301, 302, 303, 304)로 접속하여 보호 절체 기능을 갖는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광섬유들(301, 302, 303, 304)로 구성되는 고리를 통해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광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효율적인 보호절체 운용을 위하여 집중화 국사(1000)가 국사용 광송수신기들(319, 329, 339)과 국사용 노드들(510, 520, 530) 및 보호 절체를 위한 회로 등을 하나의 장치로 구성하여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용 원격지 노드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지 노드들(410, 420, 430)은 하향 광신호의 k 번째 파장(λDK)을 투과 또는 반사시키고 나머지 파장들(λD1,..., λDK -1, λDK +1,..., λDN)은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드롭필터들(411, 413)과 상향 광신호의 k 번째 파장 (λUK)을 투과 또는 반사시키고 나머지 파장들(λU1,..., λUK -1, λUK +1,..., λUN)은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애드필터들(412, 414)을 접속한 두개의 필터그룹(411+413, 412+414)에 대하여 두개의 드롭필터들(411, 413)과 접속되는 광파워 분배기(415a)와 두개의 애드필터들(412, 414)과 접속되는 광파워 분배기(415b)로 구성될 수 있다.
원격지 노드들(410, 420, 430)은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 고리형 네트워크로부터 시계 방향 광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드롭필터(411)의 하나의 광섬유 포트(P1)와 접속하며, 반시계 방향 광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애드필터(414)의 하나의 광섬유 포트(P2)와 접속할 수 있다.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 고리형 네트워크로 시계 방향 광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애드필터(414)의 하나의 광섬유 포트(P2)와 접속하며, 반시계 방향 광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드롭필터(411)의 하나의 광섬유 포트(P1)와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원격지의 광송수신기들(219, 229, 239)과 접속하기 위하여 광파워 분배기(415a)의 하나의 광섬유 포트(P3)와 광송수신시기들(219, 229, 239)의 수신기 포트와 접속되며, 광파워 분배기(415b)의 하나의 광섬유 포트(P4)와 광송수신기들(219, 229, 239)의 송신기 포트와 접속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용 국사용 노드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사용 노드들(510, 520, 530)은 상향 광신호의 k 번째 파장(λDK)을 투과 또는 반사시키고 나머지 파장들(λD1,..., λDK -1, λDK +1,..., λDN)은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드롭필터들(511, 513)과 하향 광신호의 k 번째 파장 (λUK)을 투과 또는 반사시키고 나머지 파장들(λU1,..., λUK -1, λUK +1,..., λUN)은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애드필터들(512, 514)을 접속한 두개의 필터그룹(511+513, 512+514)에 대하여 두개의 드롭필터들(511, 513)과 접속되는 광스위치(515a)와 두개의 애드필터들(512, 514)과 접속되는 광스위치(515b)를 포함할 수 있다.
국사용 노드들(510, 520, 530)은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 고리형 네트워크로부터 시계 방향 광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드롭필터(511)의 하나의 광섬유 포트(P11)와 접속하며, 반시계 방향 광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애드필터(514)의 하나의 광섬유 포트(P12)와 접속할 수 있다.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 고리형 네트워크로 시계 방향 광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애드필터(514)의 하나의 광섬유 포트(P12)와 접속하며, 반시계 방향 광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드롭필터(511)의 하나의 광섬유 포트(P11)와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국사용 광송수신기들(319, 329, 339)과 접속하기 위하여 광스위치(515a)의 하나의 광섬유 포트(P13)와 국사용 광송수신기들(319, 329, 339)의 수신기 포트와 접속하며, 광스위치(515b)의 하나의 광섬유 포트(P14)와 국사용 광송수신기들(319, 329, 339)의 송신기 포트와 접속할 수 있다.
