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6610A - 편편형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편편형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6610A
KR20150086610A KR1020140006485A KR20140006485A KR20150086610A KR 20150086610 A KR20150086610 A KR 20150086610A KR 1020140006485 A KR1020140006485 A KR 1020140006485A KR 20140006485 A KR20140006485 A KR 20140006485A KR 20150086610 A KR20150086610 A KR 20150086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ircuit board
coupled
coi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이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호 filed Critical 이인호
Priority to KR1020140006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6610A/ko
Publication of KR20150086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6Magnet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21V23/023Power supplies in a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7/00Cable-stow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e.g. reels 
    • F21V27/02Cable 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된 브러시, 상기 브러시의 하부에 접촉하여 형성되고 정류자가 구비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된 코일, 상기 회로기판 및 상기 코일과 일체로 결합된 베어링을 포함한 회전자, 상기 베어링의 중심에 배치된 지지축, 상기 코일과 마주보고 배치된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의 하부에 결합되는 단열부재 및 상기 브러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편편형 진동모터에 있어서, 진동모터의 하부에 전원공급장치를 배치하여 표면실장이 가능하도록 개선하여 자동화공정이 가능하고, 전선의 연결 또는 배선처리에 의한 공간손실을 없앨 수 있도록 하였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표면실장기술을 적용하면 열에 의해 브러시의 처짐이 발생하여 브러시가 정류자와 접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브러시가 회전자에 눌림으로 인해 브러시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편형 진동모터는 브러시를 회전자의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브러시가 회전자에 눌림이 발생하지 않고, 열에 의해 브러시의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회전자에 구비된 정류자가 브러시의 하측에 배치되어 항상 브러시와 접촉을 유지할 수 있어 전원 공급에 문제가 없다.
또한 영구자석과 브러시를 서로 다른 면에 배치하여 회로기판의 정류자를 영구자석과 대향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구자석의 내측에 브러시를 배치하는 공간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직경이 작아 소형 기기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브러시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회전자가 브러시로부터 받는 힘을 작게 함으로써, 작은 힘에도 회전자가 회전하여 동작할 수 있는 저전력 소형의 편편형 진동모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편편형 진동모터 {Flat type 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편편형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 휴대 단말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 게임기 또는 리모콘 등의 소형 제품에 장착될 수 있도록 크기가 작아 장착성이 좋으며 전력소모량이 낮은 편편형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기기에서 반드시 필요한 기능 중의 하나가 착신기능이다. 이러한 착신기능으로 소리 또는 진동으로 알려주는 기능이 있다. 이 중 진동기능은 스피커를 통해 멜로디나 벨이 외부로 전달되어 타인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진동을 위해서는 소형의 진동자를 구동시켜, 그 구동력이 기기의 케이스로 전달되도록 하여 기기가 진동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진동모터는 그 형상에 따라 실린더형과 편편형 등이 있으며, 그 중 편편형 진동모터는 두께를 얇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여 제품의 소형화에 유리하고 선형 진동모터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이 활발해지며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안경, 시계, 목걸이 등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는 기기로서 크기가 작아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진동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저전력 고성능의 소형 진동모터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진동모터를 장착할 때 전원공급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공간이 별도로 마련되어야하고 전선을 전원에 연결시켜야하는 불판함이 있다. 그리고 전선은 솔더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데, 이 때 냉납, 합선 등의 불량이 발생되기 쉽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내부의 공간이 협소하므로 전선의 배선처리 또한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진동모터의 하부에 전원공급장치를 배치하여 표면실장이 가능하도록 개선하여 자동화공정이 가능하고, 전선의 연결 또는 배선처리에 의한 공간손실을 없앨 수 있도록 하였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표면실장기술을 적용하면 열에 의해 브러시의 처짐이 발생하여 브러시가 정류자와 접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브러시가 회전자에 눌림으로 인해 브러시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편형 진동모터는 브러시를 회전자의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브러시가 회전자에 눌림이 발생하지 않고, 열에 의해 브러시의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회전자에 구비된 정류자가 브러시의 하측에 배치되어 항상 브러시와 접촉을 유지할 수 있어 전원 공급에 문제가 없다.
