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514A - 태양광으로 돌아가는 선풍기 환풍기 - Google Patents

태양광으로 돌아가는 선풍기 환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514A
KR20150083514A KR1020140003125A KR20140003125A KR20150083514A KR 20150083514 A KR20150083514 A KR 20150083514A KR 1020140003125 A KR1020140003125 A KR 1020140003125A KR 20140003125 A KR20140003125 A KR 20140003125A KR 20150083514 A KR20150083514 A KR 20150083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mill
pair
wind
support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범진
Original Assignee
배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범진 filed Critical 배범진
Priority to KR1020140003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3514A/ko
Publication of KR20150083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에 의해 풍차식으로 회전작동되어 전력에너지를 얻는 선풍기의 날개부분에 솔라셀을 부착하여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가운데부분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고정부착된 다수개의중심대와, 상기 각 중심대의 좌우양측면에서 각각 일정각도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설치된 한쌍의 날개판으로 된 선풍차날개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선풍기날개는 회전축의 직각방향으로 풍력이 가해지는 경우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회전시 상부쪽에 위치되는 선풍기날개는 풍력을 최대한 받기 위해 전방쪽으로 펼쳐지고 하부쪽에 위치되는 선풍기날개는 풍력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후방쪽으로 접혀지도록 되어 있는 풍차부와 지면위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상단부 좌우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세워져 있고 상부에는 상기 풍차부의 회전축이 관통 개재되는 한쌍의 지지대와, 상기한쌍의 지지대 상부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며 상호간 상부 사이의 간격은 넓고 하부 사이의 간격은 좁게 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지지대 사이에서 회전되면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각 풍차날개가 일정하게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가이드하는 한쌍의 가이드링과, 상기 지지대에 관통 개재된 풍차부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풍차부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발전되는 발전수단으로 이루어진 지지발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선풍기이다.또 선풍기뒤에 흡착기를 부착하여서 배란다또는 비닐하우스에서 선풍기와 환풍기의 역할을 할수있게 만들었다.

Description

태양광으로 돌아가는 선풍기 환풍기 {Solar Cell Fan Ventilator}
본 발명은 풍력에 의해 풍차식으로 회전작동되어 전력에너지를 얻는 선풍기의 날개부분에 솔라셀을 부착하여 태양광으로 선풍기의 역할과 환풍기의 역할로 사용할 수가 있다.또 뒷판에 흡착기를 부착하여서 배란다나 비닐하우스 등에서 선풍기나 환풍기의 용도로 사용할 수가 있다.
기존의 선풍기는 전기가 들어서 돈이 들었다. 그것을 고치기위해 날개에 솔라셀을 부착하여서 기존의 선풍기 보다 친환경적이고 절약적이다.
본 발명은 선풍기를 계속 사용하다 보면 전력이 소모가 된다. 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선풍기날개에 솔라셀을 부착하여서 태양광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지 사용을 하게 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가운데부분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고정부착된 다수개의 중심대와, 상기 각 중심대의 좌우양측면에서 각각 일정각도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설치된 한쌍의 날개판으로 된 풍차날개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풍차날개는 회전축의 직각방향으로 태양광이 가해지는 경우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회전시 상부쪽에 위치되는 풍차날개는 풍력과 태양광을 최대한 받기 위해 전방쪽으로 펼쳐지고 하부쪽에 위치되는 풍차날개는 풍력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후방쪽으로 접혀지도록 되어 있는풍차부와 지면위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축과,상기 지지축의 상단부 좌우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세워져 있고 상부에는 상기 풍차부의 회전축이 관통 개재되는 한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쌍의 