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652A -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 Google Patents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652A
KR20150089652A KR1020140010540A KR20140010540A KR20150089652A KR 20150089652 A KR20150089652 A KR 20150089652A KR 1020140010540 A KR1020140010540 A KR 1020140010540A KR 20140010540 A KR20140010540 A KR 20140010540A KR 20150089652 A KR20150089652 A KR 20150089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ain body
usb
memory drive
conne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6053B1 (ko
Inventor
송재훈
하동경
Original Assignee
송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훈 filed Critical 송재훈
Priority to KR1020140010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053B1/ko
Priority to PCT/KR2015/000924 priority patent/WO2015115806A1/ko
Publication of KR20150089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05K5/02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 H05K5/0278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of USB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하고 데이터의 저장 및 입출력이 가능한 메모리가 내장되고 복수의 연결 커넥터가 구비됨과 더불어 연결되는 외부 전자기기 사이에 충전을 위한 전원 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또한, 회동 또는 탈부착을 통해 결합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연결 커넥터 또는 본체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의 용이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킨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 입출력되는 충전전원과 정보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일정 용량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PC 또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접속단자에 연결되고 충전전원 및 정보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커넥터에 PC 또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가 연결되어 접속되면, 해당 전자기기와 메모리 드라이브의 메모리 사이에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모드를 수행하거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 커넥터에 PC 또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가 각각 연결되어 함께 접속되면,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 전원을 다른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에 충전전원으로 전송을 제어하거나 또는 해당 복수 전자기기 사이에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것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PC나 스마트폰 등 다양한 전자기기의 선택적인 접속으로 정보데이터의 공유, 저장, 입출력과 더불어 충전전원의 전송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의 유연한 연결 접속성 향상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의 기능성 및 유용성을 증대시킨 것이다.

Description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Portable Memory Drive of Multi-purpose}
본 발명은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가능하고 데이터의 저장 및 입출력이 가능한 메모리가 내장되고 복수의 연결 커넥터가 구비됨과 더불어 연결되는 외부 전자기기 사이에 충전을 위한 전원 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또한, 회동 또는 탈부착을 통해 결합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연결 커넥터 또는 본체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의 용이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킨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디지털 저장장치로서 USB 메모리(Universal Serial Bus Memory)가 대중화되어 있다. USB란 컴퓨터와 주변기기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버스, 즉 데이터가 전송되는 통로 규격 중 하나다. 1990년대 후반부터 대부분의 개인용 컴퓨터에 USB 장치를 꽂을 수 있게 됨에 따라 USB는 현재 다른 규격 버스에 비해 보급률이 매우 높다. 또한, USB는 컴퓨터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장치를 꽂고 뺄 수 있어 편의성이 높다는 장점도 있다. 아울러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란 데이터를 저장, 보관할 수 있는 반도체의 일종이다. 일단 데이터를 저장하면 삭제나 수정이 불가능한 롬(ROM)이나 삭제, 수정은 가능하지만 전원이 차단되면 모든 데이터가 사라지는 램(RAM)과 달리, 자유롭게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으면서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그대로 보존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USB와 플래시 메모리, 이 두 가지 요소를 결합해 하나의 제품으로 만든 것이 바로 USB 플래시 드라이브(USB Flash Drive), 흔히 말하는 USB 메모리이다. USB 메모리는 대개 손가락 하나 정도의 크기의 막대형 본체에 USB 커넥터가 노출된 형태다. 내부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 칩, 그리고 커넥터와 메모리 칩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ontroller)가 포함되어 있다.
