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077A - Jig - Google Patents

Ji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077A
KR20150082077A KR1020140149429A KR20140149429A KR20150082077A KR 20150082077 A KR20150082077 A KR 20150082077A KR 1020140149429 A KR1020140149429 A KR 1020140149429A KR 20140149429 A KR20140149429 A KR 20140149429A KR 20150082077 A KR20150082077 A KR 20150082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section
plug
slit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4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58948B1 (en
Inventor
타카히로 조도
요시히로 히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99595A external-priority patent/JP6003944B2/en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50082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0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9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ire processing before connecting to contact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R43/02 - H01R43/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network, e.g. LAN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computer periph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dynamoelectric mach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sting or measur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adio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jig for easily maintaining a plug. The jig comprises: a first member extended along a first direction when in use and provided with an end unit formed on one end thereof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member extended along the first member when in use and provided with an end unit formed on one end thereof in the first direction. A first and a second concave unit is formed on the end unit of the first member and the end unit of the second member, respectively, and grooved towards one side in a thir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ly when in use. When the plug is mounted on a receptacle, a cylindrical shape unit is gripped by the end unit of the first member and the end unit of the second member. A first flange unit is disposed in the first concave unit, and a second flange unit is disposed in the second concave unit.

Description

지그{JIG}JIG {JIG}

본 발명은 지그에 관하여, 보다 특정적으로는 플러그를 리셉터클(receptacle)에 장착하기 위한 지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ig, and more particularly to a jig for mounting a plug to a receptacle.

종래의 지그에 관한 발명으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용 공구가 알려져 있다. 도 11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용 공구(500) 및 L형 전기 커넥터(502)를 나타낸 도면이다. As an invention related to a conventional jig, for example, a tool for an electric connecto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s known. 11 is a view showing the tool 500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nd the L-shaped electrical connector 502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n Fig.

L형 전기 커넥터(502)는 전기 커넥터용 공구(500)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상대 커넥터에 위쪽으로부터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L형 전기 커넥터(502)는 핑거부(506a, 506b), 돌기(突起)(508a, 508b) 및 스토퍼부(510)를 포함하고 있다. 핑거부(506a, 506b)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핑거부(506a)는 핑거부(506b)에 대하여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다. 돌기(508a)는 핑거부(506a)의 하단에 있어서 왼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돌기(508b)는 핑거부(506b)의 하단에 있어서 오른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스토퍼부(510)는 핑거부(506a)와 핑거부(506b)의 사이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단, 스토퍼부(510)의 하단은 핑거부(506a, 506b)의 하단보다도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The L-shaped electrical connector 502 is mounted to a mating connector (not shown) from above by a tool 500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re specifically, the L-shaped electrical connector 502 includes fingers 506a and 506b, protrusions 508a and 508b, and a stopper 510. [ The finger reflections 506a and 506b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ing rejection 506a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ping rejection 506b. The projection 508a protrudes to the left at the lower end of the finger reflex 506a. The projection 508b protrudes toward the right at the lower end of the finger reflex 506b. The stopper portion 51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finger reflex 506a and the finger reflex 506b. However, the lower end of the stopper 510 is positioned above the lower ends of the finger reflexes 506a and 506b.

한편, L형 전기 커넥터(502)는 끼워맞춤 통부(512) 및 숄더부(shoulder)(514a, 514b)를 포함하고 있다. 끼워맞춤 통부(51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숄더부(514a)는 끼워맞춤 통부(512)에서 오른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숄더부(514b)는 끼워맞춤 통부(512)에서 왼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shaped electrical connector 502 includes a fitting cylinder 512 and shoulders 514a and 514b. The fitting cylinder portion 512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houlder portion 514a protrudes to the right in the fitting cylinder portion 512. [ The shoulder portion 514b protrudes to the left in the fitting cylinder portion 512. [

사용자는 평판상(平板狀)으로 배치된 L형 전기 커넥터(502)에 대하여 위쪽으로부터 전기 커넥터용 공구(500)를 누른다. 이로 인해, L형 전기 커넥터(502)가 핑거부(506a, 506b)에 의해 좌우방향에서 집음과 동시에, 돌기(508a, 508b)가 각각 숄더부(514a, 514b)에 걸어 맞춰지게 된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용 공구(500)는 L형 전기 커넥터(502)를 유지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L형 전기 커넥터(502)를 도시하지 않은 상대 커넥터 위로 이동시키고, 전기 커넥터용 공구(500)를 하강시킨다. 이 때, 스토퍼부(510)의 하단이 L형 전기 커넥터(502)의 상부면을 아래쪽으로 누른다. 그 결과, L형 전기 커넥터(502)가 상대쪽 커넥터에 장착된다. The user presses the tool 500 for electrical connector from above with respect to the L-shaped electrical connector 502 arranged in a flat plate shape. This causes the protrusions 508a and 508b to be engaged with the shoulder portions 514a and 514b, respectively, at the same time as the L-shaped electrical connector 502 is picked up from the left and right by the finger reflexes 506a and 506b. Thus, the tool 500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aintains the L-shaped electrical connector 502. Then, the user moves the L-shaped electrical connector 502 over a mating connector (not shown), and lowers the tool 500 for electrical connector.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stopper 510 pushes the upper surface of the L-shaped electrical connector 502 downward. As a result, the L-shaped electrical connector 502 is mounted on the mating connector.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용 공구(500)에서는 L형 전기 커넥터(502)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L형 전기 커넥터(502)는 동축(同軸) 케이블의 선단(先端)에 마련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동축 케이블이 평판 위를 따르지 않고 위쪽으로 휘어있을 경우에는, L형 전기 커넥터(502)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판 위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고 허공에 떠버린다. 이 경우, 전기 커넥터용 공구(500)를 L형 전기 커넥터(502)에 대하여 위쪽에서 눌렸다고 해도, 전기 커넥터용 공구(500)가 L형 전기 커넥터(502)를 유지할 수 없다. However, in the tool 500 for an electrical connector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t is difficult to hold the L-shaped electrical connector 502. More specifically, the L-shaped electrical connector 502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coaxial cable. Therefore, when the coaxial cable does not follow the flat plate and is bent upward, the L-shaped electrical connector 502 is not placed on the flat plate as shown in Fig. 11 but is floated in the air. In this case, even if the tool 500 for an electrical connector is pushed from above on the L-shaped electrical connector 502, the tool 500 for an electrical connector can not hold the L-shaped electrical connector 50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6-4791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4791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ig capable of easily holding a plug.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지그는, 케이블의 일단(一端)에 마련되면서, 리셉터클에 장착되는 플러그이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부와,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상기 통형상부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의 한쪽측 및 다른쪽측의 각각을 따라서 돌출되는 제1 플랜지부(flange) 및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한 플러그를, 상기 제1 방향의 한쪽측을 향하여 밀어 넣어서 상기 리셉터클에 장착하는 지그이며, 상기 플러그를 상기 리셉터클에 장착할 때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의 한쪽측 끝에 위치하는 일단부를 가지는 제1 부재와, 상기 플러그를 상기 리셉터클에 장착할 때에, 상기 제1 부재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의 한쪽측 끝에 위치하는 일단부를 가지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제2 부재의 일단부는 상대적으로 가까워진 상태와 상대적으로 멀어진 상태를 취할 수 있고, 상기 제1 부재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부재의 일단부의 각각에는, 상기 플러그를 상기 리셉터클에 장착할 때에,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직교하는 제3 방향의 한쪽측을 향하여 패인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플러그가 상기 리셉터클로부터 장착될 때에, 상기 통형상부는 상기 제1 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제2 부재의 일단부에 집히고, 상기 제1 플랜지부는 상기 제1 오목부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플랜지부는 상기 제2 오목부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jig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g mounted on a receptacle and provided at one end of a cable, the plug having a tubular port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 plug including a first flange and a second flange protruding alo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in the shape, A first member extend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having one end located at one end of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plug is mounted on the receptacle, And a second member extending along the first member and having one end located at one end of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receptacle is mounted on the receptacle, One end of the ash and one end of the second member can be relatively close to each other and relatively away from each other, and each of the one end of the first member and the one end of the second member has the plug mounted on the receptacle A first recessed portion and a second recessed portion are formed in the recessed portion toward one side of the thir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plug is mounted from the receptacle, And the first flange portion is located in the first concave portion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is located in the second concave portion.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지그는, 상기 케이블은 상기 플러그에 대하여 상기 제3 방향의 한쪽측을 향하여 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jig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ble is drawn out toward one side of the plug in the third direction.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른 지그는, 상기 제1 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제2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힘을 받았을 때에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지 않을 때보다도 접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jig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first member and one end of the second member are arranged such that whe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urg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member is more accessible than when the second member is not being subjected to the force in the second direction.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른 지그는,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2 방향에서의 굴곡 강성(剛性)은,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방향에서의 굴곡 강성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jig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ding rigidity of the first member in the second direction is lower than the bending rigidity of the second member in the second direction.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따른 지그는,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상(棒狀)부재를 상기 제3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slit)이며, 상기 봉상부재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다른쪽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슬릿이 마련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jig according to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slits passing through a rod member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in the third direction, And a sli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direction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irection.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따른 지그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나열되는 제1 구간 및 제2 구간이 규정되어 있고, 상기 슬릿은 상기 제3 방향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상기 제1 구간에 있어서 상기 봉상부재의 상기 제2 방향의 중앙보다도 상기 제1 부재측을 통과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 구간을 제외하는 상기 제2 구간에 있어서 상기 봉상부재의 상기 제2 방향의 중앙을 통과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jig 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provided with a first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In the second section excluding the first se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member side than the center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rod section in the first section as viewed from the first section, And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two directions.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따른 지그는, 상기 슬릿은 상기 제1 구간의 일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른 직선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제1 구간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의 양측에는 상기 제2 구간이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jig according to a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t has a linear shape along the first direction in a part of the first section, and on both sides in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ection, Section is located.

