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8739A - Lte 단말간 직접 통신의 단말간 동기 신호 송신 장치 - Google Patents
Lte 단말간 직접 통신의 단말간 동기 신호 송신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88739A KR20150088739A KR1020150010854A KR20150010854A KR20150088739A KR 20150088739 A KR20150088739 A KR 20150088739A KR 1020150010854 A KR1020150010854 A KR 1020150010854A KR 20150010854 A KR20150010854 A KR 20150010854A KR 20150088739 A KR20150088739 A KR 201500887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base station
- signal
- synchronization signal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11/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 H04J2211/003—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within particular systems or standards
- H04J2211/005—Long term evolution [L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간 통신에서 사용되는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즉,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동기 신호를 송신하여 타 단말기의 간섭을 검출하는 LTE 단말간 직접 통신의 단말간 동기 신호 송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LTE 단말간 직접 통신의 단말간 동기 신호 송신 장치는 타 단말기와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간 동기 신호를 주기적 송신 방식, 비주기적 송신 방식, 연속 송신 방식, 송신 중단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단말간 동기 신호의 송신 정책을 결정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LTE 단말간 직접 통신의 단말간 동기 신호 송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단말간 통신에서 사용되는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다. 즉,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동기 신호를 송신하여 타 단말기의 간섭을 검출하는 LTE 단말간 직접 통신의 단말간 동기 신호 송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은 기지국과 단말기 간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다양한 표준 및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무선 통신을 위한 변조 기술로 고속 전송을 위한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이 사용될 수 있다.
OFDM을 사용하는 표준 및 프로토콜은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의 802.16 및 IEEE 802.11 표준 등이 있다.
3GPP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Node Bs(또한, 진화된 Node Bs, 향상된 Node Bs, eNodeBs 또는 eNBs로 통상적으로 표기됨) 및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의 조합일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장비(UE)로 알려진 단말기와 통신한다. IEEE 802.16에서, 기지국은 BS(base station)로 칭해질 수 있다. IEEE 802.11에서, 기지국은 WiFi WAP(wireless access point)로 칭해질 수 있다.
현재 단말기 간의 통신은 기지국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이유는 무선 자원의 스케줄링을 기지국에서 수행하는 것이 단말기의 부하를 줄이면서도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단말기 간의 거리가 가깝거나 또는 무선 자원의 다중화(multiplexing) 등을 이유로 기지국을 통하지 않고 단말기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통신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러한 단말 간 통신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070661호에서는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제어 방법을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할당할 수 있도록, 기지국이 각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선택한 자원 할당 방법에 따라 단말간 직접통신을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전술한 자원 할당 이외에도, 단말간 직접통신을 위해서는 단말들 간의 동기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단말들은 서로 간에 시간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으나, 코딩 및 송수신 과정에 따른 레이턴시, 네트워크의 복잡도 증가에 따른 지연 등으로 인하여 동기 설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단말간 직접통신을 위하여 단말기간 동기 신호를 효율적으로 송신할 수 있는 방식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간 통신에서 사용되는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LTE 단말간 직접 통신의 단말간 동기 신호 송신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동기 신호를 송신하여 타 단말기의 간섭을 검출하여 무선 채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LTE 단말간 직접 통신의 단말간 동기 신호 송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RF부; 및 상기 RF부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타 단말기와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타 단말기와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간 동기 신호를 주기적 송신 방식, 비주기적 송신 방식, 연속 송신 방식, 송신 중단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 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주기적 송신 방식은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시간 대비 1/4 이상의 어느 한 값으로 기준 송신 비율 이상의 비율로 상기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비주기적 송신 방식은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시간을 10초 이하의 어느 한 값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시간은 단말간 송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연속 송신 방식은 긴급호 요청시 단말간 동기 신호의 중단 없이 상기 단말간 동기 신호를 연속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중단 방식은 60초 이하의 어느 한 값 이상 상기 타 단말기의 응답이 없을 경우 상기 단말간 동기 신호의 송신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의 커버리지 안에서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 밖에 있는 타 단말기와 단말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타 단말기로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타 단말기 간 통신에 사용되는 프레임의 첫번째로부터의 오프셋에 해당하는 프레임에 제 1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동기 신호를 타 단말기로 송신한 이후에 제 2 동기 신호를 더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제 2 동기 신호를 프레임에서 지정된 오프셋에 해당하는 프레임에서 송신, 제 1 동기 신호 바로 다음에 송신, 제 1 동기 신호와 중복되지 않는 프레임에서 송신, 제 1 동기 신호가 위치한 프레임의 마지막 오프셋에서 송신, 제 1 동기 신호가 위치한 프레임의 최대 오프셋 이내에서 송신, 제 1 동기 신호가 위치한 프레임의 최소 오프셋 이후에 송신, 제 1 동기 신호가 위치한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 이후에 동기 신호를 하나 더 송신, 제 2 동기 신호를 송신할 프레임을 타 단말기로 미리 알린 후 송신, 타 단말기와 통신 장애가 발생할 경우 즉시 송신, 제 1 동기 신호가 위치한 프레임에 제 2 동기 신호를 송신할 프레임 정보를 기록하여 송신, 및 프레임에 제 1 동기 신호의 프레임 위치 및 제 2 동기 신호의 프레임 위치를 기록한 후 송신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제 2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타 단말기가 제 1 동기 신호의 정상 수신을 단말기로 보고할 경우, 제 2 동기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동기 신호 및 제 2 동기 신호의 송신 프레임 번호는 0 내지 39 및 0 내지 15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의 동기 신호를 수신하여 타 단말기로 단말간 통신을 위한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의 동기 신호와 동기를 맞추어 타 단말기로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하며, 기지국의 동기 신호와 동기를 맞추어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함을 나타내는 기지국 동기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를 타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동기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는 단말간 통신 채널 및 단말간 동기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의 동기 신호와 동기를 맞추지 않고 비동기로 타 단말기와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하며, 기지국의 동기 신호와 동기를 맞추지 않고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함을 나타내는 기지국 비동기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를 타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비동기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는 단말간 통신 채널 및 단말간 동기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RF부; 및 상기 RF부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타 단말기로 송신하는 하향데이터 및 상기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받는 상향데이터의 프레임 점유 비율에 대한 기준 비율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 비율에 