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052A -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7052A
KR20150087052A KR1020140007457A KR20140007457A KR20150087052A KR 20150087052 A KR20150087052 A KR 20150087052A KR 1020140007457 A KR1020140007457 A KR 1020140007457A KR 20140007457 A KR20140007457 A KR 20140007457A KR 20150087052 A KR20150087052 A KR 20150087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execution
execution mode
minimum resource
cloud stre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7192B1 (ko
Inventor
이동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7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192B1/ko
Publication of KR20150087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가 개시된다.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미리 어플리케이션을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하고, 순차적으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한다. 실행 요청을 수신하면 이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즉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여 지연 시간 및 부하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SYSTEM FOR SERVICING CLOUD STREAMING, METHOD OF SERVICING CLOUD STREAMING AND SERVER FOR THE SAME}
본 발명은 서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그 결과를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을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미리 실행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에 관한 것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 기반의 컴퓨터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하지 않고도 인터넷 접속을 통해 언제든 사용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구동에 있어 요구되는 고가의 하드웨어도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 컴퓨팅 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개인이 웹에 접속해서 포토샵, 오피스 등 고사양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고, 이에 대한 데이터 저장도 웹 상에서 이루어진다. 결국 하나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군에 여러 사람이 접속하여 개인 작업을 할 수 있다.
IT 기술 및 어플리케이션 시장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들이 개인 소유의 단말 장치를 통해 처리하는 데이터 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 경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은 이러한 데이터 처리량 증가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은 단말 장치의 소형화의 밑거름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용량의 영상 처리가 요구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데에 있어,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서버를 통해서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도록 하고, 그 실행 결과 화면만을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고사양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 소프트웨어 실행에 대한 요청만을 전송하고,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한 소프트웨어의 실행 화면을 스트리밍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라고 한다.
이 때,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 이후 이를 구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면 지연시간이 너무 길어지므로, 사용자가 실행할만한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구동해두고, 사용자의 실행 요청시 즉각 반응하여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하게 되면 초기에 많은 부하가 발생하여 스트리밍을 위한 자원 제약 조건에 걸려 시스템 에러 발생 확률이 높아지므로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기술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3-0074952A호, 2013년 7월 31일 공개 (명칭: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가이드 제공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시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구동하여 실행 요청시 즉각 실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어플리케이션을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미리 실행하여 부하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구동할 어플리케이션을 적절하게 예측하여 선택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실행 요청이 예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상기 실행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미리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예측 실행부;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실행 요청 수신부; 및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여 실행 결과를 제공하는 정상 실행 모드 전환부를 포함한다.
이 때, 최소 자원 실행 모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1로 설정, DLL 인젝션(injection)의 비실행, 캡처 관련 IPC 자원의 비활성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정상 실행 모드 전환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예측 실행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최소 자원 모드로 실행한 후, 상기 실행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순차적으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여 실행 결과의 제공을 준비할 수 있다.
이 때, 정상 실행 모드 전환부는 상기 실행 요청 수신부가 수신한 실행 요청에 상응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중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즉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여 실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예측 실행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기록인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 저장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실행 요청이 예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어플리케이션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최소 자원 모드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선택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가장 많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선택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가장 많이 실행 요청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선택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기입력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된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상기 단말 장치에게 통지하는 레디(ready) 통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실행 요청이 예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상기 실행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하는 단계;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최소 자원 실행 모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1로 설정, DLL 인젝션(injection)의 비실행, 캡처 관련 IPC 자원의 비활성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하는 단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최소 자원 모드로 실행한 후, 상기 실행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순차적으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여 실행 결과의 제공을 준비할 수 있다.