본 발명의 제8 형태에 따른 지그는,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슬릿의 상기 제1 방향의 중앙보다도 상기 제1 방향의 한쪽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jig according to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ection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lit in the first direction.

본 발명의 제9 형태에 따른 지그는, 상기 슬릿의 폭은 상기 제3 방향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jig according to the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slit is substantially constant when viewed from a plane from the third direction.

본 발명의 제10 형태에 따른 지그는, 상기 제1 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제2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힘을 받았을 때에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지 않을 때보다도 멀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jig according to the t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first member and one end of the second member are arranged such that whe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urg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member can be farther than when the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not being subjected to the force in the second direction.

본 발명의 제11 형태에 따른 지그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나열되는 제3 구간 및 제4 구간이 규정되어 있고,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상부재를 상기 제3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이며, 상기 봉상부재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다른쪽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슬릿이 마련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방향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상기 제4 구간에서의 상기 슬릿의 폭은 상기 제3 구간에서의 상기 슬릿의 폭보다도 넓고, 상기 제3 구간은 상기 제4 구간보다도 상기 제1 방향의 한쪽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jig according to the el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define a third section and a fourth section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lit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one end of the rod-shaped member to the other side of the rod-shaped member, the slit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third direction, , The width of the slit in the fourth section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slit in the third section and the third section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section with respect to the fourth section .

본 발명의 제12 형태에 따른 지그는, 상기 제4 구간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2 방향에서의 굴곡 강성은,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방향에서의 굴곡 강성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jig according to the twel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ourth section, the bending rigidity of the first member in the second direction is lower than the bending rigidity of the second member in the second direction .

본 발명의 제13 형태에 따른 지그는, 상기 제1 오목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의 한쪽측에 위치하는 안쪽 둘레면의 일부는, 상기 제3 방향의 다른쪽측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상기 제1 방향의 한쪽측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jig according to the thir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direction in the first concave portion is moved toward the other side in the third direction, To the one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본 발명의 제14 형태에 따른 지그는, 상기 제1 오목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의 한쪽측에 위치하는 안쪽 둘레면에서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제1 방향의 한쪽측의 단면(端面)까지의 거리는, 상기 통형상부의 상기 제1 방향의 한쪽측의 단부(端部)에서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상기 제1 방향의 한쪽측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jig according to the four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irst concave portion,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located on one side in the first direction to the end surface on one side of the first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Is smaller than a distance from an end of one side of the tubular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to an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flange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g can be easily maintained.

도 1은 지그(10)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지그(10)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좌우방향에서 힘(F)을 가했을 때의 지그(10)의 정면도이다.
도 4는 플러그(100)를 리셉터클(200)에 장착할 때의 지그(10), 플러그(100) 및 리셉터클(200)의 외관 사시도(斜視圖)이다.
도 5는 플러그(100)를 리셉터클(200)에 장착할 때의 지그(10), 플러그(100) 및 리셉터클(20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6는 플러그(100)를 리셉터클(200)에 장착할 때의 지그(10), 플러그(100) 및 리셉터클(20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플러그(100)를 리셉터클(200)에 장착할 때의 지그(10), 플러그(100) 및 리셉터클(20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지그(10a)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지그(10b)의 정면도이다.
도 10a는 지그(10c)의 정면도이다.
도 10b는 지그(10d)의 정면도이다.
도 10c는 좌우방향에서 힘(F)을 가했을 때의 지그(10d)의 정면도이다.
도 10d는 지그(10e)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용 공구(500) 및 L형 전기 커넥터(502)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of the jig 10. Fig.
2 is a side view of the jig 10.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jig 10 when the force F is appli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jig 10, the plug 100 and the receptacle 200 when the plug 100 is mounted on the receptacle 200. Fig.
5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jig 10, the plug 100, and the receptacle 200 when the plug 100 is mounted on the receptacle 200. Fig.
6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jig 10, the plug 100, and the receptacle 200 when the plug 100 is mounted on the receptacle 200. Fig.
7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jig 10, the plug 100 and the receptacle 200 when the plug 100 is mounted on the receptacle 200. Fig.
8 is a front view of the jig 10a.
9 is a front view of the jig 10b.
10A is a front view of the jig 10c.
10B is a front view of the jig 10d.
10C is a front view of the jig 10d when the force F is appli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10D is a front view of the jig 10e.
11 is a view showing the tool 500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nd the L-shaped electrical connector 502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n Fig.

(지그의 구성) (Configuration of jig)

이하에,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지그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지그(10)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지그(10)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좌우방향에서 힘(F)을 가했을 때의 지그(10)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지그(10)의 길이방향을 상하방향(제1 방향)이라고 정의하고, 지그(10)의 파지(把持)부재(12, 14)가 나열되는 방향을 좌우방향(제2 방향)이라고 정의하고,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방향(제3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한편, 지그(10)에 있어서 정의한 방향은 후술하는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장착할 때, 및 플러그를 리셉터클로부터 분리할 때의 지그(10)의 방향이다. 따라서, 지그(10)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상태(예를 들면, 보관 상태)에서는 지그(10)의 길이방향이 상하방향과 일치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지그(10)의 길이방향이 좌우방향이나 전후방향과 일치하고 있어도 된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front view of the jig 10. Fig. 2 is a side view of the jig 10.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jig 10 when the force F is appli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Hereinafte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ig 10 is defined as a vertical direction (firs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gripping members 12 and 14 of the jig 10 are arranged is defined as a lateral direction (second direction) And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up-and-down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is defined as a front-rear direction (third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direction defined by the jig 10 is the direction of the jig 10 when the plug described later is mounted on the receptacle and when the plug is detached from the receptacle. 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jig 10 is not used (for example, in a storage stat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ig 10 does not necessarily coincide with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refor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ig 10 may coincide with the lateral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지그(1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셋형을 이루고 있다. 지그(10)는 후술하는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대하여 장착할 때, 및 플러그를 리셉터클로부터 분리할 때에 이용되고, 선단에 있어서 플러그를 끼운다. 이러한 지그(1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부재(12, 14) 및 접속부(15)를 포함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jig 10 is of a tweezers type. The jig 10 is used when mounting a plug to be described later with respect to the receptacle and when separating the plug from the receptacle, and plugging the plug at the tip. The jig 10 includes gripping members 12 and 14 and a connecting portion 15 as shown in Fig.

파지부재(1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하는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제1 부재를 형성하고 있다. 파지부재(14)는 파지부재(12)의 오른쪽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12)를 따라(즉,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하는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제2 부재를 형성하고 있다. 파지부재(12)의 상단부의 위치와 파지부재(14)의 상단부의 위치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일치하고 있고, 파지부재(12)의 하단부의 위치와 파지부재(14)의 하단부의 위치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일치하고 있다. 한편, 지그(10)에 있어서, 파지부재(12, 14)의 하단부란, 파지부재(12, 14)의 아래쪽의 단면뿐만 아니라 아래쪽의 단면 근방의 부분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The grip member 12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an upper end portion and a lower end portion locat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and forms the first member. The gripping member 14 extends on the right side of the gripping member 12 along the gripping member 12 (i.e., in the up-and-down direction) and has upper and lower ends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4 are al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 / RTI > On the other hand, in the jig 10,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s 12 and 14 is a concept including not only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s 12 and 14, but also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s 12 and 14.

접속부(15)는 파지부재(12)의 상단부와 파지부재(14)의 상단부를 접속하고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15 connects the upp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upp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4.

이상과 같은 지그(10)는, 예를 들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1개의 각기둥 형상의 봉상부재가 가공되어서 제작된다. 봉상부재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제 또는 동제이다. 지그(10)에는 슬릿(S)이 마련되어 있다. 슬릿(S)은 각기둥 형상의 봉상부재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봉상부재의 하단에서 위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단, 슬릿(S)은 봉상부재의 상단까지는 도달하고 있지 않다. 이로 인해, 슬릿(S)보다도 위쪽에는 접속부(15)가 형성되고, 봉상부재에 있어서 슬릿(S)이 형성된 부분이 좌우로 분할되어서 파지부재(12) 및 파지부재(14)가 형성되어 있다. The jig 10 as described above is fabricated by processing, for example, a prismatic bar-shaped member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od member is, for example, stainless steel or copper alloy. The jig (10) is provided with a slit (S). The slit S passes through the prismatic bar-shaped memb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extends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bar-shaped member. However, the slit S does not reach the upper end of the rod-shaped member. Thus, the connecting portion 15 is formed above the slit S, and the portion of the rod-shaped member where the slit S is formed is divided into right and left portions to form the holding member 12 and the holding member 14. [

그런데 지그(10)에서 파지부재(12, 14)에는 상하방향으로 나열되는 구간(A1~A3)이 규정되어 있다. 구간(A1~A3)은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이 순서대로 나열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즉, 구간(A2)의 상하방향의 양쪽에는 구간(A1, A3)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구간(A2)은 슬릿(S)의 상하방향의 중앙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슬릿(S)은 앞쪽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구간(A1~A3)을 통과하고 있다. However, in the jig 10, the holding members 12 and 14 are provided with sections A1 to A3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tions A1 to A3 are positioned so as to be arranged in this ord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at is, the sections A1 and A3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tion A2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tion A2 is located below the center of the slit 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lit S passes through the sections A1 to A3 when viewed from the front in a plan view.

