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848A -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848A
KR20150089848A KR1020140010902A KR20140010902A KR20150089848A KR 20150089848 A KR20150089848 A KR 20150089848A KR 1020140010902 A KR1020140010902 A KR 1020140010902A KR 20140010902 A KR20140010902 A KR 20140010902A KR 20150089848 A KR20150089848 A KR 20150089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urce
level
tank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국헌
김영화
박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한국농어촌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한국농어촌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010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9848A/ko
Publication of KR20150089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40Other devices for confining, e.g. trenches,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02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wherein the flow is in an open channel
    • G01F1/0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wherein the flow is in an open channel using floa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Abstract

개시된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은, 하천, 호소 또는 바다 등의 수원(水源)에 설치되어 원수(原水)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 센서, 원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 센서, 원수를 각각 펌핑하여 취수하는 펌프, 펌프의 구동에 의하여 원수가 이동되는 라인, 라인상에서 원수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 라인을 따라 이동되는 원수가 집수되는 착수정 및 수질측정 센서, 수위측정 센서, 펌프, 밸브를 제어하며, 착수정에 집수된 물을 용수로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종래 하나의 수원을 사용하는 경우 수원의 오염이 발생하는 경우 광영역의 용수 수용처에서 용수를 공급받지 못하였던 문제를 해결하여, 다양한 수원을 활용하여 경제적 및 환경적으로 가장 적합한 수원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 {SYSTEM FOR SUPPLYING WATER HAVING SELECTIVE WITHDRAWAL FROM MULTI SOURCES}
본 발명은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수원으로부터 취수하여 용수를 공급하지 않고 여러 수원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취수하여 효과적이며 저비용으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용수 공급 시스템은 강, 하천 또는 호수 등의 물을 정화하여 사용자에게 송수하여 사용한 후 생활하수를 처리하여 하천에 방류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용수 공급 시스템은, 큰 강이나 거대한 댐을 건설하여 용량이 큰 수원을 확보한 후 이로부터 각 사용처로 공급하는 하나의 수원(One Source)을 활용하여 공급하고 있다.
도 1에는 이러한 종래의 용수 공급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대용량을 가지는 하나의 수원(S)으로부터 펌프(Pp)로 원수가 수취되고, 이를 대용량 정수처리장치로 공급한 후 적절한 정수처리를 한 후 수요처로 용수를 공급한다.
이와 같은 용수 공급 시스템은, 상기 수원과 먼거리 이격되는 수용처로 공급하기 위한 연계관망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이를 구축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용수를 처리하여 공급하는데도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용수를 처리 및 공급하기 위한 연계관망이 대단위로 설치되어야 함에 따라 이를 유지 및 보수하는데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용수공급원인 하나의 수원이 예기치 않은 오염이 발생되는 경우 하나의 수원에 종속된 광범위한 지역의 수용처에서 용수를 공급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수요처 인근에 하천수, 호소수, 지하수, 빗물(우수)와 같이 활용 가능한 다양한 수자원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하나의 수원이 오염된 경우 적절하게 대체 수단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부각될 수 있다.