지지대 상부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며 상호간 상부 사이의 간격은 넓고 하부 사이의 간격은 좁게 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지지대 사이에서 회전되면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각풍차날개가 일정하게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가이드하는 한쌍의 가이드링과, 상기 지지대에 관통 개재된 풍차부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태양으로 부로부터의 태양광을 전달받아 발전되는 발전수단으로 이루어진 지지발전부로구성된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풍차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풍차날개는 중심대의 좌우양측면에서 각각 일정각도로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설치된 한쌍의 날개판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풍차부의 회전축에 직각방향으로 풍력이 가해지는 경우 풍차부가 회전되는 새로운 구조의 풍력발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풍차부의 회전시 회전축의 상부쪽에 위치되는 풍차날개는 전방에서 가해지는 풍력을 최대한 받기 위해 전방쪽으로 일정각도로 펼쳐지면서 바람을 받는 면적이 최대화되고 회전축의 하부쪽에 위치되는 풍차날개는 풍력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후방쪽으로 접혀지면서 바람을 받는 면적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상기 풍차날개가 펼쳐진 쪽으로 풍력이 집중되면서더욱 원활하고 빠른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이로인해 가해지는 태양광으로 바람이 일어나면서 선풍기와 환풍기로 사용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의 풍차부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에 풍력이 가해져 풍차부가 회전되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1)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이 강하고 지속적으로 부는 해안가나산간지역 등에 설치된 상태로 풍력에 의해 풍차부(2)가 회전작동되어 전력에너지를 얻도록 되어 있는 발전장치로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3)과, 상기 회전축(3)의 가운데부분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고정부착된 다수개의 중심대(4)와, 상기 각 중심대(4)의 좌우양측면에서 각각 일정각도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설치된 한쌍의날개판(5a)(5b)으로 된 풍차날개(6)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풍차날개(6)는 회전축(3)의 직각방향으로 풍력이 가해지는 경우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회전시 상부쪽에 위치되는 풍차날개(6)는 풍력을 최대한 받기 위해 전방쪽으로 펼쳐지고 하부쪽에 위치되는 풍차날개(6)는 풍력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후방쪽으로 접혀지도록 되어 있는 풍차부(2)와지면위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기둥부재(14)와, 상기 기둥부재(14)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축(16)과, 상기 지지축(16)의 상단부 좌우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세워져 있고 상부에는 상기 풍차부(2)의 회전축(3)이 관통 개재되는 한쌍의 지지대(18a)(18b)와, 상기 한쌍의 지지대(18a)(18b) 상부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며 상호간 상부 사이의 간격은 넓고 하부 사이의 간격은 좁게 설치되어 상기 한쌍의지지대(18a)(18b) 사이에서 회전되면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각 풍차날개(6)가 일정하게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가이드하는 한쌍의 가이드링(23a)(23b)과, 상기 지지대(18a)(18b)에 관통 개재된 풍차부(2)의 회전축(3)과 연결되어 상기 풍차부(2)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발전되는 발전수단(24)으로 이루어진 지지발전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풍차부(2)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발전부(13)에 의해 바람이 강하고 지속적으로 부는위치의 지상위에서 일정높이로 위치되면서 풍력에 의해 풍차(風車)식으로 회전되는 부분으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3)의 가운데부분 외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중심대(4)가 일정간격으로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각 중심대(4)의 좌우양측면에서 각각 경첩식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설치된 한쌍의 날개판(5a)(5b)으로 된 풍차날개(6)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풍차날개(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의 