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6443A -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 세포벽 단백질을 이용한 백신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 세포벽 단백질을 이용한 백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6443A
KR20150086443A KR1020150005888A KR20150005888A KR20150086443A KR 20150086443 A KR20150086443 A KR 20150086443A KR 1020150005888 A KR1020150005888 A KR 1020150005888A KR 20150005888 A KR20150005888 A KR 20150005888A KR 20150086443 A KR20150086443 A KR 20150086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
thr
lys
ser
le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5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9512B1 (ko
Inventor
안정오
윤남경
이홍원
유성식
윤인중
홍민희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주식회사 중앙백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주식회사 중앙백신연구소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50086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61K39/09Lactobacillales, e.g. aerococcus, enterococcus, lactobacillus, lactococcus, streptococcus
    • A61K39/092Stre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64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64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A61K38/166Streptokin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host/recipient, e.g. newborn with maternal antibodies
    • A61K2039/552Veterinary vacc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의 연쇄상구균의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Streptococcus parauberis)세포벽 단백질을 이용한 백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어류의 연쇄상구균의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Streptococcus parauberis)에 대하여 항원성을 가지는 단백질을 선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면 연쇄상구균의 예방 및 치료용 백신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 세포벽 단백질을 이용한 백신 조성물{Vaccine composition using Streptococcus parauberis cell wall protein in fishes}
본 발명은 어류의 연쇄상구균의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Streptococcus parauberis) 세포벽 단백질을 이용한 백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Streptococcus parauberis)은 국내 넙치 양식장에서 높은 분리율을 보이며 연쇄상구균 감염증의 주요 원인체로 떠오르고 있다. S. parauberis에 감염된 넙치는 체색흑화, 무안측출혈, 비정상적인 유영과 섭식이 불량해지며 만성소모성(cachexia)으로 폐사가 발생한다.
넙치는 국내 해양 양식어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어종이다. 국내 넙치양식장은 제주도, 남해안 및 서해안에서 오래전부터 육상수조의 형태로 대부분 위치하고, 연쇄상구균 감염증으로 인한 피해가 빈번하게 나타나 경제적 피해도 막대하였지만, 역학조사(epidemiological studies)가 미비하여 주요 원인체에 대한 대응보다 항생제 치료에 급급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자들은 최근 역학 연구결과로 S. parauberis가 넙치의 연쇄상구균 감염증의 주요한 병인체임을 보여주었다(Nho SW, Shin GW, Park SB, Jang HB, Cha IS, Ha MA, Kim YR, Park YK, Dalvi RS, Kang BJ, Joh SJ, Jung TS. FEMS Microbiol Lett. 2009 Apr; 293(1):20-7; Shin GW. Palaksha KJ. Yang HH. Shin YS. Kim YR. Lee EY. Kim HY. Kim YJ. Oh MJ. Yoshida T. Jung TS. Bull. Eur. Assoc. Fish Pathol.(2006) 26;2).
현재, S. parauberis에 대해서는 원인체의 규명만 되었을 뿐 그에 대한 예방이나 치료에 관한 것은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S. parauberis에서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과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에 대한 항생제 내성 유전자가 발견되어 항생제를 이용한 치료에도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ark YK, Nho SW,Shin GW, Park SB, Jang HB, Cha IS, Ha MA, Kim YR, Dalvi RS, Kang BJ, Jung TS. Vet Microbiol. 2009 Apr 14;136(1-2):76-81. Epub 2008 Oct 14.). 따라서 보다 근본적인 예방 대책으로서 백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효과적으로 연쇄상구균의 예방 방법을 연구한 결과,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Streptococcus parauberis)에 대하여 항원성을 가지는 단백질을 선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제브라피쉬에 접종한 결과 우수한 백신 효능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의 연쇄상구균 감염의 치료 또는 예방용 백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숙주세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백신조성물을 포함하는 어류의 연쇄상구균 감염증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사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백신조성물을 어류에 투여함으로써 어류의 연쇄상구균 감염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의 연쇄상구균 감염의 치료 또는 예방용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숙주세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신조성물을 포함하는 어류의 연쇄상구균 감염증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사료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백신조성물을 어류에 투여함으로써 어류의 연쇄상구균 감염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쇄상구균의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에 대하여 우수한 항원성을 가지는 단백질을 이용하면 연쇄상구균의 예방 및 치료용 백신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Streptococcus parauberis)에서 얻은 항원 후보 유전자의 DNA 전기 영동 결과이다.
도 2는 서열번호 1의 항원 후보 단백질 15(STP_1665/SPB_1407, membrane anchored protein)에 대한 전기영동 및 His 프로브 항체를 이용한 단백질 확인 웨스턴 블랏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화살표는 발현된 항원후보단백질들을 가리킴).
도 3은 도 2에서 단백질 발현이 성공한 항원후보단백질들의 마우스에서 생산된 연쇄상구균 항혈청을 이용한 웨스턴 블랏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M: 표준 마커, 2, 3 4, 6, 7, 10, 12, 14, 15, 20, 24, 25, 26, 27: 표 1에 나타낸 항원후보단백질들의 번호).
도 4는 서열번호 1의 항원 후보 단백질 15(STP_1665/SPB_1407, membrane anchored protein) 접종 후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항원 단백질인 15(STP_1665/SPB_1407, membrane anchored protein)가넙치 연쇄상구균 감염증의 주된 원인균인 S. parauberis serotype I형, S. parauberis serotype II형, S. iniae에 대해 모두 항원성이 있음을 확인한 도이다.
