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6315A -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적응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적응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6315A
KR20150086315A KR1020157015847A KR20157015847A KR20150086315A KR 20150086315 A KR20150086315 A KR 20150086315A KR 1020157015847 A KR1020157015847 A KR 1020157015847A KR 20157015847 A KR20157015847 A KR 20157015847A KR 20150086315 A KR20150086315 A KR 20150086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ent
radio communication
electronic device
wireless connection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5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1682B1 (ko
Inventor
안토니오 로티토
Original Assignee
에스.아이.에스브이.이엘. 쏘시에타‘ 이탈리아나 퍼 로 스빌루포 델‘엘레트로니카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아이.에스브이.이엘. 쏘시에타‘ 이탈리아나 퍼 로 스빌루포 델‘엘레트로니카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에스.아이.에스브이.이엘. 쏘시에타‘ 이탈리아나 퍼 로 스빌루포 델‘엘레트로니카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50086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적응된 장치(1)가 설명되고, 상기 장치(1)는 메모리 수단(3, 4, 7)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콘텐츠(65)를 판독하도록 적응된 프로세싱 수단(6), 상기 장치(1) 또는 전자 디바이스(80)에 상기 정보 콘텐츠(65)를 전달하기 위한 임의의 특정 커맨드를 명시적으로 입력할 필요 없이, 상기 전자 디바이스(80)가 상기 라디오 통신 모듈(2)의 라디오 통신 범위 내에 위치되는 사실의 결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콘텐츠(65)를 전자 디바이스(80)에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적응된 적어도 라디오 통신 모듈(2)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적응된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DAPTED TO SHARE INFORMATION CONTENTS THROUGH A WIRELESS CONNECTION, AND METHOD THEREOF}
[0001] 본 발명은 무선 연결을 통해, 구체적으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적응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0002]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의 연결을 허용하는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 및 블루투스가 존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기술들은 몇 번이고 자주, 모든 각각의 종류의 정보 콘텐츠, 예를 들어 텍스추얼 서류들, 이미지들, 뮤지컬 파일들, 비디오 파일들 등을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하여 이 기술들을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들에서 구현된다. 모든 각각의 기술은 그 자신의 동작 방법, 즉 둘 또는 그 초과의 디바이스들을 연결할 수 있는 동작들의 시맨틱(semantic)들, 구문론(syntax) 및 타이밍을 정의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가진다. 상기 언급된 동작들에 흔히 사용되는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들", 즉 퍼스널 컴퓨터의 것과 같은 복합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제공된 모바일 폰들, 또한 복합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제공된 "테블릿 PC들" 또는 간단히 "테블릿들", "노트북들", 실제 퍼스널 컴퓨터들 등이다.
[0003] 게다가, "판독/기록" 모드에서 NFC 기술을 사용하는 "독립형" 디바이스들이 알려져 있고, 즉 상기 모드는 NFC 태그 또는 NFC 카드 어느 하나에서 데이터를 판독 및 기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모드, 또는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즉 전자 지불들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모드이다. "피어-투-피어" 모드에 관하여, 상기 "피어-투-피어" 모드는 보통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정보 콘텐츠를 단지 직접 교환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스마트폰들 등 같은 전자 디바이스들에 적용된다.
[0004] 그러나,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과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는 "독립형" 디바이스들에서 "피어-투-피어" 모드를 사용하는 것은 알려지지 않았다.
[0005] 예를 들어, 상기 "독립형" 디바이스들이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은 추가로 알려져 있지만; 블루투스 프로토콜은, 송신기가 자신의 통신 범위 내에서 정보 콘텐츠를 전송하도록 결정하여야 하고, 수신기가 정보 콘텐츠 자체를 수용해야 하거나, 적어도 미리 수용하도록 해야 하는 것을 제공한다.
[0006] 그러나, 사용자가 정보 콘텐츠, 예를 들어 서류를 누구에게 전송할지를 손쉽게 선택하지 못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연결 구성을 제공하는 그런 블루투스 모드는, 사용자가 상이한 사용자들 사이에서 구별(discriminate)해야 하고 그 자신의 라디오 범위 내에서 동일한 서류를 찾는 동일한 디바이스에 그 동일한 서류를 다수 번 전송하는 것을 위험하게 하기 때문이다.
[0007] 박람회 또는 박물관의 것과 같은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고려하자, 여기서 방문객은 스탠드 또는 박물관 전시 공간에 디스플레이되는 관심 객체에 관한 정보 및/또는 설명 자료, 예를 들어 브로셔(brochure)를 얻기 위해 스탠드(stand)로 간다. 그런 상황에서 기술적 블루투스는 전자 서류들의 공유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그런 상황에서 서류 홀더는 사용자들 그들 자체들을 구별할 어떠한 가능성도 없이, 통신 범위 내 모든 사용자들에게 그 자신의 서류를 시간적으로 연속하여 전송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들은 반갑지 않은 "스팸" 현상들을 발생시킬 것이다.
[0008] 게다가, 요즘에는, 그런 예시적 자료가 방문자에게 제공되는 종이 형태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키로 제공되고, 이것은 많은 종이 및 USB 메모리 디바이스 낭비뿐 아니라, 경제적 비용을 요구한다. NFC 기술은 매우 감소된 통신 범위(대략 1 또는 2 센티미터들)를 사용하고, 이전에 말한 바와 같이, 3개의 동작 모드들: "판독/기록",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및 "피어-투-피어"를 지원한다. 송신 레이트는 현재 424 Kbit/s에 달하고, 따라서 작은 크기 파일들을 전달하도록 적응된다. 이런 적당한 송신 레이트는, 특히, 대략 배율 10 및 따라서 3 Mbit/s(초당 메가 비트)보다 높은, 보다 높은 송신 레이트들을 제공하는 상이한 프로토콜, 예를 들어 블루투스와 이차 연결을 수립하기 위하여, 지원 프로토콜로서 NFC를 사용하는, 몇몇 기술적 해결책들의 발생을 유도하였다. 이 경우, 상이한 프로토콜, 예를 들어 블루투스와의 연결의 세팅 시간들은 절대적으로 무시할 수 없다.
