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033A - 전기, 온수용 매트 - Google Patents

전기, 온수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033A
KR20150082033A KR1020140030120A KR20140030120A KR20150082033A KR 20150082033 A KR20150082033 A KR 20150082033A KR 1020140030120 A KR1020140030120 A KR 1020140030120A KR 20140030120 A KR20140030120 A KR 20140030120A KR 20150082033 A KR20150082033 A KR 20150082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mat
electric
sheet
lay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6870B1 (ko
Inventor
김형곤
Original Assignee
김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곤 filed Critical 김형곤
Publication of KR20150082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형상의 하층부시트, 작동유체가 함침된 축열체, 축열체에 삽입된 발열체, 상층부시트를 위치시키고 압착하여 접착시켜 축열체에 함침된 작동유체가 한곳으로 몰리거나 현저히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시키고 전열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전기, 온수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온수용 매트는, 방수성을 갖는 재질로서 소정의 넓이를 갖는 하층부시트(10)와; 하층부시트(10)의 상부에 위치는 축열체(20)와; 축열체(20)에 함침되며 발열체(40)로 가열되어 액상에서 증기상으로 변화되는 작동유체(30)와; 축열체(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체(40)와; 방수성을 갖는 재질로서 하층부시트와 동일한 넓이를 갖는 상층부시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온수용 매트{MAT FOR ELECTRIC, HOT WATER}
본 발명은 전기 또는 온수를 이용한 이용한 매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소정형상의 하층부시트, 작동유체가 함침된 축열체, 축열체에 삽입된 발열체, 상층부시트를 위치시키고 압착하여 접착시켜 축열체에 함침된 작동유체가 한곳으로 몰리거나 현저히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시키고 전열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전기, 온수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난방용 메트는 발열선이 내장된 전기매트 또는 온수관이 내장된 온수매트가 사용된다.
종래의 전기매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복수층으로 이루는 소정의 내장재를 감싸기 위한 상, 하부 외장재(2)와, 상기 상부 외장재(2)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 스펀지층(3)과, 상기 스펀지층(3)의 하부에 배치되는 열선(4)과, 열선(4)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스펀지층(3)과, 상기 하부 스펀지층(3)의 하부에 배치되는 단열재(5)와, 강도유지를 위하여 상기 단열재(5)의 하부에 배치한 견면매트(6)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전기매트는 열선이 배열된 주위만이 가열되기 때문에 열선을 조밀하게 설치할 수밖에 없어 과도한 전력이 소비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온수매트의 경우에도 온수관이 배열된 주위만이 가열되기 때문에 온수관을 조밀하게 설치할 수 밖에 없어 온수매트의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소정형상의 하층부시트, 작동유체가 함침된 축열체, 축열체에 삽입된 발열체, 상층부시트를 위치시키고 압착하여 접착시켜 축열체에 함침된 작동유체가 한곳으로 몰리거나 현저히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시키고 전열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전기, 온수용 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소정형상의 하층부시트, 작동유체가 함침된 축열체, 축열체에 삽입된 발열체, 상층부시트를 위치시키고 압착시키면서 내부를 진공 또는 부기압으로 조성하여 발열체의 적은 에너지 투입만으로도 단시간 내에 가열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전기, 온수용 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소정형상의 하층부시트, 작동유체가 함침된 축열체, 축열체에 삽입된 발열체, 상층부시트를 위치시키고 세로 또는 가로방향으로 일정한 폭만큼 분리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압착하여 접착시켜 축열체에 함침된 작동유체가 한곳으로 몰리거나 현저히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시키고 전열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전기, 온수용 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접착된 전기, 온수용 매트의 분리공간에 진공보다는 높고 대기압보다는 낮은 상태의 부기압을 조성하여 작동유체가 액상에서 기상으로 상변화되는 