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5289A -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5289A
KR20150085289A KR1020140004993A KR20140004993A KR20150085289A KR 20150085289 A KR20150085289 A KR 20150085289A KR 1020140004993 A KR1020140004993 A KR 1020140004993A KR 20140004993 A KR20140004993 A KR 20140004993A KR 20150085289 A KR20150085289 A KR 20150085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area
touch input
touch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0470B1 (ko
Inventor
박완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4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470B1/ko
Priority to EP19168236.8A priority patent/EP3544287A1/en
Priority to EP15151243.1A priority patent/EP2897354B1/en
Priority to US14/597,916 priority patent/US9811246B2/en
Publication of KR20150085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289A/ko
Priority to US15/695,718 priority patent/US1085591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5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comprising setting of focusing reg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촬영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 상의 제1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제1 터치 입력이 발생한 제1 지점에,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생성하고, 제1 터치 입력이 제1 지점에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면, 제1 지점에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과 오버랩하여,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Method for setting shooting condition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의 보급의 일반화와 블로그와 각종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활성화로 촬영이 일상화되었다. 최근에는 휴대용 모바일 기기에도 높은 사양의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일반 사용자들도 전문가 못지않은 높은 퀄리티의 사진을 촬영하는데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카메라 모듈을 조작하여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복잡한 조작 방법과 설명서에 대한 별도의 학습의 필요는 사용자들이 고급 기능을 이용하는데 장애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은 촬영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 상의 제1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발생한 제1 지점에,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지점에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제1 지점에 상기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과 오버랩하여,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는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어부에서 설정된 촬영 조건에 따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을 표시하고,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 및 촬영 모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제1 터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발생한 제1 지점에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지점에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제1 지점에 상기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과 오버랩하여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생성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에 상기 제1 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에 상기 제2 기능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한 번의 터치로 원하는 위치에 제1 기능 및 제2 기능을 각각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학습 없이, 화면의 간단한 터치 조작만으로 편리하고 쉽게 촬영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포커스 영역 및 노출 영역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화이트 밸런스 영역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포커스 영역 및 화이트 밸런스 영역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노출 영역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노출 영역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노출 영역에 대해서 스텝 기능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잠금 기능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커스 영역과 노출 영역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포커스 영역을 이동하는 화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화이트 밸런스 영역의 이동에 의해 포커스 영역과 화이트 밸런스 영역이 오버랩하는 화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이트 밸런스 영역의 생성에 의해 포커스 영역과 화이트 밸런스 영역이 오버랩하는 화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노출 영역을 이동하는 화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을 해제하는 화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을 해제하는 화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또한, 이미 공지된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이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그 설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각각의 도면에 그려진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여기에 기재되는 내용들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모듈(110), 터치 스크린(120) 및 제어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20)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촬영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된 촬영 조건에 따라 촬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모듈(110)을 구비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휴대 게임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프린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모듈(110)을 구비한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0)은 촬영을 제공한다. 카메라 모듈(110)은 촬영을 통해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10)은 자동 초점(Auto Focus), 자동 노출(Auto Exposure) 및 커스톰 화이트 밸런스(Custom White Balance)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카메라 모듈(110)은 줌인(zoom in), 줌아웃(zoom out), 촬영, 연속 촬영, 타이머, 플래시, 화면 모드, 필터 등과 같은 촬영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카메라 모듈(110)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을 이용하여, 촬영 조건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0)은 설정된 촬영 조건에 따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0)은 촬영 모드에서 촬영될 영상을 미리 화면을 통해 보여주는 프리뷰(preview), 라이브뷰(liveview) 등의 영상을 터치 스크린(12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촬영 조건이 설정되면, 카메라 모듈(110)은 상기 촬영 조건이 적용된 프리뷰(preview), 라이브뷰(liveview)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10)은 영상을 획득하는 촬상 장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획득된 영상을 처리하는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10)은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에 이미지 처리(image processing)를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20)은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을 표시하고, 화면 상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 스크린(120)은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120)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터치 스크린(120)은 터치 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자동 초점의 기준이 되는 포커스 영역(focus area), 자동 노출의 기준이 되는 노출 영역(exposure area), 커스톰 화이트 밸런스의 기준이 되는 화이트 밸런스 영역(white balance area) 등을 소정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20)은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복수의 영역들을 각각 서로 다른 형태와 크기를 갖도록 표시할 수 있다. 포커스 영역, 노출 영역, 화이트 밸런스 영역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터치 스크린(120)은 포커스 영역은 네모 형태로 표시하고, 노출 영역은 포커스 영역보다 더 큰 둥근 네모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120)은 화이트 밸런스 영역은 포커스 영역 및 노출 영역보다 더 큰, 점선의 네모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명세서 및 도면에 기술된 포커스 영역, 노출 영역 및 화이트 밸런스 영역을 비롯한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영역의 형태 및 크기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스크린(120)은 터치 스크린(120)의 표면에 구비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표면에 가해진 압력 변화, 정전 용량의 변화 또는 광량의 변화 등과 같은 센서들의 상태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120)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터치 스크린(120)은 터치 스크린(120)의 표면에 신체 또는 물체의 접촉으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접촉식의 터치 스크린인 것으로 가정한다.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 터치 입력의 움직임 또는 터치 입력 패턴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20)은 센서들의 상태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의 위치, 터치 입력의 지속 시간, 터치 입력의 이동 및 이동 시의 터치 입력의 시작 위치, 종료 위치, 이동 방향, 이동 거리 또는 이동 속도 등을 더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120)은 드래그, 플릭(flick), 탭, 터치&홀드, 더블 탭, 패닝, 스윕(sweep) 등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20)은 감지된 터치 입력을 제어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어부(130)는 사용자 터치 입력의 움직임 또는 터치 입력 패턴에 따라, 대응하는 특정 기능 처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120)에서 탭, 드래그, 롱 터치 또는 더블 탭 등과 같이 어떠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었는지에 따라, 제어부(130)는 포커스 영역, 노출 영역, 화이트 밸런스 영역 및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거나, 이동하거나, 소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카메라 모듈(110) 및 터치 스크린(120)의 동작을 비롯하여,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20)이 감지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포커스 영역, 노출 영역, 화이트 밸런스 영역 등의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영역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2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20)이 감지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자동 노출, 자동 초점, 커스톰 화이트 밸런스 등의 소정의 기능이 설정되도록 카메라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20) 상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영역이 표시된 후에, 상기 터치 입력이 릴리즈되면, 상기 터치 입력이 릴리즈된 시점에 터치 스크린(120) 상에 표시된 상기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소정의 기능을 적용하여 자동으로 촬영하도록 카메라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터치 입력이 릴리즈되는 시점에, 터치 스크린 상(120)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영역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복수의 영역이 표시되어 있으면, 복수의 영역 각각에 해당하는 기능을 모두 적용하여 촬영하도록 카메라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카메라 모듈(11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촬영 관련 기능들 중 자동 초점, 자동 노출 및 커스톰 화이트 밸런스의 설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동 초점, 자동 노출 및 화이트 밸런스의 설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표시하고, 소정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자동 초점(Auto Focus, AF)은 터치 스크린(120) 상의 포커스 영역의 생성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포커스 영역의 위치를 기준으로 자동 초점을 설정할 수 있다.
