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6679A - LED lighting system for enhanced safety elevator - Google Patents

LED lighting system for enhanced safety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6679A
KR20150086679A KR1020140006638A KR20140006638A KR20150086679A KR 20150086679 A KR20150086679 A KR 20150086679A KR 1020140006638 A KR1020140006638 A KR 1020140006638A KR 20140006638 A KR20140006638 A KR 20140006638A KR 20150086679 A KR20150086679 A KR 20150086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levator
signal
situ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6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82167B1 (en
Inventor
김창홍
Original Assignee
(주)현성컨버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성컨버전스 filed Critical (주)현성컨버전스
Priority to KR1020140006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167B1/en
Publication of KR20150086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6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1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enhancing lighting system which is installed in an elevator and uses LED lights to ensure the safety of the passengers. The system provides an LED-based lighting module in the elevator to increase the lighting efficiency while saving power. The system is normally utilized as the interior lighting of the elevator, operates as an emergency light lit at the predetermined brightness an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n case of the power outage, and increases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over 150% of that in the normal circumstances when the passengers press an emergency button to prevent crimes and give the passengers a sense of security.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안전강화용 LED 조명 시스템{LED lighting system for enhanced safety elevator}[0001] DESCRIPTION [0002] LED lighting systems for elevator safety enhancement [

본 발명은 승객의 안전을 강화할 수 있는 LED 조명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내의 안전강화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enhancement lighting system in an elevator using LED lighting capable of enhancing passenger safety.

한국, 미국, 유럽, 일본, 중국, 호주 등 전 세계적으로 조명 설비에 대한 규제가 진행되고 있다. 백열 전구는 이제 생산, 판매를 못하기 때문에 LED 조명에 대한 시장에 개화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의 경우 2012년 LED조명 시장이 40%였다. 미국, 중국도 LED 보급 확대를 위한 보조금 정책을 지속적으로 진행 중이다.Regulations for lighting fixtures are being made globally in Korea, the US, Europe, Japan, China, and Australia. Since incandescent lamps can not be produced or sold anymore, there is a growing possibility that the market for LED lighting will flow into the market. In Japan, LED lighting market was 40% in 2012. The US and China are also continuing their subsidy policy to expand LED supply.

이러한 변화와 연동하여 승객이 탑승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는 밀폐된 카 내부에 광원을 제공함과 더불어 탑승객에게 신미감을 줄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조명장치가 설치되게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 카 내의 조명장치는 기존의 형광등 제품에서 최근에는 긴 수명이 보장되면서 친환경적인 LED 램프로 대체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Various kinds of lighting devices are installed in the elevator car on which passengers ride, in addition to providing a light source inside the closed car and giving a sincere feeling to the passengers. In the elevator car as described above, In recent years, the existing fluorescent lamps have been replaced with environmentally friendly LED lamps as their lifespan is guaranteed.

그러나 기존의 엘리베이터 내의 조명은 형광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엘리베이터내 조명은 절전을 위해 일정한 시간을 경과하면 사람의 존재 여부와는 무관히 소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운행하지 않는 엘리베이터는 사람이 내부에 존재하여도 일정시간이 지나면 소등하게 되어, 내부에 갑작스런 환경의 변화, 이를테면 범죄를 위해 몰래 탑승한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 불이 소등되어 무심코 탑승한 노약자, 여성등이 범죄에 노출될 수 있는 점, 또는 심신 위급환자가 엘리베이터 내에 실신하는 경우에 불이 소등되어 전혀 비상상황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없는 점 등 지속적으로 엘리베이터 전체에 대하여 내부를 CCTV를 통해 관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므로 이러한 비상상황에 대한 대응은 취약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However, it is a reality that the lighting in the existing elevator occupies most of the fluorescent lamps, and the lighting in the elevator is generally turned off irrespectiv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erson after a certain time for the power saving. In other words, an elevator that is not operated is turned off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if a person exists inside, and sudden change of environment inside, for example, a person who boarded secretly for a crime, , Women can be exposed to crime, or when a person with mental or physical illness faints in the elevator, the light goes out and the emergency situation can not be taken at all. It is very difficult to observe, so responding to these emergencies has a problem of weakness.

특히, 최근에는 엘리베이터 안에서 벌어지는 각종 범죄가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어린 아이를 대상으로 한 성 범죄가 아파트 내의 엘리베이터에서 발생하였는데, 사람들은 가장 안전해야 할 주택이 바로 범죄의 장소가 되었다는 사실에 크게 충격을 받았다. 엘리베이터는 아파트를 비롯한 고층 건물에 꼭 필요한 장치지만, 엘리베이터가 주행 중인 경우 도피처가 없는 밀실 상태가 되기 때문에 각종 범죄에 무방비 상태에 놓여 진다. 특히, 성범죄자들은 범죄 장소로서 밀폐된 공간을 선호하는데, 이러한 조건에 부합하는 공간 중에 하나가 엘리베이터라는 조사 결과가 있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내에서의 범죄를 예방하고 감시하기 위해 대부분의 엘리베이터 안에는 감시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감시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사람이 실시간으로 계속하여 모니터링 한다는 것은 실제로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Especially, in recent years, various crimes in elevators have become social issues. A sex crime against a child occurred in an elevator in an apartment, and people were greatly shocked by the fact that the safest place to live was the place of crime. Elevators are a necessity for high-rise buildings including apartments. However, when the elevator is running, it becomes a closed room without a refuge, so it is placed in a defenseless state against various crimes. In particular, sex offenders prefer a closed space as a crime place, and one of the spaces meeting these conditions was an elevator. Most elevators are equipped with surveillance cameras to prevent and monitor crimes within these elevators. However, it is actually very difficult for a person to continuously monitor an image taken by a surveillance camera in real time.

