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681A - 이동 단말기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방향 변환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방향 변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7681A
KR20150087681A KR1020140007904A KR20140007904A KR20150087681A KR 20150087681 A KR20150087681 A KR 20150087681A KR 1020140007904 A KR1020140007904 A KR 1020140007904A KR 20140007904 A KR20140007904 A KR 20140007904A KR 20150087681 A KR20150087681 A KR 20150087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user
cradle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3894B1 (ko
Inventor
민지호
서희식
조병림
홍을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7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894B1/ko
Publication of KR20150087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방향 변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 단말기가 결합되고, 제1 축을 중심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제1 축에 의해 연결되고,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제2 축에 의해 연결되고, 제3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3 부재, 및 상기 제3 부재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방향 변환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방향 변환 방법{HOLDER FOR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HANGING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방향을 변환시킬 수 있는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방향 변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크래들(cradle)은 이동 단말기의 단순 거치 및 충전을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주로 고정된 각도로 스마트 기기를 거치하거나 수동으로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팬(Pan)-틸트(Tilt)-롤(Roll) 회전이 가능한 거치대가 필요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를 회전시키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편의와 감성 경합을 제공하는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방향을 변환하는 벙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가 결합되고, 제1 축을 중심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제1 축에 의해 연결되고,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제2 축에 의해 연결되고, 제3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3 부재, 및 상기 제3 부재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상기 발명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축 내지 제3 축의 일측에는 각각의 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방향 변환을 위해 상기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거치대의 상태와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센서부와, 상기 구동부 및 센서부의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파악하는 감시부와, 사진 촬영시 피사체의 상태에 따라 방향 변환을 결정하는 촬영부, 및 상기 감시부, 촬영부 및 사용자의 방향 변환 요구를 거치대에 전달하는 실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롤(roll) 동작, 팬(pan) 동작 및 틸트(tilt) 동작을 구현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거치대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각도/위치 센서 또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한 센서는, 음성 인식 센서, 제스쳐 인식 센서 및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3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이동 단말기에서 방향 변환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와, 추가적으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가 실행시키는 작업을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추가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의 작업에 따라 방향 변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 여부를 거치대에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거치대의 구동부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를 방향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방향 변환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향 변환 여부 결정 단계는, 동영상 재생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방향 변환을 실행시키거나, 사용자의 방향 변환 요구를 기억하고, 다음 실행시에 이동 단말기를 동일한 방향으로 방향 변환시키거나,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촬영시 피사체의 상태와 구도를 조사하여 자동으로 방향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동영상과 관련된 도메인 이름 또는 파일 형식을 포함하는 인터넷주소(URL)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방향 변환을 실행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작업에 의해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문자 또는 기호의 배치 방향이 변하는 경우에는 방향 변환을 실행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체 화면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방향 변환을 실행시키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터치, 제스처 또는 음성을 입력하여 실행중인 방향 변환을 취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거치대에 거치한 후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그 애플리케이션의 동작환경에 맞추어 자동으로 종/횡 방향으로 회전시켜 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파티 샷(Party Shot)과 같은 독립(Stand-Alone)적 기능 수행시에 피사체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종/횡으로 회전하여 사진을 촬영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마치 사람이 대신 촬영해 준 것과 같은 감성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거치대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의 거치대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거치대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의 거치대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거치대의 변환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변환을 취소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사진 촬영시 거치대의 변환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거치대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거치대의 방향 변환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의 단순 거치/충전 용도가 아닌 거치대를 자동으로 롤 회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와 감성 경험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의 거치대와, 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방향을 변환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이동 단말기를 회전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거치대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먼저,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가 거치되는 거치대(100)의 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상기 이동 단말기(10)의 방향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방향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방향 변환은 이동 단말기(10)의 종/횡 변환(portrait/landscape)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거치대(100)는 이동 단말기(10)가 결합되고, 제1 축(145,245)을 중심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10)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1 부재(140,240)와, 상기 제1 부재(140,240)와 제1 축(145,245)에 의해 연결되고, 제2 축(135,235)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부재(130,230)와, 상기 제2 부재(130,230)가 제2 축(135,235)에 의해 연결되고, 제3 축(125,225)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3 부재(120,220), 및 상기 제3 부재(120,220)를 지지하는 베이스(110,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10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의 후면과 접촉하고, 이동 단말기(10)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커버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부재(140)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부재(140)는 제1 축(145)과 결합된다. 상기 제1 축(145)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모터(141)에 의해 회전가능한데, 이때 상기 제1 축(145)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10)는 롤(roll) 회전된다. 상기 롤 회전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세워져 있던 이동 단말기(10)가 단일 평면상에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2 부재(130)는 상기 제1 축(145)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에 형성되는 제2 축(13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의 회전은 틸트(tilt) 회전으로,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제2 부재(130)가 제2 축(135)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하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에 표시되는 화면을 보기 편한 각도로 볼 수 있도록 조절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하여는 도 2d에 도시하였다. 이때, 상기 제2 축(135)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모터(131)에 의해 회전된다.
