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756A - 휴대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756A
KR20150082756A KR1020140002038A KR20140002038A KR20150082756A KR 20150082756 A KR20150082756 A KR 20150082756A KR 1020140002038 A KR1020140002038 A KR 1020140002038A KR 20140002038 A KR20140002038 A KR 20140002038A KR 20150082756 A KR20150082756 A KR 20150082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protrusion
unit
bottom portion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케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케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케이엠
Priority to KR1020140002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2756A/ko
Publication of KR20150082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저면부의 일측에 상방향으로 형성된 전면부와 저면부의 타측에 상방향으로 배면부가 형성되고 배면부의 일 영역에 하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거치부와, 판상의 형태로 형성되며 판상의 형태로 형성된 일 영역에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된 고정지와 고정 지지부의 하면에 부착되고, 부착된 타측면에 고정 지지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의하면, 모든 종류의 휴대 단말기를 통합적으로 거치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각도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거치대 {Mobile-device dock}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 단말기를 차량에 쉽게 거치할 수 있고, 거치대를 회전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휴대 단말기의 이용이 증가하면서 사람들은 다양한 목적으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에서 네비게이션 기능을 활용하기 위하여 차량의 대시보드에 거치대를 설치하여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는 가로길이, 세로길이 및 두께가 상이하다. 따라서 제조 업체가 이러한 조건을 고려해서 거치대를 제조하기 위해서 휴대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제작하게 되면, 제조업체는 다양한 조건의 설비를 사용해야 하므로 원가가 상승하고, 비효율적이며, 이로 인해서 제조비용의 상승으로 인한 판매가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주기가 짧아지고 있어서 사람들은 휴대 단말기를 교체함과 동시에 거치대를 함께 교체해야한다. 따라서 추가적인 비용이 지출하게 되고 기존에 사용했던 거치대는 폐기처리 해야 하므로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의 기능을 사용하고 있을 때,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에 따라서 네비게이션의 디스플레이부 시야 확보를 위해서 거치대의 각도를 변경시켜야 하지만, 차량의 대시보드에 완전히 분리해서 각도를 변경시키고 장착해야 하므로 불편한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다. 또한, 햇빛이 차량 안으로 비치게 되면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빛에 반사되어 보이지 않으므로 안전운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지만 디스플레이부를 쉽게 변경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왔다.
한국등록특허 10-0540398는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전화를 세로 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으며, 휴대전화의 세로 길이에 따라 그 이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지만, 이격 거리가 짧아서 다양한 종류의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를 가로방향으로 눕혀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가로폭, 세로폭 및 두께에 상관없이 모든 종류의 휴대 단말기를 통합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시야 확보가 용이하도록 각도 조정이 용이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거치부 및 접착부를 포함한다. 거치부는 저면부의 일측에 상방향으로 전면부가 형성되며, 저면부의 타측에 상방향으로 배면부가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의 일영역이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접착부는 저면부의 하면에 부착되어 거치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거치부, 고정 지지부 및 접착부를 포함한다. 거치부는 저면부의 일측에 상방향으로 전면부가 형성되며, 저면부의 타측에 상방향으로 배면부가 형성되고, 저면부의 하면에 하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한다. 고정 지지부는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된다. 접착부는 고정 지지부의 하면에 부착되어 고정 지지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배면부에는 꺽임부를 구비할 수 있다. 꺽임부는 거치부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의 두께에 따라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쿠션층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층은 배면부의 내측에 부착되어 휴대 단말기의 두께에 따라 압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돌출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원통형의 형상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면이 형성되어 한 쌍이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 끝단의 단면 직경은 삽입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돌출부가 삽입공에 삽입되어 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삽입공의 내주면을 따라 암톱니가 형성되고 돌출부의 외주면을 따라 숫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암톱니와 숫톱니가 서로 맞물리게 되어 삽입공에 삽입된 돌출부가 삽입공에서 단계적으로 회전할 수 있어 거치부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두께 조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두께 조절부는 배면부의 내측에 부착되며, 휴대 단말기의 두께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수평재가 배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흔들림 방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흔들림 방지부는 돌출부의 중심에서 대칭되게 위치하며 배면부의 하방향으로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회전 방지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방지 돌기는 고정 지지부의 상면에서 거치대가 