따라서, 최근 산업계의 친환경적인 LED 조명의 필요성의 추세와 엘리베이터내의 절전 기능을 강화하면서도 사용자의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이 필요하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illumination system capable of enhancing the safety of the user while enhancing the power-saving function in the elevator and the trend of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ly friendly LED illumination in recent year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내에 LED를 기반으로 하는 조명모듈을 제공하여 절전 및 광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평상시에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조명으로 활용을 하며, 정전시 일정시간 동안 미리 설정한 밝기와 시간으로 비상조명을 동작하거나, 인체 감지를 통해 엘리베이터 내에 사람이 타고 있는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점등이 되는 상태를 유지하며, 일정시간 점등이 된 상태로 유지되면 자동으로 비상호출을 수행함과 동시에 경광등, 사이렌, 조명의 강도 강화, 음성안내를 통해 비상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가 가능한 엘리베이터 내 조명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llumination module based on an LED in an elevator to increase power saving and light efficiency and to utilize it as illumination inside the elevator , Emergency light is operated by preset brightness and tim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during power failure, or when the person is in the elevator through human body detection, it is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continuously lit, and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lit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llumination system in an elevator capable of automatically performing an emergency call and enhancing the intensity of a warning light, a siren, an illumination, and an emergency situation through voice guidanc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도 1의 도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승강기의 내부 공간에 상황에 따른 조광을 제공하는 다수의 LED를 포함하는 LED조명모듈(100); 상기 승강기 내부의 인체 또는 조도를 감지하여 LED 제어의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모듈(200): 및 상기 센서모듈(200)의 감지 신호에 연동하여 인체 감지시 상기 LED를 점등하고, 인체의 감지 유무에 따른 설정시간을 비교하여 비상점등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300); 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강화용 LED 조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As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ED lighting module (100) comprising a plurality of LEDs for providing dimming according to a situation in an internal space of an elevator with reference to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A sensor module (200) for detecting the human body or illuminance inside the elevator and providing basic information of LED control; and a controller (200) for lighting the LED when a human body is sensed in conjunction with a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module A control module 300 for controlling whether or not an emergency lighting is performed by comparing the set time according to the setting time. To provide an LED lighting system for elevator safety enhancement.

이 경우, 특히 상기 제어모듈(300)은, 상기 승강기내에 인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점등을 지속하도록 제어하며, 기 설정시간이후 인체감지 정보에 따라 조광의 종류 및 강도를 조절하는 조광제어부(310); 상기 조광제어부에서의 설정시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비상상황여부를 결정하여 호출 및 비상점등신호를 구동하는 비상상황제어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in particular, the control module 300 controls to continue lighting when a human body is detected to be present in the elevator, and controls the type and strength of dimming according to human body detection information after a preset time, (310); And an emergency situation controller (320)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emergency situa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of the set time in the light adjuster unit and driving a calling and emergency lighting signal.

아울러,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조광제어부(310)는, 다수의 상황에 따른 기준이 되는 설정 기준시간을 설정하고, 인체의 감지 이후에 역카운팅을 수행하는 설정시간비교부(311); 인체감지에 따른 점등 지속 이후, 정전상황, 구급상황, 범죄상황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LED의 밝기를 조절하는 조광설정부(312); 정전상황이나 비상상황에 맞는 비상조명을 구동하는 비상조명구동부(3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light control unit 310 may include a set time comparison unit 311 for setting a set reference time to be a reference according to a number of situations, and performing a counter counting after the detection of the human body; A dimming setting unit (312) that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LED when the LED is in any one of a power failure status, an emergency status, and an offense status after lighting according to human body detection; And an emergency light driving unit 313 for driving emergency light corresponding to a power failure situation or an emergency situation.

또한, 상기 비상상황제어부(320)는, 상기 설정시간비교부(311)의 기준시간의 카운팅 결과에 따라 일반비상, 구급비상, 범죄비상 상황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비상상황분류부(321); 상기 비상상황분류부(321)의 분류결과에 연동하여 해당 상황에 맞는 조명제어신호, 비상호출신호를 제공하는 비상신호처리부(322); 상기 비상상황분류부(321)의 제어신호에 의해 기 설정된 외부의 단말에 비상호출신호룰 송출하는 비상호출부(3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emergency situation control unit 320 includes an emergency situation classifying unit 321 classifying the emergency emergency, the emergency emergency, and the crime emergency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unting the reference time of the set time comparing unit 311; An emergency signal processing unit (322) for providing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and an emergency call signal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situation in connection with the classification result of the emergency situation classification unit (321); And an emergency call unit 323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call signal rule to an external terminal set in advance by a control signal of the emergency situation classifying unit 321. [

아울러, 상기 비상상황제어부(320)은, 구급상황 및 범죄상황에 해당하는 비상신호시, 비상상태를 인지 및 비상처리상황을 엘리베이터 내에 음성신호로 송출하는 음성신호처리부(3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emergency situation control unit 320 further includes a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324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signal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and a crime situation and an emergency state to a voice signal in the elevator Lt; / RTI >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모듈(300)은, 상기 비상상황제어부(320)의 비상신호 호출에 연동하여 엘리베이터내의 상황을 촬영 및 녹화하는 CCTV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모듈(3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module 330 including a CCTV for photographing and recording the situation in the elevator in conjunction with the emergency signal call of the emergency situation controller 320 hav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엘리베이터 안전강화용 LED 조명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내에 비상스위치가 눌러지는 경우 상기 조광제어부에서 평상시의 조명밝기의 150% 이상으로 조명의 강도를 강화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levator safety lighting LED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to be increased to 150% or more of the normal illumination brightness in the light control unit when the emergency switch is pressed in the elevator.

특히, 엘리베이터 내 비상스위치를 누를 수 없는 경우를 고려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안전강화용 LED 조명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내에 비상스위치를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무선비상신호를 송출하여 가동하는 무선스위칭 장치 및 상기 무선스위칭 장치에서 송출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ase where an emergency switch in an elevator can not be pressed, the elevator safety lighting LED lighting system includes a wireless switching device for operating an emergency switch in an elevator by transmitting a wireless emergency signal through a radio frequency signal, And a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pparatus.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내에 LED를 기반으로 하는 조명모듈을 제공하여 절전 및 광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평상시에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조명으로 활용을 하며, 정전시 일정시간 동안 미리 설정한 밝기와 시간으로 비상조명을 동작하거나, 승객이 비상버튼을 누른 경우에 조명의 밝기를 평상시의 조명밝기의 150% 이상으로 제어하여 범죄의 예방 및 승객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llumination module based on an LED is provided in an elevator to increase power saving and optical efficiency, and is utilized as illumination inside an elevator at normal tim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rime and give the passenger a sense of security by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to 150% or more of the brightness of the normal lighting when the emergency light is operated or when the passenger pushes the emergency button.

