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440A -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를 위한 연소 전환방법 - Google Patents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를 위한 연소 전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440A
KR20150090440A KR1020140011090A KR20140011090A KR20150090440A KR 20150090440 A KR20150090440 A KR 20150090440A KR 1020140011090 A KR1020140011090 A KR 1020140011090A KR 20140011090 A KR20140011090 A KR 20140011090A KR 20150090440 A KR20150090440 A KR 20150090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boiler
exhaust
pressure switch
stand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9439B1 (ko
Inventor
김수영
주기동
이헌재
김규호
지윤성
노홍일
조남근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1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439B1/ko
Publication of KR20150090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2Direct CO2 mitigation

Landscapes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를 위한 연소 전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어부에서 보일러의 설치 후 초기 연소지시가 내려지면 기억장치 내에 기 입력되어 있는 현재 해당 보일러의 표준 또는 연장 배기연도 길이에 따른 연소사양을 확인하는 단계와; 송풍팬를 구동시키는 단계와; 송풍팬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에 도달되었는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송풍팬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에 도달하면 풍압스위치가 "온"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풍압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정상연소를 지속하는 단계와; 풍압스위치가 "오프" 상태이면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배기 연도의 연장 설치 조건에 따른 연소사양을 수동 전환에서 자동전환으로 변경시켜 초기 설치시 설치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설치조건에 따른 오 설정으로 인한 클레임을 저감할 수 있으며, 설치조건에 따른 공기 및 가스량의 공급으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CO의 배출량을 절감할 수 있고, 연소사양의 자동 전환으로 제품의 가동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어 보일러 자체의 상품성과 연소제어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를 위한 연소 전환방법{Combustion conversion method for preventiong incomplete combustion of boiler}
본 발명은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를 위한 연소 전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일러의 설치 조건을 확인하여 현재의 연도 길이에 따른 연소사양에서 공기 및 가스량의 공급량이 맞지 않을 경우 현재 연도 길이에 따른 연소사양을 변경하여 실제 연도 길이에 대응하는 공기 및 가스량의 공급량을 적정하게 공급하여 연소효율 및 CO 배출량을 개선하고 제품의 한계가 되었을 때 안전정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Boiler)는, 석유나 석탄 및 가스 등을 연료로 사용하여 이를 연소시키거나 히터에 전기를 공급시켜 발생되는 연소열 및 전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여 각종 난방시설 등에 더운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을 끓이는 시설을 말하며, 주택용 보일러의 경우에는 실내의 바닥 등에 설치된 배관에 더운 물을 공급하여 난방을 하거나, 급수관을 통해 온수의 공급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보일러의 설치시 배기 연도의 길이에 따라 배기의 부하가 변경되므로 연도 길이에 따른 연소사양을 설정해 주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보일러의 설치 시 해당 연도의 길이에 맞는 사양을 설치자가 직접 수동으로 조작하여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보일러의 설치시 해당 연도의 길이에 맞는 사양을 설치자가 직접 전환시켜야 하기 때문에 부주의로 인해 전환을 잊거나, 조작이 잘못될 수 있는 문제점이 기본적으로 있으며, 이에 따라 맞지 않는 연소 사양으로 인해 효율 저하되거나, CO 배출량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음은 물론 오작동으로 인한 제품의 정지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가지의 연소사양에 대해서 배기부하 또는 배기 막힘에 대해서 CO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조기에 안전 정지를 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어 소비자의 불편함을 발생시킨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7-0033689호(2007년 03월 27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259708호(2000년 03월 27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243898호(1999년 11월 18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보일러의 