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014A - 휴대형 미용기 - Google Patents

휴대형 미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7014A
KR20150087014A KR1020140007365A KR20140007365A KR20150087014A KR 20150087014 A KR20150087014 A KR 20150087014A KR 1020140007365 A KR1020140007365 A KR 1020140007365A KR 20140007365 A KR20140007365 A KR 20140007365A KR 20150087014 A KR20150087014 A KR 20150087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nit
heat
temperatur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8689B1 (ko
Inventor
김병욱
Original Assignee
(주)폭스앤플래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폭스앤플래닛 filed Critical (주)폭스앤플래닛
Priority to KR1020140007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689B1/ko
Publication of KR20150087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Abstract

피부 미용 시 설정시간 동안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는 휴대형 미용기에 관한 것으로, 피부 접촉부를 구비한 본체,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냉온 동작부, 상기 냉온 동작부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상기 본체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의 공기 유입공과 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조절부는 온도감지부와 방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냉, 온 피부 미용 시 최적의 온도로 설정시간 동안 미용이 가능하고, 팬 구동 소음을 최소화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먼지 유입을 방지하여 휴대형 미용기의 사용기간을 늘릴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형 미용기 및 그의 제어방법{Portable beaut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형 미용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학적 특성 및 기구적 특성을 이용해서 냉온 요법과 복합적인 피부 관리 기능을 가지며 피부를 미용하는 휴대형 미용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 발달로 인한 생활 수준의 향상과 삶의 질을 고려하여 아름답고 건강한 삶을 추구하려는 욕구가 증진됨에 따라 피부의 탄력을 잃지 않도록 보호하여 젊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기 위한 피부미용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피부 미용기기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소자의 양면에 서로 다른 전극을 연결하고 여기에 전원을 공급하면, 전면에서 열기가 발생하고 후면에서 냉기가 발생하며, 다시 극성을 바꾸어 전원을 공급하면, 전면에서 냉기가 발생하고 후면에서 열기가 발생하는 펠티에 효과에 의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 겸용 피부미용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피부 미용기는 예를 들어, 15℃ 이하의 냉열(cool) 마사지가 피부의 근육을 수축시키고 모공을 조여주어 피부의 탄력을 유지시키며, 38℃ 정도의 온열(hot) 마사지가 피부 및 근육이 이완되면서 모공이 열리게 되어 피부 속 콜라겐의 분해와 수축 작용을 발생시켜 피부를 매끄럽게 만들어주는 특성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기술의 일 예가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 본체의 한 부분에 설치되어 피부와 접촉하는 헤드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헤드부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열전소자, 열전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신속하게 이동시키기 위해서, 일 면이 열전소자와 밀착되는 열전도블록 및 열전도블록의 다른 면에 밀착되되, 밀착면적을 높이면서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연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주머니, 열전도블록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열기 또는 냉기를 축적하도록 주머니의 내부에 채워지는 축열용액을 구비하는 축열부를 포함하는 냉온 겸용 피부 미용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냉 마사지 기능 시에, 냉온 변환소자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접촉 헤드를 통해 흡수된 열이 제1 축열부에 의해 저장된 후 제1 축열부의 노출된 외부표면에 의해 마사지장치의 외부로 방출되고, 제2 축열부의 내부에는 열전도성이고 교체 가능한 매체인 축열매체가 저장되어, 제1 축열부에서 흡수된 열이 다시 상기 제2 축열부 내에 포함된 상기 축열매체에 흡수 및 이동됨으로써, 축열매체를 통해 추가적인 방열 경로를 마련한 휴대용 냉온 마사지 장치에 대해 게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10550호(2001. 11. 22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6950호(2011. 08. 09 등록)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피부 미용기는 냉온 요법의 실현을 위해 본체 내부의 상단 또는 중단에 팬을 장착한다. 