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609A - Multifunctional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7609A
KR20150087609A KR1020140007777A KR20140007777A KR20150087609A KR 20150087609 A KR20150087609 A KR 20150087609A KR 1020140007777 A KR1020140007777 A KR 1020140007777A KR 20140007777 A KR20140007777 A KR 20140007777A KR 20150087609 A KR20150087609 A KR 20150087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mode
unit
current
wel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7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00343B1 (en
Inventor
정양권
Original Assignee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7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343B1/en
Publication of KR20150087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6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3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system for a multifunctional welding machine using mobile terminals. The system includes a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board. The mobile terminal checks the current status information of the multifunctional welding machine having TIG, CO2, MAG, MIG, ARC welding capabilities, has a setting display unit inputting the mode setting data of the multifunctional welding machine, and has wireless communication capabilities. The control board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ich exchanges the setting data with the setting display uni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 welding machine setting unit which sets the welding time, welding current, and welding voltage for the respective modes of the multifunctional welding machine by the setting data; a signal conversion unit which converts a digital control signal to an analog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multifunctional welding machine; a mode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mode selection switch and contact point switch of the multifunctional welding machine to select the welding mode of the multifunctional welding machin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unit which has a firmware to control the multifunctional welding machine and processe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control the multifunctional welding machine.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Multifunctional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mobile terminal}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 환경이 크거나 열악한 용접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작업 용도에 맞게 용접기의 전압이나 전류 또는 가스, 크레이터를 제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비효율적인 에너지 및 작업시간의 손실을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More specifically, in a welding work environment where a work environment is large or poor, an operator can remotely control a welding machine voltage, current, gas, or crater using a control mobile terminal to suit a work application, thereby reducing inefficient energy and work time To a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일반적으로, 용접이란 완제품을 단일 편으로 만들 수 없을 때, 부품을 운반하거나 현지에서 조립, 체결하는 것이 용이하고 경제적일 때 2개의 금속을 용융상태 또는 반용융 상태에서 접합하는 것을 말한다.In general, welding refers to joining two metals in a molten or semi-molten state when the finished product can not be made into a single piece, when it is easy and economical to carry the parts or to assemble and fasten them locally.

또한, 용접기는 소재에 따라서

Figure pat00001
용접기, MIG 용접기, MAG 용접기, TIG 용접기, ARC 용접기 등으로 구분 된다. 또한 두 개의 매체를 접합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기계적 접합과 금속학적 접합으로 분류한다. 기계적 접합이란 접합면에 국부적인 소성변형을 주는 것으로 볼트이음, 리벳이음, 가열 끼우기 등이 있다. 금속학적 접합이란 접합면에 열 에너지를 가하여 국부적으로 용융시키던지 또는 금속원자의 열확산을 촉진시키는 방법으로 대부분의 용접은 이 방법에 속한다. 용접작업에 필요한 구성요소는 용접의 종류에 다소 차이는 있으나 용접대상이 되는 모재(재료), 열원(가열원으로 가스열이나 전기 에너지를 주로 사용하고 화학반응열, 기계에너지, 전자파에너지), 용가재(융합에 필요한 용접봉이나 납), 용접기와 용접기구(용접용 케이블, 홀더, 토오치, 기타 공구) 등이 필요하다.In addition, the welder
Figure pat00001
MIG welding machine, MAG welding machine, TIG welding machine and ARC welding machine. Also, two methods of bonding two media are classified into mechanical bonding and metallurgical bonding. Mechanical bonding refers to local plastic deformation on the joint surface, such as bolting, riveting, and heat-fitting. Metallurgical bonding is the method of locally fusing by applying thermal energy to the bonding surface or promoting the thermal diffusion of metal atoms, most of which belongs to this method. The components required for the welding work include welding of the base material (material), heat source (gas heat or electric energy mainly used as a heating source, heat of chemical reaction, mechanical energy, electromagnetic wave energy) Welders and welding equipment (welding cables, holders, tundishes, and other tools) are required.

한편, 용접 방식은 가열온도와 가열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융접, 압접, 납땜으로 분류되고, 융접 용접에는 ARC 용접, Gas 용접, 특수용접으로 구분되고 다시 ARC 용접은 소모전극식과, 비소모전극식 으로 분류된다. 또한, Gas용접은 산소-아세틸렌, 산소-수소, 공기-아세틸렌 용접 방식으로 구분되고, 특수 용접은 Thermit용접, 전자Beam 용접, Electroslag 용접, Plasma용접으로 구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welding method is divided into welding, pressure welding and soldering according to the heating temperature and the heating method, and ARC welding, gas welding and special welding are used for the welding of welding. The ARC welding is divided into consumable electrode type and non- . Gas welding is classified into oxygen-acetylene, oxygen-hydrogen, and air-acetylene welding. Special welding is divided into thermite welding, electronic beam welding, electroslag welding, and plasma welding.

특히, 전술한 용접 방식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20096호와 같이, 하나의 용접부스에 다양한 모드의 용접기능이 발현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필요한 용접모드를 선택해 용접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최소한의 용접장비로 다양한 용접작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용접기가 개시된 바 있다.In particular, in the welding method described above, the welding function of various modes can be expressed in one welding booth as in the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320096,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necessary welding mode according to the situation, A hybrid welding machine has been disclosed in which a variety of welding working environments can be created with a minimum amount of welding equipment.