직각방향으로 풍력이 가해지는 경우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회전시 상부쪽에 위치되는 풍차날개(6)는 풍력을 최대한 받기 위해 전방쪽으로 펼쳐지고 하부쪽에 위치되는 풍차날개(6)는 풍력의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후방쪽으로 접혀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3)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발전부(13)의 지지대(18a)([0011] 18b)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관통 개재(介在)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18a)(18b)에 관통 개재된 회전축(3)의 어느 한쪽 끝단에는 통상의 발전수단(24)이 연결되어 상기 풍차부(2)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발전되면서 전력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다수개의 중심대(4)는 긴 직선형의 막대로서 회전축(3)의 가운데부분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각 중심대(4)는 회전축(3)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고 각 중심대(4)의 끝단에는 회전축(3)의 상부에 위치되는 중심대(4)를 기준으로 볼 때 한쌍의 날개판(5a)(5b)이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전방쪽으로 지지돌기(8)가 일체로 돌출설치되어 있어 각 중심대(4)의 좌우양측면에 설치되는 상기 날개판(5a)(5b)이 접혀질 경우 지지돌기(8)에 의해 지지면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일정하게 접혀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양측면에 각각 탄성체로 된 지지스프링(7a)(7b)이 "V"자형상으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접혀진 한쌍의 날개판(5a)(5b)이 회전하여 상부로 올라가는 초기에 바람을 받기어려울 때 상기 지지스프링(7a)(7b)에 의해 탄성지지되면서 펼쳐지기 시작하여 더욱 용이하고 신속하게 펼쳐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 풍차날개(6)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중심대(4)의 좌우양측면에 각각 다수개의 경첩(34)에 의해 연결된 한쌍의 날개판(5a)(5b)으로 되어 있는데, 상기 한쌍의 날개판(5a)(5b)은 평평한 사각판형상으로스테인레스 등의 금속판이나 합성수지재질의 투명판 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대(4)에 연결된 상태에서 중심대(4)의 지지돌기(8)가 돌출형성된 방향으로만 일정각도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되어 있어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지지발전부(13)의 지지축(16)이 회전되면서 풍차부(2)의 회전축(3)이 풍력이 가해지는 방향과직각방향으로 위치되면 상기 회전축(3)의 상부쪽에 위치되는 풍차날개(6)는 풍력이 가해지는 전방쪽을 향해 한쌍의 날개판(5a)(5b)이 위치되고 풍력에 의해 일정각도로 펼쳐지면서 풍력을 최대한 받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회전축(3)의 하부쪽에 위치되는 풍차날개(6)는 풍력이 가해지지 않는 후방쪽을 향해 한쌍의 날개판(5a)(5b)이위치되어 접혀지면서 바람에 의한 저항이 최소화되어 풍차부(2)가 고속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날개판(5a)(5b)은 회전축(3)의 상부쪽에 위치되어 최대한 펼쳐질 경우 상기 중심대(4)와 각날개판(5a)(5b) 사이의 각도가 80°정도로 펼쳐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80°를 초과하여 펼쳐질 경우에는전방에서 불어오는 강한 바람에 의해 각 날개판(5a)(5b)이 후방쪽으로 꺽여져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한쌍의 날개판(5a)(5b)은 펼쳐진 상태에서의 전면 상부에 전방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모아 풍차날개(6)에 풍력이 더욱 집중되도록 하는 에어포켓(9a)(9b)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에어포켓(9a)(9b)은 상면부 및 좌우양측면이 날개판(5a)(5b)의 전면 상부에 고정부착되어 있고 하부만 개방된 상태로 좌우양측면에는 접이부(10a)(10b)가 형성되어 있어 한쌍의 날개판(5a)(5b)이 펼쳐진 상태에서 풍력이 가해지는 경우 풍력이 에어포켓(9a)(9b)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에어포켓(9a)(9b)의 내부로 집중되면서 풍차날개(6)를 더욱 강하게 밀어 빠른 회전력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날개판(5a)(5b)이 접혀질 경우에는 에어포켓(9a)(9b)의 좌우양측면에 형성된 접이부(10a)(10b)에 의해 에어포켓(9a)(9b)도 날개판(5a)(5b)의 전면부에 밀착되게 접혀져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바람의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한쌍의 날개판(5a)(5b)은 외측 둘레면에 보강틀(11a)(11b)이 둘러싸고 있어 날개판(5a)(5b)의 전체적 강도를 보강하여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강한 