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521A -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방법, 장치, 및 단말 - Google Patents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방법, 장치,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521A
KR20150082521A KR1020157014942A KR20157014942A KR20150082521A KR 20150082521 A KR20150082521 A KR 20150082521A KR 1020157014942 A KR1020157014942 A KR 1020157014942A KR 20157014942 A KR20157014942 A KR 20157014942A KR 20150082521 A KR20150082521 A KR 20150082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heartbeat
heartbeat period
period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4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3565B1 (ko
Inventor
준웨이 궈우
웨이 리
쉬젱 양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82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G06F9/4881Scheduling strategies for dispatcher, e.g. round robin, multi-level priority queues
    • G06F9/4893Scheduling strategies for dispatcher, e.g. round robin, multi-level priority queues taking into account power or heat criter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task scheduling
    • Y02B60/142
    • Y02B60/16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방법, 장치, 및 단말에 대해 개시하며,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를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제2 하트비트 주기로 조정되며, 여기서 상기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는 하트비트 주기 조정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원래의 하트비트 주기이고, 상기 제2 하트비트 주기는 상기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조정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주기이며, 상기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는 상기 제1 하트비트 주기가 조정되는 것에 따른 조정 주기이며,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제2 하트비트 주기는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와 일치하여 이전에 단말 내에서 무질서하였던 하트비트 주기 타이밍을 조정하며, 따라서 단말을 깨우는 횟수가 감소할 수 있고 단말의 대기 전력 소모가 감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방법, 장치, 및 단말{METHOD, DEVICE, AND TERMINAL FOR ADJUSTING HEARTBEAT CYCLE FOR APPL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응용 하트비트 주기 조정 방법 및 장치, 및 단말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3개의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후아웨이 클라우드+, 모바일 QQ, ?챗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은 하트비트 주기가 다르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과 서버 단 사이의 접속을 보장하거나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일부의 상태가 리프레시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은 그 자체의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단말을 일깨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전력은 약 시간당 50mAh인데, 영예로운 스마트폰의 1820mAh 배터리 수준에 있어서, 화면을 여는 것을 제외한, 발신 및 착신 전화, 후아웨이 클라우드+, 모바일 QQ, ?챗 계정이 단말의 배터리 수준의 65.9%를 차지한다.
위의 단말의 각 애플리케이션은 하트비트 주기가 다르기 때문에, 대기상태에 있는 단말은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클록으로 자주 깨워지고, 깊은 수면으로 진입하지 못하기 때문에, 단말의 대기 전력 소비가 많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단말의 대기 전력 소비가 많아지는 문제를 해결한다.
제1 관점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를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제2 하트비트 주기로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는 하트비트 주기 조정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원래의 하트비트 주기이고, 상기 제2 하트비트 주기는 상기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조정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주기이며, 상기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는 상기 제1 하트비트 주기가 조정되는 것에 따른 조정 주기이다.
제1 관점에 기초하여,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화이트리스트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 및 제1 하트비트 주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이 조정을 필요로 하는 하트비트 유형이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서 시스템을 깨우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가 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상기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에 부가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 기초하여,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 및 제1 하트비트 주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알람 구성 파일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 및 제1 하트비트 주기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관점의 제1 및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 기초하여,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를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제2 하트비트 주기로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를 알람 조정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제2 하트비트 주기로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알람 조정 알고리즘은,
애플리케이션의 제2 하트비트 주기 =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 +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 - 1)/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이다.
제1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 기초하여,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화이트리스트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애플리케이션 화이트리스트를 사전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이트리스트는 애플리케이션 속성에 따라 상기 하트비트 주기 조정이 수행될 필요가 없다는 것으로 판정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제2 관점에 따라,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판정 모듈; 및
상기 제1 판정 모듈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에 있다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를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제2 하트비트 주기로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조정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는 하트비트 주기 조정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원래의 하트비트 주기이고, 상기 제2 하트비트 주기는 상기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조정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주기이며, 상기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는 상기 제1 하트비트 주기가 조정되는 것에 따른 조정 주기이다.
