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8673A -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8673A
KR20150088673A KR1020140009229A KR20140009229A KR20150088673A KR 20150088673 A KR20150088673 A KR 20150088673A KR 1020140009229 A KR1020140009229 A KR 1020140009229A KR 20140009229 A KR20140009229 A KR 20140009229A KR 20150088673 A KR20150088673 A KR 20150088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frequency band
modules
communication unit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1809B1 (ko
Inventor
최오열
양기석
양진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9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809B1/ko
Publication of KR20150088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셀 형상에 대한 효율적 변경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소형의 무선모듈(RF모듈)을 교체하는 것 만으로 주파수대역의 추가 및 변경이 가능한 가변구조형의 무선통신부(RU)를 채택함으로써, 기지국 설치 비용 및 시간 측면에서 운용 효율이 떨어지는 한계점 및 주파수대역 변경 및 추가에 대해서 유연한 수용이 어렵다는 한계점을 극복하고, 기지국 운용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DU(Digital Unit) 및 RU(Remote Unit)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셀 형상에 대한 효율적 변경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무선모듈을 교체하는 것 만으로 주파수대역의 추가 및 변경이 가능한 가변구조형의 RU를 채택함으로써, 기지국 운용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급증하는 데이터 이용량을 수용하기 위해 이동통신 시스템은, 주파수 효율이 더 높은 시스템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DU(Digital Unit) 및 RU(Remote Unit)의 구성이 일체화된 기존의 기지국장치 구조에서 DU 및 RU를 분리하여 하나의 DU와 여러 개의 RU를 매칭시킨 기지국장치의 구조가 등장하였다.
헌데, 전술과 같은 기존의 DU 및 RU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에서는, RU가 하드웨어 적으로 단일 주파수대역 만을 지원하도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기지국장치의 커버리지 내에서 셀 간 간섭 회피 및 셀 용량 증대를 균형있게 만족시키고자 셀 형상을 유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다수의 RU를 구비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결국, 기존의 DU 및 RU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는, 다수의 RU를 구비해야만 기지국장치의 커버리지 내에서 셀 형상을 유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기지국 설치 비용 및 시간 측면에서 운용 효율이 떨어지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DU 및 RU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에서는, RU가 하드웨어 적으로 단일 주파수대역 만을 지원하도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기지국장치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 RU를 DU와 분리하고 변경 주파수대역을 지원하는 RU를 DU에 연결하는 교체 작업을 수행해야만 한다.
한편, 급증하는 데이터 이용량을 수용하기 위해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존의 단일 주파수대역을 이용하는 환경에서 주파수대역을 추가하여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을 이용하는 MC(Multi Carrier), CA(Carrier Aggregation) 환경으로 진화하고 있다.
헌데, 기존의 DU 및 RU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에서는, RU가 하드웨어 적으로 단일 주파수대역 만을 지원하도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추가되는 주파수대역을 지원하는 추가 RU를 DU에 추가로 연결하는 증설 작업을 수행해야만 한다.
결국, 기존의 DU 및 RU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는, 기지국 설치 비용 및 시간 측면에서 운용 효율이 떨어질 뿐 아니라, 주파수대역 변경 및 추가에 대해서 유연한 수용이 어렵다는 한계점까지 갖는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DU 및 RU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에서, 기존의 한계점들을 극복하고, 셀 형상에 대한 효율적 변경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무선모듈을 교체하는 것 만으로 주파수대역의 추가 및 변경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셀 형상에 대한 효율적 변경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무선모듈을 교체하는 것 만으로 주파수대역의 추가 및 변경이 가능한 가변구조형의 RU를 채택함으로써, 기지국 운용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기지국모듈; 및 2 이상의 무선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을 통해 송신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을 통해 동일하게 송신하여 상기 신호에 의한 단일셀을 형성하는 단일셀 모드, 상기 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이한 신호 각각을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을 통해 송신하여 상기 상이한 신호에 의한 다수셀을 형성하는 다수셀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셀 모드는, 상기 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단일의 주파수대역 내 상이한 신호 각각을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을 통해 송신하는 단일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와, 상기 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이한 주파수대역의 신호 각각을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을 통해 송신하는 다수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일셀 모드 또는 상기 단일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부에 구비된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은, 동일한 단일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처리가 가능한 무선모듈이며, 상기 다수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부에 구비된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은, 각기 상이한 주파수대역의 신호 처리가 가능한 무선모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은, 처리 가능한 신호의 주파수대역과 무관하게 동일한 구조를 가져, 상기 무선통신부에서 교체가 용이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2 이상의 무선모듈을 구비하는 무선통신부가, 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통신부가, 상기 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을 통해 동일하게 송신하여 상기 신호에 의한 단일셀을 형성하는 단일셀 모드, 상기 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이한 신호 각각을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을 통해 송신하여 상기 상이한 신호에 의한 다수셀을 형성하는 다수셀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셀 모드는, 상기 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단일의 주파수대역 내 상이한 신호 각각을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을 통해 송신하는 단일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와, 상기 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이한 주파수대역의 신호 각각을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을 통해 송신하는 다수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셀 형상에 대한 효율적 변경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무선모듈을 교체하는 것 만으로 주파수대역의 추가 및 변경이 가능한 가변구조형의 RU를 채택함으로써, 기지국 설치 비용 및 시간 측면에서 운용 효율이 떨어지는 한계점 및 주파수대역 변경 및 추가에 대해서 유연한 수용이 어렵다는 한계점을 극복하고, 기지국 운용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에서 채택한 RU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300)는, 기지국모듈(100) 및 무선통신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지국모듈(100)은, DU(Digital Unit) 및 RU(Remote Unit) 분리형 구조에서 하나의 DU에 해당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지국모듈(100)은, 백홀(backhaul)을 통해 외부 장치(예 : 광대역 라우터)에 연결되어, 단일의 주파수대역 또는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단말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즉, 기지국모듈(100)은, 하향링크의 경우, 단일의 주파수대역 또는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자신에 연결되는 무선통신부(200)에서 단일의 주파수대역 또는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한다.