풍력에 의해 날개판(5a)(5b)이 휘어지거나 크랙(crack)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날개판(5a)(5b)은 외측면 하부에 관형상의 가이드휠(12a)([0018] 12b)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도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차날개(6)가 일정하게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가이드하는 상기 지지발전부(13)의 한쌍의 가이드링(23a)(23b)과 가이드휠(12a)(12b)이 맞닿아 각 날개판(5a)(5b)과 가이드링(23a)(23b)과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풍차날개(6)가 더욱 자연스럽게 회전되면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발전부(13)는 도 1, 2,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이 부는 방향쪽을 향해 풍차부(2)가 위치되도록 하면서 풍차부(2)로부터의 회전에너지를 전력에너지로 전환하는 부분으로, 지면위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기둥부재(1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기둥부재(14)의 하부에는 지중에 매설되어 기둥부재(14)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기초부재(1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기둥부재(14)의 상단부 가운데부분에는 수직방향으로 지지축(16)이 끼움결합되어 있되 상기 지지축(16)과 기둥부재(14)가 끼움 결합된 부분에는 복수개의 베어링(17a)이 개재(介在)되어 있어 지지축(16)이 원활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축(16)의 상단부 좌우양측에는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수직상방으로 세워진 한쌍의 지지대(18a)(18b)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지지대(18a)(18b) 상부에는 상기 풍차부(2)의 회전축(3)이 수평방향으로 관통 개재되어 있어 상기 한쌍의 지지대(18a)(18b) 사이에서 풍차부(2)가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지지대(18a)(18b)는 회전축(3)이 관통 개재된 부분에 각각 베어링(17b)(17c)이 삽입 개재(介在)되어 있어 상기 풍차부(2)가 더욱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지지대(18a)(18b)는 도 1,2,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지지축(16)의 수직상방에서 벗어나 후방쪽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편심되어 있어 편심된 한쌍의 지지대(18a)(18b) 및 상기 기둥부재(14)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축(16)에의해 풍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지지대(18a)(18b) 및 지지축(16)이 풍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향해 자연적으로회전되면서 상기 풍차부(2)의 회전축(3)과 풍력이 가해지는 방향이 직각을 이루도록 하여 상기 풍차부(2)에 효율적으로 풍력이 가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한쌍의 지지대(18a)(18b)를 편심되게 형성하는 대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 한쌍의 지지대(18a)(18b)의 후방 하부에 방향조절부(19)를 연결 설치하여 풍력에 의해자연적으로 상기 풍차부(2)의 회전축(3)과 풍력이 가해지는 방향이 직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방향조절부(19)는 한쌍의 지지대(18a)(18b)의 후방 하부에 연설된 후방연결대(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후방연결대(20)의 후방끝부분 상면부에는 방향조절날개(21)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방향조절날개(21)의 전방에는 보조날개(22)가 부착되어 있어 풍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방향조절부(19)가 바람이 부는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되면서상기 풍차부(2)의 회전축(3)과 풍력이 가해지는 방향이 직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지지대(18a)(18b)는 도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상기한쌍의 지지대(18a)(18b) 사이에서 회전되면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각 풍차날개(6)가 일정각도로 펼쳐지거나접혀지도록 가이드하는 한쌍의 가이드링(23a)(23b)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가이드링(23a)(23b)은 링형상으로 회전축(3)이 각 지지대(18a)(18b)를 관통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부는 지지대(18a)(18b)의 외측에 위치되고 하부는 지지대(18a)(18b)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호간 상부 사이의 간격은 넓고 하부 사이의 간격은 좁게 설치되어 있되, 상기가이드링(23a)(23b)에 의해 하부쪽으로 위치되는 풍차날개(6)의 