따라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프레임을 시간 분할로 구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어 하향 데이터와 상향데이터를 구분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2:3, 3:2, 4:1, 1:4, 7:3, 3:7, 8:2, 2:8, 9:1, 1:9, 3:3:2:2, 5:5, 3:3:2:2, 2:2:3:3, 1:1:1:1:1:1:1:1:1:1, 2:2:2:2:1:1, 2:2:1:1:2:2, 1:1:2:2:2:2, 4:6, 6:4, 2:3:2:3, 3:2:3:2, 0:10, 10:0, 0:5, 및 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준 비율을 상기 하향 데이터 및 상향 데이터의 전송 비율로서 반복적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준 비율에 사용되는 코드 중 하나를 사용하여 시간분할방식이 아닌 주파수분할방식을 지정하며, 주파수분할방식을 사용할 경우 시간분할방식를 사용하는 상기 장치가 10:0 또는 5:0의 기준 비율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LTE 단말간 직접 통신의 단말간 동기 신호 송신 장치는 단말간 통신에서 사용되는 동기 신호를 효과적으로 송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LTE 단말간 직접 통신의 단말간 동기 신호 송신 장치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동기 신호를 송신하여 타 단말기의 간섭을 검출하여 무선 채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 1 기지국이 주 기지국으로 동작하고 제 2 기지국이 부 기지국으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경우에 대한 이중 연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 1 기지국이 주 기지국으로 동작하고 제 2 기지국이 부 기지국으로 동작하며 주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가 분리 및 결합되는 경우에 대한 이중 연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부 기지국이 단말기와 연결이 중단된 경우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 및 도 3의 주 기지국 또는 부 기지국으로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할당하는 경우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2 및 도 3의 주 기지국 또는 부 기지국으로 단말기가 랜덤 액세스하는 경우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단말간 직접 통신의 단말간 동기 신호 송신을 위한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단말기가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단말기가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기지국의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타 단말기로 송신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의 단말기가 타 단말기로 송신하는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 1 기지국이 주 기지국으로 동작하고 제 2 기지국이 부 기지국으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경우에 대한 이중 연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 1 기지국이 주 기지국으로 동작하고 제 2 기지국이 부 기지국으로 동작하며 주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가 분리 및 결합되는 경우에 대한 이중 연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부 기지국이 단말기와 연결이 중단된 경우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 및 도 3의 주 기지국 또는 부 기지국으로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할당하는 경우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2 및 도 3의 주 기지국 또는 부 기지국으로 단말기가 랜덤 액세스하는 경우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단말간 직접 통신의 단말간 동기 신호 송신을 위한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단말기가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단말기가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기지국의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타 단말기로 송신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의 단말기가 타 단말기로 송신하는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LTE 단말간 직접 통신의 단말간 동기 신호 송신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말 간 직접 통신은 기지국을 통하지 않고 통신하는 것으로서, 단말 간 시간 및 주파수 동기를 맞추는 단말간 동기 방법, 단말 간 동기 후 통신 하고자 하는 단말기를 발견하는 단말기의 발견 방법, 및 단말기의 발견 후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간 통신 방법 등이 필요하다.
우선, 단말 간 동기 방법은 D2DSS(Device to Device Synchronization Signal)과 PD2DSCH(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에 의해 이루어진다.
D2DSS는 단말기가 송신하고 타 단말기가 수신하여 타 단말기가 단말기와 시간 및 주파수 동기를 맞추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PD2DSCH은 D2DSS가 송신되는 물리적인 채널을 의미한다.
D2DSS는 기지국이 속한 셀룰러 망을 활용할 수 없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던 기존 동기 신호와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즉 단말들의 D2D 통신을 위한 동기 획득이 가능하도록 하며 공통 시간 기준을 제공하는 주체의 ID 관련 정보를 전달한다.
셀룰러 망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는 D2D 단말들은 자신이 속한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시간 기준을 획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의 경우, 단말은 기지국 접속 시 기지국 전송 동기 신호인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과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을 검출하여 단말 자신이 속한 셀에 대한 시간 동기 및 셀 ID를 획득하는데, 획득한 시간 동기를 공통 시간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의 발견 방법은 D2D 통신에서 타 단말기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하여 디스커버리(discovery) 정보를 주변에 전송하여야 한다. 또한, 타 단말기는 디스커버리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커버리 정보를 인지한 타 단말기가 단말기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타 단말기는 단말기로 D2D 자신의 단말과 관련된 정보의 전송을 수행하며, 정보 수신에 필요한 제어 정보 또한, 함께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타 단말기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는 수신 신호에 근거하여 ACK/NACK 및/또는 폐루프(close loop) 제어 정보 등을 타 단말기에게 전달함으로써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후, 단말 간 통신 방법은 물리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하며, 물리채널은 다수의 트래픽 슬롯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트래픽 슬롯 별로 독립적인 링크 스케줄링 및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는데, 링크 스케줄링, 전송률 스케줄링, 데이터 전송, 및 확인응답(acknowledgment) 전송의 기능으로 구분된다.
링크 스케줄링에서는 각 단방향 통신을 위한 단말간 링크 별로 OFDM 신호구조를 활용한 단일-톤 탐지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단말간 링크들 사이의 신호간섭 관계를 측정하고 해당 트래픽 슬롯에서의 데이터 전송 가능 여부 즉, 매체 접근 혹은 양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송률 스케줄링에서는 해당 트래픽 슬롯에서 매체 접근을 결정한 링크들에 대한 세부 전송률의 조율을 수행하고, 데이터 전송에서는 매체 접근을 결정한 링크들의 송신 단말들이 해당 수신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며, 확인응답 전송에서는 데이터 전송에 대한 확인응답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며,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단말간 직접 통신의 단말간 동기 신호 송신 장치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네트워크 구조는 기지국과 단말기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단말간 통신은 매크로셀과 D2D 채널을 별도로 할당할 경우 새로운 주파수를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매크로셀과 D2D 채널을 동시에 할당할 경우 단말간 통신은 서브채널의 추가 및 매크로 셀에서 사용중인 물리채널의 활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매크로셀과 D2D 간의 간섭은 채널 할당 기법, 채널 관리 기법, 및 듀플렉싱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간의 동기(synchronization)는 업링크에서 제공, 다운링크에서 제공, 및 업링크, 다운링크 동시 제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LTE 네트워크 구조를 상세히 살펴보면, 제 1 단말(110) 및 제 3 단말(130)은 제 1 기지국(310)의 셀룰러 링크 반경에 위치하고 제 4 단말(240) 및 제 5 단말(250)은 제 2 기지국(320)의 셀룰러 링크 반경에 위치한다.
또한, 제 3 단말(130)은 제 1 단말(110), 제 2 단말(120), 및 제 4 단말(240)과 D2D 통신이 가능한 거리에 위치한 다. 제 3 단말(130)과 제 1 단말(110)의 D2D 링크는 같은 제 1 기지국(310) 내에 위치하고, 제 3 단말(130)과 제 4 단말(240)의 D2D 링크는 다른 셀룰라 반경에 위치하고 제 3 단말(130)과 제 2 단말(120)의 D2D 링크는 어느 셀룰라 반경에도 위치하지 않는 제 2 단말(120)과 제 1 기지국(310)의 셀룰라 반경에 위치하는 제 3 단말(13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제 1 기지국(310)과 제 3 단말(130) 간 사용하는 셀룰라 링크 채널과 제 3 단말(130)과 제 4 단말(240)에서 사용하는 D2D 링크 채널은 별도로 할당되거나 동시에 할당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 1 기지국(310)과 제 3 단말(130) 간 사용하는 셀룰라 링크 채널과 제 3 단말(130)과 제 4 단말(240)에서 사용하는 D2D 링크 채널이 같은 주파수를 사용할 경우 PDSCH, PDCCH, PUSCH, PUCCH의 OFDM 심볼을 별도로 할당할 수 있다.