제2 관점에 기초하여,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판정 모듈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화이트리스트에 있지 않다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 및 제1 하트비트 주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획득 모듈;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이 조정을 필요로 하는 하트비트 유형이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서 시스템을 깨우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가 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판정 모듈;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상기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에 부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설정 모듈
을 포함한다.
제2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 기초하여,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알람 구성 파일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 및 제1 하트비트 주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관점의 제1 및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 기초하여,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를 알람 조정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제2 하트비트 주기로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알람 조정 알고리즘은,
애플리케이션의 제2 하트비트 주기 =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 +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 - 1)/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이다.
제2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 기초하여,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설정 모듈은 애플리케이션 화이트리스트를 사전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이트리스트는 애플리케이션 속성에 따라 상기 하트비트 주기 조정이 수행될 필요가 없다는 것으로 판정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제3 관점에 따라, 본 발명은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이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에 있는지가 판정되고, 있으면,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는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제2 하트비트 주기로 조정되며,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제2 하트비트 주기를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와 일치시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가 달라 이전에 단말 내에서 무질서하였던 하트비트 주기 타이밍을 조정하여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 타이밍을 규칙적으로 하며, 따라서 단말을 깨우는 횟수가 감소할 수 있고 단말의 대기 전력 소모가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의 기술적 솔루션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된 도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이하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창조적 노력 없이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알람의 타임라인 상에서, 단말 내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에 대한 시간선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알람의 타임라인 상에서, 단말에 설정되어 있는 시발점 하트비트 주기에 대한 시간선도이다.
도 4는 알람의 타임라인 상에서, 단말 내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제2 하트비트 주기에 대한 시간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적 솔루션, 및 이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닌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당업자가 창조적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heartbeat) 주기 조정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방법은:
101: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며, 상기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는 하트비트 주기 조정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계 101 이전에, 상기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화이트리스트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 및 제1 하트비트 주기가 획득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이 조정을 필요로 하는 하트비트 유형이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서 시스템을 깨우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가 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는 상기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에 부가된다.
특정한 실시에서, 예를 들어, 일부의 특별한 애플리케이션의 알람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클록 애플리케이션의 알람,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로 약칭)의 알람, 또는 구글의 알람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특별함으로 인해, 일부의 특별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트리거 하트비트의 충격을 회피하기 위해,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알람에 대해 설정된 하트비트 주기는 조정될 필요가 없다.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화이트리스트는 애플리케이션 속성에 따라 상기 하트비트 주기 조정이 수행될 필요가 없다는 것으로 판정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화이트리스트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후,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 및 제1 하트비트 주기가 되어야 하고,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 및 제1 하트비트 주기는 애플리케이션의 알람 구성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실제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단말에 설치되고,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은 알람(Alarm)을 사용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 및 제1 하트비트 주기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은 주기적으로 그 자체의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시스템을 깨우며, 이에 의해 애플리케이션과 서버 간의 접속을 확실하게 하거나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일부의 상태가 리프레시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하트비트 주기는 알람에 의해 사전설정된 타임아웃 주기이고, 경과 시간이 알람에 의해 사전설정된 타임아웃 주기에 도달할 때,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는 시스템을 깨움으로써 트리거링될 수 있다.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실시예에서, 알람을 사용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설정되는 원래의 하트비트 주기를 제1 하트비트 주기라 한다.
실시예의 하트비트 유형은: RTC_WAKEUP, RTC, ELAPSE_WAKEUP, 및 ELAPSE를 포함하며, 여기서 RTC_WAKEUP는 지정된 시간에 단말을 깨움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트리거링하는 것을 나타내고; RTC는 명시된 시간에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트리거링하지만 단말을 깨우지는 않는 것을 나타내고; ELAPSE_WAKEUP는, 단말이 작동 가능하게 된 후, 경과 시간이 타임아웃 주기에 도달하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트리거링하지만 단말을 깨우지는 않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경과 시간은 단말이 잠드는 임의의 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경과 시간의 계산 포인트는 단말을 작동 가능하게 하는 최종 시간으로부터이고, ELAPSE_REALTIME_WAKEUP은, 단말이 작동 가능하게 된 후, 경과 시간에 도달하면, 단말을 깨우고 필요하다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트리거링하는 것을 나타낸다.
