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4426A - Lte망 기반의 디바이스데이터 업데이트 제공 시스템, 이동성관리장치, 홈가입자 서버, 업데이트 서버 및 그 업데이트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Lte망 기반의 디바이스데이터 업데이트 제공 시스템, 이동성관리장치, 홈가입자 서버, 업데이트 서버 및 그 업데이트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4426A
KR20150084426A KR1020140004428A KR20140004428A KR20150084426A KR 20150084426 A KR20150084426 A KR 20150084426A KR 1020140004428 A KR1020140004428 A KR 1020140004428A KR 20140004428 A KR20140004428 A KR 20140004428A KR 20150084426 A KR20150084426 A KR 20150084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date
user terminal
signal
uni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9882B1 (ko
Inventor
박상길박상길
박상길
최보현최보현
최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004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882B1/ko
Publication of KR20150084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LTE망 기반의 디바이스데이터 업데이트 제공 시스템, 이동성관리장치, 홈가입자 서버, 업데이트 서버 및 그 업데이트 처리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업데이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망 기반의 업데이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을 통하여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어태치(attch)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어태치 신호에 대응하여 업데이트 요청신호를 송출하는 이동성관리장치; 이동성관리장치로부터 업데이트 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는 가입자 프로파일을 조회하여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업데이트의 필요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이동성관리장치에 업데이트 필요여부신호를 전송하는 홈가입자서버; 및 이동성관리장치로부터 업데이트 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업데이트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를 자동으로 업데이트 시키는 업데이트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이동성관리장치는 홈가입자서버로부터 업데이트 필요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는 가입자프로파일에 업데이트 필요플래그를 저장하고, 사용자단말기가 어태치한 기지국에 기초하여 업데이트 지역여부를 확인하며, 해당 기지국이 업데이트 지역인 경우에 업데이트서버에 업데이트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Description

LTE망 기반의 디바이스데이터 업데이트 제공 시스템, 이동성관리장치, 홈가입자 서버, 업데이트 서버 및 그 업데이트 처리방법{Device Data Update Providing System, MME, HSS, Update Server and Update Processing Method based on LTE}
본 발명은 LTE망 기반의 디바이스데이터 업데이트 제공 시스템, 이동성관리장치, 홈가입자 서버, 업데이트 서버 및 그 업데이트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단말기가 특정 지역에 진입하였을 경우에 LTE 망에 기반하여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 데이터를 자동으로 업데이트시킬 수 있는, LTE망 기반의 디바이스데이터 업데이트 제공 시스템, 이동성관리장치, 홈가입자 서버, 업데이트 서버 및 그 업데이트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초고속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멀티미디어를 제작, 전송 및 재생하는 새로운 표준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3GPP 표준에서 제시되고 있는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는 IP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IMS 서비스란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하부 IP 전송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패킷(packet) 서비스들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IMS 서비스는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IP 전송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타입의 패킷 기반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이동통신 가입자가 기존의 음성, 영상 등의 실시간 서비스는 물론, 파일전송, 전자메일, 단문메시지 등의 비 실시간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이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한 새로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동통신 가입자가 IMS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등록과정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등록과정에서는 반드시 이동통신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의 호 및 서비스를 제어할 호 제어기능을 할당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IM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IMS의 핵심망에서 서브시스템의 중요한 기능 요소로 호 제어 기능장치(CSCF: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와 홈 가입자 서버(HSS: Home Subscribe Server)가 있다.
CSCF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이용한 등록 및 멀티미디어 호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중계 호 제어 기능장치(P-CSCF: Proxy-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질의/응답 호 제어 기능장치(I-CSCF: Interrogate-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서빙 호 제어 기능장치(S-CSCF: Serving-Call Session Control Function)로 나뉘어진다.
P-CSCF는 이동통신 가입자가 네트워크에 최초 접속하는 지점이다. P-CSCF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SIP 등록요구 메시지를 가입자의 홈 도메인을 참조하여 I-CSCF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동통신 가입자와의 보안관계를 유지하도록 한다.
I-CSCF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SIP 등록을 수행하는 S-CSCF의 주소를 HSS로부터 획득하여 이동통신 가입자의 실제 등록을 담당할 S-CSCF를 할당하는 역할을 한다.
S-CSCF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가입정보를 HSS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하여 저장하고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
HSS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마스터 데이터베이스(master database)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의 기능과 IP 멀티미디어 가입자의 이동성 관리 및 인증을 위한 기능이 통합된 일종의 데이터베이스이다.
IMS 호 처리를 위해서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IP와 ID, 예컨대 전화번호, 로그인 ID 등을 이용하여 S-CSCF에 등록을 하여야 한다. 이때, 어느 S-CSCF에 등록을 하여야 할지는 I-CSCF가 HSS에 질의하여 판단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포함하는 전체 호 처리 과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통신 가입자의 요청을 받은 P-CSCF가 I-CSCF에 등록 요청을 하면, I-CSCF는 등록할 S-CSCF를 찾기 위해 HSS로 S-CSCF 검색 요청을 한다.
