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467A -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7467A
KR20150087467A KR1020140007047A KR20140007047A KR20150087467A KR 20150087467 A KR20150087467 A KR 20150087467A KR 1020140007047 A KR1020140007047 A KR 1020140007047A KR 20140007047 A KR20140007047 A KR 20140007047A KR 20150087467 A KR20150087467 A KR 20150087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et
sensor
board
sensor board
incl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진
우종열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힐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힐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7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7467A/ko
Publication of KR20150087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4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경사계 센서(11)를 포함하는 경사계 센서 보드(10), 무선 원격 계측장치(RTU: Remote Terminal Unit)(20U), 그리고 안전관리 프로그램(30)을 탑재한 클라이언트(30a), 안전관리 서버(40), 데이터베이스(50) 및 인터넷(60)을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경사계 센서(11)로 3D-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기반의 경사도 센서 칩(10a)을 사용하며, RTU(20U)는 3D-MEMS 기반의 경사도 센서 칩(10a)을 사용한 경사계 센서 보드(10)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한 계측 데이터를 원거리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안전관리 서버(40)로 보내어 계측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하도록 하며, 클라이언트(30a)는 원격관리 프로그램(30)을 통해 저장된 계측 데이터는 인터넷(60)이 연결된 곳에서 원격관리 프로그램(30)을 통해 계측현황을 조회 및 관리하며, 설정을 통해 경보 발생시 자동적으로 관리자의 모바일폰 또는 노트북으로 SMS 문자 정보가 전달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에 의해, 구조물의 경사도 측정을 위한 계측센서로서 3D-MEMS 기반의 경사도 센서 칩을 사용하고, 무선 원격 계측장치에 경사도 센서 칩이 연동되어 내진보강구조물의 각 측정 노드별 경사도 정보가 분산되어 입력 및 저장되는 구성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내진보강구조물의 안정성을 판단하기 위한 경사도 정보의 입력, 저장, 전송, 처리 프로세스 상에서 정보량이 과도하게 집적되는 것이 방지되어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내진보강구조물의 상태 판단 및 내진보강구조물의 상태에 따른 대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진보강구조물 안정성 판단과 제어신호의 산출 및 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구조물에 위한 위험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RTU의 사용으로 구성이 단순화되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동시에 가지게 된다. 이와 더불어, 경사도 센서를 사용한 측정시간이 동기화됨에 따라, 내진보강구조물에 대한 경사도 측정, 곡률 측정, 처짐량 측정 등이 정확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Safety administration system of a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with real-time and remote mode using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3D-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기반의 경사도 센서 칩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무선 원격 안전관리를 위한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 교량, 교각, 축대, 터널, 댐, 공항, LNG Tank, 항만구조물과 같은 일정 규모 이상의 구조물은 상시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외력을 받을 뿐만 아니라, 태풍, 지진, 폭발 등에 의해 순간적으로 강한 크기의 외력을 받을 수 있게 되는데, 이에 따라, 구조물은 정위치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되거나, 처짐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조물을 내진보강구조물로 형성하여 구조물이 경사지거나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내진보강구조물에 대해서도 경사지거나 처지게 되는 경우, 구조물이 손상되거나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일정 규모 이상의 내진보강구조물에 대한 경사도, 곡률, 처짐량 정보 등을 측정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경사도 계측에 의한 구조물 안정성 감시시스템이 각종 구조물에 구축되는 경우가 많은데, 종래의 경사도 계측에 의한 구조물 안정성 감시시스템은 구조물에 다수개의 계측센서를 각 측정 노드(node) 별로 설치한 후, 관리자가 별도의 분석기기를 휴대하면서 각 측정 노드에 설치된 계측센서로부터 구조물의 경사도 정보를 입력받아 직접 감시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기술과 같이 관리자에 의해 직접 감시시스템의 경우, 감시작업에 번거로움이 많고, 구조물에 대한 감시가 안정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신속한 감시와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여 구조물의 경사도 정보가 자동으로 계측되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0366397호 "교량 상태진단을 위한 자동계측시스템", 등록번호 제10-0708781호 "토목구조물 및 지중 변위 측정장치", 등록번호 제10-0784985호 "구조물 경사측정용 센서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거동모니터링 시스템" 등으로 안출되어 있다.