[0009] 게다가, 이것은 배율 10만큼 송신 레이트를 증가시키는(즉, 즉 3 Mbit/s보다 높은 송신 레이트에 도달하고, 따라서 블루투스 프로토콜의 송신 레이트와 비슷함) NFC에 대한 연구 해결책들 하에 있다. 이것은 NFC 기술이 바이트들의 측면에서 보다 큰 크기의 정보 콘텐츠, 예를 들어 뮤지컬 파일들, 비디오 파일들 등의 공유를 위하여 또한 사용되도록 허용하여야 한다.
[0010]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의 연결 세팅 시간들을 완전히 감소시키고, 특히 패스워드 또는 PIN 삽입 같은 연결 및 전송 및/또는 수신 디바이스에 의한 연결 요청 및/또는 파일 전달 수락(acceptance) 같은 골치 아픈 활성화 단계들을 회피하면서, 무선 연결, 특히 NFC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적응된 장치 및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0011]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정보 콘텐츠의 공유 동안, 즉 사용자에 의해 자발적으로 요청되지 않은 파일들 또는 다른 원하지 않는 콘텐츠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동안 "스팸" 현상들을 회피하면서, 무선 연결, 특히 NFC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적응된 장치 및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0012]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사용자가 임의의 시간에 그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의 정보 콘텐츠의 수신을 결정하도록 허용하는, 무선 연결, 특히 NFC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적응된 장치 및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0013]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들은 본 명세서의 통합 부분을 형성하는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청구된 바와 같이, 무선 연결, 특히 NFC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0014] 요컨대,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적응된 장치가 설명되고, 상기 장치는 스토리지 수단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콘텐츠를 판독하도록 적응된 프로세싱 수단, 적어도 라디오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적어도 라디오 통신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정보 콘텐츠의 임의의 특정 전달 커맨드가 상기 장치 또는 전자 디바이스에 명시적으로 입력되지 않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라디오 통신 모듈의 라디오 통신 범위 내에 있다는 사실의 결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콘텐츠를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적응된다. 본 발명의 추가 피처들은 본 발명의 일체부이도록 의도된 첨부된 청구항들의 청구 대상이다.
[0015] 상기 언급된 목적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세세히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무선 연결, 특히 NFC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적응된 장치 및 방법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나타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블록도의 예를 예시한다.
도 2는 도 1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오퍼레이팅 로직에 관한 흐름도들의 예들을 묘사한다.
도 6은 메모리 카드상 정보 콘텐츠의 카피 단계들을 묘사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메모리 지지부의 삽입 단계를 묘사한다.
도 8은 사용자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접근 단계를 묘사한다.
도 9a 및 도 9b는 사용자에 의한 정보 콘텐츠의 사용을 묘사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오퍼레이팅 로직에 관한 블록도 및 흐름도를 예시적인 방식으로 각각 묘사한다.
[0016] 도 1을 참조하여, 적어도 통신 모듈(2), 적어도 스토리지 수단 판독기(3), 제 1 메모리 수단(4), 적어도 전원 모듈(5) 및 프로세싱 수단(6)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1)가 예시된다.
[0017] 장치(1)는, 본 발명에 따라, 차례로 자신의 동작을 제어하는 컴퓨터에 영구적으로 연결될 필요를 가지지 않고, 다른 연결된 디바이스들에 전자 파일들을 공급할 수 있는 전자 "독립형" 디바이스이고; 특히 그것은 동일한 통신 무선 프로토콜을 채택한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과 정보 콘텐츠를 공유, 즉 전송하도록 허용한다.
[0018] 통신 모듈(2)은 NFC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모듈일 수 있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전달 모덜러티(modality)는 "피어-투-피어"이고, 즉 "피어-투-피어" 모덜러티에서 NFC 프로토콜을 구현하기 위하여 단지 장치(1)와 단 하나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이 발생하는 모덜러티이다. 그런 통신 모듈(2)은 칩셋, 즉 NFC 송신 프로토콜을 구현하도록 적응된 집적 회로들의 어셈블리, 및 안테나 둘 다를 포함한다.
[0019] 스토리지 수단 판독기(3)는 다양한 종류의 제거 가능 메모리들(60), 예를 들어 전자 메모리 카드 또는 USB 전자 메모리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구획부들("슬롯")(68)을 가질 수 있다. 제거 가능 메모리들은 통신 모듈(2)을 통하여 전송되도록 원해지는 정보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 스토리지 수단 판독기(3)는 모든 사항들 하에서 메모리 수단으로서 의도될 수 있다.
[0020] 제 1 메모리 수단(4)은, 제거 가능 메모리들로부터 연속적인 판독을 회피하기 위하여 제거 가능 메모리들의 정보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휘발성 메모리들, 예를 들어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S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일 수 있다.
[0021] 전원 모듈(5)은 전기 전류를 장치(1)에 공급하기 위하여 제공하고 AC("교류") 투 DC("직류") 어댑터, 배터리 또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전력 공급을 위하여 사용되도록 적응된 USB 게이트일 수 있다.
[0022] 장치(1)는 또한 메모리 수단(3)의 판독기 및 통신 모듈(2)을 구동할 수 있는 프로세싱 수단(6)을 포함한다. 게다가, 장치(1)에는 펌웨어가 제공되고, 여기서 "푸싱(pushing)" 로직은 예를 들어 NFC를 통해 구현된다. 상기 프로세싱 수단(6)은 또한 베이스 모듈들(메모리 수단(3) 및 통신 모듈(2)), 및 예를 들어 NFC 프로토콜의 "푸시"에 연결된 동작들을 관리할 수 있다. 이 애플리케이션의 범위 내에서 용어 "푸시" 또는 "푸싱"은 일종의 송신을 의도하고,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80) 또는 송신 디바이스(1)에 삽입된 명시적 요청이 아닌, 미리 결정된 이벤트의 발생시 송신 디바이스(1)의 이니시어티브(initiative)에 대한 몇몇 정보 데이터는 전자 디바이스(80)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경우 그런 발생은 결국, 장치(1)와의, 예를 들어 NFC 타입의 연결을 수립하도록 적응된 임의의 수신 디바이스가 자신의 라디오 범위 내에 있고 이런 이벤트가 상기 장치에 의해 검출된다는 사실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데이터 또는 정보 콘텐츠는, 장치(1) 또는 전자 디바이스에 정보 콘텐츠의 임의의 특정 전달 커맨드들의 명시적 삽입 없이, 바로 가까이에 배열된 전자 디바이스(80)에 전달된다.