다른 예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가 조정될 필요가 있는지는 애플리케이션의 획득된 하트비트 유형 및 획득된 제1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판정된다. 실시예에서, 하트비트 유형 RTC_WAKEUP 및 ELAPSE_WAKEUP은 조정되어야 하는 하트비트 유형으로서 설정되며; 애플리케이션의 획득된 하트비트 유형이 전술한 RTC_WAKEUP 또는 ELAPSE_WAKEUP일 때,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이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시스템을 깨우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시간 임계값보다 큰지를 추가로 판정해야 하며, 시스템을 시간당 4번 깨우는 것이 사전설정된 시간 임계값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가 6분일 때, 애플리케이션은 시스템을 시간당 10번 깨워야하며(사전설정된 시간 임계값 4번보다 크다),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는 조정되어야 한다.
102: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를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제2 하트비트 주기로 조정한다.
단말 내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의 통일된 관리를 위해, 단말은 소정의 시간 패턴에 따라 통일된 방식으로 깨워지며, 단말은 대기 상태로 장시간 머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 및 알람 조정 알고리즘이 사전설정된다.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는 어느 제1 하트비트 주기가 조정되는지에 따른 조정 주기이다. 실제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단말에 설치되고,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은 대응하는 제1 하트비트 주기를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는 구체적으로 단말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이 5개의 애플리케이션을 가지고 있고,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하트비트 주기는 각각 3min, 4min, 5min, 7min 및 8min이고, 이에 따라 단말 내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의 통일된 관리를 달성하고 시간 패턴에 따라 통일된 방식으로 단말을 깨우며, 단말의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는 5min에 설정될 수 있고; 다른 예에 있어서, 5개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하트비트 주기가 각각 6min, 7min, 8min, 11min, 및 12min이고, 단말의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는 10min에 설정될 수 있다.
알람 조정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When = ((origwhen + sAlignmentPerid - 1)/sAlignmentPerid) * sAlignmentPerid
When은 애플리케이션의 제2 하트비트 주기이고, Origwhen은 제1 하트비트 주기이며, sAlignmentPerid는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이다.
전술한 알람 조정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의 제2 하트비트 주기 =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 +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 - 1)/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가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보다 작은 것으로 가정하면, 예를 들어, 제1 하트비트 주기가 3초이고,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가 5초이면, 전술한 알람 조정 알고리즘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 +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 - 1)/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는 7/5이고 이것은 버림(round down) 후에 1이고,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의해 1을 승산한 후 획득된 애플리케이션의 제2 하트비트 주기는 5초이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가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보다 큰 것으로 가정하면, 예를 들어, 제1 하트비트 주기가 7초이고,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가 5초이면, 전술한 알람 조정 알고리즘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 +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 - 1)/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는 11/5이고 이것은 버림 후에 2이고,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의해 2를 승산한 후 획득된 애플리케이션의 제2 하트비트 주기는 10초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알람의 타임라인의 치수로부터 설명한다:
단말에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것으로 가정하면,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은 상이한 제1 하트비트 주기를 가지며, 도 2는 알람의 타임라인 상에서, 단말 내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에 대한 시간선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은 상이한 제1 하트비트 주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알람의 타임라인 상의 타이밍은 무질서하며, 대기 상태에 있는 단말은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클록에 의해 자주 깨어 깊은 잠에 들 수 없으며, 이에 의해 단말의 대기 전력을 낭비한다. 단말 내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의 통일된 관리를 위해, 단말은 시간 패턴에 따라 통일된 방식으로 깨워지며, 단말은 대기 상태에 장시간 머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알람의 무질서한 타임라인 상에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가 설정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알람의 타임라인 상에서, 단말에 설정되어 있는 시발점 하트비트 주기에 대한 시간선도이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 화살표는 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를 나타낸다.