또한 영구자석과 브러시를 서로 다른 면에 배치하여 회로기판의 정류자를 영구자석과 대향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구자석의 내측에 브러시를 배치하는 공간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직경이 작아 소형 기기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브러시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회전자가 브러시로부터 받는 힘을 작게 함으로써, 작은 힘에도 회전자가 회전하여 동작할 수 있는 저전력 소형의 편편형 진동모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된 브러시, 상기 브러시의 하부에 접촉하여 형성되고 정류자가 구비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된 코일, 상기 회로기판 및 상기 코일과 일체로 결합된 베어링을 포함한 회전자, 상기 베어링의 중심에 배치된 지지축, 상기 코일과 마주보고 배치된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의 하부에 결합되는 단열부재 및 상기 브러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축에 관통되고 상기 베어링과 접촉하는 와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 공급장치는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 일부가 결합되고 상기 브러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또 다른 일부가 상기 단열부재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일측면에 표면 실장이 가능하도록 외부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의 일측면에 지지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코일, 상기 웨이트 및 상기 베어링을 지지부재의 일측면에 고정하여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의 일측면에 상기 웨이트 및 상기 코일을 결합하고, 상기 베어링과 일체로 결합된 지지부재를 배치하여 상기 회로기판과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단열부재가 상기 전원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며 외부전극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에 스토퍼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스토퍼를 영구자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금속, 수지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브라켓의 일부에 요철 형태의 돌기를 두어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브러시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측방향으로 접촉단자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와 상기 단열부재를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축의 일측면에 결합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와 상기 결합부재를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외부케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측에 단열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단열재는 에폭시, 수지, 고무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잇점들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모터의 하부에 전원공급장치를 배치하여 표면실장이 가능하도록 개선하여 자동화공정이 가능하고, 전선의 연결 또는 배선처리에 의한 공간손실을 없앨 수 있도록 하였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표면실장기술을 적용하면 열에 의해 브러시의 처짐이 발생하여 브러시가 정류자와 접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브러시가 회전자에 눌림으로 인해 브러시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편형 진동모터는 브러시를 회전자의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브러시가 회전자에 눌림이 발생하지 않고, 열에 의해 브러시의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회전자에 구비된 정류자가 브러시의 하측에 배치되어 항상 브러시와 접촉을 유지할 수 있어 전원 공급에 문제가 없다.
또한 영구자석과 브러시를 서로 다른 면에 배치하여 회로기판의 정류자를 영구자석과 대향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구자석의 내측에 브러시를 배치하는 공간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직경이 작아 소형 기기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브러시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회전자가 브러시로부터 받는 힘을 작게 함으로써, 작은 힘에도 회전자가 회전하여 동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 본 발명에 따른 편편형 진동모터에 대한 단면도
도2 본 발명에 따른 편편형 진동모터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3 본 발명에 따른 편편형 진동모터의 브러시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4 본 발명에 따른 편편형 진동모터의 외부전극의 실시 예