슬릿(S)은 지그(10)를 앞쪽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구간(A2)에 있어서 봉상부재의 좌우방향의 중앙보다도 왼쪽(즉, 파지부재(12)쪽)을 통과하고 있다. 또, 슬릿(S)은 지그(10)를 앞쪽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구간(A1, A3)에 있어서 봉상부재의 좌우방향의 중앙을 통과하고 있다. 이로 인해, 슬릿(S)은 구간(A1)의 상단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된 후, 구간(A2)에 있어서 왼쪽 아래를 향하여 연장된다. 그리고, 슬릿(S)은 구간(A2)에 있어서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된 후, 오른쪽 아래를 향하여 연장된다. 그 후, 슬릿(S)은 구간(A3)에 있어서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된다. 슬릿(S)은 예를 들면, 와이어 방전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슬릿(S)이 와이어 방전 가공에 의해 형성된 경우에는 슬릿(S)의 좌우방향의 폭(W)은 앞쪽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된다. 한편, 실질적으로 일정하다는 것은 가공 정밀도의 편차를 허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The slit S passes through the left side (that is, the grip member 12 side) of the jig 10 in the section A2 from the center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rod member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slit S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bar-shaped memb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sections A1 and A3 when viewed from the front from the front side of the jig 10. [ As a result, the slit S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tion A1 and then extends toward the lower left in the section A2. Then, the slit S extends downward in the section A2 and then extends toward the lower right. Thereafter, the slit S extends downward in the section A3. The slits S are formed, for example, by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When the slits S are formed by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the width W of the slits 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ecomes substantially constant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in the plane. On the other hand, a substantially constant means that the deviation of the machining precision is allowable.

이상과 같은 슬릿(S)이 형성됨으로써, 구간(A2)에 있어서 파지부재(12)는 파지부재(14)보다도 가늘어져 있다. 이로 인해, 파지부재(12)의 좌우방향에서의 굴곡 강성은, 파지부재(14)의 좌우방향에서의 굴곡 강성보다도 낮아져 있다. 즉, 파지부재(12)는 파지부재(14)보다도 좌우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쉽다. By forming the slit S as described above, the gripping member 12 is thinner than the gripping member 14 in the section A2. Therefore, the bending rigidity of the gripping member 12 in the left-right direction is lower than the bending rigidity of the gripping member 14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at is, the gripping member 12 is more likely to bend in the lateral direction than the gripping member 14.

그런데, 파지부재(12, 14)의 하단부에는 각각, 플러그를 유지하기 위한 오목부(16, 18)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 오목부(16, 18)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The lower ends of the gripping members 12 and 14 are provided with recesses 16 and 18 for holding the plugs, respectively. The details of the concave portions 16 and 18 will be described below.

오목부(16)는 파지부재(12)의 하단부에 있어서 앞쪽의 면이 뒷쪽을 향하여 패임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오목부(16)는 상부면(S1), 배면(S2) 및 바닥면(S3) 3개의 안쪽 둘레면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오목부(16)는 앞쪽에서 플러그의 일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앞쪽에 있어서 개구(開口)하고 있다. 또, 오목부(16)는 오른쪽 및 왼쪽에 있어서도 개구하고 있다. 따라서, 파지부재(12)의 하단부는 좌우방향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コ자형을 이루고 있다. The concave portion 16 is formed by dipping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ing member 12 at the lower end thereof toward the rear side. Concretely, the concave portion 16 is formed so as to be surrounded by thre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upper surface S1, the rear surface S2 and the bottom surface S3. Therefore, the concave portion 16 is opened at the front side so that a part of the plug can be inserted from the front side. The concave portion 16 is also open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Therefore,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2 has a U-shape when viewed from the left and right in a plan view.

또, 상부면(S1) 앞 끝 부근은 앞쪽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위쪽으로 진행되도록 경사져 있다. 바닥면(S3) 앞 끝 부근은 앞쪽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아래쪽으로 진행되도록 경사져 있다. In addition, the vicinity of the front end of the upper surface S1 is inclined so as to advance upward as it goes forward. The vicinity of the front end of the bottom surface S3 is inclined so as to proceed downward as it goes forward.

오목부(18)는 파지부재(14)의 하단부에 있어서 앞쪽의 면이 뒷쪽을 향하여 패임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오목부(18)는 상부면(S4), 배면(S5) 및 바닥면(S6) 3개의 안쪽 둘레면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오목부(18)는 앞쪽에서 플러그의 일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앞쪽에 있어서 개구하고 있다. 또, 오목부(18)는 오른쪽 및 왼쪽에 있어서도 개구하고 있다. 따라서, 파지부재(14)의 하단부는 좌우방향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コ자형을 이루고 있다. The concave portion 18 is formed by dipping the front side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olding member 14 toward the rear side. Concretely, the concave portion 18 is formed so as to be surrounded by thre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upper surface S4, the back surface S5 and the bottom surface S6. Therefore, the concave portion 18 is opened at the front so that a part of the plug can be inserted from the front side. The concave portion 18 is also open at the right and left sides. Therefore,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4 has a U-shape when viewed from the left and right in a plan view.

또, 상부면(S4) 앞 끝 부근은 앞쪽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위쪽으로 진행되도록 경사져 있다. 바닥면(S6) 앞 끝 부근은 앞쪽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아래쪽으로 진행되도록 경사져 있다. In addition, the vicinity of the front end of the upper surface S4 is inclined so as to advance upward as it goes forward. The vicinity of the front end of the bottom surface S6 is inclined so as to proceed downward as it goes forward.

또, 파지부재(12)의 하단부와 파지부재(14)의 하단부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멀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른쪽면(S9)은 슬릿(S)으로부터 왼쪽으로 멀어진 위치에 있고, 왼쪽면(S10)은 슬릿(S)으로부터 오른쪽으로 멀어진 위치에 있다. 이로 인해, 파지부재(12)의 하단부의 오른쪽면(S9)과 파지부재(14)의 하단부의 왼쪽면(S10)은 서로 멀어진 상태로 대향하고 있다.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4 are located away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shown in Fig. More specifically, the right side S9 is located away from the slit S to the left, and the left side S10 is located to the right away from the slit S. The right side surface S9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left side surface S10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gripping member 14 are opposed to each other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이상과 같이 구성된 지그(10)에서는, 파지부재(12)의 하단부와 파지부재(14)의 하단부는 상대적으로 가까워진 상태와 상대적으로 멀어진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즉, 파지부재(12)의 하단부와 파지부재(14)의 하단부는, 파지부재(12) 및 파지부재(14)가 좌우방향으로 힘(F)을 받았을 때(도 3 참조)에는, 파지부재(12) 및 파지부재(14)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지 않을 때(도 1 참조)보다도 접근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파지부재(12)를 오른쪽으로 누르고, 파지부재(14)를 왼쪽으로 누르면, 파지부재(12, 14)가 탄성변형하여 슬릿(S)이 닫히려고 한다. 이로 인해, 파지부재(12)의 하단부와 파지부재(14)의 하단부가 접근한다. 따라서, 파지부재(12)의 하단부와 파지부재(14)의 하단부에 의해, 후술하는 플러그를 집어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힘(F)을 파지부재(12, 14)에 가한 상태여도,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부재(12) 하단부의 오른쪽면(S9)과 파지부재(14) 하단부의 왼쪽면(S10)은 서로 멀어진 상태로 대향하고 있다. In the jig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4 can be relatively close to each other and relatively away from each other.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4 ar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gripping member 14 receive a force F in the left-right direction (see FIG. 3) (See Fig. 1) when the holding member 12 and the gripping member 14 are not being urged in the second direction. More specifically, when the gripping member 12 is pushed to the right and the gripping member 14 is pushed to the left, the gripping members 12 and 14 are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slit S tries to close. As a result,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4 approach each other. Therefore, the plugs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picked up and held by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4. [ 3, the right side surface S9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left side surface S10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gripping member 14 (S10 (see Fig. 3) Are facing away from each other.

(플러그의 장착) (Mounting of plug)

다음으로,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장착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플러그(100)를 리셉터클(200)에 장착할 때의 지그(10), 플러그(100) 및 리셉터클(200)의 외관 사시도이다. Next, the operation when the plug is mounted on the receptacle will be described. Figs. 4 to 7 are external perspective views of the jig 10, the plug 100, and the receptacle 200 when the plug 100 is mounted on the receptacle 200. Fig.

먼저, 플러그(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플러그(10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108)의 일단에 마련되고, 리셉터클(200)에 대하여 장착된다. 플러그(100)는 원통부(102), 제1 플랜지부(104), 제2 플랜지부(106) 및 중심도체(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다. 원통부(10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원통부(102)의 아래쪽이 개구되어 있고, 원통부(102)의 위쪽이 닫혀있다. 원통부(102)의 상부면을 상부면(S11)으로 한다. 원통부(102)는 동축 케이블의 외도체에 접속됨으로써 접지 전위로 유지된다. 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plug 100 will be described. The plug 10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axial cable 108 as shown in Fig. 4 and is mounted to the receptacle 200. Fig. The plug 100 includes a cylindrical portion 102, a first flange portion 104, a second flange portion 106, and a center conductor (not shown). The cylindrical portion 102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102 is opene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102 is clos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102 is the upper surface S11. The cylindrical portion 102 is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of the coaxial cable and held at the ground potential.