또한, 가뭄 등으로 해당하는 하나의 수원이 고갈되는 경우 근거리의 하천, 호수 등의 수원을 활용하지 못하고 광범위한 영역의 수요처에서 용수를 공급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용수 수요처 인근의 다양한 수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각 원수의 수자원의 상태나 수처리에 따른 경제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취수하여 최적의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은, 하천, 호소 또는 바다 등의 수원(水源)에 설치되어 원수(原水)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 센서; 상기 원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 센서; 상기 원수를 각각 펌핑하여 취수하는 펌프; 상기 펌프의 구동에 의하여 원수가 이동되는 라인; 상기 라인상에서 원수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 상기 라인을 따라 이동되는 원수가 집수되는 착수정; 및 상기 수질측정 센서, 수위측정 센서, 펌프, 밸브를 제어하며, 상기 착수정에 집수된 물을 용수로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질측정 센서는, 지하수, 우수(雨水) 및 하수처리수 등의 원수의 수질을 측정하도록 각각 설치되며, 상기 수위측정 센서는, 상기 지하수, 우수 및 하수처리수 등의 원수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각각 설치되며, 상기 라인을 따라 이동되는 지하수, 우수 및 하수처리수 등의 원수가 집수되어 혼합되는 혼합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수의 수질, 원수의 수위, 원수의 위치, 원수의 수원의 상기 착수정 또는 혼합조로의 유동거리를 경제적 및 환경적 인자로서 판단하여, 상기 착수정 또는 혼합조로 취수하기 위한 수원의 우선배정 순위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수정 및 혼합조의 출구라인측에는 공급되는 용수의 량을 판단하도록 설치되는 유량계; 및 상기 착수정 및 혼합조의 수위를 측정하는 액조 수위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조 수위측정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착수정 또는 혼합조의 수위를 판단하고, 상기 유량계에 의하여 배출되는 용수의 량을 판단하여, 상기 각 착수정 또는 혼합조로 용수를 보충할 것인지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에 의하면, 수요처에 인접한 수원을 활용하여 용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용수 공급하는 연계관망을 설치할 필요없이 저비용으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전체 시스템을 유지 및 관리하는 비용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하나의 수원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하는 수원이 예기치 않게 오염되는 경우 하나의 수원에 종속된 광범위한 지역의 수용처에서 용수를 공급받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오염된 수원은 배제하고 차선책으로 다른 수원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에 활용되지 못하고 버리던 빗물, 하수처리수 및 지하수를 활용하여 최근 수자원의 고갈로 인해 발생되는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용수 공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의 블록도,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수원(多水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을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수원(水源)은 하천이나 강과 같이 수처리되기 전 물이 원천적 공급원을 의미하며, 원수(原水)는 상기 수원의 수자원을 의미하며, 용수는 적절한 처리가 되어 수요처로 공급되는 물을 의미한다. 여기서, 수요처로 공급되기 전 즉, 수처리되기 전인 빗물(우수)이나 하수처리된 하수처리수도 원수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음용할 수 있는 정도의 수질을 가지는 물을 상수(上水), 생활오염수 등으로 하수처리되는 물을 하수(下水), 하수 정도는 아니지만 음용은 안되나 공업용, 농업용이나 청소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을 중수(中水)라 칭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하천, 호소(湖沼) 또는 바다 등과 같은 수원의 원수인 하천수(S1), 호소수(S2), 해수(S3)를 취수하여 집수하는 착수정(T1)이 구비되고, 착수정(T1)으로 집수된 물을 정수처리하여 상수로서 용수를 공급한다. 이때, 해수(S3)의 경우 담수화 장치에 의하여 처리된 후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하여 수요처 인근의 하천, 호소 또는 바다를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종래 원거리에서 물을 이송시켜 사용하여야 하였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하수(S4), 빗물(우수)(S5)나 하수로 방류된 하수를 하수처리장치에 의하여 처리된 하수처리수(S6)를 원수로서 취수하여 혼합조(T2)에서 적절하게 혼합(블랜딩)하여 중수로서 공업용, 농업용 등으로 용수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조(T2)에서는 필요에 따라 중수처리장치(C2)를 거쳐 수처리를 한 후 용수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다양한 수원으로부터 원수를 적절하게 혼합하여 공급함으로써 하나의 수원으로부터 취수를 하는 경우 수원이 오염되거나 하는 등의 문제로 용수를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각 수원에는 수량(수위)을 체크하는 수위 측정센서(L1, L2, ... Ln) 및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 센서(Q1, Q2, ... Qn)가 구비되며, 이를 중앙제어센터의 제어부(110)로 전송하여 각 수원의 현 상태를 원격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질측정 센서(Q1, Q2, ... Qn)는 pH, 탁도, 전기 전도도, TOC 및 DOC를 측정하는 센서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170)에는 각 수원으로부터 취수하는데 펌프구동 등에 따른 소요 전력에 대한 값이 마련되며, 수위에 따라 소요 전력에 대한 판단값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지대에 위치한 수원으로부터 취수하는데는 저지대에 위치한 수원으로부터 취수하는 것보다 적은 전력이 소비될 수 있으며, 각 수원으로부터 착수정(T1) 또는 혼합조(T2)까지의 이격거리에 따라 물을 이송시키는 거리가 큰 경우 더 많은 소요 전력이 소비되며, 가까운 거리인 경우에는 적은 소요 전력이 소비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수원의 위치, 수원의 수위에 따라 착수정(T1) 또는 혼합조(T2)로 취수하는데 소요되는 전력에 대한 판단값이 마련된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170)에는 상기 수위측정 센서(L1, L2, ... Ln) 및 수질측정 센서(Q1, Q2, ... Qn)에서 측정되는 각 수원의 원수의 측정값이 대응되게 저장 및 관리된다.
