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5420A - 연기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연기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5420A
KR20150085420A KR1020140005275A KR20140005275A KR20150085420A KR 20150085420 A KR20150085420 A KR 20150085420A KR 1020140005275 A KR1020140005275 A KR 1020140005275A KR 20140005275 A KR20140005275 A KR 20140005275A KR 20150085420 A KR20150085420 A KR 20150085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sensor
sensor module
unit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7426B1 (ko
Inventor
김차현
유준호
심성보
Original Assignee
(주) 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스 filed Critical (주) 세스
Priority to KR1020140005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426B1/ko
Publication of KR20150085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G08B17/10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for detecting light-scattering due to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연기 센서에서 검출되는 결과값을 하나의 연기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으며, 연기 감지 센서의 단선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이중 전원장치를 이용하여 연기 감지 센서가 단락되는 경우, 연기 감지장치 전체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연기 감지장치{Smoke deteting device}
본 발명은 연기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센서를 병렬로 어레이 배치하여 복수의 지점에서의 연기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센서의 단선 여부를 감지하여 비정상 작동을 최소화함으로써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연기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장 판넬에 주로 장착되는 연기 감지장치는 연기가 발생 시, 전장 판넬의 주 전원을 차단하여 전장 판넬을 보호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전장 판넬 이외에도, 가정, 사무실 및 공장에 배치되는 경우, 화재에 의한 연기를 감지하여 이를 경보하는데 이용되기도 한다.
연기 감지장치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지는 광센서 사이를 연기가 유동할 때, 광센서의 광 검출량이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연기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광전식 연기센서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광전식 연기센서는 +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단자와 연기의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검출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연기 센서는 전장 판넬에 수납되면서 단선 되거나 또는 합선될 수 있는데, 연기 센서의 단선이나 합선은 연기 감지장치의 오동작 및 파손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한국 공개특허 10-1996-0005398호는 마이컴을 이용하여 화재센서의 검출 결과를 판독하고, 화재 센서의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화재센서의 단선 여부를 판단 후, 판단 결과를 마이컴에 제공하는 단선체크 기능이 내장된 화재감지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전장 판넬에 내장되는 화재감지 장치나 연기감지 장치는 단선 이외에 단락되었을 때의 보호회로가 요구되며, 전장 판넬의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락 되었을 때, 전원이 제어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공개특허 10-1996-0005398는 화재센서의 단선 여부를 비교기에서 검출하여 마이컴에 제공하여 표시되도록 하는데 그치고 있으며, 이러한 제어방식은 응답 속도가 늦고, 화재 감지장치 자체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제안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연기 센서를 하나의 본체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연기 센서의 감지 범위를 확대 가능하며, 연기 센서의 단선 여부를 감지하여 조치될 수 있도록 하고, 연기 센서가 합선되는 경우, 전원장치에서 전체 기기에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안정성 및 신뢰성이 높은 연기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지장치는 센서모듈, 연기 감지부, 센서단선 감지부 및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모듈은, 연기를 감지하는 광전식 센서가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병렬 연결된 것으로서, 연기를 감지시 전류를 출력할 수 있고, 연기 감지부는 센서모듈에서 출력전류가 발생 시, 연기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릴레이를 구동하고, 센서오픈 감지부는 출력단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 이하일 때, 연기 센서가 단선된 것으로 판단하고 연기 감지기의 출력단 전압을 증가시켜 릴레이를 구동할 수 있으며, 이중 전원부는 센서모듈과 릴레이에 정전류를 제공하는 제1전원부 및 연기 감지부 및 센서단선 감지부에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제2전원부를 구비하며, 제1전원부의 출력 전원이 제2전원의 입력 전원으로 구성되어 센서모듈이 단락 시, 제2전원부의 입력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모듈은, 복수의 연기감지 센서로 구성되며 각 연기감지 센서는 병렬 연결되고, 병렬 접속되는 복수의 연기감지 센서의 출력단에는 종단 저항이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모듈은 연기 감지 시, 검출 전류를 출력하는 광전식 감지기일 수 있다.
