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080A - 나선 계단 - Google Patents
나선 계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87080A KR20150087080A KR1020140083222A KR20140083222A KR20150087080A KR 20150087080 A KR20150087080 A KR 20150087080A KR 1020140083222 A KR1020140083222 A KR 1020140083222A KR 20140083222 A KR20140083222 A KR 20140083222A KR 20150087080 A KR20150087080 A KR 201500870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lt
- spiral
- plate
- side plate
- foot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04F11/032—Spiral stairways supported by a central colum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 발판(계단 디딤판ㆍstair tread)의 양측 하면에 형성된 볼트수용홈이 양 사이드의 나선 측판(계단보ㆍhelical type stair stringer)의 내측에 설치한 볼트에 끼워 받쳐진 채 체결 고정되는 나선 계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계단 발판(계단 디딤판ㆍstair tread)의 양측 하면에 형성된 볼트수용홈이 양 사이드의 나선 측판(계단보ㆍhelical type stair stringer)의 내측에 설치한 볼트에 끼워 받쳐진 채 체결 고정되는 나선 계단에 관한 것이다.
계단은 크게 직선 계단과 곡선 계단으로 나뉜다.
직선 계단은 측판이 직선 형태로서 사다리 형태의 계단을 말한다.
곡선 계단은 크게 스파이럴(spiral) 계단과 나선(helical) 계단으로 나뉜다.
종래의 스파이럴 계단으로서, 예컨대 특허문헌 1(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01146호)에 공지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스파이럴 계단(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폴(4)을 따라 나선 측판(3)이 감긴 것으로서, 나선 측판(3)은 아웃 사이드에만 있는 계단이다.
발판(2)의 일단은 폴(4), 발판(2)의 타단은 아웃 사이드의 나선 측판(3)의 내측에 고정되어 진다.
아웃 사이드의 나선 측판(3)은 바깥면에서 스크루를 체결하여 발판을 고정 지지하는 구조이다.
이것은 아웃 사이드의 나선 측판(3)의 내측에 발판(2)의 외측을 끼운 후 바깥면에서 안쪽으로 스크루를 체결하면 고정되기 때문에 매우 간편하다.
그러나, 단순히 스크루만으로 발판(2)을 아웃 사이드의 나선 측판(3)에 지지시키기 때문에 스크루가 큰 전단력을 받아 끊어지는 경우 발판(2)이 떨어져 나가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또한, 바깥면에서 안쪽으로 스크루를 체결하기 때문에, 아웃 사이드의 나선 측판(3)의 바깥면은 반드시 마감처리를 해야한다.
물론, 아웃 사이드의 나선 측판(3)에는 스크루를 체결하기 위하여 관통공을 드릴 등으로 뚫어두어야 한다.
마감처리는 관통공을 메우거나 아웃사이드의 나선 측판과 같은 사이즈의 판재를 접착제로 붙인다.
이러한 마감처리는 인력이나 시간적인 측면에서 많이 들어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경제성이 매우 낮다.
한편, 종래의 나선 계단으로는, 예컨대 특허문헌 2(한국등록특허 제10-1240404호)에 공지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나선 계단(1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폴이 없이 양 사이드의 나선 측판(20)(30)이 나선상으로 감긴 것으로서, 인사이드의 나선 측판(20)과 아웃사이드의 나선 측판(30) 사이에는 발판(50)이 고정된다.
즉,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판(50)의 양측에는 끼움돌기(51)(5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끼움돌기(51)(53)에는 스크루가 체결될 체결홈(52)(54)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형성되어 있다.
발판(50)은 도 3과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인사이드의 측면에서 아웃사이드의 측면으로 갈수록 그 길이가 길어지면서 굽어진 곡선 발판으로 되어 있다.
나선 측판(20)(30)의 내측에는 끼움돌기(51)(53)가 끼워지는 끼움홈(21)(31)이 형성되어 있다.
