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083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083A
KR20150082083A KR1020140165212A KR20140165212A KR20150082083A KR 20150082083 A KR20150082083 A KR 20150082083A KR 1020140165212 A KR1020140165212 A KR 1020140165212A KR 20140165212 A KR20140165212 A KR 20140165212A KR 20150082083 A KR20150082083 A KR 20150082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user
command
display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5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주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4195881.9A priority Critical patent/EP2891974A1/en
Priority to US14/562,959 priority patent/US20150194167A1/en
Publication of KR20150082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0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수신부와;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명령어 및 복수의 사용자음성특징 중에서, 상기 음성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명령어 및 사용자음성특징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명령어에 대하여 수행 가능한 복수의 동작 중에서 상기 결정된 사용자음성특징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음성 인식을 보다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음성 명령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편리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음성(voice) 인식 기술이 보편화 되었고,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장치에 마이크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대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음성 인식 결과, 입력된 음성 명령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제공하는 연관된 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는 개인 별 음성의 톤, 억양 등에 따라 음성 인식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미리 정해진 동작에 대응하는 음성 명령만이 허용되므로, 사용자는 해당 음성 명령을 알고 발화해야 하거나, 혹은 디스플레이장치의 메뉴 등을 통하여 사용 가능한 음성 명령을 확인하고 발화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나아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미리 정해진 동작 외의 동작에 대해서는 음성 명령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동작이라도 음성 명령으로서 미리 정해진 동작이 아니라면, 음성 명령을 하지 못하고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직접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또한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명령을 직접 입력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하는 GUI의 메뉴항목을 이용하여 원하는 동작을 선택하기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조작 및 선택을 해야만 하는 불편함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의 특성이 서로 다른 여러 사용자의 음성 명령이라도 성공적으로 인식하여 동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성 명령으로서 미리 정해진 동작 이외의 동작까지 사용자가 자유로이 음성으로 명령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동작 과정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한번의 음성으로 명령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수신부와;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동작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1동작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제1음성을 수신하여 해당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사용자의 제2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되는 제2음성이 상기 제1음성에 해당하면, 대응하는 상기 제1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동작의 선택을 위한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선택이 예상되는 상기 제1동작의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음성 등록 요청이 있으면, 상기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동작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동작과 연계되어 수행되는 제2동작을 더 선택하고, 상기 수신되는 제2음성이 상기 제1음성에 해당하면, 대응하는 상기 제1동작 및 상기 제2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제1동작으로서 외부장치와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제1동작으로서 촬상영상을 생성하는 촬상부와; 상기 생성된 촬상영상을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동작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제1동작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제1음성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1음성의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제2음성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되는 제2음성이 상기 제1음성에 해당하면, 대응하는 상기 제1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동작의 선택을 위한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음성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동작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동작과 연계되어 수행되는 제2동작을 더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되는 제2음성이 상기 제1음성에 해당하면, 상기 제1동작 및 상기 제2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동작으로서 외부장치와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동작으로서 촬상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촬상영상을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수신부와;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명령어 및 복수의 사용자음성특징 중에서, 상기 음성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명령어 및 사용자음성특징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명령어에 대하여 수행 가능한 복수의 동작 중에서 상기 결정된 사용자음성특징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텍스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음성특징은, 상기 사용자의 음성의 억양, 음색 및 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령어 및 상기 사용자음성특징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동작의 선택을 위한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선택이 예상되는 상기 동작의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음성 등록 요청이 있으면, 상기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동작과 연계되어 수행되는 제2동작을 더 선택하고, 상기 수신되는 음성에 대응하는 상기 제1동작 및 상기 제2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동작으로서 외부장치와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동작으로서 촬상영상을 생성하는 촬상부와; 상기 생성된 촬상영상을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와;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명령어 및 복수의 사용자음성특징 중에서, 상기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명령어 및 사용자음성특징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명령어에 대하여 수행 가능한 복수의 동작 중에서 상기 결정된 사용자음성특징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텍스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음성특징은, 상기 사용자의 음성의 억양, 음색 및 