정해진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전면부의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개방된 전면부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메뉴 버튼을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의 가로폭, 세로폭 및 두께에 상관없이 모든 종류의 휴대 단말기를 통합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 디스플레이부의 시야 확보가 용이하도록 각도 조정이 용이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은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배면부에 쿠션층이 부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휴대 단말기 거치부의 배면부에 꺽임부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고정 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거치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거치부가 고정 지지부에서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7은 거치부가 고정 지지부에서 결합되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두께 조절부를 포함하는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전면의 일부가 개방되고 배면부에 꺽임부를 포함하는 거치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며, 도 2은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배면부에 쿠션층이 부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이동 통신 거치대의 배면부에 꺽임부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거치부(1100, 2100) 및 접착부(1200, 22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100)는 저면부(1110)의 일측에 전면부(1120)가 수직으로 형성되고, 저면부(1110)의 타측에 배면부(1130)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의 일영역이 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에서 전면부(1120)와 배면부(1130)의 모서리 부분은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때 손 등이 모서리 부분에 부딪쳐서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곡률로 성형되었으나 모서리의 모양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거치부(1100)의 재질은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P.C)와 같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부(1130)에는 쿠션층(1130)이 부착될 수 있다. 거치부(1100)의 내측에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면, 휴대 단말기가 쿠션층(1130)을 압축해서 휴대 단말기가 흔들리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쿠션층(1140)은 압축성과 복원력이 우수하여 휴대 단말기의 거치의 반복이나 장시간 거치시에도 탄성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에에서 쿠션층(1130)은 배면부(1130)에 부착되었으나 전면부(1120)에도 부착될 수 있으며 부착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부(2130)에는 꺽임부를 구비할 수 있다. 꺽임부는 배면부(2130)의 상단에서 거치부(2100)의 내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수평부(2140)와 수평부(2140)의 끝단에서 하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부(2150)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부(2150)는 저면부(2110)에 닺지 않고 떨어져 있으므로, 꺽임부는 배면부(2130)의 상부 끝단에서 켄틸레버와 같은 연결구조로 연결되어 배면부(2130)의 상단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배면부(2130)의 방향으로 이격이 가능하다.
따라서 거치부(2100)에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면 휴대 단말기는 꺽임부를 전면부(2120)의 반대방향으로 밀쳐내고, 이에 대해 꺽임부는 탄성의 성질로 휴대 단말기를 전면부(2120)의 방향으로 밀쳐내려는 작용을 하여 휴대 단말기를 전면부(2120)와 수직부(2150) 사이에서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거치부(2100)내에서 휴대 단말기를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전면부(2120)와 수직부(2320)사이의 이격 거리가 휴대 단말기의 두께보다 작으면 꺽임부의 탄성력을 이용하기에 유리하지만, 전면부(2120)와 수직부(2320)사이의 이격 거리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부(2140)는 평평한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수평부(2140)는 골과 마루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진 파형의 형상(미도시)을 가질 수도 있다. 수평부(2140)가 파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수평부(2140)는 배면부(2130)의 상부 끝단에서 스프링과 같이 거동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가 거치부(2100)에 거치되면, 휴대 단말기가 전면부(2120)의 반대방향으로 수직부(2150)를 밀쳐내면 수직부(2150)에 연결된 수평부가 배면부(2130) 방향으로 스프링과 같이 압축되기 용이하여 휴대 단말기의 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부(1110)의 하면에는 접착부(1200)가 부착될 수 있다. 접착부(1200)는 차량의 대시보드에 접착되어 거치부(11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부(1200)는 저면부(1110)의 하면 전체에 부착되었으나, 접착부(1200)의 접착강도에 따라 저면부(1110)의 일부에만 부착될 수도 있다. 접착부(1200)는 저면부(1110)와 차량의 대시보드를 동시에 접착할 수 있는 재질이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에 적용된 접착부(2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접착부(1200)의 재질과 저면부(1110)와의 연결 관계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고정 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거치부의 사시도이며, 도 6은 거치부가 고정 지지부에서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7은 거치부가 고정 지지부에서 결합되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3100)는 저면부(3110)의 일측에 전면부(3120)가 수직으로 형성되고, 저면부(3110)의 타측에 배면부(3130)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의 일영역이 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저면부(3110)의 하면에는 하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3140)를 구비할 수 있다. 