도5 회전자에 구비된 회로기판의 정류자 배치 및 웨이트 형상의 실시 예
도6 회로기판에 구비된 정류자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
도7 본 발명에 따른 편편형 진동모터의 다른 실시 예
도8 본 발명에 따른 편편형 진동모터의 또 다른 실시 예
도9 브러시에 구비된 접촉단자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
도10 본 발명에 따른 편편형 진동모터의 또 다른 실시 예
도11 본 발명에 따른 편편형 진동모터의 또 다른 실시 예
도12 전원입력장치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재 및 고정부의 실시 예
도13 본 발명에 따른 편편형 진동모터의 또 다른 실시 예
도14 본 발명에 따른 편편형 진동모터의 또 다른 실시 예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편편형 진동모터(100)의 단면도이고, 도2는 상기 편편형 진동모터(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편형 진동모터(10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의 상면에 결합된 브라켓(111), 상기 브라켓(111)의 하부에 배치된 브러시(123), 상기 브러시(123)와 접촉된 정류자(133)를 포함한 회로기판(119), 상기 회로기판(119)에 결합된 코일(125), 상기 회로기판(119)에 결합된 웨이트(127), 상기 회로기판(119)의 회전 중심에 결합된 베어링(117), 상기 베어링(117)의 중심에 배치된 지지축(121), 상기 코일(125)과 마주보고 배치된 영구자석(113), 상기 영구자석(113)의 하부에 결합되는 단열부재(129), 상기 브라켓(111)의 하면에 일부가 결합되고 상기 브러시(123)와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단열부재(129)의 하면에 결합되는 전원공급장치(115)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내부에 상기 편편형 진동모터(100)의 구성품을 포함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10)의 일부에 상기 브라켓(111)이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이물, 충격 등을 방지하여 준다.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영구자석(113)에서 발생하는 자력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강자성체의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125)은 상기 회로기판(119)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115)와 상기 브러시(123) 및 상기 회로기판(119)을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코일(125)은 상기 회로기판(119)에 열융착 또는 용접 또는 솔더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113)은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코일(125)과 마주보고 배치되어 상기 코일(125)과 상호작용을 하여 전자기력을 발생하여 상기 코일(125)과 상기 지지부재(141), 상기 웨이트(127), 상기 베어링(117) 및 상기 회로기판(119)으로 구성된 회전자(120)가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회전자(120)는 상기 회로기판(119)의 일측면에 지지부재(141)를 배치하고 상기 코일(125), 상기 웨이트(127) 및 상기 베어링(117)을 상기 지지부재(141)의 일측면에 고정하여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자(120)는 상기 회로기판(119)의 일측면에 상기 웨이트(127) 및 상기 코일(125)을 결합하고, 상기 베어링(117)과 일체로 결합된 지지부재(141)를 배치하여 상기 회로기판(119)과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자(120)는 상기 지지부재(141)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회로기판(119)의 일부에 상기 코일(125)과 상기 웨이트(127) 및 상기 베어링(117)을 배치하고 사출을 통하여 일체로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베어링(117)은 상기 지지축(121)과 접촉되어 상기 지지축(121)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자(120)가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베어링(117)은 소결 함유 베어링 또는 수지 베어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127)는 상기 회전자(120)에 편심을 주어, 상기 코일(125)과 상기 영구자석(113)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회전자(120)가 회전운동을 할 때 진동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며, 진동력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 상기 웨이트(127)는 텅스텐 등의 비중이 큰 재질을 사용하여 질량을 크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웨이트(127)의 일부가 상기 회로기판(119)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웨이트(127)의 무게를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자(120)에 더 큰 편심을 주어 진동력을 극대화 시킬 수도 있다.