이 때,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실행 요청 수신부가 수신한 실행 요청에 상응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중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즉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여 실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최소 자원 모드로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기록인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실행 요청이 예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최소 자원 모드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상기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된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상기 단말 장치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은, 실행 요정이 예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하고,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고 실행 결과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제공받는 단말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시 지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구동하여 실행 요청시 즉각 실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어플리케이션을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미리 실행하여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구동할 어플리케이션을 적절하게 예측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 예측 실행부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 단말 장치들(120-1, 120-2, ..., 120-N) 및 네트워크(130)를 포함한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은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여 실행 결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라, 최소 자원 실행 모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1로 설정, DLL 인젝션(injection)의 비실행, 캡처 관련 IPC 자원의 비활성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하여 실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프레임 레이트는 화면 하나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속도를 말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프레임 레이트는 높을수록 부드러운 움직임을 보여주나, 더 많은 부하가 요구될 수 있다.
이 때, DLL 인젝션은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DLL 파일의 내용을 주입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되, 가능한 한 자원을 사용하지 않는 설정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동시에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더라도 자원의 제약으로 인한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최소 자원 모드로 실행한 후, 상기 실행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순차적으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여 실행 결과의 제공을 준비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실행이 끝나서 자원이 사용 가능해지면 최소 자원 모드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순차적으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여, 단말 장치(120-1)로부터 상기 실행 요청을 수신하면 즉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상기 수신한 실행 요청에 상응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중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즉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여 실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신한 실행 요청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될 순서가 되지 않았어도,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즉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여 실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상기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된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단말 장치(120-1)에게 통지할 수 있다.
즉, 지연시간을 최소로 하여 즉시 실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단말 장치(120-1)에 통지하여, 상기 단말 장치(120-1)의 사용자의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때,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된 어플리케이션보다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은 약간의 지연 시간을 피할 수 없을 것이므로, 각각의 상태를 달리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실행 요청이 예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서 가장 많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도 있고, 상기 단말 장치(120-1)로부터 가장 많이 실행 요청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장치(120-1)의 사용자로부터 기입력받은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들(120-1, 120-2, ..., 120-N)은 각각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제공받는다.
이 때, 단말 장치들(120-1, 120-2, ..., 120-N)은 각각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부터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및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된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통지받을 수 있다.
즉, 지연 시간을 최소로 하여 실행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통지 받고, 실행 요청을 할 어플리케이션 선택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 때, 단말 장치들(120-1, 120-2, ..., 120-N)을 각각 통신망에 연결되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기반으로 컨텐츠를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단말 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들(120-1, 120-2, ..., 120-N)은 각각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TV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일 때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13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 단말 장치들(120-1, 120-2, ..., 120-N)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130)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130)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110)와 단말 장치(120-1) 사이에 사용되는 네트워크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 및 단말 장치(120-2) 사이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와 상이한 것일 수도 있고, 동일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단말 장치(120-1) 또는 단말 장치(120-2) 사이에 사용되는 네트워크는 단말 장치(120-1) 및 단말 장치(120-2) 사이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와 상이한 것일 수도 있고, 동일한 것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어플리케이션 예측 실행부(210), 실행 요청 수신부(220), 정상 실행 모드 전환부(230) 및 레디 통지부(240)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예측 실행부(210)는 실행 요청이 예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상기 실행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미리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한다.
실시예에 따라, 최소 자원 실행 모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1로 설정, DLL 인젝션(injection)의 비실행, 캡처 관련 IPC 자원의 비활성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하여 실행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할 때의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자원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도록 설정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원 제약 조건에 걸려 발생하는 시스템 에러의 발생 확률을 낮출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예측 실행부(210)는 기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가장 많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미리 실행할 수 있다. 즉, 모든 단말 장치를 대상으로, 가장 많이 실행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요청이 있을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 예측 실행부(210)는 기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가장 많이 실행 요청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미리 실행할 수 있다. 즉, 해당 단말 장치를 대상으로, 가장 많이 실행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요청이 있을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 예측 실행부(210)는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기입력한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미리 실행할 수 있다. 즉,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비하여 많이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아니더라도, 언제든지 지연 시간 없이 실행하길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가 높은 우선 순위를 입력했다면,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미리 실행할 수 있다.
실행 요청 수신부(220)는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을 수신한다.
