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6172A - 출력 전류 추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력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출력 전류 추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력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6172A
KR20150086172A KR1020140192630A KR20140192630A KR20150086172A KR 20150086172 A KR20150086172 A KR 20150086172A KR 1020140192630 A KR1020140192630 A KR 1020140192630A KR 20140192630 A KR20140192630 A KR 20140192630A KR 20150086172 A KR20150086172 A KR 20150086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urrent
power switch
snubber
discharge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8630B1 (ko
Inventor
김태성
구관본
Original Assignee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597,517 priority Critical patent/US9825541B2/en
Priority to CN201510024351.0A priority patent/CN104796000B/zh
Publication of KR20150086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07Frequency selective voltage or current level measu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전력 공급 장치는 전력 스위치, 상기 전력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공급되는 전류를 정류하여 출력 전류를 생성하는 정류 다이오드, 및 상기 전력 스위치에 흐르는 스위치 전류에 따르는 감지 전압에 대응하는 검출 감지 전압과 보상 방전 기간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전류에 대응하는 출력 전류 추정 전압을 생성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은 상기 정류 다이오드에 흐르는 방전 전류의 피크 시점부터 상기 방전 전류가 영 전류가 되는 시점까지의 기간이다.

Description

출력 전류 추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력 공급 장치{OUTPUT CURRENT ESTMATING METHOD AND POWER SUPPLY DEVICE USING THE SAME}
실시 예는 출력 전류 추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력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2차측에 흐르는 출력 전류의 추정은 전력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2차측의 정류 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는 방전 기간, 및 전력 스위치의 스위칭 주기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전류의 피크)*(방전 기간)/(스위칭 주기)에 기초하여 출력 전류를 추정한다.
그런데 실제 출력 전류는 1차측에 위치한 스너버 회로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감소한다. (전류의 피크)*(방전 기간)/(스위칭 주기) 식에서는 스너버 회로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출력 전류 감소량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추정된 출력 전류와 실제 출력 전류 사이에 오차가 발생한다.
출력 전류를 간단한 구성으로 추정할 수 있는 출력 전류 추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력 공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는, 전력 스위치, 상기 전력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공급되는 전류를 정류하여 출력 전류를 생성하는 정류 다이오드, 및 상기 전력 스위치에 흐르는 스위치 전류에 따르는 감지 전압에 대응하는 검출 감지 전압과 보상 방전 기간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전류에 대응하는 출력 전류 추정 전압을 생성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은 상기 정류 다이오드에 흐르는 방전 전류의 피크 시점부터 상기 방전 전류가 영 전류가 되는 시점까지의 기간이다.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는, 상기 전력 스위치의 스위칭 주기 단위로 상기 감지 전압의 피크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 감지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는, 상기 전력 스위치의 스위칭 주기 단위로 상기 감지 전압의 평균을 산출하여 상기 검출 감지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 장치는,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는 1차측 권선, 상기 정류 다이오드에 연결되어 있는 2차측 권선, 상기 2차측 권선에 절연 커플링되어 있는 보조 권선, 및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오프 기간 동안 상기 보조 권선에 발생하는 보조 전압을 지연시켜 지연 전압을 생성하는 지연 전압 생성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연 전압 생성기는, 상기 보조 전압에 직렬 연결되어 있는 제1 저항 및 제2 저항, 및 상기 제1 저항과 상기 제2 저항이 연결되어 있는 제1 노드에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지연 전압은 상기 제1 노드의 전압이다.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는, 상기 지연 전압과 소정의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의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방전 기간 검출기를 포함한다.
상기 방전 기간 검출기는, 상기 전력 스위치의 턴 오프 시점부터 상승하는 상기 지연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에 도달한 시점을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의 시작 시점으로 결정하는 전력 공급 장치.
상기 제1 기준 전압은 상기 지연 전압이 도달하는 최대 전압에 소정의 제1 비율을 곱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비율은 상기 스위치 전류의 피크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상기 방전 기간 검출기는, 상기 지연 전압과 소정의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의 종료 시점을 결정한다.
상기 방전 기간 검출기는, 상기 지연 전압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상기 제2 기준 전압에 도달한 시점을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의 종료 시점으로 결정한다.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상기 지연 전압이 도달하는 최대 전압에 소정의 제2 비율을 곱하여 결정된다.