도 6은 제브라피쉬 사육환경 조성 및 실험 준비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서열번호 1의 항원 후보 단백질 15(STP_1665/SPB_1407, membrane anchored protein)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의 연쇄상구균 감염의 치료 또는 예방용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연쇄상구균은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Streptococcus parauberis)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Streptococcus parauberis)의 세포벽에 존재하는 항원 후보 단백질 15(STP_1665/SPB_1407, membrane anchored protein)이다.
상기 어류는 넙치, 농어, 송어, 우럭 및 돔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종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를 제공한다.
상기 발현 벡터는 pET-30a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서열의 변이체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변이체는 염기 서열은 변화되지만, 서열번호 2의 염기 서열과 유사한 기능적 특성을 갖는 염기 서열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열은 서열번호 2의 염기 서열과 7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염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에 대한 "서열 상동성의 %"는 두 개의 최적으로 배열된 서열과 비교 영역을 비교함으로써 확인되며, 비교 영역에서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일부는 두 서열의 최적 배열에 대한 참고 서열(추가 또는 삭제를 포함하지 않음)에 비해 추가 또는 삭제(즉, 갭)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벡터"는 세포 내로 전달하는 DNA 단편(들), 핵산 분자를 지칭할 때 사용된다. 벡터는 DNA를 복제시키고, 숙주세포에서 독립적으로 재생산될 수 있다. 용어 "발현 벡터"는 흔히 "재조합 벡터"와 호환하여 사용된다. 용어 "재조합 벡터"는 목적한 코딩 서열과, 특정 숙주 생물에서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코딩 서열을 발현하는데 필수적인 적정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DNA 분자를 의미한다. 진핵세포에서 이용 가능한 프로모터, 인핸서, 종결신호 및 폴리아데닐레이션 신호는 공지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숙주세포를 제공한다.
상기 서열번호 2의 유전자 서열은 재조합 발현 벡터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용어 "재조합 발현 벡터"는 세균 플라스미드, 파아지, 효모 플라스미드, 식물 세포 바이러스, 포유동물 세포 바이러스, 또는 다른 벡터를 의미한다. 대체로, 임의의 플라스미드 및 벡터는 숙주 내에서 복제 및 안정화할 수 있다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현 벡터의 중요한 특성은 복제 원점, 프로모터, 마커 유전자 및 번역 조절 요소(translation control element)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신조성물을 포함하는 어류의 연쇄상구균 감염증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사료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연쇄상구균은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Streptococcus parauberis)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백신조성물을 어류에 투여함으로써 어류의 연쇄상구균 감염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연쇄상구균은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Streptococcus parauberis)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연쇄상구균의 인- 실리코(in-silico)를 통한 항원 후보 단백질 선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Streptococcus parauberis) KCTC 11537와 S. parauberis NCFD 2020 균주의 게놈 분석을 이용하여 인-실리코를 통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항원 후보 단백질을 선별하였다. 이때 단백질의 막 횡단 나선 수(transmembrane helix number), 세포 내 위치(subcellular localization) 및 접착(Adhesion) 등을 고려하였다. S. parauberis KCTC 11537의 전체 1868개의 단백질 중에서 세포 밖(extracellular, EC), 세포벽(cell wall, CW) 7 orfs, 세포질 막(cytoplasmic membrane, CM) 16 orfs를 선별하였고, S. parauberis NCFD 2020 균주의 전체 2146개 단백질 중에서 세포 밖 4 orfs, 세포벽 8 orfs, 세포질 막 14 orfs를 선별하였다. 이 중에 겹치는 것을 제외하고 최종 40개의 단백질을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 균주의 항원 후보 단백질로 선별하였으며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번호 Locus tag 위치 유전자
1 STP_0018 세포 밖 amidase
2 STP_0130 세포 밖 Xaa-Pro dipeptidyl-peptidase
3 STP_0197 세포 밖 N-acetyl-muramidase
4 STP_0342 세포 밖 alpha-amylase
5 STP_1253/SPB_1157 세포 밖 penicillin-bindingprotein1A
6 STP_1551/SPB_1829 세포 밖 Alkalinephosphatase
7 STP_1590 세포 밖 prophage LambdaSa1, N-acetylmuramoyl-L-alanine amidase, family 4
8 SPB_2015 세포 밖 CHAP domain protein
9 STP_0140 세포 벽 signal peptidase I
10 STP_0535/SPB_0281 세포 벽 N-acetylmuramoyl-L-alanineamidase
11 STP_1223 세포 벽 zinc carboxypeptidase
12 STP_1405/SPB_1598 세포 벽 secretionproteinBug4
13 STP_1447/SPB_1652 세포 벽 lpxtg-motifcellwallanchordomainprotein
14 STP_1567 세포 벽 SiM protein
15 STP _1665/ SPB _1407 세포 벽 membrane anchored protein
16 SPB_0377 세포 벽 CHAP domain protein
17 SPB_0381 세포 벽 LPXTG-motif cell wall anchor domain protein
18 SPB_0674 세포 벽 phage minor structural protein, N-terminal domain protein
19 SPB_1927 세포 벽 pilin isopeptide linkage domain protein
20 STP_0225/SPB_1215 세포질 막 LytRfamilyregulatoryprotein
21 STP_0274/SPB_1171 세포질 막 penicillinbindingprotein2x
22 STP_0438/SPB_0179 세포질 막 zinc-bindingproteinAdcAprecursor
23 STP_0503/SPB_0252 세포질 막 competenceassociatedendonuclease
24 STP_0539/SPB_0285 세포질 막 membrane protein
25 STP_0689/SPB_0517 세포질 막 pneumococcal vaccine antigen A-like protein
26 STP_0697 세포질 막 laminin binding protein
27 STP_0700 세포질 막 hypothetical protein
28 STP_0801/SPB_0626 세포질 막 phosphateABCtransporter,extracellularphosphate-binding lipoprotein
29 STP_0845 세포질 막 putative truncated prophage LambdaSa1, minor structural protein
30 STP_0956/SPB_0817 세포질 막 protease
31 STP_1063/SPB_0928 세포질 막 foldaseproteinPrsA1precursor
32 STP_1610 세포질 막 sporulation protein
33 STP_1616 세포질 막 penicillin-binding protein 1B
34 STP_1749 세포질 막 penicillin-binding protein 2a
35 STP_1850/SPB_2075 세포질 막 transglycosylaseprotein
36 SPB_0398 세포질 막 hypothetical protein
37 SPB_1817 세포질 막 BAAT/acyl-CoA thioester hydrolase C-terminal domain protein
38 SPB_1837 세포질 막 ABC transporter, solute-binding protein
39 SPB_1884 세포질 막 transglycosylase
40 STP_0585/SPB_0333 세포질 막 mannosyl-glycoprotein endo-beta-N-acetylglucosaminidase family protein/gametolysin
< 실시예 2> 항원 후보 단백질의 클로닝 및 발현
상기 <실시예 1>에서 단백질의 항원 후보 유전자를 얻기 위해서 연쇄상구균 균주의 gDNA(genomic DNA)를 DNeasy Blood & Tissue kit (Qiagen, Cat No. 69506)을 이용하여 분리하고 유전자를 획득하였다.