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명령어 및 상기 사용자음성특징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동작의 선택을 위한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음성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동작과 연계되어 수행되는 제2동작을 더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되는 음성에 대응하는 상기 제1동작 및 상기 제2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동작으로서 외부장치와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동작으로서 촬상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촬상영상을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음성의 특성이 서로 다른 여러 사용자의 음성 명령이라도 성공적으로 인식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성 명령으로서 미리 정해진 동작 이외의 동작까지 사용자가 자유로이 음성으로 명령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동작 과정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한번의 음성으로 명령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하는 제1동작의 선택을 위한 GUI의 일례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하는 사용자의 제1음성을 수신하기 위하여 안내 메시지의 일례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하는 복수의 연계 동작의 선택을 위한 GUI의 일례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가 등록된 제1음성에 대응하여 수행하는 다양한 연계 동작의 예시들을 나타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부에 저장되는 음성등록정보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하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장부에 저장되는 음성등록정보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예컨대 TV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11)을 표시한다. 사용자(2)는 디스플레이장치(1)에서 표시되는 영상(11)을 시청하면서, 자신의 음성(13; 이하, '음성 명령'이라고도 함)으로 디스플레이장치(1)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2)의 음성 명령(13)을 수신하고, 이를 인식하여, 인식된 음성 명령(13)에 따라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1)는 음성 명령(13)에 따라 볼륨을 증가 혹은 감소시키거나, 컨텐츠를 재생 혹은 일시정지시키거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가 수행할 수 있는 어느 하나의 동작(이하, '제1동작'이라고도 함)을 선택하고, 선택된 제1동작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이하, '제1음성'이라고도 함)을 수신하여 해당 정보를 저장하며(이하, '등록' 혹은 '음성 등록'이라고도 함), 이 후 사용자의 음성 명령(이하, '제2음성'이라고도 함)이 있으면, 제2음성이 기 등록된 제1음성인지를 확인하여 제1음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대응하는 제1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음성의 특성이 사용자 별로 서로 상이하더라도 각 사용자가 직접 발화한 제1음성을 등록해 둠으로써, 음성 인식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동작은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는 것이므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동작이 아니더라도,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제1동작을 자유로이 정해 두고 음성으로 명령할 수 있으므로, 미리 정해진 음성 명령을 알고 있을 필요가 없으며, 미리 정해지지 않은 동작의 음성 명령도 가능한 점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신호수신부(21; signal receiver), 영상처리부(22; image processor), 디스플레이부(23; display), 음성수신부(24; voice receiver), 제어부(25; controller), 입력수신부(27; input receiver) 및 저장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성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제되거나, 새로운 구성이 추가될 수도 있다.
신호수신부(21)는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신호수신부(21)는 튜너부를 구비하여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는 제어부(25)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채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채널의 영상신호를 튜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채널의 선택은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수신부(27)는, 사용자의 조작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수신부(27)는 채널의 선택에 관한 사용자의 조작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25)로 전달한다. 입력수신부(27)는 조작패널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입력을 수신하거나, 리모컨신호수신부를 포함하여, 리모컨으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입력이 포함된 리모컨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21)는, 다른 실시예로서, 셋탑박스, DVD, PC 등과 같은 영상기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주변기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22)는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23)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영상처리부(22)는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하여, 예컨대, 모듈레이션, 디모듈레이션, 멀티플렉싱, 디멀티플렉싱, 아날로그-디지털변환, 디지털-아날로그변환, 디코딩, 인코딩, 이미지인핸스먼트, 스케일링 등의 영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는 영상처리부(22)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3)는 LCD, PDP, OLED 등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음성수신부(24)는 사용자가 발화하는 음성 명령을 수신한다. 음성수신부(24)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5)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 제1동작을 선택하고, 선택된 제1동작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제1음성을 수신하여 등록하며, 이 후 수신되는 사용자의 제2음성이 기 등록된 제1음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대응하는 제1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5)는 선택된 제1동작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제1음성의 정보(281, 이하, '음성등록정보'라고도 함)를 저장부(28)에 저장하여 음성등록을 수행한다. 저장부(28)는 선택된 제1동작과,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제1음성의 정보를 음성등록정보(281)로서 저장하며,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5)는 이와 같은 제어 수행을 위한 제어프로그램과, 제어프로그램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저장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및 휘발성의 메모리와,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동작 S3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음성등록을 하고자 하는 제1동작을 선택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가 제1동작을 선택할 수 있도록 GUI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가 표시하는 제1동작의 선택을 위한 GUI(41)의 일례이다. GUI(41)는 복수의 제1메뉴항목(42)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제1메뉴항목(42)은 디스플레이장치(1)가 수행하는 어느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의 동작은 예컨대, VOD 실행, 영화모드 설정, 특정메뉴 진입 등 디스플레이장치(1)가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동작을 포함한다. 제1메뉴항목(42)은 대응하는 동작의 정보를 텍스트, 이미지 등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제1메뉴항목 중에서 음성등록을 원하는 제1동작에 대응하는 제1메뉴항목(42)을 선택할 수 있다. 제1메뉴항목(42)의 선택은 입력수신부(27)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입력수신부(27)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제1메뉴항목(42)을 하이라이트시킬 수 있다.