HSS는 기존에 등록되어 있는 S-CSCF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기존에 등록되어 있는 S-CSCF가 존재할 경우에는 재등록을 위해 해당 S-CSCF 정보를 I-CSCF로 응답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I-CSCF가 스스로 판단하라고 알려주게 된다.
HSS가 S-CSCF 정보를 알려줄 경우, I-CSCF는 해당 S-CSCF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은 S-CSCF는 이동통신 가입자가 자신에게 등록이 되어 있음을 알리는 상태 메시지를 HSS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대해, HSS가 해당 S-CSCF로 등록 상태 응답메시지를 전송하면, 해당 S-CSCF에 대한 IMS 호 처리 서비스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2G GSM, 3G WCDMA 망의 후속인 LTE(Long Term Evolution)는 4G 이동통신 기술이라고도 하며, 고속의 데이터 전송으로 휴대폰은 물론 노트북, 넷북의 무선 인터넷에도 적합하다. 이와 같은 LTE는 기존 무선인터넷 서비스가 가진 문제점을 보완하여 넓은 커버리지와 빠른 전송속도, 저렴한 이용요금 등의 특징을 지닌 무선인터넷 서비스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LTE를 IMS에 결합하여 무선 데이터 트래픽의 수요에 부응하고자 하는 많은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LTE와 IMS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단말기에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서 사용자단말기는 디바이스데이터를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와 같은 디바이스데이터를 수시로 업데이트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디바이스데이터의 업그레이드가 있을 때마다 사용자가 일일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새로운 디바이스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로운 작업이며, 사용자단말기에 최신의 새로운 디바이스데이터를 업데이트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서비스의 실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36729호 (등록일자: 2007. 07. 0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단말기가 특정 지역에 진입하였을 경우에 LTE 망에 기반하여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 데이터를 자동으로 업데이트시킬 수 있는, LTE망 기반의 디바이스데이터 업데이트 제공 시스템, 이동성관리장치, 홈가입자 서버, 업데이트 서버 및 그 업데이트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망 기반의 업데이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을 통하여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어태치(attch)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어태치 신호에 대응하여 업데이트 요청신호를 송출하는 이동성관리장치; 이동성관리장치로부터 업데이트 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는 가입자 프로파일을 조회하여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업데이트의 필요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이동성관리장치에 업데이트 필요여부신호를 전송하는 홈가입자서버; 및 이동성관리장치로부터 업데이트 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업데이트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를 자동으로 업데이트 시키는 업데이트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이동성관리장치는 홈가입자서버로부터 업데이트 필요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는 가입자프로파일에 업데이트 필요플래그를 저장하고, 사용자단말기가 어태치한 기지국에 기초하여 업데이트 지역여부를 확인하며, 해당 기지국이 업데이트 지역인 경우에 업데이트서버에 업데이트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관리장치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어태치 신호를 수신하는 어태치신호수신부; 어태치신호수신부에 의해 어태치 신호가 수신되면, 홈가입자서버에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업데이트 조회를 요청하는 조회요청부; 조회요청부에 의한 업데이트 조회요청에 대응하여 홈가입자서버로부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업데이트 필요여부신호를 수신하는 필요여부수신부; 및 필요여부수신부를 통해 홈가입자서버로부터 업데이트 필요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업데이트서버에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업데이트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이동성관리장치는, 기지국을 기준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한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설정부; 및 사용자단말기가 어태치한 기지국이 영역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업데이트 가능영역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영역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업데이트요청부는 영역판단부에 의해 업데이트 가능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업데이트서버에 업데이트를 요청한다.