비등온도를 낮춤으로써 신속한 가열과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기, 온수용 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온수용 매트는, 방수성을 갖는 재질의 하층부시트(10)와; 하층부시트(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축열체(20)와; 축열체(20)에 함침되며 발열체(40)로 가열되어 액상에서 증기상으로 변화되는 작동유체(30)와; 축열체(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체(40)와; 발열체(40)의 상부에 위치하는 방수성 재질의 상층부시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발열체(40)는 열선, 온수관 또는 면상발열체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하부층시트(10) 또는 상부층시트(50)의 일측에는 내부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구(60)와, 발열체(40)가 입출되도록 인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축열체(20)는 동일한 크기의 하부축열체(22)와 상부축열체(23)로 이루어지고, 발열체(40)는 하부축열체(22)와 상부축열체(23)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하부축열체(22) 또는 상부축열체(23)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발열체(40)가 놓여지는 지그재그 형태의 안착홈(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하층부시트(10)와 작동유체(30)를 함침하는 축열체(20), 발열체(40) 및 상층부시트(50)의 테두리는 압착하여 접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하층부시트(10)와 작동유체(30)를 함침하는 축열체(20), 발열체(40) 및 상층부시트(50)는 일정간격의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압착하여 접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하층부시트(10)와 상층부시트(50)의 테두리 중 3면을 압착하여 접착시키고, 1면을 착탈부(70)로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작동유체(30)가 함침되고 발열체(40)가 배치된 축열체(20)를 착탈식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전기, 온수용 매트의 내부는 진공 또는 부기압으로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층부시트(50)의 상부에 방열판(8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축열체(20)와 하층부시트(10) 사이에 상부면 쪽으로 열반사 시키는 단열 반사판(9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수용 매트는 하층부시트, 작동유체가 함침된 축열체, 축열체에 삽입된 발열체, 상층부시트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압착하여 접착되기 때문에 메트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축열체에 함침된 작동유체가 한곳으로 몰리거나 현저히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수용 매트는 열선 또는 온수관, 면상 발열체에 의해 가열된 작동유체가 액상에서 증기상으로 상변화 되어 구역으로 빠르게 전파되고, 전파된 증기가 응축하는 과정에서 방출하는 응축열이 메트를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고, 전기, 온수용 매트 전열면 전체를 고르게 가열할 수 있어 전열면의 온도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진공 또는 부기압 상태가 조성된 전기, 온수용 매트는 축열체에 함침된 작동유체의 비등점이 75∼85℃ 정도로 낮아짐으로써, 발열체에 의해 작동유체가 액상에서 증기상으로 빠르게 전이되어 전파되고, 열선이나 온수관에 적은 에너지 투입만으로도 신속한 열이동 및 방열이 이루어져 단시간 내에 가열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되며, 일반 증기열 보다 훨씬 낮은 75∼85℃의 저온 증기로 방열하게 되므로 과열이나 화상 및 화재로부터 비교적 안전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전기, 온수용 매트의 내부를 진공 또는 부기압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발열체에 의해 작동유체가 액상에서 증기상으로 빠르게 전이되어 전파될 수 있어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할 수 있어 온도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메트의 상부면에 방열판을 형성하면 바닥에 매립되는 전기보일러용 매트로 사용하거나 또는 일반 가정용 전기매트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트가 작동유체의 상변화로 가열되고 방열하므로 가열하지 않고 사용하는 여름철에는 작동유체가 사용자의 체온열, 또는 실내 공기열을 취해 저온증발에 의한 상변화 과정이 유발되어 메트보다 상대적으로 저온상태인 상대편 쪽 즉, 메트의 배면(방바닥) 쪽으로 방열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체온, 실내온도를 상당히 떨어뜨리는 냉방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관을 사용하는 경우 1차적으로 온수관 열로 작동유체가 액상에서 증기상으로 상변화되어 전열면 전체로 고르게 전파되고, 2차적으로 전열면에서 