또한, 착수정(T1) 및 혼합조(T2)에도 수위측정 센서(TL1)(TL2) 및 수질측정 센서(TQ1)(TQ2)가 마련되어, 측정된 센서값을 제어부(110)로 전송하고, 제어부(110)는 이를 데이터 베이스(170)에 저장 및 관리한다.
이때, 착수정(T1) 및 혼합조(T2)의 출구측에는 유량계(F1)(F2-1)(F2-2)가 설치되어, 현재 수요처로 용수가 공급되는 량을 체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착수정(T1) 및 혼합조(T2)의 현재 체크된 수위와 공급에 따라 저수된 용수가 어느 정도 속도로 줄어드는지 판단하여 각 원수로부터 적절하게 취수하여 일정한 저수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10)는 착수정(T1) 또는 혼합조(T2)의 현재 수위 및 공급량을 판단하여, 취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다양한 수원 중 어느 수원으로부터 취수할 것인지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최우선 수원으로부터 취수를 하여 착수정(T1) 또는 혼합조(T2)로 저수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베이스(170)에는 각 수원별 수질, 수량(수위), 취수 에너지(소요 전력), 정수비용 및 그에 대응하는 밸브정보가 데이터 테이블로 구비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수정(T1) 또는 혼합조(T2) 별 수량(수위), 공급량, 수질 및 그에 대응하는 밸브정보가 데이터 테이블로 구비된다.
제어부(110)는 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착수정(T1) 또는 혼합조(T2)로 취수를 할 최적의 원수를 선택하여 해당 원수를 취수할 수 있는 밸브(V1, V2, ... Vn)를 구동시킨다.
원수가 하천수(S1)의 경우 예를 들어 집수되는 착수정(T1)과 상대적으로 고지대에 위치하여 고지대에 위치하고, 호소수(S2)의 경우 저지대에 위치하는 경우 하천수(S1)를 착수정(T1)으로 우선순위로 취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원수로부터 착수정(T1)까지의 취수거리 또한 취수 에너지의 크기를 좌우하는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므로 이에 대한 것도 반영하여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수원별 취수 에너지를 실측정하여 미리 기준 판단값 즉, 취수 우선순위를 배정하는 것도 무방하다.
제어부(110)는 취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의 예에서 하천수(S1)를 선택한 후 수질측정센서부(Q1)에서 측정된 수질을 판단하여 적절한 경우 이를 착수정(T1)으로 우선 집수하도록 밸브 구동부(V11)를 제어하여 밸브(V1)를 구동한다. 한편, 이 때 측정된 수질이 기준 값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즉, 오염이 된 경우 비록 취수 에너지에서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다 하여도 제어부(110)는 2순위의 호소수(S2)를 착수정(T1)으로 집수할 수 있도록, 밸브 구동부(V22)를 제어하여 밸브(V2)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순위의 호소수(S2)도 그 오염문제가 발생한 경우 3순위의 해수(S3)를 담수화 장치로 처리하여 착수정(T1)으로 집수되도록, 밸브 구동부(V3)를 제어하여 밸브(V3)를 구동한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수원으로부터 집수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적절한 수원으로부터 원수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하나의 수원으로부터 집수하는 경우 발생하였던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에서 취수 에너지 및 수질로서 집수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더하여 수원의 수위(수량)을 집수 우선순위 판단 인자로 활용하면 더 우수한 용수 공급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가뭄 등이 발생하여 수원의 수위가 현저하게 낮은 경우 해당 수원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으로(즉, 취수 에너지) 나을 수는 있으나, 다른 수원이 수량이 풍부한 경우 환경적으로 우선순위를 수량이 풍부한 수원의 원수로 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하수(S4), 빗물(우수)(S5) 및 하수처리수(S6)의 경우도 상기의 착수정(T1)으로 집수하는 것과 동일하다.