하지만,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하이브리드 용접기는 용접 모드를 전환하거나 제어 모드에 맞게 변경하는 경우 직접 다기능 용접기로 가서 변경해야 되는 어려움이 있으며, 이는 불필요한 에너지 및 작업시간의 손실을 발생시키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도출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hybrid we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described above is changed to the welding mode or the welding mode is changed to the control mode, there is a difficulty to go to the multifunctional welding machine to directly change it. This causes an inefficiency problem that causes unnecessary energy and loss of working time .

즉, 작업 환경이 크거나 열악한 용접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와 하이브리드 용접기 간의 최대 거리가 50m 전후로 이루어지며, 이는 결국, 작업자가 용접 작업 중에 작업 용도에 맞게 용접기의 전압이나 전류 또는 가스, 크레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직접 하이브리드 용접기의 제어기로 가서 용접기의 모드를 변경해야 한다. 이는 비효율적으로 에너지 및 작업시간의 손실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되고 있다.
In other words, the maximum distance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hybrid welder is about 50m at the welding work site where the work environment is large or poor. This eventually causes the operator to control the voltage, current, gas or crater of the welding machine Directly go to the controller of the hybrid welder and change the mode of the welder. This causes inefficiency to cause energy and loss of working time.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20096호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320096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작업 환경이 크거나 열악한 용접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작업 용도에 맞게 용접기의 전압이나 전류 또는 가스, 크레이터를 제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비효율적인 에너지 및 작업시간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lding apparatus and a welding method, And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that minimizes inefficiency of energy and loss of working time by remote control using the remote control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에너지 및 작업시간의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다기능 용접기에 IEEE802.11(WiFi)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한 제어보드를 장착하고 제어보드와 원거리에서 통신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애플리케이션이 구현된 시스템을 활용하여 용접작업 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여 좀 더 효율적으로 용접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obile terminal application capable of remote control with a control board equipped with a control board capable of remote control using an IEEE802.11 (WiFi) module in a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in order to reduce energy and work time los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that can shorten the working time and reduce unnecessary energy consumption by utilizing the implemented system.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TIG 용접, CO2 용접, MAG 용접, MIG 용접 및 ARC 용접이 가능한 다기능 용접기의 현재 상태 정보를 체크하고, 상기 다기능 용접기의 모드별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설정 표시부가 구성되며,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설정 표시부와 무선 통신에 의해 설정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설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다기능 용접기의 각 모드별로 용접시간, 용접 전류 및 용접 전압을 세팅하는 용접기 세팅부와, 상기 다기능 용접기의 전압 및 전류의 제어를 위하여 디지털 제어신호를 다기능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다기능 용접기의 용접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기능 용접기의 모드별 선택 스위치와 접점 스위치를 제어하는 모드 제어부와, 상기 다기능 용접기를 제어하기 위한 펌웨어를 탑재되며, 무선 통신부에서 수신된 정보를 용도에 맞도록 가공하여 다기능 용접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checking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a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capable of TIG welding, CO2 welding, MAG welding, MIG welding, and ARC welding, A mobile terminal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welding time, the welding current and the welding voltage for each mode of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setting data,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de selection switch and the contact switch of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so that the welding mode of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can be select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by process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usage, the control board including firmware for controlling the multi-function welder, Multifunction Welder Remote Provide system.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설정 표시부는 TIG 용접 모드를 활성화하고, TIG 용접을 위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TIG 용접 모드; CO2 용접 모드, MAG 용접 모드 및 MIG 용접 모드를 활성화하고, CO2 용접, MAG 용접 및 MIG 용접을 위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CO2, MAG 및 MIG 용접 모드; ARC 용접 모드를 활성화하고, ARC 용접을 위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ARC 용접 모드; 및 상기 각 모드별 사용법이 표시되며, 사용 중 오류가 발생하면, 이 오류에 대한 대처법이 표시되는 HELP 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display unit may include a TIG welding mode for activating a TIG welding mode and inputting setting data for TIG welding; CO2, MAG and MIG welding modes for activating CO2 welding mode, MAG welding mode and MIG welding mode, and entering setting data for CO2 welding, MAG welding and MIG welding; An ARC welding mode for activating the ARC welding mode and inputting setting data for ARC welding; And a HELP mode unit in which a usage method for each mode is displayed and a countermeasure against the error is displayed when an error occurs during us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설정 표시부는 각 모드별 설정 버튼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들의 순환 중복검사(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수행한 후, 상기 제어보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display unit performs a cyclic redundancy check (CRC-Cyclic Redundancy Check) of data set by the setting button for each mode, and then transmits the data to the control board A multifunctional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TIG 용접 모드는 사용되고 있는 용접 전류, 또는 현재 사용중에 있는 용접 전류를 텍스트 형식으로 표시하는 사용 전류 표시부; 상기 용접 전류를 5A 단위로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TIG 용접 전류 설정부; 초기 전류의 사용 유무를 체크하는 TIG 초기 전류 체크부; 및 TIG 크레이터의 사용 유무를 체크하는 TIG 크레이터 체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G welding mode may include a used curren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welding current being used or a welding current currently in use in text format; A TIG welding current setting unit for adjusting the welding current in units of 5A; A TIG initial current check unit for checking whether or not an initial current is used; And a TIG crater check unit for checking whether a TIG crater is used or no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CO2 