여기서, 센서모듈은 전장 판넬의 에어 흡기구와 에어 배기구에 의해 공기 유동이 발생하는 지점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기 감지부는, 센서모듈의 출력단과 연기 감지부의 입력단이 공동으로 연결되는 노드 및 센서단선 감지부의 입력이 연결저항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연기 센서에서 검출되는 결과값을 하나의 연기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으며, 연기 감지 센서의 단선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이중 전원장치를 이용하여 연기 감지 센서가 단락(합선)되는 경우, 연기 감지장치 전체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지장치의 블록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기 감지장치의 일 예에 따른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지장치가 전장 판넬에 장착되는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지장치에 센서모듈이 연결되는 방식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지장치의 블록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지장치는 센서모듈(10), 이중 전원부(20), 연기 감지부(30), 센서오픈 감지부(50) 및 릴레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모듈(10)은 복수의 연기감지 센서가 병렬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센서모듈(10)은 이중 전원부(20)에서 출력되는 24V 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연기가 감지될 경우, 각 연기센서(10a ∼ 10n)는 수 mA ∼ 수십 mA의 출력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모듈(10)을 구성하는 각 센서(10a ∼ 10n)는 광전식 연기 센서일 수 있는데, 센서모듈(10)을 구성하는 각 센서(10a ∼ 10n)는 동일한 출력전류를 생성하는 동일 모델인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모듈(10)은 복수의 연기 센서(10a ∼ 10n)의 단자들이 공통되는 것끼리 병렬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센서모듈(10)을 구성하는 각 연기 센서(10a ∼ 10n)의 전원 입력단자는 이중 전원부(20)에서 출력되는 24V의 전원 입력단(dc1)에 공동으로 연결되고, 연기 센서(10a ∼ 10n)에서 검출 전류를 출력하는 출력단자 또한 동일한 노드(OUT 1)에 공동으로 연결됨을 볼 수 있다. 연기 센서(10a ∼ 10n)를 병렬로 연결하는 경우, 노드(OUT 1)의 전압이 낮아져서 연기 감지부(30)가 검출 전류의 측정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연기 센서(10a ∼ 10n)의 전원 입력단(dc1)과 노드(OUT 1) 사이에 종단 저항(11)을 연결하고, 종단 저항(11)을 연결함으로써, 연기 센서(10a ∼ 10n)가 다수 개 병렬로 연결되더라도 노드(OUT 1)에서의 전압이 일정 수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종단 저항(11)의 저항값은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지기와 병렬 연결되는 연기 센서(10a ∼ 10n)의 수에 따라 그 수치가 증감될 수 있다. 전원 입력단(dc1)과 노드(OUT 1) 사이에 병렬 연결되는 연기 센서(10a ∼ 10n)의 수가 증가할수록 종단 저항(11)의 저항값은 증가하고, 반대의 경우 감소될 수 있다.
연기 감지부(30)는 센서모듈(10)의 노드(OUT 1)에서 출력되는 검출 전류에 대한 검출 전압을 생성하고, 검출 전압을 미리 설정된 검출 기준전압(V-REF)과 비교하여 연기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연기가 발생한 경우, 연기 감지부(30)는 릴레이부(40)를 구동하여 릴레이부(40)와 연결되는 타 장치들을 구동할 수 있다. 이때, 릴레이부(40)와 연결되는 타 장치로는, 경보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출력장치, 경보 메시지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원격지에 위치하는 서버로 연기 발생을 통보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치, 메인 전원 차단을 위한 전원 제어장치일 수 있으며, 언급된 것 이외에도 연기 발생을 경보 하거나 연기 발생 시, 이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다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센서오픈 감지부(50)는 센서 모듈(10)의 검출 전류가 출력되는 노드(OUT 1)에 연결되어 노드(OUT 1)의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센서모듈(10)의 단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모듈(10)은 복수의 연기 센서(10a ∼ 10n)가 병렬로 연결되며, 병렬 연결되는 연기 센서(10a ∼ 10n)들 중 어느 하나라도 단선되면, 내부 저항을 갖는 연기 센서(10a ∼ 10n)들의 병렬 합산 저항이 증가하며, 이는 센서모듈(10)의 내부 저항값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센서모듈(10)의 내부 저항값이 증가 시, 센서오픈 감지부(50)는 출력단(OUT 2)에 센서 오픈신호(Sensor)를 출력하여 릴레이부(40)를 구동할 수 있다. 즉, 센서모듈(10)이 외부 충격에 의해 단선되는 경우, 센서 오픈신호(Sensor)가 생성되어 기기 이상을 외부에 통지할 수 있다.
릴레이부(40)는 각종 경보장치와 연결되거나, 연기(또는 화재) 발생 시, 이를 제어하기 위한 타 장치와 연결되어 타 장치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릴레이부(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경보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출력장치, 경보 메시지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원격지에 위치하는 서버로 연기 발생을 통보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치, 메인 전원 차단을 위한 전원 제어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기 감지장치의 일 예에 따른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지장치는 센서모듈(10), 이중 전원부(20), 연기 감지부(30), 릴레이부(40) 센서오픈 감지부(50) 및 표시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모듈(10)은 단자대(12)에 병렬 연결될 수 있으며,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이 단자대(12)의 7번 단자와 8번 단자에 공동으로 결선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단자대(12)의 단자들 중 7번 단자는 센서모듈(10)에 구동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며, 8번 단자는 연기 감지부(30) 및 센서오픈 감지부(50)의 입력단과 연결된다.