응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열을 난방에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온수매트가 온수의 원할한 흐름을 위한 곡률반경의 제약으로 온수관의 배치 간격이 드물게 되어 온수관 사이의 열전달 및 열분포가 고르지 못하였던 것에 비해 전열면 전체의 온도분포가 균일하고 전열효과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열선에서 발생된 열을 난방에 직접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작동유체를 기상으로 상변화시키고 이를 난방에 사용하기 때문에, 전열면(적)의 한계로 인해 열선을 조밀하게 설치해야 하는 종래의 전기매트나 전기 난방판넬에 비해 열선 설치량이 감소됨과 동시에 전력 소비량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메트의 축열체 내에 열선과 작동유체가 동시 수용되고 이를 상, 하층부시트로 접착하여 밀폐, 절연시킴으로써, 메트 내 축열체 공간은 습도가 매우 높고 잔존 공기(산소 등)가 희박하여 발화하기 어려운 조건이 형성되므로, 열선의 누설전류에 의한 감전 사고를 예방함은 물론, 열선의 과열이나 단락, 접촉 불량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 현상으로 인한 점화, 그로 인한 발화현상에 대해 자체적으로 현저히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매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2,3,4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온수용 매트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열체에 발열체가 삽입되는 전기, 온수용 매트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적층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열체가 상하로 이루어진 전기, 온수용 매트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적층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로 면상발열체를 사용하는 전기, 온수용 매트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적층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정간격으로 압착하는 전기, 온수용 매트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로 열선 또는 온수관을 사용하여 격자형으로 압착하는 전기, 온수용 매트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로 면상발열체를 사용하여 격자형으로 압착하는 전기, 온수용 매트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축열체가 착탈식으로 삽입되는 전기, 온수용 매트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을 더 구비하는 전기, 온수용 매트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반사판을 더 구비하는 전기, 온수용 매트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온수용 매트는 하층부시트(10)와, 하층부시트(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축열체(20)와, 축열체(20)에 함침되는 작동유체(30)와, 축열체(20)의 중앙부분을 따라 배열된 발열체(40)와, 축열체(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층부시트(50)로 이루어진다.
하층부시트(10)는 PVC, PE, PP 등의 합성수지재질과 같이 절연성과 방수성을 갖는 재질이 사용되며 설치장치에 적합한 소정의 넓이를 가지며, 소정의 압력을 수용할 수 있는 두께로 사용 된다.
축열체(20)는 하층부시트(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중심부에는 발열체(40)가 놓여진다. 이러한 축열체(20)는 작동유체(30)가 함침되는 난연계 탄화섬유, 아라미드섬유, 견면, 부직포, 스펀지 등이 사용된다.
작동유체(30)는 축열체(20)에 함침되며 발열체(40)로 가열되어 액상에서 증기상으로 변화된다. 이러한 작동유체(30)는 액상에서 기상으로 변화되는 물, 증류수,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작동유체(30)는 방열장치의 사용 용도에 따라 적합한 상태의 포화 증기도 또는 습도가 유지되도록 축열체 체적대비 약 1/10∼1/95의 양으로 함침되거나 분사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체(40)는 축열체(20)의 중심부를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발열체(40)가 가열되면 축열체(20)에 열이 전달되고 함침된 작동유체(30)가 가열되어 액상에서 기상으로 상변화되면서 메트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발열체(40)로서 열선, 온수관, 면상발열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층부시트(50)는 축열체(20)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층부시트(10)와 동일한 넓이를 갖으며 PVC, PE, PP 등의 합성수지재질과 같이 절연성과 방수성을 갖는 재질이 사용되며 설치장치에 적합한 소정의 넓이를 가지며, 소정의 압력을 수용할 수 있는 두께로 사용 된다.
이러한, 상층부시트와 하층부시트 사이에 작동유체(30)가 함침되며 발열체(40)가 배치된 축열체(20)를 위치시키고, 상층부시트와 하층부시트 테두리를 접착 실란트, 고주파 접착, 열융착 등으로 압착되면서 접착되어 전기, 온수용 매트로 생성된다.