USB 메모리 드라이브에는 USB 커넥터가 구성되어 데스크톱PC(Personal Computer), 노트북PC, 태블릿PC 등의 다양한 PC나 모바일 단말기에 구비된 USB 접속단자에 연결되어 USB 메모리 드라이브의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 및 입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 1은 휴대단말기에 외장형 USB 메모리를 결합하기 위한 메모리 어댑터가 구비된 메모리 확장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는 카메라폰 또는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는 USB 메모리 어댑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은 유에스비용 메모리장치에 회동되는 보호커버가 구비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들로부터 PC나 모바일 단말기 사이에 연결되어 PC, 모바일 단말기 또는 USB 메모리 드라이브에 저장된 데이터의 입출력이나 단말기사이의 충전을 위한 전원의 공급 등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이나 구조 또는 장치의 부재로 이들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다양한 보조 커넥터 등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보조 커넥터는 선으로 연결되어 보관 및 휴대가 불편하고 휴대하고 가지고 다닐 경우에 단선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5-0049646호(2005.05.27. 공개, 명칭; 휴대단말기의 메모리 확장 장치)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6-0019402호(2006.03.03. 공개, 명칭; 삼각대 장착 수단을 구비하고 카메라폰에 연결하여 사용 가능한 USB 메모리 어댑터)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9-0116282호(2009.11.11. 공개, 명칭; 유에스비용 메모리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USB 메모리 드라이브에 PC 및 모바일 단말기에 각각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를 구비하여 PC로부터 모바일 단말기의 전원 충전과 더불어 USB 메모리 드라이브에 저장된 데이터나 PC 또는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USB 메모리 드라이브에 추가적인 메모리의 탈착이 가능함과 더불어 USB 메모리 드라이브의 보호를 위한 케이스를 적용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PC 또는 모바일 단말기에 연결되는 USB 메모리 드라이브의 커넥터가 메모리 드라이브 본체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이를 사용하여 모바일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PC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보면서 작동이나 사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에 있어서, 입출력되는 충전전원과 정보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일정 용량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측면에 구비되어 PC 또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접속단자에 연결되고 충전전원 또는 정보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커넥터에 PC 또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가 연결되어 접속되면, 해당 전자기기와 메모리 드라이브의 메모리 사이에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모드를 수행하거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 커넥터에 PC 또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가 각각 연결되어 함께 접속되면,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 전원을 다른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에 충전전원으로 전송을 제어하거나 또는 해당 복수 전자기기 사이에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것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를 수행하는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은 본체 측면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 일측 또는 다측 내부로 슬라이드공이 각각 형성되고, 각 슬라이드공에 커넥터가 결합된 출납편이 각각 출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느 하나의 커넥터가 결합된 출납편이 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는 세로로 복수 분할되어 회동되는 힌지가 결합되거나 또는 탈착이 가능하여 분할된 본체 사이에 결합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는 복수로 분할되어 탈착이 가능한 구조이고, 본체 사이에 전선케이블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분할된 본체 표면에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커넥터에 확장용 메모리부재가 탈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 표면에 커넥터에 접속된 단말기의 선택, 메모리에 데이터의 저장 및 입출력의 선택 또는 접속된 PC 또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충전전원 전송을 선택 또는 접속된 전자기기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선택하는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 중심부에 힌지로 결합된 커버가 부가되어 커버의 위치에 따라 어느 한 쪽 커넥터의 사용모드 또는 사용제한모드 또는 양쪽 커넥터의 사용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커넥터가 결합된 본체에 외부의 충격방지 및 보관을 위한 케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에 있어서, 입출력되는 충전전원과 정보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측면에 구비되어 PC 또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접속단자에 연결되고 충전전원 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 하나 이상의 커넥터는 확장용 메모리부재가 탈착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커넥터에 PC 또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가 연결되어 접속되면, 해당 전자기기와 상기 커넥터에 삽입된 확장용 메모리부재에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모드를 수행하거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 커넥터에 PC 또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가 각각 연결되어 함께 접속되면,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 전원을 다른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에 충전전원으로 전송을 제어하거나 또는 해당 복수 전자기기 사이에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것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를 수행하는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커넥터는 타입A USB 커넥터, 타입B USB 커넥터, 미니A USB 커넥터, 미니B USB 커넥터, 마이크로A USB 커넥터, 마이크로B USB 커넥터, UC-26 USB 커넥터, 양면인식 USB 커넥터, 타입C USB 커넥터, USB 3.0A 타입 커넥터, USB 3.0B 타입 커넥터, USB 3.0 마이크로B 커넥터, USB 3.0 미니 10핀 커넥터, 30핀 도크 커넥터, 라이트닝 8핀 커넥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PC나 스마트폰 등 다양한 단말기나 전자기기의 선택적인 접속으로 정보데이터의 공유, 저장, 입출력과 더불어 충전전원의 전송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의 유연한 연결 접속성 향상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의 기능성 및 유용성을 증대시킨 이점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 예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 예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 예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 예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 예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제6실시 예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제7실시 예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제8실시 예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9실시 예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3a 및 13b 및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에 따른 제10실시 예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에 따른 제11실시 예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실시 예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에 케이스가 적용된 것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로서, 도 1a에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1)는 대략 직육면체의 막대 형상으로 본체(10) 측면에 동일하거나 각기 다른 종류의 제1커넥터(13)와 제2커넥터(14)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제1커넥터(13)는 USB 커넥터이고, 제2커넥터(14)는 마이크로 5핀 USB 커넥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제1커넥터(13)와 제2커넥터(14)는 본체(10)에 다양한 종류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커넥터(13)는 PC의 접속단자에 접속되어 연결되고, 제2커넥터(14)는 스마트폰의 접속단자에 접속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커넥터(13)와 제2커넥터(14)에는 PC뿐만 아니라 충전 어댑터와 같은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전자기기와 충전전원을 필요로 하는 전자기기가 접속되어 연결될 수 있다.