전술한 이동성관리장치는, 홈가입자서버로부터 업데이트 필요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는 가입자프로파일에 업데이트 필요에 대한 플래그(flag)를 저장하는 플래그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이동성관리장치는, 업데이트요청부에 의한 업데이트 요청에 대응하여 업데이트서버로부터 업데이트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응답신호수신부; 및 응답신호수신부에 의해 업데이트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플래그저장부에 저장된 플래그를 리셋하는 플래그리셋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관리장치는, 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는 가입자프로파일에 업데이트 필요여부에 대한 플래그를 저장하는 플래그저장부; 기지국을 기준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한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설정부; 기지국을 통해 사용자단말기로부터 TAU(Tracking Area Update) Request, SR(Service Request)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벤트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이벤트신호수신부; 이벤트수신부에 의해 이벤트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단말기가 이벤트 요청신호를 전송한 기지국이 영역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업데이트 가능영역에 해당하는지 및 플래그저장부에 업데이트 필요에 대한 플래그가 저장되어있는지의 조건을 판단하는 조건판단부; 및 조건판단부에 의해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업데이트서버에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를 요청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가입자서버는, 이동성관리장치로부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업데이트 조회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조회요청수신부; 조회요청수신부에 의해 업데이트 조회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는 가입자 프로파일을 조회하여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업데이트의 필요여부를 확인하는 업데이트확인부; 및 업데이트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결과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의 업데이트 필요여부를 이동성관리장치에 통지하는 필요여부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서버는,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이동성관리장치로부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업데이트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디바이스데이터를 사용자단말기에 자동으로 업데이트시키는 업데이트수행부; 및 업데이트수행부에 의해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이동성관리장치에 업데이트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는 업데이트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응답신호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 처리방법은, 이동성관리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 처리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어태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어태치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어태치 신호가 수신되면, 홈가입자서버에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업데이트 조회를 요청하는 단계; 업데이트조회 요청단계에 의한 업데이트 조회요청에 대응하여 홈가입자서버로부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업데이트 필요여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업데이트 필요여부 수신단계를 통해 홈가입자서버로부터 업데이트 필요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업데이트서버에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업데이트 처리방법은, 기지국을 기준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한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단말기가 어태치한 기지국이 업데이트 가능영역 설정단계에 의해 설정된 업데이트 가능영역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업데이트 요청단계는 업데이트 가능영역 판단단계에 의해 업데이트 가능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업데이트서버에 업데이트를 요청한다.
전술한 업데이트 처리방법은, 홈가입자서버로부터 업데이트 필요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는 가입자프로파일에 업데이트 필요에 대한 플래그(flag)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업데이트 처리방법은, 업데이트 요청단계에 의한 업데이트 요청에 대응하여 업데이트서버로부터 업데이트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업데이트 응답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업데이트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플래그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플래그를 리셋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 처리방법은, 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는 가입자프로파일에 업데이트 필요여부에 대한 플래그를 저장하는 단계; 기지국을 기준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한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기지국을 통해 사용자단말기로부터 TAU(Tracking Area Update) Request, SR(Service Request)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벤트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벤트 요청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이벤트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단말기가 이벤트 요청신호를 전송한 기지국이 업데이트 가능영역 설정단계에 의해 설정된 업데이트 가능영역에 해당하는지, 및 플래그 저장단계에 의해 업데이트 필요에 대한 플래그가 저장되어있는지의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 및 조건 판단단계에 의해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서버에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 처리방법은, 홈가입자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 처리방법에 있어서, 이동성관리장치로부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업데이트조회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업데이트조회 요청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업데이트조회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는 가입자 프로파일을 조회하여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업데이트의 필요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업데이트의 필요여부 확인단계에 의해 확인된 결과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의 업데이트 필요여부를 이동성관리장치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 처리방법은, 업데이트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 처리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이동성관리장치로부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업데이트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디바이스데이터를 사용자단말기에 자동으로 업데이트시키는 단계; 및 업데이트 단계에 의해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이동성관리장치에 업데이트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는 업데이트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단말기가 특정 지역에 진입하였을 경우에 LTE 망에 기반하여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 데이터를 자동으로 업데이트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 데이터를 업데이트시키기 위해 별도로 특정 서버에 접속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망 기반의 디바이스데이터 업데이트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관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가입자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 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 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망 기반의 디바이스데이터 업데이트 제공 시스템, 이동성관리장치, 홈가입자 서버, 업데이트 서버 및 그 업데이트 처리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망 기반의 디바이스데이터 업데이트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망 기반의 디바이스데이터 업데이트 제공 시스템은, 이동성관리장치(100), 홈가입자서버(200) 및 업데이트서버(300)를 포함한다.
이동성관리장치(100)는 LTE망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이동성을 관리한다. 또한, 이동성관리장치(100)는 기지국(20)을 통하여 사용자단말기(10)로부터 어태치(attch)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어태치 신호에 대응하여 홈가입자서버(200)에 업데이트 요청신호를 송출한다. 즉, 사용자단말기(10)가 전원을 ON 시키거나 하면, 이동성관리장치(100)는 기지국(20)을 통하여 사용자단말기(10)로부터 어태치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어태치 신호에 대응하여 홈가입자서버(200)에 업데이트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이동성관리장치(100)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로 구현될 수 있다.