본체 및 배기연도 등의 설치 완료 후 연소지시가 발생되면 최초에는 해당 보일러의 표준 연도길이에 따른 연소사양으로 송풍팬을 정해진 회전수(예를 들어 최대회전수)까지 구동시킨 상태에서 급/배기 통로부에 설치된 풍압스위치가 "온"되면 표준 연도로 인식하고 정상 연소를 실시하되, 송풍팬이 정해진 회전수를 갖는데 풍압스위치가 "오프"상태이면 배기 연도의 길이 변경으로 인한 부하가 발생하여 공기량이 줄은 것으로 판단하여 연소사양을 연장 배기연도 연소사양으로 변경 확정하고, 상기와 같이 연장 배기연도 연소사양 상태에서 송풍팬을 다시 가동하여 정해진 회전수에 도달이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풍압스위치가 "오프"일 경우는 제품의 한계에서 공기량이 줄은 것으로 판단하여 에러 상태로 표시함은 물론 안전 정지함으로써 배기 연도의 연장 설치 조건에 따른 연소사양을 수동 전환에서 자동전환으로 변경시켜 초기 설치시 설치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설치조건에 따른 오 설정으로 인한 클레임을 저감할 수 있으며, 설치조건에 따른 공기 및 가스량의 공급으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CO의 배출량을 절감할 수 있고, 연소사양의 자동 전환으로 제품의 가동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는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를 위한 연소 전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방법은, 온도조절장치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연산장치와 기억장치를 구비한 제어부에서 초기 연소지시를 내려 송풍팬 구동부를 통해 송풍팬을 구동시키면서 연소를 진행하기 전 보일러 내부의 급/배기 통로부에 설치한 풍압스위치를 통해 배기상태를 검출하고, 그 결과에 부응하여 정상배기 또는 불완전 배기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보일러의 설치 후 초기 연소지시가 내려지면 기억장치 내에 기 입력되어 있는 현재 해당 보일러의 표준 또는 연장 배기연도 길이에 따른 연소사양을 확인하는 단계와; 송풍팬를 구동시키는 단계와; 송풍팬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에 도달되었는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송풍팬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에 도달하면 풍압스위치가 "온"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풍압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정상연소를 지속하는 단계와; 풍압스위치가 "오프" 상태이면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에서 풍압스위치가 "오프"인 상태에서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인지를 판단한 결과,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이면, 현재 보일러에 연결되어 있는 배기연도의 길이가 표준 배기연도보다 길게 연장된 배기연도로 인식하고 연장된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으로 변경 및 기억한 다음 현재 해당 보일러의 표준 또는 연장 배기연도 길이에 따른 연소사양을 확인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풍압스위치가 "오프"인 상태에서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인지를 판단한 결과,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도 아니면, 배기연도가 막힌 것으로 인지하고 표시부에 "에러"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에서 풍압스위치가 "오프"인 상태에서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인지를 판단한 결과,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도 아니면, 배기연도가 막힌 것으로 인지하고 버너를 안전 정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풍압스위치가 "오프"된 경우, 상기 풍압스위치의 "오프" 검지횟수를 계수하여 정해진 횟수 이상일 경우에만 배기연도 연소사양을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를 위한 연소 전환방법에 의하면, 보일러의 본체 및 배기연도 등의 설치 완료 후 연소지시가 발생되면 최초에는 해당 보일러의 표준 연도길이에 따른 연소사양으로 송풍팬을 정해진 회전수(예를 들어 최대회전수)까지 구동시킨 상태에서 급/배기 통로부에 설치된 풍압스위치가 "온"되면 표준 연도로 인식하고 정상 연소를 실시하되, 송풍팬이 정해진 회전수를 갖는데 풍압스위치가 "오프"상태이면 배기 연도의 길이 변경으로 인한 부하가 발생하여 공기량이 줄은 것으로 판단하여 연소사양을 연장 배기연도 연소사양으로 변경 확정하고, 상기와 같이 연장 배기연도 연소사양 상태에서 송풍팬을 다시 가동하여 정해진 회전수에 도달이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풍압스위치가 "오프"일 경우는 제품의 한계에서 공기량이 줄은 것으로 판단하여 에러 상태로 표시함은 물론 안전 정지시켜 줌으로써 배기 연도의 연장 설치 조건에 따른 연소사양을 수동 전환에서 자동전환으로 변경시켜 초기 설치시 설치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설치조건에 따른 오 설정으로 인한 클레임을 저감할 수 있으며, 설치조건에 따른 공기 및 가스량의 공급으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CO의 배출량을 절감할 수 있고, 연소사양의 자동 전환으로 제품의 가동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어 보일러 자체의 상품성과 연소제어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 방법에서 적용한 배기연도 길이에 따른 연소사양 변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방법에서 적용한 배기연도 길이에 따른 연소사양 변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방법은,