도 1b에서, 본체(10) 내부에는 입출력되는 충전전원과 정보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1)가 내장되고, 컨트롤러(11)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일정 용량의 플래시 메모리(12)가 내장된다.
더욱이 제2커넥터(14)는 본체(10) 측면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바(15) 사이에 회동되는 제1힌지(16)로 결합된다. 즉 제2커넥터(14)는 한 쌍의 지지바(15) 사이에 제1힌지(16)로 결합되어 제1힌지(16)의 회동각도에 따라 지지바(15) 사이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제2커넥터(14)의 회동을 위하여 제1힌지(16) 외에 다양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힌지(16)로 회동이 가능한 제2커넥터(14)에는 회동 후에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고정방식이나 고정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에서, 도 1의 제1실시 예로 구성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1)의 제1커넥터(13)를 PC(2)의 접속단자에 삽입하여 접속하고 제2커넥터(14)를 스마트폰(3)의 접속단자에 삽입하여 접속한 다음, 제2커넥터(14)의 제1힌지(16)를 회동시켜 제2커넥터(14)에 결합된 스마트폰(3) 상단이 PC(2) 측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폰(3)이 컴퓨터(2)에 안정적인 거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또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1)가 제1커넥터(13)를 통해 PC(2)와 연결되고 제2커넥터(14)를 통해 스마트폰(3)과 연결된 상태에서 스마트폰(3)의 화면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스마트폰(3)은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1)를 통해 PC(2)로부터 충전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1)가 데이터 케이블 역할을 하여 스마트폰(3)과 PC(2) 사이에 정보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1)의 플래시 메모리(12)에 저장된 정보데이터를 PC(2) 또는 스마트폰(3)이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 등을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1)의 제2커넥터(14)와 같이 회동이 가능한 커넥터의 구성 및 구조에 의하여 PC(2)와 스마트폰(3)의 접속에 따른 편의성을 증대시킨 것이다.
더욱이 컨트롤러(11)는 제1커넥터(13) 또는 제2커넥터(14) 중 하나의 커넥터에 PC(2) 또는 스마트폰(3)의 접속단자가 연결되어 접속되면, 연결된 PC(2) 또는 스마트폰(3)과 플래시 메모리(12)사이에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1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1)는 제1커넥터(13)와 제2커넥터(14)에 PC(2) 및 스마트폰(3)이 각각 연결되어 함께 접속되면, PC(2)로부터 스마트폰(3)으로 충전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 및/또는 해당 PC(2)와 스마트폰(3) 사이에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2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로서, 도 3a에서, 본체(10)의 대략 중앙부분이 세로로 2등분으로 분할되어 제2힌지(17)로 결합된 것이다. 따라서 도 3b에서, 제1커넥터(13)가 구비된 제1본체(10a)와 제2커넥터(14)가 구비된 제2본체(10b)는 제2힌지(17)로 각각 회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회동 가능한 제1본체(10a) 또는 제2본체(10b)에는 회동 후에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고정방식이나 고정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1본체(10a)와 제2본체(10b) 사이의 결합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다른 구현 방법으로서 제1본체(10a)와 제2본체(10b)가 서로 탈착 가능하여 이 두 본체 사이의 결합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식이나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 본체(10)의 세로 분할은 2등분 이상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본체(10b)의 제2커넥터(14)는 한 쌍의 지지바(15) 사이에 제1힌지(16)로 회동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회동 가능한 제2커넥터(14)에는 회동 후에 회동된 각도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식과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제2실시 예로 구성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1)의 제1본체(10a)에 구비된 제1커넥터(13)를 PC(2)의 접속단자에 삽입하여 접속하고 제2본체(10b)에 구비된 제2커넥터(14)를 스마트폰(3)의 접속단자에 삽입하여 접속한 다음, 제2본체(10b)를 제1본체(10a)와 대략 