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6784A - 고온의 저장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공간을 구비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고온의 저장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공간을 구비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6784A
KR20150086784A KR1020140006838A KR20140006838A KR20150086784A KR 20150086784 A KR20150086784 A KR 20150086784A KR 1020140006838 A KR1020140006838 A KR 1020140006838A KR 20140006838 A KR20140006838 A KR 20140006838A KR 20150086784 A KR20150086784 A KR 20150086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frigerator
opening
storage space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5258B1 (ko
Inventor
김태정
유지홍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6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258B1/ko
Publication of KR20150086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의 저장물을 냉각시킬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내부에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저장공간 내부에 배치되되, 외부를 향하여 상기 저장공간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소통부 및 내부를 향하여 상기 저장공간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소통부를 각각 구비하는 저장통;을 포함하며,상기 제 1 소통부와 상기 제 2 소통부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은 저장공간에 저장통을 구비하여 저장통과 저장공간 내부가 선택적으로 소통되도록 함으로써 갓 조리된 음식 등의 고온의 저장물을 냉장고에 바로 넣을 경우 저장공간의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다른 저장물의 변질 또는 부패를 방지할 수 있고, 상승된 내부 온도를 하강시키기 위하여 소비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으며, 고온의 음식물을 따로 식히는데 드는 수고 및 공간이 필요치 않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 증대의 효과를 얻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온의 저장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공간을 구비하는 냉장고{A Refrigerator having space cooling high-temperature stores}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의 저장물을 냉각시킬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각장치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순환시켜 저장실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저장실에 저장된 저장물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냉장고 내부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생성된 냉기를 계속 순환시켜야만 하므로, 전력소비량이 상당히 많은 가전제품 중에 하나이다.
이와 같은 냉장고의 전력소비량을 줄이기 위하여 최근의 냉장고에는 자주 사용하는 음료 등의 저장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따로 마련하고 이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필요 최소한도 크기로 하여 냉장고 내부의 개폐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전력소비량을 줄이는 구조인 소위 홈 바(Home bar) 구조의 냉장고들이 생산되고 있으며, 이는 한국공개특허 제 2013-0061472 호 등에도 다수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홈 바 구조의 경우 홈 바 내부는 최소한의 저장공간 개폐에도 불구하고 항상 냉장고의 저장공간과 연통 되어 있기에 홈 바 내부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른 냉각장치의 동작에 따른 전력소모는 완전히 방지하기 어려우며, 이는 갓 조리된 고온의 음식물 등이 저장될 경우와 같이 급격한 온도상승의 경우에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갓 조리된 음식 등 상온 이상의 물질이 냉장고의 저장실 안에 놓이게 되면 냉장고의 설정온도를 맞추기 위하여 냉각장치는 계속 돌아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전력소비량은 커진다. 또한, 고온 저장물 주위의 온도가 상승 되어 본래 냉장고 안에 있던 고온 저장물 주변 음식의 맛이 변질 되거나 상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갓 조리된 음식 등의 고온의 저장물은 냉장고 외부에서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냉장고에 저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냉장고 외부에서 고온의 물질을 식히기 위한 사람의 노력이 수반되어야 함에 따른 불편함이 수반된다.
또한, 만약 상온인 냉장고 외부에 음식을 놓아둔 것을 잊은 채 오랜 시간이 지나게 된다면, 음식의 맛이 변질 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식중독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KR 2013-0061472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갓 조리된 음식 등 고온의 저장물을 상온으로 냉각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냉장고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고온의 저장물로 인하여 냉장고 내부온도가 급격히 상승함에 따른 주변 저장물의 변질 및 소비전력이 증가를 방지하여 에너지가 절약되며,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내부에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저장공간 내부에 배치되되, 외부를 향하여 상기 저장공간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소통부 및 내부를 향하여 상기 저장공간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소통부를 각각 구비하는 저장통;을 포함하며,상기 제 1 소통부와 상기 제 2 소통부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는, 외부 도어 및 내부 도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도어 및 상기 내부 도어에는 그 일부가 개구된 제 1 개방부 및 제 2 개방부가 각각 형성되어 서로 연통하며, 상기 저장통의 상기 제 1 소통부가 상기 제 1 개방부 및 상기 제 2 개방부와 연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 2 소통부를 개폐하는 단열문 및 상기 제 1 개방부를 개폐하는 보조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도어의 개폐 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단열문의 개폐 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문은, 상기 보조 도어가 개방될 경우 상기 제 2 소통부를 폐쇄하고, 상기 보조 도어가 폐쇄될 경우 상기 제 2 소통부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문은, 상기 저장통의 벽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2 소통부를 개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문은, 상기 