즉, 원수가 지하수(S4)의 경우 예를 들어 집수되는 혼합조(T2)와 상대적으로 고지대에 위치하고, 우수(S5)의 경우 저지대에 위치하는 경우 지하수(S4)를 혼합조(T2)로 우선순위로 취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하수(S4), 우수(S5) 또는 하수 처리수(S6)의 경우 그 성격상 상기 하천수(S1), 호소수(S2) 또는 해수(S3)의 경우와 같이 위치의 고도는 크게 좌우하지 않을 수 있으며 오히려 혼합조(T2)로의 취수거리가 큰 판단 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
즉, 각 원수(S4)(S5)(S6)로부터 혼합조(T2)까지의 취수거리 또한 취수 에너지의 크기를 좌우하는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므로 이에 대한 것도 반영하여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수원별 취수 에너지를 실측정하여 미리 기준 판단값 즉, 취수 우선순위를 배정하는 것도 무방하다.
제어부(110)는 취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의 예에서 지하수(S4)를 선택한 후 수질측정센서부(Q4)에서 측정된 수질을 판단하여 적절한 경우 이를 혼합조(T2)로 우선 집수하도록 밸브 구동부(V44-2)를 제어하여 밸브(V4-2)를 구동한다. 한편, 이 때 측정된 수질이 기준 값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즉, 오염이 된 경우 비록 취수 에너지에서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다 하여도 제어부(110)는 2순위의 우수(S5)를 혼합조(T2)로 집수되도록 밸브 구동부(V55-1)를 제어하여 밸브(V5-1)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순위의 우수(S5)도 그 오염문제가 발생한 경우 3순위의 하수처리수(S6)를 담수화 장치로 처리하여 혼합조(T2)로 집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수원으로부터 집수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적절한 수원으로부터 원수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하나의 수원으로부터 집수하는 경우 발생하였던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에서 취수 에너지 및 수질로서 집수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더하여 수원의 수위(수량)을 집수 우선순위 판단 인자로 활용하면 더 우수한 용수 공급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가뭄 등으로 지하수(S4)나 우수(S5)의 집수량이 현저하게 낮은 경우 해당 수원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으로(즉, 취수 에너지) 나을 수는 있으나, 다른 수원이 수량이 풍부한 경우 우선순위를 수량이 풍부한 하수처리수(S6)를 원수로 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하수(S4)의 경우 수질측정 센서(Q4)에서 측정된 값이 기준값을 만족하는 경우 착수정(T1)으로 취수될 수 있도록 밸브(V4-1)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제어부(110)는 밸브 구동부(V44-1)을 제어하며, 하천수(S1), 호소수(S2), 해수(S3) 및 지하수(S4)를 우선순위 판단의 대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우수(S5)의 경우 수질측정 센서(Q5)에서 측정된 값이 기준값을 만족하는 경우 혼합조(T2)로 취수될 수 있도록 밸브(V5-1)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제어부(110)는 밸브 구동부(V55-1)을 제어하며, 기준값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하수처리장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밸브 구동부(V55-2)를 제어하여 밸브(V5-2)를 구동시키고, 하수처리 공정을 거친 후 하수처리수(S6)로서 활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수원 취수선택 용수 공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착수정(T1) 또는 혼합조(T2)에 설치된 수위측정 센서(TL1)(TL2)에서 측정된 수위값이 기준값 미만인 경우 즉, 착수정(T1) 또는 혼합조(T2)로 물을 보충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다수의 원수(S1, S2, ... Sn) 중 어느 원수를 사용할 것인지를 경제적 및 환경적 인자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한다(S110).