특히, 제 3 단말(130)과 제 4 단말(240)에서 사용하는 D2D 링크 채널 위한 동기 신호, 디스커버리 신호, 및 HARQ의 송신을 위한 타임 슬롯의 할당 스케줄을 제 1 기지국(310)이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기지국(310)이 송신하는 동기 신호는 제 1 기지국(310)의 셀룰라 링크의 정보와 동시에 사용 가능하나, 제 3 단말(130)과 제 4 단말(240)에서 사용하는 동기 신호, 디스커버리 신호, 및 HARQ의 송신을 위한 타임 슬롯은 제 1 기지국(310)과 제 3 단말(130) 간 사용하는 셀룰라 링크 채널과 타임 슬롯이 겹치지 않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한편, 제 1 기지국(310)과 제 3 단말(130) 간 사용하는 셀룰라 링크 채널과 제 3 단말(130)과 제 4 단말(240)에서 사용하는 D2D 링크 채널이 다른 주파수를 사용할 경우 제 3 단말(130)과 제 4 단말(240)은 PDSCH, PDCCH, PUSCH, PUCCH의 OFDM 심볼을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제 3 단말(130) 또는 제 4 단말(240)에서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또한, 제 3 단말(130)과 제 4 단말(240)의 D2D 통신 수행 시 제 1 기지국(310) 및 제 1 단말(110)로부터 영향을 받는 간섭을 회피하여 사용한다. 특히, 제 3 단말(130)과 제 4 단말(240)과의 D2D 통신 수행시 제 3 단말(130)이 제 1 기지국(310)에서 수신하는 동기 신호를 제 1 기지국(310)에서 사용하는 업링크 채널을 통해 제 4 단말(240)로 송신, 제 1 기지국(310)에서 사용하는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제 4 단말(240)로 송신, 또는 제 1 기지국(310)에서 사용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채널 동시에 제 4 단말(240)로 송신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제공한다.
다음은 다른 실시예를 들어 D2D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요소를 설명한다.
먼저, D2D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 D2D 단말을 찾아내는 디스커버리(discovery)와 이후에 실제 통신하는 D2D 통신(D2D communication)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디스커버리(Discovery)는 D2D 단말을 찾는데 필요한 신호 및 메시지로 구성되고 신호 및 메시지 내부에는 디스커버리 정보 및 채널 예측 정보를 포함한다.
디스커버리의 메시지 및 시퀀스에 사용되는 프레임은 LTE 업링크의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와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짧은 거리에서의 디스커버리는 노말 사이클릭 프리픽스(normal cyclic prefix)를 사용하고 확장된 범위에서의 디스커버리는 확장된 사이클릭 프리픽스(extended cyclic prefix)를 사용한다.
디스커버리의 메시지 및 시퀀스의 전송을 위해 QPSK, 터보코드, 인터리버, 및 CRC-24를 사용한다.
디스커버리의 메시지와 시퀀스는 같은 주파수 및 같은 시간에 전송한다.
한편, D2D 통신은 단말 간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단말간 동기 및 통신을 위한 물리채널의 사용을 포함한다.
D2D 통신의 동기는 D2D 동기신호를 송신하여 단말간 동기를 맞추기 위한 것으로서, 단말 간 동일한 주파수와 시간을 사용한다.
D2D 통신의 동기 시퀀스는 ZC시퀀스 또는 M시퀀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D2D 통신의 동기 내용은 동기신호를 송출하는 동기원(synchronization source)의 ID, 동기원의 형식, 제어신호의 리소스 할당,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D2D 통신을 위한 물리채널은 D2D 동기 신호를 보내는 D2DSS(D2D Synchronization Signal), 물리적인 D2D 동기 채널인 PD2DSCH(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 클러스터 헤드 제어 채널인 CH-CCH(Cluster head control channel), 클러스터 헤드 데이터 채널인 CH-DCH(Cluster head data channel), D2D 데이터 채널, 및 리소스를 요청하는 REQ(request) 채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D2DSS는 D2D 단말로 구성된 클러스터의 동기원인 클러스터 헤드에서 송신하며 동기 레퍼런스를 제공한다.
또한, PD2DSCH은 SFN, 동기 상태 등을 나타내는 동기 정보와 채널 대역폭, 리소스 설정 정보 등을 나타내는 설정정보를 클러스터 헤드에서 포함한다.
한편, CH-CCH는 클러스터 내부의 송신 단말 및 수신 단말에 클러스터 헤드에서 전송되며 송신을 위한 전송 정보를 포함하며 디코딩을 위한 제어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CH-DCH도 클러스터 내부의 송신 단말 및 수신 단말에 클러스터 헤드에서 전송되며 CH-CCH의 스케쥴링에 의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D2D 데이터 채널은 클러스터 내부의 송신 단말이 수신 단말로 송신하는 채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채널로 CH-CCH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할당된 리소스를 통해 전송한다.
REQ 채널은 송신 단말이 클러스터 헤드에게 리소스 할당을 요청할 때 사용되는 채널이다. 여기에는 D2D 버퍼 상태, 송신 단말에서 측정한 간섭 정보,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 등을 요청하며 여러 송신 단말들의 REQ채널은 주파수로 분리되어 클러스터 헤드로 전송된다.
따라서, 클러스터에서 단말로 전송 시 사용되는 D2DSS, PD2DSCH, CH-CCH, 및 CH-SCH와 단말에서 클러스터 헤드로 전송 시 사용되는 REQ 채널, 그리고 단말 간 사용하는 D2D 데이터 채널은 LTE의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PSS/S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도 2는 도 1의 제 1 기지국(310)이 주 기지국(101)으로 동작하고 제 2 기지국(320)이 부 기지국(201)으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경우에 대한 이중 연결의 구성도이다.
이중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주 기지국(101)(master eNB)과 부 기지국(201)(secondary eNB)은 코아 네트워크와 개별적으로 연결된 구성이다.
따라서, 모든 프로토콜은 주 기지국(101)과 부 기지국(201)이 독립적으로 이루어 지며, 특히 두 개의 기지국으로 통신하는 데이터의 분리 및 결합이 기지국에서 수행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는 IP 헤더 압축 및 압축 해지,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Radio Bearer에 대한 시퀀스 번호 유지를 수행하는 LTE 내 무선 트래픽 프로토콜 스택 중 하나이다.
또한, RLC(Radio Link Control )는 PDCP와 MAC 사이에서 무선 연결을 제어하는 프로토콜 스택이다.
그리고 MAC(Media Access Control)은 무선 채널의 다중접속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스택이다.
도 3은 도 1의 제 1 기지국(310)이 주 기지국(101)으로 동작하고 제 2 기지국(320)이 부 기지국(201)으로 동작하며 주 기지국(101)을 통해 데이터가 분리 및 결합되는 경우에 대한 이중 연결의 구성도이다.
