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8429A - 전기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용 블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용 블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8429A
KR20150088429A KR1020140008719A KR20140008719A KR20150088429A KR 20150088429 A KR20150088429 A KR 20150088429A KR 1020140008719 A KR1020140008719 A KR 1020140008719A KR 20140008719 A KR20140008719 A KR 20140008719A KR 20150088429 A KR20150088429 A KR 20150088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lectrolyte
electrolysis
water level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안
Priority to KR1020140008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8429A/ko
Publication of KR20150088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4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용 블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 전기분해를 위한 전기분해 대상물질을 공급하는 전기분해 대상물질 공급부; 대상물질의 전도성을 유지하기 위한 전해질을 공급하는 전해질 공급부; 전기 분해를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전기분해 대상물질을 전기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를 생성하는 전극부; 하우징에 저장된 전해질의 농도를 검출하는 전해질 농도 감지 센서; 및 전해질 농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전해질의 농도에 따라, 하우징에 저장된 전해질의 양을 조절하는 전해질 농도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용 블로어 시스템{ELECTROLYSIS DEVICE AND BLOWER SYSTEM FOR GENERATOR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전기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용 블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터빈을 구동하는 발전용 블로어 시스템에서 터빈에 필요한 수소와 산소를 균일하게 공급하여 터빈의 발전 효율을 증가시키고, 터빈을 통해 발전된 전기를 수소와 산소를 생산하는 전기분해 장치에 제공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적인 효율을 높여줄 수 있는 그 구조가 개선된 전기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용 블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용 터빈 시스템은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켜 증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증기를 이용하여 터빈을 구동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 발전용 터빈 시스템의 경우, 연료를 연소시켜 증기를 발생시켜야 하기 때문에, 물을 저장하기 위한 드럼, 연료 주입구로 주입된 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한 버너 및 증기관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이에, 드럼 내에서 증발된 증기는 스팀 드럼에서 집결되고, 스팀 드럼에 집결된 증기는 증기관을 통해 터빈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종래 발전용 터빈 시스템은 버너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버너에 냉각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발전용 터빈 시스템은 주입된 연료를 버너에서 연소시킴에 있어서 별다른 혼합 과정이 없어 그 버너의 히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증기를 이용함에 있어서도 버너 드럼과 스팀 드림과 같은 구조물을 구비하고 있어야 함에 따라 그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분해에 필요한 전해질의 농도, 전기분해 대상물질의 수위 및 전기분해 전원의 전위를 조절하여 일정 양 이상의 산소와 수소를 생산하는 전기분해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전용 블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분해 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수소와 산소를 혼합가스에 이용하고 터빈을 통해 생산된 전기의 일부를 전기분해 장치에 공급함으로써 지속적인 시스템 운영과 터빈의 에너지 생산 효율을 높여줄 수 있는 전기분해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전용 블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 전기분해를 위한 전기분해 대상물질을 공급하는 전기분해 대상물질 공급부; 상기 대상물질의 전도성을 유지하기 위한 전해질을 공급하는 전해질 공급부; 전기 분해를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전기분해 대상물질을 전기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를 생성하는 전극부;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전해질의 농도를 검출하는 전해질 농도 감지 센서; 및 상기 전해질 농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전해질의 농도에 따라,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전해질의 양을 조절하는 전해질 농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상기 전기분해 대상물질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하로 떨어짐을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 및 상기 수위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전기분해 대상물질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하로 떨어짐이 감지되면, 상기 하우징에 전기분해 대상물질이 기 설정된 수위까지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분해 대상물질 공급부를 제어하는 수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전원부는, 상기 전해질 농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전해질의 농도에 따라, 전극부에 인가되는 전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대상물질을 전기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를 생산하고, 그 생산된 수소와 산소를 공급하는 전기분해 장치; 상기 전기분해 장치를 통해 전기분해 대상물질의 전기분해가 가능하도록 상기 전기분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기분해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수소와 산소와 연료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연소물질을 혼합하여 연소시키고 연소된 연소가스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부를 통해 회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일부 전기 에너지를 상기 전원부에 공급하는 터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전기분해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상기 전기분해 대상물질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하로 떨어짐을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 및 상기 수위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전기분해 대상물질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하로 떨어짐이 감지되면, 상기 하우징에 전기분해 대상물질이 기 설정된 수위까지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분해 대상물질 공급부를 제어하는 수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터빈은, 관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접속된 연소물질 유입관이 소통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입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관를 통해 유입된 후 혼합된 가스혼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가스혼합물을 점화시키는 점화부를 구비하는 혼합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흡입시키는 흡입팬; 상기 점화됨으로써 연소된 연소가스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 및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화시켜 주는 에너지 변환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용 블로어 시스템은, 일정량 이상의 수소와 산소를 터빈에 공급하는 동시에 터빈으로부터 생산된 전기의 일부를 전기분해 장치가 이용함으로서, 발전용 볼로어 시스템의 에너지 생산 효율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장치를 이용한 발전용 블로어 시스템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용 블로어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분해 장치는 하우징(110), 전기분해 대상물질 공급부(120), 전해질 공급부(130), 전원부(140). 전극부(150), 전해질 농도 감지 센서(160) 및 전해질 농도 조절부(1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110)은 전기분해 대상물질 공급부(120)와 전해질 공급부(130)에 연결되어 전기분해 대상물질과 전해질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있으며, 전원부(1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극부(150)가 내부에 구비한다.