90도 직각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제2커넥터(14)의 제1힌지(16)를 회동시켜 제2커넥터(14)에 결합된 스마트폰(3) 상단이 PC(2) 측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PC(2)에 장착된 접속단자가 수직인 경우에 제1본체(10a)의 제1커넥터(13)가 접속단자에 수직으로 접속되어 연결되므로 제2본체(10b)가 수평이 되도록 제2힌지(17)를 중심으로 제2본체(10b)를 회동시키고, 다시 제2본체(10b)의 제2커넥터(14)에 연결된 스마트폰(3)이 제1힌지(16)의 회동으로 수평에서 대략 상부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이는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1)가 제1커넥터(13)를 통해 PC(2)와 연결되고 제2커넥터(14)를 통해 스마트폰(3)과 연결된 상태에서 스마트폰(3)을 PC(2)에 안정적으로 거치시키면서 스마트폰(3)의 화면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스마트폰(3)은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1)를 통해 PC(2)로부터 충전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1)를 통해 스마트폰(3)과 PC(2)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1)의 플래시 메모리(12)에 대하여 PC(2) 또는 스마트폰(3)이 정보데이터를 읽고 쓰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1)의 회동 가능한 제2커넥터(14) 및 회동 가능한 제1본체(10a)와 제2본체(10b)의 구성 및 구조에 의하여 PC(2)와 스마트폰(3)의 접속에 따른 편의성을 증대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로서, 도 5a에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1)의 본체(10) 양측에 제1커넥터(13)와 제2커넥터(14)가 구비된 것으로, 제1커넥터(13)가 한 쌍의 지지바(18) 사이에 제3힌지(19)로 결합되어 회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제2커넥터(14)도 한 쌍의 지지바(15) 사이에 제1힌지(16)로 결합되어 회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는 제1커넥터(13)에 접속 연결되는 단말기나 제2커넥터(14)에 접속 연결되는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도 5b에서, 제1커넥터(13)에 PC(2)가 접속 연결되는 방향과 제2커넥터(14)에 스마트폰(3)이 접속 연결되는 방향을 자유롭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데스크톱PC나 태블릿PC 또는 노트북PC 그리고 스마트폰의 방향을 자유롭게 회동 연결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회동 가능한 제1커넥터(13) 또는 제2커넥터(14)에는 회동 후에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고정방식 및 고정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 예로서, 도 6a에서, 본체(10)의 대략 중앙부분이 세로로 2등분으로 분할되어 제4힌지(20)로 결합된 것이다. 즉 한 쌍의 지지바(18)에 제3힌지(19)로 결합된 제1커넥터(13)가 구비된 제1본체(10a)와 한 쌍의 지지바(15)에 제1힌지(16)로 결합된 제2커넥터(14)가 구비 된 제2본체(10b)는 제4힌지(20)로 각각 회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회동 가능한 제1본체(10a) 또는 제2본체(10b)에는 회동 후에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고정방식 및 고정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1본체(10a)와 제2본체(10b) 사이의 결합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다양한 구현 방법으로 제1본체(10a)와 제2본체(10b)가 서로 탈착 가능하여 이 두 본체 사이의 결합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도 6b에서, 제4실시 예는 제3실시 예보다 더욱 자유로운 각도로 회동이 가능한 구조이다. 즉 제1커넥터(13)에 PC(2)가 접속 연결되는 방향과 제2커넥터(14)에 스마트폰(3)이 접속 연결되는 방향과 더불어 제1본체(10a)와 제2본체(10b)를 회동시킬 수 있어 어떠한 방향에서도 PC와 스마트폰의 연결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데스크톱PC나 태블릿PC 또는 노트북PC 그리고 스마트폰의 방향을 더욱 자유롭게 회동 연결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5실시 예로서, 도 7a에서, 본체(10) 양측 내부로 슬라이드공(21)이 각각 형성되고, 각 슬라이드공(21)에 제1커넥터(13)와 제2커넥터(14)가 돌출 또는 삽입되는 구조이다. 즉 도 7b에서, 제1커넥터(13)가 결합된 제1출납편(22)과 제2커넥터(14)가 결합된 제2출납편(23)이 각 슬라이드공(21)을 따라 출입되는 구조이다. 