안출된 경사도 계측에 의한 구조물 안정성 감시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구조물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계측센서와, 계측센서와 연동되어 구조물의 경사도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게 되는 데이터 로그와, 데이터 로그와 연동되어 구조물의 경사도 정보를 전송하게 되는 통신모듈 및, 통신모듈로부터 구조물의 경사도 정보를 전송받아 구조물의 안정성을 판단하고 구조물의 안정성에 따라 제어신호를 산출하여 관리자에게 전달하게 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경사도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안정성 감시시스템에서는 계측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데이터 로그에 구조물의 경사도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구조물의 안정성을 판단하는데 요구되는 정보 이상의 정보량이 집적되어 데이터 로그와 통신모듈 및 제어장치로 유입되었다. 이로써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입력 프로세스, 저장 프로세스, 전송 프로세스, 처리 프로세스상에서 구조물의 경사도 정보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시스템의 안정성이 낮아지고, 정보 처리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사도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안정성 감시시스템에서는 시스템에 설치되는 계측센서 각각에 대응하여 데이터로거와 통신모듈이 설치되어야 함에 따라 계측센서와 동일한 개수의 데이터로거와 통신모듈이 요구되어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도 동시에 안고 있었다.
한편, 구조물의 전체영역에 걸친 경사도 정보를 측정하거나, 구조물의 처짐량이나 곡률을 측정하여 구조물의 변형량을 확인할 경우, 정확하고 정밀한 측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구조물의 각 측정 노드에 설치된 계측센서가 정해진 시각에 동시에 구조물의 경사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조물의 안정성 감시시스템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시간을 동기화시켜야 하므로, 종래 구조물의 안정성 감시시스템에 시간을 동기화하는 기술을 적용할 필요가 있었다.
[관련기술문헌]
전기식 센서를 사용한 경사도 계측에 의한 원격관리용 구조물 안정성 감시 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of structure) (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06422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물의 경사도 측정을 위한 계측센서로서 3D-MEMS 기반의 경사도 센서 칩을 사용하고, 무선 원격 계측장치에 경사도 센서 칩이 연동되어 내진보강구조물의 각 측정 노드별 경사도 정보가 분산되어 입력 및 저장되는 구성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내진보강구조물의 안정성을 판단하기 위한 경사도 정보의 입력, 저장, 전송, 처리 프로세스 상에서 정보량이 과도하게 집적되는 것이 방지되어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내진보강구조물의 상태 판단 및 내진보강구조물의 상태에 따른 대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은, 경사계 센서(11)를 포함하는 경사계 센서 보드(10), 무선 원격 계측장치(RTU: Remote Terminal Unit)(20U), 그리고 안전관리 프로그램(30)을 탑재한 클라이언트(30a), 안전관리 서버(40), 데이터베이스(50) 및 인터넷(60)을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경사계 센서(11)로 3D-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기반의 경사도 센서 칩(10a)을 사용하며, RTU(20U)는 3D-MEMS 기반의 경사도 센서 칩(10a)을 사용한 경사계 센서 보드(10)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한 계측 데이터를 원거리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안전관리 서버(40)로 보내어 계측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하도록 하며, 클라이언트(30a)는 원격관리 프로그램(30)을 통해 저장된 계측 데이터는 인터넷(60)이 연결된 곳에서 원격관리 프로그램(30)을 통해 계측현황을 조회 및 관리하며, 설정을 통해 경보 발생시 자동적으로 관리자의 모바일폰 또는 노트북으로 SMS 문자 정보가 전달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경사계 센서 보드(10)는, RS485통신부(14) 내장형 센서 보드로 제공되며, 멀티-경사계 센서 보드로 구성시 마스터(Master) 경사계 센서 보드(10m), 그리고 마스터(Master) 경사계 센서 보드(10m)와 가장 거리가 먼 거리의 슬레이브 노드 경사계 센서 보드(10SN, N은 2 이상의 자연수)에 120 Ohm 터미네이션(Termination) 저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RTU(20U)의 RTU 보드(20)는, 직류(DC) 12V 전원부(24)를 이용해 경사계 센서 보드(10)에 직류(DC) 7.5 내지 12V전원을 인가하여, 경사계 센서 보드(10)의 경사계 센서(11)에 의한 계측한 경사 값을 DC/DC 컨버터(15)를 통해 직류(DC) 0 내지 5V로 출력시 반환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경사계 센서 보드(10)의 A/D 컨버터(12)는 출력된 센서 값을 디지털 값(0 내지 65535)으로 변환한 뒤, MPU(13)의 제어에 따라 변환된 디지털 값을 RS485통신부(14)에 의해 순차적으로 RTU 보드(2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은, 구조물의 경사도 측정을 위한 계측센서로서 3D-MEMS 기반의 경사도 센서 칩을 사용하고, 무선 원격 계측장치에 경사도 센서 칩이 연동되어 내진보강구조물의 각 측정 노드별 경사도 정보가 분산되어 입력 및 저장되는 구성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내진보강구조물의 안정성을 판단하기 위한 경사도 정보의 입력, 저장, 전송, 처리 프로세스 상에서 정보량이 과도하게 집적되는 것이 방지되어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내진보강구조물의 상태 판단 및 내진보강구조물의 상태에 따른 대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진보강구조물 안정성 판단과 제어신호의 산출 및 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구조물에 위한 위험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RTU의 사용으로 구성이 단순화되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동시에 가지게 된다.