그리고 전기분해 대상물질 공급부(120)는 전기분해를 위한 전기분해 대상물질을 하우징(11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기분해 대상물질은 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해질 공급부(130)는 대상물질의 전도성을 부가하기 위한 것으로, 전해질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전기분해 대상물질에는 전도성이 없기 때문에 전해질을 통해 전기분해 대상물질에 전도성을 부가하는 것으로, 강염기성인 수산화칼륨(KOH)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전원부(140)는 전기 분해를 위해 전극부(150)에 전원을 공급한다. 즉, 전극부(150)의 일측에는 (+)극, 타측에는 (-)극을 공급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전원부(14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극부(150)는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부(14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전기분해 대상물질을 전기분해하며, 이를 통해 수소와 산소를 생성한다. 이때, 전극부(150)는 알루미늄 합금 + 마그네슘, 카본나노튜브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해질 농도 감지 센서(160)는 하우징(110)에 저장된 전해질의 농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전해질 농도 조절부(161)는 전해질 농도 감지 센서(160)를 통해 검출된 전해질의 농도에 따라, 전해질 공급부(130)를 통해 공급되는 전해질의 양을 조절하여 하우징(110)에 저장된 전기분해 대상물질의 전해질 농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해질의 농도에 따라 전기분해되는 전기분해 대상물질의 전기분해 효율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분해되어 생산되는 수소와 산소의 양 또한 일정하게 제공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위 감지 센서(170)와 수위 조절부(1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위 감지 센서(170)는 하우징(110)에 저장된 전기분해 대상물질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하로 떨어짐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수위 조절부(171)는 수위 감지 센서(170)에 의해 하우징(110)에 저장된 전기분해 대상물질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하로 떨어짐이 감지되면, 하우징(110)에 전기분해 대상물질이 기 설정된 수위까지 저장될 수 있도록 전기분해 대상물질 공급부(12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우징(110)에 저장되는 전기분해 대상물질의 수위가 조절됨에 따라, 전기분해를 통해 균일한 양의 수소와 산소가 생산되어 공급될 수 있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전원부(140)는 전해질 농도 감지 센서(160)를 통해 감지되는 전해질의 농도에 따라, 전극부(150)에 인가되는 전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부(140)를 통해, 전기분해 대상물질의 농도가 낮아지더라도 균일한 양의 수소와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장치를 이용한 발전용 블로어 시스템을 나타낸 기능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장치를 이용한 발전용 블로어 시스템은 전기분해 장치(100)와 터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전기분해 장치(100)는 전기분해 대상물질을 전기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를 생산하고, 그 생산된 수소와 산소를 터빈에 공급한다.
그리고, 터빈은 전기분해 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수소와 산소와 연료 공급부(222)를 통해 공급되는 연소물질을 혼합하여 연소시키고 연소된 연소가스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부(281)를 통해 회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일부 전기 에너지를 전기분해장치(100)의 전원부(140)에 공급한다. 전기분해 장치(100)의 전원부(140)에는 충전부가 구비되어 터빈의 전기 에너지 변환부(280)를 통해 전원을 충전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전기분해 장치(100)는, 하우징(110), 전기분해 대상물질 공급부(120), 전해질 공급부(130), 전원부(140). 전극부(150), 전해질 농도 감지 센서(160), 전해질 농도 조절부(1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110)은 전기분해 대상물질 공급부(120)와 전해질 공급부(130)에 연결되어 전기분해 대상물질과 전해질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있으며, 전원부(1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극부(150)가 내부에 구비한다.