[0023] 게다가, 장치(1)는 메모리 수단(3)의 판독기에 삽입된 제거 가능 메모리의 정보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고, 그리고 정보 콘텐츠를 카피한 후 제거 가능 메모리(60)를 추출할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비휘발성 타입의 제 2 메모리 수단(7)을 포함한다.
[0024] 다른 실시예에서, 장치(1)는 또한, 컬러 및/또는 고정 또는 가변 휘도(따라서 가시적 신호를 제공함)를 가진 시그널링 수단(8),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LED("발광 다이오드") 시그널링 램프들 또는 비퍼(beeper)(또한 "부저"라 칭해지고, 따라서 사운드 신호를 제공함)를 포함한다. 상기 시그널링 수단은, 예를 들어 정보 콘텐츠가 제 1 메모리 수단(4) 내 제거 가능 메모리로부터 카피되었거나, 또는 정보 콘텐츠가 통신 모듈(2)을 통해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성공적으로 전송되었거나, 추가로 장치(1)의 배터리가 가장 낮거나 가장 높은 충전 레벨에 도달하였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신호하기 위하여 유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시그널링 수단(8)은 적어도 상기 장치(1)에 의해 수행된 동작 또는 몇몇 동작 상태에 있다는 사실을 사용자에게 신호한다.
[0025] 다른 구현에서, 장치(1)는 또한, 디스플레이 수단(9)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수단(9)은, 예를 들어, 영숫자 문자들 및 간략화된 그래프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종래의 LCD 디스플레일 수 있다. 장치(1)의 보다 간단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는 판독 유닛(3)에 삽입된 제거 가능 메모리(60) 내 또는 로컬 메모리(7)에 존재하는 정보 콘텐츠, 즉 장치(1)의 파일 시스템 콘텐츠의 명칭 및 장소(전자 파일의 명칭)를 도시할 수 있다. 전송될 파일들의 선택은, 모든 각각의 동작에서 메모리 지지부 내 현재 파일의 리스트를 글랜스(glance)하고 전송될 적당한 관심 리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 이를 테면 "조이스틱" 또는 푸시-버튼 스트립을 통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이스틱" 또는 푸시-버튼 스트립은, 도 2에 묘사된 바와 같이 확인을 위하여 내부에 추가 푸시-버튼을 가진 십자 형상일 수 있다. 게다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예를 들어 장치(1)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정보 콘텐츠의 소거, 카피 및 전달 등 같은 정보 콘텐츠에 대한 동작들을 수행하는 것은 가능하다. 상기 조건에서, 장치(1)의 사용자는, 전송될 모든 각각의 파일에 대해 제거 가능한 메모리를 모든 각각의 시간에 변경함이 없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0)를 통해 파일들 및/또는 파일들을 포함하는 전자 폴더들을 개별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어느 정보 콘텐츠를 전자 디바이스(80)에 전송할지(단지 장치(1)에 액세스 가능한 파일, 몇몇 파일들 또는 모든 파일들 또는 이들의 특정 메모리, 예를 들어 로컬 메모리(7)에 포함된 모든 파일들)를 결정할 수 있고 따라서 정보 콘텐츠 자체들의 분배를 가속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수단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의 콘텐츠, 즉 장치(1)의 피처링(featuring) 동작들 동안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들 및/또는 폴더들을 시간 단위로 도시하는 선택시 사용자를 돕는다.
[0026] 장치의 보다 정교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수단은 이전 절에 개시된 파일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에 외에, 메모리 수단(7) 또는 메모리 수단(3)의 구획부(68)에 수용된 제거 가능한 메모리(65)에 존재하는 정보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e-잉크" 디스플레이(일반 종이 시트 상에 잉크의 외관을 시뮬레이팅하도록 설계된 디스플레이 기술)를 포함할 수 있다.
[0027] 그러므로, 단지 하드웨어 관점으로부터, 이는 대략 통신 모듈(2)(전원 모듈(5)을 통하여), 예를 들어 NFC 통신 모듈로부터 독립적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고 내부에 적어도 통신 모듈(2), 프로세싱 수단(6), 제 1 메모리 수단(4) 및 적어도 메모리 수단 판독기(3)를 제공하는 장치(1)이다.
[0028]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하도록 적응된 관련 장치는 이들 사이에서 상기 언급된 엘리먼트들을 인터페이싱하고 그리고 제 1 메모리 수단(4), 제거 가능 메모리들 및 제 2 메모리 수단(7)뿐 아니라, 이들에 의해 제공된 다양한 "파일 시스템들"에 응하는 것을 제공한다. 게다가, 장치(1)의 통신 범위에 위치된 적어도 전자 장치(80)와의 정보 콘텐츠의 이는 통신 모듈(2)을 통한 공유에 관련된 모든 동작들을 관리하는 것을 제공한다.
[0029] 전자 디바이스(80)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E-북" 또는 장치(1)의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을 채택하는 임의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그러나 쉽게 휴대 가능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003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가 장치(1)의 통신 범위 내에 위치될 때만 정보 콘텐츠의 자동 송신을 동작하는 것을 제공한다.
[0031] 방법은 온되도록 제안되는, 즉 전기적으로 공급되는 장치(1)의 3개의 가능한 논리 상태들 또는 동작 모드들을 관리할 수 있다:
- 세팅
- 정상 사용;
- 공전(비활성화).