상기 제2 비율은 상기 스위치 전류의 피크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 장치는,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는 1차측 권선, 및 상기 전력 스위치의 턴 오프 시점부터 상기 1차측 권선의 전류가 흐르는 스너버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는, 상기 스너버 회로에 흐르는 스너버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의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스너버 회로는, 상기 전력 스위치의 일단과 상기 1차측 권선이 연결된 노드에 애노드가 연결되어 있는 스너버 다이오드, 및 상기 스너버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상기 전력 스위치의 타단 사이에 병렬 연결되어 있는 스너버 저항 및 스너버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상기 스너버 회로는, 상기 1차측 권선의 일단에 애노드가 연결되어 있는 스너버 다이오드, 및 상기 스너버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상기 전력 스위치의 일단 사이에 병렬 연결되어 있는 스너버 저항 및 스너버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스위치의 일단과 상기 1차측 권선의 타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력 스위치의 타단에 입력 전압이 공급된다.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는, 상기 스너버 회로에 흐르는 스너버 전류가 영 전류가 되는 시점을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의 시작 시점으로 결정한다.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전류를 추정하는 방법은, 1차측 권선에 연결된 전력 스위치 및 2차측 권선에 연결된 정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출력 전류 추정 방법은, 상기 전력 스위치의 턴 오프 시점 이후 상기 정류 다이오드에 흐르는 방전 전류가 피크가 된 시점부터 상기 방전 전류가 영전류가 되는 시점까지의 보상 방전 기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전력 스위치에 흐르는 스위치 전류에 대응하는 감지 전압에 따르는 검출 감지 전압과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을 곱하는 단계 및 상기 곱 단계의 결과를 상기 전력 스위치의 스위치 주기로 나누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2차측 권선에 절연 커플링되어 있는 보조 권선의 보조 전압을 지연 시켜 지연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연 전압과 소정의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의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지연 전압과 소정의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의 종료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스위치의 턴 오프 시점부터 흐르는 스너버 전류가 영전류가 되는 시점을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의 시작 시점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출력 전류를 간단한 구성으로 추정할 수 있는 출력 전류 추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력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전류, 1차측 전류, 스너버 전류, 방전 전류, 방전 기간 신호, 및 지연 전압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3은 삼각형 1 및 2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전 기간 검출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전류, 1차측 전류, 스너버 전류, 방전 전류, 방전 기간 신호, 및 지연 전압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전류, 1차측 전류, 스너버 전류, 방전 전류, 및 방전 기간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력 공급 장치(1)는 커패시터(CI), 1차측 권선(W1), 2차측 권선(W2), 정류 다이오드(D1), 커패시터(CO), 전력 스위치(M), 감지 저항(R1), 지연 전압 생성기(20), 및 스위치 제어 회로(10)를 포함한다.
전력 공급 장치(1)는 스너버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스너버 다이오드(DSN), 스너버 커패시터(CSN), 및 스너버 저항(RSN)로 구성된 스너버 회로가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너버 다이오드(DSN)는 1차측 권선(W1)과 전력 스위치(M)의 드레인이 연결되어 있는 접점에 연결된 애노드를 포함한다. 스너버 저항(RSN)과 스너버 커패시터(CSN)는 병렬 연결되어 입력 전압(VI)과 스너버 다이오드(DSN)의 캐소드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전력 스위치(M)가 턴 오프 된 후, 1차측 권선에 흐르는 전류(IP)가 스너버 회로를 통해 소정 기간 흐른다. 스너버 다이오드(DSN)는 전력 스위치(M)의 턴 오프 시점부터 전류(IP)가 영 전류로 감소하는 기간 동안 도통된다. 스너버 다이오드(DSN)의 도통 기간 동안 스너버 전류(IDSN)는 스너버 저항(RSN) 및 스너버 커패시터(CSN)를 통해 흐른다.
커패시터(CI)는 1차측 권선(W1)의 일단과 1차측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
1차측 권선(W1)의 일단에는 입력 전압(VI)이 전달되고, 1차측 권선(W1)의 타단에는 전력 스위치(M)의 드레인이 연결되어 있다. 전력 스위치(M)의 소스와 그라운드 사이에 감지 저항(R1)이 연결되어 있다. 전력 스위치(M)의 온 기간 동안, 스위치 전류(Ids)와 감지 저항(R1)에 의해 감지 전압(VCS)이 발생한다.
전력 스위치(M)의 게이트에는 게이트 전압(VG)이 입력된다. 전력 스위치(M)는 1차측에서 2차측으로 전달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1차측과 2차측은 절연되어 있다.
전력 스위치(M)는 n 채널 트랜지스터이므로, 전력 스위치(M)를 턴 온 시키는 레벨은 하이 레벨이고, 전력 스위치(M)를 턴 오프 시키는 레벨은 로우 레벨이다.
2차측 권선(W2)의 일단에는 정류 다이오드(D1)의 애노드 전극이 연결되어 있다. 정류 다이오드(D1)가 도통되었을 때, 정류 다이오드(D1)에 흐르는 방전 전류(ID)가 커패시터(CO) 및 부하(도시되지 않음)에 전달된다.
전력 스위치(M)가 턴 온 되면, 1차측 권선(W1)에 전류(IP)가 흐르고, 1차측 권선(W1)에 에너지가 저장된다. 이 기간 동안 정류 다이오드(D1)는 비도통 상태이다. 전력 스위치(M)가 턴 오프 되고, 정류 다이오드(D1)가 도통되면, 1차측 권선(W1)에 저장된 에너지가 2차측 권선(W2)에 전달되고, 정류 다이오드(D1)를 통해 방전 전류(ID)가 흐른다.
보조 권선(W3)은 도 1에 도시된 전력 공급 장치(1)의 1차측에 위치하고, 1차측 권선(W1)과 소정의 권선비(n1 : n3, W1의 권선수 : W3의 권선수)로 전자기적으로 커플링 되어 있고 2차측 권선(W2)과 소정의 권선비(n2 : n3, W2의 권선수 : W3의 권선수)로 절연 커플링되어 있다.
전력 스위치(M)의 온 기간 동안 1차측 권선(W1)의 양단 전압은 입력 전압(VI)이다. 보조 권선(W3)의 양단 전압(이하, 보조 전압)(VAUX)의 극성은 1차측 권선(W1)의 양단 전압의 극성과 반대이므로, 온 기간 동안 보조 권선(W3)의 양단 전압은 -n13*Vin(n13=n3/n1) 이다.
전력 스위치(M)의 오프 기간 동안, 1차측 권선(W1)의 양단 전압은 출력 전압(VO)에 비례하는 음의 전압이고, 오프 기간 동안 보조 전압(VAUX)은 출력 전압(VO)에 비례하는 양의 전압 n23*VO(n23=n3/n2) 이다.