즉, 이중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주 기지국(101)과 부 기지국(201)이 코아 네트워크와 연결되는데 있어서, 주 기지국(101)만 코아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부 기지국(201)은 주 기지국(101)을 통해 코아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따라서, 주 기지국(101)에서 코아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데이터에 대한 분리와 결합을 수행한다. 즉, 주 기지국(101)에서 분리된 데이터를 부 기지국(201)으로 송신하거나 부 기지국(201)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결합하여 코아 네트워크로 통신한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부 기지국(201)이 단말기(301)와 연결이 중단된 경우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즉, LTE 단말간 직접 통신의 단말간 동기 신호 송신 장치는 단말기(301)에 무선 자원을 할당하여 단말기(301)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주 기지국(101), 주 기지국(101)과 동시에 단말기(301)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부 기지국(201), 및 주 기지국(101) 및 부 기지국(201)과 동시에 데이터를 통신하며 부 기지국(201)과 링크가 끊기면 무선 자원 제어를 재설정하는 단말기(301)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301)는 부 기지국(201)과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경우 연결 상태 정보(connection state information)를 주 기지국(101)으로 알려주며, 또한, 주 기지국(101)은 부 기지국(201)으로 부 기지국(201)과 단말기(301) 간의 링크 상태 정보(link state information)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주 기지국(101)과 연결에 이상이 있을 경우 단말기(301)는 무선 자원 제어 재설정을 하며 이에 대한 보고를 부 기지국(201)으로 하여 부 기지국(201)이 주 기지국(101)으로 연결 이상을 보고한다.
이때, 주 기지국(101)과 부 기지국(201)간의 통신은 X2 인터페이스 내의 프레임에 정보를 추가하거나 브로드밴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유선으로 연결되지 않을 경우 무선 백홀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프레임 내 정보는 주 기지국(101)과 부 기지국(201)의 링크상태를 나타내는 링크상태헤더, 링크상태, 기지국ID, 단말기ID를 포함한 신호체계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 기지국(101) 및 부 기지국(201) 중 어느 하나의 연결에 이상이 있을 경우 단말기(301)는 이를 연결 이상이 없는 주 기지국(101) 및 부 기지국(201) 중 어느 하나에 보고를 하여 보고 받은 기지국은 연결이 이상이 있는 기지국에 이를 알려주어 단말기(301)와의 연결 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주 기지국(101)과 부 기지국(201)이 모두 연결에 이상 있을 경우에도 단말기(301)는 무선 자원 제어를 재설정하여 기지국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도 2 및 도 3의 주 기지국(101) 또는 부 기지국(201)으로 단말기(301)의 송신 전력을 할당하는 경우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즉, LTE 단말간 직접 통신의 단말간 동기 신호 송신 장치는 단말기(301)에 무선 자원을 할당하여 단말기(301)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주 기지국(101), 주 기지국(101)과 동시에 단말기(301)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부 기지국(201), 및 주 기지국(101) 및 부 기지국(201)으로 송출하는 전력의 통계 분석을 토대로 주 기지국(101) 및 부 기지국(201)의 송신 전력 상한 값 비율을 설정하는 단말기(301)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계 분석은 주 기지국(101) 및 부 기지국(201)으로 단말기(301)가 송출하는 평균 전력을 토대로 송신 전력 비율을 분석하며, 단말기(301)는 주 기지국(101) 및 부 기지국(201)으로 송신 전력 상한 값 비율을 보고한다.
즉, 단말기(301)는 단말기(301)에서 송출할 수 있는 최대 전력과 주 기지국(101) 및 부 기지국(201)으로 송출하는 송출 값에 대한 평균 값을 토대로 주 기지국(101) 및 부 기지국(201)으로 송출하는 전력 비율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주 기지국(101)과 부 기지국(201)으로 송출하는 전력 비율을 3:1, 2:2, 및 1:3 등과 같이 비율을 정하여 사용한다.
또다른 예로서, 송신하는 전력의 배분에 있어서, 먼저, 주 기지국(101)과의 연결성 유지 또는 제어 신호의 전송이 매우 중요하므로 이러한 신호의 전송을 위하여, 주 기지국(101)에 전력을 먼저, 할당하고 남은 전력을 부 기지국(201)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배분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데이터를 부 기지국(201)으로 송신할 때 사용 가능한 전력이 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즉, 무선채널이 변하지 않아도 사용 가능한 전력에 따라 사용할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값이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전력배분과 MCS값이 동시에 변경될 경우 데이터 전송 에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전력 배분의 변경과 MCS 값의 변경은 동시에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전력배분과 MCS값이 동시에 변경될 경우 데이터 전송 에러를 유발하지 않기 위해 피드백 신호 체계인 MCS 변경을 위한 CQI(Channel Quality Indicator)의 보고 주기를 전력 배분의 변경과 동시에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의 최대값, 사용하는 전력 비율, 전력 비율에 따른 기지국 별 최대 전송 전력, 및 현재 단말기에서 송출하는 전력 대비 기지국 별 송출할 수 있는 최대 전력과의 마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주 기지국(101) 및 부 기지국(201)으로 보고할 수 있다.
도 6은 도 2 및 도 3의 주 기지국(101) 또는 부 기지국(201)으로 단말기(301)가 랜덤 액세스하는 경우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즉, LTE 단말간 직접 통신의 단말간 동기 신호 송신 장치는 단말기(301)에 무선 자원을 할당하여 단말기(301)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주 기지국(101), 주 기지국(101)과 동시에 단말기(301)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부 기지국(201), 및 주 기지국(101) 및 부 기지국(201)으로 트리거링에 의한 랜덤 액세스, 트리거링 없는 자체 랜덤 액세스 중 어느 하나를 주 기지국(101) 및 부 기지국(2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송출하는 단말기(301)를 포함한다.
여기서, 트리거링은 PDCCH, MAC, RRC 증 어느 하나의 트리거링 명령에 의해 수행하며, 부 기지국(201)은 부 기지국(201)으로 동작할 수 있는 기지국 중 제일 우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랜덤 액세스는 내용이 없는 프리앰블(preamble), 초기 액세스(initial access), 무선자원제어 메시지, 및 단말기ID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전송한다.
즉, 랜덤 액세스는 단말기(301)가 주 기지국(101) 또는 부 기지국(201)으로 초기 액세스(initial access), 무선자원제어의 설정(establish) 및 재설정(re-establish), 및 핸드 오버 등의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주 기지국(101) 또는 부 기지국(201) 중 어느 하나에 랜덤 액세스를 송출할 수도 있고 주 기지국(101) 또는 부 기지국(201)에 동시에 랜덤 액세스를 송출할 수도 있다.
이때, 주 기지국(101) 또는 부 기지국(201)으로부터의 PDCCH, MAC, RRC(radio resource control) 트리거링으로 랜덤 액세스를 송출할 수도 있으나 단말기 자체 트리거링으로도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향 링크로 분배된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 전력을 랜덤액세스에 사용하여 랜덤액세스를 송출할 수 있다.