특히, 기존 엘리베이터가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절전을 위해 소등되어 범죄나 구급상황, 비상상황등에 대처가 효율적이지 못한 점을 개선하여, 인체 감지를 통해 엘리베이터 내에 사람이 타고 있는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점등이 되는 상태를 유지하며, 일정시간 점등이 된 상태로 유지되면 자동으로 비상호출을 수행함과 동시에 경광등, 사이렌, 조명의 강도 강화, 음성안내를 통해 비상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 가능하도록 한다.Particularly, when the existing elevator is turned off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not effective to cope with crime, emergency situation, emergency situation, etc., and when the person is in the elevator through human detection, , And when it remains li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will automatically make an emergency call and at the same time, it will be able to cope with an emergency situation efficiently by enhancing the intensity of a warning light, siren, illumination, and voice guidance.

이 경우 비상상황에 따른 호출의 대상을 비상상황에 따라 병원, 관공서, 수리업체로 동시에 연계하도록 하거나 중앙관제실과 병행하여 연계하여 보다 안정성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object of the call accor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hospital, the public office and the repairing company simultaneously or in parallel with the central control room to construct a more stable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작용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무선스위칭 소자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n operational flow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xample of a wireless switching devic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실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 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위(on)"와 "아래(under)"는 "직접 (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ach layer (film), region, pattern or structure is formed "on" or "under" a substrate, each layer The terms " on "and " under " encompass both being formed" directly "or" indirectly " The thickness and size of each layer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Also,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강화용 LED 조명 시스템(이하, '본 시스템'이라 한다.)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구성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n LED lighting system for elevator safety enhan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esent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은 승강기의 내부 공간에 상황에 따른 조광을 제공하는 다수의 LED를 포함하는 LED조명모듈(100)과 상기 승강기 내부의 인체 또는 조도를 감지하여 LED 제어의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모듈(200) 및 상기 센서모듈(200)의 감지 신호에 연동하여 인체 감지시 상기 LED를 점등하고, 인체의 감지 유무에 따른 설정시간을 비교하여 비상점등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LED를 조명장치로 이용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내부의 인체를 감지하여 설정시간과 사용자의 엘리베이터터 내의 체류시간을 비교하여 비상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범죄의 예방이나 구급상황의 효율적인 타개를 위한 조명 제어 및 비상호출시스템을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system includes an LED lighting module 100 including a plurality of LEDs for providing dimming according to a situation in an inner space of an elevator, and basic information on LED control by detecting a human body or illuminance inside the elevator A control module 300 for controlling the emergency lighting by comparing the set tim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human body by illuminating the LED when the human body is sensed in conjunction with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module 200 and the sensor module 200, ). ≪ / RTI > Particularly, in the present system, a plurality of LEDs are used as illumination devices, and a human body inside the elevator is detected to compare the set time with the stay time in the elevator of the us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ituation is an emergency situation. So that the lighting control and the emergency call system can be linked to each other efficiently.

상기 LED조명모듈(100)은 다수의 LED 소자를 조명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LED의 조명 배치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로는, 엘리베이터의 내부 천정판에 복수의 LED를 부착 설치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The LED lighting module 100 allows a plurality of LED elements to be used as illumination. As one embodiment of the illumination arrangement of the LED, for example, a plurality of LEDs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ceiling plate of the elevator.

이 경우, 엘리베이터 내부의 상기 천정판은 열전도성의 금속, 더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구현하여 LED 자체이 방열특성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정판과 결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모든 벽들도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LED에 발광 동작시 발생한 열은 열전도성의 천정판, 더 나아가서는, 엘리베이터의 벽을 이루는 열전도성의 금속을 통해 넓은 방열 경로를 형성하며, 이에 따라, 별도의 방열수단을 설치할 필요없이, LED들로부터 발생한 열이 쉽게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때, 천정판과 LED 사이에는 그 LED가 실장되는 PCB가 포함될 수 있지만, 이 경우, PCB는 여러 LED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이나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하다. 본 시스템에서 일 실시예로 배치될 수 있는 상기 복수의 LED는, 모두 백색광을 발하는 LED들이되, 상기 LED들은 색 온도가 서로 다른 2개 그룹으로 LED로 분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색 온도가 다른 LED의 그룹이 2개이지만,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의 LED 그룹일 수 있다. 또한, 따뜻한 느낌을 주는 온백색(warm white color)의 광을 발하는 LED('WL'로 표시함; 이하, '온백색 LED'라 함)들을 나타낸다. 또한, 상대적으로 차가운 느낌을 주는 주광색(daylight color)의 광을 발하는 LED('DL'로 표시함; 이하, '주광색 LED'라 함)들을 나타낸다. 상기 주광색 LED(12b) 대신에 그와 유사한 색 온도의 냉백색(cool white)의 광을 발하는 LED가 이용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ceiling plate inside the elevator can be realized with a thermally conductive metal, more preferably a stainless steel material, so that the LED itself can efficiently process heat radiation characteristics. Further, all the walls of the elevator coupled with the ceiling plate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In this case, the heat generated in the light emitting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LEDs forms a wide heat radiation path through the thermally conductive ceiling plate, that is, the thermally conductive metal constituting the wall of the elevator. Accordingly, , Heat generated from the LEDs can easily escape to the outside. In this case, a PCB on which the LED is mounted may be included between the ceiling plate and the LED, but in this case, the PCB may be regarded as a part of several LEDs. The plurality of LEDs, which may be arranged in one embodiment in the present system, are all LEDs emitting white light, and the LEDs can be classified as LEDs in two groups with different color temperatures. In this embodiment, there are two groups of LEDs having different color temperatures, but this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be a plurality of LED groups. In addition, they represent an LED (referred to as 'WL' hereinafter) which emits warm white color light that gives a warm feel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daylight color LED') emitting light of daylight color giving a relatively cool feeling. Instead of the daylight-colored LED 12b, an LED that emits cool white light of a similar color temperature may be used.