상기 지지축(121)의 일측면에 결합부재(145)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축(121)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45)는 금속판을 프레스 등의 가공을 통하여 형성하거나 사출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자(120)가 회전시 상기 결합부재(145) 등과 마찰에 의한 회전력 감소, 소음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축(121)에 관통되며 상기 회전자(120)와 접촉하는 와샤(137)를 구비하여 마찰을 감소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123)는 상기 영구자석(113)의 내측보다 보다 크게하여 상기
영구자석(113)의 축방향 상측면의 위에 배치되되 정류자(133)와 접촉하도록 한쌍의 브러시(123)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브러시(123)의 길이를 길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123)의 길이가 길면 상기 브러시(123)의 탄성이 작아 상기 브러시(123)에 의해 상기 회전자(120)의 회전운동을 방해하는 힘이 작아짐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상기 회전자(120)가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저전력으로도 상기 회전자(120)를 회전시킬 수 있어 상기 편편형 진동모터(100)를 저전력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구자석(113)의 내측에 상기 브러시(123)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상기 영구자석(113)의 직경을 작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편편형 진동모터(100)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123)가 상기 브라켓(111)의 하부에서부터 상기 회전자(120)의 상부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브러시(123)가 상기 회전자(120)에 눌려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며, 상기 브러시(123)가 상기 정류자(133)의 상측면에 접촉되는 구조로 표면실장시 열에 의해 상기 브러시(123)의 처짐이 발생하여도 상기 브러시(123)가 상기 정류자(133)와 항상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안정적인 전원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편편형 진동모터(100)에 표면실장기술을 적용하여도 열에 의해 브러시(123)가 처짐으로써 전원연결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전원공급장치(115)는 일부가 상기 브라켓(111)의 하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브러시(1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또 다른 일부는 상기 단열부재(129)의 하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전원공급장치(115)의 일측면에 외부전극(149)을 배치하여 상기 편편형 진동모터(100)에 표면실장기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상기 편편형 진동모터(100)의 설치를 자동화 시킬 수 있으며 전원을 연결하기 위해 전선을 사용하지 않아 전선의 배치 및 연결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설치와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선을 연결시키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공정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단열부재(129)는 상기 영구자석(113)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편편형 진동모터(100)에 표면실장기술을 적용할 때 외부에서 가해지는 열을 차단하여 상기 영구자석(113)의 자력이 열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여준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편편형 진동모터(100)의 브러시(123) 배치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편편형 진동모터는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123)가 회전자(120)의 하측에 배치되며 브러시(123)가 바닥에 고정되고 위쪽으로 회전자(120)를 지지하는 구조이다. 종래의 편편형 진동모터는 표면실장기술을 적용하면 상기 브러시(123)가 열에 의해 처짐으로써 상기 회전자(120)에 구비된 정류자(133)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회전자(120)의 하중에 의해 상기 브러시(123)가 눌려 변형이 발생되기 쉽다.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편편형 진동모터(100)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123)가 회전자(12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자(120)에 의한 눌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브러시(123)가 상측에 고정되고 하측으로 뻗어있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열에 의한 처짐이 발생하여도 상기 브러시(123)가 정류자(133)과 항상 접촉되어 안정적으로 전원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4은 본 발명에 따른 편편형 진동모터(100)의 상기 외부전극(149)을 구성한 실시 예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전극(149)을 나란히 배치할 수도 있고, 하나의 외부전극(149)이 다른 외부전극(149)을 둘러싸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도5(a)는 상기 회로기판(119)의 직경을 최대로 하고, 상기 정류자(133)를 상기 회로기판(119)의 일측면의 외곽으로 배치한 것의 실시 예이다. 상기 정류자(133)가 외곽으로 배치되면 상기 정류자(133)에 접촉되는 상기 브러시(123) 또한 더 길게 구성할 수 있어 상기 브러시(123)의 탄성을 최소로 하여 상기 회전자(120)를 저전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5(b)는 상기 회로기판(119)의 직경을 상기 회전자(120)의 직경보다 작게하고, 상기 정류자(133)를 상기 회로기판(119)의 일측면의 외곽으로 배치한 것의 실시 예이다. 상기 회로기판(119)의 일측면에 결합된 웨이트(127)의 일부가 상기 회로기판(119)의 측면까지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웨이트(127)의 부피를 크게 할 수 있어 상기 웨이트(127)의 무게를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자(120)에 더 큰 편심을 주어 상기 회전자(120)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진동력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 즉, 도 5(a)와 도 5(b) 에서 상기 정류자(133)는 상기 영구자석(113)의 내측보다 보다 크게하여 상기 영구자석(113)의 축방향 하측면의 아래에 배치되되 상기 브러시(123)와 접촉하도록 한쌍의 브러시(123)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브러시(123)의 길이를 길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5(c)는 종래의 회전자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회전자는 브러시가 영구자석의 내측에 배치되므로 상기 브러시와 접촉되는 정류자의 직경이 작게 구성되어 회로기판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6(a)는 본 발명에 따른 편편형 진동모터(100)의 상기 회로기판(119)의 일측면에 구비된 상기 정류자(133)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시(123)가 상기 영구자석(113)과 마주보고 배치되어 상기 브러시(123)가 상기 영구자석(113)에 의해 길이가 제한되지 않아 상기 브러시(123)를 길게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브러시(123)에 접촉하는 상기 정류자(133)는 상기 영구자석(113)의 대향하는 면에 배치된다.