다이오드(D2)는 보조 권선(W3)에 흐르는 전류를 정류하고, 다이오드(D2)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 의해 커패시터(C2)가 충전되어 전원 전압(VDD)가 생성된다. 전원 전압(VDD)은 스위치 제어 회로(10)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이다.
지연 전압 생성기(20)는 스너버 전류(IDSN)가 발생하는 기간을 감지하기 위해 보조 전압(VAUX)을 이용하여 지연 전압(DLV)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지연 전압 생성기(20)는 소정의 시정수를 가지는 지연 회로로서, 보조 전압(VAUX)의 상승 및 하강을 지연시켜 지연 전압(DLV)을 생성할 수 있다.
전력 스위치(M)의 턴 오프 시점부터 스너버 전류(IDSN)가 발생하여 영전류로 감소한다. 보조 전압(VAUX)은 전력 스위치(M)의 턴 오프 시점에 출력 전압(VO)에 비례하는 양의 전압으로 상승한다. 실시 예는 스너버 전류(IDSN)가 흐르는 제1 기간을 직접 검출하지 않고, 지연 전압(DLV)이 보조 전압(VAUX)을 따라 상승하기 시작하여 소정의 기준 전압에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제2 기간을 검출한다. 제1 기간과 제2 기간이 일치하도록 기준 전압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1 기간과 제2 기간이 일치하도록 지연 전압 생성기(20)의 시정수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제1 기간은 스너버 회로에 따라 결정되므로, 설계 시 기준 전압은 이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전압(VR1, 도 2 참조)은 지연 전압(DLV)의 최대 전압(VM, 도 2 참조)에 소정 비율(a)을 곱한 전압(a*VM)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1 기간과 제2 기간이 일치하도록 기준 전압을 설정하기 위해 비율(a)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최대 전압(VM)은 출력 전압(VO)에 대응하는 값으로 출력 전압(VO)이 변할 경우 기준 전압(VR1)도 최대 전압(VM)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또한, 비율(a)은 스위치 전류(Ids)의 피크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스위치 전류(Ids)의 피크가 변하면 제1 기간도 변한다. 예를 들어, 스위치 전류(Ids)의 피크가 증가하면 제1 기간이 증가하고, 반대의 경우 제1 기간이 감소한다. 따라서 스너버 회로에 따라 설정된 비율(a)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즉, 스위치 전류(Ids)의 피크가 증가하면 비율(a)도 증가하고, 스위치 전류(Ids)의 피크가 감소하면 비율(a)도 감소한다.
스위치 전류(Ids)의 피크를 변화시키는 요인 중 하나가 입력 전압(VI)의 변화다. 따라서 입력 전압(VI)이 변해도 비율(a)가 입력 전압(VI)에 따라 변경된다. 예를 들어, 입력 전압(VI)이 증가하면, 스위치 전류(Ids)의 상승 기울기가 증가하여 피크가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입력 전압(VI)이 감소하면, 스위치 전류(Ids)의 상승 기울기가 감소하여 피크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전압(VI)이 증가하면 비율(a)도 증가하고, 입력 전압(VI)이 감소하면 비율(a)도 감소한다.도 1에 도시된 실시 예는 제1 기간을 감지하기 위해서 보조 전압(VAUX)을 이용해 지연 전압(DLV)을 생성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연 전압 생성기(20)는 두 개의 저항(R2, R3) 및 커패시터(C1)를 포함한다. 두 개의 저항(R2, R3)는 보조 권선(W3)의 일단과 1차측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있고, 두 개의 저항(R2, R3)이 연결되어 있는 노드(N1)과 1차측 그라운드 사이에 커패시터(C1)가 연결되어 있다. 그러면 시정수 C1*(R2*R3/(R2+R3))를 따르는 지연 전압(DLV)이 노드(N1)에 발생한다.
도 1에 도시된 지연 전압 생성기(20)는 일 예로서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연 전압 생성기(20)는 보조 전압(VAUX)을 이용하여 소정의 시정수를 가지는 지연 전압을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스위치 제어 회로(10)는 출력 전류(IO)를 추정한 값을 이용하여 전력 스위치(M)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스위치 제어 회로(10)는 지연 전압(DLV)을 이용하여 방전 기간을 검출하고 감지 전압(VCS)을 검출하여 출력 전류(IO)의 추정 전압(이하, 출력 전류 추정 전압, VIO)를 생성한다. 스위치 제어 회로(10)는 출력 전류 추정 전압(VIO)에 따라 전력 스위치(M)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게이트 전압(VG)를 생성한다.
출력 전류(IO)는 정류 다이오드(D1)를 통해 흐르는 방전 전류(ID)를 방전 기간 동안 적분한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 방전 기간은 정류 다이오드(D1)가 도통되어 전류가 흐르는 기간을 의미한다. 전력 스위치(M)의 오프 기간 중 정류 다이오드(D1)를 통해 흐르는 방전 전류(ID)는 전력 스위치(M)의 턴 오프 시점부터 방전 기간 동안 발생하는 삼각파형이다.