상기 센서모듈(200)은 엘리베이터 내에 움직이는 물체, 또는 사용자가 들어오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의 예로는 인체의 열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사람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동작센서, 기본적으로 엘리베이터 내부의 조도나 사람이 가지고 있는 디바이스 기기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등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나 타이머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nsor module 200 may include a circuit board including an object moving in the elevator or various sensors for sensing the presence of a user. Examples of such sensors include an infrared sensor for detecting the heat of a human body, an operation sensor for detecting movement of a person, and an illuminance sensor for sensing the illuminance of the inside of the elevator, And a circuit including a driving circuit or a timer circuit for driv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상기 센서모듈(200)은 기본적으로 사람이 엘리베이터 내부에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에 대한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모듈(300)에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사람이 엘리베이터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인지하는 신호가 상기 제어모듈(300)로 송출되는 한, 엘리베이터 내에 조명은 꺼지지 않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일정한 설정시간, 이를테면 엘리베이터가 더 이상 구동하지 않고 정지해 있고 난 후,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사람의 움직임이 없거나 또는 엘리베이터가 사람을 싣고도 그대로 정지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모듈에서는 이를 비상상황의 단계로 일차적으로 가정하고 비상상황여부를 분류하여 비상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상기 센서모듈(200)은 이러한 센싱을 위해 적외선 센서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체감지부(210)와, 엘리베이터 내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부(220), 동작센서를 포함하는 동작감지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nsor module 200 basically determines whether a person is present in the elevator and send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300. It is also preferred that the lighting in the elevator is controlled not to be turned off as long as a signal recognizing that a person is present in the elevator is sent to the control module 300. In this case, the elevator is no longer driven If there is no movement of a pers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stoppage, or if the elevator stops even if a person is loaded, the control module first assumes this as a stage of the emergency situation, classifies the emergency situation, Signal. The sensor module 200 includes a human body sensing part 210 including an infrared sensor for sensing the object, a roughness sensing part 220 sensing the illuminance inside the elevator, a motion sensing part 230 including an operation sensor, As shown in FIG.

상기 제어모듈(300)은 상술한 센서모듈(100)에서 사용자(사람)을 감지하는 신호가 송추되는 경우, 조광제어부(310)에서는 지속적으로 조명이 유지되도록 조명을 설정하게 된다. 즉, 상기 조광제어부(310)는 승강기 내에 인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점등을 지속하도록 제어하며, 기 설정시간 이후 인체감지 정보에 따라 조광의 종류 및 강도를 조절한다. 이를 위해 상기 조광제어부는, 다수의 상황에 따른 기준이 되는 설정 기준시간을 설정하고, 인체의 감지 이후에 역카운팅을 수행하는 설정시간비교부(311)와 인체감지에 따른 점등 지속 이후, 정전상황, 구급상황, 범죄상황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LED의 밝기를 조절하는 조광설정부(312), 그리고 정전상황이나 비상상황에 맞는 비상조명을 구동하는 비상조명구동부(3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When a signal for sensing a user (person) is transmitted from the sensor module 100 to the control module 300, the light control unit 310 sets the illumination so that the illumination is continuously maintained. That is, the dimmer control unit 310 controls the lighting to be continued when a human body is detected to be present in the elevator, and controls the type and intensity of dimming according to human body detection information after a preset time. To this end, the light control agent unit includes a set time comparison unit 311 for setting a set reference time to be a reference according to a number of situations, and performing a counter counting after a human body is detected, A dimming setting unit 312 that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LED when it corresponds to an emergency situation or an offense, and an emergency lighting driver 313 that drives emergency lighting according to a power failure situation or an emergency situation. .

상기 설정시간비교부(311)은 상기 센서모듈(200)에서 인체를 감지하는 경우, 조명이 점등되며 바로 역카운팅을 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가 정지하고 난 이후, 시간을 역카운팅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설정시간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When the sensor module 200 senses the human body, the set time comparison unit 311 performs the counter counting immediately after the illumination is turned on, or the counter counts the time after the elevator stops. In this case, the set time can be set variously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이를테면, 엘리베이터가 정지하고 이를 테면 범죄예방상황 설정시간(5분)이 카운팅 되는 경우, 이 경우에도 사람이 엘리베이터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센서모듈에서 판단이 되면, 비상상황제어부(320)에서 관리사무소 등의 중앙관제실에 자동호출이 이루어지며 동시에 CCTV 영상을 통해 엘리베이터 내부를 확인하게 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사람이 엘리베이터 내부에 존재하는바 엘리베이터의 조명은 꺼지지 않게 되며, 이를 통해 해당 조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자동으로 엘리베이터 내부의 조명을 평상시 밝기의 150%로 강화하도록 제어가 구현될 수 있으며(조광설정부:312), 이는 조명 밝기가 150%로 됨으로써 범죄자에게는 경각심을 줄 수 있으며, 승객이라면 더욱 안정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음성으로 비상상황을 인지했음을 미리 녹음된 음성으로 안내하게 되며, 별도의 내부의 조치가 없는 경우 경계신호, 경광등, 사이렌 등이 부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levator stops and the crime prevention situation setting time (5 minutes) is counted, in this case, if the sensor module determines that the person is present in the elevator, the emergency situation control unit 320 Automatic calls are made to the central control room and the inside of the elevator is confirmed through the CCTV image. Of course, even in this case, when the person is inside the elevator, the lighting of the elevator is not turned off, so that it can take the necessary measures. Of course, control can be automatically implemented to enhance the illumination of the interior of the elevator to 150% of the normal brightness (dimming setting section 312), which gives a warning to the criminals because the lighting brightness is 150% It is possible to have a sense of stability. In addition, the user can be informed by voice that the recogni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is recorded in advance. If there is no other internal action, a boundary signal, a warning light, a siren, and the like can be added.

상기 조광설정부(312)는 상술한 것과 같이 설정된 상황에 따라 조명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것과 같이 비상시에는 조명의 밝기가 150%로 됨으로써 범죄자에게는 경각심을 줄 수 있으며, 승객이라면 더욱 안정감을 가질 수 있게 하거나, 정전이 되는 상황인 경우 40룩스 이상으로 4시간 동안 비상조명을 동작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조명의 설정이나 시간의 설정은 사용자가 변경이 가능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 것인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dimming setting unit 312 performs a function of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set conditions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n emergency,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is set to 150%, thereby giving a warning to the criminals, allowing the passenger to feel more secure, or, in the case of a power failure, The lighting can be implemented to operate. Of course, the setting of the illumination and the setting of the time may be variously modified a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that the user can change.

상기 비상조명구동부(313)는 정전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내부에 있는 것으로 인식되면 비상조명을 통해 조명을 동작하고, 상술한 비상호출을 위한 시간 카운팅 등의 경우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side the elevator, the emergency lighting driver 313 activates the illumination through the emergency light if the user is recognized as being inside the elevator. The emergency lighting driver 313 has a function of enabling the countermeasure in case of the time counting for the emergency call .