자동 노출(Auto Exposure, AE)은 터치 스크린(120) 상의 노출 영역의 생성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노출 영역의 위치를 기준으로 노출값(Exposure Value, EV)을 조정할 수 있다.
커스톰 화이트 밸런스(Custom White Balance, CWB)는 터치 스크린(120) 상의 화이트 밸런스 영역의 생성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화이트 밸런스 영역의 위치를 기준으로 커스톰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저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통상적인 저장매체로서, 카메라 모듈(110)에서 획득된 촬영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터치 스크린(120)에 표시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카메라 모듈(110)에서 영상을 촬영하거나, 터치 스크린(120)에서 화면을 표시하고, 터치 입력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제어부(130)에서 카메라 모듈(110) 또는 터치 스크린(120)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 루틴이나 명령어 세트를 저장할 수 있다. 그 외에, 저장부(14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4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메모리 카드(Memory Card), NAND 메모리 및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DD)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포커스 영역 및 노출 영역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촬영 관련 기능들 중 자동 초점 및 자동 노출의 설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동 초점 및 자동 노출의 설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표시하고, 소정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커스 영역(10) 및 노출 영역(20)은 각각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및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의 (a)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 포커스 영역(10)이 생성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의 제1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제1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터치 스크린(120) 상의 제1 터치 입력이 발생한 제1 지점에 포커스 영역(10)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터치 스크린(120)을 터치하여 제1 터치 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20)의 터치 입력으로 손가락 이외에 신체의 일부, 터치 펜 등의 터치 스크린(120)의 센서들의 상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객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의 (b)는 사용자의 터치의 계속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 노출 영역(20)이 생성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의 제1 터치 입력이 제1 지점에서 제1 시간 이상 계속되면, 터치 스크린(120) 상의 제1 지점에 포커스 영역(10)과 오버랩하여 노출 영역(20)을 생성한다. 즉,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포커스 영역(10)을 발생시킨 터치를 릴리즈(release)하지 않은 상태로, 계속해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면, 노출 영역(20)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노출 영역(20)은 오버랩되는 포커스 영역(10)과 구별되도록, 포커스 영역(10)과 형태, 크기 및 색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커스 영역(10)은 네모 형태이고, 노출 영역(20)은 포커스 영역(10)보다 더 큰 둥근 네모 형태가 될 수 있다. 다만, 포커스 영역(10)과 노출 영역(20)의 형태와 크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포커스 영역(10)과 노출 영역(20)은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2의 (c)는 사용자의 터치의 이동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 노출 영역(20)이 이동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의 제1 터치 입력이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이동하면, 제1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라 노출 영역(20)을 이동시킨다. 포커스 영역(10)은 노출 영역(20)과 함께 이동하지 않고, 제1 지점에 유지된다. 즉,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포커스 영역(10)을 발생시킨 터치를 릴리즈하지 않은 상태로 이동하면, 노출 영역(20)은 포커스 영역(10)과 분리되어 이동할 수 있다.
도 2의 (d)는 사용자의 터치의 릴리즈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 포커스 영역(10)과 노출 영역(20)이 설정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의 제1 터치 입력이 제1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릴리즈되면, 제1 터치 입력이 릴리즈된 지점에 노출 영역(20)을 표시한다. 이때, 제1 터치 입력이 제1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미만에서 릴리즈되면, 노출 영역(20)은 터치 스크린(120) 상에 표시되지 않고 사라진다.
즉,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포커스 영역(10)을 발생시킨 터치를 소정 거리 이상으로 이동한 후 릴리즈하면, 포커스 영역(10)과 노출 영역(20)이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한 번의 터치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포커스 영역(10)과 노출 영역(20)을 각각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에 따라 초점 영역과 노출 영역을 일단 생성시킨 후, 다시 생성된 초점 영역과 노출 영역을 터치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에 따라 초점 영역과 노출 영역이 오버랩된 상태로 한번에 생성한 후, 초점 영역과 노출 영역 각각의 설정을 위해서는 오버랩된 초점 영역과 노출 영역을 정확한 터치로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에 따라 초점 영역을 먼저 생성시킨 후, 초점 영역의 하나의 모서리를 정확한 터치로 선택하여, 추가적으로 노출 영역을 설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와 같이 터치 스크린(120) 상에 포커스 영역(10)과 노출 영역(20)을 각각 설정한 후, 제어부(130)는 설정된 포커스 영역(10)과 노출 영역(20)의 이동 및 제거를 방지하는 잠금 기능(50)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8을 참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화이트 밸런스 영역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촬영 관련 기능들 중 화이트 밸런스의 설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화이트 밸런스의 설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표시하고, 소정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커스 영역(10), 노출 영역(20) 및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은 각각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 및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의 (a)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20) 상에 표시된 노출 영역(20)을 터치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포커스 영역(10)과 노출 영역(20)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제2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제2 터치 입력은 노출 영역(20) 상에 발생한 사용자의 새로운 터치 입력이다. 이때, 사용자의 제2 터치 입력이 발생한 지점은 제2 지점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커스 영역(10)과 노출 영역(20)이 표시된 화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노출 영역(20)을 포함하는 화면이면, 표시된 노출 영역(20)을 이용하여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의 (b)는 사용자의 터치의 계속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이 생성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의 제2 터치 입력이 제2 지점에서 제1 시간 이상 계속되면, 터치 스크린(120) 상의 제2 지점에 노출 영역(20)과 오버랩하여,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을 생성한다. 즉, 사용자가 노출 영역(20) 상의 터치를 릴리즈하지 않은 상태로, 계속해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면,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은 포커스 영역(10) 및 노출 영역(20)과 구별되도록, 포커스 영역(10) 및 노출 영역(20)과 형태, 크기 및 색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은 포커스 영역(10) 및 노출 영역(20)보다 더 큰, 점선의 네모 형태가 될 수 있다. 다만,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의 형태와 크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은 포커스 영역(10) 및 노출 영역(20)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3의 (c)는 사용자의 터치의 이동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이 이동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의 제2 터치 입력이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이동하면, 제2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라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을 이동시킨다. 노출 영역(20)은 화이트 밸런스 영역(30)과 함께 이동하지 않고, 제2 지점에 유지된다. 즉,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을 발생시킨 터치를 릴리즈하지 않은 상태로 이동하면,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은 노출 영역(20)과 분리되어 이동할 수 있다.