도 3, 4 및 5를 참조하여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에서의 보호 절체 방법을 설명한다. 국사용 광송수신기(319)와 접속된 국사용 노드(510)에 포함된 광스위치들(515a, 515b)은 평상시에는 드롭필터(511)와 애드필터(512)로 접속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국사용 광송수신기(319)에서 송신되는 광신호는 국사용 노드(510) -> 광섬유(301) -> 원격지 노드(410)를 통하여 원격지의 광송수신기(219)에 수신될 수 있다. 또한, 국사용 광송수신기(319)로 수신되는 광신호는 원격지의 광송수신기(219)에서 송신되어 원격지 노드(410) -> 광섬유 (301) -> 국사용 노드(510)를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광섬유(301)를 포함하는 평상시의 송수신 경로상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국사용 광송수신기(319)에서 LOS(loss of signal), LOF(loss of frame) 또는 BER(bit error rate) 등과 같은 광신호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이상 신호가 검출될 수 있으며, 국사용 광송수신기(319)에서 전달된 이상 신호를 이용하여 국사용 노드(510)에 포함된 광스위치들(515a, 515b)은 드롭필터(513)와 애드필터(514)와 접속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국사용 광송수신기(319)에서 송신되는 광신호는 국사용 노드(510) -> 국사용 노드(520) -> 국사용 노드(530) -> 광섬유(304) -> 원격지 노드(430) -> 광섬유(303) -> 원격지 노드(420) -> 광섬유(302) -> 원격지 노드 (410)를 통하여 원격지의 광송수신기(219)에 수신될 수 있다. 또한, 국사용 광송수신기(319)로 수신되는 광신호는 원격지의 광송수신기(219)에서 송신되어 원격지 노드(410) -> 광섬유(302) -> 원격지 노드(420) -> 광섬유(303) -> 원격지 노드(430) -> 광섬유(304) -> 국사용 노드(530) -> 국사용 노드(520) -> 국사용 노드(510)를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즉, 평상시나 보호 절체의 상황에서 국사용 광송수신기(319)는 항상 원격지의 광송수신기(219)와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지 노드들(610, 620, 630)의 구성은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다. 일 실시예로서, 국사용 장비(2000)를 구성함에 있어서, 다수의 OADM들(710, 720, 730)과 다수의 국사용 광송수신기쌍들({719, 729}, {739, 749}, {759, 769})이 접속되어 구성된다. 개별 OADM(710, 720, 730)의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의 보호 절체 방법을 설명한다. 평상시에는 국사용 광송수신기쌍들({719, 729}) 중 제1 국사용 광송수신기(719)만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국사용 광송수신기(719)에서 송신되는 광신호는 OADM(710) -> 광섬유(601) -> 원격지 노드(610)를 통하여 원격지의 광송수신기(619)에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제1 국사용 광송수신기(719)로 수신되는 광신호는 원격지의 광송수신기(619)에서 송신되어 원격지 노드(610) -> 광섬유 (601) -> OADM (710)를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광섬유(601)를 포함하는 평상시의 송수신 경로 상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제1 국사용 광송수신기(719)에서 LOS(loss of signal), LOF(loss of frame) 또는 BER(bit error rate) 등과 같은 광신호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이상 신호가 검출될 수 있으며, 제1 국사용 광송수신기(719)에서 전달된 이상 신호를 이용하여 제2 국사용 광송수신기(729)를 동작시키고 제1 국사용 광송수신기 (719)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국사용 광송수신기(729)에서 송신되는 광신호는 OADM(710) -> OADM(720) -> OADM(730) -> 광섬유(604) -> 원격지 노드(630) -> 광섬유(603) -> 원격지 노드(620) -> 광섬유(602) -> 원격지 노드(610)를 통하여 원격지 광송수신기(619)에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제2 국사용 광송수신기(729)로 수신되는 광신호는 원격지의 광송수신기(619)에서 송신되어 원격지 노드(610) -> 광섬유(602) -> 원격지 노드(620) -> 광섬유(603) -> 원격지 노드(630) -> 광섬유(604) -> OADM(730) -> OADM(720) -> OADM(710)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즉, 평상시나 보호 절체의 상황에서 국사용 광송수신기쌍(719, 729)은 항상 원격지의 광송수신기(619)와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특정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2,3,4,301,302,303,304,601,602,603,604: 광섬유
10,20,30,40,710,720,730: OADM
18,19,28,29,38,39,48,49,219.229,239,319,329,339,619,629,639,719,729,739,749,759,769: 광송수신기
11,12,13,14,411,412,413,414,511,512,513,514: 필터
415a,415b: 광파워 분배기 515a,515b: 광스위치