날개판(5a)(5b)은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게 형성된 가이드링(23a)(23b) 사이의 간격에 의해 자연스럽게 접혀지면서 회전축(3)의 수직하부에위치된 한쌍의 지지대(18a)(18b) 사이를 지나칠 때는 완전히 접혀져 풍력의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18a)(18b) 사이를 빠져나와 상부쪽으로 위치되는 풍차날개(6)의 날개판(5a)(5b)은 전방에서 가해지는풍력과 상부쪽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된 가이드링(23a)(23b) 사이의 간격에 의해 자연스럽게 점차적으로 펼쳐지고 회전축(3)의 수직상부에 위치되면 가장 넓게 펼쳐져 전방에서 가해지는 풍력을 최대한 받아 풍차부(2)가고속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가이드링(23a)(23b)은 각각 지지대(18a)(18b)의 외측면에 고정부착된 다수개의 연결고정대(33a)(33b)와 연결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어 다수개의 풍차날개(6)가 계속적으로 회전되면서 스쳐지나가는 경우도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상기 발전수단(24)은 통상의 발전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18a)(18b)에 [0024] 관통 개재된 회전축(3)의 어느 한쪽 끝단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풍차부(2)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발전되면서 전력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전수단(24)은 내부에 통상의 가속기어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어 회전축(3)으로부터의회전력을 일정비율로 증가시켜 상기 발전기가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더욱 효율적으로 전력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되어 있고, 상기 발전수단(24)은 통상의 축전장치(도시하지 않음) 등과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 발전된 전력에너지를 저장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풍차부(2)의 각 풍차날개(6)에는 잠금장치(25)를 설치하고 상기지지대(18a)(18b) 중 어느 한쪽의 지지대(18a) 하부에는 풀림버튼(26) 및 잠금버튼(27)를 상하로 설치하여 풍차부(2)의 각 풍차날개(6)가 펼쳐지지 않게 잠금처리하거나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는데, 상기 잠금장치(25)는 도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풍차날개(6)의 날개판(5a)(5b) 중 어느 하나의 날개판(5a) 외측끝단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부착되는 원통형 케이싱(28)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28)의 내측에는 관통축(29)이 삽입 개재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축(29)의 일측끝단에는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잠금바(30)와 상기 잠금바(30)와 직각을 이룬 상태로 후방쪽으로 돌출형성된 풀림바(31)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관통축(29)의타측끝단에는 잠금고리(32)가 수직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버튼(27)은 지지대(18a)의 내측으로돌출 작동될 경우 수직하방으로 위치되는 잠금바(30)와 부합되게 위치되어 상기 잠금바(30)가 잠금버튼(27)에걸리면서 관통축(29)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날개판(5a)(5b)이 잠금처리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풀림버튼(26)은 지지대(18a)의 내측으로 돌출 작동될 경우 수직상방으로 위치되는 풀림바(31)와 부합되게 위치되어 상기풀림바(31)가 풀림버튼(26)에 걸리면서 관통축(29)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날개판(5a)(5b)이 잠금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잠금장치(25)를 이용하여 풍차날개(6)가 펼쳐지지 않게 잠금처리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지지대(18a)의 하부에 설치된 잠금버튼(27)을 눌러 잠금버튼(27)이 지지대(18a)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하면 상기 지지대(18a)(18b) 사이를 접혀진 상태로 지나치는 각 풍차날개(6)에 설치된 잠금장치(25)의 잠금바(30)가 상기 잠금버튼(27)에 걸려 관통축(29)이 시계방향으로 90°회전되면서 타측끝단에 수직상방으로 형성된 잠금고리(32)도 시계방향으로 90°회전되어 한쌍의 날개판(5a)이 잠금장치(25)에 의해 잠금처리되어 펼쳐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25)에 의해 잠금처리된 풍차날개(6)가 펼쳐지도록 잠금해제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잠금버튼(27)은 원상복원시키고 잠금버튼(27)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 풀림버튼(26)을 눌러 풀림버튼(26)이 지지대(18a)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하면 상기 지지대(18a)(18b)사이를 잠금장치(25)에 의해 잠금처리된 상태로 지나치는 상기 풍차날개(6)에서 수직상방으로 위치된 잠금장치(25)의 풀림바(31)가 상기 풀림버튼(26)에 걸려 관통축(29)이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되면서 타측끝단에 형성된 잠금고리(32)도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되어 한쌍의 날개판(5a)이 잠금장치(25)으로부터 잠금해제되어 펼쳐지도록 되어 있다.