그런 다음,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 사이에 있는 제1 하트비트 주기에 대해 지연 처리가 수행되고, 이에 따라 제2 하트비트 주기가 획득되며 제2 하트비트 주기는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일치한다. 도 4는 알람의 타임라인 상에서, 단말 내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제2 하트비트 주기에 대한 시간선도이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원래는 14번 깰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가 제2 하트비트 주기로 조정되어, 단말은 5번 깨워지고, 그러므로 단말의 전력 소모가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이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에 있는지가 판정되고, 있으면,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는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제2 하트비트 주기로 조정되며,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제2 하트비트 주기를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와 일치시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가 달라 이전에 단말 내에서 무질서하였던 하트비트 주기 타이밍을 조정하여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 타이밍을 규칙적으로 하며, 따라서 단말을 깨우는 횟수가 감소할 수 있고 단말의 대기 전력 소모가 감소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이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판정 모듈(51); 및
상기 제1 판정 모듈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에 있다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를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제2 하트비트 주기로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조정 모듈(52)
을 포함하며,
상기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는 하트비트 주기 조정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원래의 하트비트 주기이고, 상기 제2 하트비트 주기는 상기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조정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주기이며, 상기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는 상기 제1 하트비트 주기가 조정되는 것에 따른 조정 주기이다.
예를 들어, 장치는:
상기 제1 판정 모듈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화이트리스트에 있지 않다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 및 제1 하트비트 주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획득 모듈(53);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이 조정을 필요로 하는 하트비트 유형이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서 시스템을 깨우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가 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판정 모듈(54);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상기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에 부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설정 모듈(55)
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획득 모듈(53)은 구체적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알람 구성 파일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 및 제1 하트비트 주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정 모듈(53)은 구체적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를 알람 조정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제2 하트비트 주기로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알람 조정 알고리즘은,
애플리케이션의 제2 하트비트 주기 =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 +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 - 1)/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
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 모듈(55)은 애플리케이션 화이트리스트를 사전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이트리스트는 애플리케이션 속성에 따라 상기 하트비트 주기 조정이 수행될 필요가 없다는 것으로 판정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이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에 있는지가 판정되고, 있으면,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는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제2 하트비트 주기로 조정되며,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제2 하트비트 주기를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와 일치시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가 달라 이전에 단말 내에서 무질서하였던 하트비트 주기 타이밍을 조정하여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 타이밍을 규칙적으로 하며, 따라서 단말을 깨우는 횟수가 감소할 수 있고 단말의 대기 전력 소모가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단말을 추가로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설명된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장치를 포함하며,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장치에 관한 특정한 설명에 대해서는 도 5에 도시된 관련 설명을 참조하면 되므로, 이에 대해서는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 버스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통신 버스를 사용하여 메모리에 접속되고, 메모리는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을 저장하며;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을 불러내면, 프로세서는 다음의 단계: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를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제2 하트비트 주기로 조정하는 단계
를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는 하트비트 주기 조정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원래의 하트비트 주기이고, 상기 제2 하트비트 주기는 상기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조정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주기이며, 상기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는 상기 제1 하트비트 주기가 조정되는 것에 따른 조정 주기이다.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이전에, 이하의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화이트리스트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 및 제1 하트비트 주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이 조정을 필요로 하는 하트비트 유형이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서 시스템을 깨우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가 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상기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에 부가하는 단계
가 포함된다.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 기초하여,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 및 제1 하트비트 주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알람 구성 파일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 및 제1 하트비트 주기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 기초하여,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를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제2 하트비트 주기로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를 알람 조정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제2 하트비트 주기로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알람 조정 알고리즘은,
애플리케이션의 제2 하트비트 주기 =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 +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 - 1)/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
이다.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 기초하여,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화이트리스트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기 전에, 이하의 단계:
애플리케이션 화이트리스트를 사전설정하는 단계