도 3의 (d)는 사용자의 터치의 릴리즈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이 설정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의 제2 터치 입력이 제2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릴리즈되면, 제2 터치 입력이 릴리즈된 지점에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을 표시한다. 이때, 제2 터치 입력이 제2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미만에서 릴리즈되면,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은 터치 스크린(120) 상에 표시되지 않고 사라진다.
즉,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을 발생시킨 터치를 소정 거리 이상으로 이동한 후 릴리즈하면,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이 노출 영역(2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노출 영역(20)으로부터 원하는 위치에 편리하게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포커스 영역 및 화이트 밸런스 영역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촬영 관련 기능들 중 자동 초점 및 화이트 밸런스의 설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동 초점 및 화이트 밸런스의 설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표시하고, 소정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커스 영역(10), 노출 영역(20) 및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은 각각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 및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의 (a)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 포커스 영역(10)이 생성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의 제1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제1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터치 스크린(120) 상의 제1 터치 입력이 발생한 제1 지점에 포커스 영역(10)을 생성한다.
도 4의 (b)는 사용자의 터치의 계속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 노출 영역(20)이 생성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의 제1 터치 입력이 제1 지점에서 제1 시간 이상 계속되면, 터치 스크린(120) 상의 제1 지점에 포커스 영역(10)과 오버랩하여 노출 영역(20)을 생성한다. 즉,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포커스 영역(10)을 발생시킨 터치를 릴리즈하지 않은 상태로, 계속해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면, 노출 영역(20)이 생성될 수 있다.
도 4의 (c)는 사용자의 터치의 계속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 노출 영역(20)이 사라지고,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이 생성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의 제1 터치 입력이 제1 지점에서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 이상 계속되면, 노출 영역(20)은 사라지고, 터치 스크린(120) 상의 제1 지점에 포커스 영역(10)과 오버랩하여,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을 생성한다. 즉, 사용자가 노출 영역(20)이 생성된 이후에도, 포커스 영역(10)을 발생시킨 터치를 릴리즈하지 않은 상태로, 계속해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면, 노출 영역(20)이 사라지고,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이 생성될 수 있다.
도 4의 (d)는 사용자의 터치의 이동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이 이동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의 제1 터치 입력이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이동하면, 제1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라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을 이동시킨다. 포커스 영역(10)은 화이트 밸런스 영역(30)과 함께 이동하지 않고, 제1 지점에 유지된다. 즉,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포커스 영역(10)을 발생시킨 터치를 릴리즈하지 않은 상태로 이동하면,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을 포커스 영역(10)과 분리시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제1 터치 입력을 제1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릴리즈하면, 제1 터치 입력이 릴리즈된 지점에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제1 터치 입력을 제1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미만에서 릴리즈하면,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은 터치 스크린(120) 상에 표시되지 않고 사라진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한 번의 터치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포커스 영역(10)과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을 각각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노출 영역(20)을 이용하지 않고,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와 같이 터치 스크린(120) 상에 포커스 영역(10)과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을 각각 설정한 후, 제어부(130)는 설정된 포커스 영역(10)과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의 이동 및 제거를 방지하는 잠금 기능(5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노출 영역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촬영 관련 기능들 중 자동 노출의 설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동 노출의 설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표시하고, 소정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커스 영역(10), 제1 노출 영역(20) 및 제2 노출 영역(22)은 각각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 및 제2 기능과 관련된 제2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커스 영역(10)과 노출 영역(20)이 표시된 화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노출 영역(20)을 포함하는 화면이면, 표시된 노출 영역(20)을 이용하여 새로운 노출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터치 스크린(120) 상에 미리 생성되어 표시된 노출 영역을 제1 노출 영역(20)이라고 하고, 제1 노출 영역(20)으로부터 새롭게 생성되는 노출 영역을 제2 노출 영역(22)이라고 설명한다.
도 5의 (a)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20) 상에 표시된 제1 노출 영역(20)을 터치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포커스 영역(10)과 제1 노출 영역(20)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제3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제3 터치 입력은 제1 노출 영역(20) 상에 발생한 사용자의 새로운 터치 입력이다. 이때, 사용자의 제3 터치 입력이 발생한 지점은 제3 지점으로 설명한다.
도 5의 (b)는 사용자의 터치의 계속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 제2 노출 영역(22)이 생성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의 제3 터치 입력이 제3 지점에서 제1 시간 이상 계속되면, 터치 스크린(120) 상의 제3 지점에 제1 노출 영역(20)과 오버랩하여, 제2 노출 영역(22)을 생성한다. 즉, 사용자가 제1 노출 영역(20) 상의 터치를 릴리즈하지 않은 상태로, 계속해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면, 제2 노출 영역(22)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노출 영역(22)은 오버랩되는 제1 노출 영역(20)과 구별되도록, 제1 노출 영역(20)과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노출 영역(22)은 제1 노출 영역(20)보다 더 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제1 노출 영역(20)과 제2 노출 영역(22)의 형태와 크기는 도 5에 도시된 화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의 (c)는 사용자의 터치의 이동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 제2 노출 영역(22)이 이동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의 제3 터치 입력이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이동하면, 제3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라 제2 노출 영역(22)을 이동시킨다. 제1 노출 영역(20)은 제2 노출 영역(22)과 함께 이동하지 않고, 제3 지점에 유지된다. 즉,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제2 노출 영역(22)을 발생시킨 터치를 릴리즈하지 않은 상태로 이동하면, 제2 노출 영역(22)은 제1 노출 영역(20)과 분리되어 이동할 수 있다.