상기 제어모듈(300)은 또한 상기 조광제어부에서의 설정시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비상상황여부를 결정하여 호출 및 비상점등신호를 구동하는 비상상황제어부(3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300 may further include an emergency situation controller 320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emergency situation is presen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set time in the light management agent section and driving the call and emergency light signals.

상기 비상상황제어부(320)는 상기 설정시간비교부(311)의 기준시간의 카운팅 결과에 따라 일반비상, 구급비상, 범죄비상 상황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비상상황분류부(321)와 상기 비상상황분류부(321)의 분류결과에 연동하여 해당 상황에 맞는 조명제어신호, 비상호출신호를 제공하는 비상신호처리부(322), 그리고 상기 비상상황분류부(321)의 제어신호에 의해 기 설정된 외부의 단말에 비상호출신호룰 송출하는 비상호출부(3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emergency situation control unit 320 includes an emergency state classifying unit 321 for classifying the emergency state into emergency emergency, emergency emergency and crime emergency according to the counting result of the reference time of the set time comparing unit 311, An emergency signal processor 322 for providing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and an emergency call signal suitable for the corresponding situ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lassification result of the emergency section 321, And an emergency call unit 323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call signal rule to the emergency call unit 321. [

상기 비상상황분류부(321)은 상술한 것과 같이, 일반비상상황, 구급비상상황, 범죄비상상황 등 다양한 상황에 맞게 미리 설정된 시간을 역카운팅한 결과를 토대로 비상상황을 분류하고, 이 결과에 따라 비상신호처리부(322)에서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를테면, 구급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관리사무소인 중앙간제실이나 등록된 병원 응급실에 동시에 비상호출신호를 송출하도록 하며, 엘리베이터의 내외부에 비상경고등을 울려 가장 인접한 경비원이나 인근 사람들로 하여금 선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엘리베이터 내에 비상스위치가 눌러지는 경우라던가, 무선신호로 송출되는 무선비상신호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즉시 비상상황으로 분류하여 이에 해당하는 신호처리를 비상호출부(323)를 통해 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mergency situation classifying unit 321 classifies the emergency situations based on a result of inverse counting a preset time in accordance with various situations such as a general emergency situation, an emergency emergency situation, a crime emergency situation, The emergency signal processing unit 322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For example, in case of an emergency, the emergency call signal should be sent simultaneously to the central office or the emergency room of the registered hospital. Emergency warning lamps shall be sounded a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elevator to allow the nearest security guard or nearby people to take precautionary measures Can be done. When an emergency switch is depressed in the elevator or a radio emergency signal transmitted by a radio signal is detected, the emergency signal is immediately classified into an emergency situation, and the corresponding signal processing is directly performed through the emergency call unit 323 Can be done.

상기 비상신호처리부(322)는 상기 비상상황분류부(321)에서 분류된 비상상황에 따라 해당 신호를 처리하게 되며, 범죄상황이나 구급상황인 경우 비상호출부를 가동하여 비상신호룰 송출하고, 동시에 엘리베이터 내에 디스플레이녹화모듈(330)을 가동하여 녹화 및 촬영을 통해 실시간으로 내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조광설정부(311)나 비상조명구동부(313)을 가동하여 조명의 밝기를 제어, 이를 테면 범죄심리학에서 범죄예방에 가장 최적의 조도로 알려져 있는 평상시 조도의 150%의 조도로 조명의 세기를 밝게 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The emergency signal processor 322 processes the corresponding signal accor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classified by the emergency condition classifying unit 321. In case of a crime situation or an emergency situation, the emergency signal processor 322 activates the emergency call unit to transmit an emergency signal rule, The display recording module 330 is operated to enable the user to grasp the inside of the room through the recording and photographing in real time and to operate the dimming setting unit 311 and the emergency lighting driving unit 313 to control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In order to brighten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with 150% of the normal illuminance, which is known as the most optimal illuminance for crime prevention.

나아가 엘리베이터 내에 경고신호나 사이렌, 음성신호를 통해 비상상태를 인지했음을 알릴 수 있도록 해당 구성을 가동시킨다. 이를 테면, 구급상황으로 위급환자가 쓰러지는 경우, 음성으로 비상상황을 인지하고 이를 처리하고 있음을 지속적으로 알릴 수 이도록 한다. 또는, 범죄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엘리베이터 내 비상상황 인지를 알려 엘리베이터 내에 범죄를 계획한 범인이 사전에 범행을 포기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음성으로 비상상황을 경고하기 위하여 상기 비상상황제어부(320)는 구급상황 및 범죄상황에 해당하는 비상신호시, 비상상태를 인지 및 비상처리상황을 엘리베이터 내에 음성신호로 송출하는 음성신호처리부(3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Further,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is activated so as to notify the elevator of an emergency state through an alarm signal, a siren, and a voice signal. For example, if an emergency patient falls victim to an emergency situation, the patient should be alerted that he / she is aware of the emergency and is handling the emergency. Or, if it is judged as a crime situation, it can be informed of the emergency situation in the elevator and guide the criminal who planned the crime in the elevator to abandon the crime in advance. In order to alert the emergency situation by voice, the emergency situation control unit 320 includes a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324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signal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and a crime situation, And more preferably,

본 시스템에서 엘리베이터 내에 조명의 제어를 통한 안전성을 강화하는 요지는 엘리베이터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cept of enhancing the safety through control of illumination in the elevator in the present system may further include the following embodiment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al situation of the elevator.

즉, 엘리베이터 내에서 범죄상황이나 범죄예비상황,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사용자가 제대로된 대처를 할 수 없어, 불과 수십초 및 수분에 해당하는 경우에도 매우 위험한 상황에 노출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In other word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in the case of an elevator, crime situations, crime preliminary situations, and emergency situations can be exposed to very dangerous situations even if the user can not cope properly and only in a matter of seconds and minutes .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비상스위치(400)를 누르는 경우, 상술한 비상호출신호를 송출하는 과정과 동일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or this, i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mergency switch 400 is pressed as shown in FIG. 1, the same process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ergency call signal transmission can be performed.