게놈 DNA 분리에 사용된 균주는 S. parauberis Serotype I(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생동물질병학교실, S. parauberis P2 균주) 및 S. parauberis Serotype II (전남대학교 수산행양대, S. parauberis YSFST02-111 균주)이다.
구체적으로, 분리된 gDNA는 항원유전자를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로 획득하고, 발현벡터로의 도입은 In-fusionTM Advantage PCR cloning kit(Clontech, USA)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항원 유전자 획득에 사용된 프라이머와 증폭된 유전자는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획득된 항원유전자는 In-Fusion HD Enzyme Premix (Clontech, Cat No. ST0345)를 이용하여 NdeI와 XhoI으로 선형화(linearization)된 pET-30a 발현벡터로 클로닝하였다. 제조된 발현벡터의 플라스미드는 대장균(E. coli BL21(DE3)에 형질전환 하였다. 상기 형질전환체를 50 ug/ml의 항생제를 함유하는 LB배지, 37℃에서 배양하였다. OD=600에서 0.5에 도달했을 때, 0.5 mM IPTG(isopropyl-β-thio-D-galactopyranoside)를 첨가하고, 배양물은 37℃에서 3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추가 분석을 위해 세포는 원심분리하여 모으고 펠렛은 소니케이션으로 파쇄하였다. 이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재조합 융합 단백질을 SDS-PAGE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 1의 항원 후보 유전자들 중에서, 2, 3, 4, 6, 10, 12, 14, 15, 24, 26, 27, 28, 29에 해당하는 단백질들의 발현에 성공하였으며, 각각은 예상되는 단백질 크기에서 발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표 3).
유전자 이름 서열(5'-3')
1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AAAAAGAGAATTTTATCAG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GTTTGGTAAGATGTATAC
2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AAGTATAATCAATTTTCTTATATAC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TTTCGGTATCTTTAGTTTAG
3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AGATCACGTTTAAAATTAA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ATCATATTTTGTTAAATC
4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ACAAATGATTTAATTATG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TTTTATTTTGTTCTTAGG
5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ATTAAAATCAAAAATCCAAC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TTGACCAGCTGTTCCATTAC
6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GCAGTAACTACACATTCG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ATTAATTTTCTTTGGTGC
7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CAAAGAGTTTTAGATAGTGAC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ACTATTTTTGATTGATCTGATG
8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AAAAAGAGAATTTTATCAG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GTTTGGTAAGATGTATAC
9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AAAAATTTTATTAAAGAATG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TTTTAAAAGATCAATGCG
10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CTTTTTGTACAAAAGAATG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AATTGTGTAAGTCTTATAGTACC
11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ACTAATGTAAAAACTGGTC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ATTTTCTTTACGACGTTTTAC
12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AAAAATGGGAAATGGTTAGC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TTTTTCAATATGCTTTTCTAATG
13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TATCATACTAAAGATAGG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TTCATGTTTATACTTTTTTG
14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GCAAAGCGTGAAGCTAAAC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AGCTTCTTTACGTTTACG
15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GAATTGGAAAACGGGAAAAC-서열번호 3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TTTTTTGCCTTGTTTTCTGAG-서열번호 4
16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TTGTCTAAACAAACAAGACAAG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TTTTGGTGGTATTGCAAACG
17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AAAAAATCATTATTAATTAG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TTTTAGTTCTTTTTTACTT
18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CTTTATTATTATGGAGCAAAAACC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AAAAACCTAAATCTTGGAAG
19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AGAAATTTTTATAAACTATTTG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CTTATTCTTTCTTTGTCTCC
20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AAAATCGGAAAAAAAATACTCC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TTGTACAGGCGCAACTGGAG
21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AATAAGTTTATTAAAGGTTTTA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TTTTTTAATTTTATGAAGTGC
22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AAAAAGAAAGTTCTATTGC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ATGTGCATTTTATTTCTTGTGC
23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AGAGGTCAAATGTCAAATC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GCGTTCTATATCGACCTGACC
24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GCTAAAGAACCATGGG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CTTGATAATAACTGCATC
25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TTGAAATTTTTCAAACGTG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AAATAAAGACATGAATTC
26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TTACCGATTTGCTTAATAC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TTTTAATTCTTGATATAAAAT