중심도체는 아래쪽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원통부(102)의 중심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중심도체는 동축 케이블의 심선(芯線)에 접속됨으로써 고주파신호가 인가된다. The center conductor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portion 102 when viewed from the bottom in a plan view. The central conductor is connected to the core wire of the coaxial cable so that a high frequency signal is applied.

제1 플랜지부(104)는 위쪽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원통부(102)의 상단에서 왼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플랜지부(106)는 원통부(102)의 상단에서 오른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The first flange portion 104 protrudes lef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102 when viewed from above in a plan view. The second flange portion 106 protrudes righ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102.

동축 케이블(108)은 플러그(100)에 대하여 후방을 향하여 인출되어 있다. The coaxial cable 108 is drawn out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plug 100.

다음으로, 리셉터클(2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리셉터클(200)은 회로 기판 위에 실장되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202) 및 중심도체(204)를 포함하고 있다. 원통부(20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원통부(202)의 위쪽이 개구되어 있고, 원통부(202)의 아래쪽이 닫혀 있다. 원통부(202)는 플러그(100)가 리셉터클(200)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원통부(102) 내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원통부(202)의 바깥 둘레면과 원통부(102)의 안쪽 둘레면이 접촉하고, 원통부(202)와 원통부(102)가 접속된다. 따라서, 원통부(202)는 접지 전위로 유지된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ptacle 200 will be described. The receptacle 200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and includes a cylindrical portion 202 and a center conductor 204 as shown in Fig. The cylindrical portion 202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202 is open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202 is closed. The cylindrical portion 202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portion 102 when the plug 100 is mounted on the receptacle 200.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202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10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cylindrical portion 202 and the cylindrical portion 102 are connected. Thus, the cylindrical portion 202 is held at the ground potential.

중심도체(204)는 위쪽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원통부(202)의 중심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중심도체(204)는 플러그(100)가 리셉터클(200)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플러그(100)의 중심도체와 접속된다. 이로 인해, 중심도체(204)에는 고주파신호가 인가된다. The center conductor 204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portion 202 when seen from above in a plan view. The center conductor 204 is connected to the center conductor of the plug 100 when the plug 100 is mounted on the receptacle 200. [ As a result, a high frequency signal is applied to the center conductor 204.

다음으로, 플러그(100)를 리셉터클(200)에 장착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mounting the plug 100 to the receptacle 200 will be described.

사용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그(10)를 동축 케이블(108) 위에 세트한다(제1스텝). 그리고, 사용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그(10)를 하강시킨다(제2스텝). 이로 인해, 파지부재(12)의 하단부와 파지부재(14)의 하단부 사이에 동축 케이블(108)이 위치되게 된다. The user sets the jig 10 on the coaxial cable 108 as shown in Fig. 4 (first step). Then, the user moves down the jig 10 as shown in Fig. 5 (second step). Thus, the coaxial cable 108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4.

다음으로, 사용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그(10)를 동축 케이블(108)을 따라 앞쪽을 향하여 이동시킨다(제3스텝). 이로 인해, 원통부(102)가 파지부재(12)의 하단부와 파지부재(14)의 하단부에 끼이고, 제1 플랜지부(104)가 오목부(16) 내에 위치하고, 제2 플랜지부(106)가 오목부(18) 내에 위치한다. 또한, 사용자는 도 6의 상태에 있어서, 파지부재(12)와 파지부재(14)를 좌우방향에서 집는다(제4스텝). 이로 인해, 원통부(102)가 파지부재(12)의 하단부의 오른쪽면(S9) 및 파지부재(14)의 하단부의 왼쪽면(S10)에 의해 끼여서 플러그(100)가 지그(10)에 의해 유지된다. Next, the user moves the jig 10 along the coaxial cable 108 toward the front as shown in Fig. 6 (third step). As a result, the cylindrical portion 102 is engaged with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4, and the first flange portion 104 is located in the recess 16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106 Is located in the recess 18. 6, the user holds the gripping member 12 and gripping member 14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ourth step). This causes the cylindrical portion 102 to be caught by the right side face S9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left side face S10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gripping member 14 so that the plug 100 is moved by the jig 10 maintain.

다음으로, 사용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그(10)를 하강시켜서 플러그(100)를 리셉터클(200)에 대하여 밀어넣는다(제5스텝). 구체적으로는 지그(10)가 하강하면 원통부(102)와 원통부(202)가 접촉한다. 그리고, 지그(10)의 상부면(S1, S4)이 원통부(102)의 상부면(S11)에 접촉하여 상부면(S11)을 아래쪽으로 누른다. 이로 인해, 원통부(202)가 원통부(102)에 삽입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플러그(100)의 리셉터클(200)에 대한 장착이 완료된다. Next, as shown in Fig. 7, the user moves down the jig 10 to push the plug 100 into the receptacle 200 (fifth step). More specifically, when the jig 10 descends, the cylindrical portion 102 and the cylindrical portion 202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upper surfaces S1 and S4 of the jig 10 contact the upper surface S11 of the cylindrical portion 102 and push the upper surface S11 downward. As a result, the cylindrical portion 202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portion 102. Through the above steps, the mounting of the plug 100 to the receptacle 200 is completed.

다음으로, 플러그(100)를 리셉터클(200)로부터 분리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plug 100 from the receptacle 200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는 지그(10)에 의해 플러그(100)를 유지한다. 이 공정은 제1스텝 내지 제4스텝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4스텝이 완료된 단계에서, 지그(10), 플러그(100) 및 리셉터클(200)은 도 7에 도시하는 상태가 되어 있다. First, the user holds the plug 100 by the jig 10. Since this process is the same as the first to fourth steps, the description is omitted. At the stage where the fourth step is completed, the jig 10, the plug 100, and the receptacle 200 are in the state shown in Fig.

다음으로, 사용자는 지그(10)를 상승시키고, 플러그(100)를 리셉터클(200)로부터 끌어 올린다(제6스텝). 구체적으로는 지그(10)가 상승하면, 지그(10)의 바닥면(S3, S6)이 원통부(102)의 제1 플랜지부(104) 및 제2 플랜지부(106)에 접촉하여 제1 플랜지부(104) 및 제2 플랜지부(106)를 위쪽으로 누른다. 이로 인해, 원통부(202)가 원통부(102)로부터 뽑힌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플러그(100)의 리셉터클(200)에 대한 분리가 완료된다. Next, the user lifts the jig 10 and pulls up the plug 100 from the receptacle 200 (sixth step). Specifically, when the jig 10 rises, the bottom surfaces S3 and S6 of the jig 10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flange portion 104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106 of the cylindrical portion 102, The flange portion 104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106 are pushed upward. As a result, the cylindrical portion 202 is pulled out of the cylindrical portion 102. With the above process, the separation of the plug 100 from the receptacle 200 is completed.

(효과) (effect)

이상과 같이 구성된 지그(10)에 의하면, 플러그(100)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파지부재(12, 14)의 하단부에는 각각 플러그를 유지하기 위한 오목부(16, 18)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16, 18)는 각각 파지부재(12, 14)의 하단부에 있어서 앞쪽의 면이 뒷쪽을 향하여 패임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플러그(100)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지그(10)를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제1 플랜지부(104) 및 제2 플랜지부(106)를 오목부(16, 18) 내에 넣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파지부재(12, 14)를 좌우방향에서 집음으로써 지그(10)에 의해 플러그(100)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지그(10)에서는, 사용자는 플러그(100)를 지그(10)에 의해 유지할 때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용 공구(500)와 같이 전기 커넥터용 공구(500)를 L형 전기 커넥터(502)에 대하여 윗쪽에서 꽉 누를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플러그(100)가 허공에 뜬 상태여도 플러그(100)를 지그(10)에 의해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jig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plug 100 can be easily held. More specifically, the lower ends of the gripping members 12 and 14 are provided with concave portions 16 and 18 for respectively holding the plugs. The concave portions 16 and 18 are formed by dipping the front side of the lower ends of the gripping members 12 and 14 toward the rear side. This allows the user to insert the first flange portion 104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106 into the recesses 16 and 18 by sliding the jig 10 in front of or behind the plug 100. [ In addition, the user can hold the plug 100 by the jig 10 by picking up the gripping members 12 and 14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is state. As described above, in the jig 10, when the user holds the plug 100 by means of the jig 10, the tool 500 for an electric connector, like the electric connector tool 500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t is not necessary to press the connector 502 from above. Thus, the user can hold the plug 100 by the jig 10 even if the plug 100 is left in the air.

또, 지그(10)에서는, 사용자는 플러그(100)를 지그(10)에 의해 유지할 때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용 공구(500)와 같이 전기 커넥터용 공구(500)를 L형 전기 커넥터(502)에 대하여 윗쪽에서 꽉 누를 필요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지그(10)에 의해 플러그(100)가 유지될 때에, 지그(10)와 플러그(100) 사이에 강한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그 결과, 지그(10) 및 플러그(100)의 마모가 경감된다. In the jig 10, when the user holds the plug 100 by the jig 10, the tool 500 for an electrical connector, like the tool 500 for an electrical connector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t is not necessary to press the upper portion 502 against the upper side. Therefore, when the plug 100 is held by the jig 10, no strong force acts between the jig 10 and the plug 100. [ As a result, wear of the jig 10 and the plug 100 is reduced.