도 5의 (d)는 사용자의 터치의 릴리즈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 제2 노출 영역(22)이 설정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의 제3 터치 입력이 제3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릴리즈되면, 제3 터치 입력이 릴리즈된 지점에 제2 노출 영역(22)을 표시한다. 이때, 제3 터치 입력이 제3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미만에서 릴리즈되면, 제2 노출 영역(22)은 터치 스크린(120) 상에 표시되지 않고 사라진다.
즉,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제2 노출 영역(20)을 발생시킨 터치를 소정 거리 이상으로 이동한 후 릴리즈하면, 제2 노출 영역(22)이 제1 노출 영역(2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노출 영역(20)으로부터 원하는 위치에 제2 노출 영역(22)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터치 입력이 릴리즈된 후, 제2 노출 영역(22)은 제1 노출 영역(20)과 동일한 크기로 줄어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다르면, 터치 스크린(120) 상에 두 개 이상의 노출 영역들이 표시되면, 제어부(130)는 두 개 이상의 노출 영역들의 평균으로 자동 노출을 설정하여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120) 상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노출 영역들이 표시되면, 제어부(130)는 두 개 이상의 노출 영역들 각각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자동 노출을 설정하여 촬영하는 스텝 기능(40)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7을 참조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노출 영역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촬영 관련 기능들 중 자동 노출의 설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동 노출의 설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표시하고, 소정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커스 영역(10), 제1 노출 영역(20), 제2 노출 영역(22), 제3 노출 영역(24)은 각각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 제2 기능과 관련된 제2 영역, 제2 기능과 관련된 제3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커스 영역(10)과 2개의 제1 노출 영역(20)과 제2 노출 영역(22)이 표시된 화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노출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터치 스크린(120) 상에 미리 생성되어 표시된 노출 영역으로부터 새롭게 생성되는 노출 영역을 제3 노출 영역(24)이라고 설명한다.
도 6의 (a)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20) 상에 표시된 제2 노출 영역(22)을 터치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노출 영역(22)으로부터 제3 노출 영역(24)을 생성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노출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3 노출 영역(24)을 생성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20)은 포커스 영역(10)과 2개의 제1 노출 영역(20)과 제2 노출 영역(22)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제3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제3 터치 입력은 제2 노출 영역(22) 상에 발생한 사용자의 새로운 터치 입력이 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제3 터치 입력이 발생한 지점은 제3 지점으로 설명한다.
도 6의 (b)는 사용자의 터치의 계속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 제3 노출 영역(24)이 생성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의 제3 터치 입력이 제3 지점에서 제1 시간 이상 계속되면, 터치 스크린(120) 상의 제3 지점에 제2 노출 영역(22)과 오버랩하여, 제3 노출 영역(24)을 생성한다. 이때, 제3 노출 영역(24)은 제1 노출 영역(20) 및 제2 노출 영역(22)과 구별되도록, 제1 노출 영역(20) 및 제2 노출 영역(22)과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노출 영역(24)은 제1 노출 영역(20) 및 제2 노출 영역(22)보다 더 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6의 (c)는 사용자의 터치의 이동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 제3 노출 영역(24)이 이동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의 제3 터치 입력이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이동하면, 제3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라 제3 노출 영역(24)을 이동시킨다. 제2 노출 영역(22)은 제3 노출 영역(24)과 함께 이동하지 않고, 제3 지점에 유지된다.
도 6의 (d)는 사용자의 터치의 릴리즈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 제3 노출 영역(24)이 설정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의 제3 터치 입력이 제3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릴리즈되면, 제3 터치 입력이 릴리즈된 지점에 제3 노출 영역(24)을 표시한다. 이때, 제3 터치 입력이 제3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미만에서 릴리즈되면, 제3 노출 영역(24)은 터치 스크린(120) 상에 표시되지 않고 사라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터치 입력이 릴리즈된 후, 제2 노출 영역(22) 및 제3 노출 영역(24)은 제1 노출 영역(20)과 동일한 크기로 줄어들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하나의 노출 영역으로부터 새로운 노출 영역을 생성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터치 스크린(120) 상에 복수의 노출 영역들을 서로 다른 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노출 영역에 대해서 스텝 기능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촬영 관련 기능들 중 자동 노출의 설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동 노출의 설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표시하고, 소정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커스 영역(10), 제1 노출 영역(20), 제2 노출 영역(22), 제3 노출 영역(24)은 각각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 제2 기능과 관련된 제2 영역, 제2 기능과 관련된 제3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도 7의 (a)는 복수의 노출 영역들에 대해 스텝 기능(40)을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20) 상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노출 영역들이 표시되면, 제어부(130)는 상에 스텝 기능(40)을 제공할 수 있다. 스텝 기능(40)은 복수의 노출 영역들 각각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자동 노출을 설정하여 촬영하는 기능이다. 스텝 기능(40)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20) 상에 스텝 버튼(Step)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텝 기능(40)을 선택하면,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20) 상에 표시된 두 개 이상의 노출 영역들에 대해서 스텝 기능(40)을 적용하여 촬영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텝 기능(40)을 선택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두 개 이상의 노출 영역들의 평균으로 자동 노출을 설정하여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의 (b)는 복수의 노출 영역들에 대해 스텝 기능(40)이 적용된 화면을 나타낸다.
복수의 노출 영역들에 대해 스텝 기능(40)이 적용되면,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20) 상에 표시된 복수의 노출 영역들 각각이 적용되는 순서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20)은 복수의 노출 영역들 각각이 적용되는 순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복수의 노출 영역들이 생성된 순서에 따라, 복수의 노출 영역들의 적용되는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20) 상에 복수의 노출 영역들이 표시된 위치를 고려하여, 복수의 노출 영역들의 적용되는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노출 영역들이 적용되는 순서가 결정되면, 제어부(130)는 복수의 노출 영역들 각각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자동 노출을 설정하고, 카메라 모듈(110)은 각각의 자동 노출의 설정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노출 영역들에 대해 스텝 기능(40)이 적용되면, 터치 스크린(120)은 복수의 노출 영역들에 스텝 기능(40)이 적용된 상태임을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 온(Step on)(45)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잠금 기능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촬영 관련 기능들 중 포커스 영역(10)과 노출 영역(2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포커스 영역(10)과 노출 영역(20)은 각각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및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커스 영역(10)과 노출 영역(20)이 표시된 화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포커스 영역, 적어도 하나의 노출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화이트 밸런스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잠금 기능(50)을 적용할 수 있다.