가 포함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이트리스트는 애플리케이션 속성에 따라 상기 하트비트 주기 조정이 수행될 필요가 없다는 것으로 판정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이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에 있는지가 판정되고, 있으면,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는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제2 하트비트 주기로 조정되며,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제2 하트비트 주기를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와 일치시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가 달라 이전에 단말 내에서 무질서하였던 하트비트 주기 타이밍을 조정하여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 타이밍을 규칙적으로 하며, 따라서 단말을 깨우는 횟수가 감소할 수 있고 단말의 대기 전력 소모가 감소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 및 간략화를 위해,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에 대한 상세한 작업 프로세스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하면 된다는 것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수 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도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유닛의 분할은 단지 일종의 논리적 기능 분할일 뿐이며, 실제의 실행 동안 다른 분할 방식으로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요소를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통합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의 특징은 무시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커플링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일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장치 또는 유닛 간의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전자식, 기계식 또는 다른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별도의 부분으로 설명된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별개일 수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도시된 부분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한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도 있다. 유닛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실제의 필요에 따라 선택되어 실시예의 솔루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거나,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거나,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통합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실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실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실시되는 전술한 통합 유닛은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에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코드는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프로세서 또는 하드웨어 회로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의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일련의 명령을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저장 매체, 예를 들어, 물리적 드라이버 없이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고용량 소형 탈착 가능형 저장 매체, 탈착 가능형 하드디스크, 리드-온리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디스크 또는 CD-ROM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전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기술적 솔루션에 대한 수정, 또는 기술적 특징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등가의 대체는 대응하는 기술적 솔루션의 본질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러한 변형 또는 대체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heartbeat) 주기 조정 방법으로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를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제2 하트비트 주기로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는 하트비트 주기 조정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원래의 하트비트 주기이고, 상기 제2 하트비트 주기는 상기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조정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주기이며, 상기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는 상기 제1 하트비트 주기가 조정되는 것에 따른 조정 주기인,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화이트리스트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 및 제1 하트비트 주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이 조정을 필요로 하는 하트비트 유형이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서 시스템을 깨우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가 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상기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에 부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 및 제1 하트비트 주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알람 구성 파일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 및 제1 하트비트 주기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를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제2 하트비트 주기로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를 알람 조정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제2 하트비트 주기로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알람 조정 알고리즘은,
    애플리케이션의 제2 하트비트 주기 =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 +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 - 1)/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
    인,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화이트리스트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기 전에,
    애플리케이션 화이트리스트를 사전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이트리스트는 애플리케이션 속성에 따라 상기 하트비트 주기 조정이 수행될 필요가 없다는 것으로 판정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방법.
  6.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장치로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판정 모듈; 및
    상기 제1 판정 모듈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에 있다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를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제2 하트비트 주기로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조정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는 하트비트 주기 조정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원래의 하트비트 주기이고, 상기 제2 하트비트 주기는 상기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조정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주기이며, 상기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는 상기 제1 하트비트 주기가 조정되는 것에 따른 조정 주기인,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정 모듈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화이트리스트에 있지 않다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 및 제1 하트비트 주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획득 모듈;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이 조정을 필요로 하는 하트비트 유형이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서 시스템을 깨우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가 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판정 모듈;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상기 하트비트 조정 블랙리스트에 부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설정 모듈
    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알람 구성 파일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트비트 유형 및 제1 하트비트 주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를 알람 조정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에 따라 제2 하트비트 주기로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알람 조정 알고리즘은,
    애플리케이션의 제2 하트비트 주기 = ((애플리케이션의 제1 하트비트 주기 + 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 - 1)/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사전설정된 트리거 하트비트 주기
    인,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모듈은 애플리케이션 화이트리스트를 사전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이트리스트는 애플리케이션 속성에 따라 상기 하트비트 주기 조정이 수행될 필요가 없다는 것으로 판정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장치.