또한, 기지국모듈(100)은, 상향링크의 경우, 무선통신부(200)에서 수신되는 단일의 주파수대역 또는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백홀을 통해 외부 장치(예 : 광대역 라우터)로 전송한다.
다시 말해, 기지국모듈(100)은, 단일의 주파수대역 또는 2 이상의 주파수대역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200) 통해, 단일의 주파수대역 또는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기지국장치(300)의 커버리지에서 접속된 단말로 음성 및 데이터 등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이상의 무선모듈(220)을 구비하여,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2 이상의 무선모듈(220)을 통해 송신한다.
즉, 무선통신부(200)는, DU 및 RU 분리형 구조에서 하나의 RU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접속되는 단말로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부이다.
이러한 무선통신부(2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2 이상의 무선모듈(220)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2 이상의 무선모듈(220)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선모듈1,2,3,4... 중에서 무선모듈1을 대표로 언급하여 설명하면, 무선모듈1은 기지국장치(300)에서 수용 가능한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일 주파수대역을 지원하는 무선모듈 즉 RF모듈이다.
물론, 나머지 무선모듈2,3,4... 역시, 기지국장치(300)에서 수용 가능한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일 주파수대역을 지원하는 RF모듈이다.
이때, 2 이상의 무선모듈(220) 각각은, 지원하는 주파수대역 즉 처리 가능한 신호의 주파수대역과 무관하게 동일한 구조를 가져, 무선통신부(200)에서 교체가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DU 및 RU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에서 채택한 기존 RU는, 무선모듈 즉 RF모듈이 하드웨어 적으로 고정 설치된 무선통신부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2*2 MIMO 방식을 언급하여 설명한다면, 기존 DU 및 RU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에서는, 제1주파수대역을 지원하기 위해, 제1주파수대역을 지원하는 2개의 RF모듈이 하드웨어 적으로 고정 설치된 무선통신부(RU)를 채택하여, 2개의 RF모듈을 통해 제1주파수대역의 신호를 2*2 MIMO 방식으로 송수신함으로써 제1주파수대역을 수용한다.
따라서, 기존 DU 및 RU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에서는, 기지국장치의 주파수대역을 제1주파수대역에서 제2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 제1주파수대역의 무선통신부(RU)를 DU와 분리하고 제2주파수대역을 지원하는 무선통신부(RU)를 DU에 연결하는 교체 작업을 수행해야만 한다.
또한, 기존 DU 및 RU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에서는, 제1주파수대역 외에 제2주파수대역을 추가로 수용하고자 하는 경우, 추가되는 제2주파수대역을 지원하는 무선통신부(RU)를 DU에 추가로 연결하는 증설 작업을 수행해야만 한다.
