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8256A - 휴대용 단말기에서 하트비트 동기화를 이용한 소모 전류개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하트비트 동기화를 이용한 소모 전류개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8256A
KR20090018256A KR1020070082556A KR20070082556A KR20090018256A KR 20090018256 A KR20090018256 A KR 20090018256A KR 1020070082556 A KR1020070082556 A KR 1020070082556A KR 20070082556 A KR20070082556 A KR 20070082556A KR 20090018256 A KR20090018256 A KR 20090018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ing
synchronization
time
heartbeat
applic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성
김호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2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8256A/ko
Publication of KR20090018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2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3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 H04L67/145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avoiding end of session, e.g. keep-alive, heartbeats, resumption message or wake-up for inactive or interrupted se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하트비트(heartbeat) 동기화를 이용한 소모 전류 개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서버로 주기적인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과정과, 기 정해진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인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일 시, 상기 서버로 시그널링을 전송하여,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시그널링 동기화를 실현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실행으로 발생하는 소모 전류를 개선하여 단말기 사용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휴대용 단말기, 하트비트, 동기화, 전류 소모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하트비트 동기화를 이용한 소모 전류 개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CONSUMPTION IMPROVEMENT BY SYNCHRONIZING HEARTBEAT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트비트(heartbeat) 동기화를 이용한 소모 전류 개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푸쉬 이메일 클라이언트(push e-mail client) 등을 설치한 단말은 해당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을지라도 주기적으로 하트비트(이하 'heartbeat'이라 칭함)라는 킵-얼라이브(keep-alive) 패킷을 서버에 전송하여 단말기가 해당 서비스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린다.
망 트래픽(network traffic)이 없는 아이들(idle) 상황의 경우, 단말이 서버로 상기 heartbeat를 전송하게 되면, 상기 단말은 순간적으로 450 mA/hr의 전류를 소모하게 된다. 또한, 상기 heartbeat를 전송하고 난 후에는 200 mA/hr의 전류 소모를 유지하다가, 상기 서버로부터 RRC(Radio Resource Control) 해제(disconnect) 명령이 수신되었을 때, 상기 전류 소모가 아이들 상태의 소모 전류 수준으로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류 소모가 200 mA에서 아이들 상태의 소모 전류 수준으로 떨어지는 시간은, 3G 망을 기준으로 망에 따라서 수십에서 수분이 걸린다.
따라서, 상기 heartbeat를 전송하는 여러 개의 어플리케이션(인스턴트 메신저, 푸쉬 이메일 클라이언트)이 동시에 실행될 경우,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 간에 heartbeat를 동기화하지 않으므로, 일정 시간 동안 heartbeat를 전송하는 횟수가 많기 때문에, 전류 소모가 많아지고 이에 따라 단말 사용 시간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heartbeat 동기화를 이용한 소모 전류 개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실행으로 발생하는 소모 전류를 개선하여 단말기 사용 시간을 증대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의 주기적인 시그널링 전송 방법은, 서버로 주기적인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과정과, 기 정해진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인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일 시, 상기 서버로 시그널링을 전송하여,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시그널링 동기화를 실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간 주기적인 시그널링 동기화 장치는, 저장부에서 상기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을 추출하고, 서버로 주기적인 시그널링을 전송하며, 기 정해진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인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일 시, 상기 서버로 시그널링을 전송하여,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시그널링 동기화를 실현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heartbeat 동기화를 이용한 소모 전류 개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heartbeat 전송 횟수를 줄이고,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실행으로 발생하는 소모 전류를 개선하여 단말기 사용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하트비트(heartbeat) 동기화를 이용한 소모 전류 개선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하트비트를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나,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시그널링은 모두 적용 가능한다.
본 발명에서 동기화 시간은 최초 동기화 시 기준 시간이거나 최초 동기화 이후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동기화 이벤트 시간을 말하며, 상기 동기화 시간의 주기는 각 어플리케이션의 주기들 중 하나이다. 여기서, 최초 동기화 시간을 결정하는 방 법은 절대적인 시간을 이용하여 결정하거나(back-up battery를 이용한 클럭 이용), 부팅 후 타이머를 동작시켜 일정 시간 이후의 시간을 동기화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저장부(110), 어플리케이션(120), 통신부(130), 입력부(140), 표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의 heartbeat 동기화를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이 설치될 시,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heartbeat 동기화 시간 정보(111)를 추출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120)으로 제공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주기적인 heartbeat가 발생될 시, 이를 서버로 전송하는 하기 위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저장부(11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각종 정보들을 저장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heartbeat 동기화 시간 정보(111)를 저장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설치되어 동작이 시작된 후부터 서버로 주기적인 heartbeat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동작 시작과 함께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heartbeat 동기화 시간 정보 를 입력받으며, 상기와 같이 주기적인 heartbeat를 전송하다가 해당 heartbeat 동기화 시간이 되면 상기 서버로 heartbeat를 전송함으로써,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heartbeat 동기화를 실현하고, 이후부터는 상기 heartbeat 동기화 시점을 기준으로 주기적인 heartbeat를 전송한다.