전력 스위치(M)의 턴 오프 시점에 발생하는 2차측 전류는 스위치 전류(Ids)의 피크(또는 스위치 전류(Ids) 평균)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출력 전류(IO)는 스위치 전류(Ids)의 피크(또는 평균)에 방전 기간을 곱한 결과에 따른다. 스위치 전류(Ids)에 따라 감지 전압(VCS)이 결정되므로, 출력 전류(IO)는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추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출력 전류(IO)=k*(VCS의 피크)*(방전 기간)/(전력 스위치의 스위칭 주기)
여기서, VCS의 피크 대신 VCS의 평균을 사용할 수도 있다. k는 비례 상수로서 설계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는데, 예를 들어, VCS의 피크를 사용할 때와 VCS의 평균을 사용할 때 각각에 따라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스위치 제어 회로(10)는 방전 기간 검출기(11), 감지전압 검출기(12), 출력 전류 추정기(13), 및 PWM 제어기(14)를 포함한다.
방전 기간 검출기(11)는 지연 전압(DLV)과 기준 전압(VR1)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방전 기간 시작 시점을 검출한다. 방전 기간 검출기(11)는 전력 스위치(M)의 턴 오프 기간 중 출력 전압(VO)이 감소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방전 기간 종료 시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 방전 기간 검출기(11)는 전력 스위치(M)의 턴 오프 시점부터 증가하기 시작하는 지연 전압(DLV)이 기준 전압(VR1)에 도달한 시점을 방전 기간 시작 시점으로 검출한다. 방전 기간 검출기(11)는 방전 기간 동안 하이 레벨을 가지는 방전 기간 신호(TDIS)를 생성할 수 있다.
감지전압 검출기(12)는 스위칭 주기마다 감지 전압(VCS)의 피크를 검출한다. 또는 감지전압 검출기(12)는 스위칭 주기마다 온 기간 동안의 감지 전압(VCS)의 평균을 검출할 수도 있다. 감지 전압(VCS)의 피크 또는 평균은 스위칭 주기마다 발생하는 감지 전압(VCS)에 대한 정보로서 스위치 전류(Ids)에 대한 정보이기도 하다. 감지전압 검출기(12)는 검출한 피크 또는 평균에 따라 검출 감지 전압(VCSD)을 출력한다.
출력 전류 추정기(13)는 검출 감지 전압(VCSD)에 방전 기간 신호(TDIS)의 하이 레벨 기간을 곱하고, 곱한 결과를 전력 스위치(M)의 스위칭 주기로 나누어 출력 전류 추정 전압(VIO)을 생성한다.
PWM 제어기(14)는 출력 전류 추정 전압(VIO)에 따라 전력 스위치(M)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게이트 전압(VG)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출력 전류 추정 전압(VIO)과 소정의 기준 전압간의 차에 따른 보상 전압을 생성하고, 보상 전압과 감지 전압(VCS) 또는 내부에서 생성된 삼각파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전력 스위치(M)의 온-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전류 추정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전류, 1차측 전류, 스너버 전류, 방전 전류, 방전 기간 신호, 및 지연 전압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2에서 방전 전류(ID)가 실제로 발생하는 기간은 TDR이다. 그러나 실시 예에서는 스너버 전류(IDSN)가 흐르는 기간(TSN)을 기간 TDR에서 차감한 기간을 방전 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삼각형 1로 표시한 면적과 삼각형 2로 표시한 면적이 동일하기 때문이다.
도 3은 삼각형 1 및 2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1과 2는 3의 면적을 공유하고, 삼각형 4와 5 각각의 밑변(w) 및 높이(h)가 동일하므로 그 면적은 서로 같다. 따라서 삼각형 1과 삼각형 2의 면적은 동일하다.
출력 전류(IO)는 방전 기간 동안 방전 전류를 적분한 결과에 따르므로, 삼각형 1과 2의 면적이 서로 동일하므로 실시 예에서는 방전 기간을 실제 방전 기간 TDR이 아닌 TDS로 설정할 수 있다. 기간 TDS를 이하 보상 방전 기간이라 한다. 보상 방전 기간은 방전 전류(ID)의 피크 시점부터 방전 전류(ID)가 영이 되는 시점까지의 기간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실제 방전 기간(TDR) 대신 보상 방전 기간(TDS)을 사용하면, 1차측의 정보 만으로 출력 전류의 추정이 가능해진다. 실제 방전 기간(TDR)을 사용하여 출력 전류(IO)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2차측의 방전 전류(ID)의 실제 피크를 검출해야 한다. 그러나 보상 방전 기간(TDS)을 이용하면, 스위치 전류(Ids)의 피크 또는 그 평균을 이용하여 출력 전류(IO)를 추정할 수 있다.
전력 스위치(M)의 온 기간 동안 흐르는 스위치 전류(Ids)의 양만큼 2차측에 전력이 전달되고, 방전 전류(ID)의 피크는 2차측으로 전달된 전력에 따라 결정된다. 이상적으로 전력 스위치(M)의 턴 오프 시점(T1)에 방전 전류(ID)가 급격히 상승하여 피크에 도달한다면, 출력 전류(IO)는 실제 방전 기간(TDR)과 이상적인 방전 전류(ID)의 피크의 곱에 따른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로는 스너버 전류(IDSN)에 의한 전력 전달 손실이 발생하고, 방전 전류(ID)의 피크는 감소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방전 전류(ID)의 파형은 스너버 전류(IDSN)가 흐르는 기간(TSN) 동안 증가하여 기간(TSN)이 경과한 후에 피크에 도달한다. 출력 전류(IO)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삼각형 1의 면적을 계산해야 하는데, 방전 전류(ID)의 실제 피크를 얻기 위해서는 2차측에 방전 전류(ID)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야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실제 방전 기간 (TDR)과 실제 방전 전류(ID)의 피크로 결정되는 면적과 이상적인 방전 전류(ID)의 피크와 보상 방전 기간(TDS)으로 결정되는 면적이 동일하므로, 실시 예에서는 1차측의 정보만으로 출력 전류를 추정할 수 있다. 도 2에서 이상적인 방전 전류(ID)의 피크는 IDP로 표시되어 있다.