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1)를 바람이 강하고 지속적으로 부는 해안가나 산간지역 등에 설치하여 풍력에 의해 풍차(風車)식으로 회전되면서 회전에너지를 전력에너지로 전환하여 발전되도록 하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발전부(13)의 지지축(16) 상부에 일체로 구비된 상기 한쌍의 지지대(18a)(18b)가 편심되어 있어 편심된한쌍의 지지대(18a)(18b)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축(16)에 의해 풍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지지대(18a)(18b) 및 지지축(16)이 풍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향해 자연적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한쌍의 지지대(18a)(18b) 사이에 설치되는 풍차부(2)의 회전축(3)과 풍력이 가해지는 방향이 직각을 이루도록 하여 상기 풍차부(2)에 효율적으로 풍력이 가해지면서 자연스럽게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발전부(13)의 지지축(16)이 회전되면서 풍차부(2)의 회전축(3)이 풍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위치되면 상기 회전축(3)의 상부쪽에 위치되는 풍차날개(6)는 풍력이 가해지는 전방쪽을 향해 한쌍의 날개판(5a)(5b)이 위치되고 풍력에 의해 일정각도로 펼쳐지면서 풍력을 최대한 받아 회전되고 상기 회전축(3)의 하부쪽에 위치되는 풍차날개(6)는 풍력이 가해지지 않는 후방쪽을 향해 한쌍의 날개판(5a)(5b)이 위치되어 접혀지면서 바람에 의한 저항이 최소화되어 풍차부(2)가 원활하게 회전되는데, 상기 지지대(18a)(18b)의 상부에 설치된한쌍의 가이드링(23a)(23b)에 의해 각 풍차날개(6)가 가이드되면서 하부쪽으로 위치되는 풍차날개(6)의 날개판(5a)(5b)은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게 형성된 가이드링(23a)(23b) 사이의 간격에 의해 자연스럽게 접혀지고 회전축(3)의 수직하부에 위치된 한쌍의 지지대(18a)(18b) 사이를 지나칠 때는 완전히 접혀져 풍력의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18a)(18b) 사이를 빠져나와 상부쪽으로 위치되는 풍차날개(6)의 날개판(5a)(5b)은 전방에서 가해지는 풍력과 상부쪽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된 가이드링(23a)(23b) 사이의 간격에 의해 자연스럽게 점차적으로 펼쳐지고 회전축(3)의 수직상부에 위치되면 가장 넓게 펼쳐져 전방에서 가해지는 풍력을 최대한 받게 되어 상기 풍차날개(6)가 펼쳐진 쪽으로 풍력이 집중되면서 풍차부(2)가 더욱 고속으로 회전되며, 이때 상기 지지대(18a)(18b)에 관통 개재된 회전축(3)의 어느 한쪽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발전수단(24)이 상기 풍차부(2)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발전되면서 가해지는 풍력 대비 발전효율을 크게 증진시켜 원활한 전력생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1, 1'. 풍력발전장치 2, 2'. 풍차부
3, 3'. 회전축 4. 중심대
5a, 5b. 날개판 6. 풍차날개
7a, 7b. 지지스프링 8. 지지돌기
9a, 9b. 에어포켓 10a, 10b. 접이부
11a, 11b. 보강틀 12a, 12b. 가이드휠
13. 지지발전부 14, 14'. 기둥부재
15, 15'. 기초부재 16, 16'. 지지축
17a, 17b, 17c. 베어링 18a, 18b. 지지대
19. 방향조절부 20. 후방연결대
21. 방향조절날개 22. 보조날개
23a, 23b. 가이드링 24, 24'. 발전수단
25. 잠금장치 26. 풀림버튼
27. 잠금버튼 28. 케이싱
29. 관통축 30. 잠금바
31. 풀림바 32. 잠금고리
33a, 33b. 연결고정대 34. 경첩
35. 솔라셀

Claims (8)

  1.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3)과, 상기 회전축(3)의 가운데부분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고정부착된 다수개의중심대(4)와, 상기 각 중심대(4)의 좌우양측면에서 각각 일정각도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설치된 한쌍의 날개판(5a)(5b)으로 된 풍차날개(6)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풍차날개(6)는 회전축(3)의 직각방향으로 풍력이 가해지는 경우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회전시 상부쪽에 위치되는 풍차날개(6)는 풍력을 최대한 받기 위해 전방쪽으로펼쳐지고 하부쪽에 위치되는 풍차날개(6)는 풍력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후방쪽으로 접혀지도록 되어 있는풍차부(2)와 지면위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기둥부재(14)와, 상기 기둥부재(14)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지지축(16)과, 상기 지지축(16)의 상단부 