결국, 기존의 DU 및 RU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는, 기지국장치의 주파수대역 변경 또는 추가를 위해서, 무선통신부(RU) 자체를 교체 또는 추가해야만 하기 때문에, 기지국 설치 비용 및 시간 측면에서 운용 효율이 떨어질 뿐 아니라 주파수대역 변경 및 추가에 대해서 유연한 수용이 어렵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300)는, 지원하는 주파수대역과 무관하게 동일한 구조를 가져 교체가 용이한 2 이상의 무선모듈(220)를 구비하는 무선통신부(200)를 채택함으로써, 주파수대역 변경 및 추가에 대해서 유연한 수용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2 이상의 무선모듈(220)로서 2개의 무선모듈1,2가 구비된 실시 예에서 2*2 MIMO 방식을 언급하여 설명한다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300)에서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제1주파수대역을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장치(300)의 운영자가 무선통신부(200)에 제1주파수대역을 지원하는 무선모듈1,2를 설치하는 간단한 작업 만으로, 2개의 무선모듈1,2를 통해 제1주파수대역의 신호를 2*2 MIMO 방식으로 송수신함으로써 제1주파수대역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장치(300)에서 지원하는 주파수대역을 제1주파수대역에서 제2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운영자가 무선통신부(200) 내 기 설치된 무선모듈1,2를 제2주파수대역을 지원하는 무선모듈1,2로 변경 설치하는 간단한 작업 만으로, 2개의 무선모듈1,2를 통해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를 2*2 MIMO 방식으로 송수신함으로써 제2주파수대역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장치(300)에서 지원하는 제1주파수대역 외에 제2주파수대역을 추가로 수용하고자 하는 경우, 운영자가 무선통신부(200) 내 제2주파수대역을 지원하는 2개의 RF모듈3,4를 추가로 설치하는 간단한 작업 만으로, 2개의 무선모듈1,2를 통해 제1주파수대역의 신호를 2*2 MIMO 방식으로 송수신하고 2개의 무선모듈3,4를 통해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를 2*2 MIMO 방식으로 송수신함으로써, 제1주파수대역 외에 제2주파수대역을 추가로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300)는, 지원하는 주파수대역과 무관하게 동일한 구조를 갖는 2 이상의 무선모듈(220)를 구비하게 되는 구조적 특징의 무선통신부(200) 즉 RU(200)를 채택함으로써, 기존에 무선통신부(RU) 자체를 교체 또는 추가해야만 함에 따라 기지국 설치 비용 및 시간 측면에서 운용 효율이 떨어지는 한계점 및 주파수대역 변경 및 추가에 대해서 유연한 수용이 어렵다는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다.
한편,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3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적 특징의 무선통신부(200)(이하, 가변구조형의 무선통신부(200)라 함)을 기반으로 하여, 셀 형상을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통신부(200) 즉 하나의 RU(200)는,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2 이상의 무선모듈(220) 각각을 통해 동일하게 송신하여 상기 신호에 의한 단일셀을 형성하는 단일셀 모드,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상이한 신호 각각을 2 이상의 무선모듈(220) 각각을 통해 송신하여 상기 상이한 신호에 의한 다수셀을 형성하는 다수셀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다수셀 모드는,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단일의 주파수대역 내 상이한 신호 각각을 2 이상의 무선모듈(220) 각각을 통해 송신하는 단일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와,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상이한 주파수대역의 신호 각각을 2 이상의 무선모듈(220) 각각을 통해 송신하는 다수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에서 채택한 무선통신부(200), 즉 가변구조형의 무선통신부(2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가변구조형의 무선통신부(200)는, 신호처리블록(210)과, 2 이상의 무선모듈(220)과, 2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2 이상의 무선모듈(220)로서 4개의 무선모듈1,2,3,4가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도록 2 이상의 안테나로서 ANT1,2,3,4가 구비되는 것을 실시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가변구조형의 무선통신부(200)에서 셀 형상을 변경하는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가변구조형의 무선통신부(200) 내 각 구성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신호처리블록(210)은,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하향링크의 신호를 2 이상의 무선모듈(220) 즉 각 무선모듈1,2,3,4로 전달하기 위해 처리하고, 각 무선모듈1,2,3,4로부터 수신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기지국모듈(100)로 전달하기 위해 처리하는 블록이다. 이러한 신호처리블록(210)은, 하향링크의 신호에 대해서는 D/A 변환한 후 업-컨버팅 처리하고 상향링크의 신호에 대해서는 역으로 처리할 수 있다.
2 이상의 무선모듈(2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2 이상의 무선모듈(220) 즉 각 무선모듈1,2,3,4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무선모듈1을 대표로 언급하여 설명하면, 무선모듈1은 기지국장치(300)에서 수용 가능한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일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을 지원하는 무선모듈 즉 RF모듈이다.
이러한 무선모듈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링크의 신호 및 상향링크의 신호를 증폭 처리하는 AMP 및 LNA와, 하향링크의 신호 및 상향링크의 신호를 분리 및 필터링 처리하는 듀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나머지 무선모듈2,3,4 역시, 기지국장치(300)에서 수용 가능한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일 주파수대역을 지원하는 RF모듈이고, 전술한 무선모듈1과 동일하게 AMP 및 LNA와, 듀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2 이상의 무선모듈(220) 각각은, 지원하는 주파수대역 즉 처리 가능한 신호의 주파수대역과 무관하게 동일한 구조를 가져, 무선통신부(200)에서 교체가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기지국장치(300)에서 가변구조형의 무선통신부(200)를 통해 셀 형상을 변경하는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단일의 주파수대역을 수용하도록 운용할 것인지, 또는 다수의 주파수대역을 수용하도록 운용할 것인지를 결정한 기지국장치(300)의 운용자가, 기지국장치(300)의 무선통신부(200) 내 2 이상의 무선모듈를 교체 및 셋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의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을 수용하도록 운용하는 경우라면, 무선통신부(200) 내에는 제1주파수대역을 지원하는 무선모듈1,2,3,4가 셋팅될 것이다.