GUI(41)는 음성등록의 진행 요청을 위한 제2메뉴항목(43)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메뉴항목(43)을 선택하여 음성등록의 진행을 요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제2메뉴항목(43)이 선택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1메뉴항목(42)에 대응하는 제1동작에 대한 음성등록을 진행한다. 제1메뉴항목(42)의 선택과, 제2메뉴항목(43)의 선택의 순서는 제한이 없다. 예컨대, 제1동작에 대응하는 제1메뉴항목(42)의 선택이 먼저 이루어지고, 그 다음에 제2메뉴항목(43)이 선택될 수도 있고, 다른 예로서, 제2메뉴항목(43)이 먼저 선택되고, 제1메뉴항목(42)의 선택이 나중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동작 S32에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선택된 제1동작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제1음성을 수신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제1동작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제1음성을 수신하기 위하여 안내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가 표시하는 사용자의 제1음성을 수신하기 위하여 안내 메시지(51)의 일례이다. 사용자는 제1동작에 지정할 제1음성을 발화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VOD 실행', '영화모드' 등과 같은 음성 명령을 제1음성으로서 발화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음성수신부(24)를 통하여 제1동작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제1음성을 수신한다.
다음으로,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동작 S33에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수신된 제1음성의 정보를 저장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수신된 제1음성의 정보를 제1동작의 정보와 대응시켜 저장부(28)에 저장한다. 제1음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제1동작에 대한 음성등록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동작 S34에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의 제2음성을 수신한다. 다음으로, 동작 S35에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수신된 제2음성이 기 등록된 제1음성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동작 S35에서, 수신된 제2음성이 기 등록된 제1음성에 해당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장치(1)는 동작을 종료한다. 만일, 동작 S35에서, 수신된 제2음성이 기 등록된 제1음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동작 S36에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제1음성에 대응하는 제1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가 발화한 제2음성이 제1음성으로 등록된 'VOD 실행'인 것으로 판단되면, 'VOD 실행'에 대응하여 등록된 제1동작을 수행한다.
음성등록은 복수의 동작에 대하여도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동작에 연계되어 수행되는 동작(이하, '제2동작'이라고도 함)을 하나의 제1음성에 대응시켜 등록할 수 있다. 따라서, 나중에 등록된 제1음성이 발화되면, 디스플레이장치(1)는 대응하는 제1동작과, 제2동작을 연계하여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가 표시하는 복수의 연계 동작의 선택을 위한 GUI(61)의 일례이다. GUI(61)은 디스플레이장치(1)의 동작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메뉴항목(62)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복수의 제1메뉴항목(62)을 이용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제1동작 및 제2동작을 선택할 수 있다. 복수의 연계 동작은 2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3개 이상의 연계되는 동작도 등록될 수 있다. 사용자는 현재 표시된 GUI(61)에서 등록할 연계 동작들을 모두 선택하였으면, 제3메뉴항목(64)을 눌러 등록할 연계 동작들의 선택을 마친다. 만일, 사용자는 현재 표시된 GUI(61)에서 등록할 연계 동작들을 모두 선택하지 못하고, 등록할 연계 동작의 선택을 계속하고자 하면, 제4메뉴항목(63)을 누른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제4메뉴항목(63)이 눌러지면, 추가의 연계 동작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새로운 GUI를 제공하여, 등록할 연계 동작의 선택을 계속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의 음성등록의 요청이 있으며, 미리 정해진 복수의 연계 동작에 대응하는 제1메뉴항목(62)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연계 동작은 음성등록이 예상되는 것으로서 미리 정해질 수 있으며, 해당 정보는 저장부(28)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등록할 연계 동작들을 선택할 때, 디스플레이장치(1)가 제공하는 연계 동작을 참조하여 보다 편리하게 원하는 연계 동작들을 선택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가 등록된 제1음성에 대응하여 수행하는 다양한 연계 동작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이러한 연계 동작들은 상기 도 3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된 과정을 통하여 음성 등록된 예시들이다. 이러한 연계 동작들은 대응하여 등록된 제1음성의 발화가 있으면 자동적으로 순차 수행될 수 있다. 