먼저, 연기 감지부(30)를 살펴보면, 연기 감지부(30)는 저항(R12)에 의해 센서모듈(10)의 검출 전류에 대한 검출 전압을 생성하며, 검출 전압은 저항(R6)와 분압되어 비교기(U3A)의 입력단으로 제공된다.
비교기(U3A)는 저항(R4)과 저항(R5)에 의해 전압(12V)을 배분하여 생성된 기준 전압에 반전 단자가 연결되고, 저항(R6)을 통해 인가되는 검출 전압을 비반전 단자로 입력받아 양자를 비교한다. 만일, 검출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큰 경우, 비교기(U3A)는 연기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다이오드(D9)를 통해 제어전압을 출력하고, 제어전압은 저항(R7)과 저항(R14)에 의해 분압되어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자에 인가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자는 이에 응답하여 에미터 단자와 컬렉터 단자 사이에 전류 패스를 형성하며, 노드(N1)의 전압(24V)이 접지단으로 흐르도록 하고, 이를 통해 릴레이(RY1)를 구동 상태로 전환한다.
릴레이(RY1)의 구동에 따라 릴레이(RY1)의 3번 단자와 5번 단자는 단락되는데, 단자대(12) 측의 3번 단자와 5번 단자가 단락되는 것을 의미한다. 단자대(12)에는 3번 단자와 5번 단자가 단락될 경우, 작동하는 각종 경보장치 또는 메인 전원의 차단을 위한 전원제어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릴레이(RY1)가 구동 상태일 때, 노드(N1)와 발광 다이오드(D7)는 전류 패스를 형성하므로, 발광 다이오드(D7)는 점등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다이오드(D7)는 연기 감지(DETECT)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D7)와 발광 다이오드(D8)는 표시부(60)를 구성하며, 연기 감지 및 파워-온에 대한 상태를 표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D8)는 이중 전원부(20)에서 12V 전원이 출력될 때, 점등되는 것으로, 전류 제한 저항(R3)에 의해 적정한 구동 전류를 입력받아 점등될 수 있다.
한편, 연기 감지부(30)와 동일한 입력단에 연결되는 센서오픈 감지부(50)의 회로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기 감지부(30)는 노드(N2)를 통해 센서모듈(10)의 검출 전류에 대응하는 검출 전압을 획득한다. 이때, 연기 감지부(30)는 저항(R12)을 통해 검출 전압을 직접 획득하는 반면, 센서오픈 감지부(50)는 저항(R12)과 다이오드(D6)에 의해 검출 전압을 분압하여 획득하므로, 검출 전압의 크기는 저항(R6)에 걸리는 것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단자대(12)의 8번 단자, 저항(R12) 및 다이오드(D6)이 직렬 연결되는 입력단에서, 다이오드(D6)에 걸리는 전압, 즉 노드(N2)의 전압은 감소하며, 감소된 전압에 의해 비교기(U3B)의 비반전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감소하고, 비교기(U3B)의 출력 전압은 센서 오픈신호(Sensor)를 출력하고, 센서 오픈신호(Sensor)가 저항(R7)과 저항(R14)에 의해 분압되어 스위칭 트랜지스터(Q1)를 구동할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이 구동되면, 릴레이(RY1)가 구동되어 전압(24V), 저항(R2) 및 발광 다이오드(D7) 사이에 전류패스가 형성되어 릴레이(RY1)를 구동할 수 있다.
릴레이(RY1) 구동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D7)가 점등되어 연기 감지를 통보할 수 있는데, 이는 연기가 발생한 사실을 통보하는 것이 아니라 연기 감지를 통보함으로써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지장치와 연결되는 센서모듈(10)에 단선이 발생하였음을 관리자가 점검하도록 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중 전원부(20)는 제1전원부(21, 도 1 참조) 및 제2전원부(22, 도 1 참조)로 구성되는데, 실시예에서 제1전원부(21)는 레귤레이터 소자(U1)와, 부속되는 저항(R1)에 대응하고, 제2전원부(22)는 레귤레이터 소자(U2)와 부속되는 소자(C1, C2)에 대응할 수 있다.