한편, 주 기지국(101) 또는 부 기지국(201)이 신규로 ON 될 경우 단말기(301)를 포함한 주변 단말기가 동시에 랜덤액세스를 수행하여 랜덤액세스로 인해 데이터 통신에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 주 기지국(101) 또는 부 기지국(201)이 신규로 ON 될 경우 10초 전후의 랜덤 시간을 추가로 사용하여 단말기(301)가 랜덤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10초는 단말기의 개수 및 기지국의 개수에 따라 가변할 수 있는 최대 랜덤액세스 시간이며, 이러한 최대 랜덤액세스 시간은 환경에 따라 1초에서 60초 이내의 어느 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301)는 다중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 기지국(101) 또는 부 기지국(201)에서 송신하는 위치를 파악하여 주 기지국(101) 또는 부 기지국(201) 방향으로 랜덤액세스를 수행하여 간섭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는, 주 기지국(101)과 부 기지국(201)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 단말기(301)는 360도 스윕하여 랜덤액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단말간 직접 통신의 단말간 동기 신호 송신을 위한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 시스템은 기지국(100), 단말기(200), 타 단말기(300) 및 간섭 단말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200)는 타 단말기(300)와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간 동기 신호를 주기적 송신 방식, 비주기적 송신 방식, 연속 송신 방식, 송신 중단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송신할 수 있도록 단말간 동기 신호의 송신 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200)는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시간 대비 1/4 이상의 어느 한 값으로 기준 송신 비율 이상의 비율로 송신하는 주기적 송신 방식,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시간을 10초 이하의 어느 한 값을 기준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시간은 단말간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비주기적 송신 방식, 긴급호 요청시 단말간 동기 신호의 중단 없이 연속으로 송신하는 연속 송신 방식, 및 60초 이하의 어느 한 값 이상 타 단말기(300)의 응답이 없을 경우 단말간 동기 신호의 송신을 중단하는 송신 중단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단말간 동기 신호의 송신 정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단말기(200)는 타 단말기(300)로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하여 동기 신호를 제공하지만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시간을 둠으로써, 본 발명은 타 단말기(300)와 거리가 먼 간섭 단말기(400)를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섭 단말기(400)가 타 단말기(300)로 주는 간섭을 분석하여 회피함으로써 간섭을 줄이고 무선 채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간 동기 신호의 송신은 주기적, 비주기적, 연속, 및 중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주기적으로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할 경우 송신 시간은 송신을 하지 않는 시간보다 1/4 이상의 어느 한 값을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송신 하지 않는 시간이 송신하는 시간 보다 4배가 긴 경우 충분히 간섭을 측정할 수 있는 시간이다.
즉, 단말간 동기 신호가 0.5ms 마다 전송된다고 가정할 때 32번 송신할 경우 16ms가 걸리고 휴지시간은 16ms의 4배인 64ms 이하 값 중 특정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하지 않는 시간이 송신하는 시간 보다 4배 이하를 사용할 경우 32번 송신할 ? 64ms 이하인 40ms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비주기적으로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할 때 단말간 동기 신호의 휴지 시간은 10초 이내의 어느 기준값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200) 또는 타 단말기(300)가 이동 중일 경우 무선 채널이 안정화되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단말기(200)는 무선 채널이 안정화 되는 시간인 최대 10초 이하의 어느 한 값 이후에 재 전송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 또는 타 단말기(300)의 이동 속도가 고속일 경우 1초 이하로 재전송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타 단말기(300)의 응답이 전혀 없을 경우 60초 이하의 어느 한 값을 기준으로 전송을 중단하여 무선 채널을 점유하지 않는다.
한편, 단말기(200)가 타 단말기(300)와 재난 통신과 같은 긴급 통화를 요청할 경우 단말기(200)는 단말간 동기 신호를 휴지 시간 없이 연속으로 송신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단말기(200)가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LTE 단말간 직접 통신의 단말간 동기 신호 송신 장치는 타 단말기(300)로 단말간 동기 신호 및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출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타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하여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200)는 터보코드로 1/2 이하의 코드 중 특정한 값 이하를 사용하고 1/2을 초기값으로 사용, 대역폭으로 80MHz 이내를 사용하고 20MHz를 초기값으로 사용, 듀플렉스 모드로 FDD 및 TDD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고 TDD를 초기값으로 사용, 변조 방식으로 64QAM 이하의 어느 변조 방식을 사용하고 64QAM을 초기값으로 사용, 사이클릭 프리픽스(CP)로 normal과 extended를 사용하고 normal을 초기값으로 사용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파라미터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간 동기 신호는 PD2DSS(primary D2D synchronization signal) 및 SD2DSS(secondary D2D 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xtended CP 심볼이 사용되는 경우, PD2DSS는 서브프레임의 첫번째 슬롯의 0번 및 1번에 위치하고 SD2DSS는 상기 서브프레임의 두번째 슬롯의 3번 및 4번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단말기(200)가 타 단말기(300)로 단말간 통신을 수행할 때 타 단말기(300)와 단말기(200) 간의 거리는 가까울 수도 있고 멀 수도 있다. 따라서, 터보코드, 대역폭, 듀플렉스, 변조 방식, 사이클릭 프리픽스는 경우에 따라 적합한 것으로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먼저, 무선 채널의 품질에 따라 발생한 에러를 복구하는 터보코드는 단말기 간 채널 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을 대비하여 터보코드의 최대값인 1/2 이하의 코드 중 특정한 값 이하를 사용하며, 채널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를 대비하여 1/2을 초기값으로 사용한다.
또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은 최소 대역폭인 20MHz이상 최대 대역폭인 80MHz 이하를 사용하고 간섭 문제를 고려하여 제일 적은 대역폭인 20MHz를 초기값으로 사용한다.
송신과 수신의 분리 방식으로 주파수로 분리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와 시간으로 분리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를 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때, FDD를 단말간 통신으로 사용할 경우 기지국(100)과 통신하는 송수신 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단말기(200) 또는 타 단말기(300)는 2개의 주파수에 대해 송수신 하드웨어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TDD를 사용할 경우 하나의 주파수에 대한 송수신 하드웨어만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200)와 타 단말기(300)의 통신 시 듀플렉스 모드는 FDD/TDD를 모두 사용하며, 송수신 하드웨어가 간단한 TDD를 초기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변조방식은 무선 환경 채널이 좋을 때를 가정하여 최대 64QAM까지 사용하며, QPSK 대비 3배 이상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64QAM을 초기값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환경에 따라 페이딩의 신호를 복구 할 수 있는 가드 시간인 사이클릭 프리픽스는 단말간 거리를 고려하여 normal과 extended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단말기(200)와 타 단말기(300)가 가까운 거리에 있는 것을 가정하여 normal을 초기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단말간 동기 신호인 D2DSS(D2D Synchronization signal)은 정확한 동기 획득을 위해 PD2DSS(primary D2DSS)와 SD2DSS(secondary D2DSS)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normal CP를 사용할 경우와 extended CP를 사용할 경우 CP의 길이에 의해 PD2DSS 및 SD2DSS를 전송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 내의 타임슬롯에 전송되는 OFDM의 심볼 개수가 다르게 정의된다. 즉, normal CP를 사용할 경우 하나의 타임슬롯 당 14개(0~13번)의 OFDM 심볼이 사용되고 extended CP를 사용할 경우 하나의 타임슬롯 당 12개(0~11번)의 OFDM 심볼이 사용될 수 있다.