또, 지그(10)에 의하면, 이하의 이유에 의해서도 플러그(100)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동축 케이블(108)은 플러그(100)에 대하여 뒷쪽을 향하여 인출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부(16, 18)는 각각 파지부재(12, 14)의 하단부에 있어서 앞쪽의 면이 뒷쪽을 향하여 패임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그(10)를 플러그(100)의 뒷쪽으로 위치시켜, 동축 케이블(108)을 따라 앞쪽으로 지그(10)를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지그(10)에 의해 플러그(100)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동축 케이블(108)을 지그(10)의 슬라이드를 위한 가이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지그(10)에 의하면, 플러그(100)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jig 10, the plug 100 can be easily held by the following reasons. More specifically, the coaxial cable 108 is drawn out toward the back with respect to the plug 100. The concave portions 16 and 18 are formed by dipping the front side of the lower ends of the holding members 12 and 14 toward the rear side. The user can hold the plug 100 by the jig 10 by positioning the jig 10 at the rear side of the plug 100 and sliding the jig 10 forward along the coaxial cable 108. [ Therefore, the coaxial cable 108 can be used as a guide for sliding the jig 10. Therefore, with the jig 10, the plug 100 can be easily held.

또, 지그(10)에 의하면, 이하의 이유에 의해서도 플러그(100)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슬릿(S)은 균일한 폭(W)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가 파지부재(12, 14)를 좌우방향에서 집으면, 슬릿(S)의 폭(W)은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감에 따라 가늘어진다. 여기서, 파지부재(12)의 좌우방향에서의 굴곡 강성은 파지부재(14)의 좌우방향에서의 굴곡 강성보다도 낮다. 따라서, 사용자가 파지부재(12, 14)를 좌우방향에서 더욱 강한 힘으로 집으면, 파지부재(12)가 왼쪽을 향해서 휘도록 구부러진다. 이로 인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간(A2)에 있어서 슬릿(S)이 닫힌다. 슬릿(S)은 구간(A2)의 일부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구간(A2)에 있어서 슬릿(S)이 닫히면, 구간(A2)보다 아래쪽에 있어서 파지부재(12)와 파지부재(14)가 평행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된다. 즉, 파지부재(12)가 파지부재(14)에 대하여 기우는 것이 억제된다. 이로 인해, 제1 플랜지부(104) 및 제2 플랜지부(106)를 원활하게 오목부(16, 18)에 넣을 수 있게 되어서 플러그(100)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jig 10, the plug 100 can be easily held by the following reasons. More specifically, the slit S has a uniform width W. Therefore, when the user grips the gripping members 12 and 14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width W of the slit S becomes narrow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Here, the bending rigidity of the grip member 12 in the left-right direction is lower than the bending rigidity of the grip member 14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user grips the gripping members 12 and 14 with a stronger force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gripping member 12 is bent so as to bend toward the left. As a result, as shown in Fig. 3, the slit S is closed in the section A2. The slit S extends linearly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part of the section A2. Therefore, when the slit S is closed in the section A2,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gripping member 14 exten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below the section A2. That is, the gripping member 12 is prevented from tilting with respect to the gripping member 14. As a result, the first flange portion 104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106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s 16 and 18, so that the plug 100 can be easily held.

또 지그(10)에서는, 플러그(100)를 리셉터클(200)에 장착할 때에는 지그(10)의 상부면(S1, S4)이 플러그(100)의 상부면(S11)을 누른다. 그렇기 때문에, 플러그(100)와 리셉터클(200) 사이에 어긋남이 생기지 않는다. 그 결과, 지그(10) 및 플러그(100)의 마모가 경감된다. In the jig 10, when the plug 100 is mounted on the receptacle 200, the upper surfaces S1 and S4 of the jig 10 press the upper surface S11 of the plug 100. [ Therefore, the gap between the plug 100 and the receptacle 200 is not generated. As a result, wear of the jig 10 and the plug 100 is reduced.

마찬가지로 지그(10)에서는, 플러그(100)를 리셉터클(200)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지그(10)의 바닥면(S3, S6)이 플러그(100)의 제1 플랜지부(104) 및 제2 플랜지부(106)를 누른다. 그렇기 때문에, 플러그(100)와 리셉터클(200)의 사이에 어긋남이 생기지 않는다. 그 결과, 지그(10) 및 플러그(100)의 마모가 경감된다. Similarly, in the jig 10, when the plug 100 is separated from the receptacle 200, the bottom surfaces S3 and S6 of the jig 10 are connected to the first flange portion 104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104 of the plug 100, (106). Therefore, no deviation occurs between the plug 100 and the receptacle 200. As a result, wear of the jig 10 and the plug 100 is reduced.

또, 지그(10)에 의하면, 구간(A2)은 슬릿(S)의 상하방향의 중앙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슬릿(S)의 상하방향의 중앙보다도 위쪽에 있어서 파지부재(12, 14)를 좌우방향에서 집더라도, 구간(A2)에 있어서 슬릿(S)을 닫을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jig 10, the section A2 is located below the center of the slit 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close the slit S in the section A2 even if the user holds the gripping members 12 and 14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bove the center of the slit S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 지그(10)에 의하면, 이하의 이유에 의해서도 플러그(100)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16)에서의 바닥면(S3)에서 파지부재(12)의 아래쪽의 단면(S7)까지의 상하방향에서의 거리를 거리 T1로 한다. 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102)의 하단부에서 제1 플랜지부(104)의 하단부까지의 상하방향에서의 거리를 거리 T2로 한다. 이 경우, 거리 T1은 거리 T2보다도 작다. 이로 인해, 지그(10)에 의해 플러그(100)를 유지할 때에, 바닥면(S3)은 제1 플랜지부(104)에 걸리지 않고 제1 플랜지부(104)의 아래쪽으로 랩 어라운드(wrap around)하게 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jig 10, the plug 100 can be easily held by the following reasons.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S3 of the concave portion 16 to the lower end surface S7 of the gripping member 12 is set to a distance T1 do. 4, the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102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flange portion 104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distance T2. In this case, the distance T1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T2. As a result, when the plug 100 is held by the jig 10, the bottom surface S3 is wrapped around the lower side of the first flange portion 104 without being caught by the first flange portion 104 do.

또, 오목부(18)에서의 바닥면(S6)에서 파지부재(14)의 아래쪽의 단면(S8)까지의 상하방향에서의 거리를 거리 T1로 한다. 또, 원통부(102)의 하단부에서 제2 플랜지부(106)의 하단부까지의 상하방향에서의 거리를 거리 T2로 한다. 이 경우, 거리 T1은 거리 T2보다도 작다. 이로 인해, 지그(10)에 의해 플러그(100)를 유지할 때에, 바닥면(S6)은 제2 플랜지부(106)에 걸리지 않고 제2 플랜지부(106)의 아래쪽으로 랩 어라운드하게 된다. 그 결과, 지그(10)에 의하면 플러그(100)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The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S6 of the concave portion 18 to the lower end surface S8 of the gripping member 14 is referred to as a distance T1. The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102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lange portion 106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distance T2. In this case, the distance T1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T2. The bottom surface S6 is wrapped around the second flange portion 106 without being caught by the second flange portion 106 when the plug 100 is held by the jig 10. [ As a result, the plug 100 can be easily held by the jig 10.

또, 지그(10)에 의하면, 이하의 이유에 의해서도 플러그(100)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면(S3, S6)의 앞 끝 부근은 앞쪽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아래쪽으로 진행되도록 경사져 있다. 이로 인해, 바닥면(S3, S6)은 각각 제1 플랜지부(104) 및 제2 플랜지부(106)에 걸리지 않고 제1 플랜지부(104) 및 제2 플랜지부(106)의 아래쪽으로 랩 어라운드하게 된다. 그 결과, 지그(10)에 의하면 플러그(100)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jig 10, the plug 100 can be easily held by the following reasons. More specifically, the vicinity of the front end of the bottom surfaces S3 and S6 is inclined so as to proceed downward as it goes forward. The bottom faces S3 and S6 do not engage the first flange portion 104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106 and are wrapped around the first flange portion 104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106, . As a result, the plug 100 can be easily held by the jig 10.

또, 지그(10)에 의하면, 플러그(100)에 손상을 주는 것이 억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파지부재(12, 14)를 좌우방향에서 집으면, 파지부재(12, 14)의 선단에 의해 플러그(100)가 집힌다. 여기서, 파지부재(12)의 좌우방향에서의 굴곡 강성은, 파지부재(14)의 좌우방향에서의 굴곡 강성보다도 낮다. 그렇기 때문에, 파지부재(12)가 왼쪽을 향하여 휘도록 구부러진다. 이로 인해, 파지부재(12, 14)에 의해 플러그(100)에 대하여 과도하게 큰 힘이 가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플러그(100)에 손상을 주는 것이 억제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jig 10, damage to the plug 100 is suppressed. 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grips the gripping members 12 and 14 from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plug 100 is held by the tips of the gripping members 12 and 14. [ Here, the bending rigidity of the grip member 12 in the left-right direction is lower than the bending rigidity of the grip member 14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refore, the gripping member 12 is bent so as to bend toward the left. As a result, an excessive force is prevented from being applied to the plug 100 by the gripping members 12 and 14. [ As a result, damage to the plug 100 is suppressed.

(제1 변형예) (First Modification)

다음으로, 제1 변형예에 따른 지그(10a)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지그(10a)의 정면도이다. Next, the jig 10a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8 is a front view of the jig 10a.