이 때, 실행 요청 수신부(220)가 아직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요청을 수신했을 경우, 즉시 정상 실행 모드로의 전환을 정상 실행 모드 전환부(230)에 요청할 수 있다.
정상 실행 모드 전환부(230)는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여 실행 결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라, 정상 실행 모드 전환부(23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예측 실행부(210)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최소 자원 모드로 실행한 후, 상기 실행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순차적으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여 실행 결과의 제공을 준비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실행이 종료되어 자원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 최소 자원 모드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순차적으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여, 실행 요청을 수신했을 때 지연 시간을 최소로 하여 바로 실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정상 실행 모드 전환부(230)는 상기 실행 요청 수신부(220)가 수신한 실행 요청에 상응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중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즉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여 실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순차적으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다가, 아직 전환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실행 요청을 수신했을 경우, 실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즉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레디 통지부(240)는 상기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된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상기 단말 장치에게 통지한다.
즉, 단말 장치의 사용자로 하여금 지연 시간 없이 바로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통지하여, 실행할 어플리케이션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때,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과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된 어플리케이션은 지연 시간이 다를 수 있으므로, 각각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 예측 실행부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 예측 실행부는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 저장부(310), 어플리케이션 선택부(320)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30)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 저장부(310)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기록인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를 저장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는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일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는 실행 요청을 한 단말 장치별로 저장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선택부(32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실행 요청이 예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선택부(32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가장 많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전체 단말 장치를 대상으로 가장 많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요청을 예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선택부(32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가장 많이 실행 요청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한 단말 장치가 가장 많이 실행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요청을 예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선택부(320)는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기입력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비하여 많이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아니지만, 언제든지 지연 시간 없이 실행하고 싶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가 높을 우선 순위를 입력한 경우 미리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할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반대로,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지만,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지 않아도 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낮은 우선 순위를 입력하여 미리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될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실행 요청이 예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상기 실행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한다(S410).
실시예에 따라, 최소 자원 실행 모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1로 설정, DLL 인젝션(injection)의 비실행, 캡처 관련 IPC 자원의 비활성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하여 실행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할 때의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자원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도록 설정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원 제약 조건에 걸려 발생하는 시스템 에러의 발생 확률을 낮출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하는 단계는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실행 요청이 예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가장 많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도 있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가장 많이 실행 요청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기입력받은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순차적으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한다(S420).
즉,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실행이 종료되어 자원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 최소 자원 모드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순차적으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여, 실행 요청을 수신했을 때 지연 시간을 최소로 하여 바로 실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을 수신한다(S43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상기 실행 요청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중인지 판단하여(S440), 이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즉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한다(S450).
즉,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순차적으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다가, 아직 전환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실행 요청을 수신했을 경우, 실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즉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단말 장치에 제공한다(S460).
도 4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상기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된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상기 단말 장치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의 사용자로 하여금 지연 시간 없이 바로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통지하여, 실행할 어플리케이션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때,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과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된 어플리케이션은 지연 시간이 다를 수 있으므로, 각각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하는 단계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기록인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를 저장한다(S510).