정확한 동기를 유지하기 위해 PD2DSS와 SD2DSS은 각각 연속으로 2개의 OFDM 심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Normal CP를 사용할 경우 타임슬롯 당 14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두 개의 타임 슬롯을 사용할 수 있으며, PD2DSS는 첫번째 타임슬롯의 1번과 2번에 위치하고 SD2DSS는 4번과 5번에 연속으로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extended CP를 사용할 경우 타임슬롯당 12개의 OFDM심볼로 구성되므로 PD2DSS와 SD2DSS의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OFDM 심볼의 변경 없이 PD2DSS는 첫 번째 타임슬롯의 1번과 2번에 위치하고 SD2DSS는 두 번째 타임슬롯의 4번과 5번에 연속으로 위치하거나, 또는 OFDM 심볼을 하나 앞서 송부할 경우 PD2DSS는 첫 번째 타임슬롯의 0번과 1번에 위치하고 SD2DSS는 두 번째 타임슬롯의 3번과 4번에 연속으로 위치하거나, 또는 OFDM 심볼을 하나 지연시켜서 송부할 경우 PD2DSS는 첫 번째 타임슬롯의 2번과 3번에 위치하고 두 번째 타임슬롯의 SD2DSS는 5번과 6번에 연속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간 동기 신호의 배치를 통해, 본 발명은 정확한 동기 유지 및 동기 신호의 복조 용이성을 달성할 수 있다.
동기신호의 배치는 단말이 복조 하기 쉽게 정할 수 있으며, 동기신호가 가까우면 동기를 확실히 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시간이 지날 수록 동기를 벗어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한편, 동기 신호가 분리될 경우 동기 품질은 다소 저하되어도 시간에 따른 동기 품질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9는 도 7의 단말기(200)가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이다.
여기서, LTE 단말간 직접 통신의 단말간 동기 신호 송신 장치는 기지국(100)의 커버리지 안에서 기지국(100)의 커버리지 밖에 있는 타 단말기(300)와 단말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타 단말기(300)로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200)는 타 단말기(300) 간 통신에 사용되는 프레임의 첫번째로부터의 오프셋에 해당하는 프레임에 제 1 동기 신호(예컨대, PD2DSS)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0)는 제 1 동기 신호를 타 단말기(300)로 송신한 이후에 제 2 동기 신호(예컨대, SD2DSS)를 더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200)는, 제 2 동기 신호를 프레임에서 지정된 오프셋에 해당하는 프레임에서 송신, 제 1 동기 신호 바로 다음에 송신, 제 1 동기 신호와 중복되지 않는 프레임에서 송신, 제 1 동기 신호가 위치한 프레임의 마지막 오프셋에서 송신, 제 1 동기 신호가 위치한 프레임의 최대 오프셋 이내에서 송신, 제 1 동기 신호가 위치한 프레임의 최소 오프셋 이후에 송신, 제 1 동기 신호가 위치한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 이후에 동기 신호를 하나 더 송신, 제 2 동기 신호를 송신할 프레임을 타 단말기(300)로 미리 알린 후 송신, 타 단말기(300)와 통신 장애가 발생할 경우 즉시 송신, 제 1 동기 신호가 위치한 프레임에 제 2 동기 신호를 송신할 프레임 정보를 기록하여 송신, 및 프레임에 제 1 동기 신호의 프레임 위치 및 제 2 동기 신호의 프레임 위치를 기록한 후 송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제 2 동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200)는 타 단말기(300)가 제 1 동기 신호의 정상 수신을 단말기(200)로 보고할 경우, 제 2 동기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말기(200)는 제 1 동기 신호 및 제 2 동기 신호의 송신 프레임 번호로서 0 내지 39 및 0 내지 15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기지국(100)의 커버리지 안에 있는 단말기(200)가 기지국(100)의 커버리지 밖에 있는 타 단말기(300)와 단말간 통신을 하기 위해 동기 신호를 두 개 이상 보낼 수 있으며, 첫번째 동기신호는 첫번째 프레임, 임의로 정해진 프레임 중 어느 하나로 보낼 수 있다.
추가로 송신하는 동기 신호는 첫번째 동기 신호 다음 프레임에 송신하거나 정해진 시간에 송신하거나 마지막 프레임에 송신할 수도 있다.
동기신호의 배치는 단말이 복조 하기 쉽게 정할 수 있으며, 동기신호가 가까우면 동기를 확실히 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시간이 지날 수록 동기를 벗어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한편, 동기 신호가 분리될 경우 동기 품질은 다소 저하되어도 시간에 따른 동기 품질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동기 신호는 무선 품질에 따라 두 개 이상 보낼 수 있고, 첫번째 동기신호의 위치도 경우에 따라 첫번째 프레임에 정보를 줄 수 있으며, 두번째 송신하는 동기 신호 송신 프레임의 위치도 첫번째 프레임 또는 첫번째 동기신호가 포함된 프레임에 위치 정보를 표시하여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하는 프레임 오프셋 수는 0 내지 39로 이루어진 40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단말기(200)의 구현 방식에 따라 4 비트를 사용할 경우 16개만 사용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기지국의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타 단말기로 송신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100)의 동기 신호를 수신하여 타 단말기(300)로 단말간 통신을 위한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200)는 기지국(100)의 동기 신호와 동기를 맞추어 타 단말기(300)로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0)는 기지국(100)의 동기 신호와 동기를 맞추어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 동기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를 타 단말기(300)로 송신 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200)는 단말간 통신 채널 및 단말간 동기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기지국 동기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0)는 기지국(100)의 동기 신호와 동기를 맞추지 않고 비동기로 타 단말기(300)와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200)는 기지국(100)의 동기 신호와 동기를 맞추지 않고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 비동기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를 타 단말기(300)로 송신 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0)는 단말간 통신 채널 및 단말간 동기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기지국 비동기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즉, 단말간 통신을 위해 단말기(200)는 타 단말기(300)로 단말기(200)가 기지국(100)과 동기가 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인 기지국 동기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200)는 단말기(200)에서 타 단말기(300)로 단말간 통신 채널로 사용하는 단말간 통신 채널 및 단말간 동기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기지국 동기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200)가 기지국(100)에 동기가 되어도 타 단말기(300)와 비동기로 접속을 원할 경우 단말기는 타 단말기(300)로 기지국 비동기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를 송신한다.