끼움홈(21)(31)에는 스크루(40)가 삽입 통과하는 관통공(22)(3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양 사이드의 나선 측판(20)(30) 사이에 발판(50)을 끼워 끼움돌기(51)(53)에 끼움홈(21)(31)을 끼워 고정 지지한다.
물론, 양 사이드의 나선 측판(20)(30)이 비틀림을 받고 있기 때문에 서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6과 같이 나선 측판(20)(30)의 관통공(21)(31)을 통해 바깥면에 스크루(40)를 넣고 체결홈(52)(54)에 받아 나선 발판(50)을 나선 측판(20)(30)에 대해 더 고정 지지시킨다.
따라서, 끼움돌기(51)(53)와 끼움홈(21)(31)은 스크루(40)의 전단력을 최소화시키면 비틀림을 방지하여 안정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끼움돌기(51)(53)와 끼움홈(21)(31)으로 조립하고, 바깥면에서 안쪽으로 스크루(40)를 체결 고정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먼저, 발판(50)을 양 사이드의 나선 측판(20)(30) 사이에 끼우기 위해서는 끼움돌기(51)(53) 만큼 나선 측판(20)(30)을 벌려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발판(50)이 끼워진 상태에서 다른 발판(50)을 끼워 고정할 때 나선 측판(20)(30)을 벌려도 이미 끼워진 발판이 빠지지 않게 클램핑 등의 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나선 측판(20)(30)을 벌려가며 발판(50)들을 끼워 넣어야 하기 때문에 이미 끼워진 발판(50)이 빠지지 않게 잡아줘야 한다.
또한, 바깥면에서 안쪽으로 스크루(40)를 체결하기 때문에, 나선 측판(20)(30)의 관통공(21)(31)의 바깥면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반드시 마감처리를 해야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나선 계단(10)의 조립에 있어서,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나선 측판(20)(30) 사이에 발판(50)을 조립 고정하기 위해 나선 측판(20)(30)을 벌리지 않게 하는 조립 공정과 나중에 해체해야 하는 해제 공정 등이 많고, 바깥면에서 안쪽으로 스크루(40) 체결로 인해 반드시 마감처리를 해야하는 공정 등으로 인해 생산성과 경제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통상 마감은 도 7과 같이 스크루(40)가 들어간 후 남은 자리인 관통공(21)(31)을 막대기 같은 목다보(45)로 메우거나, 나선 측판(20)(30)의 바깥면과 동일 크기의 얇은 판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붙인다.
또한, 스크루를 죄거나 푸는 등과 같이 유지 보수 등을 할 때 마감처리를 제거하고 다시 마감처리 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거의 힘들다.
도 9는 양 사이드의 측판(20)(30) 상단에 손잡이인 핸드 레일(25)(35)을 설치하고, 양 사이드의 측판(20)(30) 상단에는 베이스(B)를 설치한 최종 나선 계단이다.
도 9의 나선 계단에 있어서, 목다보(45)로 마감 처리한 것으로서, 스크루(40)가 풀려 다시 죌 때, 목다보(45)를 꺼내고 다시 스크루(40)를 죄고 다른 목다보로 메워 마감 처리해야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나선 측판 사이를 벌리지 않으면서도 발판의 조립 결합이 간단하고 마감처리가 불필요하고, 유지보수관리가 매우 우수한 나선 계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나선 계단은, 아웃사이드의 제2나선 측판; 상기 제2나선 측판의 내측에 체결되는 제2볼트; 밑면이 상기 제2볼트에 놓여 지지되는 발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2볼트가 수용되는 제2볼트수용홈이 상기 발판의 밑면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의 밑에서 상기 제2볼트를 조여 상기 발판을 상기 제2나선 측판에 지지시킨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나선 계단에 있어서, 인사이드의 제1나선 측판; 상기 제1나선 측판의 내측에 체결되는 제1볼트; 밑면이 상기 제1볼트에 더 놓여 지지되는 발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볼트가 수용되는 제1볼트수용홈이 상기 발판의 밑면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의 밑에서 상기 제1볼트를 조여 상기 발판을 상기 제1나선 측판에 지지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나선 측판의 내측에서 볼트를 체결하면서도 발판의 밑면에 형성된 볼트수용홈을 통해 위에서 아래로 끼워 결합하기 때문에, 발판을 끼울 때 나선 측판을 벌릴 필요가 없고, 나선 측판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어 마감처리가 불필요하면서도 사용 중 볼트가 느슨한 경우에도 밑에서 볼트수용홈을 통해 볼트를 조이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매우 쉽다.