한편, 하부층시트(10) 또는 상부층시트(50)의 일측에는 내부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구(60)와, 발열체(40)가 입출되도록 인출구(미도시)가 형성된다. 배기구(60)를 통해서 전기, 온수용 매트의 내부가 진공 또는 부기압 상태가 되도록 잔존공기를 배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배기과정에서 공기와 작동유체 일부가 함께 흡입되고 배출되게 되므로 방열장치의 용도에 적합한 상태로 작동유체의 적정량이 유지되도록 유지량 보다 더 많은 양의 작동유체를 함침 또는 분사 도포하여 배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공기가 배출되어 내부가 진공 또는 부기압으로 조성되면 축열체(20)에 함침된 작동유체(30)의 비등점이 75∼80℃정도로 낮아져 발열체로 사용하는 열선이나 온수관에 상대적으로 적은 에너지 투입만으로도 단시간 내에 가열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되고 월등하게 신속한 열이동 및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공기가 배출되면서 메트의 두께가 감소되면서 축열체(20)와 상, 하층부시트(10,50)가 서로 이격되지 않고 서로 밀착됨으로써, 발열체(40)에 의한 작동유체의 가열 시 기화, 증발된 수증기가 시트 내면에 달라붙게 되어 김이 서려 막을 형성하는 수막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시트 내면에서 응결되는 응축수가 생성되더라도 시트면에 밀착된 축열체가 즉시 흡수(표면장력 및 모세관 현상)하여 작동유체로 재사용, 재가열된다.
또한, 내부가 진공 또는 부기압으로 조성되어 발열체(40)의 가열에 의한 내압 및 공기 팽창, 그에 따른 방열장치의 팽창을 최소화하고, 축열체 기공 속에 작동유체가 액상 또는 습기상태로 함침하여 수용되어 방열장치가 불완전한 수평상태나 동작 환경조건, 또는 보관 상태에 따라 축열체에 함침된 작동유체(30)가 축열체(20)의 횡. 종 어느 일 방향으로 현저하게 쏠리거나 이탈하는 현상, 그로 인해 축열체(20) 일부분에서 발생하는 작동유체의 공동화 현상, 즉 작동유체의 드라이 아웃(Dry out) 여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방열장치의 내부공간은 상대습도가 매우 높고 잔존공기(산소 등)가 희박하여 발화하기 어려운 조건이 형성되므로 발열체로 열선을 사용하더라도 열선의 누설전류에 의한 감전 사고를 예방함은 물론, 열선의 과열이나 단락, 접촉 불량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 현상으로 인한 점화, 그로 인한 발화현상에 대해 자체적으로 현저히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전기, 온수용 매트는 발열체(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와,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에 발열체(4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바이메탈(미도시), 및 발열체(40)의 가열온도를 조절하는 콘트롤러(미도시)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전기, 온수용 매트는 작동유체(30)의 상변화로 방열되기 때문에 이를 전열수단 없이 가열하지 않고 사용하는 여름철에는 작동유체(30)가 사용자의 체온열, 또는 실내 공기열을 취해 저온증발, 기화하는 물리현상이 유발되어 상대적으로 저온상태인 방열장치의 상대편 즉, 방열장치의 배면 쪽을 향해 방열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체온 및 실내온도를 상당히 떨어뜨리는 냉방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온수용 매트는 발열체(40)로 열선 또는 온수관을 사용하는 경우에 축열체(20)는 발열체로 사용되는 열선 또는 온수관이 중앙부분에 지그재그형태로 삽입되도록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서 중앙부분에서 지그재그로 절개된 절개홈(21)이 형성되고, 열선 또는 온수관은 축열체(20)에 절개홈(21)이 형성된 경우에는 절개홈(21)을 따라 지그재그형태로 설치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온수용 매트는 축열체(20)는 동일한 크기의 하부축열체(22)와 상부축열체(23)로 이루어지고, 열선 또는 온수관의 발열체(40)가 하부축열체(22)와 상부축열체(2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하부축열체(22)와 상부축열체(23)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발열체(40)가 놓여지는 지그재그 형태의 안착홈(2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온수용 매트는 발열체(40)로 면상발열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축열체(20)는 동일한 크기의 하부축열체(22)와 상부축열체(23)로 이루어지고, 면상발열체는 하부축열체(22)와 상부축열체(23) 사이에 설치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온수용 매트는 하층부시트(10)와 축열체(20), 발열체(40) 및 상층부시트(50)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의 일정간격으로 압착하여 접착시켜 제작된다. 즉, 하층부시트(10), 작동유체(30)를 함침하는 축열체(20), 축열체(20) 사이에 배치된 발열체(40), 상층부시트(50)는 다수의 분리공간을 갖도록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접착 실란트, 고주파 접착, 열융착 등으로 일체로 압착되면서 접착되어 전기, 온수용 매트로 생성된다. 