용접 모드, MAG 용접 모드 및 MIG 용접 모드는 250A의 용접 전류를 사용하며, 상기 용접 전류를 5A 단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용접 전류 조정부; 28V의 용접 전압을 사용하며, 상기 용접 전압을 1V 단위로 조정하는 용접 전압 조정부; 및 상기 CO2 용접 모드, MAG 용접 모드 및 MIG 용접 모드의 크레이터의 사용 유무를 체크하는 크레이터 사용 유무 체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ding current adjusting unit may use a welding current of 250 A for the CO2 welding mode, the MAG welding mode, and the MIG welding mode, and may adjust the welding current by 5 A units. A welding voltage regulator using a welding voltage of 28V and adjusting the welding voltage in units of 1V; And a crater use presence / absence checking unit for checking whether or not a crater is used in the CO2 welding mode, the MAG welding mode, and the MIG welding mode, and a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he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ARC 용접 모드는 용접 전류만을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며, 200A의 전류에서 5A 단위로 조절하는 ARC 용접 전류 설정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RC welding current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welding current only in an ARC welding mode and adjusting the welding current in a unit of 5A at a current of 200 A is provided. A remote control system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TIG 용접 모드, CO2 용접 모드, MAG 용접 모드, MIG 용접 모드 및 ARC 용접 모드에는 설정 데이터 입력의 완료를 확인하고, 설정된 데이터를 제어보드로 전송하기 위해 각 모드별 화면으로부터 이전화면, 또는 최초의 초기 화면으로 이동하는 종료 메뉴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nfirm completion of setting data input to the TIG welding mode, the CO2 welding mode, the MAG welding mode, the MIG welding mode, and the ARC welding mode and to transmit the set data to the control board And a finish menu portion for moving from a screen for each mode to a previous screen or a first initial screen is further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무선 통신부는 IEEE 802.11로 이루어진 무선랜, 또는 와이파이(Wi-Fi)를 포함하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including IEEE 802.11 wireless LAN or Wi-Fi. Multi-function welder remote control system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보드는 상기 다기능 용접기의 구동 시작시간, 구동 진행시간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작업 시간을 산출하는 구동시간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에 탑재되는 펌웨어를 업그레이드 시키는 펌웨어 업그레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board includes a driving time display unit for calculating a working time by checking the driving start time and the driving progress time of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in real time, and a controller for updating the firmware installed in the control unit And a firmware upgrading unit.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he mobile terminal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용접기 세팅부를 통해 다기능 용접기의 세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세팅이 이루어진 상태를 피드백 받아 무선 통신부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sets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through the welding machine setting unit, and transmits the setting status to the mobile terminal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provides a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다기능 용접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모드 제어부와 연결이 이루어지는 I/O PORT 와 신호 변환부와 연결되도록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DAC 와 연결될 인터페이스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include an I / O port for connecting the mode controller to the multi-function welder, and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DAC to the analog converter to be connected to the signal convert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환경이 크거나 열악한 용접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작업 용도에 맞게 용접기의 전압이나 전류 또는 가스, 크레이터를 제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비효율적인 에너지 및 작업시간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can control the voltage, current, gas or crater of the welding machine remotely by using the control mobile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work application at the welding work site where the working environment is large or poor, And the loss of working time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및 작업시간의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다기능 용접기에 IEEE802.11(WiFi)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한 제어보드를 장착하고 제어보드와 원거리에서 통신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애플리케이션이 구현된 시스템을 활용하여 용접작업 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여 좀 더 효율적으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duce the loss of energy and work time, a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is equipped with a control board capable of remote control using an IEEE802.11 (WiFi) module an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board at a long distance It is effective to shorten the working time and reduce the unnecessary energy consumption in the welding work by utilizing the system in which the application for the mobile terminal is implemented, so that the welding work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메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용접기 모드별 제어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제어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main screen of a multifunctional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views showing a control screen for each welding mode of a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view of a control board of a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메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용접기 모드별 제어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제어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functional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control screen for each welding mode of a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control board of a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terminal.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은 다기능 용접기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이 다기능 용접기의 용접 모드를 전환하는 모바일 단말기(100)와, 와이파이(Wifi) 모듈과 같은 무선 통신부(210)에 의해 다기능 용접기의 상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0)측으로 전송하고,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용접기의 세팅 데이터를 통해 다기능 용접기를 제어하는 제어보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terminal 100 for check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and switching the welding mode of the multi- Function weld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such as a WiFi module to the mobile terminal 100 and control the multi-function welder through the setting data of the welder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 (200).