저장통의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2 소통부를 개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문은, 상기 내부 도어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2 소통부를 개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내부에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저장공간 내부에 배치되되, 냉장고의 외측을 향하여 형성되는 제 1 소통부를 구비하는 저장통;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통은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 2 소통부를 개폐하는 단열문 및 상기 제 1 개방부를 개폐하는 보조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외부 도어 및 내부 도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도어 및 상기 내부 도어에는 일부가 개방되는 제 1 개방부 및 제 2 개방부가 각각 형성되어 서로 연통하며, 상기 저장통은 상기 내부 도어 내측에서 상기 제 1 소통부가 상기 제 1 개방부 및 상기 제 2 개방부가 연통 가능 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통은, 상기 보조 도어의 개폐 운동과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보조 도어가 개방될 경우 상기 제 1 소통부가 상기 제 2 개방부와 연통되며, 상기 보조 도어가 폐쇄될 경우 상기 제 1 소통부가 상기 제 2 개방부와 연통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통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 상기 보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도어 개방상태의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 및 상기 온도센서 및 타이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도어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저장통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타이머에서 측정한 상기 보조 도어의 개폐상태의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보조 도어를 작동시켜 상기 제 1 개방부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저장공간에 저장통을 구비하여 저장통과 저장공간 내부가 선택적으로 소통되도록 함으로써 갓 조리된 음식 등의 고온의 저장물을 냉장고에 바로 넣을 경우 저장공간의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다른 저장물의 변질 또는 부패를 방지할 수 있고, 상승된 내부 온도를 하강시키기 위하여 소비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으며, 고온의 음식물을 따로 식히는데 드는 수고 및 공간이 필요치 않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통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및 저장통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저장통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및 저장통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저장통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및 저장통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저장통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및 저장통의 종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공간(110), 도어(200) 및 저장통(300)을 포함한다.
저장공간(110)은 냉장고의 본체(100) 내부에 음식물 등을 저장하는 공간으로서, 일반적인 냉장고에는 저장공간(110)으로서 냉동실과 냉장실이 나누어져 있는 것이 보통이나, 본 명세서에서는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분하는 것이 불필요하므로, 단지 저장공간(110)이라 칭한다.
도어(200)는 본체(100)의 일측에 힌지(hinge)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힌지운동에 따라 후술할 제 2 개방부(221)를 개방 또는 폐쇄하며, 외부 도어(210) 및 내부 도어(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도어(210)는 도어(200)의 외측을 이루며, 제 1 개방부(211) 및 보조 도어(212)를 구비한다.
제 1 개방부(211)는 외부 도어(210)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며, 이를 통해 후술할 저장통(300) 내부와 냉장고 외부와의 열 이동이 이루어 지게 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이상의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류가 활발하게 일어남에 따라 열 순환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 도어(212)는 제 1 개방부(211)의 일측에 위치하여, 제 1 개방부(211)를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슬라이딩 운동 또는 힌지 회동함으로써 개폐동작을 할 수 있다.
내부 도어(220)는 본체(100)와 외부 도어(210) 사이에 힌지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저장공간(110)을 개폐하며, 제 2 개방부(221)를 구비한다.
제 2 개방부(221)는 내부 도어(220)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며, 이를 통해 저장물(1)이 후술할 저장통(300)으로의 출입이 가능하며 외부 도어(210)에 의하여 개폐된다.
저장통(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등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중공형태로서, 냉장고 외부 측을 향하여 개방된 제 1 소통부(310)를 구비하며, 제 1 소통부(310)가 제 2 개방부(221)와 연통될 수 있도록 내부 도어(220)의 저장 공간(110) 측에 배치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외부로부터 저장공간(110) 측으로 외부 도어(210), 내부 도어(220), 저장통(300)의 순으로 배치되며, 따라서 제 1 개방부(211), 제 2 개방부(221) 및 제 1 소통부(310)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저장통(300)은 제 2 소통부(320) 및 단열문(400)을 구비한다.
제 4 소통부(320)는 제 1 소통부(310)의 위치와 다른 위치에 개구되어 형성되며, 일례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통(300)의 상부의 일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단열문(400)은 저장통(300)의 벽면을 따라 내부 도어(220)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보조 도어(212)가 개폐동작함에 따라 연동하여 작동되되, 보조 도어(212)의 개폐동작과는 반대로 작동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도어(212)가 제 1 개방부(211)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단열문(400)이 제 2 소통부(320)를 개방한 상태이며, 보조 도어(212)가 제 1 개방부(211)를 개방하면, 단열문(400)은 내부 도어(220) 측으로 이동하여 제 2 소통부(320)를 폐쇄하게 된다(도 3의 화살표 참조).
즉, 제 1 소통부(310) 또는 제 2 소통부(320)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므로, 저장통(300) 내부가 냉장고의 외부 또는 저장공간(110) 중 어느 한쪽과 선택적으로 소통되어 열 또는 냉기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보조 도어(212) 및 이와 연동하는 단열문(400)의 동작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동으로 이루어질 경우에 저장통(300) 내부에는 온도센서(미도시)가 설치된다.