이처럼, 단일의 제1주파수대역을 지원하는 무선모듈1,2,3,4가 구비된 무선통신부(200)에서는,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2 이상의 무선모듈(220) 각각을 통해 동일하게 송신하여 상기 신호에 의한 단일셀을 형성하는 단일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전술한 예와 대응되도록, 2*2 MIMO 방식을 언급하여 무선통신부(200)가 단일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설명한다면 다음과 같다.
이때, 1*1 MIMO 방식이라면, 2 이상의 무선모듈(220) 각각이란, 무선모듈1,2,3,4 각각을 의미할 수 있다.
하지만, 2*2 MIMO 방식을 기준으로 한다면, 본 발명에서 설정하는 2 이상의 무선모듈(220) 각각이란, 무선모듈1,2,3,4 중 2*2 MIMO 방식에 따라 묶여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모듈 단위를 의미하며, 예컨대 무선모듈1,2를 하나의 무선모듈 단위로 하고 무선모듈3,4를 하나의 무선모듈 단위로 볼 수 있다.
우선, 단일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기지국모듈(100)로부터 2*2 MIMO 방식에 따른 신호 즉 2개의 데이터스트림 형태의 2T2R 1Cell 신호가 무선통신부(200)로 전송될 것이다. 물론, 이때 수신되는 2T2R 1Cell의 신호는 제1주파수대역의 신호일 것이다.
이에,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2T2R 1Cell의 신호는, 기 지정된 신호경로에 따라 무선통신부(200) 내 무선모듈1,2로 전달되어, 무선모듈1,2를 통해 증폭 처리된 후 ANT1,2를 거쳐 2*2 MIMO 방식으로 송신될 것이다.
더불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부(200) 내 무선모듈3,4에서는, 기지국모듈(100)로부터 무선모듈1,2로 전달되는 2T2R 1Cell의 신호를 복사 또는 우회 등의 방식으로 획득하여 증폭 처리한 후 ANT3,4를 거쳐 2*2 MIMO 방식으로 송신함으로써, 무선모듈1,2와 동일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통신부(200)는, 상향링크의 신호에 대해서는 전술한 하향링크의 신호 즉 2T2R 1Cell의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역으로 처리하여 기지국모듈(100)로 전송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무선통신부(200)가 단일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예컨대 2*2 MIMO 방식인 경우 2T2R 1Cell의 신호를 2 이상의 무선모듈(220) 각각 즉 무선모듈1,2 및 무선모듈3,4를 통해 동일하게 송신하고, 무선으로부터 동일하게 수신되는 신호 즉 2T2R 1Cell의 신호를 무선모듈1,2 및 무선모듈3,4를 통해 기지국모듈(100)로 전송함으로써, 결국 기지국장치(300)에서는 무선모듈1,2 및 무선모듈3,4를 통해 동일하게 송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단일주파수대역의 단일셀(1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무선통신부(200)가 단일셀 모드로 동작하여 기지국장치(300)에서 단일셀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셀 용량이 감소하는 대신 셀 간 간섭 회피의 효과가 증대되고, 1개의 2T2R을 사용하는 경우 즉 무선모듈1,2만을 이용하여 1Cell을 형성하는 기존과 비교하여 EIRP(Effective Isotropically Radiated Power) 측면 출력이 증대되기 때문에 기지국장치(300)의 커버리지가 확대되는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전술과 같이 단일의 제1주파수대역을 지원하는 무선모듈1,2,3,4가 구비된 무선통신부(200)에서는, 전술한 다수셀 모드 중에서 단일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전술한 예와 대응되도록, 2*2 MIMO 방식을 언급하여 무선통신부(200)가 단일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설명한다면 다음과 같다.
우선, 단일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기지국모듈(100)로부터 2*2 MIMO 방식에 따른 상이한 2T2R 2Cell 신호, 예컨대 2T2R 1Cell의 신호A 및 2T2R 1Cell의 신호B가 무선통신부(200)로 전송될 수 있다. 물론, 이때 수신되는 2T2R 2Cell의 상이한 신호A,B는 제1주파수대역의 신호일 것이다.
이에,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2T2R 1Cell의 신호A는, 기 지정된 신호경로에 따라 무선통신부(200) 내 무선모듈1,2로 전달되어, 무선모듈1,2를 통해 증폭 처리된 후 ANT1,2를 거쳐 2*2 MIMO 방식으로 송신될 것이다.
더불어,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2T2R 1Cell의 신호B는, 기 지정된 신호경로에 따라 무선통신부(200) 내 무선모듈3,4로 전달되어, 무선모듈3,4를 통해 증폭 처리된 후 ANT3,4를 거쳐 2*2 MIMO 방식으로 송신될 것이다.