그에 따라, 팬에 대응하도록 본체 외부에 형성되는 배기구로 인해 팬의 직접적인 소음이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사용이 불편하고, 배기구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어 결함 발생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기구는 공기의 유입과 배출의 구분이 없이 제작되어 본체 내부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본체 내부로 전달되는 냉열과 온열로 인해 과열 또는 과냉으로 냉, 온 기능의 정밀하게 실행되지 않는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냉온 기기들은 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축열용액인 물과 같은 액체를 이용하여 기기 내부에 물탱크 형태의 구조물을 삽입해서 생산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치명적인 결함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형 미용기의 냉, 온 설정에 따라 본체 내부의 공기를 순환하여 냉, 온 기능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휴대형 미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 배출구를 밑면에 형성하여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기계적 결함으로 발생하는 파손을 방지하고, 팬의 구동 소음이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구로 배출되기 때문에 팬의 구동소음을 최소화하여 사용이 편리한 휴대형 미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누수 및 습기를 유발하는 축열 용액(물, 부동액, 오일, 젤 등의 액체)을 사용하지 않고도 냉온 요법과 기타 기능 등이 구현 가능한 휴대형 미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는 피부 접촉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냉온 동작부, 상기 냉온 동작부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상기 본체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의 공기 유입공과 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조절부는 온도감지부와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에 있어서, 상기 냉온 동작부는 피부 접촉부로서 기능하고, 세라믹 또는 티타늄으로 형성된 열전도부재, 상기 열전도부재 일면에 밀착되어 장착되고, 상기 열전도부재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열전소자 및 상기 열전소자의 후면에 밀착되어 장착되고, 방열 냉각소재의 섬유 또는 그래핀으로 형성된 축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부는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본체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축열부재의 하부에 연결되어 장착되고,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방열핀을 구비한 방열부재, 상기 방열부재의 방열핀 하부에 장착되는 방열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방열팬의 하부에 장착되고, 공기배출구를 형성하는 구획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재의 외부와 본체의 내부 사이에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공기배출구와 연통되는 공기 배출공과 상기 공기 유입구에 연통되는 공기 유입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둘레에 대응하고 상기 바닥면과 대향하는 홈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의 제어방법은 (a) 피부 미용 관리 동작을 수행하고자 하는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설정된 동작모드에 기초해서 냉열, 온열 및 작동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설정된 작동 시간 동안 피부 미용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동작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본체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d1) 동작모드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본체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d2) 상기 (d1)단계에서 감지된 본체 내부 온도와 설정온도를 비교하는 단계, (d3) 상기 (d2)단계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방열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냉온 설정에 따라 본체 내부 온도가 일정한 온도로 조절됨으로써, 휴대형 미용기의 과열이나 과냉을 방지하여 휴대형 미용기의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미용 설정 시간까지 피부 미용에 최적화된 냉, 온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 가능하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하여 기계적 결함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휴대형 미용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팬의 구동 소음이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냉온과 기타 미용기능을 구현하는데 축열 용액이 필요 없게 되고, 저전력 설계가 가능해져서 누수나 습기로 인한 고장이나 누전, 폭발 등의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의 바닥면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가 거치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의 바닥면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가 거치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는 피부 접촉부(110)를 구비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냉온 동작부(44), 상기 냉온 동작부(44)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10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60),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의 공기 유입공(128)과 본체(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의 공기 배출공(127)이 형성된 바닥면(12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120)은 거치대(130)에 장착된다.
상기 본체(100)는 사용자의 손잡이 부분으로 사용되고, 피부 접촉부(110)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일 측면에는 예를 들어 적색의 온열상태와 청색의 냉열상태를 구분할 수 있도록 LED가 점등되는 표시부(미도시)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온 동작부(44)는 피부접촉부(110)로서 기능하고, 세라믹 또는 티타늄으로 형성된 열전도부재(47), 상기 열전도부재(47) 일면에 밀착되어 장착되고, 상기 열전도부재(47)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열전소자(48) 및 상기 열전소자(48)의 후면에 밀착되어 장착되고, 방열 냉각소재의 섬유 또는 그래핀으로 형성된 축열부재(49)를 포함한다.