모바일 단말기(100)는 와이파이 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북, 테블릿 등을 모두 포함하며, IEEE 802.11은 흔히 무선랜, 와이파이(Wi-Fi)라고 부르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이 가능하고, 제어 화면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면, 데스크탑 PC 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smart phone capable of Wi-Fi wireless communication, a notebook, a tablet, and the like. The IEEE 802.11 includes a wireless LA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 Area Network), and if a control screen can be displayed, a desktop PC may be included.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100)는 다기능 용접기를 제어하기 위해 무선 통신부(210)을 통해 제어보드(200)와 다기능 용접기의 설정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며, 다기능 용접기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면서 다기능 용접기의 모드의 전환 및 용접기 구동 등의 원격 제어가 이루어지는 구성요소이다.In order to control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and receives the setting data of the control board 200 and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While check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uch as switching and welding machine driving is performed.

이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100)는 다기능 용접기에 구성되는 제어보드(200)와 IEEE 802.11(WiFi) 모듈로 이루어진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고, 다기능 용접기의 현재 상태 정보를 체크하고, 이 다기능 용접기의 모드별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설정 표시부(102)가 구성된다.The mobile terminal 10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including an IEEE 802.11 (WiFi) module and a control board 200 configured in a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checks current status information of the multi-function welder, And a setting display unit 102 for inputting mode-specific setting data of the multifunctional welding machine.

설정 표시부(102)는 다기능 용접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확인 및 설정할 수 있도록 다기능 용접기의 각 모드별 설정 버튼들이 구성되어 있으며, 이 설정 표시부(102)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들은 다기능 용접기의 제어보드와 TCP/IP로 통신하고, 전송되는 설정 데이터들은 순환 중복검사(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통하여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를 확인한 후, 다기능 용접기의 제어보드(200)로 전송하게 된다. The setting display unit 102 includes setting buttons for each mode of the multifunctional welder so that a user using the multifunctional welder can confirm and set the data. The data set by the setting display unit 102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board of the multifunctional welder and the TCP / IP, and the transmitted setting data is checked through CRC-Cyclic Redundancy Check (CRC-Cyclic Redundancy Check) to see if there is an error in the data, and then transmitted to the control board 200 of the multifunctional welder.

이와 같은 설정 표시부(10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용접기를 이루는 TIG 용접 모드를 활성화하고, TIG 용접을 위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TIG 용접 모드(110), CO2 용접 모드를 활성화하고, CO2 용접을 위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CO2 용접 모드(120), MAG 용접 모드를 활성화하고, MAG 용접을 위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MAG 용접 모드(130), MIG 용접 모드를 활성화하고, MIG 용접을 위한 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MIG 용접 모드(140), ARC 용접 모드를 활성화하고, ARC 용접을 위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ARC 용접 모드(150) 및 각 모드별 사용법이 표시되며, 사용 중 오류가 발생하면, 이 오류에 대한 대처법이 표시되는 HELP 모드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the setting display unit 102 may include a TIG welding mode 110 for activating a TIG welding mode constituting a multi-function welding apparatus and inputting setting data for TIG welding, a CO2 welding mode, A CO2 welding mode 120 for inputting setting data for CO2 welding, a MAG welding mode 130 for activating the MAG welding mode and inputting setting data for MAG welding, activating the MIG welding mode, An ARC welding mode 150 for activating the ARC welding mode and inputting setting data for ARC welding, and a usage method for each mode are displayed. If an error occurs during use, And a HELP mode unit 160 for displaying a countermeasure against this error.

TIG 용접 모드(110)는 기본적으로 200A의 용접 전류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용접 전류, 또는 현재 사용중에 있는 용접 전류를 텍스트 형식으로 표시하는 사용 전류 표시부(115)가 구성되며, 이 용접 전류를 5A 단위로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TIG 용접 전류 설정부(112)가 구성된다.The TIG welding mode 110 is basically configured to use a welding current of 200A. As shown in FIG. 3, the TIG welding mode 110 displays a welding current, which is basically used, And a TIG welding current setting unit 112 is configured to adjust the welding current in units of 5A.

여기서, TIG 용접 전류 설정부(112)는 마우스, 터치펜 등과 같은 입력장치에 의해 클릭, 또는 터치 방식에 따라 용접 전류를 5A 단위로 조절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1A 단위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TIG 용접 전류 설정 버튼부(112a)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IG welding current setting unit 112 is configured to adjust the welding current in units of 5A in accordance with a click or a touch method by an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a touch pen, etc. However, A separate TIG welding current setting button portion 112a may be configured to be adjustable.

또한, TIG 용접시, 초기 전류와 크레이터의 사용 유무를 체크하는 TIG 초기 전류 체크부(114)와 TIG 크레이터 체크부(116)가 구성되고, 이 TIG 초기 전류와 TIG 크레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최초 단위를 100A로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TIG 초기 전류 설정 버튼부(114a)와, TIG 크레이터 설정 버튼부(116a)에 의해 2A 단위로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In the TIG welding, a TIG initial current check unit 114 and a TIG crater check unit 116 for checking the initial current and the use of the crater are configured. When the TIG initial current and the TIG crater are used, The TIG initial current setting button portion 114a and the TIG crater setting button portion 116a are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units of 2A.