그리고 전기분해 대상물질 공급부(120)는 전기분해를 위한 전기분해 대상물질을 하우징(11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기분해 대상물질은 물이 바람직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해질 공급부(130)는 대상물질의 전도성을 유지하기 위한 전해질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전기분해 대상물질에는 전도성이 없기 때문에 전해질을 통해 전기분해 대상물질에 전도성을 부가하는 것으로, 강염기성인 수산화칼륨(KOH)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전원부(140)는 전기 분해를 위해 전극부(150)에 전원을 공급한다. 즉, 전극부(150)의 일측에는 (+)극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극이 연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는 전원부(140)가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극부(150)는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부(14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전기분해 대상물질을 전기분해하며, 이를 통해 수소와 산소를 생성한다. 이때, 전극부(150)는 알루미늄 합금 + 마그네슘, 카본나노튜브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해질 농도 감지 센서(160)는 하우징(110)에 저장된 전해질의 농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전해질 농도 조절부(161)는 전해질 농도 감지 센서(160)를 통해 감지된 전해질의 농도에 따라, 전해질 공급부(130)를 통해 공급되는 전해질의 양을 조절하여 하우징(110)에 저장된 전기분해 대상물질의 전해질 농도를 조절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전기분해 장치(100)는 수위 감지 센서(170)와 수위 조절부(17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수위 감지 센서(170)는 하우징(110)에 저장된 상기 전기분해 대상물질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하로 떨어짐을 감지한다.
그리고, 수위 조절부(171)는 수위 감지 센서(170)에 의해 하우징(110)에 저장된 전기분해 대상물질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하로 떨어짐이 감지되면, 하우징(110)에 전기분해 대상물질이 기 설정된 수위까지 저장될 수 있도록 전기분해 대상물질 공급부(120)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전기분해 장치에 따르면, 하우징(110)에 저장되어 전기분해 대상물질이 기설정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터빈에 일정 양의 수소와 산소가 공급되어 터빈에서의 에너지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터빈은 하우징(210), 혼합관(220), 블레이드(281), 에너지 변환 장치(280), 흡입팬(2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케이스(210)는 관 형상으로 내부에 혼합관(220), 흡입팬(290)이 설치되고 혼합가스가 연소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혼합관(220)은 케이스(210)에 접속된 연소물질 유입관이 소통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입관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관를 통해 유입된 후 혼합된 가스혼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223) 및 상기 배출구(223)를 통해 배출된 가스혼합물을 점화시키는 점화부(224)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혼합관(220)은 연소물질 유입관을 통해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가스를 공급받아 배출구(223)를 통해 배출시키는 동시에 점화부(224)를 통해 점화시켜 연소가스를 케이스(210)에서 연소시킨다.
흡입팬(290)은 케이스(2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 공기를 케이스(210) 내측으로 흡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흡입팬(290)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혼합관(220)에서 혼합된 혼합가스가 배출구(223)를 통해 배출되면서 점화되어 연소된 후 블레이드(281)에 공급될 수 있도록 케이스(210)와 혼합관(220) 사이에 공급되어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연소된 혼합가스는 흡입팬(290)에 의해 흡입된 공기에 의해, 배출구(223)를 통해 배출된 후 점화되어 블레이드(281)로 공급된다.
그리고 블레이드(281)는 에너지 변환 장치(280)에 구비되어 연소된 연소가스에 의해 회전된다.
또한, 에너지 변환 장치(280)는 블레이드(281)의 회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화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에너지 변환 장치(280)는 공지의 기술인 발전기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는 냉각관(260)이 더 채용될 수 있다. 이때, 냉각관은 케이스(210)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물이 흐르는 유로를 가지며, 점화됨으로써 연소되어 히팅된 케이스(210)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냉각관(260)의 물은 히팅된 케이스(210)에 의해 히팅됨에 따라 사용에 따라 온수로 이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용도를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혼합관(220)은 케이스(210)의 일측에 접속된 제1유입관(221)이 형성되고, 케이스(210)의 타측에 제2유입관(222)이 소통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배출구(223)는 제1유입관(221)과 제2유입관(222)를 통해 유입된 후 혼합된 가스혼합물이 배출된다.
그리고 점화부(224)는 배출구(223)를 통해 배출된 가스혼합물을 점화시킨다.