상기 피부 접촉부(110)로서 기능하는 상기 열전도부재(47)는 상기 열전소자(48)에 인가되는 전원 공급 단자의 인가 전류의 방향에 따라 온열 또는 냉열로 기능으로 작동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열전도율의 재질은 그래핀, 티타늄, 세라믹 순으로 열전도성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 열전도부재(47)가 피부 접촉부(110)와 축열기능을 같이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해야 하므로, 피부에 무해하고 열전도율이 높은 티타늄 또는 세라믹을 소재로 제작되어 피부접촉부(110)와 축열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상기 축열부재(49)는 열전소자(48)의 후면에 장착되며, 그 재질은 열전도율의 효율이 높은 그래핀, 티타늄, 세라믹으로 제작하여 열전소자(48)에서 발생하는 온열이나 냉열에 대해 축열기능이 가능하다.
그에 따라, 열전소자(48)에 전류를 인가할 시, 축열부재(49)에 저장된 온열이나 냉열에 반응하여 열전도부재(47)로 냉열 또는 온열을 전달하므로, 냉온 기능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냉온과 기타 미용기능을 구현하는데 축열 용액이 필요 없게 되고, 저전력 설계가 가능해져서 누수나 습기로 인한 고장이나 누전, 폭발 등의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그래핀, 티타늄, 세라믹의 열 전도율은 하기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부(60)는 온도감지부(62)와 방열부(63)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감지부(62)는 본체(100)의 내부에 장착되어 본체(10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감지부(62)의 장착 위치는 본체(100) 내부의 어느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체(100)내부의 온도를 더 정밀하게 감지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방열부(63)는 상기 축열부재(49)의 하부에 연결되어 장착되고,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방열핀을 구비한 방열부재(65)와 상기 방열부재(65)의 방열핀 하부에 장착되는 방열팬(66)을 포함한다.
상기 방열부재(65)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자 장치 등에서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부착되는 복수의 방열핀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열부(63)는 상기 축열부재(49)의 냉열이나 온열이 방열부재(65)로 전달되고 온도감지부(62)의 신호에 따라 방열팬(66)을 구동하여 본체(100)의 외부로 방열시킨다.
또, 상기 방열부(63)는 상기 방열팬(66)의 하부에 장착되고, 공기 배출구(67)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구획부재(69)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재(69)의 외부와 본체(100)의 내부 사이에는 공기 유입구(68)가 형성된다.
따라서, 방열팬(66)에 의해 방열되는 냉열 또는 온열은 방열팬(66)의 하부에 장착되는 구획부재(69)의 공기 배출구(67)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구획부재(69)는 공기의 배출과 유입을 구분하는 부재로써, 상기 바닥면(120)에 연결되며, 그 재질은 특병히 한정되지는 안지만, 휴대용 미용기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비교적 가벼윤 재질인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면(120)에는 상기 공기 배출구(67)와 연통되는 다수의 공기 배출공(127)과 상기 공기 유입구(68)에 연통되는 다수의 공기 유입공(128)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열팬(66)에 의해 방출되는 냉열, 온열은 공기 배출구(67)에 연통된 공기 배출공(12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공기 유입구(68)에 연통되는 공기 유입공(128)을 통해 본체(100)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공기 배출공(127)과 공기 유입공(128)를 구분함으로써, 본체(100) 내부에 유입되거나 본체(100)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혼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본체(100) 내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하게 되어 본체(100) 내부의 온도를 온도조절부(60)에 의해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0) 내에 구획부재(69)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본체(100) 내에서 공기압의 차이에 의해 공기 유입공(128)에서의 공기 유입과 공기 배출공(127)에서의 공기 배출이 원활하게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형 미용기는 사용 시 구동하는 방열팬(66)의 구동 소음이 바닥면(120)으로 전달되어 방열팬(66)의 구동소음을 최소화하여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100)의 둘레에 대응하고 바닥면(120)과 대향하는 홈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는 거치부재(130)를 마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형 미용기의 미사용 시 본체(100)가 상기 거치부재(130)에 장착되므로, 바닥면(120)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형 미용기의 파손을 방지하고, 보관이 용이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의 내부 구성 및 작동을 도 5에 따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미용기는 피부 미용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0), 냉온 동작, 이온이나 진동, LED 광을 발생하여 피부 미용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미용 동작부(40), 입력된 동력명령에 기초해서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동작 모드별 피부 미용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20),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 및 전압을 조절하여 미용 동작부(40)를 구동하는 구동부(30)와 본체(100)내부의 온도를 제어신호에 따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0)는 