이와 더불어, 경사도 센서를 사용한 측정시간이 동기화됨에 따라, 내진보강구조물에 대한 경사도 측정, 곡률 측정, 처짐량 측정 등이 정확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경사계 센서(1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경사계 센서(11)에 대한 기능 블록 다이어그램(Function block diagram)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RS485통신기반의 통신망의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에서의 RTU 보드(20)와 경사계 센서 보드(10)에 대한 블록 다이어그램(Block diagram)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에서의 RTU(20U)와 멀티-경사계 센서 보드(10) 간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화한 참조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은 경사계 센서(11)를 포함하는 경사계 센서 보드(10), 무선 원격 계측장치(RTU: Remote Terminal Unit)(20U), 그리고 안전관리 프로그램(30)을 탑재한 클라이언트(30a), 안전관리 서버(40), 데이터베이스(50) 및 인터넷(60)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경사계 센서(1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경사계 센서(11)에 대한 기능 블록 다이어그램(Function block diagram)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경사계 센서(11)는 3D-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기반의 경사도 센서 칩(10a)(도 1 참조)을 구비한다.
무선 원격 계측 장치(20U)는 3D-MEMS 기반의 경사도 센서 칩(10a)을 사용한 경사계 센서 보드(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한 데이터를 원거리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안전관리 서버(40)로 보내는 기능을 담당한다.
안전관리 서버(40)는 받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한다. 클라이언트(30a)는 원격관리 프로그램(30)을 통해 안전관리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탑재한다.
한편,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시, 내진보강구조물에 경사계 센서(11)를 설치하고, 경사계 센서(11)를 무선 원격 계측장치(20U)에 연결하고, 안전관리 프로그램(30)을 클라이언트(30a)에 설치한 뒤, 실시간 안전관리를 수행함으로써, 내진보강구조물의 경사도를 측정하여 실시간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은 3D-MEMS 기반의 경사도 센서 칩(10a)을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는 반도체 공정 기술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단위의 기계적 구조물과 전자회로를 집적한 시스템이다. 주로 실리콘을 기판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신호처리 회로와 MEMS 소자를 같은 칩에서 제작 할 수 있어 잡음이 적고, 크기가 작아 주위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센서 제작에 용이하며 일괄 공정으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발소자 가격이 저렴한 장점을 가진다.
MEMS 기술은 반도체 기술과 비슷하지만 3D 미세 구조물 제작공정과 응용 시스템마다 독특한 설계 및 제조 기술이 있어 표준화가 어려우므로 각종 어플리케이션 분야(Sensor, RF, Bio)에 다양한 종류의 다품종 소량생산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3D-MEMS 기반의 경사도 센서(11)의 기능 블록 다이어그램(Function block diagram)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경사도 센서(11)에 사용되는 3D-MEMS 기반의 경사도 센서 칩(10a)은 나노 경사계 센서로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측정범위(Measuring ranges)는 ±15°이며, 해상도(Resolution)는 0.0012°(10 Hz BW, analog output)이며, 트랜스듀스 타입은 MEMS(Micro-electrotechnics systems) 타입이며, 감쇠 주파수 응답속도는 -3dB(18Hz), 충격 내구성은 20,000g이며, 외외부 온도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우수한 안정성을 갖고, 차등 측정원리를 사용하여 측정 오류 및 노이즈 감소가 가능하며, 작동 전원(Power)으로 직류(DC) 12V를 사용한다.
한편 경사계 센서 보드(10)는 RS485통신부(14)(도 4 참조) 내장형 센서 보드로 제공된다. RS485는 전미전자산업협회(EIA)에 의해 표준화된 시리얼통신 규격의 하나로, RS-422의 상위 호환이며, RS-232C가 일대일 접속 통신규격, RS-422가 일대다의 멀티드롭 접속에 대응하는 것에 비해, RS-485는 버스형의 멀티 포인트 접속에 대응하고 있으며, 최대 32대까지 다대다 접속이 가능하다. 또한 RS485 방식은 통신 최대길이가 방해물이 없는 경우 1.2 km에 해당하며, 통신 속도는 최대 10Mbps에 해당한다.