한편, 무선통신부(200)는, 상향링크의 신호에 대해서는 전술한 하향링크의 신호 즉 2T2R 2Cell의 신호A,B를 처리하는 과정을 역으로 처리하여 기지국모듈(100)로 전송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무선통신부(200)가 단일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단일의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 내 상이한 신호 예컨대 2*2 MIMO 방식인 경우 2T2R 2Cell의 상이한 신호A,B를 2 이상의 무선모듈(220) 각각 즉 무선모듈1,2 및 무선모듈3,4를 통해 각각 송신하고, 무선으로부터 상이하게 수신되는 신호 즉 2T2R 2Cell의 신호A,B를 무선모듈1,2 및 무선모듈3,4를 통해 기지국모듈(100)로 전송함으로써, 결국 기지국장치(300)에서는 무선모듈1,2 및 무선모듈3,4를 통해 상이하게 송수신되는 신호A,B에 의해 단일주파수대역의 다수셀(2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무선통신부(200)가 단일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로 동작하여 기지국장치(300)에서 단일주파수대역다수셀 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셀 간 간섭 회피의 효과가 떨어지는 대신 셀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다수의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 제2주파수대역)을 수용하도록 운용하는 경우라면, 무선통신부(200) 내에는 제1주파수대역을 지원하는 무선모듈1,2와 제2주파수대역을 지원하는 무선모듈3,4가 셋팅될 것이다.
이처럼, 제1주파수대역을 지원하는 무선모듈1,2와 제2주파수대역을 지원하는 무선모듈3,4가 구비된 무선통신부(200)에서는, 전술한 다수셀 모드 중에서 다수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전술한 예와 대응되도록, 2*2 MIMO 방식을 언급하여 무선통신부(200)가 다수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설명한다면 다음과 같다.
우선, 다수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기지국모듈(100)로부터 2*2 MIMO 방식에 따른 상이한 주파수대역의 신호 각각, 즉 제1주파수대역의 2T2R 1Cell의 신호C 및 제2주파수대역의 2T2R 1Cell의 신호D가 무선통신부(200)로 전송될 것이다.
이에,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제1주파수대역의 2T2R 1Cell의 신호C는, 기 지정된 신호경로에 따라 무선통신부(200) 내 무선모듈1,2로 전달되어, 무선모듈1,2를 통해 증폭 처리된 후 ANT1,2를 거쳐 2*2 MIMO 방식으로 송신될 것이다.
더불어,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제2주파수대역의 2T2R 1Cell의 신호D는, 기 지정된 신호경로에 따라 무선통신부(200) 내 무선모듈3,4로 전달되어, 무선모듈3,4를 통해 증폭 처리된 후 ANT3,4를 거쳐 2*2 MIMO 방식으로 송신될 것이다.
한편, 무선통신부(200)는, 상향링크의 신호에 대해서는 전술한 하향링크의 신호 즉 제1주파수대역의 2T2R 1Cell의 신호C 및 제2주파수대역의 2T2R 1Cell의 신호D를 처리하는 과정을 역으로 처리하여 기지국모듈(100)로 전송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무선통신부(200)가 다수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상이한 주파수대역의 신호 예컨대 2*2 MIMO 방식인 경우 제1주파수대역의 2T2R 1Cell의 신호C 및 제2주파수대역의 2T2R 1Cell의 신호D를 2 이상의 무선모듈(220) 각각 즉 무선모듈1,2 및 무선모듈3,4를 통해 각각 송신하고, 무선으로부터 상이하게 수신되는 신호 즉 제1주파수대역의 2T2R 1Cell의 신호C 및 제2주파수대역의 2T2R 1Cell의 신호D를 무선모듈1,2 및 무선모듈3,4를 통해 기지국모듈(100)로 전송함으로써, 결국 기지국장치(300)에서는 무선모듈1,2 및 무선모듈3,4를 통해 상이하게 송수신되는 신호A,B에 의해 다수주파수대역의 다수셀(2Cell) 즉 제1주파수대역의 1Cell 및 제2주파수대역의 1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무선통신부(200)가 다수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로 동작하여 기지국장치(300)에서 다수주파수대역다수셀 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셀 간 간섭 회피 및 셀 용량을 증대 효과를 모두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300)는, 가변구조형의 무선통신부(200)를 기반으로 하여, 무선통신부(200) 자체 즉 RU 자체를 교체 또는 추가하는 일 없이도, 셀 형상을 단일셀 또는 단일주파수대역다수셀 또는 다수주파수대역다수셀로 효율적 변경이 가능하다.
여기서, 기지국장치(300)에서 셀 형상을 변경하는 것 즉 무선통신부(20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것은, 운용자에 의한 수동 제어 또는 운용자에 의한 원거리 무선 제어에 따를 수 있다.