나선 측판의 내측에 받침편이 더 설치됨으로써, 발판이 볼트와 더불어 지지하게 하여 발판의 안정성을 더욱 추구한다.
받침편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용 공구가 출입이 용이하다.
나선 측판의 내측에 받침수용홈이 더 형성됨으로써, 발판을 외부로 돌출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발판을 밑면만 제외하고 구속시키기 때문에 발판의 받침 역할과 더불어 틀어짐을 억제시킨다.
받침편의 관통공에 자석판으로 막음으로써, 마감판을 자석판의 자성으로 그대로 붙여 마치 발판과 같은 무늬로 이루어진 것으로 할 수 있고, 마감판을 당기면 자석판이 같이 붙어져 받침편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매우 간단하다.
받침편은 나선 측판에 일단 고정 발판을 지지하는 외팔보 형태로 지지하면서도 발판에 스크루로 체결 고정되기 때문에 받침편을 안정적으로 받침수용홈에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볼트가 짚볼트(zipbolt : 상품명)로 구현됨으로써 쉽고 빠르게 발판의 밑면에서 공구로 체결할 수 있으며, 관통공을 통해 짚볼트의 베벨 기어용 너트를 삽입 가능하여 조립 체결이 또한 쉽다.
도 1은 종래의 스파이럴 계단을 간단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나선 계단에 있어 양 사이드의 나선 측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나선 계단에 있어 곡선 발판을 도시한 평면도, 좌우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양 사이드의 나선 측판과 도 3의 곡선 발판을 스크루로 체결 결합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관통공을 목다보로 메운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나선 계단을 간단히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나선 계단의 양 사이드의 측판에 핸드 레일을 설치한 최종 나선 계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선 계단의 양 사이드의 나선 측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나선 측판에 인서트 너트를 체결한 상태의 도.
도 12는 도 11에서 받침편을 끼운 상태의 도.
도 13은 나선 측판의 양 사이드 내측에 인서트 너트와 받침편을 설치한 도.
도 14는 도 13의 인서트 너트에 수나사 핀을 체결한 상태의 도.
도 15는 나선 측판의 양 사이드 내측에 인서트 너트, 수나사 핀 및 받침편을 설치한 도.
도 16은 도 15에서 발판을 위에서 아래로 끼워 설치한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저면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서 베벨기어용 너트를 삽입하여 수나사 핀에 체결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서 받침대의 관통공에 자석판을 붙여 메운 상태의 저면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서 받침대의 밑면에 마감판을 부착한 상태의 저면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서 양 사이드의 나선 측판의 하단에 베이스를 설치한 사시도.
도 22는 도 21에서 양 사이드의 나선 측판의 상단에 핸드 레일을 설치한 사시도.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판을 도시한 상면 및 밑면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주요 목재 연결용 커넥터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26은 도 25에서 짚볼트의 베벨기어용 너트의 내부 작동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나선 계단에 있어 양 사이드의 나선 측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나선 계단에 있어 곡선 발판을 도시한 평면도, 좌우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양 사이드의 나선 측판과 도 3의 곡선 발판을 스크루로 체결 결합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관통공을 목다보로 메운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나선 계단을 간단히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나선 계단의 양 사이드의 측판에 핸드 레일을 설치한 최종 나선 계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선 계단의 양 사이드의 나선 측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나선 측판에 인서트 너트를 체결한 상태의 도.