마주보도록 형성된 돌출부(3140)는 켄틸레버와 같은 구조형태로 저면부(3110)에 지지되어 절개면의 직각방향으로 단면의 조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원통형의 내부가 비워져서 돌출부(3140)의 단면 조정을 쉽게 할 수 있으며, 재료의 사용량을 절감해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지만, 원통형의 내부 형상은 채워진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돌출부(314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원통형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절개면이 형성되고 한 쌍이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원통형의 내부가 비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140)의 끝단에는 쐐기부(3141)가 형성될 수 있다. 쐐기부(3141)는 돌출부(314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쐐기부(314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3210)에 체결되기 용이하도록 곡면 처리되고, 쐐기홈(3222)은 암톱니(3211)의 직경보다 크기가 크게 형성되며, 쐐기부(3142)의 직경과 같거나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쐐기부(3141)가 쐐기홈(3222)에 체결되면 쐐기부(3141)가 암톱니(3211)와 쐐기홈(3222)사이의 경계부에 걸리게 되므로 쐐기부(3141)는 쐐기홈(3222)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거치부(3100)가 고정 지지부(32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3140)의 외주면의 일 영역에는 숫톱니(3142)가 형성될 수 있다. 숫 톱니(3142)의 크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에 형성된 톱니는 크게 형성되고 그 안쪽에 있는 톱니는 큰 톱니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큰 톱니가 고정 지지부(3200)의 암톱니(3211)와 맞물리게 되어 암톱니(3211)의 내주면을 따라 단계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되는 톱니의 면적이 줄어들어 마찰력이 감소되므로 회전하기가 용이하며 톱니의 접촉면적이 줄어들어 마모되는 것을 감소시켜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에서 전면부(3120)와 배면부(3130)의 모서리 부분은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때 손 등이 모서리 부분에 부딪쳐서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곡률로 성형되었으나 모서리의 모양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지지부(3200)에 형성된 쐐기홈(3222)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쐐기홈(3222)의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막혀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지지부(3200)는 판상의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원형, 삼각형, 마른모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철재 등과 같이 무게 중심을 잡을 수 있는 재질이 내장될 수도 있다.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거치부(3100)가 고정 지지부(3110)와 결합되어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저면부(3110)의 하방향에 돌출 형성된 흔들림 방지부(315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흔들림 방지부(3150)는 도 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되어 돌출부(3140)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었다. 따라서 흔들림 방지부(3150)의 돌출된 끝단은 고정 지지부(3200)의 상면에 접촉하게 되므로 거치부(3100)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운전중에 차량의 흔들림이 발생하거나 휴대 단말기의 무게 중심이 상이하여도 휴대 단말기를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다. 흔들림 방지부(315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저면부(3110)의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거치부(31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지지부(3200)의 상면에는 거치부(3100)가 정해진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 방지 돌기(3220)를 구비할 수 있다. 거치부(3100)가 회전하게 되면 저면부(3110)의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3160)이 회전 방지 돌기(3220)에 걸리게 되어 정해진 크기 이상 회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거치부(3100)가 불필요하게 회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숫톱니(3142)와 암톱니(3211)가 맞물려 회전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어 숫톱니(3142)와 암톱니(3211)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내구년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거치부(3100)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회전 방지 돌기(3220)는 삽입공(3210)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방지 돌기(3220)는 고정 지지부(3200)의 상면에서 좌우 대칭으로 4개가 형성되었으나 거치대(3100)가 정해진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열이면 배열 위치 및 배열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고정 지지부(3200)의 하면에는 접착부(3300)가 부착될 수 있다. 접착부(3300)는 차량의 대시보드에 접착되어 고정 지지부(32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부(3300)는 저면부(3110)의 하면 전체에 부착되었으나, 접착부(3300)의 접착강도에 따라서 고정 지지부(3200)의 일부에만 부착될 수도 있다. 접착부(3300)는 거치부(3200)와 차량의 대시보드를 동시에 접착할 수 있는 재질이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거치부(3100) 및 고정 지지부(3200)의 재질은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두께 조절부를 포함하는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거치대에서 두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거치대와 고정 지지부의 결합관계 및 거치대와 고정 지지부의 재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4100)는 배면부(4130)에 두께 조절부(4170)를 구비할 수 있다. 두께 조절부(4170)는 배면부(4130)의 폭 방향을 따라 다수의 수평재(4171)가 배면부(4130)에 수직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폭방향은 저면부(41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정의 된다. 두께 조절부(4170)는 배면부(4130)의 내측에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성이 있는 재질을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으나, 두께 조절부(4170)를 부착할 수 있는 재질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께 조절부(4170)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크기의 수평재(4171)가 배열되었으나, 동일한 크기의 수평재(4171)가 배열될 수도 있다.