[0032]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흐름도가 도시된다.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거 가능 메모리의 존재를 체크(단계 32) 하도록 존재하고, 만약 메모리가 존재하면, 장치는 이후 설명되는 "상태 1"이라 불리는 제 1 세팅 단계에 제공된 동작들을 수행한다(단계 40). 만약 제거 가능한 메모리의 어느 것도 메모리 수단(3)의 판독기에 존재하지 않으면, 장치는 제 2 메모리 수단(7)에서 정보 콘텐츠의 존재를 체크하고 이들을 제 1 메모리 수단(4)에 카피한다(단계 34). 만약 제거 가능 메모리가 존재하면, 장치는 또한 이후 설명되는 "상태 2"라 불리는 정상 사용의 제 2 단계에서 제공된 동작들을 수행하고(단계 50), 그렇지 않으면 또한 이후 설명되는 도 3에서 "상태 3"이라 불리는 제 3 단계 "유휴"(비활성화)로 진행한다(단계 36). 제 2 단계의 종료시 사용자 존재의 체크가 수행되고, 즉 전자 디바이스(80)가 여전히 장치(1)의 통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체크되고(단계 39), 통신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단계(32)로 리턴하고, 그렇지 않으면 방법이 중단된다(단계 38). 이는 "상태 3", 즉 단계(36)로부터, 장치의 메모리 수단(3)의 판독기에 제거 가능 메모리의 사용자에 의한 삽입의 경우 나갈 것이고(단계 32), 그 다음 "상태 1"로부터 직접 재시작할 것이다(단계 40).
[0033] 도 4를 참조하여, "상태 1"로 불리는 제 1 단계가 묘사되고, 여기서 본 발명에 따라 장치는 메모리 수단(3)의 판독기에 응하도록 기능들을 수행하고, 그 다음 사용자에 의해 삽입된 제거 가능 메모리(60)로부터 정보 콘텐츠를 판독하고(단계 42), 제 1 메모리 수단(4)에 공유하도록 의도된 콘텐츠를 카피하고(단계 44) 그리고, 장치(1)가 제 2 메모리 수단(7)에 제공되면(단계 46), 또한 최종적으로 그런 정보 콘텐츠를 카핑하고(단계 48),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가 종료된다(단계 49).
[0034] 도 5를 참조하여, "상태 2"라 불리는 제 2 단계가 묘사되고, 이는 제 1 단계의 종료시 또는 단계(34)에서 체크 종료시 중 어느 하나에서 요청된다. 상기 "상태 2"에서, 장치는,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 전달 모드 "피어-투-피어"를 지원하기에 적합한 장치(1)의 통신 프로토콜 자체, 특히 NFC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전자 디바이스(80)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제공한다(단계 52).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피어-투-피어" 통신을 함께 수립하도록 제공한다. 추가 단계는 상기 언급된 데이터 전달 모드를 이용하는 제 1 메모리 수단(4) 및/또는 제 2 메모리 수단(7) 및/또는 제거 가능 메모리(60)에 존재하는 정보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이다(단계 54). 이 후, 하나의 상태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화가 검출되는 단계가 제공되고(단계 56); 만약 상태가 변경되면 프로세스는 종료하고(단계 58), 그렇지 않으면 단계(52)로 리턴하고; 임의의 경우 "피어-투-피어" 통신은 종료된다.
[0035]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상태 3" 동안,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두 개의 설명된 단계들("상태 1" 또는 "상태 2") 중 임의의 단계를 수행할 수 없고, 얼마 후, 자동으로 그 자신의 스위칭 오프로 진행한다.
[0036] 응용 예로서, 박람회에서 같은 본 발명의 이용의 가능한 시나리오를 고려하고, 여기서 방문객은 정보 및/또는 설명 자료, 예를 들어 스탠드에 디스플레이된 관심 물체에 관한 브로셔를 얻기 위하여 스탠드로 간다. 그런 맥락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전자 서류들을 얻기 위하여 관심 있는 사용자가 그 자신의 전자 디바이스(80)(예를 들어, "스마트폰")를 사용하여 장치(1)에 접근, 또는 부분적으로 터치하고, 원하는 서류들의 세트를 얻게 하고; 그 다음 사용자는 자발적인 동작을 수행하게 강요받는다. 즉 단거리 통신 기술(예를 들어 NFC)의 사용이 허용되고, 단거리 통신 기술은 1 또는 2 센티미터들의 통상적인 통신 범위이다.
[0037]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액티브 사용자에 관련하여, 그는 예를 들어 유일한 일로서, SD 카드("Secure Digital memory card"), 마이크로-SD, USB("Universal Serial Bus") 펜 등 같은 제거 가능 메모리 지지부 상에, 방문객들에게 분배할 정보 자료를 미리 카피하는 일만 갖고, 그런 메모리 지지부를 장치(1)에 삽입한다.
[0038] 게다가, 분배된 브로셔들은 전자 포맷이고, 그러므로 임의의 종이가 사용되지 않고, 스탠드 출품자에게 상당한 경제적 절약을 생성하고 커뮤니티에 대한 환경적 영향을 감소시킨다.
[0039] 게다가, "피어-투-피어" 모드에서 단지 프로토콜 및 단거리 통신의 사용은 이들의 통신 범위 내에서 오는 장치(1)와 전자 디바이스(80) 사이의 구성 시간을 감소시키도록 허용한다. 이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시나리오로 다시 돌아가서, 출품자는 장치(1)에 임의의 커맨드를 입력할 필요가 없고, 단지 제거 가능 메모리(60)에 그 자신의 전자 서류(65)가 이미 로딩되어 있고 그 메모리를 장치(1)에 삽입하고(도 6, 도 7a, 도 7b); 그런 서류를 수신하기를 원하는 방문자로서는 단순히 단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에 대해 그 자신의 전자 디바이스(80)가 인에이블되게 하고 장치(1) 상에 그 서류를 두게 한다(도 8). 그때 전자 서류(65)는 방문자의 합의시(도 9a), 암시적으로 장치(1)로의 전자 디바이스(80)의 자발적인 접근을 승인시 전자 디바이스(80) 상에 자동으로 카피되고, 방문자는 정보 콘텐츠(65)의 이용을 즐길 것이다(도 9b). 도 7, 도 8 및 도 9에 묘사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마트 폰(80)에 파일들의 전달 단계 동안 파일(65)을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60)가 판독 유닛(3)의 구획부(68)에 삽입된 채로 있을 필요가 없고; 실제로 장치(1)는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명시적 커맨드에 따라 파일(65)을 그의 중앙 메모리(RAM 또는 SDRAM(4)) 및/또는 로컬 대용량 메모리(7)에 카피하도록 미리 제공했다는 것이 주목된다.