27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AAACAAATTCGCAACCGTC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GTTTTTCTTGTCTTTAAAA
28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AATATTAAAAAGAAATTC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TTTCTTTGAAACTTTTCCATC
29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GGAACATCAAATTTTAGTGGC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CGCTGTTCTCAACCACATATAAG
30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AAGCTGTTGAATGGCTTTTTC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GTTTCCTTGATATAGCTC
31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AAAAAATCTAATAAGTTAATTAC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TTTATCAACTGATGTTTTC
32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AAAAATAAATTTTATATTGTC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TTTTGATAACATAAAAATA
33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CAAGCTTTATCAAAGTTTGG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TTTTTTTCTAATATTGAAAC
34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GTTAAAAAAATAGAAGCTA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TCTGAAGTAGTCTATAACACC
35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TATAGAATTAAAAATTTG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ATAACCCCAAGCAGACATC
36 역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AAAACAATTGGAAAATCAG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TTTTTTATCTATATTGAC
37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AAAAATTTTATTAAAATAA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TTTACCATGTTTTTCCTTATG
38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AAAAAAAATTGGTTAGCAC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TTTTTCTAAAGCTTTATC
39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AACCAATTAAAGAAGAAAAAAAC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TTTTTTTCTAATATTGAAAC
40 정방향 프라이머 TAAGAAGGAGATATACATATG ACGCTTCAGAAAGGTAAG
역방향 프라이머 GTGGTGGTGGTGGTGCTCGAG TTGATTATTTTTATAATCAC
번호* 유전자명 예상 단백질 사이즈
(kDa)
2 Xaa-Pro dipeptidyl-peptidase 83.4
3 N-acetyl-muramidase 21.5
4 alpha-amylase 53.8
6 Alkalinephosphatase 63
10 N-acetylmuramoyl-L-alanineamidase 82.3
12 secretionproteinBug4 72.6
14 SiM protein 44.4
15 membrane anchored protein 102
24 membrane protein 18.5
26 laminin binding protein 32.6
27 hypothetical protein 25.6
28 phosphateABCtransporter extracellularphosphate-binding lipoprotein 31
29 putative truncated prophage LambdaSa1 minor structural protein 68.1
*표 1에 표시된 항원후보유전자 번호
< 실시예 3> 동정된 단백질의 항원성 분석
상기 <실시예 2>에서 형질전환한 재조합 융합 단백질을 발현시켜 웨스턴 블럿 어세이를 진행하여 항원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2>에서 형질전환한 재조합 융합 단백질을 SDS-PAGE을 수행한 후 얻어진 겔(gel)을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Nitrocellulose(NC) membrane)에 옮겼다.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을 PBS에 용해된 5% 스킴 밀크(skim milk)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블로킹시켜 비특이적 반응을 없애고, PBST(PBS, 0.05% Tween 20)로 15분간 3번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0.5% 스킴 밀크가 녹여진 PBST에 마우스에서 생산된 His-프로브 항체(H8 ; Santa Cruz Biotechnology, Cat SC-57598)와 마우스에서 생산된 연쇄상구균 항혈청을 각각 첨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1차 반응을 하였다.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을 PBST로 15분씩 3회 세척한 후, goat Anti-mouse IgG 및 Alkaline-phosphatase-linked 항체(sigma)로 상온에서 1시간 동안 2차 반응을 하였다.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을 PBST로 15분씩 3회 세척하고, AP conjugate substrate kit(Bio-rad; Cat 170-6432)을 사용하여 항원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단백질 발현에 성공한 항원 후보 단백질들 중에서, 15(STP_1665/SPB_1407, membrane anchored protein)만 마우스에서 생산된 연쇄상구균 항혈청과 반응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도 3).
< 실시예 4> 제브라피쉬 ( Zebrafish )를 이용한 membrane anchored protein의 백신 효능 분석
제브라피쉬는 스트렙토코커스류(연쇄상구균)의 감염에 대하여 복강접종과 근육접종 두 경로 모두 감수성이 있어, 스트렙토코커스류에 대한 LD50과 폐사까지 일반적으로 48~72시간이 걸린다는 것이 이미 연구결과로 밝혀져 있다(Streptococcus-zebrafish model of bacterial pathogenesis/Neely MN, Pfeifer JD, Caparon M. /Infect Immun. 2002 Jul;70(7):3904-14). 또한, 다양한 연구들에 의해서 제브라피쉬가 연쇄상구균 감염의 어류모델로써 적합하다고 밝혀졌기 때문에(Neely MN, Pfeifer JD, Caparon M. Streptococcus-zebrafish modelof bacterial pathogenesis. Infect Immun 2002;70:3904-14. , Van der Sar AM, Appelmelk BJ, Vandenbroucke-Grauls CM, Bitte W. A start with striped: zebrafish as an infection model. TRENDS Microbiol 2004;12:451-7.), 이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통해 항원성 단백질의 면역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실험에서는 제브라피쉬를 대상으로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에 대한 감수성 테스트와 LD50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에서 스크리닝된 항원단백질 #15(STP_1665/SPB_1407, membrane anchored protein)의 어류 연쇄상구균 질병에 대한 면역학적 효능을 검정하였다.
<4-1> 제브라피쉬 사육환경 조성 및 실험 준비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큰 수조에 제브라피쉬를 대량으로 사육하였고, 작은 수조에 옮겨 실험 그룹으로 분리하였다.
<4-2> 공격 접종 균주 내역
접종한 균주는 균주명이 S. parauberis P2이고, 분양기관은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생동물질병학교실이며, serotype I 이다.