도 12는 도 11에서 받침편을 끼운 상태의 도.
도 13은 나선 측판의 양 사이드 내측에 인서트 너트와 받침편을 설치한 도.
도 14는 도 13의 인서트 너트에 수나사 핀을 체결한 상태의 도.
도 15는 나선 측판의 양 사이드 내측에 인서트 너트, 수나사 핀 및 받침편을 설치한 도.
도 16은 도 15에서 발판을 위에서 아래로 끼워 설치한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저면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서 베벨기어용 너트를 삽입하여 수나사 핀에 체결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서 받침대의 관통공에 자석판을 붙여 메운 상태의 저면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서 받침대의 밑면에 마감판을 부착한 상태의 저면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서 양 사이드의 나선 측판의 하단에 베이스를 설치한 사시도.
도 22는 도 21에서 양 사이드의 나선 측판의 상단에 핸드 레일을 설치한 사시도.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판을 도시한 상면 및 밑면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주요 목재 연결용 커넥터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26은 도 25에서 짚볼트의 베벨기어용 너트의 내부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선 계단의 양 사이드의 나선 측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나선 측판에 인서트 너트를 체결한 상태의 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받침편을 끼운 상태의 도이고, 도 13은 나선 측판의 양 사이드 내측에 인서트 너트와 받침편을 설치한 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인서트 너트에 수나사 핀을 체결한 상태의 도이고, 도 15는 나선 측판의 양 사이드 내측에 인서트 너트, 수나사 핀 및 받침편을 설치한 도이고, 도 16은 도 15에서 발판을 위에서 아래로 끼워 설치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서 베벨기어용 너트를 삽입하여 수나사 핀에 체결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에서 받침대의 관통공에 자석판을 붙여 메운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에서 받침대의 밑면에 마감판을 부착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에서 양 사이드의 나선 측판의 하단에 베이스를 설치한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에서 양 사이드의 나선 측판의 상단에 핸드 레일을 설치한 사시도이고,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판을 도시한 상면 및 밑면 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주요 목재 연결용 커넥터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5에서 짚볼트의 베벨기어용 너트의 내부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선 계단(100)은 도 17,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사이드의 제1나선 측판(110)과, 아웃사이드의 제2나선 측판(120)과, 제1나선 측판(110)의 내측에 체결되는 제1볼트(130)와, 제2나선 측판(120)의 내측에 체결되는 제2볼트(140)와, 밑면이 제1볼트(130)와 제2볼트(140)에 놓여 지지되는 발판(150)을 포함하되, 발판(150)의 밑면 양측에는 제1볼트(130)가 수용되는 제1볼트수용홈(160)과, 제2볼트(140)가 수용되는 제2볼트수용홈(170)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핵심은 제1볼트(130)와 제2볼트(140)가 제1나선 측판(110)과 제2나선 측판(120)의 내측에 체결되기 때문에 제1나선 측판(110)과 제2나선 측판(120)의 외측(바깥면)이 깔끔해 마감처리가 불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제1,2나선 측판(110)(120) 사이를 벌리지 않고도 제1,2볼트수용홈(160)(170)을 통해 발판(150)을 제1볼트(130)와 제2볼트(140)에 놓고 조이기만 하면 제1,2나선 측판(110)(120)에 견고히 지지가 된다는 것이다.
제1볼트(130)는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2개 정도 체결 고정되는 게 좋다.
제2볼트(140)도 마찬가지로 제1볼트(130)와 대응되게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2개 정도 체결 고정되는 게 좋다.