[0040] 게다가, 따라서 방문자는 많은 서류들 또는 다른 정보 콘텐츠를 그 자신의 전자 디바이스(80)에 로딩할 수 있고, 이는 방문자가 박람회에 방문하는 것을 꺼리게 하는 많은 종이 서류들 및 다른 객체들(CD, 메모리 지지부들)을 "수집"하는 것을 회피시킨다.
[0041] 항상 그런 맥락에서, 예를 들어, 보다 큰 통신 범위를 가진 통신 기술이, 예를 들어 대략 1 미터 또는 그 초과의 통신 범위와 함께 사용되었다면, 어느 방문자가 서류를 전송했는지를 출품자가 식별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고, 따라서 출품자가 "브로드캐스트" 모드에서 (모든 사용자들이 통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모든 사용자들에게) 전송하게 강요하고, 결과적으로, 원하지 않는 "스팸" 현상들을 나타날 것이고, 즉 그런 송신에 합의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아마도 동일한 서류가 다수 번 동일한 방문자뿐 아니라 서류에 관심 없는 방문자들에게 전송될 것이다.
[0042] 통신 기술 블루투스가 사용되면, 장치(1)와 방문자의 전자 디바이스(80) 사이에 연관을 구성하기 위한 추가 문제가 존재하지만, 그런 구성은, 모든 각각의 스탠드가 그 자신의 정보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이한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가지기 때문에, 모든 각각의 스탠드에 대해 수행될 것이다. 그러므로, 방문자는 자신이 출품자로부터 정보 콘텐츠를 찾기를 원할 때마다 장치(1)와 그 자신의 전자 디바이스(80)에 대한 연결 연관을 구성하도록 강요받고, 따라서 방문자 그 자신이 상당한 불편함 및 시간 낭비뿐 아니라, 결과적인 시간 낭비를 가진 추가 구성 문제를 겪게 한다.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을 사용하여, 원하지 않는 "스팸" 현상들은 발생하지 않고 방문자가 자신이 관심을 갖는 정보 콘텐츠를 그 자신의 전자 디바이스(80)에서 찾기를 원할 때마다 연결을 구성하기 위한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0043] 방금 설명된 바는 본 발명의 단지 가능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또한 정상 동작("상태 2") 동안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하여 "상태 1"로부터 "상태 2"로의 변이를 허용하는 하드웨어 스위치의 존재를 요구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상태 3"이 실제로 대기 전력 절약 상태인 것을 제공하는 것은 가능하고, 여기서 장치(1)는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지만, 장치(1) 내 메모리 지지부의 삽입을 항상 대기하고, 상기 메모리 지지부의 삽입의 경우 웨이크 업(wake up)하고 동작 상태(2)로 진행하고, 단말들로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모델링된 전자 서류들(파일)을 자신의 라디오 통신 모듈(2)의 범위 내로 전달할 준비가 된다.
[0044]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특정" 구성 파일들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어서, 상기 "특정" 구성 파일들과 함께 장치(1)의 소프트웨어 및 통신 프로토콜의 라이브러리들의 업데이팅(예를 들어, "피어-투-피어" 프로토콜의 업데이팅 경우에)을 수행한다. 동작 관점으로부터, 단지 제조로부터만 발생하는 "블랭크(blank)" 장치는 "상태 3"에 있을 것이고, 자신의 내부에 메모리 지지부가 삽입되기를 대기한다. 삽입이 검출되자마자, 그런 지지부는 "상태 1"에서 그리고 이로부터 "상태 2"에서 자동으로 전달될 것이다.
[0045] 이로부터, 장치(1)는 예를 들어 새로운 파일들을 포함하는 제거 가능 메모리의 삽입 다음 또는 구성 단계("상태 1")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동작되는 장치(1)의 수정들을 세팅하는 동작 다음에 상이한 결정 때까지 동일한 파일의 전송을 항상 자동으로 반복할 것이다.
[0046] 이 단계에서, 장치(1)는 항상 단거리 기술 및 "피어-투-피어"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할 준비가 될 것이다. 일단 필요한 요건들을 체크하는 전자 디바이스가 검출되면, 장치(1) 또는 전자 디바이스(80) 상에서 해당 목적을 위하여 입력된 임의의 커맨드 없이, 그것과의 통신 채널이 수립될 것이고 이것은 전달될 파일을 전송할 것이다. 일단 전달이 완료되면, 장치(1)는 전자 디바이스(80)와의 통신 채널을 닫을 것이고 새로운 상호작용을 위해 준비될 것이다.
[0047] 게다가, 설명된 바가 단지 가장 간단하고 일반적인 사용 경우를 나타내는 것을 특정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상이한 파일들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상이한 사용자 토폴로지들을 관리하고 및/또는 분배 리스트들(예를 들어 "블랙 리스트"보다 오히려 "화이트-리스트") 및/또는 상이한 규칙들을 관리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법에 조절들을 제공하는 것은 가능하다.