전원 스위치와 설정 버튼을 구비하며, 전원 스위치나 설정버튼 조작에 의해 동작명령을 입력받는 방식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나 모션 입력, 음성 입력을 이용해서 동작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0)는 터치 센서, 압전소자, 모션 센서 또는 음성 센서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실시 예에서 휴대형 미용기는 동작 상태, 동작 메뉴, 냉온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1)는 화면에 동작 메뉴 및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구동부(30)는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라 미용 동작부(40)에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를 조절하여 미용 동작부(40)에서 발생하는 냉온의 조건 및 온도, 이온의 양, 진동의 세기, LED 광의 세기, 초음파의 세기 및 파장의 패턴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30)는 미용 동작부(40)를 구동하는 구동신호의 전압을 조절하는 전압 조절부(31)와 구동신호의 전류를 조절하는 전류 조절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조절부(31) 및 전류 조절부(32)는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 동작 모드에서 미리 설정된 목표전압 또는 목표 전류를 일정하게 공급하는 정전압 회로 및 정전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미용 동작부(40)는 구동부(3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화장품의 유효성분을 피부의 진피층으로 전달하도록 갤배닉 이온(Galvanic ion)을 발생하는 이온 발생부(41), 액추에이터(미도시)를 동작시켜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42), LED 광을 조사하는 LED부(43) 및 피부에 접촉하는 헤드 부분의 온도를 조절하여 냉 마사지 또는 온 마사지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술한 바와 같은 냉온 동작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미용 동작부(40)는 초음파(Ultrasonics wave)를 발생하여 피부 마사지 기능을 수행하는 초음파 발생부(45) 및 구동부(30)의 구동신호에 따라 파장(wave)의 패턴을 조절해서 패치 마사지를 수행하여 피부에 도포된 화장품을 확산시키는 패치 마사지부(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동력명령에 기초해서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21) 및 각 동작 모드별 피부 미용 관리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는 미용 동작부(40)의 작동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가변적으로 작동하게 제어할 수 있다.
모드 설정부(21)는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연령, 피부상태, 문제점, 피부타입, 관리부위에 따라 동작 모드를 설정한다.
그리고 저장부(22)는 각 동작 모드 별 미용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피부 미용 관리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 모드는 사용자의 연령, 피부상태, 문제점, 피부타입, 관리 부위에 따라 표 2 내지 표 4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표 2는 사용자의 연령, 피부의 상태, 문제점별 피부 미용 관리 동작을 예시한 테이블이고, 표 3은 피부 부위별 두께를 나타낸 테이블이며, 표 4는 피부타입 및 관리부위별 중점 관리 기능 테이블이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상기 제어부(20)는 모드 설정부(21)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저장부(22)에 저장된 해당 피부 미용 관리 동작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미용 동작부(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는 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의 연령이 선택되면, 사용자의 연령과 함께 피부상태, 문제점, 피부 타입, 관리부위를 선택받아 해당 동작 프로그램을 수행해서 중점 관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는 사용자의 연령, 피부상태, 문제점에 따라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해당 관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반면, 제어부(20)는 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의 연령 선택 없이 관리 부위만 선택되는 경우, 해당 관리부위의 피부 미용 관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0)는 해당 피부 미용 관리 기능에 따라 미용 동작부(40)에 공급되는 전류 및 전압을 조절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즉, 제어부(20)는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관리하고자 하는 피부 부위별 피부 두께를 감안하여 제어신호의 전압 및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는 휴대형 냉온 미용기를 이용한 피부 미용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최초 동작 시 사용자가 통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동작 시작 시에는 미리 설정된 초기 전압 또는 초기 전류를 공급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미리 설정된 목표 전압 또는 목표 전류까지 상승시켜 미용 동작부(40)에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연령, 피부 타입, 관리부위 및 문제점에 따라 동작 모드를 세분화해서 다양한 피부 미용 관리 동작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최적의 피부 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동작 모드를 직접 선택할 필요없이 자신의 연령이나 피부상태, 문제점, 피부타입, 관리부위 등을 선택하면, 미리 저장된 피부 미용 관리 동작 프로그램 중에서 해당 동작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해서 미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만으로 