RS485통신은 2선식 반이중 다중점 직렬연결에 대한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의 물리 계층 명세로, EIA-485 표준은 차분 신호로 정의되는데, 두 선 사이의 전압차로 데이터를 표현한다. 전압의 한쪽이 “1”레벨이면, 다른 한쪽은 “0”레벨을 나타낸다. 올바른 신호로 인식하려면 적어도 전압의 차이가 0.2V 이상 되어야 한다. 수신측은 +12V 으로부터 -7V까지의 전압이면 올바른 것으로 인식하도록 되어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RS485통신기반의 통신망의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RS485통신은 멀티-드롭(Multi-drop)이라 동작 환경상 송ㆍ수신을 동시에 할 수 없고 보통은 하나의 마스터(Master) 노드-경사계 센서 보드(10m)와 여러 개의 병렬로 연결된 슬레이브(Slave) 노드 센서보드(10S1 내지 10SN) 중 특정 슬레이브(Slave)를 호출하면 해당 슬레이브(Slave)가 응답을 하는 형태로 통신망을 구성하여야 한다.
여기서 RS485통신의 통신선은 보통 트위스트 페이선(Twisted Pair)를 사용하고 통신선의 임피던스는 약 120Ohm 부근이기 때문에 전송선로가 길어 질 때는 마스터(Master) 경사계 센서 보드(10m)와 가장 거리가 먼 거리의 슬레이브 노드 경사계 센서 보드(10SN)에 120 Ohm 터미네이션(Termination) 저항을 달아주어야 한다.
각각의 경사계 센서 보드(10)에 고유번호를 설정하고 RS485통신 케이블로 순차적으로 연결한 뒤 마지막 경사계 센서 보드(10)에 저항을 달아준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연결된 통신 케이블을 무선 원격 계측장치(RTU) 보드(20)에 연결하고 작동상태를 확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에서의 RTU 보드(20)와 경사계 센서 보드(10)에 대한 블록 다이어그램(Block diagram)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에서의 RTU(20U)와 멀티-경사계 센서 보드(10) 간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화한 참조 도면이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RTU 보드(20)는 직류(DC) 12V 전원부(24)를 이용해 경사계 센서 보드(10)에 직류(DC) 7.5 내지 12V전원을 인가하면 경사계 센서 보드(10)의 경사계 센서(11)는 DC/DC 컨버터(15)에 의해 현재 계측한 경사 값을 직류(DC) 0 내지 5V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A/D 컨버터(12)는 출력된 센서 값을 디지털 값(0 내지 65535)으로 변환한 뒤, MPU(13)의 제어에 따라 변환된 디지털 값을 RS485통신부(14)에 의해 순차적으로 RTU 보드(20)로 전달한다.
RTU 보드(20)는 전달받은 디지털 값인 센서 값을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하고 각각의 센서 값을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뎀(21)을 통해 인터넷(60)과 연결된 안전관리 서버(40)로 데이터인 센서 값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안전관리 서버(40)는 RTU(20U)에서 전송된 계측 데이터인 센서 값을 원격지 서버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클라이언트(30a)는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된 계측 데이터를 인터넷(60)이 연결된 곳은 어디서나 원격관리 프로그램(30)을 통해 계측현황을 조회 및 관리할 수 있으며, 경보 발생시 자동적으로 관리자의 모바일폰 또는 노트북으로 SMS 문자 정보가 전달될 수 있도록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도 7 참조).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경사계 센서 보드
11: 경사계 센서
12: A/D 컨버터
13: MPU
14: RS485통신부
15: DC/DC 컨버터
20U: 무선 원격 계측장치(RTU: Remote Terminal Unit)
20: RTU 보드
21: WCDMA 모뎀
22: MPU
23: RS485통신부
24: DC 12V 전원부
30: 안전관리 프로그램
30a: 클라이언트
40: 안전관리 서버
50: 데이터베이스
60: 인터넷

Claims (4)

  1. 경사계 센서(11)를 포함하는 경사계 센서 보드(10), 무선 원격 계측장치(RTU: Remote Terminal Unit)(20U), 그리고 안전관리 프로그램(30)을 탑재한 클라이언트(30a), 안전관리 서버(40), 데이터베이스(50) 및 인터넷(60)을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경사계 센서(11)로 3D-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기반의 경사도 센서 칩(10a)을 사용하며,
    RTU(20U)는 3D-MEMS 기반의 경사도 센서 칩(10a)을 사용한 경사계 센서 보드(10)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한 계측 데이터를 원거리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안전관리 서버(40)로 보내어 계측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하도록 하며,
    클라이언트(30a)는 원격관리 프로그램(30)을 통해 저장된 계측 데이터는 인터넷(60)이 연결된 곳에서 원격관리 프로그램(30)을 통해 계측현황을 조회 및 관리하며, 설정을 통해 경보 발생시 자동적으로 관리자의 모바일폰 또는 노트북으로 SMS 문자 정보가 전달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경사계 센서 보드(10)는,
    RS485통신부(14) 내장형 센서 보드로 제공되며,