온도조절장치(1)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연산장치(21)와 기억장치(22)를 구비한 제어부(2)에서 초기 연소지시를 내려 송풍팬 구동부(3)와 가스밸브 구동부(4)를 통해 송풍팬(31)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버너에 가스를 공급시켜 연소를 진행시키면서 급/배기부 통로부에 설치된 풍압스위치(5)를 통해 배기상태를 검출하고, 그 결과에 부응하여 정상배기 또는 불완전 배기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에서 보일러의 설치 후 초기 연소지시가 내려지면 기억장치(22) 내에 기 입력되어 있는 현재 해당 보일러의 표준 또는 연장 배기연도 길이에 따른 연소사양을 확인하는 단계와;
송풍팬(31)를 구동시키는 단계와;
송풍팬(31)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에 도달되었는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송풍팬(31)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에 도달하면 풍압스위치(5)가 "온"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풍압스위치(5)가 "온" 상태이면 정상연소를 지속하는 단계와;
풍압스위치(5)가 "오프" 상태이면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에서 풍압스위치(5)가 "오프"인 상태에서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인지를 판단한 결과,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이면, 현재 보일러에 연결되어 있는 배기연도의 길이가 표준 배기연도보다 길게 연장된 배기연도로 인식하고 연장된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으로 변경 및 기억한 다음 현재 해당 보일러의 표준 또는 연장 배기연도 길이에 따른 연소사양을 확인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풍압스위치(5)가 "오프"인 상태에서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인지를 판단한 결과,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도 아니면, 배기연도가 막힌 것으로 인지하고 표시부(6)에 "에러"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에서 풍압스위치(5)가 "오프"인 상태에서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인지를 판단한 결과,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도 아니면, 배기연도가 막힌 것으로 인지하고 버너를 안전 정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풍압스위치(5)가 "오프"된 경우, 상기 풍압스위치(5)의 "오프" 검지횟수를 계수하여 정해진 횟수(예를 들어 2~5회) 이상일 경우에만 배기연도 연소사양을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7은 출탕온도 검출장치이고, 8은 불꽃 감지장치이다.
이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를 위한 연소 전환방법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산장치(21)와 기억장치(22)를 구비한 보일러 내 제어부(2)에서 보일러가 설치된 초기, 사용자 또는 설치자에 의해 조작되는 온도조절장치(1)를 통해 연소요구 신호가 입력되면(즉, 연소지시가 내려지면), 기억장치(22) 내에 기 입력되어 있는 현재 해당 보일러의 표준 또는 연장 배기연도 길이에 따른 연소사양을 확인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2)에서는 송풍팬 구동부(3)와 가스밸브 구동부(4)를 통해 송풍팬(31)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가스밸브(41)를 열어 버너에 가스를 공급시킴은 물론 전화를 실시하여 연소를 진행시킨 다음 상기 송풍팬(31)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에 도달되었는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판단한 결과 송풍팬(31)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에 도달하면 그 때 급/배기부 통로부 측에에 설치되어 있는 풍압스위치(5)가 "온" 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풍압스위치(5)는 정상 배기 상태에서는 송풍팬(31)에 의해 발생된 공기가 빠른 속도로 배기될 때 발생되는 빠른 배기력에 의해 "온"이 되므로 상기 단계에서 송풍팬(31)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에 도달하였을 때 풍압스위치(5)가 "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2)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풍압스위치(5)가 "온" 상태이면 정상적인 연소상태를 유지시켜 주게 된다.
즉, 최초 표준 배기연도 연소사양 상태에서 연소 초기에 송풍팬(31)이 가동되어 정해진 최대 회전수에 도달이 되었을 때 풍압스위치(5)의 상태를 확인한 결과, 상기 풍압스위치(5)가 "온" 상태일 경우는 현재상태에 대해서 공기량의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여 표준 상태에서 연소를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풍압스위치(5)의 상태를 판단한 결과, 상기 풍압스위치(5)가 "오프" 상태이면,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풍압스위치(5)가 "오프"인 상태에서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인지를 판단한 결과,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이면, 현재 보일러에 연결되어 있는 배기연도의 길이가 표준 배기연도보다 길게 연장된 배기연도로 인식하고 도 3과 같이 연장된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으로 변경 및 기억한 다음 현재 해당 보일러의 표준 또는 연장 배기연도 길이에 따른 연소사양을 확인하는 단계로 되돌아가 그 이후 단계를 반복수행하게 된다.