이때, 상층부시트(50)의 상부면에는 고주파 등의 접착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접착선(5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기, 온수용 매트는 발열체(40)를 중심으로 세로 또는 가로방향으로 일정한 폭만큼 접착에 의해 분리된 간격(a)으로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기, 온수용 매트가 불완전한 수평상태나 동작 환경조건, 또는 보관 상태에 따라 축열체(20)에 함침된 작동유체(30)가 축열체(20)의 횡. 종 어느 일 방향으로 현저하게 쏠리거나 이탈하는 현상, 그로 인해 축열체 일부분에서 발생하는 작동유체(30)의 공동화 현상, 즉 작동유체(30)의 드라이 아웃(Dry out)의 여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온수용 매트는 하층부시트(10)와 축열체(20), 발열체(40) 및 상층부시트(50)를 격자형상을 갖도록 가로 및 세로방향의 일정간격으로 압착하여 접착시켜 제작된다. 이때, 상층부시트(50)의 상부면에는 고주파 등의 접착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접착선(5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10은 발열체(40)로서 열선 또는 온수관이 사용된 것이고, 도 11은 발열체(40)로서 면상발열체가 사용된 것이다.
이러한 전기, 온수용 매트는 하층부시트(10)와 상층부시트(50)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발열체(40)를 소정거리 간격(a)으로 1차 압착하여 접착하고(제3 실시예와 같이 발열체(40)가 열선인 경우에는 열선을 기준으로 소정거리 이격시켜 접착), 1차 접착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거리 간격(b)으로 2차 압착하여 접착하여 정방형상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제조된 전기, 온수용 매트는 다수개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접착되어 격자형상의 서로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메트가 수평하지 않아 작동유체(30)의 쏠림현상이 발생되더라도 작동유체(30)가 타공간으로 이동하거나 이탈할 수 없는 상태에서 정방형의 내부에만 위치하여 축열체(20)의 모세관력으로 용이하게 원위치 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온수용 매트는 하층부시트(10)와 상층부시트(50)의 테두리 중 3면을 압착하여 접착시키고, 1면을 착탈부(70)로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작동유체(30)가 함침되고, 발열체(40)가 배치된 축열체(20)를 착탈하게 된다. 이때, 하층부시트(10)와 상층부시트(50)의 테두리 3면은 접착 실란트, 고주파 접착, 열융착 등으로 일체로 접착되며, 나머지 1면은 암수지퍼(71,72)에 의해서 체결되어 밀폐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온수용 매트는 암수지퍼에 의하여 하층부시트(10)와 상층부시트(50)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작동유체(30)가 함침되고, 발열체(40)가 배치된 축열체(20)를 삽입한 상태에서 진공 배기시켜 제작된다. 그리고, 전기, 온수용 매트를 보수하는 경우에도 암수지퍼(71,72)를 오픈하여 발열체, 작동유체, 축열체 등을 수리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전기, 온수용 매트는 상층부시트(50)의 상부에 방열판(80)을 위치시키거나 또는 도 14와 같이 축열체(20)와 하층부시트(10) 사이에 열이 하부로 방열하는 것을 최소화 하고 상부면 쪽으로 열반사하도록 단열 반사판(90)을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층부시트(50)에 쿠션부재, 치장재(미도시)를 위치시켜 전기 찜질기, 전기 매트리스, 온수매트리스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전기, 온수용 매트를 이용한 가열매트는 도 13과 같이 상층부시트(50)의 상부면에 방열판(80)이 위치하거나 또는 도 14와 같이 축열체와 하층부시트 사이에 단열 반사판(90)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방열판(80)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판, 합성수지판 등이 사용된다. 또한, 단열 반사판(90)은 0.3-0.5미리 두께의 박막판 형태 화이버그라스, 알루미늄 박막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방열판(80) 또는 단열 반사판(90)을 구비하는 가열매트는 (방)바닥에 매립되어 전기난방용 매트, 침대용 매트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하층부시트 20 : 축열체
30 : 작동유체 40 : 발열체
50 : 상층부시트 60 : 배기구
70 : 착탈부 80 : 방열판
90 : 단열 반사판

Claims (14)

  1. 방수성을 갖는 재질의 하층부시트(10)와;
    하층부시트(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축열체(20)와;
    축열체(20)에 함침되며 발열체(40)로 가열되어 액상에서 증기상으로 변화되는 작동유체(30)와;
    축열체(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체(40); 및