온도센서는 내부 도어(220)가 개방되고 고온의 저장물(1)이 저장통(300) 내부에 저장된 후 보조 도어(212)가 개방되면, 실시간으로 저장통(30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한다.
제어부는 온도센서로부터 전송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에 보조 도어(212)를 폐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단열문(400)이 개방된다.
또한, 저장시간으로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는 타이머가 부착되어 고온의 저장물(1)이 저장통에 저장된 후 보조 도어(212)가 개방된 후부터의 시간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면 제어부는 보조 도어(212)가 개방된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보조 도어(212)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음식물이 고온일 경우 보조 도어(212)를 개방하고, 단열문(400)을 폐쇄하여 저장통(300) 내부가 제 1 소통부(310)를 통하여 냉장고의 외부와 열 순환 되도록 하여 고온의 음식물을 식히며, 음식물이 충분히 식은 경우 보조 도어(212)을 폐쇄하고 단열문(400)을 개방하여 저장통(300) 내부가 제 2 소통부(320)를 통하여 저장공간(110) 내부와 소통되도록 하여 저장공간(110)의 냉기로서 저장물(1)을 냉각시켜 보존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상기한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그 외의 동일한 점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문(400)이 저장통(300) 내부에서 하나의 축(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도어(212)가 폐쇄되어 있을 경우 단열문(400)이 저장통(300)의 제 1 소통부(310) 측 하부에 위치하여 있다가, 보조 도어(212)가 개방될 경우에 단열문(400)이 축(A)을 중심으로 제 2 소통부(320) 측으로 회전하여 제 2 소통부(320)를 폐쇄한다(도 5의 화살표 참조).
또한, 상기 축(A)은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통(300) 양측의 횡방향으로 위치되어 있으나, 제 2 소통부(320) 및 단열문(400)의 위치에 따라 종방향의 축일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문(400)이 저장통(300)이 아닌 내부 도어(220)에 저장공간(110) 측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도어(212)가 폐쇄되어 있을 경우 단열문(400)이 내부 도어(220)의 상측에 위치하여 있다가, 보조 도어(212)가 개방될 경우 단열문(400)이 내부 도어(220)을 따라서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 2 소통부(320)를 폐쇄한다(도 7의 화살표 참조).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 2 소통부(320)는 저장통(3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열문(400) 역시 내부 도어(22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제 2 소통부(320)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통(300)에 제 2 소통부(320)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 2 소통부(320)를 개폐하는 단열문(400)이 설치될 필요가 없으며, 일례로서 저장통(300) 자체가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하나의 축(B)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도어(212)가 폐쇄되어 있을 경우 저장통(300)의 제 1 소통부(310)가 제 2 개방부(221)와 연통되지 않도록 위치되어 제 1 소통부(310)를 통하여 저장공간(110)과 저장통(300)이 소통되고(도 8 및 도 9의 (a) 참조), 보조 도어(212)가 개방될 경우(도 8 및 도 9의 (b)참조) 저장통(300)이 회전하여 제 1 소통부(310)가 제 2 개방부(221)와 연통 되도록 위치하여 외부와 열 순환 하게 된다(도 9의 화살표 참조).