또한, 제3 부재(120)는 상기 제2 부재(130)가 지지되며, 제3 축(12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팬(pan) 회전을 구현한다. 이때, 상기 팬 회전을 위하여 상기 제3 축(125)의 인접한 곳에는 제3 모터(121)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팬 회전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축을 중심으로 이동 단말기(10)를 회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도 2a는 이동 단말기(10)가 거치대(100)에 거치된 최초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거치대(100) 외에도 다른 실시예를 제안하는데,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서도 3개의 축(225,235,245)과 상기 축들(225,235,245)을 회전시키는 3개의 모터(221,231,241)들이 구비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동 단말기 거치대(20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가 삽입 결합되고, 이동 단말기(10)를 지지하는 제1 부재(24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240)의 하부에는 상기 제1 부재(240)를 회전시키는 제1 축(24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축(245)의 인접한 곳에는 제1 모터(24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부재(240)는 제2 부재(230)에 삽입되어 있는데, 상기 제2 부재(230)의 양측에는 제2 축(2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축(235)은 제2 모터(231)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2 모터(231)는 제3 부재(2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부재(230)와 제3 부재(220)는 함께 원통 형상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3 부재(220)의 하부에는 제3 축(225)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3 축(225)의 인접한 곳에 배치되는 제3 모터(221)에 의해 회전하도록 한다. 이때, 제2 부재(230)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제2 부재(230) 및 제3 부재(22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도 4a는 이동 단말기(10)가 거치대(100)에 거치된 최초 상태를 나타낸다. 도 4b는 팬 회전을 나타내며, 도 4c는 틸트 회전을 나타내며, 도 4d는 롤 회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100)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종/횡 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를 거치대(100)에 거치한 후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그 애플리케이션의 동작환경에 맞추어 자동으로 종/횡 방향으로 회전시켜 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파티 샷(Party Shot)과 같은 독립(Stand-Alone)적 기능 수행시에 피사체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종/횡으로 회전하여 사진을 촬영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마치 사람이 대신 촬영해 준 것과 같은 감성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10)를 종/횡으로 방향을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 거치대(10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의 방향 변환을 위해 상기 이동 단말기(10)와 통신하는 통신부(101)와, 상기 거치대(100)의 상태와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센서부(104)와, 상기 방향 변환을 구현하는 구동부(103), 및 상기 구동부(103) 및 센서부(104)의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102)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1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의 상태를 파악하는 감시부(11)와, 피사체의 상태에 따라 방향 변환을 결정하도록 사진을 촬영하는 촬영부(13)와, 상기 감시부(11), 촬영부(13) 및 사용자의 방향 변환 요구를 거치대(100)에 전달하는 실행부(12)를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103)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100)의 롤(Roll) 회전, 팬(Pan) 회전 및 틸트(Tilt) 회전을 구현하도록 하는 모터(121,131,141,221,231,24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104)는 이동 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각도/위치 센서와,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한 센서(Mike, Gesture, IR 등)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한 센서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인식 센서(마이크로폰,116), 제스처 인식 센서(117) 및 터치 센서(1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01)는 이동 단말기(10)와 통신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Bluetooth)나 WIFI 등의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2)는 구동부(103) 제어 및 센서부(104)의 신호처리를 위한 제어기 및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10)에 내장되어 있는 감시부(11)는 이동 단말기(1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어떤 것인지 감시하고 있다가 종/횡 변경이 필요할 경우 실행부(12)에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방향 변환의 필요 유무는 후술하듯이 미리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해둔 애플리케이션의 목록, 사용자의 기존 사용 패턴 등에 근거하여 