이때, 단말기(200)는 단말기(200)에서 타 단말기(300)로 단말간 통신 채널로 사용하는 단말간 통신 채널 및 단말간 동기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기지국 비동기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 동기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는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단말기(200)가 기지국(100)에 동기를 맞추어 타 단말기(300)로 기지국(100)과 동일한 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 비동기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는 기지국의 커버리지 밖에 있는 타 단말기(300)가 단말기(200)로 동기를 맞출 때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단말기(200)가 타 단말기(300)와 동기를 맞추기 위해 기지국(100)과 동기가 맞지 않는 정보로 타 단말기(300)와 통신할 수 있다.
단, 기지국(100)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력제어를 포함하여야 하며 기지국(100)의 수신 세기가 약한 셀 경계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는 1비트로 표현할 수 있으며 PD2DSCH(physical D2D shared channel)을 사용하여 D2D 간 통신에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는 기지국 동기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와 기지국 비동기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로 구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가 인-커버리지(in-coverage)에 있을 경우 기지국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는 1로 설정하여 타 단말기(300)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타 단말기(300)가 인-커버리지에 있는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여 다른 단말기로 단말간 동기 신호를 재송신 할 경우, 타 단말기(300)는 기지국으로부터 직접 수신한 것이 아니므로 기지국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를 0으로 설정하여 다른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이후, 단말간 동기 신호는 기지국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를 0으로 설정하여 기지국 비동기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임을 다른 단말기로 알릴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단말간 동기 신호를 단말기 간에 통신함에 있어서,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기지국과의 동기 여부를 다른 단말에 통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7의 단말기(200)가 타 단말기(300)로 송신하는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LTE 단말간 직접 통신의 단말간 동기 신호 송신 장치는 타 단말기(300)로 송신하는 하향데이터 및 타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받는 상향데이터의 프레임 점유 비율에 대한 기준 비율을 설정하고 이러한 기준 비율에 따라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200)는 프레임을 시간 분할로 구분하며,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어 하향 데이터와 상향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0)는 기준 비율로 2:3, 3:2, 4:1, 1:4, 7:3, 3:7, 8:2, 2:8, 9:1, 1:9, 3:3:2:2, 5:5, 3:3:2:2, 2:2:3:3, 1:1:1:1:1:1:1:1:1:1, 2:2:2:2:1:1, 2:2:1:1:2:2, 1:1:2:2:2:2, 4:6, 6:4, 2:3:2:3, 3:2:3:2, 0:10, 10:0, 0:5, 및 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하향 데이터 및 상향 데이터의 전송 비율로서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200)는 기준 비율에 사용되는 코드 중 하나를 사용하여 시간분할방식이 아닌 주파수분할방식을 지정할 수 있으며, 주파수분할방식을 사용할 경우 시간분할방식를 사용하는 단말기(200)는 10:0 또는 5:0의 기준 비율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단말간 통신에 있어서 하향 데이터와 상향 데이터의 전송 비율은 기지국(100)과 단말기(200) 사이에서 사용하는 기존 방법을 사용하거나, 단말기(200)와 타 단말기(300)간의 양방향 데이터를 공평하게 분배하거나, 또는 상향 데이터와 하향 데이터 간의 밸런스를 맞추어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존 방법은 기존 LTE(long term evolution)에서 사용하는 2:3, 3:2, 4:1, 7:3, 8:2, 9:1, 및 3:3:2:2를 사용하여 하향 데이터와 상향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변경 없이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단말간 양방향 데이터를 공평하게 분배하는 것은 5:5, 3:3:2:2, 2:2:3:3, 1:1:1:1:1:1:1:1:1:1, 2:2:2:2:1:1, 2:2:1:1:2:2, 및 1:1:2: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하향 데이터와 상향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변경 없이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단말기(200)와 타 단말기(300)간 하향 데이터가 반드시 많지 않으며, 상향 데이터가 더 많을 수 있기 때문에 하향 데이터와 상향 데이터의 전송 비율은 바꾸어 사용할 수 있다.
즉, 상향 데이터와 하향 데이터 간의 밸런스를 맞추는 것은 기존 LTE의 하향 데이터와 상향 데이터가 바뀐 3:2, 2:3, 1:4, 3:7, 2:8, 1:9, 및 3:3: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하향 데이터와 상향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변경 없이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향 데이터 또는 하향 데이터가 많을 경우 전송 비율은 0:10 및 0:5 또는 10:0 및 5:0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0:10 및 0:5의 경우 하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어 동기 또는 전력 제어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0:10 및 0:5의 경우 0:10 및 0:5로 보내는 프레임 개수를 미리 송출할 수 있다.
전송 비율은 5개의 서브프레임 또는 10개의 서브프레임마다 단말기(200)가 제어하여 사용할 수 있다.
3비트로 구성된 기준 비율에 사용되는 코드 중 000번은 주파수분할 방식을 의미할 수 있는데, 만약 단말기(200)가 시간분할방식을 사용할 경우 기준 비율 코드 000번은 하향 데이터만 송신하는 10:0 또는 5:0으로 기준 비율을 인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분할방식을 포함하면 기준 비율은 8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중간 과정에 있는, 8:2, 2:8, 6:4, 및 4:6을 삭제하고, 5:5 중 상향 데이터 및 하향 데이터를 빠르게 반복하는 3:3:2:2를 포함한다면 기준 비율은 0(10:0), 1(9:1), 2(7:3), 3(5:5), 4(3:3:2:2), 5(3:7), 6(1:9), 7(0:10) 으로 할 수도 있다.