좌우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세워져 있고 상부에는 상기 풍차부(2)의 회전축(3)이 관통 개재되는 한쌍의 지지대(18a)(18b)와, 상기 한쌍의 지지대(18a)(18b) 상부에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며 상호간 상부 사이의 간격은 넓고 하부 사이의 간격은 좁게 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지지대(18a)(18b) 사이에서 회전되면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각풍차날개(6)가 일정하게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가이드하는 한쌍의 가이드링(23a)(23b)과, 상기 지지대(18a)(18b)에 관통 개재된 풍차부(2)의 회전축(3)과 연결되어 상기 풍차부(2)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발전되는 발전수단(24)으로 이루어진 지지발전부(13)로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중심대(4)는 긴 직선형의 막대로서 회전축(3)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고 각 중심대(4)의 끝단에는 회전축(3)의 상부에 위치되는 중심대(4)를 기준으로 볼 때 한쌍의 날개판(5a)(5b)이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전방쪽으로 지지돌기(8)가 일체로 돌출설치되어 있어 각 중심대(4)의 좌우양측면에 설치되는 상기 날개판(5a)(5b)이 접혀질 경우 지지돌기(8)에 의해 지지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지지돌기(8)는 좌우양측면에 각각 지지스프링(7a)(7b)이 고정부착되어 있어 접혀진 한쌍의 날개판(5a)(5b)이 상기 지지스프링(7a)(7b)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날개판(5a)(5b)은 금속이나 합성수지재질로 된 평평한 사각판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각 중심대(4)의 좌우양측면에 각각 다수개의 경첩(34)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날개판(5a)(5b)은 펼쳐진 상태에서의 전면 상부에 에어포켓(9a)(9b)이 각각 구비되어 있되, 상기 에어포켓(9a)(9b)은 상면부 및 좌우양측면이 날개판(5a)(5b)의 전면 상부에 고정부착되어 있고 하부만 개방된 상태로 좌우양측면에는 접이부(10a)(10b)가 형성되어 있어 한쌍의 날개판(5a)(5b)이 펼쳐진 상태에서 풍력이 가해지는 경우 풍력이 에어포켓(9a)(9b)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에어포켓(9a)(9b)의 내부로 집중되면서 풍차날개(6)를 더욱 강하게 밀어 빠른 회전력을 얻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풍력발전장치.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날개판(5a)(5b)은 외측 둘레면에 보강틀(11a)(11b)이 둘러싸고 있어날개판(5a)(5b)의 전체적 강도를 보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날개판(5a)(5b)의 외측면 하부에는 관형상의 가이드휠(12a)(12b)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풍차날개(6)가 일정하게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가이드하는 상기 지지발전부(13)의 한쌍의 가이드링(23a)(23b)과 가이드휠(12a)(12b)이 맞닿아 각 날개판(5a)(5b)과 가이드링(23a)(23b)과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풍차날개(6)가 자연스럽게 회전되면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지지대(18a)(18b)는 상부가 지지축(16)의 수직상방에서 벗어나 후방쪽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편심되어 있어 편심된 한쌍의 지지대(18a)(18b) 및 상기 기둥부재(14)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축(16)에 의해 풍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지지대(18a)(18b) 및 지지축(16)이 풍력이 가해지는방향을 향해 자연적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풍차부(2)의 회전축(3)과 풍력이 가해지는 방향이 직각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지지대(18a)(18b)는 후방 하부에 방향조절부(19)가 연결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방향조절부(19)는 한쌍의 지지대(18a)(18b)의 후방 하부에 연설된 후방연결대(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후방연결대(20)의 후방끝부분 상면부에는 방향조절날개(21)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방향조절날개(21)의 전방에는 보조날개(22)가 부착되어 있어 풍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방향조절부(19)가 바람이 부는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되면서 상기 풍차부(2)의 회전축(3)과 풍력이 가해지는 방향이 직각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차날개(6)는 잠금장치(2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대(18a)(18b) 중 어느 한쪽의 지지대(18a) 하부에는 