홈가입자서버(200)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마스터 데이터베이스(master database)의 역할을 수행하는 HSS(Home Subscriber Server)로서, 이동성관리장치(100)로부터 업데이트 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사용자단말기(10)에 대응하는 가입자 프로파일을 조회하여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데이터 업데이트의 필요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이동성관리장치(100)에 업데이트 필요여부신호를 전송한다. 즉, 홈가입자서버(200)는 이동성관리장치(100)로부터 업데이트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단말기(10)에 대응하는 가입자 프로파일을 검색하여 사용자단말기(10)가 디바이스데이터의 자동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지, 해당 사용자단말기(10)에 디바이스데이터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는지 등을 조회하며, 조회된 결과에 따라 이동성관리장치(100)에 업데이트가 필요한지 아닌지에 대한 업데이트 필요여부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이동성관리장치(100)는 홈가입자서버(200)로부터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업데이트가 필요하다는 업데이트 필요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단말기(10)에 대응하여 내부에 저장된 가입자프로파일에 업데이트가 필요하다는 플래그(flag)를 저장하며, 사용자단말기(10)가 어태치한 기지국(20)에 기초하여 업데이트 지역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기지국(20)이 업데이트 가능한 지역의 기지국인 경우에 업데이트서버(300)에 업데이트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이동성관리장치(100)는 기지국을 기준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한 영역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고, 사용자단말기(10)가 어태치한 기지국(20)이 업데이트 가능한 영역으로 설정된 기지국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업데이트서버(300)는 OTA(Over The Air)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기(10)의 특정 서비스 가입을 무선으로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정보를 무선으로 원격에서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업데이트서버(300)는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로밍 데이터, 인증키,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OS(Operating System) 등의 디바이스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동성관리장치(100)로부터 업데이트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수신되는 업데이트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단말기(10)의 디바이스데이터를 자동으로 업데이트 시킨다. 즉, 업데이트서버(300)는 이동성관리장치(100)로부터 업데이트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업데이트 요청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기(10)에 접속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기(10)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데이터를 자동으로 업데이트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관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관리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디바이스데이터 업데이트 제공 시스템의 이동성관리장치(100)로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성관리장치(100)는 어태치신호수신부(102), 조회요청부(104), 필요여부수신부(106), 업데이트요청부(108), 영역설정부(110), 영역판단부(112), 플래그저장부(114), 응답신호수신부(116), 플래그리셋부(118), 이벤트신호수신부(120) 및 조건판단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어태치신호수신부(102)는 eNB를 포함하는 기지국(20)을 통하여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어태치 신호를 수신한다. 즉, 어태치신호수신부(102)는 사용자단말기(10)가 전원을 인가하는 경우 등에 기지국(20)을 통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기(10)로부터 어태치신호를 수신한다.
조회요청부(104)는 어태치신호수신부(102)에 의해 어태치 신호가 수신되면, 홈가입자서버(200)에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업데이트 조회를 요청한다. 즉, 조회요청부(104)는 수신되는 어태치 신호에 대응하여 홈가입자서버(200)에 해당 사용자단말기(10)가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단말기인지, 해당 사용자단말기(10)의 디비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를 할 필요가 있는지 등의 업데이트 조회를 요청한다.
필요여부수신부(106)는 조회요청부(104)에 의한 업데이트 조회요청에 대응하여 홈가입자서버(200)로부터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업데이트 필요여부신호를 수신한다. 즉, 필요여부수신부(106)는 홈가입자서버(200)로부터 사용자단말기(10)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를 할 필요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필요여부신호를 수신한다.
업데이트요청부(108)는 필요여부수신부(106)를 통해 홈가입자서버(200)로부터 업데이트 필요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업데이트서버(300)에 사용자단말기(10)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를 요청한다. 즉, 업데이트요청부(108)는 홈가입자서버(200)로부터 사용자단말기(10)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를 할 필요가 있다는 업데이트 필요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업데이트서버(300)에 해당 사용자단말기(10)의 디바이스데이터를 업데이트해 줄 것을 요청한다.
영역설정부(110)는 기지국(20)을 기준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한 영역을 설정한다. 즉, 영역설정부(110)는 설치된 각각의 기지국(20) 중에서 업데이트가 가능한 기지국을 지정하여 업데이트 가능영역의 기지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영역판단부(112)는 사용자단말기(10)가 어태치한 기지국(20)이 영역설정부(110)에 의해 설정된 업데이트 가능영역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이 경우, 업데이트요청부(108)는 영역판단부(112)에 의해 사용자단말기(10)가 어태치한 기지구(20)이 업데이트 가능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업데이트서버(300)에 업데이트를 요청한다.
플래그저장부(114)는 홈가입자서버(200)로부터 업데이트 필요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단말기(10)에 대응하는 가입자프로파일에 업데이트 필요에 대한 플래그(flag)를 저장한다. 즉, 플래그저장부(114)는 홈가입자서버(200)로부터 사용자단말기(10)의 디바이스데이터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는 업데이트 필요신호가 수신되면, 내부에 저장된 가입자프로파일에 업데이트 필요에 대응하는 플래그를 저장한다.