도6(b)는 종래의 편편형 진동모터(200)의 정류자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가 영구자석의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길이가 짧게 구성되어 있으며, 브러시에 접촉하는 정류자 또한 영구자석의 내측으로 직경이 작게 배치되어 있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편편형 진동모터(10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열부재(129)를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하여 상기 단열부재의 일측면에 외부전극(149)를 구비하고, 상기 단열부재(129)의 일부에 상기 전원공급장치(11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열부재(129)와 상기 전원공급장치(115)는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편편형 진동모터(10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111)의 일측면에 스토퍼(139)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충격 발생시 상기 회전자(120)를 지지하여 충격에 의한 상기 회전자(120)의 파손 또는 상기 브러시(123)의 눌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39)는 금속, 수지 등의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실리콘 또는 고무 등의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139)를 영구자석으로 구성하여 상기 코일(125)에 작용하는 자력을 크게하여 상기 편편형 진동모터(100)의 진동력을 극대화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139)는 상기 브라켓(111)의 일부에 요철 형태의 돌기를 두어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시(123)의 상기 정류자(133)와 접촉하는 접촉단자(143)를 상기 브러시(123)의 중심축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구성하여 상기 브러시(123)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최소로 함으로써, 상기 스토퍼(139)를 크게 구성하여 상기 스토퍼(139)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즉 상기 브러시(123)의 접촉단자(143)가 한 쌍을 이루되 브러시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접촉단자(143)를 형성하여 상기 브러시(123)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최소화 하도록 하였다.
도10은 상기 케이스(110)와 상기 단열부재(129)를 일체로 구성하여 부품수를 줄여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 때 상기 결합부재(145)도 함께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편편형 진동모터(10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입력장치(115)를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으로 배치하여 상기 전원입력장치(115)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원입력장치(115)의 배치시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에 상기 전원입력장치(115)를 밀착시켜 상기 회전자(120)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부재(135)를 배치하여 상기 전원입력장치(115)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35)는 금속재질의 링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고, 사출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12(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35)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입력장치(115)를 고정할 수도 있고, 도1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111)의 일부에 고정부(131)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재(135)와 같은 효과를 낼 수도 있다.
도13은 상기 편편형 진동모터(100)의 표면실장기술 적용 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열에 의해 영구자석(113)의 자력이 감소되거나 브러시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110)의 외측에 외부케이스(147)를 구비하여 유입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147)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편편형 진동모터(100)를 사출에 의한 설치 시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져도 변형되지 않도록 더욱 견고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제품을 제품의 기능과 필요에 의해 인써트 사출의 부품으로 사용할 경우 그 효과가 극대화된다.