즉, 최초 표준 배기연도 연소사양 상태에서 연소 초기에 송풍팬(31)이 가동되어 정해진 최대 회전수에 도달이 되었을 때, 상기 풍압스위치(5)의 상태를 확인한 결과 상기 풍압스위치(5)가 "오프" 상태이면 배기연도의 길이 변경으로 인한 부하가 발생하여 공기량이 줄은 것으로 판단하고, 연소사양을 연장 배기연도 연소사양으로 변경 확정한 다음 현재 해당 보일러의 표준 또는 연장 배기연도 길이에 따른 연소사양을 확인하는 단계로 되돌아가 그 이후 단계를 반복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풍압스위치(5)가 "오프"인 상태에서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인지를 판단한 결과,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도 아니면, 배기연도가 막힌 것으로 인지하고 표시부(6)에 "에러" 상태를 표시함은 물론, 버너를 안전 정지시키게 된다.
즉, 연소사양을 연장 배기연도 연소사양으로 변경 확정한 다음 현재 해당 보일러의 표준 또는 연장 배기연도 길이에 따른 연소사양을 확인하는 단계부터 재실시한 후 연장 배기연도 연소사양 상태에서 연소 초기에 송풍팬(31)이 가동되어 정해진 최대 회전수에 도달이 되었을 때, 상기 풍압스위치(5)의 상태를 확인한 결과 그래도 상기 풍압스위치(5)가 "오프" 상태이면 제품의 한계에서 공기량이 줄은 것으로 판단하고 표시부(6)에 "에러"를 표시해 줌은 물론 버너를 안전 정지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표준 배기연도 연소사양에서 제품의 사용 중에 배기 막힘에 의해 상기 풍압스위치(5)가 "오프" 상태가 되면 현상태에서 CO의 발생이 많으므로 상기와 같이 연장 배기연도 연소사양으로 자동 변경하여 CO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제품의 수정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초기 설치시 설치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설치조건에 따른 오 설정으로 인한 클레임을 저감할 수 있으며, 설치조건에 따른 공기 및 가스량의 공급으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CO의 배출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연소사양의 자동 전환으로 제품의 가동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으므로 보일러 자체의 상품성과 연소제어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지금까지의 설명은 상기 풍압스위치(5)가 "오프"된 상태로 검지되면 표준 배기연도 연소사양에서 연장 배기연도 연소사양으로 변경을 한 예만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비록 도 2의 플로챠트에서 상세한 기재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풍압스위치(5)의 "오프" 상태 검지횟수를 한정(예를 들어 2~5회)하여 그 횟수 이상일 경우에만 배기연도 연소사양을 변경하여 배기 막힘 상태 검지에 따른 정확도를 높일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온도조절장치
2 : 제어부
21 : 연산장치 22 : 기억장치
3 : 송풍팬 구동부 31 : 송풍팬
4 : 가스밸브 구동부 41 : 가스밸브
5 : 풍압스위치
6 : 표시부
7 : 출탕온도 검출장치
8 : 불꽃 감지장치

Claims (5)

  1. 온도조절장치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제어부에서 보일러의 설치 후 초기 연소지시가 내려지면 기억장치 내에 기 입력되어 있는 현재 해당 보일러의 표준 또는 연장 배기연도 길이에 따른 연소사양을 확인하는 단계와;
    송풍팬를 구동시키는 단계와;
    송풍팬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에 도달되었는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송풍팬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에 도달하면 풍압스위치가 "온"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풍압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정상연소를 지속하는 단계와;
    풍압스위치가 "오프" 상태이면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를 위한 연소 전환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풍압스위치가 "오프"인 상태에서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인지를 판단한 결과,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이면,
    현재 보일러에 연결되어 있는 배기연도의 길이가 표준 배기연도보다 길게 연장된 배기연도로 인식하고 연장된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으로 변경 및 기억한 다음 현재 해당 보일러의 표준 또는 연장 배기연도 길이에 따른 연소사양을 확인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를 위한 연소 전환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풍압스위치가 "오프"인 상태에서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인지를 판단한 결과,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도 아니면,
    배기연도가 막힌 것으로 인지하고 표시부에 "에러"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를 위한 연소 전환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풍압스위치가 "오프"인 상태에서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인지를 판단한 결과, 현재 배기 연소사양이 해당 보일러의 표준 배기연도에 따른 연소사양도 아니면,
    배기연도가 막힌 것으로 인지하고 버너를 안전 정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를 위한 연소 전환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풍압스위치가 "오프"된 경우, 상기 풍압스위치의 "오프" 검지횟수를 계수하여 정해진 횟수 이상일 경우에만 배기연도 연소사양을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를 위한 연소 전환방법.