응답신호수신부(116)는 업데이트요청부(108)에 의한 업데이트 요청에 대응하여 업데이트서버(300)로부터 업데이트 응답신호를 수신한다. 즉, 응답신호수신부(116)는 업데이트요청부(108)에 의해 전송된 업데이트 요청에 대응하여 업데이트서버(300)로부터 업데이트를 실행하겠다거나 업데이트의 실행이 완료되었다는 등의 업데이트 응답신호를 수신한다.
플래그리셋부(118)는 응답신호수신부(116)에 의해 업데이트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플래그저장부(114)에 저장된 플래그를 리셋한다. 즉, 플래그리셋부(118)는 응답신호수신부(116)에 의해 업데이트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플래그저장부(114)에 저장된 업데이트 필요에 대한 플래그를 리셋하여 초기화한다.
이벤트신호수신부(120)는 기지국(20)을 통해 사용자단말기(10)로부터 TAU(Tracking Area Update) Request, SR(Service Request)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벤트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이벤트신호수신부(120)는 기지국(20)을 통해 TAU 신호, 특정 서비스에 대한 요청신호 등의 이벤트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조건판단부(122)는 이벤트수신부(120)에 의해 이벤트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단말기(10)가 이벤트 요청신호를 전송한 기지국(20)이 영역설정부(112)에 의해 설정된 업데이트 가능영역에 해당하는지 및 플래그저장부(114)에 업데이트 필요에 대한 플래그가 저장되어있는지의 조건을 판단한다. 이때, 업데이트요청부(108)는 조건판단부(122)에 의해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업데이트서버(300)에 업데이트를 요청한다. 즉, 업데이트요청부(108)는 사용자단말기(10)가 이벤트 요청신호를 전송한 기지국(20)이 업데이트 가능영역에 해당하는 기지국이며, 플래그저장부(114)에 업데이트 필요에 대한 플래그가 저장된 경우에 업데이트서버(300)에 사용자단말기(10)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를 요청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가입자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가입자 서버는 도 1에 나타낸 홈가입자서버(200)로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가입자 서버(200)는 조회요청수신부(210), 업데이트확인부(220) 및 필요여부통지부(230)를 포함한다.
조회요청수신부(210)는 이동성관리장치(100)로부터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업데이트 조회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즉, 조회요청수신부(210)는 이동성관리장치(100)로부터 사용자단말기(10)가 디바이스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가능한 단말기인지의 여부, 사용자단말기(10)의 디바이스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 등에 대한 업데이트 조회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업데이트확인부(220)는 조회요청수신부(210)에 의해 업데이트 조회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단말기(10)에 대응하는 가입자 프로파일을 조회하여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업데이트의 필요여부를 확인한다. 즉, 업데이트확인부(220)는 수신되는 업데이트 조회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단말기(10)에 대응하는 가입자 프로파일을 조회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기(10)가 디바이스데이터의 자동 업데이트가 가능한지의 여부, 해당 사용자단말기(10)가 디바이스데이터의 자동 업데이트가 가능한 경우에 디바이스데이터를 새로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 등을 확인한다.
필요여부통지부(230)는 업데이트확인부(220)에 의해 확인된 결과에 따라 사용자단말기(10)의 업데이트 필요여부를 이동성관리장치(100)에 통지한다. 즉, 필요여부통지부(230)는 업데이트확인부(220)에 의해 확인된 결과에 따라 사용자단말기(10)가 디바이스데이터의 자동 업데이트가 가능한지의 여부, 자동 업데이트가 가능한 경우에 디바이스데이터를 새로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 등을 이동성관리장치(100)에 통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 서버는 도 1에 나타낸 업데이트서버(300)로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 서버(300)는 데이터저장부(310), 업데이트수행부(320) 및 응답신호전송부(330)를 포함한다.
데이터저장부(310)는 사용자단말기(10)의 디바이스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저장부(310)는 사용자단말기(10)의 종류, 사양 등에 따라 다양한 디바이스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업데이트수행부(320)는 이동성관리장치(100)로부터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업데이트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디바이스데이터를 사용자단말기(10)에 자동으로 업데이트시킨다. 즉, 업데이트수행부(320)는 수신되는 업데이트 요청신호에 따라 사용자단말기(10)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데이터를 인출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기(10)에 자동으로 업데이트시킨다. 이때, 업데이트수행부(320)는 수신되는 업데이트 요청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네트워크 상의 루트를 알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단말기(10)에 디바이스데이터를 푸쉬(push)하여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
응답신호전송부(330)는 업데이트수행부(320)에 의해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이동성관리장치(100)에 업데이트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는 업데이트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응답신호전송부(330)는 사용자단말기(10)에 디바이스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완료된 후에 이동성관리장치(100)에 업데이트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업데이트 응답신호는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디바이스데이터의 업데이트 실행전에 전송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 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 처리방법은 사용자단말기(10)가 기지국(20)에 어태치를 시도하는 경우의 사용자단말기(10)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 처리방법을 나타낸다.