즉, 본 실시예에서는 단열문(400)이 설치되지 않고 저장통(300)이 회전함으로써 제 1 소통부(310)가 제 2 소통부(320)의 기능까지 수행하게 되어, 상기 실시예들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므로, 보다 간편하게 제작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통(300)과 내부 도어(220) 사이에 개재되는 밀폐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폐부재(330)는 일측이 내부 도어(220)의 제 2 개방부(221)의 주위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저장통(3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저장통(300)과 제 2 개방부(221)가 밀폐 되도록 하여 저장통(300)과 제 2 개방부(221) 사이를 순환하는 열 또는 냉기의 누출을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저장공간(110)에 저장통(300)을 구비하여 저장통(300)과 저장공간(110) 내부가 선택적으로 소통되도록 함으로써 갓 조리된 음식 등의 고온의 저장물을 냉장고에 바로 넣을 경우 저장공간(110)의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다른 저장물의 변질 또는 부패를 방지할 수 있고, 상승된 내부 온도를 하강시키기 위하여 소비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으며, 고온의 음식물을 따로 식히는데 드는 수고 및 공간이 필요치 않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본체
110 : 저장공간
200 : 도어
210 : 외부 도어
211 : 제 1 개방부
212 : 보조 도어
220 : 내부 도어
221 : 제 2 개방부
300 : 저장통
310 : 제 1 소통부
320 : 제 2 소통부
330 : 밀폐 부재
400 : 단열문

Claims (11)

  1.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내부에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저장공간 내부에 배치되되, 외부를 향하여 상기 저장공간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소통부 및 내부를 향하여 상기 저장공간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소통부를 각각 구비하는 저장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소통부와 상기 제 2 소통부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외부 도어 및 내부 도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도어 및 상기 내부 도어에는 그 일부가 개구된 제 1 개방부 및 제 2 개방부가 각각 형성되어 서로 연통하며,
    상기 저장통의 상기 제 1 소통부가 상기 제 1 개방부 및 상기 제 2 개방부와 연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 2 소통부를 개폐하는 단열문 및 상기 제 1 개방부를 개폐하는 보조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도어의 개폐 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단열문의 개폐 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문은,
    상기 보조 도어가 개방될 경우 상기 제 2 소통부를 폐쇄하고,
    상기 보조 도어가 폐쇄될 경우 상기 제 2 소통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문은,
    상기 저장통의 벽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2 소통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문은,
    상기 저장통의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2 소통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문은,
    상기 내부 도어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2 소통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내부에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저장공간 내부에 배치되되, 냉장고의 외측을 향하여 형성되는 제 1 소통부를 구비하는 저장통;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통은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 2 소통부를 개폐하는 단열문 및 상기 제 1 개방부를 개폐하는 보조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외부 도어 및 내부 도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도어 및 상기 내부 도어에는 일부가 개방되는 제 1 개방부 및 제 2 개방부가 각각 형성되어 서로 연통하며,
    상기 저장통은 상기 내부 도어 내측에서 상기 제 1 소통부가 상기 제 1 개방부 및 상기 제 2 개방부가 연통 가능 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은,
    상기 보조 도어의 개폐 운동과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보조 도어가 개방될 경우 상기 제 1 소통부가 상기 제 2 개방부와 연통되며,
    상기 보조 도어가 폐쇄될 경우 상기 제 1 소통부가 상기 제 2 개방부와 연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3항 내지 제 7항 또는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
    상기 보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도어 개방상태의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 및
    상기 온도센서 및 타이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도어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저장통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타이머에서 측정한 상기 보조 도어의 개폐상태의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보조 도어를 작동시켜 상기 제 1 개방부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40006838A 2014-01-20 2014-01-20 고온의 저장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공간을 구비하는 냉장고 KR101635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838A KR101635258B1 (ko) 2014-01-20 2014-01-20 고온의 저장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공간을 구비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838A KR101635258B1 (ko) 2014-01-20 2014-01-20 고온의 저장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공간을 구비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784A true KR20150086784A (ko) 2015-07-29
KR101635258B1 KR101635258B1 (ko) 2016-06-30

Family

ID=53876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838A KR101635258B1 (ko) 2014-01-20 2014-01-20 고온의 저장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공간을 구비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2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8354A (ko) * 1995-11-30 1997-06-24 배순훈 냉장고의 냉기 단속 시스템
KR19980014948U (ko) * 1996-09-04 1998-06-25 김광호 홈바를 가진 냉장고
KR20060081938A (ko) * 2005-01-11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20039886A (ko) * 2010-10-18 2012-04-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8354A (ko) * 1995-11-30 1997-06-24 배순훈 냉장고의 냉기 단속 시스템
KR19980014948U (ko) * 1996-09-04 1998-06-25 김광호 홈바를 가진 냉장고
KR20060081938A (ko) * 2005-01-11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20039886A (ko) * 2010-10-18 2012-04-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258B1 (ko)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30678A1 (en) Refrigerator
CN104266433B (zh) 冰箱
KR20060081938A (ko) 냉장고
JP6416475B2 (ja) 冷蔵庫
US10288341B2 (en) Refrigerator
KR20090112183A (ko) 냉장고
KR20120044560A (ko) 이슬맺힘방지히터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84265A (ko) 냉장고의 필러장치
US9648844B2 (en) Curd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635258B1 (ko) 고온의 저장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공간을 구비하는 냉장고
EP2085725A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14071A (ko) 냉장고
KR101747174B1 (ko) 냉장고
KR20140061105A (ko) 냉장고 도어 개폐에 따른 온도 제어 방법
CN208520064U (zh) 带有可脱离保温模块的冰箱
US11747074B2 (en) Heater in a variable climate zone compartment
KR100878823B1 (ko) 김치냉장고
KR100823232B1 (ko) 음식저장고용 서랍
KR101652518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0366363B1 (ko) 외기온도센서를 구비한 김치냉장고
KR102511239B1 (ko) 냉장고
JPH1047845A (ja) 家庭用冷蔵庫
KR20140019901A (ko) 밀폐식 야채케이스가 구비된 냉장고
KR20150075576A (ko) 과냉각 포켓
KR20100066598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