[0048] 다른 실시예에서, 도 10을 참조하여, 장치(1)는 라디오 통신 모듈(2)에 의해 제공된 것보다 높은 통신 레이트를 바람직하게 지원하는, 라디오 통신 모듈(2)과 상이한 제 2 라디오 통신 모듈(2B)을 포함한다. 게다가, 제 2 라디오 통신 모듈(2B)에 의해 채택된 프로토콜은 라디오 통신 모듈(2)에 의해 채택된 것과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는 바람직하게 제 1 라디오 통신 모듈(2)에 의해 허용된 것과 관련하여 또한 보다 긴 범위들 상에서 무선 연결을 지원할 수 있는 블루투스, Wi-Fi, Wi-Fi 다이렉트(Direct) 등과 같은 프로토콜 타입일 수 있다. 그런 실시예에서, 라디오 통신 모듈(2)을 통해 이루어진 제 1 통신 채널은 제 2 라디오 통신 모듈(2B)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80)와 통신을 수립하기 위하여 연결 정보(구성)를 발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정보는 예를 들어 액세스 증명서들, 채널 주파수, 네트워크 라벨 등일 수 있다. 이런 동작 모드를 사용함으로써, 제 2 높은 레이트 채널 상에서 연결을 수립하기 위하여 연결 정보를 발견하도록 제 1 느린 레이트 채널이 이용되었거나, 또는 그러나 파일들(65)이 장치(1)와 전자 디바이스(80) 사이에서 전달되도록 통과하게 하는 제 1 채널의 레이트보다 높은 레이트도 이용된다. 정보 콘텐츠(65)는 바람직하게 제 2 높은 레이트 채널을 수립하기 위하여 배타적으로 제 1 느린 레이트 채널이 사용된, 제 2 라디오 연결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지만; 또한 두 개의 상이한 라디오 채널들 상에서 장치(1)로부터 전자 디바이스(80)로 동시에 전달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분할 및 조정하는 것을 희생하고 라디오 통신 모듈들(2 및 2B)에 의해 양쪽 채널들을 통해 동시에 정보 콘텐츠(65)를 전송하도록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0049] 그 사이에, 제 2 채널에 대한 활성화는 자동이고 빠르며, 따라서 제 2 연결의 세팅시 수동 간섭이 배제된다. 실제로, 제 1 라디오 연결시, 장치(1)는 사전에 피어-투-피어 모드에서 분배되고 장치(1)의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언급된 정보 콘텐츠(65)(하나 또는 그 초과의 파일들로서)의 전달에 필요한 연결 채널(제 1 또는 배타적 채널에 부가하여)의 수립 및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전자 디바이스(80)에 전송한다. 제 2 채널 상에 채택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라디오 통신 모듈이 또한 전자 디바이스(80) 상에 존재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이 경우,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파일 전달의 세팅 시간들은 크게 감소되고, 따라서 전달 레이트가 증가된다. 상기 설명된 동작 모드는 "핸드오버"라 칭해진다.
[0050] 추가로 이런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80)가 장거리 정보 콘텐츠 분배 시스템들에 존재하는 귀찮게 하는 스팸 현상을 생성함이 없이 예를 들어 NFC 타입의 제 1 라디오 연결 시스템의 단거리 동작에서 유지되는 것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고; 실제로 파일 전달은 항상 단지 장치(1)로부터 전자 디바이스(80)로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모드(피어-투-피어)에서 발생한다. 게다가 "푸싱" 모드가 유지되고, 즉 사용자에 의해 장치(1) 또는 전자 디바이스(80)에게 주어진 임의의 명시적 커맨드 없이 정보 콘텐츠의 전달이 발생한다. 또한 이런 다른 실시예에서, 실제로, 정보 콘텐츠(65)의 전달은 장치(1)에 전자 디바이스(80)를 충분히 가까이 가져오는 결과로서 발생하여, 라디오 통신 모듈(2)은 자신의 라디오 범위에서 발견된 전자 디바이스(80)의 대응하는 라디오 통신 모듈과 통신 채널을 수립하도록 관리한다.
[0051] 도 11을 참조하여, "상태 2"로 불리는 제 2 단계는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관련된 장치가 모바일 디바이스(80) 상에 제 2 라디오 통신 프로토콜의 존재를 체크하도록 제공하고(단계 53A), 긍정의 경우, 즉시 라디오 통신 모듈(2)에 의해 지원된 제 1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제 2 라디오 연결 채널을 수립하는(단계 53B) 단계들의 삽입이 묘사된다. 이 후, 정보 콘텐츠(65) 관련 데이터는, 단계(53A)에서 이용 가능한 것으로 체크된, 라디오 통신 모듈(2B) 및 대응하는 라디오 모듈에 의해 지원되는 제 2 프로토콜을 통해 전달된다(단계 53C). 이런 제 2 채널 연결이 이용 가능하지 않으면, 데이터 전송은 도 5에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라디오 모듈(2)과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발생한다(단계 54).
[0052]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장치(1)의 메모리에 로딩 가능하고 동일한 방법을 구현하도록 적응된 소프트웨어 코드 부분들을 포함하는 정보학 물건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0053] 그러므로 수행된 설명으로부터 결과는 본 발명의 피처들을 명확하게 할 뿐 아니라, 그의 장점들을 명확하게 한다.
[0054]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의 제 1 장점은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파일 전달의 세팅 시간들을 완전히 감소시킨다.
[0055]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의 제 2 장점은 정보 콘텐츠의 공유 동안 "스팸" 현상을 회피하는 것이다.
[0056]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의 제 3 장점은 사용자가, 그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정보 콘텐츠의 수신을 간단하고 즉각적인 방식으로 마음대로 결정하게 하는 것이다.
[0057]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의 추가 장점은 전자 디바이스들로 프린트된 정보 콘텐츠의 대체로 인해 장치의 사용자의 돈 절약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0058]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의 추가 장점은 종이 및 정보 자료 낭비를 감소시키고, 그로 인해서 프린트된 종이의 비 사용에 의해 환경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0059] 본 발명의 아이디어의 신규 원리들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무선 NFC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적응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가능한 변화들이 많을 뿐 아니라 이들의 실제 수행시 묘사된 상세들의 형상들이 상이할 수 있고, 상세들이 기술적으로 균등한 부재들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은 명백하다.