이상적인 방전 전류(ID)의 피크(IDP)는 스위치 전류(Ids)의 피크 또는 그 평균에 따라 결정되므로, 검출 감지 전압(VCSD)이 피크(IDP)에 대응한다. 또한, 보상 방전 기간(TDS)은 지연 전압(DLV)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예는 검출 감지 전압(VCSD)과 보상 방전 기간(TDS)을 이용하여 출력 전류(IO)를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으로, 시점 T0에 전력 스위치(M)가 턴 온 되어 스위치 전류(Ids)가 흐르기 시작한다. 시점 T1에 전력 스위치(M)가 턴 오프 되어 스위치 전류(Ids)는 영이 된다. 시점 T1에 스너버 전류(IDSN)가 급격히 상승하고, 기간(TSN) 동안 감소한다.
시점 T1부터 지연 전압(DLV)이 증가하기 시작한다. 시점 T2에 지연 전압(DLV)이 기준 전압(VR1)에 도달한다. 기간 T1-T2는 기간(TSN)과 동일하다. 시점 T2에 방전 기간 신호(TDIS)가 하이 레벨이 되고, 방전 전류(ID)가 영이 되는 시점 T4에 방전 기간 신호(TDIS)가 로우 레벨이 된다.
증가하던 지연 전압(DLV)은 시점(T3)에 최대 전압(VM)에 도달하고, 기간(TD)은 지연 전압(DLV)이 최대 전압(VM)에 도달하는 기간으로 앞서 언급한 시정수에 따라 결정된다.
앞선 실시 예에서는 지연 전압(DLV)을 이용하여 보상 방전 기간(TDS)의 시작 시점만을 검출하였으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는 지연 전압(DLV)을 이용하여 보상 방전 기간(TDS)의 종료 시점도 검출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전 기간 검출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 기간 검출기(21)는 히스테리시스 비교기(211)을 포함한다. 히스테리시스 비교기(211)는 지연 전압(DLV)이 상승할 때 기준 전압(VR1)과 지연 전압(DLV)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방전 기간 신호(TDIS)를 하이 레벨로 만들어 주고, 지연 전압(DLV)이 하강할 때 기준 전압(VR2)과 지연 전압(DLV)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방전 기간 신호(TDIS)를 로우 레벨로 만들 수 있다.
기준 전압(VR2)는 지연 전압(DLV)의 최대 전압(VM)에 소정 비율(b)를 곱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비율(a)와 동일한 방식으로 비율(b)은 스위치 전류(Ids)의 피크 또는 입력 전압(VI)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히스테리시스 비교기(211)는 지연 전압(DLV)이 입력되는 비반전 단자(+)와 기준 전압(VR1) 및 기준 전압(VR2)이 발생하는 반전 단자(-)를 포함한다. 히스테리시스 비교기(211)는 지연 전압(DLV)이 상승할 때 지연 전압(DLV)이 기준 전압(VR1) 이상이 되는 시점에 방전 기간 신호(TDIS)를 하이 레벨로 만들어주고, 지연 전압(DLV)이 하강할 때 지연 전압(DLV)이 기준 전압(VR2)보다 작아지는 시점에 방전 기간 신호(TDIS)를 로우 레벨로 만들 수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전류, 1차측 전류, 스너버 전류, 방전 전류, 방전 기간 신호, 및 지연 전압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점 T10에 전력 스위치(M)가 턴 온 되어 스위치 전류(Ids)가 흐르기 시작한다. 시점 T11에 전력 스위치(M)가 턴 오프 되어 스위치 전류(Ids)는 영이 된다. 시점 T11에 스너버 전류(IDSN)가 급격히 상승하고, 기간(TSN) 동안 감소한다.
시점 T11부터 지연 전압(DLV)이 증가하기 시작한다. 시점 T12에 지연 전압(DLV)이 기준 전압(VR1)에 도달한다. 기간 T11-T12는 기간(TSN)과 동일하다. 시점 T12에 방전 기간 신호(TDIS)가 하이 레벨이 된다.
증가하던 지연 전압(DLV)은 시점(T13)에 최대 전압(VM)에 도달한다. 그리고 시점 T14에 방전 전류(ID)가 영전류가 되고, 보조 전압(VAUX)이 감소하기 시작한다.
시점 T14로부터 소정 기간 지연된 시점 T15에 지연 전압(DLV)이 기준 전압(VR2)까지 감소하고, 방전 기간 신호(TDIS)는 로우 레벨이 된다.
앞선 실시 예는 보조 전압(VAUX)에 기초한 지연 전압(DLV)을 이용하여 보상 방전 기간의 시작 시점을 검출하고, 다른 실시 예는 추가적으로 지연 전압(DLV)을 이용하여 보상 방전 기간의 종료 시점도 검출하였다. 그러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연 전압(DLV) 대신 스너버 전류를 직접 감지하여 보상 방전 기간의 시작 시점을 검출할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앞선 실시 예와 비교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너버 회로(50)은 앞선 실시 예의 스너버 회로와 달리 전력 스위치(M)의 양단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스너버 회로(50)를 통과한 스너버 전류(IDSN1)는 감지 저항(R1)을 통해 흐른다. 그러면 감지 전압(VCS1)은 전력 스위치(M)의 온 기간 뿐만 아니라 스너버 전류(IDSN1)가 흐르는 기간 동안에도 발생한다.