<4-3> 제브라피쉬 모델을 이용한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 백신 효능 평가 확인 시험
① 실험방법
상기 3개의 그룹의 제브라피쉬를 Tris-buffered tricaine(3-aminobenzoic acid ethylester, pH 7.0; Sigma)로 마취시키고, 15(STP_1665/SPB_1407, membrane anchored protein)를 각 개체당 접종량을 100 ug/ml,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S. parauberis S1 whole bacterin) 5 mg/ml의 농도를 10 ul씩으로 하여 복강으로 접종하여 면역화시켰다. 면역화 3주 후에 공격 접종용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 혈청형 1 생균수를 10일 간격으로 2차례에 걸쳐 10 ul씩 복강 접종하여 공격접종유발시험을 수행하였다(첫번째 공격접종된 균체수: 4.3 X 109 CFU/ml 두 번째 공격 접종된 균체수 1.4 X 1010 CFU/ml). 하기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항원 후보 단백질 대신 PBS를 접종시키고 공격접종 유발시험을 진행한 군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그룹 challenge 접종수
Sp1(항원 단백질 #15) 1.4 1010CFU/ml 8
Sp3(S. parauberis S1 whole bacterin) 5
Sp4(PBS) 10
② 실험 판정
매일 관찰하여 폐사여부를 기록하고, 대조군의 누적폐사율이 60% 이상일 때 아래의 수식에 따라 백신군의 상대생존율이 50% 이상이어야 한다. 상대생존율(Relative percent survival, RPS) 산출식은 하기 수학식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③ 실험 결과
하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브라피쉬를 이용한 항원 후보 단백질의 백신 효능 분석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15(STP_1665/SPB_1407, membrane anchored protein) 항원 단백질을 접종하고 S. parauberis 1형 생균수를 공격 접종한 Sp1 그룹에서 접종사로 접종 당일에 2마리, 공격 접종 1일 후 2마리가 폐사하였으나, 4마리가 최종적으로 생존하여 10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S. parauberis 1형의 whole bacterin을 접종하고 생균수를 공격 접종한 Sp3 그룹에서는 5마리 중 3마리가 폐사되고 2마리가 생존하여 4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대조군 PBS를 접종하고 생균수를 공격 접종한 Sp4 그룹에서는 접종사로 1마리가 폐사되었고, 9마리 중 8마리가 폐사되어 11%의 생존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대조군으로 PBS를 접종한 zebra fish 그룹은 89%의 폐사율을 보여 공격접종균수는 충분한 것으로 사료되며,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의 whole cell 접종 그룹은 33%의 상대생존율을 보인 반면에, 15(STP_1665/SPB_1407, membraneanchoredprotein)을 접종한 그룹에서는 100%의 생존률을 보였다. 즉, 15(STP_1665/SPB_1407, membraneanchoredprotein) 항원단백질의 경우 부스팅 접종을 통해 공격접종 실험시 100% 방어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접종수 No. of daily dead fish of Challenge 생존율(%) 상대생존율(%)
0 1 2 3 4 5 6
Sp1(항원 단백질 15) 8 2* 2** - - - - - 4/4(100%) 100%
Sp3(S. parauberis S1 whole bacterin) 5 - 0 1 1 1 - - 2/5(40%) 33%
Sp4(PBS) 10 - 1** 2 3 3 - 1/9(11%) -
< 실시예 5> 넙치 연쇄상구균증을 유발하는 원인균에 대한 교차 항원 반응
상기 <실시예 4>에서 항원성을 보인 형질전환한 재조합 항원단백질의 S. iniae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 분양, YSFST01-82), S. parauberis Serotype I(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생동물질병학교실, S. parauberis P2 균주), S. parauberis Serotype II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 S. parauberis YSFST02-111 균주) 균주에 대한 교차 항원 반응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3>에서 항원성을 보인 항원단백질 membrane anchored protein 2ug을 SDS-PAGE를 수행한 후 얻어진 겔을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에 옮겼다.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을 PBS에 용해된 5% 스킴 밀크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블로킹시켜 비특이 반응을 없애고, PBST로 15분간 3번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0.5% 스킴 밀크가 녹여진 PBST에 토끼에서 생산된 S. iniae(SI)가 감염된 연쇄상구균항혈청, 마우스에서 생산된 S. parauberis serotype I(SP1)과 S. parauberis serotype II(SP2)가 각각 감염된 연쇄상구균항혈청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1차 반응을 하였다.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렌인을 PBST로 15분씩 3회 세척한 후, Anti-mouse IgG 및 HRP-linked 항체(KOMABiotech)로 상온에서 1시간 동안 2차 반응을 하였다.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을 PBST로 15분씩 3회 세척하고, Western brightTM Quantum Western blotting detection kit(Advansta)을 사용하여 항원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상기 <실시예 3>에서 선별된 항원 단백질인 15(STP_1665/SPB_1407, membrane anchored protein)는 넙치 연쇄상구균 감염증의 주된 원인균인 S. parauberis serotype I형, S. parauberis serotype II형, S. iniae에 대해 모두 항원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도 5).