따라서, 복수의 제1볼트(130)와 복수의 제2볼트(140)가 발판(150)의 양측 밑면을 2개씩 받쳐주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제1,2볼트(130)(140)가 스크루 타입이 아닌 경우에는 제1나선 측판(110)의 내측과 제2나선 측판(120)의 내측에 후술되는 제1,2인서트 너트(137)(147)가 체결되어 인서트 삽입될 제1,2인서트 홈(111)(121)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1,2인서트 너트(137)(147)는 그 내면에 암나사,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부시 형태이다.
또한, 제1,2인서트 너트(137)(147)의 일단에는 플랜지가 있어, 제1,2인서트 홈(111)(121)의 내부로 들어가다가 걸리는 스토퍼의 기능을 한다.
제1,2볼트(130)(140)는 공구 자리면을 갖는 머리부와 수나사가 형성되는 축부로 이루어진 통상의 볼트 또는 짚볼트(zipbolt : 상품명)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2짚볼트(130)(140)로 구현되어 있다.
통상의 볼트는 공구 자리면을 갖는 머리부와, 수나사가 형성된 축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1,2짚볼트(130)(140)는 제1,2베벨 기어용 너트(131)(141)와 제1,2수나사 핀(136)(146)이 별도로 이루어진다.
즉, 제1,2베벨 기어용 너트(131)(141)는 밑면에 형성된 소켓 형상의 제1,2공구 자리홈(132)(142)과 연동되는 제1,2구동 베벨기어(133a)(143a)와, 제1,2구동 베벨기어(133a)(143a)와 맞물린 제1,2피동 베벨기어(133b)(143b)로 이루어지되, 제1,2피동 베벨기어(133b)(143b)의 회전 중심축에는 제1,2암나사(134)(144)가 형성되어 있다.
제1,2수나사 핀(136)(146)의 일단에는 제1,2인서트 너트(137)(147)에 체결되는 제1,2일측 수나사산(136a)(146a)이 형성되고, 제1,2수나사 핀(136)(146)의 타단에는 제1,2피동 베벨기어(133b)(143b)의 제1,2암나사(134)(144)와 체결되는 제1,2타측 수나사산(136b)(146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2베벨 기어용 너트(131)(141)는 제1,2공구 자리홈(132)(142)에 공구(렌치)를 넣고 돌리면, 미리 제1,2인서트 너트(137)(147)에 체결 고정된 제1,2수나사 핀(136)(146)을 따라 이동하면서 죄거나 풀리는 가동 너트이다. (작동은 등록실용신안 제20-0467577호 참조).
한편, 제1,2수나사 핀(136)(146)의 타단이 스크루 타입인 경우에는 제1,2인서트 너트(137)(147)가 필요없이 제1,2인서트 홈(111)(121)에 체결하거나 아니면 제1,2인서트 홈(111)(121) 없이 제1,2나선 측판(110)(120)에 바로 체결 고정해도 무관하다.
반면, 일체형 볼트는 스패너를 이용하여 볼트 전체를 회전시켜 죄거나 풀리는 방식이기 때문에 렌치를 사용하는 짚볼트 보다 조이거나 풀기가 쉽지 않다.
제1,2볼트수용홈(160)(170)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수나사 핀(136)(146)을 수용하는 제1,2핀수용홈(161)(171)과, 제1,2베벨기어용 너트(131)(141)가 수용되는 제1,2너트수용홈(163)(173)으로 이루어진다.
제1,2핀수용홈(161)(171)은 발판(150)의 양측면에서 안쪽으로 이어진 통로가 난 홈이다.
제1,2너트수용홈(163)(173)은 제1,2핀수용홈(161)(171)과 서로 통하면 원형을 이루는 홈이다.
제1,2너트수용홈(163)(173)은 제1,2베벨기어용 너트(131)(141)가 좌우로 이동할 정도의 간극이 있는 직경이면 좋다.