이때, 제1유입관(221)에는 전기분해장치(100)에서 전기분해 대상물질을 전기분해하여 생성된 수소와 산소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유입관(222)을 통해서는 도시가스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LPG, 바이오가스 및 세일가스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10 : 하우징 120 : 전기분해 대상물질 공급부
130 : 전해질 공급부 140 : 전원부
150 : 전극부 160 : 전해질 농도 감지 센서
161 : 전해질 농도 조절부 170 : 수위 감지 센서
171 : 수위 조절부
210 ; 케이스 220 : 혼합관
221 : 제1유입관 222 : 제2유입관
223 : 배출구 224 : 점화부
225 : 구획부재 260 : 냉각관
290 : 흡입팬

Claims (6)

  1. 하우징;
    전기분해를 위한 전기분해 대상물질을 공급하는 전기분해 대상물질 공급부;
    상기 대상물질의 전도성을 유지하기 위한 전해질을 공급하는 전해질 공급부;
    전기 분해를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전기분해 대상물질을 전기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를 생성하는 전극부;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전해질의 농도를 검출하는 전해질 농도 감지 센서; 및
    상기 전해질 농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전해질의 농도에 따라,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전해질의 양을 조절하는 전해질 농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상기 전기분해 대상물질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하로 떨어짐을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 및
    상기 수위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전기분해 대상물질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하로 떨어짐이 감지되면, 상기 하우징에 전기분해 대상물질이 기 설정된 수위까지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분해 대상물질 공급부를 제어하는 수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분해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전해질 농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전해질의 농도에 따라, 전극부에 인가되는 전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 장치.
  4. 전기분해 대상물질을 전기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를 생산하고, 그 생산된 수소와 산소를 공급하는 전기분해 장치;
    상기 전기분해 장치를 통해 전기분해 대상물질의 전기분해가 가능하도록 상기 전기분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기분해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수소와 산소와 연료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연소물질을 혼합하여 연소시키고 연소된 연소가스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부를 통해 회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일부 전기 에너지를 상기 전원부에 공급하는 터빈;을 포함하는 전기분해 장치를 이용한 발전용 블로어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상기 전기분해 대상물질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하로 떨어짐을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 및
    상기 수위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전기분해 대상물질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하로 떨어짐이 감지되면, 상기 하우징에 전기분해 대상물질이 기 설정된 수위까지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분해 대상물질 공급부를 제어하는 수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 장치를 이용한 발전용 블로어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은,
    관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접속된 연소물질 유입관이 소통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입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관를 통해 유입된 후 혼합된 가스혼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가스혼합물을 점화시키는 점화부를 구비하는 혼합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흡입시키는 흡입팬;
    상기 점화됨으로써 연소된 연소가스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 및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화시켜 주는 에너지 변환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 장치를 이용한 발전용 블로어 시스템.
KR1020140008719A 2014-01-24 2014-01-24 전기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용 블로어 시스템 KR201500884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719A KR20150088429A (ko) 2014-01-24 2014-01-24 전기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용 블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719A KR20150088429A (ko) 2014-01-24 2014-01-24 전기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용 블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429A true KR20150088429A (ko) 2015-08-03

Family

ID=53872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719A KR20150088429A (ko) 2014-01-24 2014-01-24 전기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용 블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84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67368A (zh) * 2019-11-01 2022-06-24 龚水明 利用离心力具有自发电功能的制氢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67368A (zh) * 2019-11-01 2022-06-24 龚水明 利用离心力具有自发电功能的制氢装置
CN114667368B (zh) * 2019-11-01 2024-01-19 龚水明 一种利用离心力具有自发电功能的制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63886A (zh) 自适应燃气热水器及其系统和自动判断气种方法
WO2010151026A3 (ko) 프라즈마를 이용한 버어너
US20090261590A1 (en) Electrical energy generating system
US20090194421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olytic Gas Composite Fuel, and Method for Generating this Fuel
CN203835573U (zh) 一种节能助燃车载氢氧发生系统
CN109751626A (zh) 一种高效率低污染等离子燃气灶
KR100684685B1 (ko) 수소 및 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EA026312B1 (ru) Горючая газовая композиция
JP2005206395A5 (ja) 水素生成装置、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水素生成装置の起動方法
KR20150088429A (ko) 전기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용 블로어 시스템
US6326703B1 (en) Power apparatus
JP3906024B2 (ja) 燃焼機器
JP2016012525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3195267U (ja) 内燃機関の燃費と排出ガスの同時改善装置
CN201411491Y (zh) 利用太阳能电解水发生氢气和氧气并控制燃烧的装置
CN203834032U (zh) 依靠电解水产生氢氧混合气体的燃烧器系统
KR20150012845A (ko) 수소가스 혼합 연료 보일러의 연소장치
KR101392467B1 (ko)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냉난방시스템
TW200619561A (en) Gas scrubbing method using electric energy and fossil fuel and gas scrubber thereof
KR101713233B1 (ko) 터빈을 이용한 발전용 블로어 시스템
JP3122693U (ja) エネルギー装置
JP3131280U (ja) 冷却装置つき低圧水素燃料機器
TWI385303B (zh) Mixed hydrogen fuel control system
JP2009079803A (ja) 高温高圧ガス生成装置
JP6136719B2 (ja) ボイ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