두께 조절부(4170)는 실리콘, 고무, 폴리에틸렌과 같이 압축성과 복원력이 우수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거치부(4100)에 휴대 단말기의 일 영역이거치되며, 두께 조절부(4170)는 휴대 단말기의 두께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흔들리지 않도록 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두께 조절부(4170)는 배면부(4130)에 설치되었으나, 전면부(4120)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방법이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9는 전면부의 일부가 개방되고 배면부에 꺽임부를 포함하는 거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의 거치대에서 전면부의 일부가 개방되고 배면부에 꺽임부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거치대와 고정 지지부의 결합관계 및 거치대와 고정 지지부의 재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거치부(5100)는 저면부(5110)의 일측에 전면부(5120)의 일부가 개방되어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부(5120)가 개방되면 거치된 휴대 단말기가 거치대에 거치되었을 때 메뉴 버튼을 조작하기가 용이하여 거치대(5100)에서 휴대 단말기를 꺼내지 않고 휴대 단말기의 메뉴 버튼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일부 개방된 크기의 재료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면부(5120)는 일부가 직사각형 형태도 개방되었으나 휴대 단말기를 거치해서 메뉴버튼을 조작할 수 있는 개방 형태이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저면부(5110)의 타측에는 수직으로 배면부(5130)가 형성되며, 형성된 배면부(5130)의 일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부가 개방된 배면부(5130)에는 꺽임부를 구비할 수 있다. 꺽임부는 배면부(5130)의 상단에서 거치부(5100)의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수평부(5140)와 수평부(5140)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형성된 수직부(51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수직부(5150)는 저면부(5110)에 닺지 않고 떨어져 있다. 꺽임부는 배면부(5130)의 상부 끝단에서 켄틸레버와 같은 연결구조로 연결되어 배면부(5130)의 상단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배면부(5130)의 방향으로 이격이 가능하다.