지그(10a)는 슬릿(S)의 형상에 있어서 지그(10)와 상이하다. 이하에, 이러한 상이점을 중심으로 지그(10a)에 대해서 설명한다. The jig 10a is different from the jig 10 in the shape of the slit S. Hereinafter, the jig 10a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se differences.

지그(10a)에서 슬릿(S)은 파지부재(12, 14) 및 접속부(15)를 구성하는 봉상부재의 좌우방향의 중앙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지그(10a)에 있어서도, 지그(10)와 마찬가지로 플러그(100)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 slit S in the jig 10a extends linear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center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rod-like member constituting the gripping members 12, 14 and the connecting portion 15. The plug 100 can be easily held in the jig 10a like the jig 10. [

또, 슬릿(S)이 직선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지그(10)와 비교하여 지그(10a)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slit S has a linear shape, the jig 10a can be easily manufactured in comparison with the jig 10. Fig.

(제2 변형예) (Second Modification)

다음으로, 제2 변형예에 따른 지그(10b)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는 지그(10b)의 정면도이다. Next, the jig 10b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9 is a front view of the jig 10b.

지그(10b)는 슬릿(S)의 위치에 있어서 지그(10a)와 상이하다. 이하에, 이러한 상이점을 중심으로 지그(10b)에 대해서 설명한다. The jig 10b is different from the jig 10a at the position of the slit S. Hereinafter, the jig 10b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se differences.

슬릿(S)은 파지부재(12, 14) 및 접속부(15)를 구성하는 봉상부재의 좌우방향의 중앙보다도 왼쪽(즉, 파지부재(12)쪽)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지그(10b)에 있어서도, 지그(10)와 마찬가지로 플러그(100)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 slit S extends linearly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left side (i.e., on the gripping member 12 side) of the center of the rod-like member constituting the gripping members 12, 14 and the connecting portion 15 . In this jig 10b, the plug 100 can be easily held like the jig 10.

또, 파지부재(12)는 파지부재(14)보다도 가늘다. 그렇기 때문에, 파지부재(12)의 좌우방향에서의 굴곡 강성은, 파지부재(14)의 좌우방향에서의 굴곡 강성보다도 낮아진다. Further, the gripping member 12 is thinner than the gripping member 14. Therefore, the bending rigidity of the gripping member 12 in the left-right direction is lower than the bending rigidity of the gripping member 14 in the left-right direction.

(제3 변형예) (Third Modification)

다음으로, 제3 변형예에 따른 지그(10c)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a는 지그(10c)의 정면도이다. Next, the jig 10c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0A is a front view of the jig 10c.

지그(10c)는 슬릿(S)의 형상에 있어서 지그(10a)와 상이하다. 이하에, 이러한 상이점을 중심으로 지그(10c)에 대해서 설명한다. The jig 10c is different from the jig 10a in the shape of the slit S. Hereinafter, the jig 10c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se differences.

지그(10c)의 슬릿(S)의 폭은 지그(10a)의 슬릿(S)의 폭보다도 굵다. 또, 파지부재(12)에는 슬릿(S) 내에 오른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20)가 마련되어 있다. 파지부재(14)에는 슬릿(S) 내에 왼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22)가 마련되어 있다. 돌기(20)와 돌기(22)는 좌우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이러한 지그(10c)에 있어서도, 지그(10)와 마찬가지로 플러그(100)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 width of the slit S of the jig 10c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lit S of the jig 10a. The grip member 12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20 projecting rightward in the slit S. [ The grip member 14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22 projecting leftward in the slit S. The projections 20 and the projections 22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Also in the jig 10c, the plug 100 can be easily held like the jig 10.

또, 지그(10c)에 의하면 플러그(100)에 손상을 주는 것이 억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파지부재(12, 14)를 좌우방향에서 집으면, 파지부재(12, 14)의 선단에 의해 플러그(100)가 집힌다. 단, 사용자가 파지부재(12, 14)를 강한 힘으로 좌우방향에서 집더라도, 돌기(20)와 돌기(22)가 접촉하여 파지부재(12)의 선단과 파지부재(14)의 선단이 지나치게 근접하는 경우가 없다. 이로 인해, 파지부재(12, 14)에 의해 플러그(100)에 대하여 과도하게 큰 힘이 가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플러그(100)에 손상을 주는 것이 억제된다. In addition, the jig 10c prevents the plug 100 from being damaged. 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grips the gripping members 12 and 14 from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plug 100 is held by the tips of the gripping members 12 and 14. [ However, even if the user picks up the gripping members 12 and 14 from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a strong force, the protrusion 20 and the protrusion 22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distal end of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distal end of the gripping member 14 are excessively There is no case where it is close. As a result, an excessive force is prevented from being applied to the plug 100 by the gripping members 12 and 14. [ As a result, damage to the plug 100 is suppressed.

(제4 변형예) (Fourth Modification)

다음으로, 제4 변형예에 따른 지그(10d)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b는 지그(10d)의 정면도이다. 도 10c는 좌우방향에서 힘(F)을 가했을 때의 지그(10d)의 정면도이다. Next, the jig 10d according to the fourth modified exam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0B is a front view of the jig 10d. 10C is a front view of the jig 10d when the force F is appli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지그(10, 10a~10c)에서 파지부재(12)의 하단부와 파지부재(14)의 하단부는, 파지부재(12) 및 파지부재(14)가 좌우방향으로 힘(F)을 받았을 때(도 3 참조)에는, 파지부재(12) 및 파지부재(14)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지 않을 때(도 1 참조)보다도 접근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4 in the jigs 10 and 10a to 10c are arranged such that when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gripping member 14 receive the force F in the left- 3),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gripping member 14 can be closer to each other than when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gripping member 14 are not being subjected to the force in the second direction (see FIG. 1).

한편 지그(10d)에서 파지부재(12)의 하단부와 파지부재(14)의 하단부는, 파지부재(12) 및 파지부재(14)가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에 집혀서 좌우방향으로 힘(F)(참고값: 3N~30N 모멘트(moment)로서 0.015~1.5N·m)을 받았을 때(도 10c 참조)에는 파지부재(12) 및 파지부재(14)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지 않을 때(도 10b 참조)보다도 멀어질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지그(10d)의 슬릿(S)의 형상은 지그(10)의 슬릿(S)의 형상과 다르다. 이하에, 지그(10d)에 대해서 이러한 상이점을 중심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jig 10d,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4 are engaged with the thumb and index finger so that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gripping member 14 are gripped by the force F in the left- (Refer to FIG. 10C), when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gripping member 14 are not being subjected to the force in the second direction (reference value: 0.015 to 1.5 N · m as a 3N to 30N moment) (See Fig. 10B). Therefore, the shape of the slit S of the jig 10d is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slit S of the jig 10. Hereinafter, the jig 10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cusing on these differences.

지그(10d)는 예를 들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1개의 각기둥 형상의 봉상부재가 가공되어서 제작된다. 봉상부재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제 또는 동제이다. 지그(10d)에는 슬릿(S)이 마련되어 있다. 슬릿(S)은 각기둥 형상의 봉상부재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봉상부재의 하단에서 위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단, 슬릿(S)은 봉상부재의 상단까지는 도달하고 있지 않다. 이로 인해, 슬릿(S)보다도 위쪽에는 접속부(15)가 형성되고, 봉상부재에 있어서 슬릿(S)이 형성된 부분이 좌우로 분할되어서 파지부재(12) 및 파지부재(14)가 형성되어 있다. The jig 10d is manufactured, for example, by machining a single prismatic bar-shaped member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od member is, for example, stainless steel or copper alloy. The jig 10d is provided with a slit S therein. The slit S passes through the prismatic bar-shaped memb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extends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bar-shaped member. However, the slit S does not reach the upper end of the rod-shaped member. Thus, the connecting portion 15 is formed above the slit S, and the portion of the rod-shaped member where the slit S is formed is divided into right and left portions to form the holding member 12 and the holding member 14. [

그런데 지그(10d)에서는, 파지부재(12, 14)에는 상하방향으로 나열되는 구간(A4~A7)이 규정되어 있다. 구간(A4~A7)은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이 순서대로 나열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즉, 구간(A4, A5)은 구간(A6)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슬릿(S)은 지그(10d)를 앞쪽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구간(A4~A7)을 통과하고 있다. However, in the jig 10d, the holding members 12 and 14 are provided with the sections A4 to A7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tions A4 to A7 are positioned so as to be arranged in this ord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at is, the sections A4 and A5 are located lower than the section A6. The slit S passes through the sections A4 to A7 when viewed from the front from the front side of the jig 10d.

슬릿(S)은 지그(10d)를 앞쪽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구간(A5, A6)에 있어서 봉상부재의 좌우방향의 중앙보다도 왼쪽(즉, 파지부재(12)쪽)을 통과하고 있다. 또, 슬릿(S)은 지그(10d)를 앞쪽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구간(A4, A7)에 있어서 봉상부재의 좌우방향의 중앙을 통과하고 있다. 또한, 지그(10d)를 앞쪽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구간(A6)에서의 슬릿(S)의 폭(Wa)은, 구간(A4, A5, A7)에서의 슬릿(S)의 폭(Wb)보다도 넓다. The slit S passes through the left side (i.e., the gripping member 12 side)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center of the bar-like member in the sections A5 and A6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jig 10d. The slit S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bar-shaped memb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sections A4 and A7 when viewed from the front from the front side of the jig 10d. The width Wa of the slit S in the section A6 when the jig 10d is viewed from the front is larger than the width Wb of the slit S in the sections A4, .