특히, 기지국장치(300)에서 무선통신부(200)의 동작 모드를 단일셀 모드 및 단일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결정(변경)하는 것은, 운용자에 의한 수동 제어 또는 운용자에 의한 원거리 무선 제어에 따를 수도 있고, 기지국모듈(100)에서 확인되는 트래픽량 및 기지국장치(300)에 접속되는 접속단말 수 등을 고려하여 상황에 맞게 자동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장치(300)에서는, 트래픽량 또는 접속단말수가 기 지정된 임계수준 이상인 경우 셀 용량 증대 효과를 얻기 위해 단일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로 동작 결정하고, 트래픽량 또는 접속단말수가 기 지정된 임계수준 이상이 안인 경우 셀 간 간섭 회피 효과 및 기지국장치(300)의 커버리지 확대 효과를 얻기 위해 단일셀 모드로 동작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현재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2*2 MIMO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향후 기술발전에 따라서 4*4 MIMO 방식 또는 그 이상의 N*N MIMO 방식으로 진화할 수도 있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진화한 방식 예컨대 N*N MIMO 방식을 채택하게 된다면, N*N MIMO 방식을 지원하기 위한 NTNR용 RU를 개발 및 교체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300)는, 전술과 같이 동일한 구조를 갖는 여러 개의 무선모듈을 구비한 가변구조형의 무선통신부(200)를 채택함으로써, 별도 RU 개발 또는 RU 교체 없이도 진화된 N*N MIMO 방식을 유연하게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무선통신부(200)가 N*N MIMO 방식 예를 들어 4*4 MIMO 방식 지원 가능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과 같이 2 이상의 무선모듈(220)로서 N개의 무선모듈 즉 무선모듈1,2,3,4가 구비된 경우를 언급한다.
이때, 전술과 같이 2*2 MIMO 방식의 단일셀 모드에서는, 기지국모듈(100)로부터 2*2 MIMO 방식에 따른 신호 즉 2개의 데이터스트림 형태의 2T2R 1Cell 신호가 무선통신부(200)로 전송되었다.
반면, N*N MIMO 예컨대 4*4 MIMO 방식의 단일셀 모드에서는, 기지국모듈(100)로부터 4*4 MIMO 방식에 따른 신호 즉 4개(N개)의 데이터스트림 형태의 4T4R 1Cell의 신호가 무선통신부(200)로 전송될 수 있다. 물론, 이때 수신되는 4T4R 1Cell의 신호는 단일 주파수대역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의 신호일 것이다.
이에,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4T4R 1Cell의 신호는, 기 지정된 신호경로에 따라 무선통신부(200) 내 무선모듈1,2,3,4로 전달되어, 무선모듈1,2,3,4를 통해 증폭 처리된 후 ANT1,2,3,4를 거쳐 4*4 MIMO 방식으로 송신될 것이다.
한편, 무선통신부(200)는, 상향링크의 신호에 대해서는 전술한 하향링크의 신호 즉 4T4R 1Cell의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역으로 처리하여 기지국모듈(100)로 전송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무선통신부(200)가 단일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예컨대 4*4 MIMO 방식인 경우 4T4R 1Cell의 신호를 2 이상의 무선모듈(220)즉 무선모듈1,2,3,4를 통해 송신하고, 무선으로부터 동일하게 수신되는 신호 즉 4T4R 1Cell의 신호를 무선모듈1,2,3,4를 통해 기지국모듈(100)로 전송함으로써, 결국 기지국장치(300)에서는 무선모듈1,2,3,4를 통해 4*4 MIMO 방식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셀 형상에 대한 효율적 변경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소형의 무선모듈(RF모듈)를 교체하는 것 만으로 주파수대역의 추가 및 변경이 가능한 가변구조형의 무선통신부(RU)를 채택함으로써, 기지국 설치 비용 및 시간 측면에서 운용 효율이 떨어지는 한계점 및 주파수대역 변경 및 추가에 대해서 유연한 수용이 어렵다는 한계점을 극복하고, 기지국 운용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및 도 2의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2 이상의 무선모듈(RF모듈)을 구비한 가변구조형의 무선통신부(200)를 채택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에 따른다.
단일의 주파수대역을 수용하도록 운용할 것인지, 또는 다수의 주파수대역을 수용하도록 운용할 것인지를 결정한 기지국장치(300)의 운용자가, 기지국장치(300)의 무선통신부(200) 내 2 이상의 무선모듈을 교체 및 셋팅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300)의 동작 방법에서는, 단일의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을 수용하도록 운용하는 경우라면, 무선통신부(200) 내에는 제1주파수대역을 지원하는 무선모듈1,2,3,4가 셋팅될 것이다(S10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300)의 동작 방법에서는, 다수의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 제2주파수대역)을 수용하도록 운용하는 경우라면, 무선통신부(200) 내에는 제1주파수대역을 지원하는 무선모듈1,2와 제2주파수대역을 지원하는 무선모듈3,4가 셋팅될 것이다(S10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300)의 동작 방법에서는, 무선통신부(200)의 동작 모드를 단일셀 모드, 단일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 다수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결정한다(S110).