우선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는, 예컨대, 'VOD 실행'과 같이 등록된 제1사용자의 제1음성에 대응하여, '메인 메뉴'로 진입하는 동작(71), 'VOD 리스트 메뉴'로 진입하는 동작(72), '드라마 카테고리'로 진입하는 동작(73) 및 'A 드라마'를 실행하는 동작(74)을 연계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는, 예컨대, '영화 보기'와 같이 등록된 제1사용자의 제1음성에 대응하여, '메인 메뉴'로 진입하는 동작(81), 'VOD 리스트 메뉴'로 진입하는 동작(82), '영화 카테고리'로 진입하는 동작(83), 영화모드를 설정하는 동작(84) 및 '영화 리스트 메뉴'로 진입하는 동작(85)을 연계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영화모드를 설정하는 동작(84)에서는, 예컨대, 화면에서의 자막의 크기를 10으로, 자막 언어를 영어로, 음량을 15로, 화질을 '영화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는, 예컨대, 'VOD 실행'과 같이 등록된 제2사용자의 제1음성에 대응하여, '메인 메뉴'로 진입하는 동작(91), 'YouTube 메뉴'로 진입하는 동작(92), 'Best Item 리스트'로 진입하는 동작(93) 및 'Best1 VOD'를 실행하는 동작(94)을 연계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7과, 도 9의 예시에서, 등록된 제1음성이 모두 'VOD 실행'으로서 명령어는 공통되나,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는 서로 다른 음성특성(이하, '사용자음성특성'이라 함)을 가지므로, 두 개의 음성 명령은 구별될 수 있다. 따라서, 등록된 음성은 사용자 별로 구별되므로, 본 발명의 음성등록은, 예컨대, 사용자 별 로그인 기능에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의 저장부(28)에 저장되는 음성등록정보(281)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음성등록정보(28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음성 명령' 및 '동작'의 필드를 포함한다. '사용자' 필드는 음성을 등록하는 사용자의 정보, 예컨대, '사용자1', '사용자2', '공용' 등을 나타낸다. '음성 명령'의 필드는 등록된 음성 명령, 예컨대, '음성 명령1', '음성 명령2', '음성 명령3', '음성 명령4' 등을 나타낸다. '동작'의 필드는 등록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동작의 정보, 예컨대, '동작1', '동작2', '동작3', '동작4' 등을 나타낸다. '사용자1' 및 '사용자2'에 대응하여 등록된 음성 명령은 사용자 별로 고유하게 등록된 것이며, '공용'으로 등록된 음성 명령은 모든 사용자가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에 해당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1)는 등록된 제1음성의 발화에 따라 외부장치(112, 113)와 연결하여 제1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와, 네트워크(111)를 통하여 외부장치(112)와 연결되거나, 혹은 인접한 외부장치(113)와 연결될 수 있다. 등록된 제1음성에 대응하는 제1동작은,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1)를 이용하여 홈쇼핑을 하면서 해당 상품의 판매자의 외부장치(112)로 전화 연결을 하는 동작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동작은,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1)를 이용하여 웹서핑을 하면서 웹서버인 외부장치(112)로 특정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동작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동작은, 예컨대, 인접한 외부장치(113)로부터 동영상 등의 파일을 수신하거나, 외부장치(113)로 파일을 전송하는 동작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동작은, 예컨대, 긴급구호 시 호출할 연락처인 외부장치(112, 113)로 전화 연락을 하는 동작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장치(112, 113)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1동작은, 예컨대, 긴급구호 시, 외부장치(112, 113)로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촬상한 촬상영상을 외부장치(112, 113)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을 수행하여 촬상영상을 생성하는 촬상부(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장치(1)의 다양한 동작들에 대하여 음성 등록을 해 두고, 필요한 경우 등록된 음성을 발화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유용하게 디스플레이장치(1)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동작 S12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한다. 다음으로, 동작 S122에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명령어 및 복수의 사용자음성특징 중에서,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명령어 및 사용자음성특징을 결정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명령어 및 복수의 사용자음성특징을 저장하는 저장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명령어 및 복수의 사용자음성특징이 저장된 저장부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외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1)는 통신부(26)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여 외부장치의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명령어 및 복수의 사용자음성특징을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복수의 명령어 및 복수의 사용자음성특징을 음성등록정보(281)로서 저장부(28)에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음성등록을 수행하여, 복수의 명령어 및 복수의 사용자음성특징을 저장부(28)에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음성등록에 있어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GUI가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음성등록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음성 명령 및 동작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장부에 저장되는 음성등록정보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음성등록정보(281)는, '사용자', '음성 명령' 및 '동작'의 필드를 포함한다. '사용자' 필드는 음성을 등록하는 사용자의 정보, '사용자1', '사용자2' 등을 나타낸다. 예컨대, '사용자1'은 디스플레이장치(1)의 사용자 중 아빠이고, '사용자2'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사용자 중 아들일 수 있다.