이때, 유량계(F1)(F2)로부터 용수 공급되는 공급량을 판단하여, 착수정(T1) 또는 혼합조(T2)의 최저 수위에 도달하는 것을 미리 예측하여 처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공급량이 많은 경우 더 빨리 최저 수위에 도달할 수 있으며 공급량이 적은 경우 느리게 최저 수위에 도달하므로, 취수 용량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수원(S1, S2, ... Sn)측 밸브(V1, V2, ... Vn) 및 펌프(P1, P2, ... Pn)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착수정(T1) 또는 혼합조(T2)에 취수가 필요한 경우라고 판단되는 경우(S120), 제어부()는 데이터 베이스()를 분석하여 다수원 중 어느 수원의 원수를 사용할 것인지 결정한다(S130)(S140).
이후, 우선순위가 결정된 원수를 사용하여 착수정() 또는 혼합조()로 원수를 공급하여 용수로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S150).
상기 단계 S130 및 S140을 구체적을 살펴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수정(T1) 또는 혼합조(T2)에 설치된 수질측정 센서(TQ1)(TQ2)에서 측정된 수질값과 우선순위로 배정된 수원의 수질값과 비교하여(S210)(S220), 우선순위로 배정된 원수의 수질값이 착수정(T1) 또는 혼합조(T2)의 수질값과 대비하여 양호하지 않은 경우 그 후순위로 배정된 수원의 수질값과 비교하여 양호한 경우 후순위 수원을 최우선으로 공급한다(S240).
이때, 취수 에너지뿐만 아니라 해당 수원을 정수시키는데 발생되는 비용도 하나의 판단인자로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질이 비슷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라도 pH, 탁도, 전기 전도도, TOC 및 DOC를 양호하게 정수시키는데 비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정수비용도 고려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판단인자를 종합하여 해당 착수정(T1) 또는 혼합조(T2)로 취수하기 위한 최적의 우선배정 수원을 특정하고(S250), 특정된 수원의 원수를 취수하기 위하여 해당 밸브 및 펌프를 구동시킨다(S260).
이로써, 기존 착수정(T1) 또는 혼합조(T2)의 수질을 기존 상태와 비교하여 양호한 수준이 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수요처로 공급된 용수의 품질을 신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용수 공급 시스템 100 :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
170 : 데이터 베이스 S, S1, S2 ... Sn : 수원(水源)
Q1, Q2, ... Qn : 수질측정 센서
L1, L2, ... Ln : 수위측정 센서
Pp, P1, P2, ... Pn : 펌프
V1, V2, ... Vn : 밸브
T1 : 착수정 T2 : 혼합조
C1 : 정수처리 장치 C2 : 중수 처리장치

Claims (5)

  1. 하천, 호소 또는 바다 등의 수원(水源)에 설치되어 원수(原水)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 센서;
    상기 원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 센서;
    상기 원수를 각각 펌핑하여 취수하는 펌프;
    상기 펌프의 구동에 의하여 원수가 이동되는 라인;
    상기 라인상에서 원수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
    상기 라인을 따라 이동되는 원수가 집수되는 착수정; 및
    상기 수질측정 센서, 수위측정 센서, 펌프, 밸브를 제어하며, 상기 착수정에 집수된 물을 용수로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측정 센서는, 지하수, 우수(雨水) 및 하수처리수 등의 원수의 수질을 측정하도록 각각 설치되며,
    상기 수위측정 센서는, 상기 지하수, 우수 및 하수처리수 등의 원수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각각 설치되며,
    상기 라인을 따라 이동되는 지하수, 우수 및 하수처리수 등의 원수가 집수되어 혼합되는 혼합조;를 더 포함하는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수의 수질, 원수의 수위, 원수의 위치, 원수의 수원의 상기 착수정 또는 혼합조로의 유동거리를 경제적 및 환경적 인자로서 판단하여, 상기 착수정 또는 혼합조로 취수하기 위한 수원의 우선배정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수정 및 혼합조의 출구라인측에는 공급되는 용수의 량을 판단하도록 설치되는 유량계; 및
    상기 착수정 및 혼합조의 수위를 측정하는 액조 수위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조 수위측정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착수정 또는 혼합조의 수위를 판단하고, 상기 유량계에 의하여 배출되는 용수의 량을 판단하여, 상기 각 착수정 또는 혼합조로 용수를 보충할 것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