이때, S110단계에서 무선통신부(20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것 즉 셀 형상을 변경하는 것은, 운용자에 의한 수동 제어 또는 운용자에 의한 원거리 무선 제어에 따를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200)의 동작 모드를 단일셀 모드 및 단일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결정(변경)하는 것은, 운용자에 의한 수동 제어 또는 운용자에 의한 원거리 무선 제어에 따를 수도 있고, 기지국모듈(100)에서 확인되는 트래픽량 및 기지국장치(300)에 접속되는 접속단말 수 등을 고려하여 상황에 맞게 자동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S110단계에서 무선통신부(200)의 동작 모드가 결정되면, 결정한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무선통신부(200)에 의해 단일셀, 단일주파수대역다수셀, 다수주파수대역다수셀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2*2 MIMO 방식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무선통신부(200)의 동작 모드가 단일셀 모드로 결정되었다면(S120 Yes), 기지국모듈(100)로부터 2T2R 1Cell의 신호가 무선통신부(200)로 전송될 것이다. 물론, 이때 수신되는 2T2R 1Cell의 신호는 단일의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의 신호일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300)의 동작 방법에서는,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2T2R 1Cell의 신호가 기 지정된 신호경로에 따라 무선통신부(200) 내 무선모듈1,2로 전달되어, 무선모듈1,2를 통해 증폭 처리된 후 ANT1,2를 거쳐 2*2 MIMO 방식으로 송신될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300)의 동작 방법에서는, 무선통신부(200) 내 무선모듈3,4가, 기지국모듈(100)로부터 무선모듈1,2로 전달되는 2T2R 1Cell의 신호를 복사 또는 우회 등의 방식으로 획득하여 증폭 처리한 후 ANT3,4를 거쳐 2*2 MIMO 방식으로 송신함으로써, 무선모듈1,2와 동일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300)의 동작 방법에서는, 단일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예컨대 2*2 MIMO 방식인 경우 2T2R 1Cell의 신호를 2 이상의 무선모듈(220) 각각 즉 무선모듈1,2 및 무선모듈3,4를 통해 동일하게 송신함으로써, 결국 기지국장치(300)에서는 무선모듈1,2 및 무선모듈3,4를 통해 동일하게 송신되는 신호에 의해 단일주파수대역의 단일셀(1Cell)을 형성할 수 있다(S13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무선통신부(200)의 동작 모드가 단일셀 모드로 결정되지 않고(S120 No), 단일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로 결정되었다면(S140 Yes), 기지국모듈(100)로부터 2T2R 2Cell의 상이한 신호 즉 2T2R 1Cell의 신호A 및 2T2R 1Cell의 신호B가 무선통신부(200)로 전송될 것이다. 물론, 이때 수신되는 2T2R 2Cell의 상이한 신호A,B는 제1주파수대역의 신호일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300)의 동작 방법에서는,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2T2R 1Cell의 신호AR가, 기 지정된 신호경로에 따라 무선통신부(200) 내 무선모듈1,2로 전달되어, 무선모듈1,2를 통해 증폭 처리된 후 ANT1,2를 거쳐 2*2 MIMO 방식으로 송신될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300)의 동작 방법에서는,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2T2R 1Cell의 신호B가, 기 지정된 신호경로에 따라 무선통신부(200) 내 무선모듈3,4로 전달되어, 무선모듈3,4를 통해 증폭 처리된 후 ANT3,4를 거쳐 2*2 MIMO 방식으로 송신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300)의 동작 방법에서는, 단일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단일의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 내 상이한 신호 예컨대 2*2 MIMO 방식인 경우 2T2R 2Cell의 상이한 신호A,B를 2 이상의 무선모듈(220) 각각 즉 무선모듈1,2 및 무선모듈3,4를 통해 각각 송신함으로써, 결국 기지국장치(300)에서는 무선모듈1,2 및 무선모듈3,4를 통해 상이하게 송신되는 신호A,B에 의해 단일주파수대역의 다수셀(2Cell)을 형성할 수 있다(S15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무선통신부(200)의 동작 모드가 다수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로 결정되었다면(S140 No),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상이한 주파수대역의 신호 각각, 즉 제1주파수대역의 2T2R 1Cell의 신호C 및 제2주파수대역의 2T2R 1Cell의 신호D가 무선통신부(200)로 전송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300)의 동작 방법에서는,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제1주파수대역의 2T2R 1Cell의 신호C가, 기 지정된 신호경로에 따라 무선통신부(200) 내 무선모듈1,2로 전달되어, 무선모듈1,2를 통해 증폭 처리된 후 ANT1,2를 거쳐 2*2 MIMO 방식으로 송신될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300)의 동작 방법에서는,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제2주파수대역의 2T2R 1Cell의 신호D가, 기 지정된 신호경로에 따라 무선통신부(200) 내 무선모듈3,4로 전달되어, 무선모듈3,4를 통해 증폭 처리된 후 ANT3,4를 거쳐 2*2 MIMO 방식으로 송신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300)의 동작 방법에서는, 다수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기지국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상이한 주파수대역의 신호 예컨대 2*2 MIMO 방식인 경우 제1주파수대역의 2T2R 1Cell의 신호C 및 제2주파수대역의 2T2R 1Cell의 신호D를 2 이상의 무선모듈(220) 각각 즉 무선모듈1,2 및 무선모듈3,4를 통해 각각 송신함으로써, 결국 기지국장치(300)에서는 무선모듈1,2 및 무선모듈3,4를 통해 상이하게 송신되는 신호A,B에 의해 다수주파수대역의 다수셀(2Cell) 즉 제1주파수대역의 1Cell 및 제2주파수대역의 1Cell을 형성할 수 있다(S16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셀 형상에 대한 효율적 변경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소형의 무선모듈(RF모듈)를 교체하는 것 만으로 주파수대역의 추가 및 변경이 가능한 가변구조형의 무선통신부(RU)를 채택함으로써, 기지국 설치 비용 및 시간 측면에서 운용 효율이 떨어지는 한계점 및 주파수대역 변경 및 추가에 대해서 유연한 수용이 어렵다는 한계점을 극복하고, 기지국 운용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셀 형상에 대한 효율적 변경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무선모듈을 교체하는 것 만으로 주파수대역의 추가 및 변경이 가능한 가변구조형의 RU를 채택함으로써, 기지국 운용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300 : 기지국장치
100 : 기지국모듈 200 : 무선통신부
220 : 2 이상의 무선모듈

Claims (6)

  1. 기지국모듈; 및
    2 이상의 무선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을 통해 송신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을 통해 동일하게 송신하여 상기 신호에 의한 단일셀을 형성하는 단일셀 모드, 상기 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이한 신호 각각을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을 통해 송신하여 상기 상이한 신호에 의한 다수셀을 형성하는 다수셀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셀 모드는,