이중 전원부(20)는 단자대(12)를 통해 인가되는 상용 교류를 정류하는 브릿지 구조의 다이오드(D1 ∼ D4)에 의해 생성되는 직류를 이용하여 24V의 전원과 12V의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이들 중 24V의 전원은 센서모듈(10)과 릴레이(RY1)에 인가되어 센서모듈(10)을 구성하는 각 연기 센서(10a ∼ 10n) 및 릴레이(RY1)를 구동하고, 12V의 전원은 센서모듈(10)과 릴레이(RY1)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 예컨대, 연기 감지부(30), 센서오픈 감지부(50) 및 발광 다이오드(D7, D8)를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이중 전원부(20)는 정전류를 출력하는 제1전원부(21)의 레귤레이터 소자(U1)가 출력하는 24V의 전원에 의해 12V의 출력 전원을 생성하는 레귤레이터 소자(U2)가 구동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2에서, 레귤레이터 소자(U1)에서 24V의 전원이 출력되면, 레귤레이터 소자(U2)의 1번 단자로 입력되어 레귤레이터 소자(U2)의 입력 전원으로 인가되고, 레귤레이터 소자(U2)는 이를 이용하여 12V의 전원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레귤레이터 소자(U1)는 정전류 및 정전압인 24V의 전원을 출력하므로, 센서모듈(10)이 단락(Short)되는 경우, 레귤레이터 소자(U1)의 보호를 위해 전원 출력을 차단하며, 전원 출력 차단에 의해 레귤레이터 소자(U2)의 입력단에는 레귤레이터(U1)의 출력 전원이 인가되지 않게되므로 레귤레이터 소자(U2)는 작동하지 않는다. 즉, 레귤레이터 소자(U2)에서 12V의 전원이 출력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는, 센서모듈(10)이 오픈(단선)되는 경우, 발광 다이오드(D7)를 점등시켜 연기를 통보하여 관리자가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지장치를 점검토록 유도하고, 센서모듈(10)이 단락(합선)되는 경우 레귤레이터 소자(U2)의 입력전원인 레귤레이터 소자(U1)의 출력전원이 생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레귤레이터 소자(U1) - 레귤레이터 소자(U2)의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전원출력이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레귤레이터 소자(U1)의 출력단에는 저항(R1)이 연결되어 과전류 출력을 차단하고, 레귤레이터 소자9U2)의 입력단(1번 단자)과 출력단(2번 단자)에는 바이패스 커패시터(C1, C2)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레귤레이터 소자(U2)로 인가되는 전원과, 레귤레이터 소자(U2)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레귤레이터 소자(U1)의 출력단(2번 단자)와 레귤레이터 소자(U2)의 입력단(1번 단자)가 공동으로 연결되고, 공동으로 연결된 노드와 접지단 사이에 바이패스 커패시터(C1)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레귤레이터 소자(U1)의 출력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출력 전원을 평활화할 수 있다. 이는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지장치의 생산에 소요되는 부품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바이패스 커패시터(C1)을 평활 커패시터로도 이중으로 이용하여 소자(C1) 활용도를 향상시킴을 의미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지장치가 전장 판넬에 장착되는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3에 대한 설명은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전장 판넬(200)은 내부에 제어장치 및 전자장치가 수납되고, 외부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제어장치나 전자장치의 수납을 위한 레일(201)이 마련되어 제어장치나 전자장치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고, 외측 일 면에는 배기구(210)와 흡기구(220)가 마련되어 전장 판넬(200) 내부를 통기시키고 있다.