CO2 용접 모드(120), MAG 용접 모드(130), MIG 용접 모드(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250A의 용접 전류와 28V의 용접 전압을 사용하게 되고, CO2 용접 모드(120), MAG 용접 모드(130), MIG 용접 모드(140)에 사용되는 용접 전류를 5A 단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용접 전류 조정부(122)와, 용접 전압을 1V 단위로 조정하는 용접 전압 조정부(124)가 구성되며, 이 용접 전류 조정부(122)와, 용접 전압 조정부(124)의 데이터를 업-다운시키는 용접 전류 조절버튼(122a) 및 용접 전압 조절버튼(122b)가 구성된다.4, a welding current of 250 A and a welding voltage of 28 V are basically used in the CO2 welding mode 120, the MAG welding mode 130 and the MIG welding mode 140, and the CO2 welding mode 120 A welding current adjusting unit 122 for adjusting the welding current used in the MAG welding mode 130 and the MIG welding mode 140 in units of 5 A and a welding voltage adjusting unit 124 for adjusting the welding voltage in units of 1 V, And the welding current adjusting unit 122 and the welding current adjusting button 122a and the welding voltage adjusting button 122b for up-down the data of the welding voltage adjusting unit 124 are constituted.

또한, CO2 용접 모드(120), MAG 용접 모드(130), MIG 용접 모드(140)의 크레이터의 사용 유무를 체크하는 크레이터 사용 유무 체크부(126)가 구성되며, 크레이터를 사용할 경우 크레이터 전류는 200A, 전압은 25V로 기본 설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전류는 5A단위, 전압은 1V 단위로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크레이터 전류 조절버튼(126a) 및 크레이터 전압 조절버튼(126b)이 구성된다. The crater use presence / absence checking unit 126 for checking the use of the craters in the CO2 welding mode 120, the MAG welding mode 130 and the MIG welding mode 140 is constituted. When the craters are used, the crater current is 200 A , The voltage is set to 25V, and the crater current control button 126a and the crater voltage control button 126b are configured to control the current in units of 5A and the voltage in units of 1V.

이와 같은 CO2 용접 모드(120), MAG 용접 모드(130), MIG 용접 모드(140)에서는 가스체크와 와이어 인칭 동작이 가능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e CO2 welding mode 120, the MAG welding mode 130, and the MIG welding mode 140, gas check and wire inching operations are preferably performed.

ARC 용접 모드(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전류만을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며, 200A의 전류에서 5A 단위로 조절하여 동작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5, the ARC welding mode 150 is configured such that only the welding current can be set, and the welding current mode can be adjusted by 5 A units at a current of 200 A.

즉, ARC 용접 모드(150)는 TIG 용접 모드(110)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용접 전류, 또는 현재 사용중에 있는 용접 전류를 텍스트 형식으로 표시하는 사용 전류 표시부(155)가 구성되며, 용접 전류를 5A 단위로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ARC 용접 전류 설정부(152)가 구성된다.That is, in the ARC welding mode 150, as in the TIG welding mode 110, a used current display unit 155 for displaying a welding current that is basically used or a welding current that is currently in use is displayed in a text format. The ARC welding current setting unit 152 is configured so that the welding current is adjusted in units of 5A.

아울러, ARC 용접 모드(150)의 용접 전류를 1A 단위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ARC 용접 전류 설정 버튼부(152a)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a separate ARC welding current setting button 152a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welding current of the ARC welding mode 150 in units of 1A.

이와 같이 구성된 설정 표시부(102)에는 TIG 용접 모드(110), CO2 용접 모드(120), MAG 용접 모드(130), MIG 용접 모드(140), ARC 용접 모드(150)의 설정이 모두 완료되면, 설정의 완료를 확인하고, 설정된 데이터를 제어보드(200)로 전송하기 위해 각 모드별 화면으로부터 이전화면, 또는 최초의 초기 화면으로 이동하는 종료 메뉴부(118, 128, 154)가 각 모드별로 구성된다. When the setting of the TIG welding mode 110, the CO2 welding mode 120, the MAG welding mode 130, the MIG welding mode 140 and the ARC welding mode 150 is completed, In order to confirm the completion of the setting and to transmit the set data to the control board 200, the end menu parts 118, 128, and 154 that move from the screen for each mode to the previous screen or the first initial screen are configured for each mode do.

아울러, 종료 메뉴부(118, 128, 154)를 선택하면, 설정된 데이터를 제어보드(200)로 전송할지 여부를 묻고, 전송을 원하면 설정 데이터를 제어보드(200)로 전송하여 다기능 용접기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송을 원하지 않으면, 기설정된 데이터의 재설정을 하거나, 또는 설정 표시 메뉴를 종료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If the user desires to transmit the set data to the control board 200 by selecting the end menu part 118, 128 or 154 and transmits the set data to the control board 200, If the transmission is not desired, it is configured to reset the preset data or to end the setting display menu.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100)는 설정 표시부(102)를 통해 다기능 용접기의 각 모드별 제어 뿐만 아니라, 용접시 발생하는 고주파 제어, 피드 모터 제어 및 가스 밸브의 제어가 모두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mobile terminal 10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ontrol not only the control of each mode of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through the setting display unit 102 but also the high-frequency control, the feed motor control, and the gas valve, desirable.