  11. 제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
KR1020157014942A 2013-01-25 2014-01-09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방법, 장치, 및 단말 KR1016935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028340.0A CN103118188B (zh) 2013-01-25 2013-01-25 应用心跳周期调整方法及装置、终端
CN201310028340.0 2013-01-25
PCT/CN2014/070396 WO2014114194A1 (zh) 2013-01-25 2014-01-09 应用心跳周期调整方法及装置、终端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345A Division KR101799418B1 (ko) 2013-01-25 2014-01-09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방법, 장치, 및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521A true KR20150082521A (ko) 2015-07-15
KR101693565B1 KR101693565B1 (ko) 2017-01-06

Family

ID=484164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345A KR101799418B1 (ko) 2013-01-25 2014-01-09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방법, 장치, 및 단말
KR1020157014942A KR101693565B1 (ko) 2013-01-25 2014-01-09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방법, 장치, 및 단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345A KR101799418B1 (ko) 2013-01-25 2014-01-09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방법, 장치, 및 단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535747B2 (ko)
EP (1) EP2851798A4 (ko)
KR (2) KR101799418B1 (ko)
CN (1) CN103118188B (ko)
WO (1) WO20141141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9235A (ko) * 2015-11-20 201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18188B (zh) 2013-01-25 2014-08-20 华为终端有限公司 应用心跳周期调整方法及装置、终端
CN104298515A (zh) * 2013-07-19 2015-01-21 贝壳网际(北京)安全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中应用程序的唤醒控制方法、装置和移动终端
CN103415031A (zh) * 2013-07-22 2013-11-27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心跳提醒方法和装置
CN103402027B (zh) * 2013-07-29 2015-03-0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和使移动终端进入睡眠状态的方法
JP5944065B2 (ja) 2013-10-29 2016-07-05 ▲華▼▲為▼終端有限公司Huawei Device Co., Ltd. サービスエージェント方法、モデム及び端末
CN104703238A (zh) 2013-12-10 2015-06-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切换方法和终端设备
CN103731910B (zh) * 2014-01-16 2017-04-26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定时提醒方法、终端和服务器
CN103970255B (zh) * 2014-04-01 2018-02-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EP3142423B1 (en) * 2014-06-18 2019-03-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Heartbeat adjustment method, device and terminal
CN104093199B (zh) * 2014-07-29 2017-08-25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定时器设置方法和终端
CN105334943B (zh) * 2014-08-12 2020-04-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智能分级对齐的方法和终端
CN104135571B (zh) 2014-08-12 2016-05-25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心跳定时器设置方法、终端和服务器
CN110058889B (zh) * 2014-08-21 2023-10-20 斑马智行网络(香港)有限公司 一种应用唤醒方法及装置
CN104219747B (zh) * 2014-09-03 2020-05-29 湖北职升科技文化有限公司 一种根据电量信息调整唤醒时间的方法、装置及终端
CN104219746B (zh) * 2014-09-03 2020-06-09 南京白下高新技术产业园区投资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自主调整唤醒时间的方法、装置及终端
CN104239132B (zh) * 2014-09-16 2016-10-0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唤醒对齐的方法、装置及终端
CN104317611B (zh) * 2014-10-11 2017-05-24 厦门美图移动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唤醒设置设备、方法以及移动终端
WO2016065552A1 (zh) * 2014-10-29 2016-05-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心跳周期的设置方法及终端
KR102341626B1 (ko) 2015-04-16 2021-12-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트래픽 전송 시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85359B1 (ko) * 2015-06-30 2019-06-0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단말과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상호작용을 위한 방법 및 단말
CN106550438B (zh) * 2015-09-22 2020-06-16 联芯科技有限公司 限制定期唤醒的方法及系统、移动设备
CN105487855B (zh) * 2015-11-20 2019-03-01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应用唤醒终端的方法及终端
CN106102141B (zh) * 2016-05-31 2017-10-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包的处理方法及装置
CN106201729B (zh) * 2016-06-29 2019-09-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定时器对齐方法及装置
CN106168902A (zh) * 2016-06-29 2016-11-30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唤醒控制方法、装置及设备
CN107197509A (zh) * 2017-05-22 2017-09-22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心跳连接方法和装置
CN107506019A (zh) * 2017-08-07 2017-12-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应用程序的管理方法及装置、终端、存储介质
CN108595626A (zh) * 2018-04-23 2018-09-28 温州市鹿城区中津先进科技研究院 一种基于大数据分析的学生成长档案系统
CN109445942B (zh) * 2018-10-22 2021-09-17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心跳消息的处理方法及装置
US11003369B1 (en) 2019-01-14 2021-05-11 Pure Storage, Inc. Performing a tune-up procedure on a storage device during a boot process
CN109901697A (zh) * 2019-03-04 2019-06-18 上海卓易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降低系统功耗的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2987904B (zh) * 2019-12-18 2022-11-11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心跳控制方法和装置
CN111465087B (zh) * 2020-03-31 2023-07-18 上海庆科信息技术有限公司 任务调度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处理器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9681A1 (en) * 2008-12-31 2010-07-01 Wong Carl K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ctive web page content
CN102117114A (zh) * 2009-12-30 2011-07-06 重庆重邮信科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嵌入式设备省电方法
WO2012136161A2 (zh) * 2012-06-08 2012-10-11 华为终端有限公司 心跳行为的同步方法和装置
WO2012174934A1 (zh) * 2011-06-21 2012-12-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心跳周期的自适应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8115B2 (en) * 2001-02-16 2005-07-1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of periodic processes
US7089561B2 (en) * 2001-06-01 2006-08-0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and communicating with computer processes
US7627721B2 (en) * 2002-10-08 2009-12-01 Rmi Corporation Advanced processor with cache coherency
GB2439104A (en) * 2006-06-15 2007-12-19 Symbian Software Ltd Managing power on a computing device by minimising the number of separately activated timer events such that the device is powering up less often.