도 1 내도 도 5를 참조하면, 이동성관리장치(100)는 기지국을 기준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한 영역을 설정하여 저장한다(S102). 또한, 업데이트서버(300)는 사용자단말기(10)의 종류, 사양 등에 따라 사용자단말기(10)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데이터를 저장한다(S104).
사용자단말기(10)가 기지국(20)에 대하여 어태치를 요청하면(S106), 이동성관리장치(100)는 기지국(20)을 통하여 사용자단말기(10)로부터 어태치 신호를 수신한다(S108).
이동성관리장치(100)는 기지국(20)을 통해 사용자단말기(10)로부터 어태치 신호가 수신되면, 홈가입자서버(200)에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업데이트 조회를 요청한다(S110).
홈가입자서버(100)는 이동성관리장치(100)로부터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업데이트조회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사용자단말기(10)에 대응하는 가입자 프로파일을 조회하여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데이터 업데이트의 필요여부를 확인한다(S112). 또한, 홈가입자서버(100)는 그 확인된 결과에 따라 사용자단말기(10)의 업데이트 필요여부를 이동성관리장치(100)에 통지한다(S114).
이동성관리장치(100)는 홈가입자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단말기(10)의 업데이트 필요여부에 대한 신호가 사용자단말기(10)의 디바이스데이터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는 신호인 경우, 내부의 사용자단말기(10)에 대응하는 가입자 프로파일에 디바이스데이터의 업데이트의 필요성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저장한다(S116).
또한, 이동성관리장치(100)는 사용자단말기(10)가 어태치한 기지국(20)이 업데이트 가능영역으로 설정된 기지국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며(S118), 해당 기지국이 업데이트 가능한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업데이트 서버(300)에 사용자단말기(10)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를 요청한다(S120).
업데이트서버(300)는 이동성관리장치(100)로부터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업데이트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디바이스데이터를 사용자단말기(10)에 자동으로 업데이트시킨다(S122). 이때, 업데이트서버(300)는 업데이트 요청신호에 포함된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상의 경로를 설정할 수 있으며, 푸쉬방식으로 사용자단말기(10)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데이터를 사용자단말기(10)에 업데이트 시킬 수 있다.
업데이트서버(300)는 사용자단말기(10)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이동성관리장치(100)에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디바이스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는 업데이트 응답신호를 전송한다(S124). 여기서, 업데이트서버(300)는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디바이스데이터의 업데이트를 개시하기 전에 이동성관리장치(100)에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디바이스데이터의 업데이트를 개시할 것임을 통지하는 업데이트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동성관리장치(100)는 업데이트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업데이트 응답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단말기(10)에 대응하는 가입자프로파일에 저장된 업데이트 필요에 대한 플래그를 리셋할 수 있다(S126). 이를 통해, 이동성관리장치(100)는 업데이트 가능영역에서 업데이트서버(300)에 대한 통보동작으로 인해 불필요한 트래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 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 처리방법은 사용자단말기(10)가 기지국에 대하여 TAU, SR 등의 이벤트를 요청하는 경우의 사용자단말기(10)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 처리방법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동성관리장치(100)는 기지국을 기준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한 영역을 설정하여 저장한다(S202). 또한, 업데이트서버(300)는 사용자단말기(10)의 종류, 사양 등에 따라 사용자단말기(10)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데이터를 저장한다(S204).
사용자단말기(10)는 기지국(20)에 대하여 TAU, SR 등의 이벤트를 요청할 수 있다(S206). 이 경우, 이동성관리장치(100)는 기지국(20)을 통하여 사용자단말기(10)로부터 이벤트 요청신호를 수신한다(S208).
이동성관리장치(100)는 사용자단말기(10)가 이벤트 요청신호를 전송한 기지국(20)이 업데이트 가능영역으로 설정된 기지국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며 또한, 사용자단말기(10)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의 필요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업데이트 조건을 판단한다(S210).
이동성관리장치(100)는 사용자단말기(10)가 이벤트 요청신호를 전송한 기지국(20) 및 사용자단말기(10)에 대응하는 업데이트 필요에 대한 플래그가 업데이트 조건에 부합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업데이트 서버(300)에 사용자단말기(10)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를 요청한다(S212).
업데이트서버(300)는 이동성관리장치(100)로부터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업데이트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디바이스데이터를 사용자단말기(10)에 자동으로 업데이트시킨다(S214). 이때, 업데이트서버(300)는 업데이트 요청신호에 포함된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상의 경로를 설정할 수 있으며, 푸쉬방식으로 사용자단말기(10)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데이터를 사용자단말기(10)에 업데이트 시킬 수 있다.