이러한 전장 판넬(200)은 흡기구(220)를 통해 공기를 유동시켜 내부를 냉각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장 판넬(200)의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는 지점에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10) 또는 연기감지 장치를 배치할 경우, 전장 판넬(200) 내부에서 연기가 발생하는 것을 신속히 검출할 수 있으며, 전장 판넬(200) 외부에서 연기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흡기구(220)를 통해 유입되는 연기를 검출할 수 있다. 참조부호 "100"은 센서 모듈(10) 또는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지장치가 배치되는 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지장치에 센서모듈이 연결되는 방식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지장치는 복수의 연기 센서(10a,10b)와 연결될 수 있는데, 연결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병렬 연결에 해당한다. 병렬 연결은 동일한 기능의 단자끼리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데, 도 4에서, 연기감지 센서(10a)의 단자(A), 연기감지 센서(10b)의 단자(C)는 이중 전원부(20)의 출력 전원인 24V에 연결되고, 단자(B)와 단자(D)는 단자대(12)의 8번 단자에 연결되어 연기 감지부(30) 및 센서 오픈 감지부(50)의 입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방식은 센서모듈(10) 전체의 내부 저항을 떨어뜨리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단 저항(11)을 연결하며, 종단 저항(11)에 의해 센서오픈 감지부(50)의 오동작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센서모듈 10a ∼ 10n : 연기 센서
20 : 이중 전원부 30 : 연기 감지부
40 : 릴레이부 50 : 센서오픈 감지부

Claims (5)

  1. 연기를 감지 시, 출력단에서 검출 전류를 출력하는 연기 센서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센서모듈;
    상기 연기 센서의 검출 전류를 통해 연기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릴레이를 구동하는 연기 감지부;
    상기 출력단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 이하일 때, 상기 연기 센서가 단선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연기 감지기의 출력단 전압을 증가시켜 상기 릴레이를 구동하는 센서단선 감지부; 및
    상기 센서모듈과 상기 릴레이에 정전류를 제공하는 제1전원부 및 상기 연기 감지부 및 상기 센서단선 감지부에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제2전원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전원부의 출력 전원이 상기 제2전원의 입력 전원으로 구성되어 상기 센서모듈이 단락 시, 상기 제2전원부의 입력 전원을 차단하는 이중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복수의 연기감지 센서로 구성되며 각 연기감지 센서는 병렬 연결되고, 상기 병렬 접속되는 복수의 연기감지 센서의 출력단에는 종단 저항이 병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연기 감지시 상기 검출 전류를 출력하는 광전식 감지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감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전장 판넬(Electricity pannel)의 에어 흡기구와 에어 배기구에 의해 공기 유동이 발생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감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감지부는,
    상기 센서모듈의 출력단과 상기 연기 감지부의 입력단이 공동으로 연결되는 노드 및 상기 센서단선 감지부의 입력이 연결저항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감지장치.
KR1020140005275A 2014-01-15 2014-01-15 연기 감지장치 KR101567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275A KR101567426B1 (ko) 2014-01-15 2014-01-15 연기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275A KR101567426B1 (ko) 2014-01-15 2014-01-15 연기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420A true KR20150085420A (ko) 2015-07-23
KR101567426B1 KR101567426B1 (ko) 2015-11-11

Family

ID=53875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275A KR101567426B1 (ko) 2014-01-15 2014-01-15 연기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4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170A (ko) * 2020-05-21 2021-11-30 김정민 열연 감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1639A (ja) 2002-03-25 2003-10-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感知器回線における火災、異常判別方法および火災報知システム
JP2005044305A (ja) * 2003-07-25 2005-02-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火災受信機及び火災監視システム
JP5035155B2 (ja) 2008-07-16 2012-09-26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セキュリティ制御装置及びセキュリティ制御装置のセンサ判定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170A (ko) * 2020-05-21 2021-11-30 김정민 열연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426B1 (ko) 201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21983B (zh) 具有可移除检测模块的检测器总成
US20170156189A1 (en) Fail-safe lighting control system
KR20120089771A (ko) 전자 변환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전자 변환기, 조명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물건
CN103119636B (zh) 借助布置在危险报警器插座中的以电学方式可读取的二端网络、尤其是电阻设置危险报警器的工作方式
CN102035168A (zh) 过电流保护电路及车载显示装置
CN104063302A (zh) 系统状态指示装置
JP6206735B2 (ja) 故障検出装置及び検出方法
KR101567426B1 (ko) 연기 감지장치
WO2014187017A1 (zh) 过压保护电路以及具有过压保护电路的电子装置
CN105340149A (zh) 蓄电池的电子线路、蓄电池、鼓风机过滤装置以及用于给鼓风机过滤装置的蓄电池充电的方法
JP4176675B2 (ja) 避雷器
CN109900379A (zh) 温度监测电路及装置
CN106200508B (zh) 一种连锁保护控制电路
US9018850B2 (en) Safety flashing detector for traffic lamps
JP6457823B2 (ja) 電子機器
KR101794975B1 (ko) 안전 차단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CN2482165Y (zh) 多参数复合火警预报传感器
JP2016101012A (ja) 地絡検出装置および地絡検出方法
KR102461824B1 (ko) 팬 고장 검출 장치
GB2507843A (en) Surge protection device for a three wire power source
KR102145854B1 (ko)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 및 이를 갖는 시스템
KR100975123B1 (ko) 서지 방지장치
US9433127B2 (en) Fan operation control system
KR200284070Y1 (ko) 접지상태 표시장치
CN101055295B (zh) 风扇系统及其电源监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