결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거치대(100)의 방향 변환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인데,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방향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3개의 회전축((125,135,145) 또는 (225,235,245))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이동 단말기(10)에서 방향 변환 전용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S10)시키고, 추가적으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가 실행시키는 작업을 감시(S20)하며, 상기 추가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의 작업에 따라 방향 변환 여부를 결정(S30)하며, 상기 변환 여부를 거치대(100)에 입력(S40)한 다음, 상기 거치대(100)의 구동부(103)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10)를 방향 변환(S50)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 단말기(10)와 거치대(100) 사이는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방향 변환과 관련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수동으로 실행시키거나, 이동 단말기(10)가 거치대(100)에 거치될 경우 백그라운드에서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방향 변환 여부를 결정(S30)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이후에 추가적으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중 동영상 재생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동영상 재생을 예정하고 있으므로,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자동으로 방향 변환되도록 한다. 상기 동영상 재생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둘 수 있고, 1회 실행한 후에 다시 실행시킬 때는 자동으로 방향을 변환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추후에 다시 실행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방향 변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실행하는 작업에 따라서도 방향 변환되도록 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방향 변환을 요구한 작업이 있거나, 사용자가 전체 화면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으면, 이를 기억하도록 함으로써 다시 그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 동영상과 관련된 도메인 이름 또는 파일 형식을 포함하는 인터넷주소(URL)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방향 변환을 실행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동영상과 관련된 도메인 이름은 예를 들어, youtube와 같은 동영상 재생과 관련된 사이트를 실행시키거나, 인터넷 주소에 동영상을 나타내는 파일 확장자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10)로 인터넷을 사용하거나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경우에 이동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이 자동으로 변환되는데, 이런 경우에는 문자 또는 기호 등도 함께 배치 방향이 바뀌게 된다. 이때, 문자 또는 기호의 배치 변화를 인식함으로써 거치대(100)를 변환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도, 문자 또는 기호 등의 배치가 변화하도록 한 작업을 기억하여 다시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방향을 변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방향 변환에 불만족스러워 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향 변환도중 이를 취소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6a 내지 도 6c는 이동 단말기(10)의 방향 변환 도중 이를 취소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종(portrait)으로 표시되던 화면(도 6a)이 횡(landscape)으로 변환되려고 할 때, 사용자가 터치, 제스처 또는 음성을 입력함으로써 실행중이던 방향 변환을 취소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mictophone)(116), 터치 센서(118) 및 제스처 인식 센서(117)가 거치대(100)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폰(116)에 의해서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고, 상기 터치 센서(118)를 터치하여 터치를 입력하거나, 상기 제스처 인식 센서(117) 앞에서 움직임으로써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에 있는 마이크로폰(16)을 이용하여 음성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스처 인식 센서(117)는 가속도 센서의 일종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촬영시 피사체의 상태와 구도를 조사하여 자동으로 방향 변환시킬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피사체의 자연스러운 모습을 촬영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피사체의 상태와 구도에 따라 자동으로 촬영하도록 할 수 있는데, 피사체의 상태와 구도는 주로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얼굴의 상태 및 구도에 의해 정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촬영부(13)는 파티샷(party shot) 등의 자동 촬영 기능 수행시에 피사체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있다가 적당한 구도에서 자동으로 촬영하고, 피사체의 구도가 종/횡 중 어디에 더 어울릴지 판단하여 실행부(12)에 알려준다. 이때, 실행부(12)는 감시부(11)나 촬영부(13)로부터 받은 방향 변환 요구나,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의 입력장치(터치스크린, 마이크 등)를 이용해 입력한 방향 변환 요구를 이동 단말기의 거치대(100)에 무선 통신을 통해 알려준다.