업데이트서버(300)는 사용자단말기(10)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이동성관리장치(100)에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디바이스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는 업데이트 응답신호를 전송한다(S216). 여기서, 업데이트서버(300)는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디바이스데이터의 업데이트를 개시하기 전에 이동성관리장치(100)에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한 디바이스데이터의 업데이트를 개시할 것임을 통지하는 업데이트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동성관리장치(100)는 업데이트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업데이트 응답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단말기(10)에 대응하는 가입자프로파일에 저장된 업데이트 필요에 대한 플래그를 리셋할 수 있다(S218). 이를 통해, 이동성관리장치(100)는 업데이트 가능영역에서 업데이트서버(300)에 대한 통보동작으로 인해 불필요한 트래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LTE(Long Term Evolution)망 기반의 업데이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을 통하여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어태치(attch)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어태치 신호에 대응하여 업데이트 요청신호를 송출하는 이동성관리장치;
    상기 이동성관리장치로부터 업데이트 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는 가입자 프로파일을 조회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업데이트의 필요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상기 이동성관리장치에 업데이트 필요여부신호를 전송하는 홈가입자서버; 및
    상기 이동성관리장치로부터 업데이트 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업데이트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를 자동으로 업데이트 시키는 업데이트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성관리장치는 상기 홈가입자서버로부터 업데이트 필요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는 가입자프로파일에 업데이트 필요플래그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어태치한 기지국에 기초하여 업데이트 지역여부를 확인하며, 해당 기지국이 업데이트 지역인 경우에 상기 업데이트서버에 업데이트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망 기반의 디바이스데이터 업데이트 제공 시스템.
  2.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어태치 신호를 수신하는 어태치신호수신부;
    상기 어태치신호수신부에 의해 어태치 신호가 수신되면, 홈가입자서버에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업데이트 조회를 요청하는 조회요청부;
    상기 조회요청부에 의한 업데이트 조회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홈가입자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업데이트 필요여부신호를 수신하는 필요여부수신부; 및
    상기 필요여부수신부를 통해 상기 홈가입자서버로부터 업데이트 필요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업데이트서버에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업데이트요청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관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기지국을 기준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한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설정부;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어태치한 기지국이 상기 영역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업데이트 가능영역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영역판단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업데이트요청부는 상기 영역판단부에 의해 업데이트 가능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업데이트서버에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관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가입자서버로부터 업데이트 필요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는 가입자프로파일에 업데이트 필요에 대한 플래그(flag)를 저장하는 플래그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관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요청부에 의한 업데이트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업데이트서버로부터 업데이트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응답신호수신부; 및
    상기 응답신호수신부에 의해 업데이트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플래그저장부에 저장된 플래그를 리셋하는 플래그리셋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관리장치.
  6. 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는 가입자프로파일에 업데이트 필요여부에 대한 플래그를 저장하는 플래그저장부;
    기지국을 기준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한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설정부;
    기지국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TAU(Tracking Area Update) Request, SR(Service Request)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벤트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이벤트신호수신부;
    상기 이벤트수신부에 의해 이벤트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이벤트 요청신호를 전송한 기지국이 상기 영역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업데이트 가능영역에 해당하는지 및 상기 플래그저장부에 업데이트 필요에 대한 플래그가 저장되어있는지의 조건을 판단하는 조건판단부; 및
    상기 조건판단부에 의해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업데이트서버에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업데이트요청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관리장치.
  7. 이동성관리장치로부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업데이트 조회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조회요청수신부;
    상기 조회요청수신부에 의해 업데이트 조회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는 가입자 프로파일을 조회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업데이트의 필요여부를 확인하는 업데이트확인부; 및
    상기 업데이트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업데이트 필요여부를 상기 이동성관리장치에 통지하는 필요여부통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가입자서버.
  8.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이동성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업데이트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디바이스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자동으로 업데이트시키는 업데이트수행부; 및
    상기 업데이트수행부에 의해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상기 이동성관리장치에 업데이트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는 업데이트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응답신호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서버.
  9. 이동성관리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어태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태치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어태치 신호가 수신되면, 홈가입자서버에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업데이트 조회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조회 요청단계에 의한 업데이트 조회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홈가입자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업데이트 필요여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 필요여부 수신단계를 통해 상기 홈가입자서버로부터 업데이트 필요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업데이트서버에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 처리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기지국을 기준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한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어태치한 기지국이 상기 업데이트 가능영역 설정단계에 의해 설정된 업데이트 가능영역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업데이트 요청단계는 상기 업데이트 가능영역 판단단계에 의해 업데이트 가능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업데이트서버에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 처리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홈가입자서버로부터 업데이트 필요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는 가입자프로파일에 업데이트 필요에 대한 플래그(flag)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 처리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요청단계에 의한 업데이트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업데이트서버로부터 업데이트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 응답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업데이트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플래그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플래그를 리셋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 처리방법.