<1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 Biotechnology (KRIBB) <120> Vaccine composition using Streptococcus parauberis cell wall protein in fishes <130> P130873 <160> 4 <170> KopatentIn 2.0 <210> 1 <211> 926 <212> PRT <213> Streptococcus parauberis <400> 1 Met Glu Leu Glu Asn Gly Lys Thr Asn His Ile Lys Thr Thr Ile Ala 1 5 10 15 Leu Thr Ser Thr Ile Ala Leu Leu Gly Thr Gly Val Gly Val Ser His 20 25 30 Gln Val Gln Ala Asp Asp Leu Ser Pro Thr Gly Ala Glu Asn Ser Asn 35 40 45 Asn Glu Ser Pro Leu Leu Pro Thr Thr Ala Thr Val Ala Asp Ala Thr 50 55 60 Ala Ala Val Lys Thr Ala Glu Thr Gln Leu Ala Ser Gln Gln Asn Glu 65 70 75 80 Leu Ile Ala Val Asn Lys Asp Ile Lys Asn Ser Ser Leu Glu Val Ser 85 90 95 Asp Leu Lys Thr Glu Ile Val Ala Gln Glu Lys Ala Val Glu Ala Ala 100 105 110 Gln Glu Thr Leu Thr Thr Val Ser Thr Ser Asn Asp Ala Glu Phe Glu 115 120 125 Lys Leu Val Thr Glu Asn Gln Val Lys Leu Ala Glu Thr Asn Lys Ala 130 135 140 Leu Ser Gln Ala Gln Thr Ser Ala Gln Thr Val Ser Ser Asp Val Gln 145 150 155 160 Lys Gln Thr Gln Val Val Ala Thr Gln Ser Glu Ala Ala Lys Thr Leu 165 170 175 Val Lys Glu Ala Glu Ser Ala Asp Lys Ala Val Ala Asp Leu Thr Lys 180 185 190 Val Val Asn Gln Pro Glu Met Ile Ala Ser Gln Val Lys Asp Ala Gln 195 200 205 Asn Thr Val Lys Ile Ala Ala Ser Asp Leu Thr Lys Ala Gln Thr Asn 210 215 220 Leu Ala Thr Val Lys Gln Glu Thr Lys Thr Ala Leu Thr Thr Ser Leu 225 230 235 240 Ala Ser Asn Lys Thr Ala Leu Thr Ala Lys Gln Ala Glu Leu Asn Ala 245 250 255 Ala Gln Ser Gln Thr Ser Thr Lys Thr Val Asn Ile Ala Gly Glu Asn 260 265 270 Thr Phe Val Leu Pro Ser Asn Tyr Pro Phe Ala Glu Leu Lys Arg Leu 275 280 285 Ala Asp Ser Gly Tyr Ile Gly Ser Trp Ser Tyr Ile Ser Ala Phe Asn 290 295 300 Lys Leu Glu Ser Ala Ile Ser Ser Lys Ala Arg Ala Gly Met Thr Leu 305 310 315 320 Asn Ser Tyr Lys Asn Ile Ala Lys Asp Leu Asn Arg Gln Val Asp Leu 325 330 335 Asp Asn Leu Ser Leu Asp Val Gln Asn Glu Leu Ala Leu Phe Thr Ala 340 345 350 Gln Met Leu Asn Ser Val Arg Ser Gln Leu Asn Leu Ser Lys Ile Glu 355 360 365 Val Thr Glu Gly Ser Gln Gln Phe Ala Arg Leu Val Thr Thr Gln Tyr 370 375 380 Lys Ala Thr His Gly Ser Ala Ile Pro Tyr Phe Ser Tyr Gly Gln Val 385 390 395 400 Gly Ala Gly Gly His Thr Gly Ile Gly Pro His Asp Arg Thr Ile Ile 405 410 415 Glu Ser Ser Ala Thr Arg Val Gly Leu Lys Ala Asn Asp Asp Asn Met 420 425 430 Tyr Glu Asn Phe Gly Met Phe Asp Asp Leu Pro Thr Val Asn Gly Ile 435 440 445 Lys Arg Ser Ile Tyr Asn Thr Leu Lys Tyr Met Leu Phe Thr Asp Asp 450 455 460 Leu His Gly Asn Thr Trp Gly His Ala Val Asn Phe Leu Arg Thr Asp 465 470 475 480 Lys Ala Asn Ala Ser Asn Pro Ile Tyr Leu Gly Phe Ser Thr Glu Ser 485 490 495 Val Gly Gly Leu Asp Thr His Phe Leu Leu Ile Pro Lys Ser Asn Ile 500 505 510 Gln Asn Lys Thr Leu Phe Ser Thr Lys Ala Val Ser Ala Gly Lys Thr 515 520 525 Thr Ile Asn Asn Ser Ala Lys Ile Gln Ser Leu Lys Ser Gly Ile Ser 530 535 540 Ser Ile Lys Gly Asn Ile Thr Thr Ile Glu Lys Arg Leu Asn Asn Leu 545 550 555 560 Ser Ala Glu Glu Ala Val Lys Thr Ala Gln Ala Gln Val Ile Lys Phe 565 570 575 Asn Thr Lys Leu Ser Ala Ala Lys Gln Ser Leu Ala Lys Leu Glu Ala 580 585 590 Gln Ala Ile Gln Ala Lys Lys Ser Lys Asp Gly Phe Gln Ile Gln Leu 595 600 605 Ala Leu Ala Lys Thr Ile Gln Ala Asp Val Lys Ala Lys Leu Asp Glu 610 615 620 Thr Leu Val Ser Leu Asn Ser Ala Lys Arg Ser Leu Lys Thr Leu Glu 625 630 635 640 Thr Lys Leu Val Gln Ala Ala Ala Gln Val Thr Ser Leu Val Asp Lys 645 650 655 Lys Val Asn Leu Ala Lys Met Leu Glu Leu Lys Gln Asn Pro Lys Arg 660 665 670 Val Glu Leu Ala Lys Glu Ala Leu Ala Gln Ala Lys Lys Asp Leu Ala 675 680 685 Glu Thr Asn Ala Lys Leu Ile Val Ser Asn Lys Val Leu Val Asp Leu 690 695 700 Phe Asp Thr Arg Thr Gln Leu Gln Asp Ala Ile Lys Leu Ser Glu Lys 705 710 715 720 Gln Ile Ser Leu Leu Lys Ala Ile Val Asn Thr Lys Gly Asp Glu Ser 725 730 735 Lys Val Gln Lys Pro Thr Lys Val Gln Thr Pro Val Val His Gly Gly 740 745 750 Glu Ser Val Ser Ser Ile Ala Ala Lys Pro Ile Glu Tyr Asn Glu Lys 755 760 765 Asp Ser Ser Val Leu Thr Ser Ala Asp Ile Thr Lys Glu Lys Ile Ser 770 775 780 Asp Thr Ser Glu Lys Asp Gln Ile Asn Ser Glu Thr Glu Arg Met Ser 785 790 795 800 Ala Ser Thr Ser Leu Ile Ala Gln Lys Thr Glu Gln Glu Ile Ala Glu 805 810 815 Ile Lys Ala Val Ile Thr Glu Lys Ile Ala Thr Ala Thr Ser Thr Val 820 825 830 Ile Ala Glu