이때, 통신부(101)는 상기 이동 단말기(10)와 통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6)

  1. 이동 단말기가 결합되고, 제1 축을 중심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와 제1 축에 의해 연결되고,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부재;
    상기 제2 부재가 제2 축에 의해 연결되고, 제3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3 부재; 및
    상기 제3 부재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 내지 제3 축의 일측에는 각각의 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방향 변환을 위해 상기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거치대의 상태와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센서부; 및
    상기 구동부 및 센서부의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파악하는 감시부;
    사진 촬영시 피사체의 상태에 따라 방향 변환을 결정하는 촬영부; 및
    상기 감시부, 촬영부 및 사용자의 방향 변환 요구를 거치대에 전달하는 실행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롤(roll) 동작, 팬(pan) 동작 및 틸트(tilt) 동작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거치대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각도/위치 센서 또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한 센서는,
    음성 인식 센서, 제스쳐 인식 센서 및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
  9. 서로 다른 3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이동 단말기에서 방향 변환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추가적으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가 실행시키는 작업을 감시하는 단계;
    상기 추가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의 작업에 따라 방향 변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변환 여부를 거치대에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거치대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를 방향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방향 변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변환 여부 결정 단계는,
    동영상 재생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방향 변환을 실행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방향 변환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변환 여부 결정 단계는,
    사용자의 방향 변환 요구를 기억하고, 다음 실행시에 이동 단말기를 동일한 방향으로 방향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방향 변환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동영상과 관련된 도메인 이름 또는 파일 형식을 포함하는 인터넷주소(URL)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방향 변환을 실행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방향 변환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작업에 의해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문자 또는 기호의 배치 방향이 변하는 경우에는 방향 변환을 실행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방향 변환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전체 화면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방향 변환을 실행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방향 변환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변환 여부 결정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촬영시 피사체의 상태와 구도를 조사하여 자동으로 방향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방향 변환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터치, 제스처 또는 음성을 입력하여 실행중인 방향 변환을 취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방향 변환 방법.
KR1020140007904A 2014-01-22 2014-01-22 이동 단말기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방향 변환 방법 KR102163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904A KR102163894B1 (ko) 2014-01-22 2014-01-22 이동 단말기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방향 변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904A KR102163894B1 (ko) 2014-01-22 2014-01-22 이동 단말기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방향 변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681A true KR20150087681A (ko) 2015-07-30
KR102163894B1 KR102163894B1 (ko) 2020-10-12

Family

ID=53876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904A KR102163894B1 (ko) 2014-01-22 2014-01-22 이동 단말기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방향 변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89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869A (ko) * 2018-04-25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의 자세 조정을 통해 복수의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1101217A1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쓰리아이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및 화상 합성 방법
KR102427469B1 (ko) * 2021-02-10 2022-07-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페이스 포커싱 스마트폰 거치대
US11575840B2 (en) 2019-11-19 2023-02-07 3I Inc.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cradle and composing images
KR102544180B1 (ko) * 2022-03-02 2023-06-16 고무생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698A (ko) * 2005-09-15 2007-03-20 이순행 Dmb폰 거치대
KR100778926B1 (ko) * 2007-01-26 2007-11-22 주식회사 성우모바일 휴대단말기의 회전 받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698A (ko) * 2005-09-15 2007-03-20 이순행 Dmb폰 거치대
KR100778926B1 (ko) * 2007-01-26 2007-11-22 주식회사 성우모바일 휴대단말기의 회전 받침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869A (ko) * 2018-04-25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의 자세 조정을 통해 복수의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1101217A1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쓰리아이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및 화상 합성 방법
US11575840B2 (en) 2019-11-19 2023-02-07 3I Inc.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cradle and composing images
KR102427469B1 (ko) * 2021-02-10 2022-07-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페이스 포커싱 스마트폰 거치대
KR102544180B1 (ko) * 2022-03-02 2023-06-16 고무생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894B1 (ko) 202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598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JP6205067B2 (ja) パン・チルト操作装置、カメラシステム、パン・チルト操作用プログラム及びパン・チルト操作方法
CN106899801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EP3640732B1 (en) Method and terminal for acquire panoramic image
WO2017056942A1 (ja) 画像処理装置及び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13327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image area using image sensor location
CN110149332B (zh) 直播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9862412B (zh) 合拍视频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14533446A (ja) モバイル装置のためのジェスチャに基づく入力モード選択
WO2018120955A1 (zh) 直播编码的方法、装置、终端、联动编码服务器及系统
JPWO2016038971A1 (ja) 撮像制御装置、撮像制御方法、カメラ、カメラ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163894B1 (ko) 이동 단말기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방향 변환 방법
US9743067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generating a stereoscopic image
CN109922356B (zh) 视频推荐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84210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control information,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WO2021036623A1 (zh) 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9430989B2 (en) Image display control apparatus, image display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image display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on a divided display
JP6435063B2 (ja) 撮像制御装置、撮像制御方法、撮像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20108058A1 (zh) 移动终端
TW201514834A (zh) 電子放大鏡的實現方法及使用者設備
CN103581532A (zh) 利用手持装置操控镜头信号拍摄的方法及其装置
WO2017020671A1 (zh) 视频交互方法、装置及视频源设备
CA2827594C (en) Methods and devices for generating a stereoscopic image
CN110891122A (zh) 一种壁纸推送方法及电子设备
CN110996115B (zh) 直播视频播放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