KR1020140011090A 2014-01-29 2014-01-29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를 위한 연소 전환방법 KR101549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090A KR101549439B1 (ko) 2014-01-29 2014-01-29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를 위한 연소 전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090A KR101549439B1 (ko) 2014-01-29 2014-01-29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를 위한 연소 전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440A true KR20150090440A (ko) 2015-08-06
KR101549439B1 KR101549439B1 (ko) 2015-09-02

Family

ID=53885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090A KR101549439B1 (ko) 2014-01-29 2014-01-29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를 위한 연소 전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4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0244A (zh) * 2019-05-14 2019-09-10 深圳市合信达控制系统有限公司 一种提高燃烧效率的方法、系统及燃气壁挂炉
CN110906560A (zh) * 2019-11-06 2020-03-24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燃气采暖热水炉基于烟道堵塞检测的工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045A (ko) 2017-10-17 2019-04-25 (주)엠에이피테크 배면에 액세서리가 부착된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의 무선충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0561B2 (ja) 2001-04-20 2011-03-02 株式会社ノーリツ 燃焼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0244A (zh) * 2019-05-14 2019-09-10 深圳市合信达控制系统有限公司 一种提高燃烧效率的方法、系统及燃气壁挂炉
CN110906560A (zh) * 2019-11-06 2020-03-24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燃气采暖热水炉基于烟道堵塞检测的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439B1 (ko)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709B1 (ko) 가스 보일러의 배기 연도 폐쇄 감지 방법
KR101562241B1 (ko) 연소기기의 배기온도 검출센서 빠짐 검지방법
KR101549439B1 (ko)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를 위한 연소 전환방법
KR101322619B1 (ko) 차압센서를 이용한 가스압 저하검출방법
KR101429896B1 (ko) 보일러의 연소불량 감시방법
US10094591B2 (en) Furnace control system and method
JP5718747B2 (ja) 燃焼装置
US10488078B2 (en) Method of ensuring safety of exhaust of water heater
KR20110021551A (ko) 공기비례식 보일러에서 풍압센서이상 감지방법
KR101551258B1 (ko) 1차 가스압력 검출스위치를 이용한 보일러의 안전연소 제어방법
KR101018775B1 (ko) 보일러 난방수온도제어방법
KR100742942B1 (ko) 보일러의 자동 시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322616B1 (ko) 차압센서를 이용한 가스압 저하검출방법
KR101815987B1 (ko) 가스보일러 및 그의 배기 폐쇄 검지방법
CN113266951B (zh) 一种燃气热水器控制方法、控制系统及燃气热水器
KR101301054B1 (ko) 공기압과 가스압 차를 이용한 급배기 연도 폐쇄 감지방법
KR101607119B1 (ko) 보일러의 도중실화 검지방법
CN112503775A (zh) 供热设备的控制方法及供热设备
EP3327351B1 (en) Method for operating a fan assisted, atmospheric gas burner appliance
KR101216812B1 (ko) 공기압과 가스압 차를 이용한 급배기 연도 폐쇄 감지방법
KR101553831B1 (ko) 풍압스위치가 설치된 보일러의 연소중 배기폐쇄 검지방법
KR20100091360A (ko) 이중온도센서를 구비한 보일러 및 온도센서 결정방법
TWI540289B (zh) Combustion control method of gas appliance
KR101545867B1 (ko) 풍압스위치가 설치된 보일러의 연소중 배기폐쇄 검지방법
KR101786551B1 (ko) 온수기 및 보일러의 열교환기 내 결로방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