한편, 제1,2볼트(130)(140)의 아래쪽에는 발판(150)의 밑면을 받치는 제1,2받침편(180)(190)이 제1,2나선 측판(110)(120)에 더 지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받침편(180)(190)은 제1,2볼트(130)(140)에 걸리는 수직하중을 분산시켜 발판(150)을 견고히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2받침편(180)(190)에는 제1,2관통공(181)(191)이 형성되어 있다.
제1,2관통공(181)(191)은 제1,2수나사 핀(136)(146)과 제1,2받침편(180)(190)에 발판(150)이 놓인 상태에서 제1,2베벨 기어용 너트(131)(141)와 공구가 출입할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제1,2볼트수용홈(160)(170)의 밑면에는 제1,2받침편(180)(190)을 수용하는 제1,2받침수용홈(165)(175)이 더 형성되어 있다.
제1,2받침수용홈(165)(175)은 제1,2받침편(180)(190)의 둘레를 구속하기 때문에 발판(150)의 뒤틀림도 더욱 방지하면서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아 깔끔하게 된다.
제1,2받침편(180)(190)은 제1,2나선 측판(110)(120)의 내측에 형성된 제1,2끼움홈(113)(123)에 끼워지는 제1,2끼움돌기(182)(192)와, 제1,2받침수용홈(165)(175)에 수용되어 받치는 제1,2받침판(183)(19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2볼트수용홈(160)(170)과 제1,2받침수용홈(165)(175)은 상하로 적층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1,2받침판(183)(193)에는 제1,2체결공(185)(195)가 형성되어, 제1,2스크루(186)(196)에 의해 발판(150)의 양측에 체결 고정되게 통로의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발판(150)의 밑면은 목재 연결용 커넥터에 의해 노출되기 때문에, 마감을 하되 유지보수가 쉽게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2받침편(180)(190)의 밑면에는 제1,2마감편(210)(230)이 설치되어 있다.
제1,2마감편(210)(230)은 제1,2관통공(181)(191)의 내부에 붙어 막는 제1,2자석판(211)(231)과, 제1,2자석판(211)(231)의 자성에 의해 제1,2받침판(183)(193)의 밑면에 붙는 제1,2마감판(213)(233)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대로, 제1,2마감판(213)(233)를 제거하면 제1,2자석판(211)(231)도 같이 붙어서 제거되기 때문에, 손쉽게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
제1,2마감판(213)(233)의 밑면에는 발판(150)과 같은 색상이 붙어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에 따른 나선 계단(1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나선형으로 감긴 제1,2나선 측판(110)(120)과 발판(150)을 준비한다.
도 24과 같이 발판(150)의 밑면에 제1,2볼트수용홈(160)(170)과 제1,2받침수용홈(165)(175)을 가공한다.
제1,2나선 측판(110)(120)은 지그에 설치한다.
지그에 설치한 제1,2나선 측판(110)(120)의 내측에 제1,2인서트 홈(111)(121)과 제1,2끼움홈(113)(123)을 가공한다(도 10 및 도 13 참조).
제1,2인서트 홈(111)(121)에 제1,2인서트 너트(137)(147)를 체결 삽입한다(도 11 및 도 13 참조).
제1,2끼움홈(113)(123)에 제1,2받침편(180)(190)을 끼워 지지시킨다(도 12 및 도 13 참조).
제1,2인서트 너트(137)(147)에 제1,2수나사 핀(136)(146)의 일측을 체결 결합한다(도 14 및 도 15 참조).
제1,2받침편(180)(190)과 제1,2수나사 핀(136)(146)에 발판(150)의 제1,2볼트수용홈(160)(170)과 제1,2받침수용홈(165)(175)이 수용 받치게 위에서 아래로 끼워 놓는다(도 16 및 도 17 참조).
제1,2받침판(183)(193)의 제1,2관통공(181)(191)을 통해 제1,2베벨기어용 너트(131)(141)를 삽입하여 제1,2볼트수용홈(160)(170)의 제1,2너트수용홈(163)(173)에 수용시킨다(도 18 참조).