이는 본체(10) 양측으로 필요로 하는 제1커넥터(13)와 제2커넥터(14)를 선택적으로 돌출시키거나 삽입시켜 PC나 스마트폰에 접속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이 도 7c에서, 제2커넥터(14)가 결합된 제2출납편(23)을 회동이 가능하도록 제5힌지(24)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도 2에서와 같이, 제2커넥터(14)에 접속 연결되는 스마트폰(3)의 각도 조절과 함께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스마트폰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회동 가능한 제2커넥터(14)에는 회동 후에 각도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고정방식 및 고정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6실시 예로서, 도 8a에서, 상기 제5실시 예로부터 본체(10)가 2등분으로 분할되어 제6힌지(26)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이는 도 8b에서, 제1본체(10a)의 슬라이드공(21)으로부터 제1커넥터(13)가 결합된 제1출납편(22)을 돌출시켜 PC의 접속단자에 접속 연결하고, 제2본체(10b)의 슬라이드공(21)으로부터 제2커넥터(14)가 결합된 제2출납편(23)을 돌출시켜 스마트폰의 접속단자에 접속 연결한다. 그리고 도 8c에서, 제2커넥터(14)가 결합된 제2출납편(23)을 제5힌지(24)로 회동시키고, 도 8d에서, 제1본체(10a)와 제2본체(10b)를 제6힌지(26)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PC나 스마트폰(3)의 접속 연결 및 연결 각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회동 가능한 제1본체(10a) 또는 제2본체(10b)에는 회동 후에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고정방식 및 고정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1본체(10a)와 제2본체(10b) 사이의 결합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다양한 구현 방법으로 제1본체(10a)와 제2본체(10b)가 서로 탈착 가능하여 이 두 본체 사이의 결합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 본체(10)의 세로 분할은 2등분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또한, 회동 가능한 제2커넥터(14)에는 회동 후에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고정방식이나 고정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제5실시 예 및 제6실시 예에서 제1커넥터(13)와 제2커넥터(14)의 선택적 사용이 완료되면 제1출납편(22)과 제2출납편(23)을 각각 제1본체(10a)와 제2본체(10b) 내부로 슬라이딩시켜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7실시 예로서, 도 9a에서, 제1커넥터(13)가 결합된 제1본체(10a)와 제2커넥터(14)가 결합된 제2본체(10b)가 2등분으로 분할된 구조이다. 즉 도 9b에서, 제1본체(10a)와 제2본체(10b)는 일정 길이의 전선케이블(27)로 연결된 것이다. 이때, 제1본체(10a) 또는 제2본체(10b) 내에 컨트롤러 및 플래시 메모리가 내장된다. 그리고 제1본체(10a)와 제2본체(10b)는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자석이 부착되어 일체화시키거나 일체화를 위한 별도의 탈착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이는 제1커넥터(13)에 접속 연결되는 단말기와 제2커넥터(14)에 접속 연결되는 단말기 사이에 일정 거리가 형성된 경우에 적용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8실시 예로서, 도 10a에서, 상기 제7실시 예로부터 제1커넥터(13)가 결합된 제1본체(10a) 표면에 홈(28)이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도 10b에서, 제1커넥터(13)가 결합된 제1본체(10a) 표면에 돌기(29)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8실시 예는 도 11에서, 제1본체(10a)의 제1커넥터(13)가 PC(2)의 접속단자에 접속 연결된 상태에서 제2본체(10b)의 제2커넥터(14)를 스마트폰(3)의 접속단자에 접속 연결시킨 후에 스마트폰(3)이 접속되지 않은 부분에 해당하는 제2본체(10b) 하단을 제1본체(10a)에 형성된 홈(28) 또는 돌기(29)에 위치시켜 스마트폰(3)을 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과 PC 사이의 충전전원의 전송과 스마트폰, PC 및 플래시 메모리 사이의 정보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고, 특히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화면을 통해 작동상태 등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9실시 예로서, 도 12에서, 본체(10) 일측에 제3커넥터(30)가 결합되고, 본체(10) 타측에 제2커넥터(14)가 결합된 것이다.
제3커넥터(30)는 PC용 USB 커넥터이고, 제3커넥터(30)에 형성된 슬롯(31)에 마이크로 SD카드(4)와 같은 확장용 메모리부재가 삽입 또는 분리되는 구조이다. 마이크로 SD카드(4)는 플래시 메모리로서 본체(10)에 플래시 메모리 내장 유무에 상관없이 용량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2커넥터(14)에 스마트폰이나 또는 제3커넥터(30)에 PC가 연결된 경우에 제3커넥터(30)에 접속되는 마이크로 SD카드의 플래시 메모리의 용량을 사용하여 정보데이터를 저장 및 입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다양한 실시 예에서처럼 제2커넥터(14) 및 제3커넥터(30)를 사용하여 스마트폰과 PC 사이의 충전전원의 전송과 스마트폰, PC 및 플래시 메모리 사이의 정보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다.