도 8의 (a)는 잠금 기능(50)을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20) 상에 적어도 하나의 포커스 영역, 적어도 하나의 노출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화이트 밸런스 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면, 상기 표시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잠금 기능(50)을 제공할 수 있다. 잠금 기능(50)은 상기 표시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및 제거를 방지하는 기능이다. 잠금 기능(50)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20) 상에 잠금 버튼(Lock)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120) 상에 적어도 하나의 포커스 영역, 적어도 하나의 노출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화이트 밸런스 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잠금 기능(50)을 선택하면, 제어부(130)는 상기 표시된 영역들에 대해서 잠금 기능(50)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8의 (a)의 화면에서는 포커스 영역(10) 및 노출 영역(20)에 대해서 잠금 기능(50)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제어부(130)는 포커스 영역(10)과 노출 영역(20) 각각에 대해서 잠금 기능(50)을 적용할 수도 있다.
도 8의 (b)는 잠금 기능(50)이 적용된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 상에 표시된 포커스 영역(10)과 노출 영역(20)에 잠금 기능(50)이 설정되면, 잠금된 포커스 영역(10)과 노출 영역(20)은 촬영 후에도 사라지지 않고, 동일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120)은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 영역(10)과 노출 영역(20)이 현재 잠금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잠금 기능(50)이 설정되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20)은 설정된 잠금 기능(50)을 풀 수 있는 잠금 해제(Unlock) 버튼(55)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커스 영역과 노출 영역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촬영 관련 기능들 중 자동 초점과 자동 노출의 설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동 초점 및 자동 노출의 설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표시하고, 소정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커스 영역(10)과 노출 영역(20)은 각각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및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의 실시예와 달리, 포커스 영역(10)이 생성된 후, 노출 영역(20)이 생성될 때까지 요구되는 시간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120) 상에 표시해 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출 영역(20)의 윤곽을 표시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노출 영역(20)의 윤곽을 조금씩 채워가는 형태로 표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노출 영역(20)이 생성될 때까지 요구되는 시간을 사용자에게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다양한 형태로 표시해 줄 수 있다.
도 9의 (a)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 포커스 영역(10)이 생성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의 제1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제1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터치 스크린(120) 상의 제1 터치 입력이 발생한 제1 지점에 포커스 영역(10)을 생성한다.
도 9의 (b)는 사용자의 터치가 유지되면,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포커스 영역(10) 위로 노출 영역(20)의 윤곽이 생성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제1 지점에서 포커스 영역(10)을 생성한 후, 제1 터치 입력이 제1 지점에서 유지되면, 노출 영역(20)이 생성될 위치에, 포커스 영역(10)과 오버랩하여 노출 영역(20)의 윤곽을 표시한다.
도 9의 (c)는 사용자의 터치가 계속되면,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노출 영역(20)의 윤곽이 채워지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제1 터치 입력이 제1 지점에서 계속되면, 포커스 영역(10)을 생성한 후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노출 영역(20)의 윤곽을 조금씩 채워나간다.
도 9의 (d)는 사용자의 터치가 계속되면,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노출 영역(20)의 윤곽이 채워지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제1 터치 입력이 제1 지점에서 계속되면, 제1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노출 영역(20)의 윤곽을 채워나간다.
시간이 경과하고, 제1 터치 입력이 제1 지점에서 제1 시간에 도달하면, 터치 스크린(120)은 터치 스크린(120) 상의 제1 지점에 포커스 영역(10)과 오버랩하여 노출 영역(20)을 생성한다.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용자의 제1 터치 입력이 제1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릴리즈되면, 제1 터치 입력이 릴리즈된 지점에 노출 영역(2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포커스 영역을 이동하는 화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촬영 관련 기능들 중 포커스 영역(10), 노출 영역(20) 및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포커스 영역(10), 노출 영역(20) 및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은 각각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 및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커스 영역(10), 노출 영역(20),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이 표시된 화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포커스 영역(10)이 표시된 화면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0의 (a)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 표시된 포커스 영역(10)이 선택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적어도 하나의 포커스 영역(10)을 표시하고, 포커스 영역(10) 상에 발생한 사용자의 새로운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0의 (b)는 사용자의 터치의 이동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 표시된 포커스 영역(10)이 이동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포커스 영역(10) 상에 발생한 사용자의 터치가 릴리즈되지 않은 상태로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이동하면,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라 포커스 영역(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터치 스크린(120) 상에 적어도 하나의 포커스 영역, 적어도 하나의 노출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화이트 밸런스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표시된 후, 터치 스크린(120)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터치 입력의 이동을 감지하면, 터치 스크린(12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터치 입력이 발생한 영역을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화이트 밸런스 영역의 이동에 의해 포커스 영역과 화이트 밸런스 영역이 오버랩하는 화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촬영 관련 기능들 중 포커스 영역(10), 노출 영역(20) 및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포커스 영역(10), 노출 영역(20) 및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은 각각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 및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커스 영역(10), 노출 영역(20),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이 표시된 화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의 (a)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 표시된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이 선택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을 표시하고, 화이트 밸런스 영역(30) 상에 발생한 사용자의 새로운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1의 (b)는 사용자의 터치의 이동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 표시된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이 이동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화이트 밸런스 영역(30) 상에 발생한 사용자의 터치가 릴리즈되지 않은 상태로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이동하면,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라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의 이동에 의해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포커스 영역(10)과 오버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스크린(110)은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을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포커스 영역(10)보다 더 앞쪽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이트 밸런스 영역의 생성에 의해 포커스 영역과 화이트 밸런스 영역이 오버랩하는 화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촬영 관련 기능들 중 포커스 영역(10), 노출 영역(20) 및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포커스 영역(10), 노출 영역(20) 및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은 각각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 및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커스 영역(10), 노출 영역(20),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이 표시된 화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의 (a)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 표시된 노출 영역(20)이 선택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노출 영역(20)을 표시하고, 노출 영역(20) 상에 발생한 사용자의 새로운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2의 (b)는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노출 영역(20)으로부터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이 생성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노출 영역(20) 상에 발생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릴리즈하지 않은 상태로, 계속해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한 후, 릴리즈되지 않은 상태로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이동하면, 터치 스크린(120) 상에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의 생성에 의해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포커스 영역(10)과 오버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스크린(110)은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을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포커스 영역(10)보다 더 앞쪽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터치 스크린(120) 상에 적어도 하나의 포커스 영역, 적어도 하나의 노출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화이트 밸런스 영역 중 적어도 두 개의 영역이 표시된 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영역 사이에서 오버랩이 발생하면, 터치 스크린(120)은 오버랩이 발생한 적어도 두 개의 영역 중 더 나중에 터치 입력이 발생한 영역을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더 앞쪽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노출 영역을 이동하는 화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촬영 관련 기능들 중 포커스 영역(10) 및 노출 영역(2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포커스 영역(10) 및 노출 영역(20)은 각각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및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3의 (a)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20) 상에 설정된 포커스 영역(10)과 노출 영역(20)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커스 영역(10)과 노출 영역(20)이 표시된 화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포커스 영역, 적어도 하나의 노출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화이트 밸런스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표시된 화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의 (b)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20) 상의 빈 화면을 터치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포커스 영역(10)과 노출 영역(20)을 표시하고, 화면 위의 어떠한 영역과 오버랩되지 않는 위치(x), 즉 빈 화면에서 사용자의 제4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4 터치 입력은 빈 화면 상에 발생한 사용자의 새로운 터치 입력이다. 이때, 사용자의 제4 터치 입력이 발생한 지점은 제4 지점으로 설명한다.