제1,2베벨 기어용 너트(131)(141)의 제1,2공구 자리홈(132)(142)에 렌치를 삽입한 후 돌리면, 제1,2베벨 기어용 너트(131)(141)가 제1,2타측 수나사산(136b)(146b)을 타고 제1,2나선 측판(110)(120) 쪽으로 이동하면서 죄게 된다.
제1,2받침판(183)(193)의 제1,2체결공(185)(195)을 통해 제1,2스크루(186)(196)로 체결하여 발판(150)에 결합시킨다.
제1,2자석판(211)(231)을 제1,2관통공(181)(191)에 갖다대면, 자성의 의해 제1,2관통공(181)(191)에 들러붙어 막게 된다(도 19 참조).
마지막으로, 제1,2마감판(213)(233)을 제1,2받침판(183)(193)의 밑면에 갖다대면 제1,2자석판(211)(231)의 자성에 의해 들러붙어 마감처리가 완료된다(도 20 참조).
마감처리가 완료되면, 제1,2나선 측판(110)(120)의 하단에 베이스(B)를 설치하고(도 21 참조), 제1,2나선 측판(110)(120)의 상단면에 핸드 레일(HR)이 설치되면 나선 계단은 완성된다(도 22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항 2 이하 및 도면은 이중 나선 계단인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청구항 1과 같이 단일 나선 계단( 예컨대 스파이럴 계단과 유사)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즉, 단일 나선 계단은 아웃사이드의 제2나선 측판(120); 제2나선 측판(120)의 내측에 체결되는 제2볼트(140); 밑면이 제2볼트(140)에 놓여 지지되는 발판(150);을 포함하되, 발판(150)의 밑면 일측에는 제2볼트(140)가 수용되는 제2볼트수용홈(170)이 형성되어, 밑면에서 제2볼트(140)를 조여 발판(150)을 제2나선 측판(120)에 지지시킨다.
발판(150)의 타측은 센터 폴 등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발판(150)의 일측을 위와 같이 조립하면 된다.
100 : 나선 계단
110,120 : 제1,2나선 측판
111,121 : 제1,2인서트 홈 113,123 : 제1,2끼움홈
130,140 : 제1,2볼트(짚볼트) 131,141 : 제1,2베벨기어용 너트
132,142 : 제1,2공구 자리홈 133a,143a : 제1,2구동 베벨기어
133b,143b : 제1,2피동 베벨기어 134,144 : 제1,2암나사
136,146 : 제1,2수나사 핀 137,147 : 제1,2인서트 너트
136a,146a : 제1,2일측 수나사산 136b,146b : 타측 수나사산
160,170 : 제1,2볼트수용홈 161,171 : 제1,2핀수용홈
163,173 : 제1,2너트수용홈 165,175 : 제1,2받침수용홈
180,190 : 제1,2받침편 181,191 : 관통공
182,192 : 제1,2끼움돌기 183,193 : 제1,2받침판
185,195 : 제1,2체결공 186,196 : 제1,2스크루
210,230 : 제1,2마감편 211,231 : 제1,2자석판
213,233 : 제1,2마감판 B : 베이스
HR : 핸드 레일
111,121 : 제1,2인서트 홈 113,123 : 제1,2끼움홈
130,140 : 제1,2볼트(짚볼트) 131,141 : 제1,2베벨기어용 너트
132,142 : 제1,2공구 자리홈 133a,143a : 제1,2구동 베벨기어
133b,143b : 제1,2피동 베벨기어 134,144 : 제1,2암나사
136,146 : 제1,2수나사 핀 137,147 : 제1,2인서트 너트
136a,146a : 제1,2일측 수나사산 136b,146b : 타측 수나사산
160,170 : 제1,2볼트수용홈 161,171 : 제1,2핀수용홈
163,173 : 제1,2너트수용홈 165,175 : 제1,2받침수용홈
180,190 : 제1,2받침편 181,191 : 관통공
182,192 : 제1,2끼움돌기 183,193 : 제1,2받침판
185,195 : 제1,2체결공 186,196 : 제1,2스크루
210,230 : 제1,2마감편 211,231 : 제1,2자석판
213,233 : 제1,2마감판 B : 베이스
HR : 핸드 레일
Claims (2)
- 아웃사이드의 제2나선 측판;
상기 제2나선 측판의 내측에 체결되는 제2볼트;
밑면이 상기 제2볼트에 놓여 지지되는 발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2볼트가 수용되는 제2볼트수용홈이 상기 발판의 밑면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의 밑에서 상기 제2볼트를 조여 상기 발판을 상기 제2나선 측판에 지지시키는 나선 계단.