또한, 도 1과 같이 도 12의 제2커넥터(14) 또는 제3커넥터(30)에 회동하는 구조를 적용 할 수도 있으며, 또한, 도 3과 같이 도 12의 본체(10)를 분할하여 분할된 본체의 회동이나 분할된 본체를 탈착하여 결합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 등을 적용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를 사용하여 스마트폰을 PC 등 전자기기에 안정적으로 거치시키면서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화면을 통해 상기 기능을 사용하면서 작동상태 등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0실시 예로서, 도 13a에서, 본체(10) 평면에 제1커넥터(13)나 제2커넥터(14)에 접속된 PC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의 선택과 더불어 본체(10)에 내장된 플래시 메모리(12)에 정보데이터의 저장 및 입출력의 선택 또는 접속된 전자기기의 충전전원 전송을 위한 선택 또는 접속된 전자기기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선택을 위한 모드선택스위치(32)가 구비된 것이다. 즉 모드선택스위치(32)를 본체(10)의 M1 모드로 슬라이딩시키면, 본체(10)에 내장된 컨트롤러(11)는 제1커넥터(13)에 접속 연결되는 전자기기가 플래시 메모리(12)에 정보데이터를 입출력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모드선택스위치(32)를 본체(10)의 M2 모드로 슬라이딩시키면, 본체(10)에 내장된 컨트롤러(11)는 제2커넥터(14)에 접속 연결되는 전자기기가 플래시 메모리(12)에 정보데이터를 입출력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1)는 모드선택스위치(32)가 중간의 C 모드에 있을 경우에 제1커넥터(13)에 접속 연결된 전자기기와 제2커넥터(14)에 접속 연결된 전자기기 사이에 정보데이터를 입출력 및/또는 충전전원이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모드로 전환시킨다. 도 13b에서, 모드선택스위치(32)가 본체(10) 정면에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모드선택스위치(32)는 본체(10)의 어느 위치에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도 14a에서, 본체(10) 평면에 제1커넥터(13)나 제2커넥터(14)에 접속된 전자기기의 선택과 더불어 본체(10)에 내장된 플래시 메모리(12)에 정보데이터의 저장 및 입출력을 위한 선택 또는 접속된 전자기기의 충전전원 전송을 위한 선택 또는 접속된 전자기기 사이에 정보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선택을 위한 모드선택스위치(32)가 구비된 것이다. 즉 모드선택스위치(32)를 본체(10)의 M1 모드로 슬라이딩시키면, 본체(10)에 내장된 컨트롤러(11)는 제1커넥터(13)에 접속 연결되는 전자기기가 플래시 메모리(12)에 정보데이터를 입출력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모드선택스위치(32)를 본체(10)의 M2 모드로 슬라이딩시키면, 본체(10)에 내장된 컨트롤러(11)는 제2커넥터(14)에 접속 연결되는 전자기기가 플래시 메모리(12)에 정보데이터를 입출력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1)는 모드선택스위치(32)가 중간의 D 모드에 있을 경우에 제1커넥터(13)에 접속 연결된 전자기기와 제2커넥터(14)에 접속 연결된 전자기기 사이에 정보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는 데이터 케이블 모드로 전환시키고, 모드선택스위치(32)가 중간의 P 모드에 있을 경우에 제1커넥터(13)에 접속 연결된 전자기기와 제2커넥터(14)에 접속 연결된 전자기기 사이에 충전전원을 전송할 수 있는 충전 케이블 모드가 되도록 한다.
또한, 도 14b에서, 모드선택스위치(32)에는 C 모드와 M 모드 사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컨트롤러(11)는 모드선택스위치(32)를 C 모드에 위치시키면 제1커넥터(13)에 접속 연결된 전자기기와 제2커넥터(14)에 접속 연결된 전자기기 사이에 정보데이터를 입출력 및/또는 충전 전원이 전송되도록 하는 케이블 모드가 되도록 하고, 모드선택스위치(32)가 M 모드에 위치되면 제1커넥터(13)나 제2커넥터(14)에 접속 연결된 어느 한 전자기기에 플래시 메모리(12)에 대하여 읽고 쓰기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컨트롤러(11)는 제1커넥터(13)나 제2커넥터(14) 중 먼저 또는 가장 최근에 접속 연결된 전자기기에 대하여 우선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4c에서, C 모드와 M 모드를 갖는 모드선택스위치(32)가 본체(10) 정면에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모드선택스위치(32)는 본체(10)의 어느 위치에 구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도 13 또는 14에서, 모드선택스위치의 구비는 상기 모든 다양한 실시 예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1실시 예로서, 도 15a에서, 본체(10)의 대략 중심부에 제7힌지(34)로 결합된 커버(33)가 부가된 것이다. 즉 대략 'ㄷ'자 형상의 커버(33) 일측이 제7힌지(34)로 본체(10)의 대략 중심부에 회동되게 결합되어 커버(33)를 본체(10)의 제1커넥터(13)가 결합된 위치나 제2커넥터(14)가 결합된 위치로 회동시켜 어느 한 커넥터를 보호하거나 사용을 제한하거나 또는 사용이 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a에서, 제1커넥터(13)와 제2커넥터(14)가 노출된 경우 제1커넥터(13)에 접속 연결된 전자기기와 제2커넥터(14)에 접속 연결된 전자기기 사이에 정보 데이터를 입출력 및/또는 충전 전원이 전송되도록 하는 케이블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2실시 예로서, 도 16에서, 상기 다양한 실시 예의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1)를 보관하기 위한 케이스(35)가 적용된 것이다. 케이스(35)는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를 넣고 개폐할 수 있는 덮개로 구비된 것으로, 케이스(35)는 커넥터가 결합된 본체(10)를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거나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의 무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케이스(35)는 다양한 모양 및 형상으로 제작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에 구성된 커넥터는 다양한 타입 및 형상의 커넥터가 적용된다. 즉 커넥터는 타입A USB 커넥터, 타입B USB 커넥터, 미니A USB 커넥터, 미니B USB 커넥터, 마이크로A USB 커넥터, 마이크로B USB 커넥터, UC-26 USB 커넥터, 양면인식 USB 커넥터, 타입C USB 커넥터, USB 3.0A 타입 커넥터, USB 3.0B 타입 커넥터, USB 3.0 마이크로B 커넥터, USB 3.0 미니 10핀 커넥터, 30핀 도크 커넥터, 라이트닝 8핀 커넥터 등 다양한 커넥터 종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2: PC 3: 스마트폰 4: 마이크로 SD카드 10: 본체 11: 컨트롤러 12: 플래시 메모리 13, 14, 30: 커넥터 15, 18: 지지바 16, 17, 19, 20, 24, 26, 34: 힌지 21: 슬라이드공 22, 23: 출납편 27: 전선케이블 28: 홈 29: 돌기 31: 슬롯 32: 모드선택스위치 33: 커버 35: 케이스