도 13의 (c)는 제4 터치 입력에 의해 노출 영역(20)이 이동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포커스 영역(10)과 노출 영역(20) 중 가장 마지막에 터치 입력이 발생한 영역을 제4 터치 입력이 발생한 제4 지점으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노출 영역(20)의 터치가 가장 마지막에 발생한 경우,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의 제4 터치 입력에 의해 노출 영역(20)을 제4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터치 스크린(120) 상에 적어도 하나의 포커스 영역, 적어도 하나의 노출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화이트 밸런스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표시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오버랩되지 않는 위치에 제4 터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가장 마지막에 터치 입력이 발생한 영역이 제4 터치 입력이 발생한 제4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을 해제하는 화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촬영 관련 기능들 중 포커스 영역(10), 노출 영역(20) 및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포커스 영역(10), 노출 영역(20) 및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은 각각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 및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커스 영역(10), 노출 영역(20) 및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이 표시된 화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포커스 영역, 적어도 하나의 노출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화이트 밸런스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표시된 화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4의 (a)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20) 상의 빈 화면을 터치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포커스 영역(10), 노출 영역(20) 및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을 표시하고, 화면 위의 어떠한 영역과 오버랩되지 않는 위치(x), 즉 빈 화면에서 사용자의 소정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터치 입력은 더블탭 또는 롱터치일 수 있다.
도 14의 (b)는 사용자의 소정의 터치 입력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 설정된 모든 영역들이 해제되는 화면이다.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의 소정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화면 상에 설정된 포커스 영역(10), 노출 영역(20) 및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을 제거시킨다.
이와 같이, 터치 스크린(120) 상에 적어도 하나의 포커스 영역, 적어도 하나의 노출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화이트 밸런스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표시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오버랩되지 않는 위치 상에 소정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제거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을 해제하는 화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촬영 관련 기능들 중 포커스 영역(10), 노출 영역(20) 및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포커스 영역(10), 노출 영역(20) 및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은 각각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 및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커스 영역(10), 노출 영역(20) 및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이 표시된 화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포커스 영역, 적어도 하나의 노출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화이트 밸런스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표시된 화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5의 (a)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20) 상에 표시된 노출 영역(20)을 터치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포커스 영역(10), 노출 영역(20) 및 화이트 밸런스 영역(30)을 표시하고, 노출 영역(20) 상에 발생한 소정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터치 입력은 더블탭일 수 있다.
도 15의 (b)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 노출 영역(20)의 설정이 해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20)은 노출 영역(20) 상에 발생한 사용자의 소정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터치 스크린(120)에 표시된 노출 영역(20)을 제거하여, 노출 영역(20)의 설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스크린(120) 상에 적어도 하나의 포커스 영역, 적어도 하나의 노출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화이트 밸런스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표시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소정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더블탭의 터치 입력이 발생한 영역은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제거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과정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6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120) 상에 한번의 터치 입력으로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및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1610 과정에서 터치 스크린(120)은 제1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1620 과정에서 터치 스크린(120)은 제1 터치 입력이 발생한 제1 지점에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20) 상에 생성된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기준으로 제1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1630 과정에서 제어부(130)는 제1 터치 입력이 제1 지점에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터치 입력이 제1 지점에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면, 1640 과정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제1 기능 이외의 나머지 촬영 조건의 설정을 종료한다.
1640 과정에서 터치 스크린(120)은 제1 지점에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과 오버랩하여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은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과 다른 형태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6의 흐름도는 1650 과정 및 1660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한번의 터치 입력으로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및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생성하고, 제1 기능 및 제2 기능을 설정하여 촬영할 수 있다.
1650 과정에서 제어부(130)는 제1 터치 입력이 릴리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터치 입력이 릴리즈되었으면, 1660 과정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1650 과정으로 진행한다.
1660 과정에서 카메라 모듈(110)은 제1 터치 입력이 릴리즈된 시점에 터치 스크린(120) 상에 표시된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영역에 소정의 기능을 적용하여 촬영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과정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7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7의 1700 과정 내지 1740 과정은 도 16의 1640 과정 이후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한번의 터치 입력으로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및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서로 다른 위치에 생성할 수 있다.
1700 과정에서 제어부(130)는 제1 터치 입력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터치 입력이 이동하면, 1710 과정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1740 과정으로 진행한다.
1710 과정에서 터치 스크린(120)은 제1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라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은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과 함께 이동하지 않고, 제1 지점에 유지된다. 이에 따라,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은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과 분리되어 이동할 수 있다.
1720 과정에서 제어부(130)는 제1 터치 입력이 제1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져서 릴리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터치 입력이 제1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져서 릴리즈되었으면, 1730 과정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1740 과정으로 진행한다.
1730 과정에서 터치 스크린(120)은 제1 터치 입력이 릴리즈된 지점에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번의 터치 입력으로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과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1740 과정에서 터치 스크린(120)은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의 설정이 취소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과정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8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8의 흐름도는 도 17의 A 위치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및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생성한 후, 새로운 터치 입력으로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생성하는 대신,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한번의 터치 입력으로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에서 바로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1800 과정에서 제어부(130)는 제1 터치 입력이 제1 지점에서 제2 시간이상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2 시간은 제1 시간보다 긴 시간이 될 수 있다. 제1 터치 입력이 제1 지점에서 제2 시간이상 유지되면, 1810 과정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도 17의 1700 과정으로 진행한다.