-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사이드의 제1나선 측판;
상기 제1나선 측판의 내측에 체결되는 제1볼트;
밑면이 상기 제1볼트에 더 놓여 지지되는 발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볼트가 수용되는 제1볼트수용홈이 상기 발판의 밑면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의 밑에서 상기 제1볼트를 조여 상기 발판을 상기 제1나선 측판에 지지시키는 나선 계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3222A KR20150087080A (ko) | 2014-07-03 | 2014-07-03 | 나선 계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3222A KR20150087080A (ko) | 2014-07-03 | 2014-07-03 | 나선 계단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7034A Division KR101448682B1 (ko) | 2014-01-21 | 2014-01-21 | 나선 계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87080A true KR20150087080A (ko) | 2015-07-29 |
Family
ID=53876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3222A KR20150087080A (ko) | 2014-07-03 | 2014-07-03 | 나선 계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87080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89000A (ko) * | 2020-01-07 | 2021-07-15 | 이상직 | 강재 계단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무지주 곡선형 강재 계단 |
-
2014
- 2014-07-03 KR KR1020140083222A patent/KR2015008708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89000A (ko) * | 2020-01-07 | 2021-07-15 | 이상직 | 강재 계단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무지주 곡선형 강재 계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985607B2 (ja) | 盲リベットボルト | |
US9976298B2 (en) | Concealed structural post fastening device and method | |
US9598849B2 (en) | Toilet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 |
US20040134142A1 (en) | Log home construction system | |
TWI765120B (zh) | 核心床運動設備 | |
CA2919732C (en) | Direct-insertion baluster connecting device | |
KR101036505B1 (ko) | 슬래브용 슬리브 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슬리브의 매설 시공법 | |
US9689511B1 (en) | Tie wrap plastic anchor assemblies and methods of assembly | |
KR20150087080A (ko) | 나선 계단 | |
US4261667A (en) | Cove joints, furniture therefrom, and furniture manufacturing method | |
KR101448682B1 (ko) | 나선 계단 | |
EP0489251B1 (de) | Verfahren zum Erstellen einer Wangentreppe und Wangentreppe nach dem Verfahren | |
JP2018048457A (ja) | フロアポスト | |
DE19546278A1 (de) | Grabmal | |
KR20130004201U (ko) | 케이블 클리트 조립체 | |
KR101320728B1 (ko) | 건축용 앵커 | |
DE202018102053U1 (de) | Montierbarer und demontierbarer Holzstuhl | |
US10167625B1 (en) | Foundation anchor system and anchor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200466150Y1 (ko) | 케이블 트레이 | |
KR100597475B1 (ko) |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 | |
AU2016101961A4 (en) | Pin Latching System For A Portable Barrier | |
KR200413711Y1 (ko) | 보울트 조립구조 | |
WO2016125828A1 (ja) | グレーチング、把手付きグレーチングおよびグレーチングの製造方法 | |
CN114033777B (zh) | 一种提升板件立体拼接强度的耐腐蚀固定螺钉及使用方法 | |
CN206815874U (zh) | 一种建筑施工安全防护栏加固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