즉,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도 1에서 상술한 본 시스템의 작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로, 구체적으로는 제어모듈에서는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요소를 새로 수집하기 위해 초기화를 수행하고, 센서모듈에서 인체감지를 수행하고, 동시에 설정시간을 카운팅하여 일반비상(절전, 비상정지로 문이 안 열림 등)상황이나 범죄상황(범죄를 목적으로 엘리베이터 내에 숨어서 기다리는 상황), 구급상황(환자가 실신하거나 움직이지 못하는 발작, 통증으로 못 움직이는 상황 등)을 판단하여 비상호출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내의 조명을 강화하고 음성안내나 경고 사이렌 등을 수행하게 된다.That is, referring to FIG. 2, this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present system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performs initialization to newly collect element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At the same time, waiting for the victim to hide in the elevator for the purpose of crime), emergency (the patient is fainting, A non-moving seizure,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can not move due to pain, etc.), sends out an emergency call signal, enhances the illumination in the elevator, and performs voice guidance and warning sirens.

이러한 과정은 조명제어와 연동하는 본 시스템만의 특화된 구성이나, 상술한 것과 같이 엘리베이터 내의 특수성상 이러한 설정시간의 카운팅마저 어려운 상황에서는 엘리베이터 내의 비상스위치를 누르는 경우, 바로 비상호출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른 조명의 강도가 강화되며 음성안내 등이 수행되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is process is a special configuration only for this system linked to the lighting control. 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the situation where counting of the set time is difficult even in the special feature in the elevator, emergency call is immediately made in the case of pressing the emergency switch in the elevator. The intensity of the illumination is enhanced and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voice guidance and the like can be performed.

그러나 만일 엘리베이터 내에서 비상스위치도 누르지 못하는 상황, 응급환자가 바닥에 쓰러져 마비되어 있는 경우 높이가 높은 비상스위치를 누를 수 없으며, 범죄자가 함께 승차하여 제압을 당한 경우에도 매우 짧은 시간(수분)에 사고가 커질 수 있으므로, 별도의 무선스위치를 통해 비상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연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However, if the emergency switch can not be depressed in the elevator, and the emergency patient is paralyzed on the floor, the emergency high switch can not be depressed. Even if the criminal is overtaken by the rider, It is more preferable to be connected so that the emergency signal can be transmitted through a separate wireless switch.

이를테면, 도 3과 같이, 기존의 승강기 내부에 구비되는 비상스위치를 누름으로써, 비상신호를 송출하는 방식에서 나가아, 무선단말기를 이용하여 비상신호를 송출하는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비상스위치를 누를 수 없는 상황에서도 무선단말을 이용해 비상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기존의 비상스위치를 누르는 경우 발생하는 비상신호(제1신호)와는 다른 비상신호(제2비상신호)로 구현하여, 비상신호를 송신받는 경우, 바로 범죄나 비상상황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대처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이 경우에는 상기 제어모듈에서 이러한 비상신호를 수신할 무선수신소자를 구비하며, 외부로 유선 또는 무선의 비상신호를 송출한 송출소자를 더 구비함이 더욱 바람직하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by embodying a method of sending an emergency signal by using a wireless terminal instead of a method of transmitting an emergency signal by pressing an emergency switch provided in an existing elevator, So that the emergency signal can be transmitted using the wireless terminal even in the absence of the emergency signal. In this case, it is implemented as an emergency signal (second emergency signal) different from the emergency signal (first signal) generated when an existing emergency switch is pressed, so that when an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it can be immediately recognized as a crime or an emergency And to perform coping. Of course, in this cas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ontrol module further includes a transmitting element which has a wireless receiving element for receiving the emergency signal and transmits a wired or wireless emergency signal to the outside.

예를 들면, 승강기 내에 본 시스템의 비상신호의 호출을 구동할 수 있는 무선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위급상황에 처하게 된 경우, 상황에 따른 무선단말의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입력신호를 형성할 경우 무선단말에는 적어도 1 개 이상의 다른 무선신호를 형성하는 입력신호스위치를 구비하며, 긴급상황(의료상황, 부상상황으로 비상스위치를 누르지 못하는 경우)이나 승강기 고장상황, 위급상황(범죄등에 노출되어 운신이 어려운 상황)에 누를 수 이는 입력신호스위치를 구비하며, 잘못 누르는 경우에 송출신호를 해제할 수 있는 해제신호를 형성하는 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입력신호스위치는 리모컨 형태의 작은 단말기에 구비되는 구조물일 수도 있으며, 지갑이나 가방, 주머니에 휴대할 수 있는 교통카드 형태일 수도 있으며, 열쇠고리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자가 아니고는 쉽게 식별할 수 없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어떠한 형태의 구조를 구비하던지 간에, 상기 입력신호스위치은 압력식이나 터치식의 입력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구성부로 구현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단일한 입력신호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테면, 특정한 펄스를 가지는 무선주파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하여, 이를 비상신호 스위치의 구동신호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엘리베이터 내부의 LED의 조명 강도를 강하게 제어되어 예방 및 안전조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a user having a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driving a call of an emergency signal of the present system is placed in an emergency in an elevator, when an input signal is formed by depressing a switch of the wireless terminal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wireless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input signal switch for forming at least one or more different radio signals and is provided with an input signal switch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signal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medical condition, emergency switch is not pressed due to an injury situa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comprise a switch which has an input signal switch which can be pressed in a difficult situation, and which forms a release signal for releasing the transmission signal in the case of erroneous depression. In this case, the input signal switch may be a structure provided in a small terminal in the form of a remote control, a form of a transportation card that can be carried in a wallet, a bag or a pocket, or a key ring, It can also be implemented as a structure that can not be used. Regardless of the structure of the input signal, the input signal switch can be implemented as a component capable of generating a pressure-type or touch-type input signal, thereby realizing a single input signal.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emit a radio frequency signal having a specific pulse, which can be implemented as a driving signal of an emergency signal switch. In this case, the illumination intensity of the LED in the elevator is strongly controlled, .

도 3은 LED 조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모듈과 연동할 수 있는 무선스위칭장비의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wireless switching device capable of interfacing with a control module to perform LED lighting control.