스너버 회로(50)는 스너버 다이오드(DSN1), 스너버 저항(RSN1), 및 스너버 커패시터(CSN1)를 포함한다. 스너버 다이오드(DSN1)의 애노드는 전력 스위치(M)의 드레인과 1차측 권선(W1)이 연결되는 노드(N2)에 연결되어 있다. 스너버 커패시터(CSN1) 및 스너버 저항(RSN1)은 스너버 다이오드(DSN1)의 캐소드와 노드(N3) 사이에 병렬 연결되어 있다. 노드(N3)는 전력 스위치(M)의 소스와 감지 저항(R1)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노드이다. 감지 전압(VCS1)은 노드(N3)의 전압이다.
전력 스위치(M)의 온 기간 동안 감지 전압(VCS1)은 전력 스위치(M)에 흐르는 스위치 전류(Ids)에 따른다. 전력 스위치(M)가 턴 오프 되면, 스너버 다이오드(DSN1)가 도통되어 스너버 전류(IDSN1)가 흐른다. 스너버 전류(IDSN1)는 스너버 저항(RSN1) 및 스너버 커패시터(CSN1)를 통과해 감지 저항(R1)으로 흐른다. 스너버 전류(IDSN1)가 감지 저항(R1)을 통해 흐르는 기간 동안 감지 전압(VCS1)이 발생한다. 스너버 전류(IDSN1)가 영전류가 되면 스너버 다이오드(DSN1)가 차단되고, 감지 전압(VCS1)은 영전압이 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 회로(30)는 감지 전압(VCS1)이 전력스위치(M)의 턴 오프 시점 이후 영전압이 되는 시점을 보상 방전 기간의 시작 시점으로 검출한다.
스위치 제어 회로(30)의 감지 전압 검출기(12)는 감지 전압(VCS1)의 피크를 전력 스위치(M)의 스위칭 주기마다 검출하여 검출 감지 전압(VCSD)을 생성하거나, 전력 스위치(M)의 온 기간 동안의 감지 전압(VCS1)의 평균을 산출하여 검출 감지 전압(VCSD)으로 생성한다.
방전 기간 검출기(15)는 감지 전압(VCS1)이 전력 스위치(M)의 턴 오프 시점 이후 영전압이 되는 시점을 보상 방전 기간의 시작 시점으로 검출한다. 방전 기간 검출기(15)는 전력 스위치(M)의 턴 오프 기간 중 보조 권선(W)의 양단 전압인 보조 전압(VAUX)이 감소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보상 방전 기간 종료 시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 보조 권선(W)의 양단에 반영된 출력 전압(VO)이 감소하기 시작하는 시점은 정류 다이오드(D1)가 턴 오프 되는 시점과 같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전류, 1차측 전류, 스너버 전류, 방전 전류, 및 방전 기간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점 T30에 전력 스위치(M)가 턴 온 되어 스위치 전류(Ids)가 흐르기 시작한다. 시점 T31에 전력 스위치(M)가 턴 오프 되어 스위치 전류(Ids)는 영이 된다. 시점 T31에 스너버 전류(IDSN1)가 급격히 상승하고, 기간(TSN) 동안 감소한다. 감소하던 스너버 전류(IDSN1)는 시점 T32에 영 전류가 된다.
전력 스위치(M)의 온 기간(T30-T31) 동안 스위치 전류(Ids)에 따라 감지 전압(VCS1)이 증가한다. 전력 스위치(M)의 오프 기간 중 스너버 전류(IDSN1)가 흐르는 기간(T31-T32) 동안 감지 전압(VCS1)이 감소한다.
방전 기간 검출기(15)는 감지 전압(VCS1)이 영전압이 되는 시점 T32에 방전 기간 신호(TDIS)를 하이 레벨로 만든다.
스너버 전류(IDSN1)가 흐르는 기간(TSN) 동안 방전 전류(ID)가 증가하고,방전 전류(ID)는 시점 T32부터 감소하여 시점 T33에 영전류가 된다. 그러면 보조 전압(VAUX)이 감소하기 시작하고, 방전 기간 신호(TDIS)는 로우 레벨로 된다.
이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는 스너버 전류를 감지하여 보상 방전 기간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스너버 회로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너버 전류를 이용해 보상 방전 기간의 시작 시점을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가 가능하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스위치(M)의 드레인에 입력 전압(VI)이 공급되고, 전력 스위치(M)의 소스는 감지 저항(R2)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감지 저항(R2)의 타단은 1차측 그라운드와 1차측 권선(W1)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스너버 회로(60)는 1차측 권선(W1)의 양단에 병렬 연결되어 있다.
스너버 회로(60)는 스너버 다이오드(DSN2), 스너버 저항(RSN2), 및 스너버 커패시터(CSN2)를 포함한다. 스너버 다이오드(DSN2)의 애노드는 1차측 권선(W1)의 타단과 커패시터(CI)의 타전극이 연결되어 있는 노드(N5)에 연결되어 있다. 스너버 커패시터(CSN2) 및 스너버 저항(RSN2)은 스너버 다이오드(DSN2)의 캐소드와 노드(N4) 사이에 병렬 연결되어 있다. 노드(N4)는 전력 스위치(M)의 소스와 감지 저항(R2)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노드이다. 감지 전압(VCS2)은 노드(N4)의 전압이다.