휴대형 미용기 및 그의 제어방법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본체(100)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본체(100)내부가 설정온도 이상 상승하거나 설정온도 이하로 내려갈 경우 온도감지부(62)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방열부(63)을 구동하여 본체(100)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온 동작부(44)의 구동 시 발생하는 냉열이나 온열에 의해 본체(100) 내부가 과열 또는 과냉 될 경우 온도를 최적화하여 피부 접촉부(110)의 냉, 온 상태를 설정시간 동안 최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미용 시의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냉온 동작부(44)의 구동뿐만 아니라 미용 동작부(40)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기능에서 발생하는 본체(100) 내부의 열에도 반응하여 구동하기 때문에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기기의 사용기간을 늘릴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관리부위만을 선택해서 해당 관리부위를 관리하는 간단 관리 기능뿐만 아니라, 연령, 피부상태, 문제점, 피부 타입, 관리부위를 세부적으로 선택해서 관리하는 세부 피부 미용 관리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피부 미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면 피부 미용 기능뿐만 아니라, 두피, 모발, 목, 배, 허벅지, 팔뚝, 어깨 등 바디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따른 휴대형 미용기는 내부에 내장된 배터리(미도시)의 전원 또는 외부의 상용전원을 각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70)는 일반 건전지 또는 리튬 이온, 리튬 폴리머 건전지와 같이 충전해서 사용하는 건전지를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출력을 승압(예를 들어, 가령 AAA 1.5V 건전지 두 개의 경우 3V를 승압해서 6V 이상)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의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미용기의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0단계에서 입력부에 마련된 전원 스위치가 온 조작되면, 전원 공급부(70)는 휴대형 미용기 내부의 배터리 또는 외부의 상용전원을 휴대형 미용기의 각 장치로 공급한다.
그러면 제어부(20)는 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해서 구동하고, 표시부(11)의 화면에 피부 미용 관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S11단계에서 기능이 선택되면 제어부(20)는 선택된 미용관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S12단계에서 제어부(20)는 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의 냉열 동작, 온열 동작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S13단계는 상기 S12단계에서 입력받은 신호를 상기 제어부(20)에 전송하고 동작시간을 설정하도록 입력부(10)에 전송하여 동작시간을 검사한다.
S14단계는 제어부(20)의 모드 설정부(21)에 선택된 관리부위의 피부 미용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모드로 설정하고, 제어부(20)는 저장부(22)에서 설정된 동작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피부 미용 관리 동작 프로그램을 검색해서 검색된 프로그램에 따라 미용 동작부(4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는 표 2에 기재된 신체 부위별 피부 두께를 감안하여 미용 동작부(40)에 공급되는 목표 전압 또는 목표 전류를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는 미용 동작부(40)의 동작 시작시에는 전압 및 전류를 초기 전압 및 초기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동부(30)의 전압 조절부(31) 또는 전류 조절부(32)의 동작을 제어하고, 목표 전압 및 목표 전류에 도달할 때까지 전압 또는 전류를 점진적 또는 단계적으로 상승시켜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 제어부(20)는 미용 동작부(40)에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가 목표 전압 또는 목표 전류에 도달하면, 정전압 또는 정전류를 공급하도록 구동부(30)의 전압 조절부(31) 또는 전류 조절부(3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구동부(30)는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라 미용 동작부(40)에 마련된 이온 발생부(41), 진동 발생부(42), LED부(43), 냉온 동작부(44), 초음파 발생부(45) 및 패치 마사지부(46)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구동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미용 동작부(40)에 마련된 각 장치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동시에 동작시켜 화장품의 유효 성분을 피부의 진피층으로 전달하고, LED광 테라피, 온도 조절, 초음파 마사지 및 패치 마사지와 같은 피부 미용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S15단계는 S14단계의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온도감지부(61)는 본체(100) 내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2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S16에서 상기 제어부(20)는 미리 설정된 본체(100)의 내부 온도와 온도 감지부(61)에서 감지된 작동시의 본체(100) 내부의 온도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즉, 상기 미용 동작부(40)의 구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 또는 냉온 동작부(44)에서 발생하는 냉열 또는 온열에 따라 제어부(20)는 온도조절부(60)에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설정온도에 따라 본체(100) 내부가 과열 되거나 과냉 될 경우 제어신호에 따라 S17단계의 방열팬(66)을 구동하여 본체(100) 내부의 온도를 적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구동된다.