Claims (12)

  1.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에 있어서,
    입출력되는 충전전원과 정보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일정 용량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측면에 구비되어 PC 또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접속단자에 연결되고 충전전원 또는 정보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커넥터에 PC 또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가 연결되어 접속되면, 해당 전자기기와 메모리 드라이브의 메모리 사이에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모드를 수행하거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 커넥터에 PC 또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가 각각 연결되어 함께 접속되면,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 전원을 다른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에 충전전원으로 전송을 제어하거나 또는 해당 복수 전자기기 사이에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것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를 수행하는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은 본체 측면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가 결합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일측 또는 다측 내부로 슬라이드공이 각각 형성되고, 각 슬라이드공에 커넥터가 결합된 출납편이 각각 출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느 하나의 커넥터가 결합된 출납편이 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가 결합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세로로 복수 분할되어 회동되는 힌지가 결합되거나 또는 탈착이 가능하여 분할된 본체 사이에 결합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복수로 분할되어 탈착이 가능한 구조이고, 본체 사이에 전선케이블이 결합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본체 표면에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커넥터에 확장용 메모리부재가 탈착되는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표면에 커넥터에 접속된 단말기의 선택, 메모리에 데이터의 저장 및 입출력의 선택 또는 접속된 PC 또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충전전원 전송을 선택 또는 접속된 전자기기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선택하는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스위치가 구비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중심부에 힌지로 결합된 커버가 부가되어 커버의 위치에 따라 어느 한 쪽 커넥터의 사용모드 또는 사용제한모드 또는 양쪽 커넥터의 사용모드로 설정하는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결합된 본체에 외부의 충격방지 및 보관을 위한 케이스가 적용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11.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에 있어서,
    입출력되는 충전전원과 정보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측면에 구비되어 PC 또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접속단자에 연결되고 충전전원 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 하나 이상의 커넥터는 확장용 메모리부재가 탈착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커넥터에 PC 또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가 연결되어 접속되면, 해당 전자기기와 상기 커넥터에 삽입된 확장용 메모리부재에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모드를 수행하거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 커넥터에 PC 또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접속단자가 각각 연결되어 함께 접속되면,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 전원을 다른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에 충전전원으로 전송을 제어하거나 또는 해당 복수 전자기기 사이에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것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를 수행하는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12. 제1, 2, 3, 7, 8, 9, 10,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타입A USB 커넥터, 타입B USB 커넥터, 미니A USB 커넥터, 미니B USB 커넥터, 마이크로A USB 커넥터, 마이크로B USB 커넥터, UC-26 USB 커넥터, 양면인식 USB 커넥터, 타입C USB 커넥터, USB 3.0A 타입 커넥터, USB 3.0B 타입 커넥터, USB 3.0 마이크로B 커넥터, USB 3.0 미니 10핀 커넥터, 30핀 도크 커넥터, 라이트닝 8핀 커넥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KR1020140010540A 2014-01-28 2014-01-28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KR101546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540A KR101546053B1 (ko) 2014-01-28 2014-01-28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PCT/KR2015/000924 WO2015115806A1 (ko) 2014-01-28 2015-01-28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540A KR101546053B1 (ko) 2014-01-28 2014-01-28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652A true KR20150089652A (ko) 2015-08-05