    상기 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단일의 주파수대역 내 상이한 신호 각각을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을 통해 송신하는 단일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와, 상기 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이한 주파수대역의 신호 각각을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을 통해 송신하는 다수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셀 모드 또는 상기 단일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부에 구비된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은, 동일한 단일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처리가 가능한 무선모듈이며,
    상기 다수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부에 구비된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은, 각기 상이한 주파수대역의 신호 처리가 가능한 무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은,
    처리 가능한 신호의 주파수대역과 무관하게 동일한 구조를 가져, 상기 무선통신부에서 교체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2 이상의 무선모듈을 구비하는 무선통신부가, 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통신부가, 상기 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을 통해 동일하게 송신하여 상기 신호에 의한 단일셀을 형성하는 단일셀 모드, 상기 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이한 신호 각각을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을 통해 송신하여 상기 상이한 신호에 의한 다수셀을 형성하는 다수셀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셀 모드는,
    상기 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단일의 주파수대역 내 상이한 신호 각각을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을 통해 송신하는 단일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와, 상기 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이한 주파수대역의 신호 각각을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을 통해 송신하는 다수주파수대역다수셀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40009229A 2014-01-24 2014-01-24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2131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229A KR102131809B1 (ko) 2014-01-24 2014-01-24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229A KR102131809B1 (ko) 2014-01-24 2014-01-24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673A true KR20150088673A (ko) 2015-08-03
KR102131809B1 KR102131809B1 (ko) 2020-07-08

Family

ID=53873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229A KR102131809B1 (ko) 2014-01-24 2014-01-24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8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389B1 (ko) * 2004-04-15 2009-10-23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다중-반송파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20112370A (ko) * 2009-10-14 2012-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셀 협력 통신 모드 및 단일-셀 mimo 통신 모드 간의 모드 스위칭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389B1 (ko) * 2004-04-15 2009-10-23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다중-반송파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20112370A (ko) * 2009-10-14 2012-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셀 협력 통신 모드 및 단일-셀 mimo 통신 모드 간의 모드 스위칭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809B1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36446B (zh) 信息指示的方法、相关设备及系统
US8909131B2 (en) Repeater
US20190090141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satellite base station, base-station control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3202052B1 (en) Interference and/or power reduction for multiple relay nodes using cooperative beamforming
US9161386B1 (en) Hybrid LMR transceiver with LTE and dynamic antenna control
US10701617B2 (en) Mobile relay, means of transportation comprising same, and terminal operated by mobile relay
US10595287B2 (en) Frequency-division duplexing in a time-division duplexing mode for a telecommunications system
CN112314027A (zh) 网络侧设备、用户设备、无线通信方法和存储介质
CN107005263B (zh) 无线电布置、无线电装置、天线布置以及其中所执行的方法
CN107026660B (zh) 通信中继装置、通信中继系统以及方法
US8452300B2 (en)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FEMTO base station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20200229003A1 (en) Access Point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410994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시스템에서의 동시 전송 영역 설정 방법
EP2595434A1 (en) Method for reducing the energy consum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terminal implementing said method
CN115551052A (zh) 无线通信方法、通信设备、存储介质和计算机程序产品
JP5275270B2 (ja) 基地局、端末、基地局の送信制御方法及び端末の送信制御方法
KR20150088673A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1301303B1 (ko)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시스템 및 신호 처리 방법
JP5771138B2 (ja) 非再生中継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中継方法
US11252581B2 (en) Bi-directional high power user equipment
JP2018011137A (ja) 通信中継装置、通信中継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5642966A (zh) 无源互调信号的检测方法及装置
CN117676549A (zh) 一种能力上报的方法和通信装置
JP201311549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20170074184A (ko) 다중 안테나 통신 시스템을 위한 통합 셀 전송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다중 안테나 통신 시스템을 위한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