'음성 명령' 필드는, 'ID', '명령어' 및 '사용자음성특징'의 필드를 포함한다. 'ID' 필드는, 등록된 음성 명령인, '음성 명령1', '음성 명령2' 등의 ID를 나타낸다. 예컨대, '음성 명령1'은, 아빠가 발화하여 등록한 음성 명령인 "V~OD실~행"이고, '음성 명령2'는 아들이 발화하여 등록한 음성 명령인 "V!O!D!실!행!"일 수 있다.
'명령어' 필드는, 각 'ID' 필드의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명령어인 '명령어1' 등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명령어는 텍스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아빠가 발화하여 등록한 음성 명령인 "V~OD실~행"과, 아들이 발화하여 등록한 음성 명령인 "V!O!D!실!행!"에 대응하는 명령어는, 'VOD실행'으로 동일한 텍스트일 수 있다.
'사용자음성특징' 필드는, 각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특징인 '사용자음성특징1', '사용자음성특징2' 등을 나타낸다. 예컨대, '사용자음성특징1'은, 아빠가 발화하여 등록한 음성 명령인 "V~OD실~행"에 대응하는 음성특징이고, '사용자음성특징2'는 아들이 발화하여 등록한 음성 명령인 "V!O!D!실!행!"에 대응하는 음성특징일 수 있다. 사용자음성특징은,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의 개인별 억양, 음색 및 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VOD실행'이라는 동일한 텍스트에 대하여, 사용자에 따라 "V~OD실~행", "V!O!D!실!행!" 등으로 달리 발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화된 음성의 사용자음성특징인, 억양, 음색, 톤 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음성등록 시,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사용자음성특징을 결정하여, 결정된 사용자음성특징의 정보를 해당 '사용자음성특징' 필드의 정보로서 저장한다.
'동작' 필드는 각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동작인, '동작1', '동작2' 등을 나타낸다. 예컨대, '동작1'은, 아빠가 발화하여 등록한 음성 명령인 "V~OD실~행"에 대응하는 '자동차 관련 VOD'이고, '동작2'는 아들이 발화하여 등록한 음성 명령인 "V!O!D!실!행!"에 대응하는 '만화 관련 VOD'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는, 동일한 명령어에 대하여 수행 가능한 복수의 동작을 가진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1)는, 'VOD실행'과 같은 명령어에 대하여, '자동차 관련 VOD' 및 '만화 관련 VOD'를 수행 가능한 복수의 동작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동작 S122에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명령어 및 복수의 사용자음성특징 중에서,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명령어 및 사용자음성특징을 결정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28)에 저장된 음성등록정보(281)를 참조하여,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명령어 및 사용자음성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변환하여 텍스트를 결정하고,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억양, 음색, 톤 등의 음성특성정보를 결정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결정된 텍스트와, 저장부(28)에 저장된 음성등록정보(281)의 복수의 '명령어1' 등을 비교하여,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명령어를 결정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는, 결정된 음성특징정보와, 저장부(28)에 저장된 음성등록정보(281)의 복수의 '사용자음성특징1' 등을 비교하여,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사용자음성특징을 결정한다.