전력 스위치(M)의 온 기간 동안 감지 전압(VCS2)은 전력 스위치(M)에 흐르는 스위치 전류(Ids)에 따른다. 전력 스위치(M)가 턴 오프 되면, 스너버 다이오드(DSN2)가 도통되어 스너버 전류(IDSN2)가 흐른다. 스너버 전류(IDSN2)는 스너버 저항(RSN2) 및 스너버 커패시터(CSN2)를 통과해 감지 저항(R2)으로 흐른다. 스너버 전류(IDSN2)가 감지 저항(R2)을 통해 흐르는 기간 동안 감지 전압(VCS2)이 발생한다. 스너버 전류(IDSN2)가 영전류가 되면 스너버 다이오드(DSN2)가 차단되고, 감지 전압(VCS2)은 영전압이 된다.
도 8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 회로(40)는 도 7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 회로(30)와 동일한 방식으로 감지 전압(VCS2)이 전력스위치(M)의 턴 오프 시점 이후 영전압이 되는 시점을 보상 방전 기간의 시작 시점으로 검출한다.
스위치 제어 회로(40)의 감지 전압 검출기(12)는 감지 전압(VCS2)의 피크를 전력 스위치(M)의 스위칭 주기마다 검출하여 검출 감지 전압(VCSD)을 생성하거나, 전력 스위치(M)의 온 기간 동안의 감지 전압(VCS2)의 평균을 산출하여 검출 감지 전압(VCSD)으로 생성한다.
방전 기간 검출기(16)는 감지 전압(VCS2)이 전력 스위치(M)의 턴 오프 시점 이후 영전압이 되는 시점을 보상 방전 기간의 시작 시점으로 검출한다. 방전 기간 검출기(16)는 전력 스위치(M)의 턴 오프 기간 중 ㅂ조 전압(VAUX)이 감소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보상 방전 기간 종료 시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출력 전류를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서 정류 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는 실제 방전 기간 대신, 방전 전류가 피크인 시점부터 방전 전류가 영전류가 되는 시점까지의 보상 방전 기간을 이용한다. 그러면 2차측으로 실제 전달되는 전력에 의한 출력 전류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전력 공급 장치
20: 지연 전압 생성기
10, 30, 40: 스위치 제어 회로
11, 21, 15, 16: 방전 기간 검출기
12: 감지전압 검출기
13: 출력 전류 추정기
50, 60: 스너버 회로
14: PWM 제어기

Claims (21)

  1. 전력 스위치,
    상기 전력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공급되는 전류를 정류하여 출력 전류를 생성하는 정류 다이오드, 및
    상기 전력 스위치에 흐르는 스위치 전류에 따르는 감지 전압에 대응하는 검출 감지 전압과 보상 방전 기간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전류에 대응하는 출력 전류 추정 전압을 생성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은 상기 정류 다이오드에 흐르는 방전 전류의 피크 시점부터 상기 방전 전류가 영 전류가 되는 시점까지의 기간인 전력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는,
    상기 전력 스위치의 스위칭 주기 단위로 상기 감지 전압의 피크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 감지 전압을 생성하는 전력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는,
    상기 전력 스위치의 스위칭 주기 단위로 상기 감지 전압의 평균을 산출하여 상기 검출 감지 전압을 생성하는 전력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는 1차측 권선,
    상기 정류 다이오드에 연결되어 있는 2차측 권선,
    상기 2차측 권선에 절연 커플링되어 있는 보조 권선, 및
    상기 전력 스위치의 오프 기간 동안 상기 보조 권선에 발생하는 보조 전압을 지연시켜 지연 전압을 생성하는 지연 전압 생성기를 더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전압 생성기는,
    상기 보조 전압에 직렬 연결되어 있는 제1 저항 및 제2 저항, 및
    상기 제1 저항과 상기 제2 저항이 연결되어 있는 제1 노드에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지연 전압은 상기 제1 노드의 전압인 전력 공급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는,
    상기 지연 전압과 소정의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의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방전 기간 검출기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기간 검출기는,
    상기 전력 스위치의 턴 오프 시점부터 상승하는 상기 지연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에 도달한 시점을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의 시작 시점으로 결정하는 전력 공급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전압은 상기 지연 전압이 도달하는 최대 전압에 소정의 제1 비율을 곱하여 결정되는 전력 공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율은 상기 스위치 전류의 피크에 따라 변하는 전력 공급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기간 검출기는,
    상기 지연 전압과 소정의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의 종료 시점을 결정하는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기간 검출기는,
    상기 지연 전압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상기 제2 기준 전압에 도달한 시점을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의 종료 시점으로 결정하는 전력 공급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상기 지연 전압이 도달하는 최대 전압에 소정의 제2 비율을 곱하여 결정되는 전력 공급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율은 상기 스위치 전류의 피크에 따라 변하는 전력 공급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는 1차측 권선, 및
    상기 전력 스위치의 턴 오프 시점부터 상기 1차측 권선의 전류가 흐르는 스너버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는,
    상기 스너버 회로에 흐르는 스너버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의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전력 공급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너버 회로는,
    상기 전력 스위치의 일단과 상기 1차측 권선이 연결된 노드에 애노드가 연결되어 있는 스너버 다이오드, 및
    상기 스너버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상기 전력 스위치의 타단 사이에 병렬 연결되어 있는 스너버 저항 및 스너버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너버 회로는,
    상기 1차측 권선의 일단에 애노드가 연결되어 있는 스너버 다이오드, 및
    상기 스너버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상기 전력 스위치의 일단 사이에 병렬 연결되어 있는 스너버 저항 및 스너버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스위치의 일단과 상기 1차측 권선의 타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력 스위치의 타단에 입력 전압이 공급되는 전력 공급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는,
    상기 스너버 회로에 흐르는 스너버 전류가 영 전류가 되는 시점을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의 시작 시점으로 결정하는 전력 공급 장치.