이는 기준 비율에 대한 어느 한 예만 나타낸 것이며, 설명한 코드를 주요 기준 비율로 사용가능하며, 위에서 기술되지 않은 기준 비율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800) 및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9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800)은 메모리(810), 프로세서(820) 및 RF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10)는 프로세서(82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820)를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들 및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RF부(830)는 프로세서(820)와 연결되어, 외부의 엔티티(entity)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82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기지국의 동작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기지국(100, 101, 201 등)의 동작은 프로세서(8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900)는 메모리(910), 프로세서(920) 및 RF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10)는 프로세서(92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920)를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들 및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RF부(930)는 프로세서(920)와 연결되어, 외부의 엔티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92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단말기의 동작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단말기(200, 300, 301, 400 등)의 동작은 프로세서(9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 또는 코드로서 저장 또는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및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여기에서 설명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 디바이스(DSPD),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현장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여기서 설명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서, 여기서 설명한 기능들은 소프트웨어 코드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 외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메모리 유닛은 공지된 바와 같이 다양한 수단에 의해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RF부; 및
상기 RF부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타 단말기와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타 단말기와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간 동기 신호를 주기적 송신 방식, 비주기적 송신 방식, 연속 송신 방식, 송신 중단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송신 방식은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시간 대비 1/4 이상의 어느 한 값으로 기준 송신 비율 이상의 비율로 상기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비주기적 송신 방식은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시간을 10초 이하의 어느 한 값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시간은 단말간 송신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연속 송신 방식은 긴급호 요청시 단말간 동기 신호의 중단 없이 상기 단말간 동기 신호를 연속으로 송신하며,
상기 송신 중단 방식은 60초 이하의 어느 한 값 이상 상기 타 단말기의 응답이 없을 경우 상기 단말간 동기 신호의 송신을 중단하는,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의 커버리지 안에서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 밖에 있는 타 단말기와 단말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타 단말기로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타 단말기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프레임의 첫번째로부터의 오프셋에 해당하는 프레임에 제 1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동기 신호를 상기 타 단말기로 송신한 이후에 제 2 동기 신호를 더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동기 신호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지정된 오프셋에 해당하는 프레임에서 송신, 상기 제 2 동기 신호를 상기 제 1 동기 신호 바로 다음에 송신, 상기 제 2 동기 신호를 상기 제 1 동기 신호와 중복되지 않는 프레임에서 송신, 상기 제 2 동기 신호를 상기 제 1 동기 신호가 위치한 상기 프레임의 마지막 오프셋에서 송신, 상기 제 2 동기 신호를 상기 제 1 동기 신호가 위치한 프레임의 최대 오프셋 이내에서 송신, 상기 제 2 동기 신호를 상기 제 1 동기 신호가 위치한 프레임의 최소 오프셋 이후에 송신, 상기 제 1 동기 신호가 위치한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 이후에 상기 동기 신호를 하나 더 송신, 상기 제 2 동기 신호를 송신할 프레임을 상기 타 단말기로 미리 알린 후 송신, 상기 타 단말기와 통신 장애가 발생할 경우 즉시 송신, 상기 제 1 동기 신호가 위치한 프레임에 상기 제 2 동기 신호를 송신할 프레임 정보를 기록하여 송신, 및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제 1 동기 신호의 프레임 위치 및 상기 제 2 동기 신호의 프레임 위치를 기록한 후 송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제 2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타 단말기가 상기 제 1 동기 신호의 정상 수신을 상기 장치로 보고할 경우, 제 2 동기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동기 신호 및 상기 제 2 동기 신호의 송신 프레임 번호로서 0 내지 39 및 0 내지 15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의 동기 신호를 수신하여 타 단말기로 단말간 통신을 위한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의 동기 신호와 동기를 맞추어 상기 타 단말기로 상기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기지국의 동기 신호와 동기를 맞추어 상기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함을 나타내는 기지국 동기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를 상기 타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기지국 동기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는 단말간 통신 채널 및 상기 단말간 동기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송신되는,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의 동기 신호와 동기를 맞추지 않고 비동기로 상기 타 단말기로 상기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기지국의 동기 신호와 동기를 맞추지 않고 상기 단말간 동기 신호를 송신함을 나타내는 기지국 비동기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를 상기 타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기지국 비동기 단말간 동기 신호 정보는 단말간 통신 채널 및 상기 단말간 동기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송신되는,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RF부; 및
상기 RF부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타 단말기로 송신하는 하향데이터 및 상기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받는 상향데이터의 프레임 점유 비율에 대한 기준 비율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 비율에 따라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프레임을 시간 분할로 구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은 하향 데이터와 상향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해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2:3, 3:2, 4:1, 1:4, 7:3, 3:7, 8:2, 2:8, 9:1, 1:9, 3:3:2:2, 5:5, 3:3:2:2, 2:2:3:3, 1:1:1:1:1:1:1:1:1:1, 2:2:2:2:1:1, 2:2:1:1:2:2, 1:1:2:2:2:2, 4:6, 6:4, 2:3:2:3, 3:2:3:2, 0:10, 10:0, 0:5, 및 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준 비율을 상기 하향 데이터 및 상향 데이터의 전송 비율로서 반복적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준 비율에 사용되는 코드 중 하나를 사용하여 시간분할방식이 아닌 주파수분할방식을 지정하며, 주파수분할방식을 사용할 경우 시간분할방식를 사용하는 상기 장치가 10:0 또는 5:0의 기준 비율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4/603,299 US20150208371A1 (en) | 2014-01-23 | 2015-01-22 |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on lte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
PCT/KR2015/000731 WO2015111955A1 (ko) | 2014-01-23 | 2015-01-23 | Lte 단말간 직접 통신의 단말간 동기 신호 송신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8371 | 2014-01-23 | ||
KR20140008371 | 2014-01-23 | ||
KR1020140058953 | 2014-05-16 | ||
KR1020140058954 | 2014-05-16 | ||
KR20140058954 | 2014-05-16 | ||
KR20140058952 | 2014-05-16 | ||
KR1020140058952 | 2014-05-16 | ||
KR20140058953 | 2014-05-16 | ||
KR20140158950 | 2014-11-14 | ||
KR1020140158950 | 2014-11-14 | ||
KR20140161846 | 2014-11-19 | ||
KR1020140161847 | 2014-11-19 | ||
KR20140161847 | 2014-11-19 | ||
KR1020140161846 | 2014-11-19 | ||
KR20140162699 | 2014-11-20 | ||
KR1020140162699 | 2014-11-2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88739A true KR20150088739A (ko) | 2015-08-03 |
Family
ID=53873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0854A KR20150088739A (ko) | 2014-01-23 | 2015-01-22 | Lte 단말간 직접 통신의 단말간 동기 신호 송신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88739A (ko) |
-
2015
- 2015-01-22 KR KR1020150010854A patent/KR2015008873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14732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hysical layer mobility procedures | |
US1112918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channel information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 | |
JP7507825B2 (ja) | 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端末装置 | |
US11229026B2 (en) | Carrier switching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 |
EP3577987B1 (en) | Uplink puncturing of mini-slot on slot transmissions | |
US11147064B2 (en) | Resource selection for data multiplexing | |
JP2023106399A (ja) | 超高信頼低遅延通信表示チャネル化設計 | |
US10462723B2 (en) | Seamless mobility for 5G and LTE systems and devices | |
EP3011689B1 (en) | Methods of ul tdm for inter-enodeb carrier aggregation | |
CN112136357B (zh) | 带宽部分指示的配置方法、装置和通信系统 | |
US11159974B2 (en) | Base station and user terminal for performing measurement and communication in unlicensed frequency bands | |
CN112020875A (zh) | 与切换bwp结合的波束故障恢复 | |
US10484160B2 (en)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er terminal, processor, storage medium, and base station supporting proximity service communication | |
CN109417809B (zh) | 用于接入免许可频带和经许可频带的方法和装置 | |
JP2020507277A (ja) | 拡張マシンタイプ通信肯定応答バンドリングのための技法 | |
US1068726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ier aggregation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20220393794A1 (en) | Timer handling in multiple active grant configurations | |
US20160269982A1 (en) | RRC Diversity | |
CN114342444A (zh) | 用于具有不同参数设计或异步的副蜂窝小区群改变的准共位优先级排定 | |
KR20180049800A (ko) | 5G New Radio 초광대역 지원 방법 및 장치 | |
JP2020022184A (ja) | 移動通信方法 | |
US20150208371A1 (en) |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on lte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 |
WO2022185869A1 (ja) | 端末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方法 | |
EP431112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ier aggregation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20150088739A (ko) | Lte 단말간 직접 통신의 단말간 동기 신호 송신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