다음으로, 동작 S123에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동작 S122에서 결정된 명령어 및 사용자음성특징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저장부(28)에 저장된 음성등록정보(281)의 복수의 '동작1' 등 중에서, 결정된 명령어 및 사용자음성특징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결정된 명령어가 'VOD실행'이고, 결정된 사용자음성특징이 "V~OD실~행"에 대응하는 '사용자음성특징1'인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는, '음성 명령1("V~OD실~행")'에 대응하는 '동작1('자동차 관련 VOD')'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결정된 명령어가 'VOD실행'이고, 결정된 사용자음성특징이 "V!O!D!실!행!"에 대응하는 '사용자음성특징2'인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는, '음성 명령2("V!O!D!실!행!")'에 대응하는 '동작2('만화 관련 VOD')'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는, 결정된 명령어에 대하여 수행 가능한 복수의 동작 중에서 결정된 사용자음성특징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1)는, 'VOD실행'과 같이 결정된 명령어에 대하여 수행 가능한 '자동차 관련 VOD' 및 '만화 관련 VOD' 중에서, 결정된 사용자음성특징("V~OD실~행" 또는 "V!O!D!실!행!")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에 의하면, 수신되는 음성에 대하여, 명령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발화 특성까지 고려하여 음성 명령을 결정함으로써, 동일한 명령어에 대해서도 사용자 별로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 별로 고유하게 음성 명령을 등록할 수 있으며, 명령어만으로 음성 명령을 결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음성 인식의 신뢰성이 보다 향상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 디스플레이장치
21: 신호수신부
22: 영상처리부
23: 디스플레이부
24: 음성수신부
25: 제어부
26: 통신부
27: 입력수신부
28: 저장부
29: 촬상부

Claims (18)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수신부와;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명령어 및 복수의 사용자음성특징 중에서, 상기 음성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명령어 및 사용자음성특징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명령어에 대하여 수행 가능한 복수의 동작 중에서 상기 결정된 사용자음성특징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텍스트의 형태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음성특징은, 상기 사용자의 음성의 억양, 음색 및 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령어 및 상기 사용자음성특징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동작의 선택을 위한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선택이 예상되는 상기 동작의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음성 등록 요청이 있으면, 상기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동작과 연계되어 수행되는 제2동작을 더 선택하고, 상기 수신되는 음성에 대응하는 상기 제1동작 및 상기 제2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으로서 외부장치와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으로서 촬상영상을 생성하는 촬상부와;
    상기 생성된 촬상영상을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와;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명령어 및 복수의 사용자음성특징 중에서, 상기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명령어 및 사용자음성특징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명령어에 대하여 수행 가능한 복수의 동작 중에서 상기 결정된 사용자음성특징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텍스트의 형태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음성특징은, 상기 사용자의 음성의 억양, 음색 및 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및 상기 사용자음성특징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동작의 선택을 위한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동작과 연계되어 수행되는 제2동작을 더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되는 음성에 대응하는 상기 제1동작 및 상기 제2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으로서 외부장치와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으로서 촬상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촬상영상을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40165212A 2014-01-06 2014-11-2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8208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95881.9A EP2891974A1 (en) 2014-01-06 2014-12-02 Display apparatus which operates in response to voice command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4/562,959 US20150194167A1 (en) 2014-01-06 2014-12-08 Display apparatus which operates in response to voice command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1303 2014-01-06
KR1020140001303 2014-0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083A true KR20150082083A (ko) 2015-07-15

Family

ID=53793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5212A KR20150082083A (ko) 2014-01-06 2014-11-2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20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931B1 (ko) * 2018-11-15 2020-05-19 김철회 Tv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931B1 (ko) * 2018-11-15 2020-05-19 김철회 Tv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1974A1 (en) Display apparatus which operates in response to voice command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76381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823304B2 (en) Picture display device, and setting modification method and setting modification program therefor
JP6640502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音声取得装置およびその音声認識方法
JP4796209B1 (ja) 表示装置、制御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表示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55205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972267B2 (en) Controlling audio video display device (AVDD) tuning using channel name
US20140267933A1 (en) Electronic Device with Embedded Macro-Command Functionality
KR102147329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00241967A1 (en) Setting and modifying method of user operating interface for use in digital audio/video playback system
US20120116748A1 (en) Voice Recognition and Feedback System
US1134086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EP2840796A1 (en) Datum displaying method applied to smart television
KR2015008208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50040152A1 (en) Datum Displaying Method Applied to Smart Television
KR20150108546A (ko) 사용자 단말기와 연계된 개인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11881220B2 (en)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speech recognition ser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1178466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230054251A1 (e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device
US20080062035A1 (en) Ir co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