상기 S18단계에서 제어부(20)는 상기 S13에 설정된 동작 시간에 따라 구동부(30)를 제어하고 설정된 시간까지 동작할 경우 상기 구동부(30)를 차단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44 : 냉온 동작부
47 : 열전도부재
48 : 열전소자
49 : 축열부재
60 : 온도조절부
62 : 온도감지부
63 : 방열부
65 : 방열부재
66 : 방열팬
67 : 공기 배출구
68 : 공기 유입구
69 : 구획부재
100 : 본체
110 : 피부접촉부
120 : 바닥면
127 : 공기 배출공
128 : 공기 유입공
130 : 거치대

Claims (9)

  1. 피부 접촉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냉온 동작부,
    상기 냉온 동작부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상기 본체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의 공기 유입공과 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조절부는 온도감지부와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미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 동작부는
    피부 접촉부로서 기능하고, 세라믹 또는 티타늄으로 형성된 열전도부재,
    상기 열전도부재 일면에 밀착되어 장착되고, 상기 열전도부재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열전소자 및
    상기 열전소자의 후면에 밀착되어 장착되고, 방열 냉각소재의 섬유 또는 그래핀으로 형성된 축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미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부는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본체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미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축열부재의 하부에 연결되어 장착되고,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방열핀을 구비한 방열부재,
    상기 방열부재의 방열핀 하부에 장착되는 방열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미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방열팬의 하부에 장착되고, 공기배출구를 형성하는 구획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재의 외부와 본체의 내부 사이에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미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공기배출구와 연통되는 공기 배출공과 상기 공기 유입구에 연통되는 공기 유입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미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둘레에 대응하고 상기 바닥면과 대향하는 홈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미용기.
  8. (a) 피부 미용 관리 동작을 수행하고자 하는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설정된 동작모드에 기초해서 냉열, 온열 및 작동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설정된 작동 시간 동안 피부 미용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동작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본체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미용기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d1) 동작모드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본체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d2) 상기 (d1)단계에서 감지된 본체 내부 온도와 설정온도를 비교하는 단계,
    (d3) 상기 (d2)단계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방열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미용기의 제어방법.