따라서 거치부(5100)에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면 휴대 단말기는 꺽임부를 전면부(5120)의 반대방향으로 밀쳐내고, 이에 대해 꺽임부는 탄성의 성질로 휴대 단말기를 전면부(5120)의 방향으로 밀쳐내려는 작용을 하여 휴대 단말기를 전면부(5120)와 수직부(5150) 사이에서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거치부(5100)내에서 휴대 단말기를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전면부(5120)와 수직부(5320)사이의 이격 거리가 휴대 단말기의 두께보다 작으면 꺽임부의 탄성력을 이용하기에 유리하지만, 전면부(5120)와 수직부(5320)사이의 이격 거리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부(5140)는 평평한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수평부(5140)는 골과 마루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진 파형의 형상(미도시)을 가질 수도 있다. 수평부(5140)가 파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수평부(5140)는 배면부(5130)의 상부 끝단에서 스프링과 같이 거동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가 거치부(5100)에 거치되면, 휴대 단말기가 전면부(5120)의 반대방향으로 수직부(2150)를 밀쳐내면 수직부(2150)에 연결된 수평부(5140)가 배면부(5130) 방향으로 스프링과 같이 압축되기 용이하여 휴대 단말기의 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0, 2100, 3100, 4100, 5100 : 거치부
1110, 2110, 3110, 4110, 5110 : 저면부
1120, 2120, 3120, 4120, 5120 : 전면부
1130, 2130, 3130, 4130, 5130 : 배면부
3140 : 돌출부 3150 : 흔들림 방지부
3220 : 회전 방지 돌기 4170 : 두께 조절부
2140, 5140 : 수평부 2140, 5150 : 수직부

Claims (10)

  1. 저면부, 상기 저면부의 일측에 상방향으로 형성된 전면부, 상기 저면부의 타측에 상방향으로 형성된 배면부를 구비하여 휴대 단말기의 일영역이 거치되도록 형성된 거치부; 및
    상기 저면부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거치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2. 저면부, 상기 저면부의 일측에 상방향으로 형성된 전면부, 상기 저면부의 타측에 상방향으로 형성된 배면부를 구비하여 휴대 단말기의 일영역이 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의 하면에 하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거치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된 고정 지지부; 및
    상기 고정 지지부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고정 지지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부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두께에 따라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의 내측으로 형성된 꺽임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부의 내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두께에 따라 압축될 수 있는 쿠션층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의 형상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면이 형성되어 한 쌍이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인출되지 않도록 상기 돌출부의 끝단의 단면의 직경은 상기 삽입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공에서 단계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거치부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을 따라 암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암톱니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의 일 영역에 숫톱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부의 내측에 부착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두께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수평재가 상기 배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배열된 두께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중심에서 대칭되게 위치하며 상기 배면부의 하방향으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흔들림 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부의 상면에는 거치대가 정해진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 방지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메뉴 버튼을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부의 일부가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1020140002038A 2014-01-07 2014-01-07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201500827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038A KR20150082756A (ko) 2014-01-07 2014-01-07 휴대 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038A KR20150082756A (ko) 2014-01-07 2014-01-07 휴대 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756A true KR20150082756A (ko) 2015-07-16

Family

ID=53884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038A KR20150082756A (ko) 2014-01-07 2014-01-07 휴대 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27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851B1 (ko) * 2020-07-17 2021-08-04 김수정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KR20220086003A (ko) * 2020-12-16 2022-06-23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종 백금이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851B1 (ko) * 2020-07-17 2021-08-04 김수정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KR20220086003A (ko) * 2020-12-16 2022-06-23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종 백금이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98395T3 (es) Dispositivo de adsorción por vacío
US10728372B2 (en) Holder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721751B1 (ko)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KR101042534B1 (ko) 핸드폰 거치대
KR20150082756A (ko) 휴대 단말기 거치대
US11392171B2 (en) Holde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TW201528643A (zh) 車載式無線充電裝置
US20100259144A1 (en) Device case and apparatus using same
KR20170004306U (ko) 받침대가 부착된 휴대폰의 거치대
KR101738615B1 (ko)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EP2514639A3 (fr) Ensemble pour la retenue d'un élément de garniture à un élément de carrosserie d'un véhicule
KR200398399Y1 (ko) 자동차용 핸드폰 충전 거치대
KR101738616B1 (ko)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KR20130071039A (ko) 전자기기를 차량 내부에 위치시키는 거치대
JP5196331B2 (ja) 車載機器用支持具
KR20160004443U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314849B1 (ko) 내구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휴대기기 거치대
KR100921437B1 (ko) 네비게이션 거치구조
TWM511187U (zh) 行動裝置之固定接合結構
KR200447210Y1 (ko) 휴대용 기기 거치대
KR200476557Y1 (ko) 충격완화 및 부착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20120006984U (ko) 탄성 휴대폰 홀더
KR20120088946A (ko) 개인휴대단말기의 차량거치대용 가변형홀더
KR20160122971A (ko)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JP5366231B2 (ja) 車載機器用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