KR101546053B1 KR101546053B1 (ko) 2015-08-25

Family

ID=53757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540A KR101546053B1 (ko) 2014-01-28 2014-01-28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46053B1 (ko)
WO (1) WO2015115806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018B1 (ko) * 2016-09-13 2017-04-10 강윤호 경광용 기구
KR101728616B1 (ko) * 2015-12-17 2017-04-19 정병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
KR20170072836A (ko) * 2017-04-11 2017-06-27 정병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
KR20180097016A (ko) * 2017-02-22 2018-08-30 박종찬 스마트폰 보조장치
KR102189181B1 (ko) * 2019-09-19 2020-12-09 주식회사 알에프컴 블랙박스용 함체
WO2021201900A1 (en) * 2020-03-31 2021-10-07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ual-connector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providing power and memory access to a computing device
US20220413559A1 (en) * 2021-06-25 2022-12-29 New Concepts Development Corporation Flash driv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537293U (zh) * 2016-09-07 2017-02-21 金士頓數位股份有限公司 可攜式資料傳輸裝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734B1 (ko) * 2002-06-25 200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드라이브 및 그 제어방법
KR100967320B1 (ko) * 2006-05-10 2010-07-05 오준수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KR20120027954A (ko) * 2010-09-14 2012-03-22 (주)택바이오 휴대폰 젠더가 구비된 유에스비 메모리
US9215820B2 (en) 2011-07-27 2015-12-15 Antony-Euclid C. Villa-Real Practical multi-purpose color-coded flash drive organizer with compartmentalized separate memory sectors for enhanced efficiency and better effective anti-confusion performances in global personal, educational, professional, business and organizational work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616B1 (ko) * 2015-12-17 2017-04-19 정병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
KR101725018B1 (ko) * 2016-09-13 2017-04-10 강윤호 경광용 기구
KR20180097016A (ko) * 2017-02-22 2018-08-30 박종찬 스마트폰 보조장치
KR20170072836A (ko) * 2017-04-11 2017-06-27 정병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
KR102189181B1 (ko) * 2019-09-19 2020-12-09 주식회사 알에프컴 블랙박스용 함체
WO2021201900A1 (en) * 2020-03-31 2021-10-07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ual-connector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providing power and memory access to a computing device
US11169584B2 (en) 2020-03-31 2021-11-09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ual-connector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providing power and memory access to a computing device
US20220413559A1 (en) * 2021-06-25 2022-12-29 New Concepts Development Corporation Flash drive
US11953947B2 (en) * 2021-06-25 2024-04-09 New Concepts Development Corporation Flash dr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15806A1 (ko) 2015-08-06
KR101546053B1 (ko) 2015-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053B1 (ko)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US11243576B2 (en) Modular computing system
US8339792B1 (en) Detachable adapter and handheld device
AU201221208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docking station
US8737064B2 (en) Electronic device stand
US7184263B1 (en) Portable computer
US7684185B2 (en) Integrated monitor and docking station
US20130205060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docking station
US20160049816A1 (en) Portable memory power bank
US10152442B2 (en) Multi-function ports on a computing device
US8274786B2 (en) Flippable I/O port for portable computer
US10282337B2 (en) Multi-function ports on a computing device
US20160062395A1 (en) Multi-screen display device
KR101942039B1 (ko) 컴퓨터의 다중 기능 포트
US20100069117A1 (en) USB enabled mobile phone handset
US7066392B1 (en) Multimedia connector reader device
KR101107247B1 (ko) 휴대용메모리장치가 결합된 휴대단말기용 젠더장치
KR101416497B1 (ko) 오티지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
KR100900557B1 (ko) Usb 장치
KR20060130985A (ko) 디스플레이창 확장형 핸드폰
KR101879873B1 (ko) 이동식 단말기기
KR101060326B1 (ko) 플래시 메모리장치
KR101578304B1 (ko) 휴대 단말용 케이스
KR20080106763A (ko) Usb를 이용한 휴대용 기기 충전장치
KR20140012839A (ko) 멀티 인터페이스 이동식 플래시 드라이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