KR20090018256A (ko) * 2007-08-17 2009-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하트비트 동기화를 이용한 소모 전류개선 장치 및 방법
CN101359238B (zh) 2008-09-02 2012-01-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核系统的时间同步方法及系统
US20110153728A1 (en) * 2009-12-17 2011-06-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nchronization of sporadic web poll traffic
CA2798523C (en) * 2010-11-22 2015-02-24 Seven Networks, Inc. Aligning data transfer to optimize connections established for transmission over a wireless network
KR20120076859A (ko) * 2010-12-30 2012-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킵 얼라이브 패킷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20130086700A (ko) * 2012-01-26 2013-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패킷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3118188B (zh) * 2013-01-25 2014-08-20 华为终端有限公司 应用心跳周期调整方法及装置、终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9681A1 (en) * 2008-12-31 2010-07-01 Wong Carl K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ctive web page content
CN102117114A (zh) * 2009-12-30 2011-07-06 重庆重邮信科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嵌入式设备省电方法
WO2012174934A1 (zh) * 2011-06-21 2012-12-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心跳周期的自适应方法和装置
WO2012136161A2 (zh) * 2012-06-08 2012-10-11 华为终端有限公司 心跳行为的同步方法和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9235A (ko) * 2015-11-20 201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14194A1 (zh) 2014-07-31
EP2851798A1 (en) 2015-03-25
US9535747B2 (en) 2017-01-03
US10552216B2 (en) 2020-02-04
EP2851798A4 (en) 2015-05-27
KR101799418B1 (ko) 2017-12-20
CN103118188A (zh) 2013-05-22
KR101693565B1 (ko) 2017-01-06
KR20170001741A (ko) 2017-01-04
US20170083366A1 (en) 2017-03-23
US20150121383A1 (en) 2015-04-30
CN103118188B (zh) 2014-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565B1 (ko) 애플리케이션 하트비트 주기 조정 방법, 장치, 및 단말
US10057856B2 (en) Wake-up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US8775838B2 (en) Limiting the number of unexpected wakeups in a computer system implementing a power-saving preemptive wakeup method from historical data
US9693313B2 (en) Power management via coordination and selective operation of timer-related tasks
CN105573460B (zh) 应用程序唤醒时间的调节方法及装置
US10536900B2 (en) Heartbeat adjustment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KR101840245B1 (ko) 하트비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동 단말기
CN105183137A (zh) 一种移动终端及其唤醒锁控制方法和控制系统
WO2015007246A1 (zh) 移动终端中应用程序的唤醒控制方法、装置和移动终端
EP3190771B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instant communication application program, and mobile terminal thereof
WO2019033916A1 (zh) 唤醒信号持续时间的配置方法、获取方法、网络设备及终端
US201302275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ask execution
CN106951314B (zh) 面向Android系统后台服务自动唤醒的切断方法
CN107436672B (zh) 一种应用的处理方法及终端
CN104977979B (zh) 时钟源切换方法和系统
KR102020358B1 (ko) 단말 및 그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동기화 방법
TWI475911B (zh) 網路搜尋方法及使用此方法的行動電子裝置
CN110999417A (zh) 对于802.11无线设备的支持低功率的可编程硬件睡眠周期控制器
CN112256118B (zh) 应用程序冷冻控制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