Claims (5)

  1.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ring network)의 보호 절체를 위한 원격지 노드로서,
    적어도 4개의 필터 및 적어도 2개의 광파워 분배기와,
    상기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양방향 단일 광섬유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와,
    상기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원격지의 광송수신기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를 포함하는, 원격지 노드.
  2.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ring network)의 보호 절체를 위한 국사용 노드로서,
    적어도 4개의 필터 및 적어도 2개의 광스위치와,
    상기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양방향 단일 광섬유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와,
    상기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국사용 광송수신기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를 포함하는, 국사용 노드.
  3.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ring network)로서,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노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노드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국사용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노드는,
    적어도 4개의 필터 및 적어도 2개의 광파워 분배기와,
    상기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양방향 단일 광섬유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와,
    상기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원격지의 광송수신기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국사용 노드는,
    적어도 4개의 필터 및 적어도 2개의 광스위치와,
    상기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양방향 단일 광섬유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와,
    상기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국사용 광송수신기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를 포함하는,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국사용 노드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4개의 필터는 제1 드롭필터, 제2 드롭필터, 제1 애드필터, 제2 애드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광스위치는,
    평상시에는 상기 제1 드롭필터 및 상기 제1 애드필터와 상기 국사용 광송수신기를 접속하고,
    상기 국사용 광송수신기에서 이상 신호를 전달 받으면, 상기 제2 드롭필터 및 상기 제2 애드필터와 상기 국사용 광송수신기를 접속하도록 설정하는,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
  5.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ring network)로서,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노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노드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er)쌍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노드는,
    적어도 4개의 필터 및 적어도 2개의 광파워 분배기와,
    상기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양방향 단일 광섬유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와,
    상기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원격지의 광송수신기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OADM쌍은,
    적어도 4개의 필터와,
    상기 양방향 단일 광섬유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와,
    상기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국사용 광송수신기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광섬유 포트를 포함하는,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


KR1020140011578A 2014-01-29 2014-01-29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의 보호 절체를 위한 원격지 노드 및 국사용 노드 KR201500906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578A KR20150090671A (ko) 2014-01-29 2014-01-29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의 보호 절체를 위한 원격지 노드 및 국사용 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578A KR20150090671A (ko) 2014-01-29 2014-01-29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의 보호 절체를 위한 원격지 노드 및 국사용 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671A true KR20150090671A (ko) 2015-08-06

Family

ID=5388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578A KR20150090671A (ko) 2014-01-29 2014-01-29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의 보호 절체를 위한 원격지 노드 및 국사용 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06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699A (ko) * 2018-04-10 2019-10-21 (주)노티스 광학적 시간 영역 반사 측정기를 이용한 광선로 원거리 노드 식별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원거리 노드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699A (ko) * 2018-04-10 2019-10-21 (주)노티스 광학적 시간 영역 반사 측정기를 이용한 광선로 원거리 노드 식별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원거리 노드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033B1 (ko) 양방향 파장분할다중방식 수동형 광가입자망
US20050141892A1 (en) Wavelength-division multiplexed self-healing passive optical network
US9059815B2 (en) Broadband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optical channel protection apparatus
US10659186B2 (en) Multiplexing two separate optical links with the same wavelength using asymmetric combining and splitting
WO2005098994A1 (en) Thread-type flexible battery
US10615868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fault detection method
US20100008669A1 (en) Hybrid network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US20080019696A1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of Ring Type
KR20140110736A (ko) 신호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양방향 cwdm 환형 네트워크 시스템
US10044462B2 (en) Optical ring network
US9077473B2 (en) Optical network apparatus for self-seeded communications
JP4069130B2 (ja) 双方向光アド/ドロップマルチプレクサー及びこれを用いた双方向波長分割多重方式の環状ネットワーク
KR20150090671A (ko) 양방향 단일 광섬유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의 보호 절체를 위한 원격지 노드 및 국사용 노드
CN103916206A (zh) 具有互保护机制的双wdm-pon网络体系结构和方法
JP2018113556A (ja) 波長多重光通信システム
JP6221219B2 (ja) 冗長システム、光通信装置及び親局装置
US6616348B1 (en) Method and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for bidirectional protection protocols
KR20150090667A (ko) 파장분할다중 고리형 네트워크의 보호 절체를 위한 원격지 노드 및 국사용 노드
KR100429042B1 (ko) 양방향 애드 다중화기 및 드롭 역다중화기를 기반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다중방식 자기치유 환형망
KR20130017821A (ko)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단심 환형망에서의 보호복구 절체 장치
US20080075461A1 (e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Adopted Dual Central Office
Ghelfi et al. Optical cross connects architecture with per-node add&drop functionality
CN114697773B (zh) 通信网络架构
CN101005319B (zh) 环形光传输网接入节点
KR100967973B1 (ko) 광순환기와 방향성광결합기를 구성한 다중화 및 역다중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