상기 입력부(140)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숫자 및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30)는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간 하트비트(heartbeat) 동기화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120)은 201단계에서 단말기에 설치되어 동작이 시작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동작이 시작되었을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203단계에서 저장부(110)로부터 기 정해진 heartbeat 동기화 시간을 추출하고, 205단계로 진행하여 서버로 주기적인 heartbeat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207단계에서 상기 기 정해진 heartbeat 동기화 시간인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기 정해진 heartbeat 동기화 시간이 아닐 시, 상기 205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 상기 기 정해진 heartbeat 동기화 시간일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2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서버로 heartbeat를 전송함으로써,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heartbeat 동기화를 실 현한 후, 상기 205단계로 돌아가 이후부터는 상기 heartbeat 동기화 시점을 기준으로 주기적인 heartbeat를 전송한다. 여기서, 엄밀히 말해,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은 동시에 상기 기 정해진 heartbeat 동기화 시간에 heartbeat를 전송할 수는 없으며, heartbeat 주기가 가장 짧은 어플리케이션 순서대로 heartbeat를 전송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의 최대 heartbeat 주기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의 heartbeat 주기의 정수배로 정해진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A의 heartbeat 주기가 30초, 어플리케이션 B의 heartbeat 주기가 2분, 어플리케이션 C의 heartbeat 주기가 3분, 어플리케이션 D의 heartbeat 주기가 4분, 어플리케이션 E의 heartbeat 주기가 6분, 어플리케이션 F의 heartbeat 주기가 12분 일 시, 상기 최대 heartbeat 주기는 12분으로 정해진다.
도 3과 도 4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heartbeat 전송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여기서, 단말에서는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와 푸쉬 이메일 클라이언트(push e-mail client)가 실행되고 있으며,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는 2분 간격으로 heartbeat를 전송하고, 푸쉬 이메일 클라이언트는 1분 간격으로 heartbeat를 전송한다고 가정한다.
먼저,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heartbeat 전송을 살펴보면, 어플리케이션간 서로 heartbeat 동기가 맞지 않아, 4분 동안 7개의 heartbeat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1시간 동안에는 105개의 heartbeat가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heartbeat 전송을 살펴보 면, 어플리케이션간 heartbeat 동기화를 실현함으로써, 4분 동안 5개의 heartbeat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1시간 동안에는 75개가 발생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종래 기술에 비해 heartbeat 전송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실행으로 발생하는 전류 소모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3G 망에서 heartbeat 동기화를 실현한 경우와 실현하지 않은 경우의 배터리(battery) 사용 시간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비교 조건은 다음과 같다.
표준 배터리 용량 = 1200 mA/hr
RRC 해제 타임아웃(disconnect timeout)(t sec) = 20 sec
Heartbeat 주기(p sec)
= 34.3 s(heartbeat을 동기화하지 않았을 때 평균주기),
= 60 s (heartbeat을 동기화하였을 때 평균 주기)
Heartbeat 전송 시간은 극히 짧으므로 무시하며, 단말에서는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와 푸쉬 이메일 클라이언트(push e-mail client)가 실행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사용 시간을 계산하는 식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으며, 이를 이용하여 계산된 배터리 사용 시간은 하기 <표 1>과 같이 나타난다.
Battery life (x hr) x = 1200 * ( p / (200*20 + 2.7 (p-20)))
배터리 사용시간
Heartbeat 미동기화 시 10.2 시간
Heartbeat 동기화 시 17.5 시간
즉, 본 발명에 따른 heartbeat 동기화를 통해 단말의 전류 소모가 개선되어, 배터리 사용 시간을 늘릴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간 하트비트(heartbeat) 동기화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heartbeat 전송을 도시한 예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heartbeat 전송을 도시한 예시도.