이상과 같은 슬릿(S)이 형성됨으로써, 구간(A6)에 있어서 파지부재(12)는 파지부재(14)보다도 가늘어져 있다. 이로 인해, 구간(A6)에서의 파지부재(12)의 좌우방향에서의 굴곡 강성은, 구간(A6)에서의 파지부재(14)의 좌우방향에서의 굴곡 강성보다도 낮아져 있다. 즉, 구간(A6)에서의 파지부재(12)는, 구간(A6)에서의 파지부재(14)보다도 좌우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쉽다. By forming the slit S as described above, the gripping member 12 is thinner than the gripping member 14 in the section A6. The bending rigidity of the gripping member 12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section A6 is lower than the bending rigidit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gripping member 14 in the section A6. That is, the gripping member 12 in the section A6 is more likely to bend in the lateral direction than the gripping member 14 in the section A6.

이상과 같이 구성된 지그(10d)에서 파지부재(12)의 하단부와 파지부재(14)의 하단부는, 파지부재(12) 및 파지부재(14)의 구간(A6)이 좌우방향으로 힘(F)을 받았을 때(도 10c 참조)에는, 파지부재(12) 및 파지부재(14)의 구간(A6)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지 않을 때(도 10b 참조)보다도 멀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파지부재(12)의 구간(A6)을 오른쪽으로 누르고, 파지부재(14)의 구간(A6)을 왼쪽으로 누르면, 파지부재(12, 14)가 탄성변형하여 구간(A7)에 있어서 슬릿(S)이 닫히려고 한다. 그리고, 구간(A5)의 상단에 있어서 파지부재(12)와 파지부재(14)가 접촉한다. 단, 구간(A6)에서의 슬릿(S)의 폭(Wa)은, 구간(A5)에서의 슬릿(S)의 폭(Wb)보다도 넓다. 그렇기 때문에, 구간(A6)에 있어서 슬릿(S)이 닫혀 있지 않다. 또한, 구간(A6)에서의 파지부재(12)의 좌우방향에서의 굴곡 강성은, 구간(A6)에서의 파지부재(14)의 좌우방향에서의 굴곡 강성보다도 낮아져 있다. 따라서,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부재(12)는 구간(A6)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감에 따라서 왼쪽을 향하여 휘도록 구부러진다. 그렇기 때문에, 파지부재(12)는 구간(A5, A4)에 있어서, 왼쪽 아래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 결과, 파지부재(12)의 하단부와 파지부재(14)의 하단부가 멀어진다.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4 in the jig 10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positioned such that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segment A6 of the gripping member 14 move in the left- (See Fig. 10C), the section A6 of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gripping member 14 can be farther away than when the force is not applied in the second direction (see Fig. 10B). More specifically, when the section A6 of the holding member 12 is pushed to the right and the section A6 of the holding member 14 is pushed to the left, the holding members 12 and 14 are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slit S tries to close.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gripping member 14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upper end of the section A5. The width Wa of the slit S in the section A6 is wider than the width Wb of the slit S in the section A5. Therefore, the slit S is not closed in the section A6. The bending rigidity of the holding member 12 in the lateral direction A6 in the section A6 is lower than the bending rigidity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holding member 14 in the section A6. Therefore, as shown in Fig. 10C, the gripping member 12 is bent so as to bend toward the left as it goes downward in the section A6. Therefore, the gripping member 12 extends toward the lower left in the sections A5 and A4. As a result,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4 are distant from each other.

이상과 같이 구성된 지그(10d)에서 사용자는, 플러그(100)를 지그(10d)에 의해 유지할 경우에는 파지부재(12)와 파지부재(14)를 좌우방향에서 집지 않는다. 이로 인해, 파지부재(12)의 하단부와 파지부재(14)의 하단부는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가까이 가서 플러그(100)를 집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플러그(100)를 지그(10d)에 의해 유지하지 않을 경우에는 파지부재(12)와 파지부재(14)를 좌우방향에서 집는다. 이로 인해, 파지부재(12)의 하단부와 파지부재(14)의 하단부는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멀어져서 플러그(100)를 집지 않게 된다. In the jig 10d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lug 100 is held by the jig 10d, the user does not hold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gripping member 14 in the left-right direction. As a result,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4 relatively approach each other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when the plug 100 is not held by the jig 10d, the user holds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gripping member 14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a result,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4 are relatively far apart as shown in Fig. 10C, so that the plug 100 is not gripped.

이상과 같이 구성된 지그(10d)에 의하면, 지그(10)와 마찬가지로 플러그(100)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The jig 10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easily hold the plug 100 like the jig 10.

또한 지그(10d)에 의하면, 지그(10d)에 의해 플러그(100)를 유지할 때에 사용자는 파지부재(12)와 파지부재(14)를 좌우방향에서 집지 않아도 된다. 즉, 사용자가 큰 힘을 가하지 않아도 지그(10d)에 의해 플러그(100)가 유지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그(10d)에 의해 플러그(100)가 유지된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jig 10d, when the plug 100 is held by the jig 10d, the user does not have to grasp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gripping member 14 in the lateral direction. That is, the state where the plug 100 is held by the jig 10d is maintained even if the user does not apply a large force.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maintain the state where the plug 100 is held by the jig 10d.

(제5 변형예) (Fifth Modification)

다음으로, 제5 변형예에 따른 지그(10e)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d는 지그(10e)의 정면도이다. Next, the jig 10e according to the fifth modified exam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0D is a front view of the jig 10e.

지그(10e)는 슬릿(S)의 형상에 있어서 지그(10d)와 상이하다. 이하에, 이러한 상이점을 중심으로 지그(10e)에 대해서 설명한다. The jig 10e is different from the jig 10d in the shape of the slit S. Hereinafter, the jig 10e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se differences.

그런데 지그(10e)에서는, 파지부재(12, 14)에는 상하방향으로 나열되는 구간(A8~A10)이 규정되어 있다. 구간(A8~A10)은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이 순서대로 나열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즉, 구간(A8)은 구간(A9)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슬릿(S)은 앞쪽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구간(A8~A10)을 통과하고 있다. However, in the jig 10e, the gripping members 12 and 14 are provided with sections A8 to A10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tions A8 to A10 are positioned so as to be arranged in this ord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at is, the section A8 is located lower than the section A9. The slit S passes through the sections A8 to A10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in a plan view.

슬릿(S)은 앞쪽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구간(A8~A10)에 있어서 봉상부재의 좌우방향의 중앙을 통과하고 있다. 또한, 앞쪽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구간(A9)에서의 슬릿(S)의 폭(Wa)은, 구간(A8, A10)에서의 슬릿(S)의 폭(Wb)보다도 넓다. The slit S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bar-shaped memb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section A8 to A10 when viewed from the front from the front. The width Wa of the slit S in the section A9 is wider than the width Wb of the slit S in the sections A8 and A10 when viewed from the front from the front.

이상과 같이 구성된 지그(10e)에서는, 지그(10d)와 마찬가지로 파지부재(12)의 하단부와 파지부재(14)의 하단부는, 파지부재(12) 및 파지부재(14)의 구간(A9)이 좌우방향으로 힘(F)을 받았을 때에 파지부재(12) 및 파지부재(14)의 구간(A9)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지 않을 때보다도 멀어질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member 14 in the jig 10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positioned such that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section A9 of the gripping member 14 The section A9 of the gripping member 12 and the gripping member 14 can be farther than when the force F is received in the second direction.

이상과 같이 구성된 지그(10e)에 의하면, 지그(10d)와 마찬가지로 플러그(100)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The jig 10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easily hold the plug 100 like the jig 10d.

또한, 지그(10e)에 의하면, 사용자는 지그(10e)에 의해 플러그(100)가 유지된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jig 10e, the user can easily maintain the state where the plug 100 is held by the jig 10e.

(기타 실시형태) (Other Embodiment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그는, 상기 지그(10, 10a~10e)에 한하지 않고 그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변경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jigs 10, 10a to 10e, but can be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지그(10, 10a~10e)의 구성을 임의로 조합해도 된다. The configurations of the jigs 10 and 10a to 10e may be arbitrarily combined.

또, 지그(10, 10a~10e)는 핀셋형이라고 했지만, 가위형이어도 된다. Although the jigs 10 and 10a to 10e are tweezers, they may be of the scissors type.

또, 지그(10, 10a~10e)는 1개의 봉상부재를 가공하여 제작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판상부재의 상단이 용접됨으로써 제작되어도 되고, 기타 방법에 의해 제작되어도 된다. Although the jigs 10 and 10a to 10e are manufactured by machining one bar member, for example, they may be manufactured by welding the upper ends of two plate members extend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do.

또 지그(10, 10b, 10d)에 있어서, 파지부재(12)의 구조와 파지부재(14)의 구조가 교체되어도 된다. In the jigs 10, 10b, and 10d, the structure of the holding member 12 and the structure of the holding member 14 may be replac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지그에 유용하며, 특히 플러그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점에 있어서 뛰어나다. 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for a jig, and particularly excellent in that it can easily hold a plug.