도 1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시스템에서의 무선 스위칭장비(500)는 상기 제어모듈(300)의 비상상황제어부(320) 및 비상신호처리부(322)를 무선으로 구동시키는 입력신호스위치(110)와 상기 입력신호스위치(110)에서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른 입력신호를 형성하는 입력신호형성부(120), 그리고 상기 입력신호를 무선송출하는 무선신호송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3, the wireless switching equipment 500 in the present system includes an input signal switch (not shown) for wirelessly driving the emergency state control unit 320 and the emergency signal processing unit 322 of the control module 300 An input signal forming unit 120 for form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switching signal input from the input signal switch 110 and a wireless signal transmitting unit 130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input signal, Lt; / RTI >

특히, 도 3에 도시된 구성 블록도와 같이, 본 시스템의 무선스위칭장비(500)은 다양한 입력신호를 구현할 수 있도록 스위치를 복수 개를 형성하여, 범죄 등의 긴급상황인 경우에 긴급 비상신호와 관련한 주파수를 발생하는 제1스위치(111)나, 승강기가 정지하여 위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고장 신호와 관련된 특정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제2스위치(112), 나아가 갑작스런 병이나 응급의료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승강기 벽에 설치된 비상스위치를 누르지 못할 상황에 해당하는 제3신호를 발생하는 제3스위치(113) 등 특정 상황에 따라 주파수의 선택을 달리하여 다양한 긴급상황에 따른 신호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수로 본 시스템의 무선단말의 긴급상황에 따른 스위치를 누르게 되는 경우, 일정한 패턴에 따른 해제신호를 발생(이를테면, 스위치를 연속하여 5번을 누르는 경우 해제신호로 인식)시키는 제4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시킬 수 있다.3, the wireless switching device 500 of the present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switches for implementing various input signals. In the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crime, A first switch 111 for generating a frequency, a second switch 112 for generating a specific frequency related to a fault signal when an elevator is stopped and an emergency occurs, and further, when a sudden illness or emergency medical situation occurs, The third switch 113 for generating a third signal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in which the emergency switch installed on the wall can not be depressed can be formed so that signals according to various emergency situations can be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election of the frequency according to a specific situation . In addition, a fourth switch for generating a release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for example, recognizing the release signal when the switch is continuously pressed 5 times) when the switch of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system is accidentally pressed by mistake .

상술한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에 따른 스위칭 신호는 무선단말(100)의 입력신호형성부(120)을 통해 송출이 가능한 무선신호로 가공되도록 하는 입력신호 형성부(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입력신호형성부(120)의 경우, 무선단말(100)을 소유하는 소유자의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고유코드저장부(140)과 연동하여 특정한 주체의 긴급신호로 인식하도록 하는 무선신호로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입력신호형성부(120)는 상술한 제1스위치 내지 제4스위치에서 스위칭 신호를 받아 각기 다른 비상신호의 펄스로 무선주파수를 송출하도록 할 수 있는 제1내지 제4신호형성부(121~1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witching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put signal forming unit 120 that processes the switching signal into a wireless signal that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input signal forming unit 120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It is possible. In the case of the input signal forming unit 120, the input signal forming unit 120 is processed into a radio signal to be recognized as an urgent signal of a specific subject in cooperation with a unique code storage unit 140 that stores a unique code of an owner possessing the wireless terminal 100 It is also possible. The input signal forming unit 120 includes first to fourth signal forming units 121 to 124 that can receive switching signals from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and emit radio frequencies with pulses of different emergency signals, ). ≪ / RTI >

아울러, 예시로 설명한 것과 같이 잘못 누른 경우에 일정한 시간 내에 해제신호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일정한 해제신호의 패턴을 인지하여 비상신호 스위칭이 이루어진 후 기준 시간을 판단하는 시간비교기(151) 및 일정한 정해진 패턴이 입력되는 지의 요건을 판단하는 입력펄스비교기(152)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제어부(15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ime comparator 151 recognizes a predetermined pattern of the release signal and determines the reference time after the emergency signal switching is performed when the release signal can be 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 the case where the user accidentally depresses, And an input pulse comparator 152 for determining the requirement of whether a predetermined fixed pattern is input or not.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구성에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The term 'portion' used in various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or FPGA or ASIC, and 'par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Quot; to "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play one or more processors. Thus, by way of example, 'parts' may refer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may be further combined with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components or further components and components. In addition,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back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xample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100: LED 조명모듈
200: 센서모듈
210: 인체감지부
220: 조도감지부
230: 동작감지부
300: 제어모듈
310: 조광제어부
311: 설정시간비교부
312: 조광설정부
313: 비상조명구동부
320: 비상상황제어부
321: 비상상황분류부
322: 비상신호처리부
323: 비상호출부
324: 음성신호처리부
330: 디스플레이녹화모듈
400: 비상스위치모듈
500: 무선스위치장비
100: LED lighting module
200: Sensor module
210:
220:
230:
300: control module
310: Illuminator fisherman
311: Setting time comparison unit
312: dimming setting unit
313: Emergency lighting driver
320: Emergency situation control unit
321: Emergency situation classifier
322: Emergency signal processor
323: Emergency call part
324: Audio signal processor
330: Display recording module
400: Emergency switch module
500: Wireless switch equipment

Claims (9)