Claims (18)

  1. 어플리케이션의 주기적인 시그널링 전송 방법에 있어서,
    서버로 주기적인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과정과,
    기 정해진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인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일 시, 상기 서버로 시그널링을 전송하여,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시그널링 동기화를 실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하트비트(heartbeat) 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시, 저장부에서 상기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을 추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이후부터는 상기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을 기준으로 주기적인 시그널링을 전 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은 최초 동기화 시 기준 시간 혹은 최초 동기화 이후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동기화 이벤트 시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의 주기는 각 어플리케이션의 시그널링 주기들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은 절대적인 시간 혹은 부팅 후 타이머를 동작시켜 일정 시간 이후의 시간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시그널링 최대 주기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의 시그널링 주기의 정수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에 상기 서버로 시그널링을 전송할 시, 시그널링 주기가 가장 짧은 어플리케이션 순서로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간 주기적인 시그널링 동기화 장치에 있어서,
    저장부에서 상기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을 추출하고, 서버로 주기적인 시그널링을 전송하며, 기 정해진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인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일 시, 상기 서버로 시그널링을 전송하여,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시그널링 동기화를 실현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시,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은,
    이후부터는 상기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을 기준으로 주기적인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하트비트(heartbeat) 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은 최초 동기화 시 기준 시간 혹은 최초 동기화 이후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동기화 이벤트 시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의 주기는 각 어플리케이션의 시그널링 주기들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은 절대적인 시간 혹은 부팅 후 타이머를 동작시켜 일정 시간 이후의 시간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시그널링 최대 주기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의 시그널링 주기의 정수배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동기화 시간에 상기 서버로 시그널링을 전송할 시, 시그널링 주기가 가장 짧은 어플리케이션 순서로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70082556A 2007-08-17 2007-08-17 휴대용 단말기에서 하트비트 동기화를 이용한 소모 전류개선 장치 및 방법 KR200900182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556A KR20090018256A (ko) 2007-08-17 2007-08-17 휴대용 단말기에서 하트비트 동기화를 이용한 소모 전류개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556A KR20090018256A (ko) 2007-08-17 2007-08-17 휴대용 단말기에서 하트비트 동기화를 이용한 소모 전류개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256A true KR20090018256A (ko) 2009-02-20

Family

ID=40686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556A KR20090018256A (ko) 2007-08-17 2007-08-17 휴대용 단말기에서 하트비트 동기화를 이용한 소모 전류개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82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072A (ko) * 2009-11-30 2011-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
CN103118188A (zh) * 2013-01-25 2013-05-22 华为终端有限公司 应用心跳周期调整方法及装置、终端
CN103906033A (zh) * 2012-12-28 2014-07-02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用户终端上网络通信请求信令的发送方法与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072A (ko) * 2009-11-30 2011-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
CN103906033A (zh) * 2012-12-28 2014-07-02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用户终端上网络通信请求信令的发送方法与装置
CN103118188A (zh) * 2013-01-25 2013-05-22 华为终端有限公司 应用心跳周期调整方法及装置、终端
US9535747B2 (en) 2013-01-25 2017-01-03 Huawei Device Co., Ltd. Application heartbeat period adjus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US10552216B2 (en) 2013-01-25 2020-02-04 Huawei Device Co., Ltd. Application heartbeat period adjus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043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서버와의 연결 유지 방법 및시스템
US7536451B2 (en) Method for increasing standby time using access history to 1x ev-do network with access terminal and device thereof
CN107204999B (zh) 一种实现心跳的方法和装置
US10154106B2 (en) Method for sending heartbeat message and mobile terminal
KR10135903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메일 폴링 방법 및 장치
CN101427534A (zh) 无线通信系统中控制唤醒频率的方法
KR2011005509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3190771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instant communication application program, and mobile terminal thereof
US89181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andby power
CN105324749A (zh) 终端及用于其的应用同步方法
KR20090018256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하트비트 동기화를 이용한 소모 전류개선 장치 및 방법
KR20140113810A (ko) 단말 및 그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동기화 방법
CN113225727B (zh) 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4821889B (zh) 一种备份报文的处理方法和设备
CN110351036B (zh) 信息传输方法、网络设备及终端
CN105323270A (zh) 网络信息推送方法和系统
CN115604796A (zh) 一种数据传输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KR20110053696A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액티브싱크 서비스의 핑 주기 결정 방법 및 장치
CN114286431A (zh) 低功耗模式的开启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3490236A (zh) 数据传输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20140357266A1 (en) Using application feedback to optimize plmn search
WO2023109697A1 (zh) 参考确定方法、装置、通信设备及可读存储介质
WO2022268077A1 (zh) 成功切换报告shr的生成方法、装置、终端及介质
CN117560749A (zh) 唤醒信号的同步源的确定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5914000A (zh) 数据监测方法、装置、数据发送端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