1810 과정에서 터치 스크린(120)은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의 설정이 취소될 수 있다.
1820 과정에서 터치 스크린(120)은 제1 지점에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과 오버랩하여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은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및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과 다른 형태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8의 흐름도는 1830 과정 내지 1870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830 과정에서 제어부(130)는 제1 터치 입력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터치 입력이 이동하면, 1840 과정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1870 과정으로 진행한다.
1840 과정에서 터치 스크린(120)은 제1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라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은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과 함께 이동하지 않고, 제1 지점에 유지된다. 이에 따라,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은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과 분리되어 이동할 수 있다.
1850 과정에서 제어부(130)는 제1 터치 입력이 제1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져서 릴리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터치 입력이 제1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져서 릴리즈되었으면, 1860 과정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1870 과정으로 진행한다.
1860 과정에서 터치 스크린(120)은 제1 터치 입력이 릴리즈된 지점에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번의 터치로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및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1870 과정에서 터치 스크린(120)은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의 생성이 취소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과정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9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스크린(120) 상에 미리 생성되어 표시된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이용하여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추가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1910 과정에서 터치 스크린(120)은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 상의 제2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1920 과정에서 제어부(130)는 제2 터치 입력이 제2 지점에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지점은 제2 터치 입력이 발생한 지점을 나타낸다. 제2 터치 입력이 제2 지점에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면, 1930 과정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촬영 조건의 설정을 종료한다.
1930 과정에서 제어부(130)는 제2 지점에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과 오버랩하여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9의 흐름도는 1940 과정 내지 1980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940 과정에서 제어부(130)는 제2 터치 입력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터치 입력이 이동하면, 1950 과정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1980 과정으로 진행한다.
1950 과정에서 터치 스크린(120)은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라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은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과 함께 이동하지 않고, 제2 지점에 유지된다. 이에 따라,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은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과 분리되어 이동할 수 있다.
1960 과정에서 제어부(130)는 제2 터치 입력이 제2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져서 릴리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터치 입력이 제2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져서 릴리즈되었으면, 1970 과정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1980 과정으로 진행한다.
1970 과정에서 터치 스크린(120)은 제2 터치 입력이 릴리즈된 지점에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으로부터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1980 과정에서 터치 스크린(120)은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의 설정이 취소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과정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20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스크린(120) 상에 미리 생성되어 표시된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이용하여 새로운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추가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터치 스크린(120) 상에 미리 생성되어 표시된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이라고 하고, 새롭게 생성되는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제2 기능과 관련된 제2 영역이라고 설명한다.
2010 과정에서 터치 스크린(120)은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 상의 제3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2020 과정에서 제어부(130)는 제3 터치 입력이 제3 지점에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3 지점은 제3 터치 입력이 발생한 지점을 나타낸다. 제3 터치 입력이 제3 지점에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면, 1930 과정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촬영 조건의 설정을 종료한다.
2030 과정에서 제어부(130)는 제3 지점에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과 오버랩하여 제2 기능과 관련된 제2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0의 흐름도는 2040 과정 내지 2080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2040 과정에서 제어부(130)는 제3 터치 입력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3 터치 입력이 이동하면, 1950 과정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1980 과정으로 진행한다.
2050 과정에서 터치 스크린(120)은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라 제2 기능과 관련된 제2 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은 제2 기능과 관련된 제2 영역과 함께 이동하지 않고, 제3 지점에 유지된다. 이에 따라, 제2 기능과 관련된 제2 영역은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과 분리되어 이동할 수 있다.
2060 과정에서 제어부(130)는 제3 터치 입력이 제3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져서 릴리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3 터치 입력이 제3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져서 릴리즈되었으면, 1970 과정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1980 과정으로 진행한다.
2070 과정에서 터치 스크린(120)은 제3 터치 입력이 릴리즈된 지점에 제2 기능과 관련된 제2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2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2080 과정에서 터치 스크린(120)은 제2 기능과 관련된 제2 영역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기능과 관련된 제2 영역의 설정이 취소될 수 있다.
한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매체(예를 들면,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카메라 모듈
120: 터치 스크린
130: 제어부
140: 저장부

Claims (45)

  1.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촬영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 상의 제1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발생한 제1 지점에,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지점에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제1 지점에 상기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과 오버랩하여,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과 상기 제2 기능은 각각 자동 초점(Auto Focus), 자동 노출(Auto Exposure),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줌(Zoom) 및 촬영 관련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릴리즈(release)되면,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릴리즈된 시점에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영역에 상기 소정의 기능을 적용하여 촬영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이동하면,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을 이동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릴리즈되면,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릴리즈된 지점에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소정 거리 미만에서 릴리즈되면,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영역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영역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은 상기 제1 지점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영역 상에 제2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발생한 제2 지점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과 오버랩하여,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이동하면,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이동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릴리즈되면,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릴리즈된 지점에 상기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상기 소정 거리 미만에서 릴리즈되면, 상기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은 상기 제2 지점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사라지고, 상기 제1 지점에 상기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과 오버랩하여,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이동하면,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이동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릴리즈되면,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릴리즈된 지점에 상기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 상에 제3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발생한 제3 지점에서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과 오버랩하여,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과 크기가 다른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2 영역을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이동하면, 상기 제3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2 영역을 이동하는 과정; 및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상기 제3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릴리즈되면,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릴리즈된 지점에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2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2 영역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2 영역을 이동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2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복수의 영역들을 서로 다른 위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릴리즈된 후,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2 영역은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과 동일한 크기로 줄어드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두 개 이상의 영역들이 표시되면,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상기 두 개 이상의 영역들의 평균으로 상기 제2 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두 개 이상의 영역들이 표시되면, 촬영 시에,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상기 두 개 이상의 영역들 각각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상기 제2 기능을 설정하여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을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이 생성된 후,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이 생성되는 위치에,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의 윤곽을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지점에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1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의 윤곽을 조금씩 채우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및 제거를 방지하는 잠금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기능이 설정된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영역은 촬영 후에도 동일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표시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오버랩되지 않는 위치에 제4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가장 마지막에 터치 입력이 발생한 영역을 상기 제4 터치 입력이 발생한 제4 지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영역 중 적어도 두 개의 영역이 표시된 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영역 사이에서 오버랩이 발생하면, 상기 오버랩이 발생한 적어도 두 개의 영역 중 더 나중에 터치 입력이 발생한 영역을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더 앞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표시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오버랩되지 않는 위치에 소정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터치 입력은 더블탭 또는 롱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표시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서 소정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상기 소정의 터치 입력이 발생한 영역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과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은 서로 다른 형태와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표시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서 터치 입력의 이동을 감지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상기 터치 입력이 발생한 영역은 상기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29. 제1 항 내지 제28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30.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에서 설정된 촬영 조건에 따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을 표시하고,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 및