KR1020140010902A 2014-01-28 2014-01-28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 KR20150089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902A KR20150089848A (ko) 2014-01-28 2014-01-28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902A KR20150089848A (ko) 2014-01-28 2014-01-28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848A true KR20150089848A (ko) 2015-08-05

Family

ID=53886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902A KR20150089848A (ko) 2014-01-28 2014-01-28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984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13579A (zh) * 2015-09-28 2015-12-02 云南大红山管道有限公司 一种长距离大管径高海拔管道输水系统及操作方法
KR101702599B1 (ko) * 2015-12-31 2017-02-21 주식회사 헥코리아 다중수원을 활용한 관수공급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07364908A (zh) * 2017-08-28 2017-11-21 苏州诚满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用水方式进行水质分级的净水装置
KR102222692B1 (ko) * 2020-12-11 2021-03-03 이근범 해수담수화장치와 우수정수장치의 복합 제어모드 시스템
KR102478749B1 (ko) * 2022-02-04 2022-12-19 서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지능형 지하수 관정 관리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13579A (zh) * 2015-09-28 2015-12-02 云南大红山管道有限公司 一种长距离大管径高海拔管道输水系统及操作方法
KR101702599B1 (ko) * 2015-12-31 2017-02-21 주식회사 헥코리아 다중수원을 활용한 관수공급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07364908A (zh) * 2017-08-28 2017-11-21 苏州诚满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用水方式进行水质分级的净水装置
KR102222692B1 (ko) * 2020-12-11 2021-03-03 이근범 해수담수화장치와 우수정수장치의 복합 제어모드 시스템
KR102478749B1 (ko) * 2022-02-04 2022-12-19 서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지능형 지하수 관정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9848A (ko) 다수원 선택취수 용수 공급 시스템
CN103343570B (zh) 合流制调蓄池实时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3981832B (zh) 城市小型河流生态补水调度方法及系统
CN109071271B (zh) 水处理装置管理系统和家用水处理装置
KR101656433B1 (ko) Ict 활용 다중수원 지능적 배분공급 워터루프 시스템
CN102505728A (zh) 雨水资源化利用成套技术
Han et al. Particle behaviour consideration to maximize the settling capacity of rainwater storage tanks
CN109650541B (zh) 一种基于多级a/o及mabr的污水处理方法
Wang et al. Optimized plan of centralized and decentralized wastewater reuse systems for housing development in the urban area of Xi'an, China
CN104234171B (zh) 基于面源污染控制的排水干渠水质调控系统及方法
US10883238B2 (en) Groundwater management and redistribu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101825168B1 (ko) 오폐수의 정화처리장치
JP5087713B1 (ja) 下水排出方法
JP4439460B2 (ja) 水供給システム
KR101685165B1 (ko) 다중수원 지능적 배분공급 스케줄링 방법
Sanz et al. The role of SWRO Barcelona-Llobregat Plant in the water supply system of Barcelona Area
KR101638553B1 (ko) Ict 활용 대수용가 압력제어 및 펌프 최적 운영관리 융합 기술
Fox et al. Decentralized wastewater treatment using ‘pumped flow biofilm reactor’(PFBR) technology
CN102645521A (zh) 一种动态污水絮凝评价装置
Sapiano Measures for facing water scarcity and drought in Malta
KR100870740B1 (ko)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
JP5518248B1 (ja) 循環水利用システムの塩濃度調整装置、循環水利用システム
Sendanayake Potential for Domestic Rooftop Rainwater Harvesting in the District of Colombo, Sri Lanka
CN210885582U (zh) 零废水反渗透过滤装置
KR101560280B1 (ko) 용수공급관 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용수공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