한편, 본 발명의 제어보드(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210), 용접기 세팅부(220), 신호 변환부(230), 구동시간 표시부(240), 펌웨어 업그레이드부(250), 모드 제어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6, the control board 2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 welder setting unit 220, a signal conversion unit 230, a drive time display unit 240, a firmware upgrade unit 250, a mode control unit 260, and a control unit 270.

무선 통신부(210)는 IEEE 802.11로 이루어진 무선랜, 와이파이(Wi-Fi)라고 부르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모바일 단말기(100)의 설정 표시부(102)와, 제어보드(200)에 구성된 제어부(270) 간의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a wireless LAN including IEEE 802.11 and is connected to the setting display unit 102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ontroller 270 configu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용접기 세팅부(220)는 설정 표시부(102)를 통해 설정된 데이터가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전송되면,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다기능 용접기의 구동에 필요한 세팅이 수행되는 것으로, 용접시간, 용접 전류 및 용접 전압을 세팅하는 구성요소이다.When the data set through the setting display unit 102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the welding machine setting unit 220 performs settings necessary for driving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70, The welding current and the welding voltage.

신호 변환부(230)는 다기능 용접기의 용접방식 선택시 전압 및 전류의 제어를 위하여 제어부(270)로부터 디지털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다기능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다기능 용접기의 전압, 전류를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The signal converting unit 230 receives a digital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270 to control the voltage and current when the welding method of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is selected, and converts the digital control signal into a multi-function analog signal, to be.

구동시간 표시부(240)는 다기능 용접기의 구동 시작시간, 구동 진행시간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작업 시간을 산출하는 것으로, 산출된 시간 데이터를 제어부(270)로 전송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drive time display unit 240 is a component that transmits the calculated time data to the control unit 270 by calculating the operation start time and the drive progress time of the multi-function welder in real time and calculating the operation time.

즉, 구동시간 표시부(240)는 작업자가 모바일 단말기(100)를 통해 다기능 용접기의 구동 시간을 미리 설정하면, 설정된 시간 데이터에 따라 다기능 용접기를 구동시키고,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자동으로 다기능 용접기로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That is, when the operator sets the driving time of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in advanc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the driving time display unit 240 drives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set time data, and when the set time is exceeded, And is configured to shut off the supplied voltage and current.

펌웨어 업그레이드부(250)는 후술할 제어부(270)에 탑재되는 펌웨어를 업그레이드 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모바일 단말기(100)에 구성된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설정 표시부(102)의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질 때, 이 업그레이드 버전 정보를 입력받아 제어부(270)에 구성된 펌웨어를 업그레이드 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firmware upgrade unit 250 is a component for upgrading the firmware installed in the control unit 270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upgrade of the setting display unit 102 such as the application configur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s performed, And is a component for upgrading the firmware configured in the controller 270.

즉, 본 발명은 설정 표시부(102)의 업그레이드가 진행이 이루어질 때, 설정 표시부(102)에서는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질 버전 정보를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펌웨어 업그레이트부(250)로 전송하여 제어부(270)에 구성되는 펌웨어의 업그레이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pgrade of the setting display unit 102 is progressed, the setting display unit 102 transmits the version information to be upgraded to the firmware updater 25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The firmware is automatically upgraded.

모드 제어부(260)는 모바일 단말기(100)를 통해 다기능 용접기의 용접모드를 선택할 때 다기능 용접기의 TIG, ARC, CO2, MAG 선택 스위치와 ON/OFF접점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다기능 용접기의 용접모드를 선택 및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mode control unit 260 controls the TIG, ARC, CO2, MAG selection switch and ON / OFF contact switch of the multi-function welder when the welding mode of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is select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So that the welding mode of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can be selected and changed.

제어부(270)는 다기능 용접기를 제어하기 위한 펌웨어를 탑재하여 무선 통신부(210)에서 수신된 정보를 용도에 맞도록 가공하여 다기능 용접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용접기 세팅부(220)를 통해 다기능 용접기의 세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세팅이 이루어진 상태를 피드백 받아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00)측으로 전송하는 구성요소이다.The control unit 270 includes a firmware for controlling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and controls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by proces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And transmits the setting status to the mobile terminal 100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0033] FIG.

이와 같은 제어부(270)는 다기능 용접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모드 제어부(260)와 연결이 이루어지는 I/O PORT 와 신호 변환부(230)와 연결되도록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DAC 와 연결될 인터페이스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order to control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the control unit 270 may include an I / O port for connecting with the mode control unit 260 and an interface to be connected to the DAC for converting a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to be connected to the signal converting unit 2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작업 환경이 크거나 열악한 용접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작업 용도에 맞게 용접기의 전압이나 전류 또는 가스, 크레이터를 제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비효율적인 에너지 및 작업시간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에너지 및 작업시간의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다기능 용접기에 IEEE802.11(WiFi)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한 제어보드를 장착하고 제어보드와 원거리에서 통신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애플리케이션이 구현된 시스템을 활용하여 용접작업 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여 좀 더 효율적으로 용접 작업이 가능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llows a worker to remotely control the voltage, current, gas, or crater of a welding machine by using a control mobile terminal in a welding work site where the work environment is large or poor, (WiFi) module in a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to reduce the energy and work time loss, and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mote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board It is an invention that can work more efficiently by reducing the unnecessary energy consumption and shortening the working time in the welding work by utilizing the system in which the application is implement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are to be construed in a manner generally known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t has the same meaning as understoo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모바일 단말기 102: 설정 표시부
110: TIG 용접 모드 120: CO2 용접 모드
130: MAG 용접 모드 140: MIG 용접 모드
150: ARC 용접 모드 160: HELP 모드부
200: 제어보드 210: 무선 통신부
220: 용접기 세팅부 230: 신호 변환부
240: 구동시간 표시부 250: 펌웨어 업그레이드부
260: 모드 제어부 270: 제어부
100: mobile terminal 102: setting display unit
110: TIG welding mode 120: CO2 welding mode
130: MAG welding mode 140: MIG welding mode
150: ARC welding mode 160: HELP mode part
200: control board 2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welding machine setting unit 230: signal converting unit
240: drive time display unit 250: firmware upgrade unit
260: mode control unit 270:

Claims (11)

TIG 용접, CO2 용접, MAG 용접, MIG 용접 및 ARC 용접이 가능한 다기능 용접기의 현재 상태 정보를 체크하고, 상기 다기능 용접기의 모드별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설정 표시부가 구성되며,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설정 표시부와 무선 통신에 의해 설정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설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다기능 용접기의 각 모드별로 용접시간, 용접 전류 및 용접 전압을 세팅하는 용접기 세팅부와,
상기 다기능 용접기의 전압 및 전류의 제어를 위하여 디지털 제어신호를 다기능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다기능 용접기의 용접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기능 용접기의 모드별 선택 스위치와 접점 스위치를 제어하는 모드 제어부와,
상기 다기능 용접기를 제어하기 위한 펌웨어를 탑재되며, 무선 통신부에서 수신된 정보를 용도에 맞도록 가공하여 다기능 용접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보드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comprising a setting display unit for checking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a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capable of TIG welding, CO2 welding, MAG welding, MIG welding and ARC welding, and inputting setting data for each mode of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tting data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tting display unit;
A welder setting unit for setting a welding time, a welding current and a welding voltage for each mode of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setting data;
A signal converter for converting a digital control signal into a multi-function analog signal for controlling voltage and current of the multi-function welder,
A mod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mode selection switch and a contact switch of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so that the welding mode of the multi-function welding device can be select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 control board mounted with firmware for controlling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by proces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표시부는
TIG 용접 모드를 활성화하고, TIG 용접을 위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TIG 용접 모드;
CO2 용접 모드, MAG 용접 모드 및 MIG 용접 모드를 활성화하고, CO2 용접, MAG 용접 및 MIG 용접을 위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CO2, MAG 및 MIG 용접 모드;
ARC 용접 모드를 활성화하고, ARC 용접을 위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ARC 용접 모드; 및
상기 각 모드별 사용법이 표시되며, 사용 중 오류가 발생하면, 이 오류에 대한 대처법이 표시되는 HELP 모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tting display unit
A TIG welding mode for activating the TIG welding mode and inputting setting data for TIG welding;
CO2, MAG and MIG welding modes for activating CO2 welding mode, MAG welding mode and MIG welding mode, and entering setting data for CO2 welding, MAG welding and MIG welding;
An ARC welding mode for activating the ARC welding mode and inputting setting data for ARC welding; And
A usage method for each mode is displayed, and if an error occurs during use, a HELP mode part
And a remot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표시부는 각 모드별 설정 버튼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들의 순환 중복검사(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수행한 후, 상기 제어보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tting display unit performs a CRC-Cyclic Redundancy Check (CRC-Cyclic Redundancy Check) of the data set by the setting button for each mode, and then transmits the data to the control boar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TIG 용접 모드는
사용되고 있는 용접 전류, 또는 현재 사용중에 있는 용접 전류를 텍스트 형식으로 표시하는 사용 전류 표시부;
상기 용접 전류를 5A 단위로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TIG 용접 전류 설정부;
초기 전류의 사용 유무를 체크하는 TIG 초기 전류 체크부; 및
TIG 크레이터의 사용 유무를 체크하는 TIG 크레이터 체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IG welding mode
A used curren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welding current being used or the welding current which is currently in use in a text format;
A TIG welding current setting unit for adjusting the welding current in units of 5A;
A TIG initial current check unit for checking whether or not an initial current is used; And
A TIG crater check unit for checking whether or not the TIG crater is used
And a remot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O2 용접 모드, MAG 용접 모드 및 MIG 용접 모드는
250A의 용접 전류를 사용하며, 상기 용접 전류를 5A 단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용접 전류 조정부;
28V의 용접 전압을 사용하며, 상기 용접 전압을 1V 단위로 조정하는 용접 전압 조정부; 및
상기 CO2 용접 모드, MAG 용접 모드 및 MIG 용접 모드의 크레이터의 사용 유무를 체크하는 크레이터 사용 유무 체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2 welding mode, the MAG welding mode, and the MIG welding mode
A welding current adjusting unit using a welding current of 250 A and adjusting the welding current in units of 5 A;
A welding voltage regulator using a welding voltage of 28V and adjusting the welding voltage in units of 1V; And
A crater use presence / absence checking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craters are used in the CO2 welding mode, the MAG welding mode, and the MIG welding mode
And a remot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 unit.
제 2 항에 있어서,
ARC 용접 모드는 용접 전류만을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며, 200A의 전류에서 5A 단위로 조절하는 ARC 용접 전류 설정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RC welding mode is configured so that only the welding current can be set, and the ARC welding current setting unit is controlled in 5A units at a current of 200A.
제 3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TIG 용접 모드, CO2 용접 모드, MAG 용접 모드, MIG 용접 모드 및 ARC 용접 모드에는 설정 데이터 입력의 완료를 확인하고, 설정된 데이터를 제어보드로 전송하기 위해 각 모드별 화면으로부터 이전화면, 또는 최초의 초기 화면으로 이동하는 종료 메뉴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In the TIG welding mode, the CO2 welding mode, the MAG welding mode, the MIG welding mode, and the ARC welding mode, the completion of the setting data input is confirmed and the previous screen or the first And an end menu portion for moving to an initial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IEEE 802.11로 이루어진 무선랜, 또는 와이파이(Wi-Fi)를 포함하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mprises a wireless LAN including IEEE 802.11 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including a Wi-Fi (Wi-Fi).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보드는
상기 다기능 용접기의 구동 시작시간, 구동 진행시간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작업 시간을 산출하는 구동시간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에 탑재되는 펌웨어를 업그레이드 시키는 펌웨어 업그레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board
A driving time display unit for checking the driving start time and the driving progress time of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in real time and calculating the working time,
Further comprising a firmware upgrading unit for upgrading the firmware installed in the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용접기 세팅부를 통해 다기능 용접기의 세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세팅이 이루어진 상태를 피드백 받아 무선 통신부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sets the multifunction welding machine through the welding machine setting unit and transmits the setting status to the mobile terminal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기능 용접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모드 제어부와 연결이 이루어지는 I/O PORT 와 신호 변환부와 연결되도록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DAC 와 연결될 인터페이스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기능 용접기 원격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an I / O port for connecting the mode controller to the multi-function welder and an interface connected to the DAC for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into analog to be connected to the signal converter. Welder remote control system.
KR1020140007777A 2014-01-22 2014-01-22 Multifunctional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KR1016003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777A KR101600343B1 (en) 2014-01-22 2014-01-22 Multifunctional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777A KR101600343B1 (en) 2014-01-22 2014-01-22 Multifunctional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609A true KR20150087609A (en) 2015-07-30
KR101600343B1 KR101600343B1 (en) 2016-03-07