Thr Asn Lys Val Leu Thr Asn Glu Ala Asn Lys Ile Ala 835 840 845 Gln Gly Val Val Glu Val Val Pro Glu Thr Met Pro Ala Gln Ser Ile 850 855 860 Leu Asn Lys Val Ala Lys Ser Val Ser Glu Asn Asn Asn Ser Glu Ser 865 870 875 880 Ser Asn Tyr Gly Ser Thr Thr Val Ser Lys Val Thr Ala Ala Ser Asp 885 890 895 Glu Ser Thr Lys Arg Ala Val Lys Ala Gly Ile Val Met Leu Thr Ala 900 905 910 Val Gly Leu Thr Gly Phe Lys Leu Arg Lys Gln Gly Lys Lys 915 920 925 <210> 2 <211> 2778 <212> DNA <213> Streptococcus parauberis <400> 2 atggaattgg aaaacgggaa aacaaaccac attaaaacca caattgcttt aacatcaaca 60 attgcattgc tagggactgg tgttggggtt tcacatcaag tacaggctga tgacttatca 120 ccaaccggag ctgaaaactc aaataatgaa tcccctttat taccaactac tgcaacggtt 180 gctgatgcca cagcagcagt gaaaactgcg gagacacaat tagctagtca acaaaatgaa 240 cttattgcag ttaataaaga tatcaaaaat tcaagccttg aagtttcaga tttgaaaaca 300 gaaattgtag ctcaagaaaa agctgtagaa gctgctcaag aaactttaac tacagtctct 360 acttcaaatg atgcagaatt tgaaaaactt gtaactgaaa accaagttaa actagctgaa 420 actaataaag ctctaagtca agcacaaaca agtgcacaaa cagtaagctc tgacgttcaa 480 aagcaaactc aagttgttgc gactcaaagt gaagcagcta aaacgctcgt taaagaagca 540 gaatctgctg ataaagctgt agcagatttg acgaaagttg ttaatcaacc tgaaatgatt 600 gcatcacaag ttaaagatgc tcaaaacaca gttaaaattg cagcatcaga cttaacaaaa 660 gcacagacta atttagcaac agttaagcaa gaaactaaga ctgcattaac aacaagtctc 720 gcttctaaca agacagctct tactgcaaaa caagcagaac taaatgctgc tcaatcacaa 780 acttctacaa agacagttaa tattgctggt gaaaatacat ttgtattgcc atcaaactac 840 ccatttgcag aattaaaacg tttagcggat agtggatata ttggttcatg gagctatatt 900 tcagctttta ataaacttga aagtgctatc agttcaaaag ctcgcgctgg aatgactcta 960 aatagctata aaaatattgc taaagattta aatcgccaag ttgatttaga caacttatct 1020 ctagatgtcc aaaatgagtt agctttattt acagctcaaa tgttaaattc tgttcgttcg 1080 caattgaact tgtctaaaat tgaagtaact gaaggatcac aacaatttgc tcgtctagtt 1140 acaactcaat ataaagcaac tcacggttca gcaattccat acttttctta tggtcaagtt 1200 ggtgctggag gacacaccgg aattggccca catgaccgca caatcattga aagctcggca 1260 actcgtgttg gtttgaaagc taatgatgat aacatgtatg aaaattttgg tatgtttgat 1320 gatcttccta ctgttaatgg tattaagaga agtatttaca acactcttaa gtatatgttg 1380 ttcaccgatg acttacatgg caatacttgg ggacatgcgg ttaactttct acgtactgac 1440 aaagcgaatg caagtaatcc tatttatctt ggtttctcaa cagaatctgt tggtggctta 1500 gatacgcatt tcctattaat tccaaaatca aatattcaaa ataaaacttt atttagtacc 1560 aaagctgttt ctgctggtaa gacaacaatt aataattcag caaaaattca aagtttgaaa 1620 tcgggtattt cttctattaa ggggaatatt actactattg aaaaacgttt gaataatctt 1680 tcggctgaag aagctgttaa aacagctcaa gcacaggtaa ttaaatttaa tactaaacta 1740 tctgcagcaa aacaaagtct tgctaaactt gaagcgcaag caatccaagc caagaaatct 1800 aaagatggct tccaaattca actagcgtta gctaagacta ttcaagcaga tgtaaaagca 1860 aaacttgacg aaactcttgt tagtttaaat agcgctaagc gttcacttaa aacacttgaa 1920 acaaaacttg tgcaagcagc agcacaagtt acaagtttag ttgataaaaa agtaaacttg 1980 gcaaaaatgc ttgaattaaa acaaaatcca aagcgtgttg agttagcaaa agaagcactt 2040 gctcaagcca agaaggattt agctgaaaca aatgccaagt taattgtaag taacaaagta 2100 ctagttgatt tgttcgatac tagaactcag cttcaagatg caattaagtt atctgaaaaa 2160 caaatttctc ttctgaaagc aattgttaat acaaaaggtg acgaaagtaa agtacagaaa 2220 cctactaaag tacaaacacc agtagttcac ggtggagaat cagtttcatc tattgctgct 2280 aaaccaatcg agtacaatga gaaagattcg tcagttctta catcagctga tattactaaa 2340 gaaaaaatca gtgatacaag tgagaaagac caaattaatt ctgaaactga acgtatgtca 2400 gcaagtacaa gtttaattgc acaaaaaacg gaacaagaaa ttgctgaaat taaggcagtt 2460 attactgaaa aaattgctac tgcaacatca actgttattg cggaaactaa caaagtttta 2520 acaaatgaag ctaataagat tgctcaaggg gttgttgaag ttgttccgga aacaatgcca 2580 gctcaaagta tcttaaacaa agttgctaag agtgttagcg aaaataataa ttcagagtct 2640 tctaactatg gttcaactac tgtaagtaaa gtgacggcag caagtgatga aagcacaaaa 2700 cgagctgtca aagctggtat cgttatgctt acggcagtcg gtttaactgg atttaaactc 2760 agaaaacaag gcaaaaaa 2778 <210> 3 <211> 4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treptococcus parauberis membrane anchored protein forward primer <400> 3 taagaaggag atatacatat ggaattggaa aacgggaaaa c 41 <210> 4 <211> 4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treptococcus parauberis membrane anchored protein reverse primer <400> 4 gtggtggtgg tggtgctcga gttttttgcc ttgttttctg ag 42

Claims (10)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의 연쇄상구균 감염의 치료 또는 예방용 백신 조성물.