[0060] 예를 들어, 무선 연결, 특히 NFC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적응된 장치 및 방법은 상이한 특전들을 가진 여러 종류의 사용자들을 관리하거나 모바일 단말로부터 NFC 연결을 통하여 직접 공유될 서류를 얻을 수 있다. 이런 최종 경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전송 표준에 더하여 수신 상태를 포함한다.
[0061] 그러므로, 본 발명이 무선 연결, 특히 NFC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적응된 장치 및 방법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 청구항들에서 보다 잘 지적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아이디어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많은 변경들, 개선들, 부분들 및 등가 부재들의 대체들을 하기 쉽다는 것이 쉽게 이해 가능하다.

Claims (18)

  1.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적응된 장치(1)로서,
    메모리 수단(3, 4, 7)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콘텐츠(65)를 판독하도록 적응된 프로세싱 수단(6);
    상기 장치(1) 또는 전자 디바이스(80)에 상기 정보 콘텐츠(65)를 전달하기 위한 임의의 특정 커맨드(command)를 명시적으로 입력할 필요 없이, 상기 전자 디바이스(80)가 라디오 통신 모듈(2)의 라디오 통신 범위 내에 위치된다는 사실의 결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콘텐츠(65)를 상기 전자 디바이스(80)에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적응된 적어도 하나의 라디오 통신 모듈(2)
    을 포함하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적응된 장치(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전송은 단거리 라디오 통신을 통해 발생하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적응된 장치(1).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통신 모듈(2)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인,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적응된 장치(1).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 모듈(5), 특히 교류-투-직류 어댑터 또는 재충전 가능 배터리를 포함하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적응된 장치(1).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시그널링 수단(8), 특히 상기 장치(1)에 의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사용자에게 신호하도록 적응된 시각 및/또는 청각 시그널링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적응된 장치(1).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디스플레이 수단(9)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를 포함하고,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9)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콘텐츠(65)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적응된 디스플레이 또는 모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콘텐츠(65)에 대한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조이스틱 또는 제어판을 포함하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적응된 장치(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상기 라디오 통신 모듈(2)에 의해 얻어진 전달 속도보다 빠른 전달 속도로 상기 장치(1)와 상기 전자 디바이스(80) 사이에서 데이터가 전달되게 하는 제 2 라디오 통신 모듈(2B)을 포함하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적응된 장치(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콘텐츠(65)를 상기 전자 디바이스(80)에 전송하기 전에, 라디오 통신 채널이 상기 제 2 라디오 통신 모듈(2B)을 통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80)에 대해 이용 가능한지가 검증되고, 긍정적인 경우, 상기 라디오 통신 채널은 상기 라디오 통신 모듈(2)을 통하여 상기 장치(1)와 상기 전자 디바이스(80) 사이에서 구성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수립되고, 상기 정보 콘텐츠(65)는 상기 제 2 라디오 통신 모듈(2B)을 통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80)로 전송되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적응된 장치(1).
  9.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프로세싱 수단(6)을 통하여, 메모리 수단(3, 4, 7)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콘텐츠(65)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정보 콘텐츠(65)를 전달하기 위한 임의의 특정 커맨드를 장치(1) 또는 전자 디바이스(80)에 명시적으로 입력할 필요 없이, 상기 전자 디바이스(80)가 라디오 통신 모듈(2)의 라디오 통신 범위 내에 위치된다는 사실의 결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콘텐츠(65)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디오 통신 모듈(2)을 통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80)에 자동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연결은 단거리 라디오 연결인,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거리 라디오 연결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연결인,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제거 가능 메모리(60)로부터 상기 메모리 수단(4, 7)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콘텐츠(65)를 카피하는 것을 제공하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메모리 수단(4, 7) 사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콘텐츠(65)를 카피하는 것을 제공하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장치(1)에 의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시그널링 수단(8)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시그널링 하는 것을 제공하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디스플레이 수단(9)을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콘텐츠(65)를 디스플레이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를 통하여 상기 정보 콘텐츠(65)에 대한 동작들을 실행하는 것을 제공하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16. 제 9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80) 상에서 제 2 라디오 통신 모듈 및 연관된 프로토콜의 존재를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라디오 통신 모듈(2)을 통해 얻어진 전달 속도보다 더 빠른 전달 속도로 상기 장치(1)와 상기 전자 디바이스(80)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정보 콘텐츠(65)를 상기 전자 디바이스(80)에 전송하기 전에, 라디오 통신 채널이 상기 제 2 라디오 통신 모듈(2B)을 통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80)에 대해 이용 가능한지를 검증하는 단계, 및 긍정의 경우, 상기 라디오 통신 모듈(2)을 통하여 상기 장치(1)와 상기 전자 디바이스(80) 사이에서 구성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상기 라디오 통신 채널을 수립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콘텐츠(65)를 상기 제 2 라디오 통신 모듈(2B)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8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18. 제 9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적응된 소프트웨어 코드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상기 장치(1)의 메모리에 로딩될 수 있는 컴퓨터 물건.