    촬영 모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제1 터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발생한 제1 지점에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지점에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제1 지점에 상기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과 오버랩하여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을 생성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에 상기 제1 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에 상기 제2 기능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1.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과 상기 제2 기능은 각각 자동 초점(Auto Focus), 자동 노출(Auto Exposure),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줌(Zoom) 및 촬영 관련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2.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릴리즈(release)되면,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릴리즈된 시점에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소정의 기능과 관련된 영역에 상기 소정의 기능을 적용하여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3.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이동하면,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을 이동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릴리즈되면,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릴리즈된 지점에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4.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소정 거리 미만에서 릴리즈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이 사라지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5.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 상에 제2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발생한 제2 지점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과 오버랩하여,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생성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6. 제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이동하면,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이동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릴리즈되면,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릴리즈된 지점에 상기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에 상기 제3 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7. 제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상기 소정 거리 미만에서 릴리즈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상기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이 사라지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8.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을 제거하고, 상기 제1 지점에 상기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과 오버랩하여,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생성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9. 제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이동하면,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이동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릴리즈되면, 상기 제1 터치 입력이 릴리즈된 지점에 상기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3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에 상기 제3 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0.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 상에 제3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발생한 제3 지점에서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과 오버랩하여,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과 크기가 다른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2 영역을 생성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1. 제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이동하면, 상기 제3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2 영역을 이동하고,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상기 제3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릴리즈되면, 상기 제3 터치 입력이 릴리즈된 지점에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2 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2. 제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2 영역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2 영역을 이동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제2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서로 크기가 다른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복수의 영역들을 서로 다른 위치에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3. 제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두 개 이상의 영역들이 표시되면,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상기 두 개 이상의 영역들의 평균으로 상기 제2 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4. 제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두 개 이상의 영역들이 표시되면,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상기 두 개 이상의 영역들 각각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상기 제2 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2 기능의 설정 각각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5.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과 관련된 영역과 상기 제2 기능과 관련된 영역은 서로 다른 형태와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40004993A 2014-01-15 2014-01-15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150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993A KR102150470B1 (ko) 2014-01-15 2014-01-15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EP19168236.8A EP3544287A1 (en) 2014-01-15 2015-01-15 Method for setting image capture conditions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same
EP15151243.1A EP2897354B1 (en) 2014-01-15 2015-01-15 Method for setting image capture conditions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same
US14/597,916 US9811246B2 (en) 2014-01-15 2015-01-15 Method for setting image capture conditions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same
US15/695,718 US10855911B2 (en) 2014-01-15 2017-09-05 Method for setting image capture conditions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993A KR102150470B1 (ko) 2014-01-15 2014-01-15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289A true KR20150085289A (ko) 2015-07-23
KR102150470B1 KR102150470B1 (ko) 2020-09-01

Family

ID=52434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993A KR102150470B1 (ko) 2014-01-15 2014-01-15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11246B2 (ko)
EP (2) EP3544287A1 (ko)
KR (1) KR1021504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033B1 (ko) * 2011-11-25 2018-03-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의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CN105847704A (zh) * 2016-04-01 2016-08-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及电子装置
JP6727036B2 (ja) * 2016-06-01 2020-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0757358B1 (en) * 2019-06-05 2020-08-25 Primesensor Technology Inc. Photographing device having two output interfaces
JP7143098B2 (ja) * 2018-03-23 2022-09-2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6975205B2 (ja) 2019-06-25 2021-12-0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149542A (ko) * 2020-06-02 2021-12-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이미지 촬영 및 판독 방법,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7357A (ja) * 1993-09-30 1995-04-21 Canon Inc 撮像装置
US20110267530A1 (en) * 2008-09-05 2011-11-03 Chun Woo Cha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hotographing image using the same
KR20120023339A (ko) * 2010-09-03 2012-03-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터치신호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333B1 (ko) * 2007-07-11 201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인식을 통한 영상촬영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그 촬영방법
KR20100071754A (ko) 2008-12-19 2010-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와 키조작에 의한 멀티 입력 방식을 이용한 촬영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장치
JP2011028345A (ja) * 2009-07-22 2011-02-10 Olympus Imaging Corp 条件変更装置、カメラ、携帯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TWI409576B (zh) 2009-10-30 2013-09-21 Htc Corp 影像擷取方法與可攜式通訊裝置
KR101605771B1 (ko) 2009-11-19 2016-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20110285745A1 (en) * 2011-05-03 2011-11-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 screen assisted white balance
US8997017B2 (en) * 2011-10-21 2015-03-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interactions via overlaid windows
KR20130143381A (ko) 2012-06-21 201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004993A (ko) 2012-07-04 2014-01-14 이주형 숯 케이스
JP5995637B2 (ja) * 2012-10-04 2016-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7357A (ja) * 1993-09-30 1995-04-21 Canon Inc 撮像装置
US20110267530A1 (en) * 2008-09-05 2011-11-03 Chun Woo Cha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hotographing image using the same
KR20120023339A (ko) * 2010-09-03 2012-03-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터치신호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7354A1 (en) 2015-07-22
EP2897354B1 (en) 2019-05-15
EP3544287A1 (en) 2019-09-25
KR102150470B1 (ko) 2020-09-01
US20150199098A1 (en) 2015-07-16
US9811246B2 (en) 201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5289A (ko)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95380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focus imaging
US10855911B2 (en) Method for setting image capture conditions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same
US9438789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8982153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P3236650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camera
US1005748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4197824A5 (ko)
US2017010492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1159180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RU2686019C2 (ru)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фотографирования и фотограф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US10652442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with operation members provided on different sides,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5938445B2 (ja) 表示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73395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動画記録装置並びに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13017088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10212382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9064351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679430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9329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撮像制御装置、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9438807B2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touch panel,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6472248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CN115567771A (zh) 一种物体放大拍摄控制方法及系统
JP2016126160A (ja)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