  2. 제 1항이 있어서, 상기 어류는 넙치, 농어, 송어, 우럭 및 돔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쇄상구균 감염 예방용 백신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쇄상구균은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Streptococcus parauber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쇄상구균 감염 예방용 백신 조성물.
  4. 제 1항에 따른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벡터.
  5. 제 4항에 따른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숙주세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숙주세포는 대장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주세포.
  7. 제 1항에 따른 백신조성물을 포함하는 어류의 연쇄상구균 감염증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사료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쇄상구균은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Streptococcus parauber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쇄상구균 감염 예방용 사료조성물.
  9. 제 1항에 따른 백신조성물을 어류에 투여함으로써 어류의 연쇄상구균 감염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쇄상구균은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Streptococcus parauber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쇄상구균 감염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
KR1020150005888A 2014-01-17 2015-01-13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 세포벽 단백질을 이용한 백신 조성물 KR101689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5996 2014-01-17
KR1020140005996 2014-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443A true KR20150086443A (ko) 2015-07-28
KR101689512B1 KR101689512B1 (ko) 2017-01-03

Family

ID=53875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5888A KR101689512B1 (ko) 2014-01-17 2015-01-13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 세포벽 단백질을 이용한 백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512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Bacteriology, Vol. 193, pages 3356-3366 (201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512B1 (ko) 201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8324B2 (en) Helicobacter system and uses thereof
CN101522210A (zh) 增强免疫应答的组合物和方法
JP2008022856A (ja) 肺炎連鎖球菌由来の核酸及びタンパク質
WO2009046451A1 (en) Recombinant bacterium capable of eliciting a protective immune response against c. perfringens
BRPI0812346B1 (pt) célula hospedeira, método para a produção de um polipeptídeo isolado, composição, vacinas, método de atenuação da virulência de uma bactéria, método para determinar se um indivíduo foi exposto a um patógeno e uso da célula hospedeira, das vacinas ou da bactéria
US9045742B2 (en) Recombinant Edwardsiella bacterium
US10603371B2 (en) Attenuated Pasteurella multocida vaccin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e thereof
Pilehchian et al. Fusion of Clostridium perfringens type D and B epsilon and beta toxin genes and it’s cloning in E. coli
US11975061B2 (en) Protective immunity enhanced Salmonella vaccine (PIESV) against Brucella spp
CN108774628B (zh) 合成致新生儿脑膜炎大肠杆菌糖蛋白结合疫苗的大肠杆菌工程菌及用途
CN111278973A (zh) 修饰的细菌孢子
KR101765394B1 (ko) 돼지 유행성설사 바이러스의 에피토프 단백질,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이를 발현하는 형질전환체 및 이를 포함하는 돼지 유행성설사 바이러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703238B (zh) 重组细胞内病原体免疫原组合物及其使用方法
KR101689512B1 (ko)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 세포벽 단백질을 이용한 백신 조성물
KR101689511B1 (ko)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우베러스 세포질 막 단백질을 이용한 백신 조성물
Jiang et al. FlgN plays important roles in the adhesion of Aeromonas hydrophila to host mucus
KR20190014265A (ko) 돼지 흉막폐렴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CN110267679A (zh) 用于预防家禽中的球虫病的口服的基于大肠杆菌载体的疫苗
CN110041437B (zh) 一种无毒性破伤风毒素和诺维梭菌α毒素重组融合蛋白
Liu et al. Constr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ecombinant attenuated Salmonella typhimurium expressing the babA2/ureI fusion gene of Helicobacter pylori
CA2964630A1 (en) Monocins and methods of use
AU2007317206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the delivery of peptides into the gastric mucosa
CN103301477A (zh) 大肠埃希菌琥珀酸脱氢酶铁硫蛋白SdhB的应用
RU274516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ттенуированного бесплазмидного штамма F.tularensis 15 CMSA, синтезирующего микобактериальный антиген супероксиддисмутазу А
KR101642499B1 (ko) 수용성 파스튜렐라 멀토시다 독소를 포함하는 재조합 융합 단백질, 면역원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