승강기의 내부 공간에 상황에 따른 조광을 제공하는 다수의 LED를 포함하는 LED조명모듈(100);
상기 승강기 내부의 인체 또는 조도를 감지하여 LED 제어의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모듈(200): 및
상기 센서모듈(200)의 감지 신호에 연동하여 인체 감지시 상기 LED를 점등하고, 인체의 감지 유무에 따른 설정시간을 비교하여 비상점등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300);
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강화용 LED 조명 시스템.
An LED lighting module (100) comprising a plurality of LEDs for providing dimming in situ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elevator;
A sensor module (200) for detecting a human body or illuminance inside the elevator and providing basic information of LED control; and
A control module 300 for turning on the LED when the human body is sensed in conjunction with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module 200, and comparing the set time according to whether the human body is sensed or not to control the emergency lighting;
And an elevator safety lighting LED lighting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300)은,
상기 승강기내에 인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점등을 지속하도록 제어하며, 기 설정시간이후 인체감지 정보에 따라 조광의 종류 및 강도를 조절하는 조광제어부(310);
상기 조광제어부에서의 설정시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비상상황여부를 결정하여 호출 및 비상점등신호를 구동하는 비상상황제어부(320);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강화용 LED 조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module (300)
A light control unit (310)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to be continued when a human body is detected in the elevator, and for controlling the type and intensity of light control according to human body detection information after a preset time;
An emergency situation control unit (320)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emergency situa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of the set time in the light management agent unit and driving a call and emergency lighting signal;
And an elevator safety lighting LED lighting syste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광제어부(310)는,
다수의 상황에 따른 기준이 되는 설정 기준시간을 설정하고, 인체의 감지 이후에 역카운팅을 수행하는 설정시간비교부(311);
인체감지에 따른 점등 지속 이후, 정전상황, 구급상황, 범죄상황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LED의 밝기를 조절하는 조광설정부(312);
정전상황이나 비상상황에 맞는 비상조명을 구동하는 비상조명구동부(313);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강화용 LED 조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light control unit (310)
A set time comparing unit 311 for setting a set reference time to be a reference according to a number of situations and performing a counter counting after detection of a human body;
A dimming setting unit (312) that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LED when the LED is in any one of a power failure status, an emergency status, and an offense status after lighting according to human body detection;
An emergency light driver 313 for driving emergency light corresponding to a power failure situation or an emergency situation;
And an elevator safety lighting LED lighting system.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비상상황제어부(320)는,
상기 설정시간비교부(311)의 기준시간의 카운팅 결과에 따라 일반비상, 구급비상, 범죄비상 상황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비상상황분류부(321);
상기 비상상황분류부(321)의 분류결과에 연동하여 해당 상황에 맞는 조명제어신호, 비상호출신호를 제공하는 비상신호처리부(322);
상기 비상상황분류부(321)의 제어신호에 의해 기 설정된 외부의 단말에 비상호출신호룰 송출하는 비상호출부(323);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강화용 LED 조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emergency situation control unit 320,
An emergency situation classifying unit 321 classifying the setting time comparing unit 311 into one of a general emergency, an emergency emergency, and a crime emergency according to a counting result of the reference time of the set time comparing unit 311;
An emergency signal processing unit (322) for providing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and an emergency call signal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situation in connection with the classification result of the emergency situation classification unit (321);
An emergency call unit 323 for sending an emergency call signal rule to an external terminal preset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emergency situation classifying unit 321;
And an elevator safety lighting LED lighting system.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비상상황제어부(320)은,
구급상황 및 범죄상황에 해당하는 비상신호시, 비상상태를 인지 및 비상처리상황을 엘리베이터 내에 음성신호로 송출하는 음성신호처리부(324);
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강화용 LED 조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emergency condition control unit 320,
A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324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state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and a crime situation, an emergency state, and a state of emergency processing in the elevator as a voice signal;
And an elevator safety lighting system.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300)은,
상기 비상상황제어부(320)의 비상신호 호출에 연동하여 엘리베이터내의 상황을 촬영 및 녹화하는 CCTV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모듈(330)을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강화용 LED 조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module (300)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module (330) including a CCTV that captures and records the situation within the elevator in conjunction with an emergency signal call of the emergency condition controller (320).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안전강화용 LED 조명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내에 비상스위치가 눌러지는 경우 상기 조광제어부에서 평상시의 조명밝기의 150% 이상으로 조명의 강도를 강화하도록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강화용 LED 조명 시스템.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LED lighting system for elevator safety enhancement comprises:
And when the emergency switch is depressed in the elevator, the dimmer control unit controls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to be increased to 150% or more of the normal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안전강화용 LED 조명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내에 비상스위치를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무선비상신호를 송출하여 가동하는 무선스위칭 장치 및 상기 무선스위칭 장치에서 송출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강화용 LED 조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LED lighting system for elevator safety enhancement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switching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emergency signal through an emergency switch in an elevator, and a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switching devic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무선스위칭 장치의 무선비상신호의 송출시 상기 조광제어부에서 평상시의 조명밝기의 150% 이상으로 조명의 강도를 강화하며, 상기 비상호출부에서 비상호출신호를 중앙관제실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안전강화용 LED 조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mergency ligh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room from the emergency call part when the wireless emergency signal of the wireless switching device is transmitted,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is increased to 150% or more of the normal light brightness in the light control part, LED lighting system for safety enhancement.
KR1020140006638A 2014-01-20 2014-01-20 LED lighting system for enhanced safety elevator KR1015821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638A KR101582167B1 (en) 2014-01-20 2014-01-20 LED lighting system for enhanced safety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638A KR101582167B1 (en) 2014-01-20 2014-01-20 LED lighting system for enhanced safety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679A true KR20150086679A (en) 2015-07-29
KR101582167B1 KR101582167B1 (en) 2016-01-04

Family

ID=53876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638A KR101582167B1 (en) 2014-01-20 2014-01-20 LED lighting system for enhanced safety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16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8897A (en) * 2003-05-16 2004-12-0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Crime prevention operation device for elevator
KR20100002447A (en) * 2008-06-30 2010-01-07 장병국 Crime prevention device for elevator and crime preven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120016691A (en) * 2010-08-17 2012-02-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The elevator lighting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8897A (en) * 2003-05-16 2004-12-0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Crime prevention operation device for elevator
KR20100002447A (en) * 2008-06-30 2010-01-07 장병국 Crime prevention device for elevator and crime preven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120016691A (en) * 2010-08-17 2012-02-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The elevator lighting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167B1 (en) 2016-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1301B2 (en) Wireless children's safety light in a security system
US20060197661A1 (en) Alarm having illumination feature
JP3147873U (en) Alarm
CN112368750B (e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US11749085B2 (en) Elderly care and security system
CN205535314U (en) Intelligence fire emergency lighting lamp
US20220319285A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TW201724039A (en) Multifunctional home monitoring system combined with lighting device
JP6703614B2 (en) Smart home care lighting equipment
CN106128338A (en) A kind of fire fighting evacuation indicator with voice broadcast function
KR101576786B1 (en) Intelligent safety lighting
CN102865507A (en) Intelligent indication lighting lamp and intelligent emergency lighting system thereof
JP3147874U (en) Alarm
KR101582167B1 (en) LED lighting system for enhanced safety elevator
KR20220008408A (en) Silver Care Systems using a Companion Robot
KR20100000252A (en) Guide appratus for fire safety
WO2017101747A1 (en) Multifunctional home monitoring system with lighting device
JP2010198616A (en) Alarm
KR101543993B1 (en) A Elevator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JP2006213455A (en) Elevator crime prevention operation device
TWM444572U (en) Intelligent emergency indication illuminating lamp and system
JP2008310825A (en) Security system
KR102614695B1 (en) Smart Emergency Bell Device and Alert System Using the Same
JP2015095420A (en) Illumination control device and illumination system
US1024916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a risk of flicker vertigo caused by notification appliances in security and fire alarm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209

Effective date: 20151130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