이 때,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는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일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는 실행 요청을 한 단말 장치별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실행 요청이 예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가장 많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전체 단말 장치를 대상으로 가장 많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요청을 예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가장 많이 실행 요청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한 단말 장치가 가장 많이 실행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요청을 예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기입력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비하여 많이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아니지만, 언제든지 지연 시간 없이 실행하고 싶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가 높을 우선 순위를 입력한 경우 미리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할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반대로,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지만,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지 않아도 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낮은 우선 순위를 입력하여 미리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될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각 단계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순서, 그 역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스마트폰 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램 또는 스마트폰 앱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클라우드 스트리밍을 통해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제공할 때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하고 순차적으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고, 사용자로부터 실행 요청이 수신되면 이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즉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가 실행 요청을 하여 실행 결과를 제공받을 때까지의 지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동시에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되면 초기에 많은 부하가 발생하여 시스템 에러 발생 확률이 높아지는데, 최소 자원 실행 모드에 의해 부하를 최소화하여 시스템 에러 발생 확률을 낮출 수 있으므로, 다수의 사용자에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10: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120-1~ 120-N: 단말 장치
130: 네트워크 210: 어플리케이션 예측 실행부
220: 실행 요청 수신부 230: 정상 실행 모드 전환부
240: 레디 통지부 310: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 저장부
320: 어플리케이션 선택부 330: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Claims (17)

  1. 실행 요청이 예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상기 실행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미리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예측 실행부;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실행 요청 수신부; 및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여 실행 결과를 제공하는 정상 실행 모드 전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소 자원 실행 모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1로 설정, DLL 인젝션(injection)의 비실행, 캡처 관련 IPC 자원의 비활성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상 실행 모드 전환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예측 실행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최소 자원 모드로 실행한 후, 상기 실행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순차적으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여 실행 결과의 제공을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상 실행 모드 전환부는
    상기 실행 요청 수신부가 수신한 실행 요청에 상응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중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즉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여 실행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예측 실행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기록인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 저장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실행 요청이 예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어플리케이션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최소 자원 모드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선택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가장 많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선택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가장 많이 실행 요청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선택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기입력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된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상기 단말 장치에게 통지하는 레디(ready) 통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10. 실행 요청이 예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상기 실행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하는 단계;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최소 자원 실행 모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1로 설정, DLL 인젝션(injection)의 비실행, 캡처 관련 IPC 자원의 비활성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하는 단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최소 자원 모드로 실행한 후, 상기 실행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순차적으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여 실행 결과의 제공을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실행 요청 수신부가 수신한 실행 요청에 상응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중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즉시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여 실행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최소 자원 모드로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기록인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실행 요청이 예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최소 자원 모드로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상기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된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상기 단말 장치에게 통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16.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7. 실행 요정이 예측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최소 자원 실행 모드로 실행하고,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정상 실행 모드로 전환하고 실행 결과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제공받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KR1020140007457A 2014-01-21 2014-01-21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101587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457A KR101587192B1 (ko) 2014-01-21 2014-01-21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457A KR101587192B1 (ko) 2014-01-21 2014-01-21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052A true KR20150087052A (ko) 2015-07-29
KR101587192B1 KR101587192B1 (ko) 2016-02-02

Family

ID=5387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457A KR101587192B1 (ko) 2014-01-21 2014-01-21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1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7353B2 (en) 2007-01-11 2014-03-18 Nec Corporation Provisioning a standby virtual machine based on the prediction of a provisioning request being gener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192B1 (ko) 201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87077B (zh) 数据同步方法和装置
CN108965907B (zh) 用于播放视频的方法、装置和系统
JP7386990B2 (ja) ビデオ再生方法、装置、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10196824A1 (en) Orchestrated data exchange and synchronization between data repositories
US9712612B2 (en) Method for improving mobile network performance via ad-hoc peer-to-peer request partitioning
EP25279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tting media files
KR101479464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반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시스템,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서비스장치
JP2017526311A (ja) クラウドストリーミングサービスシステム、メモリボトルネックを防止するためのデータ圧縮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CN102647632A (zh) 利用直接设备选择在显示应用之间进行无缝转换
KR20150013183A (ko) 전송을 위한 비디오들의 점진적 증가 준비
JP7081014B2 (ja) インスタンス数を調整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電子機器、記憶媒体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70171307A1 (en)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for processing picture
US20200374337A1 (en) Transmitting data over a network in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rest) applications
CN111010453B (zh) 服务请求处理方法、系统、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US948328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optimizing resources for emulation
US8774599B2 (en) Method for transcoding and playing back video files based on grid technology in devices having limited computing power
KR101587192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101749891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자원 상황 기반 프레임 레이트 조절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50100629A1 (en) Method for providing cloud service, and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JP2021012691A (ja) エンコードとアップロードの並行処理によってメディアファイルの送信時間を短縮することができ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094677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20160091622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변화 영역의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553539B1 (ko) 동적 링크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99276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유형에 따른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3226742A1 (zh) 视频转码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