Family

ID=53876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777A KR101600343B1 (en) 2014-01-22 2014-01-22 Multifunctional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34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004A (en) * 2020-02-11 2021-08-19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Server for interacting with digial welding machine including network card for welding mach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801A (en) * 2005-10-17 2008-09-19 슈나이더 오토메이션 인코포레이티드 Improved phase reference generator with driving point voltage estimator for resistance welding
KR20100069914A (en) * 2008-12-17 2010-06-2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welding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KR101320096B1 (en) 2013-05-23 2013-10-29 고종철 Hybrid weld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801A (en) * 2005-10-17 2008-09-19 슈나이더 오토메이션 인코포레이티드 Improved phase reference generator with driving point voltage estimator for resistance welding
KR20100069914A (en) * 2008-12-17 2010-06-2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welding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KR101320096B1 (en) 2013-05-23 2013-10-29 고종철 Hybrid weld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004A (en) * 2020-02-11 2021-08-19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Server for interacting with digial welding machine including network card for welding machine
KR20210102005A (en) * 2020-02-11 2021-08-19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Wedling machin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network card for welding machine, digial welding machine, ser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0343B1 (en) 201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17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of a welder
CN102239025B (en) Welding parameter interface
EP20817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of a welder
MX2015000331A (en) Welding systems and devices having a configurable personal computer user interface.
EP3120964A1 (en) Wireless and powerline communications in a welding-type system
US11061379B2 (en) Main controller for telematics integration functioning concurrently as a telematics client node and a telematics host node
JP4697116B2 (en) Automatic machine system
CN1074866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welding parameter
US20160311046A1 (en) Wireless control of a welding machine
KR101600343B1 (en) Multifunctional welding machin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US20140076873A1 (en) Control system for welder
JP2014213326A (en) Remote control unit for welding machine and welding device using the same
JP6453007B2 (en) Portable operating device and work machine control system
US20200198042A1 (en) Welding torch and welding system
JP6117037B2 (en) Welding equipment
KR101439214B1 (en) Personal portable controll device having wide usefulness
KR102109176B1 (en) System of the portable welding robot combined with controller
US2022013446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upport of low-power operation in training modes in welding machines
US20210346973A1 (en) Wireless welding-type power supply management
EP3484649B1 (en) Wearable technology for interfacing with welding equipment and monitoring equipment using wireless technologies
KR20140028240A (en) Welding robot system
KR20100010666A (en) Universal wireless remote controller using digital resistor for welder, welder for wireless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of wireless remote controller and welder
CN112692405A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welding schedule control
EP30930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elding operations
JP4400714B2 (en) Wel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