    멀티-경사계 센서 보드로 구성시 마스터(Master) 경사계 센서 보드(10m), 그리고 마스터(Master) 경사계 센서 보드(10m)와 가장 거리가 먼 거리의 슬레이브 노드 경사계 센서 보드(10SN)에 120 Ohm 터미네이션(Termination) 저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RTU(20U)의 RTU 보드(20)는,
    직류(DC) 12V 전원부(24)를 이용해 경사계 센서 보드(10)에 직류(DC) 7.5 내지 12V전원을 인가하여, 경사계 센서 보드(10)의 경사계 센서(11)에 의한 계측한 경사 값을 DC/DC 컨버터(15)를 통해 직류(DC) 0 내지 5V로 출력시 반환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경사계 센서 보드(10)의 A/D 컨버터(12)는 출력된 센서 값을 디지털 값(0 내지 65535)으로 변환한 뒤, MPU(13)의 제어에 따라 변환된 디지털 값을 RS485통신부(14)에 의해 순차적으로 RTU 보드(2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140007047A 2014-01-21 2014-01-21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 KR201500874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047A KR20150087467A (ko) 2014-01-21 2014-01-21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047A KR20150087467A (ko) 2014-01-21 2014-01-21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467A true KR20150087467A (ko) 2015-07-30

Family

ID=53876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047A KR20150087467A (ko) 2014-01-21 2014-01-21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746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560A (ko) * 2016-12-29 2018-07-09 전진용 수압측정 겸용 경사계
KR102063471B1 (ko) 2018-11-29 2020-01-08 (주)대동계측 구조물용 경사도 계측 장치
KR102123816B1 (ko) 2019-04-10 2020-06-17 (주)대동계측 지진 및 위험지역 구조물을 위한 스마트 재난방지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560A (ko) * 2016-12-29 2018-07-09 전진용 수압측정 겸용 경사계
KR102063471B1 (ko) 2018-11-29 2020-01-08 (주)대동계측 구조물용 경사도 계측 장치
KR102123816B1 (ko) 2019-04-10 2020-06-17 (주)대동계측 지진 및 위험지역 구조물을 위한 스마트 재난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5772B2 (en) Graphical clinometer display system and method
KR102269192B1 (ko) 지하공동구 고장 예방 방법 및 장치
CN101532839B (zh) 基于惯性技术的非开挖随钻测量系统
KR101139881B1 (ko) 전기식 센서를 사용한 경사도 계측에 의한 원격관리용 구조물 안정성 감시 시스템
CN1607479A (zh) 双线现场安装的过程装置
KR20150087467A (ko) 인터넷을 이용한 내진보강구조물의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
CA3057082A1 (en) Devices and a new method for monitoring multiple geological parameters outside borehole in sliding mass
US10041967B2 (en) Method and system for ultrasonic airflow measurements
KR101932892B1 (ko) 다중 리크 및 화재 감지 장치
Andonov et al. Calibration for industry 4.0 metrology: touchless calibration
KR101847020B1 (ko) 선박 사물 인터넷 기반의 통합 서비스 시스템
CN106249707A (zh) 信息收集系统、信息收集终端装置、信息收集服务器装置以及信息收集方法
Lo Iacono et al. Structural monitoring of “Himera” viaduct by low-cost MEMS sensors: characterization and preliminary results
US95007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lf-locating wireless sensors
KR20140024129A (ko) 3차원 분포형 지하 온도 측정 시스템
Richards et al. Cloud-Based Solution for Permanent Fiber-Optic DAS Flow Monitoring
US20070124111A1 (en) Diagnostic system for a modular fieldbus boad
CA2920324C (en) Method and system for ultrasonic airflow measurements
US10861322B2 (en) System and device for monitoring parameters
KR101100236B1 (ko)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CN207499003U (zh) 一种地铁基坑在线健康监测装置
Sindhanaiselvi et al. Implementation of building stability analyzer with earthquake detection using simple MEMS pressure sensor
CN110967063A (zh) 建筑物结构安全的侦测系统及方法
WO2012049675A2 (en) Intrusion detection system
CN104181855A (zh) 船用柴油机主轴承温度监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