  18. 1차측 권선에 연결된 전력 스위치 및 2차측 권선에 연결된 정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의 출력 전류를 추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치의 턴 오프 시점 이후 상기 정류 다이오드에 흐르는 방전 전류가 피크가 된 시점부터 상기 방전 전류가 영전류가 되는 시점까지의 보상 방전 기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전력 스위치에 흐르는 스위치 전류에 대응하는 감지 전압에 따르는 검출 감지 전압과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을 곱하는 단계 및
    상기 곱 단계의 결과를 상기 전력 스위치의 스위치 주기로 나누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력 전류 추정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2차측 권선에 절연 커플링되어 있는 보조 권선의 보조 전압을 지연 시켜 지연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연 전압과 소정의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의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력 전류 추정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지연 전압과 소정의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의 종료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력 전류 추정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스위치의 턴 오프 시점부터 흐르는 스너버 전류가 영전류가 되는 시점을 상기 보상 방전 기간의 시작 시점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력 전류 추정 방법.
KR1020140192630A 2014-01-17 2014-12-29 출력 전류 추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력 공급 장치 KR102198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97,517 US9825541B2 (en) 2014-01-17 2015-01-15 Output current estimating method and power supply device using the same
CN201510024351.0A CN104796000B (zh) 2014-01-17 2015-01-16 输出电流的估算方法及利用该方法的电力供给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28521P 2014-01-17 2014-01-17
US61/928,521 2014-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172A true KR20150086172A (ko) 2015-07-27
KR102198630B1 KR102198630B1 (ko) 2021-01-05

Family

ID=538750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630A KR102198630B1 (ko) 2014-01-17 2014-12-29 출력 전류 추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력 공급 장치
KR1020140192631A KR20150086173A (ko) 2014-01-17 2014-12-29 스위치 제어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631A KR20150086173A (ko) 2014-01-17 2014-12-29 스위치 제어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986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705B1 (ko) * 2016-12-29 2018-05-2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표유 전계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비접촉식 전압 측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9235B2 (en) * 2008-04-28 2011-01-11 Fsp Technology Inc. Flyback converter having an active snubber
CN102340911A (zh) * 2010-12-30 2012-02-01 杭州矽力杰半导体技术有限公司 一种led驱动器的控制电路及其控制方法
KR20130027692A (ko) * 2011-09-08 2013-03-1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Led 구동장치를 위한 절연형 플라이백 변환회로
US8526203B2 (en) * 2008-10-21 2013-09-03 On-Bright Electronics (Shanghai)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constant voltage mode and constant current mode in flyback power converter with primary-side sensing and regul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9235B2 (en) * 2008-04-28 2011-01-11 Fsp Technology Inc. Flyback converter having an active snubber
US8526203B2 (en) * 2008-10-21 2013-09-03 On-Bright Electronics (Shanghai)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constant voltage mode and constant current mode in flyback power converter with primary-side sensing and regulation
CN102340911A (zh) * 2010-12-30 2012-02-01 杭州矽力杰半导体技术有限公司 一种led驱动器的控制电路及其控制方法
KR20130027692A (ko) * 2011-09-08 2013-03-1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Led 구동장치를 위한 절연형 플라이백 변환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705B1 (ko) * 2016-12-29 2018-05-2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표유 전계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비접촉식 전압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630B1 (ko) 2021-01-05
KR20150086173A (ko) 2015-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2856B2 (en) Modulation mode control circuit, switch control circuit including the modulation mode control circuit and powe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switch control circuit
US10312815B2 (en) Control circuit having adaptive blanking tim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KR101670994B1 (ko) 역률 보상 회로 및 역률 보상 회로의 구동 방법
US20190170803A1 (en) Sensing resistor short determiner, switch control circuit including the same and power supply including the switch control circuit
US10014785B2 (en) Insulation type switching power source apparatus
TW201826676A (zh) 用於電源供應拓撲之箝位電壓偵測及過電壓保護
KR101602474B1 (ko) 보호 회로, 이를 포함하는 공진형 컨버터 및 그 보호 방법
US9742289B2 (en) Integrated circuit and switching power-supply device
US9768701B2 (en) Synchronous rectifier control using sensing of alternating current component
US9941797B2 (en) Switch control circuit and powe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20079763A (ko) 스위치 제어 회로, 이를 이용하는 컨버터, 및 스위치 제어 방법
US9755527B2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US9825541B2 (en) Output current estimating method and power supply device using the same
US9276494B2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including a zero current detecting
KR20120131521A (ko) 전력 공급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30132169A (ko) 스위치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143254B1 (ko) 플라이백 컨버터의 pwm 제어장치
KR102268951B1 (ko) 부하 검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력 공급 장치
US9502983B2 (en) Power supply device capable of varying switching frequency according to load condition
KR102198630B1 (ko) 출력 전류 추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력 공급 장치
US11705802B2 (en) Integrated circuit and power supply circuit
KR20150112838A (ko) 전력 공급 장치
KR20150006307A (ko) 스위치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EP3709488A1 (en) Voltage regulator system
KR102219639B1 (ko) 클램핑 회로, 이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및 전력 공급 장치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