10, 10a~10e: 지그
12, 14: 파지부재
15: 접속부
16, 18: 오목부
100: 플러그
102: 원통부
104: 제1 플랜지부
106: 제2 플랜지부
108: 동축 케이블
200: 리셉터클
202: 원통부
204: 중심도체
A1~A10: 구간
S: 슬릿
10, 10a to 10e: jig
12, 14:
15: Connection
16, 18:
100: Plug
102:
104: first flange portion
106: second flange portion
108: Coaxial cable
200: Receptacle
202:
204: center conductor
A1 to A10: Section
S: Slit

Claims (14)

케이블의 일단(一端)에 마련되면서, 리셉터클(receptacle)에 장착되는 플러그이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부와,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상기 통형상부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의 한쪽측 및 다른쪽측의 각각을 따라서 돌출되는 제1 플랜지부(flange) 및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한 플러그를, 상기 제1 방향의 한쪽측을 향하여 밀어 넣어서 상기 리셉터클에 장착하는 지그이며,
상기 플러그를 상기 리셉터클에 장착할 때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의 한쪽측 끝에 위치하는 일단부를 가지는 제1 부재와,
상기 플러그를 상기 리셉터클에 장착할 때에, 상기 제1 부재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의 한쪽측 끝에 위치하는 일단부를 가지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 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제2 부재의 일단부는, 상대적으로 가까워진 상태와 상대적으로 멀어진 상태를 취할 수 있고,
상기 제1 부재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부재의 일단부의 각각에는, 상기 플러그를 상기 리셉터클에 장착할 때에,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직교하는 제3 방향의 한쪽측을 향하여 패인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플러그가 상기 리셉터클로부터 장착될 때에, 상기 통형상부는 상기 제1 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제2 부재의 일단부에 집혀서, 상기 제1 플랜지부는 상기 제1 오목부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플랜지부는 상기 제2 오목부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A plug mounted on a receptacle provided at one end of a cable, the plug being a tubular port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from the tubular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A plug including a first flange and a second flange protruding alo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a second orthogonal direction is pushed toward one side in the first direction and mounted on the receptacle Jig,
A first member extend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having one end located at one end of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plug is mounted to the receptacle,
And a second member extending along the first member and having one end located at one end of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plug is mounted on the receptacle,
The one end of the first member and the one end of the second member can take a relatively close state and a relatively far state,
Wherein when one end of the first member and one end of the second member are mounted on the receptacle,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thir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econd direction, A first concave portion and a second concave portion are provided,
Wherein when the plug is mounted from the receptacle, the tubular portion is caught at one end of the first member and at one end of the second member such that the first flange portion is located within the first recess, And the second recess is located in the second rec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플러그에 대하여 상기 제3 방향의 한쪽측을 향하여 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ble is drawn out toward one side of the plug in the third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제2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힘을 받았을 때에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지 않을 때보다도 접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end of the first member and one end of the second member are arranged such that whe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urg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The ji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accessed more than when it is not receiving pow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2 방향에서의 굴곡 강성(剛性)은,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방향에서의 굴곡 강성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ending rigidity of the first member in the second direction is lower than the bending rigidity of the second member in the second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상(棒狀)부재를 상기 제3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slit)이며, 상기 봉상부재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다른쪽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슬릿이 마련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slits passing through the rod member in the first direction and extending from the one end of the rod member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lit extending toward the side of the ji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나열되는 제1 구간 및 제2 구간이 규정되어 있고,
상기 슬릿은, 상기 제3 방향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상기 제1 구간에 있어서 상기 봉상부재의 상기 제2 방향의 중앙보다도 상기 제1 부재측을 통과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1 구간을 제외하는 상기 제2 구간에 있어서 상기 봉상부재의 상기 제2 방향의 중앙을 통과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6. The method of claim 5,
A first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are defined i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Wherein the slit passes through the first member side more than the center of the rod member in the second direction in the first section when viewed from a plane from the third direction, 2 section of the bar-shaped member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bar-shaped member in the second dire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제1 구간의 일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른 직선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제1 구간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의 양측에는 상기 제2 구간이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lit has a linear shape along the first direction in a part of 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슬릿의 상기 제1 방향의 중앙보다도 상기 제1 방향의 한쪽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section is located on one side in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lit in the first direction.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폭은, 상기 제3 방향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Wherein a width of the slit is substantially constant when viewed from a plane from the third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제2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힘을 받았을 때에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지 않을 때보다도 멀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one end of the first member and one end of the second member are arranged such that whe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urg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The jig can be moved further away than when it is not receiving the for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나열되는 제3 구간 및 제4 구간이 규정되어 있고,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상부재를 상기 제3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으로서, 상기 봉상부재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다른쪽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슬릿이 마련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방향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상기 제4 구간에서의 상기 슬릿의 폭은, 상기 제3 구간에서의 상기 슬릿의 폭보다도 넓고,
상기 제3 구간은, 상기 제4 구간보다도 상기 제1 방향의 한쪽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11. The method of claim 10,
A third section and a fourth section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are defined i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Wherei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slits that penetrate the rod-like member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in the third direction and slits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rod-like member toward the other side in the first direction Respectively,
The width of the slit in the fourth section when viewed in a plane from the third direction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slit in the third section,
And the third section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section with respect to the fourth sec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구간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2 방향에서의 굴곡 강성은,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방향에서의 굴곡 강성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bending rigidity of the first member in the second direction is lower than the bending rigidity of the second member in the second direction in the fourth section.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의 한쪽측에 위치하는 안쪽 둘레면의 일부는, 상기 제3 방향의 다른쪽측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상기 제1 방향의 한쪽측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direction in the first concave portion advances toward one side in the first direction as it progresses to the other side in the third direction Jig.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의 한쪽측에 위치하는 안쪽 둘레면에서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제1 방향의 한쪽측의 단면(端面)까지의 거리는, 상기 통형상부의 상기 제1 방향의 한쪽측의 단부(端部)에서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상기 제1 방향의 한쪽측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distanc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located on one side in the first direction to the end surface on one side of the first direction in the first concavity is lar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first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first direction Is smaller than a distance from an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flange portion to an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flange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KR1020140149429A 2014-01-07 2014-10-30 Jig KR10165894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00884 2014-01-07
JP2014000884 2014-01-07
JP2014099595A JP6003944B2 (en) 2014-01-07 2014-05-13 jig
JPJP-P-2014-099595 2014-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077A true KR20150082077A (en) 2015-07-15
KR101658948B1 KR101658948B1 (en) 2016-09-22

Family

ID=5364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429A KR101658948B1 (en) 2014-01-07 2014-10-30 Jig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58948B1 (en)
CN (1) CN104767099B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970A (en) * 2017-12-18 2020-05-15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Jig
KR20220147365A (en) *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센서뷰 Jig for insertion/extraction of conn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9149B2 (en) 2019-03-15 2022-01-18 Honda Motor Co., Ltd. Electronic coupler removal too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1672A (en) * 2000-06-23 2002-01-1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Connector detachable tool
JP2004022181A (en) * 2002-06-12 2004-01-22 Jst Mfg Co Ltd Connector insertion and pulling-out jig
JP2005050720A (en) * 2003-07-30 2005-02-24 Hirose Electric Co Ltd Coaxial electric connector
JP2006004791A (en) 2004-06-18 2006-01-05 Hirose Electric Co Ltd Tool for electric connector and connector pulling out method using the same
JP2010267581A (en) * 2009-05-18 2010-11-25 Murata Mfg Co Ltd Fixtu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1408A (en) * 1987-11-27 1988-11-01 Eaton Corporation Cover tool removal
JP2012033359A (en) * 2010-07-30 2012-02-16 Murata Mfg Co Ltd Jig
CN102447209B (en) * 2010-09-30 2014-01-29 佛山普立华科技有限公司 Disassembl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1672A (en) * 2000-06-23 2002-01-1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Connector detachable tool
JP2004022181A (en) * 2002-06-12 2004-01-22 Jst Mfg Co Ltd Connector insertion and pulling-out jig
JP2005050720A (en) * 2003-07-30 2005-02-24 Hirose Electric Co Ltd Coaxial electric connector
JP2006004791A (en) 2004-06-18 2006-01-05 Hirose Electric Co Ltd Tool for electric connector and connector pulling out method using the same
JP2010267581A (en) * 2009-05-18 2010-11-25 Murata Mfg Co Ltd Fix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970A (en) * 2017-12-18 2020-05-15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Jig
KR20220147365A (en) *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센서뷰 Jig for insertion/extraction of connector
WO2022231163A1 (en) *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센서뷰 Jig for inserting and extracting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948B1 (en) 2016-09-22
CN104767099B (en) 2017-09-26
CN104767099A (en)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5537B2 (en) Stackable electrical connector and housing for the same
KR101658948B1 (en) Jig
JP5696211B2 (en) Optical fiber coating removal tool and coating removal method
US10148039B2 (en) Communication connector
JP2013182889A (en) Cap body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JP6194541B2 (en) Terminal holding member, and clamping device comprising terminal holding member and conductive member
JP3230265U (en) Cable connector with shield sleev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6003944B2 (en) jig
US20140057483A1 (en) Bridge for an electrical terminal
CA2783455A1 (en) Hand tool
CN111480271B (en) Clamp apparatus
JP7313481B2 (en) Safe separation of plug connector parts
JP2013232283A (en) Termin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7142957A (en) Electric connector
JP2008282596A (en) Wire positioning jig, crimping machine, and wire positioning method
JP6803891B2 (en) Terminals, methods for connecting wires to terminals, and jigs
WO2023204074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disassembly tool
US20180316101A1 (en) Device for holding and bringing into electrical contact conductors
KR200473185Y1 (en) Terminal
NL2026477B1 (en) Female conductor socket and associated connector
KR200249919Y1 (en) a female terminal
JP2023160291A (en) Connector and connector disassembling tool
JP6370693B2 (en) Connector terminal removal structure
JP2014017265A (en) Wire holder an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harness
JP2020090068A (en) Holding method for holding terminal with mold and terminal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