KR1020157015847A 2012-11-19 2013-11-18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구성된 장치 및 그 방법 KR1018216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TO2012A001003 2012-11-19
IT001003A ITTO20121003A1 (it) 2012-11-19 2012-11-19 Apparato atto a condividere contenuti informativi tramite connessione senza fili, e relativo metodo
PCT/IB2013/060213 WO2014076676A1 (en) 2012-11-19 2013-11-18 Apparatus adapted to share information contents through a wireless connection,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315A true KR20150086315A (ko) 2015-07-27
KR101821682B1 KR101821682B1 (ko) 2018-03-08

Family

ID=47633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5847A KR101821682B1 (ko) 2012-11-19 2013-11-18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구성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906891B2 (ko)
EP (1) EP2920946B1 (ko)
JP (1) JP6455841B2 (ko)
KR (1) KR101821682B1 (ko)
CN (1) CN104919786B (ko)
BR (1) BR112015011410A2 (ko)
ES (1) ES2806089T3 (ko)
IT (1) ITTO20121003A1 (ko)
SG (1) SG11201503929UA (ko)
WO (1) WO20140766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9594B2 (en) * 2015-02-27 2017-07-04 Plantronics, Inc. Mobile user device and method of communication over a wireless medium
CN106301598B (zh) * 2015-06-10 2020-03-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10223098B2 (en) * 2017-03-31 2019-03-0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to accelerate IoT patch propagation and reduce security vulnerabilities exposure time
KR102516019B1 (ko) * 2017-09-11 2023-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0233871B (zh) * 2019-04-30 2021-10-1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通信控制方法、设备、系统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4955A (ja) * 1991-11-13 1993-06-01 Tatsuhiko Tsuchiya データ端末装置
JP2001331605A (ja) 2000-05-23 2001-11-30 Hitachi Ltd Icカードを利用した旅客案内システム、およびそのicカード
JP4984364B2 (ja) 2001-09-13 2012-07-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7565108B2 (en) * 2002-03-26 2009-07-21 Nokia Corporati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based discovery for short range radio communication with reader device having transponder functionality
JP2004102717A (ja) * 2002-09-10 2004-04-02 Victor Co Of Japan Ltd 電子メール送信装置
US7406294B1 (en) * 2003-11-25 2008-07-29 Frank Kung Fu Liu Digital audio file reproduction system and method with wireless transfer capability
US20060189348A1 (en) * 2005-02-23 2006-08-24 Memory Matri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synchronization of cellular telephones
US20060242357A1 (en) * 2005-04-25 2006-10-26 Inventec Corporation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plugging expansion memory
US8244179B2 (en) * 2005-05-12 2012-08-14 Robin Dua Wireless inter-device data processing configured through inter-device transmitted data
US7471200B2 (en) 2005-06-30 2008-12-30 Nokia Corporation RFID optimized capability negotiation
US20070135135A1 (en) * 2005-12-09 2007-06-14 Kenneth Brown Electronic equipment with content management function and program for providing same
US9489109B2 (en) 2006-03-30 2016-11-0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 Ab Data communic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CN101114901B (zh) * 2006-07-26 2010-08-25 联想(北京)有限公司 非接触式无线数据传输的安全认证系统、设备及方法
CN101369828A (zh) 2007-08-15 2009-02-18 索尼爱立信移动通讯有限公司 电子设备以及信息交换方法
JP4378404B2 (ja) * 2007-09-27 2009-12-09 株式会社沖データ 電子ファイル承認管理システム
JP5109905B2 (ja) 2008-09-29 2012-12-26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装置
JP4676014B2 (ja) * 2009-06-30 2011-04-27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キャプチャ画像の転送処理方法
DE102010003883A1 (de) 2010-04-12 2011-10-13 Voco Gmbh Lichthärtbares Kompositmaterial
DE102010033883B4 (de) * 2010-08-10 2021-12-23 Volkswagen Ag Verfahren zum Datentransfer zwischen einem mobilen Gerät und einem Kraftfahrzeug
US9961182B2 (en) * 2010-09-23 2018-05-01 Blackberry Limited Communications system providing data transfer using selective wireless communications formats and related methods
CN102769482A (zh) * 2011-05-03 2012-11-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nfc技术链接目标wlan设备的方法、设备、装置及系统
CN102780513A (zh) 2011-05-13 2012-11-14 希姆通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移动终端以及移动终端之间实现蓝牙通信的方法
CN102315864B (zh) 2011-09-07 2015-11-25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移动设备点对点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76676A1 (en) 2014-05-22
ES2806089T3 (es) 2021-02-16
JP2016504654A (ja) 2016-02-12
ITTO20121003A1 (it) 2014-05-20
BR112015011410A2 (pt) 2017-07-11
EP2920946A1 (en) 2015-09-23
JP6455841B2 (ja) 2019-01-23
EP2920946B1 (en) 2020-05-06
KR101821682B1 (ko) 2018-03-08
SG11201503929UA (en) 2015-06-29
US9906891B2 (en) 2018-02-27
CN104919786B (zh) 2019-02-22
CN104919786A (zh) 2015-09-16
US20150334513A1 (en)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7772B2 (en) Individualized short-range radio communication method, system and central device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CN101312419B (zh) 在Zigbee PAN中使用移动通信终端发送/接收数据的系统和方法
KR101821682B1 (ko) 무선 연결을 통해 정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구성된 장치 및 그 방법
US9806558B2 (en) Wireless charging equipment,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CN103916560A (zh) 支持近场通信功能的图像形成装置和设置图像作业的方法
CN103297096A (zh) 使用近场通信来发送和接收多媒体数据的设备和方法
CN102938939A (zh) 平台使能的接近服务
CN103907332A (zh) 利用短距离通信的网络共享提供系统和方法
CN102646081A (zh) 感应地配对设备以共享资源或数据的系统和方法
US7254418B2 (en) System, method,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20220116759A1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proximity communication service and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of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WO2021185354A1 (zh) 电子墨水显示设备控制和更新方法及相关设备和系统
CN1910871A (zh) 用于短距离通信的近程检测
CN103200299B (zh) 无线数据同步的无线充电基座、显示设备及无线充电方法
JPWO2019039108A1 (ja) 情報処理装置、通信機器、サーバ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N102918512A (zh) 信息设备数据连接系统、验证设备、客户端设备、信息设备数据连接方法和记录介质
CN106295731A (zh) 一种基于智能通讯终端的感应式信息传输系统及方法
CN103457810A (zh) 在网络环境中提供服务菜单和服务的方法及服务提供设备
KR200432427Y1 (ko)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광고 제어장치
KR102178165B1 (ko)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GB2449227A (en) Data distribution system using a wireless tag
KR20200122100A (ko) 진열 상품 스펙 편집기와 그를 포함하는 디지털 스펙 카드 시스템
CN102685308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显示方法、装置及系统
JP2010086165A (ja) 携帯端末情報管理システム、携帯端末情報管理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情報管理機能付き接続装置、携帯端末情報管理方法、及び携帯端末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2008077564A (ja) 電子ガイドシステムと電子ガイド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とそのリーダライタ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