풀림버튼(26) 및 잠금버튼(27)이 상하로 설치되어 있어 상기 풍차날개(6)가 펼쳐지지 않게잠금처리하거나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는데, 상기 잠금장치(25)는 풍차날개(6)의 날개판(5a)(5b) 중 어느 하나의 날개판(5a) 외측끝단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부착되는 원통형 케이싱(28)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28)의 내측에는 관통축(29)이 삽입 개재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축(29)의 일측끝단에는 수직하방으로돌출형성된 잠금바(30)와 상기 잠금바(30)와 직각을 이룬 상태로 후방쪽으로 돌출형성된 풀림바(31)가 일체로구비되어 있고 상기 관통축(29)의 타측끝단에는 잠금고리(32)가 수직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버튼(27)은 지지대(18a)의 내측으로 돌출 작동될 경우 수직하방으로 위치되는 잠금바(30)와 부합되게 위치되어상기 잠금바(30)가 잠금버튼(27)에 걸리면서 관통축(29)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날개판(5a)(5b)이 잠금처리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풀림버튼(26)은 지지대(18a)의 내측으로 돌출 작동될 경우 수직상방으로 위치되는 풀림바(31)와 부합되게 위치되어 상기 풀림바(31)가 풀림버튼(26)에걸리면서 관통축(29)을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날개판(5a)(5b)이 잠금해제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장치.
KR1020140003125A 2014-01-10 2014-01-10 태양광으로 돌아가는 선풍기 환풍기 KR201500835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125A KR20150083514A (ko) 2014-01-10 2014-01-10 태양광으로 돌아가는 선풍기 환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125A KR20150083514A (ko) 2014-01-10 2014-01-10 태양광으로 돌아가는 선풍기 환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514A true KR20150083514A (ko) 2015-07-20

Family

ID=53873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125A KR20150083514A (ko) 2014-01-10 2014-01-10 태양광으로 돌아가는 선풍기 환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35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2874A (zh) * 2020-12-08 2021-02-26 杭州贝丰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降低气噪功能的叶轮结构的涡轮风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2874A (zh) * 2020-12-08 2021-02-26 杭州贝丰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降低气噪功能的叶轮结构的涡轮风机
CN112412874B (zh) * 2020-12-08 2021-05-28 杭州贝丰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降低气噪功能的叶轮结构的涡轮风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4914B1 (en) Wind power generating rotor blades utilizing inertial force, wi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ing the rotor blades, and wind power generating system
WO2006078090A1 (en) Wind turbine
KR101561585B1 (ko) 발전효율을 증대시킨 날개 가변형 조력 겸용 풍력발전기
CN106259297A (zh) 一种智能驱鸟机器人
KR101057417B1 (ko) 풍력발전장치
KR101062580B1 (ko) 회전날개의 개폐각이 자동 조절되는 수직형 풍력발전기
KR101028481B1 (ko) 풍력발전기
KR20120039127A (ko) 수평형 풍력 발전기
KR20150083514A (ko) 태양광으로 돌아가는 선풍기 환풍기
KR100840400B1 (ko)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94010B1 (ko) 풍력발전기의 날개절첩장치
KR100999320B1 (ko) 양력발전기용 양력블레이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133070A (ko) 복합 발전 장치
KR101259712B1 (ko) 수평축 풍력 발전기용 풍력 날개
KR101198580B1 (ko) 풍력발전기의 날개 및 풍력발전장치
KR101554481B1 (ko) 각도고정장치가 구비된 각도 가변형 태양광발전장치
KR20130114792A (ko) 날개 각도 가변 구조를 가진 수직축 풍력 발전기
KR101513490B1 (ko) 차량풍을 이용한 풍력 발전장치
KR20120105645A (ko) 절첩 날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
US20120049536A1 (en) Wind Turbine
KR101943845B1 (ko) 수평형 풍력발전기
CN110792555A (zh) 同轴相向动力垂直组合梯级组合微风发电机组
CN105888962A (zh) 风叶偏转式风力发电机
CN205744296U (zh) 强磁复合发电装置
KR101298011B1 (ko) 풍력발전기 동체 부양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