또한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47)와 케이스(110) 사이에 단열재(151)를 배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열을 차단하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도 있다. 상기 단열재(151)는 에폭시, 수지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구성할 경우 양산성이 있는 단열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편편형 진동모터 110 : 케이스
111 : 브라켓 113 : 영구자석
115 : 전원공급장치 117 : 베어링
119 : 회로기판 120 : 회전자
121 : 지지축 123 : 브러시
125 : 코일 127 : 웨이트
129 : 단열부재 131 : 고정부
133 : 정류자 135 : 고정부재
137 : 와샤 139 : 스토퍼
141 : 지지부재 143 : 접촉단자
145 : 결합부재 147 : 외부케이스
149 : 외부전극 151 : 단열재

Claims (19)

  1.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된 브러시;
    상기 브러시의 하부에 접촉하여 형성되고 정류자가 구비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된 코일;
    상기 회로기판 및 상기 코일과 일체로 결합된 베어링을 포함한 회전자;
    상기 베어링의 중심에 배치된 지지축;
    상기 코일과 마주보고 배치된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의 하부에 결합되는 단열부재; 및
    상기 브러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편형 진동모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편형 진동모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에 관통되고 상기 베어링과 접촉하는 와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편형 진동모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장치는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 일부가 결합되고 상기 브러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또 다른 일부가 상기 단열부재의 하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편형 진동 모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일측면에 표면 실장이 가능하도록 외부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편형 진동모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일측면에 지지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코일, 상기 웨이트 및 상기 베어링을 지지부재의 일측면에 고정하여 일체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편형 진동모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일측면에 상기 웨이트 및 상기 코일을 결합하고, 상기 베어링과 일체로 결합된 지지부재를 배치하여 상기 회로기판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편형 진동모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가 상기 전원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며 외부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편형 진동모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에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편형 진동모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를 영구자석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편형 진동모터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금속, 수지 등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편형 진동모터
  12. 제1 항 및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브라켓의 일부에 요철 형태의 돌기를 두어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편형 진동모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측방향으로 접촉단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편형 진동모터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단열부재를 일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편형 진동모터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의 일측면에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편형 진동모터
  16. 제1 항 및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결합부재를 일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편형 진동모터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외부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편형 진동모터
  18. 제1 항 및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측에 단열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편형 진동모터
  19. 제1 항 및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에폭시, 수지, 고무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편형 진동모터

KR1020140006485A 2014-01-20 2014-01-20 편편형 진동모터 KR20150086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485A KR20150086610A (ko) 2014-01-20 2014-01-20 편편형 진동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485A KR20150086610A (ko) 2014-01-20 2014-01-20 편편형 진동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610A true KR20150086610A (ko) 2015-07-29

Family

ID=53876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485A KR20150086610A (ko) 2014-01-20 2014-01-20 편편형 진동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66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3713B2 (en) * 2015-12-25 2021-01-26 Minebea Mitsumi Inc. Inner-rotor mo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3713B2 (en) * 2015-12-25 2021-01-26 Minebea Mitsumi Inc. Inner-rotor motor
US11764637B2 (en) 2015-12-25 2023-09-19 Minebea Mitsumi Inc. Inner-rotor mo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423B1 (ko) 편진동 방지 기능을 갖는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KR101320185B1 (ko) 진동 액추에이터
KR101320136B1 (ko) 진동 액추에이터
KR101525654B1 (ko) 선형 진동자
US20170019009A1 (en) Linear vibrating motor
KR100593900B1 (ko) 공진주파수를 이용한 선형 진동모터
KR101148530B1 (ko) 선형 진동자
US8076808B2 (en) Flat type vibration motor
KR100511362B1 (ko) 진동 모터의 지지구조 및 고정방법
CN109256928B (zh) 线性振动器
KR20120090925A (ko) 선형진동모터
KR20150088145A (ko) 선형 진동자
KR100986409B1 (ko) 진동자
KR20150086610A (ko) 편편형 진동모터
KR20150086611A (ko) 편편형 진동모터
US20130301396A1 (en) Housing for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and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568296B1 (ko) 접촉궤적이 상이한 브러쉬를 구비하는 진동모터
KR20160028134A (ko) 컨틸레버형 진동발생기
CN110048579B (zh) 一种振动马达
KR101072076B1 (ko) 편평형 진동모터
WO2005027317A1 (ja) 振動発生用電動機
KR20020029360A (ko) 코인형 진동모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02876A (ko) 선형 진동자
KR100893036B1 (ko) 진동자
KR20170108932A (ko) 브러시 및 이를 포함하는 편평형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