KR1020140007365A 2014-01-21 2014-01-21 휴대형 미용기 KR101578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365A KR101578689B1 (ko) 2014-01-21 2014-01-21 휴대형 미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365A KR101578689B1 (ko) 2014-01-21 2014-01-21 휴대형 미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363A Division KR101556935B1 (ko) 2015-06-04 2015-06-04 휴대형 미용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014A true KR20150087014A (ko) 2015-07-29
KR101578689B1 KR101578689B1 (ko) 2015-12-21

Family

ID=53876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365A KR101578689B1 (ko) 2014-01-21 2014-01-21 휴대형 미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6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1713A (zh) * 2017-05-30 2022-02-25 雷森斯医疗有限公司 医疗用冷却装置及方法
KR102567908B1 (ko) * 2022-12-07 2023-08-21 주식회사 에이피알 필터부를 구비한 미용 시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7976B2 (en) 2019-11-06 2024-01-23 Threesixty Sourcing Limited Physical therapy device with percussion, cooling, and heating
US20220362096A1 (en) * 2021-05-17 2022-11-17 MerchSource, LLC Temperature-Controlled Massage Node Light Indicator
KR102623755B1 (ko) 2021-10-05 2024-01-11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펠티어소자를 통해 냉온 기능을 조절가능한 핸드피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412A (ja) * 1998-07-24 2000-02-08 Kaneko Seisakusho:Kk 美肌器
KR20070095507A (ko) * 2005-10-18 2007-10-01 최철규 마사지 기구
KR101056950B1 (ko) 2010-03-04 2011-08-16 주식회사 유연플러스 교체가능한 매체를 이용한 휴대용 냉온 마사지 장치
KR20120010550A (ko) 2010-07-26 2012-02-03 주식회사 루프 냉온 겸용 피부 미용기
KR20120040760A (ko) * 2010-08-26 2012-04-30 전향희 공랭식 냉온 자극 생성 장치
KR20130020852A (ko) * 2011-08-17 2013-03-04 주식회사 씨앤엘 냉온 가변 조절되는 피부 미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412A (ja) * 1998-07-24 2000-02-08 Kaneko Seisakusho:Kk 美肌器
KR20070095507A (ko) * 2005-10-18 2007-10-01 최철규 마사지 기구
KR101056950B1 (ko) 2010-03-04 2011-08-16 주식회사 유연플러스 교체가능한 매체를 이용한 휴대용 냉온 마사지 장치
KR20120010550A (ko) 2010-07-26 2012-02-03 주식회사 루프 냉온 겸용 피부 미용기
KR20120040760A (ko) * 2010-08-26 2012-04-30 전향희 공랭식 냉온 자극 생성 장치
KR20130020852A (ko) * 2011-08-17 2013-03-04 주식회사 씨앤엘 냉온 가변 조절되는 피부 미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1713A (zh) * 2017-05-30 2022-02-25 雷森斯医疗有限公司 医疗用冷却装置及方法
CN114081713B (zh) * 2017-05-30 2024-03-01 雷森斯医疗有限公司 医疗用冷却装置及方法
KR102567908B1 (ko) * 2022-12-07 2023-08-21 주식회사 에이피알 필터부를 구비한 미용 시술 장치
KR102634103B1 (ko) * 2022-12-07 2024-02-07 주식회사 에이피알 필터부를 구비한 미용 시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689B1 (ko) 201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0438B1 (ko) 피부관리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KR101578689B1 (ko) 휴대형 미용기
KR101296735B1 (ko) 냉온 가변 조절되는 피부 미용기
US6679908B2 (en) Facial treatment device
JP5887663B2 (ja) 美顔器
JP2014184001A (ja) 美容器具
KR101366126B1 (ko) 손잡이형 피부미용기
ES2711729T3 (es) Aparato moldeador de cabello
KR20140038165A (ko) 다기능 미용기
JP6150590B2 (ja) 美容器具
WO2023045660A1 (zh) 一种皮肤保养组件
KR20170124712A (ko) 찜질사우나마스크
KR102444417B1 (ko) 열전모듈을 이용한 안면 냉온 찜질 장치
KR200412944Y1 (ko) 냉ㆍ온 겸용 피부 마사지기
KR101469871B1 (ko) 휴대형 미용기
KR101556935B1 (ko) 휴대형 미용기의 제어방법
KR20170122624A (ko) 냉온찜질사우나마스크
KR20120010550A (ko) 냉온 겸용 피부 미용기
JP6096570B2 (ja) 美容器具
KR20210010715A (ko) 그래핀 코팅 열전도 패드가 구비된 냉온열기
JP7304769B2 (ja) 美容器具
JP5995369B2 (ja) 美容器具
CN112336513A (zh) 美容器具
JP7071795B2 (ja) 美容器
JP6095451B2 (ja) 美容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