  13. 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는 가입자프로파일에 업데이트 필요여부에 대한 플래그를 저장하는 단계;
    기지국을 기준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한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기지국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TAU(Tracking Area Update) Request, SR(Service Request)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벤트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이벤트 요청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이벤트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이벤트 요청신호를 전송한 기지국이 상기 업데이트 가능영역 설정단계에 의해 설정된 업데이트 가능영역에 해당하는지, 및 상기 플래그 저장단계에 의해 업데이트 필요에 대한 플래그가 저장되어있는지의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조건 판단단계에 의해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업데이트서버에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 처리방법.
  14. 홈가입자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 처리방법에 있어서,
    이동성관리장치로부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업데이트조회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조회 요청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업데이트조회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는 가입자 프로파일을 조회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업데이트의 필요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의 필요여부 확인단계에 의해 확인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업데이트 필요여부를 상기 이동성관리장치에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 처리방법.
  15. 업데이트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 처리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이동성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업데이트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디바이스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자동으로 업데이트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 단계에 의해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상기 이동성관리장치에 업데이트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는 업데이트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디바이스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 처리방법.



KR1020140004428A 2014-01-14 2014-01-14 Lte망 기반의 디바이스데이터 업데이트 제공 시스템, 이동성관리장치, 홈가입자 서버, 업데이트 서버 및 그 업데이트 처리방법 KR101539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428A KR101539882B1 (ko) 2014-01-14 2014-01-14 Lte망 기반의 디바이스데이터 업데이트 제공 시스템, 이동성관리장치, 홈가입자 서버, 업데이트 서버 및 그 업데이트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428A KR101539882B1 (ko) 2014-01-14 2014-01-14 Lte망 기반의 디바이스데이터 업데이트 제공 시스템, 이동성관리장치, 홈가입자 서버, 업데이트 서버 및 그 업데이트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426A true KR20150084426A (ko) 2015-07-22
KR101539882B1 KR101539882B1 (ko) 2015-08-06

Family

ID=53874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428A KR101539882B1 (ko) 2014-01-14 2014-01-14 Lte망 기반의 디바이스데이터 업데이트 제공 시스템, 이동성관리장치, 홈가입자 서버, 업데이트 서버 및 그 업데이트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8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299A3 (ko) * 2016-03-08 2018-09-07 삼성전자 주식회사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6131B2 (en) 2017-01-16 2020-12-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updating UE configu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299A3 (ko) * 2016-03-08 2018-09-07 삼성전자 주식회사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11026134B2 (en) 2016-03-08 2021-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hand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9882B1 (ko)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2526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a mobile node via a registration proxy
US10757645B2 (en) Access control in communications network comprising slices
US20140155112A1 (en) Support of short message service in ims without msisdn
EP2148521B1 (en) Method for acquiring and transmitting 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network device thereof
KR101148036B1 (ko) Lte망과 무선랜망간의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시스템
EP3406093B1 (en) Access point name determination for mission critical services
US10542472B2 (en) Method for configuring a terminal connected to a communications network
US20130309993A1 (en) Mobile communications method and call session control node
JPWO2016185962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装置、移動管理エンティティ及び移動通信方法
KR2011005414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196776B2 (en) Method and device for lawful interception for proximity services
KR101539882B1 (ko) Lte망 기반의 디바이스데이터 업데이트 제공 시스템, 이동성관리장치, 홈가입자 서버, 업데이트 서버 및 그 업데이트 처리방법
TW201325162A (zh) 處理目標行動裝置之延遲信令之方法
KR101511439B1 (ko) Ims 프로파일 동기화 시스템, 홈 가입자 서버, 호제어 기능장치,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그 ims 프로파일 동기화 방법
US20150030019A1 (en) Mobile switching center acting as a short message service gateway
US20200404584A1 (en) Securing the Choice of the Network Visited During Roaming
EP3284234B1 (en) Enhancements to terminating access domain selection
US10117276B2 (en) IMSI acquisition by base station controller
EP2537381B1 (en) Network location management entity
US9986392B1 (en) Delivering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s via a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IMS)
JP2011045038A (ja) 移動通信方法、移動局、測位処理ノード及び緊急呼制御ノード
KR101536434B1 (ko) 하이브리드 LTE 가입자에 대한 VoLTE 착신서비스 제공시스템, 홈 가입자 서버 및 그 서비스착신 처리방법, 호제어기능장치,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위치등록방법
WO2015131375A1 (zh) 近距离业务的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101497243B1 (ko) 싱글 LTE 가입자에 대한 VoLTE 착신서비스 제공시스템, 홈 가입자 서버,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그 VoLTE 착신서비스 제공방법
KR100933781B1 (ko)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치 등록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