    발열체(40)의 상부에 위치하는 방수성 재질의 상층부시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수용 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발열체(40)는 열선, 온수관 또는 면상발열체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수용 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축열체(20)는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서 중앙부분에서 발열체(40)가 설치되도록 지그재그로 절개된 절개홈(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층시트(10) 또는 상부층시트(50)의 일측에는 내부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구(60)와, 발열체(40)가 입출되도록 인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수용 매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축열체(20)는 하부축열체(22)와 상부축열체(23)로 이루어지고, 발열체(40)는 하부축열체(22)와 상부축열체(23)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수용 매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하부축열체(22) 또는 상부축열체(23)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발열체(40)가 놓여지는 지그재그 형태의 안착홈(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수용 매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층부시트(10)와 작동유체(30)를 함침하는 축열체(20), 발열체(40) 및 상층부시트(50)의 테두리는 압착하여 접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수용 매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하층부시트(10)와 작동유체(30)를 함침하는 축열체(20), 발열체(40) 및 상층부시트(50)는 일정간격의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압착하여 접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수용 매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격자형상을 갖도록 가로 및 세로방향의 일정간격으로 압착하여 접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수용 매트.
  10.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층부시트(10)와 상층부시트(50)의 테두리 중 3면을 압착하여 접착시키고, 1면을 착탈부(70)로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작동유체(30)가 함침되고 발열체(40)가 배치된 축열체(20)를 착탈식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수용 매트.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에 있어서, 전기, 온수용 매트는 축열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설정온도인 경우에 발열체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바이메탈, 및 가열온도를 조절하는 콘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수용 매트.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에 있어서, 전기, 온수용 매트의 내부는 진공 또는 부기압으로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수용 매트.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에 있어서, 전기, 온수용 매트는 상층부시트(50)의 상부에 방열판(8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수용 매트.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에 있어서, 전기, 온수용 매트는 축열체(20)와 하층부시트(10) 사이에 상부면 쪽으로 열반사 시키는 단열 반사판(9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수용 매트.
KR1020140030120A 2014-01-06 2014-03-14 전기, 온수용 매트 KR101546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1324 2014-01-06
KR1020140001324 2014-0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033A true KR20150082033A (ko) 2015-07-15
KR101546870B1 KR101546870B1 (ko) 2015-08-27

Family

ID=537937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122A KR101546872B1 (ko) 2014-01-06 2014-03-14 전기, 온수용 매트
KR1020140030120A KR101546870B1 (ko) 2014-01-06 2014-03-14 전기, 온수용 매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122A KR101546872B1 (ko) 2014-01-06 2014-03-14 전기, 온수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5468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146A (ko) * 2018-11-01 2020-05-1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온도조절 매트
KR102512302B1 (ko) * 2022-04-12 2023-03-23 (주)더지 엘이디 매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827B1 (ko) * 2016-04-15 2020-11-06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유연 스트레처블 기반 저저항 세라믹 금속 복합체 구조의 히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710023B1 (ko) * 2016-07-11 2017-03-09 주식회사 케이씨인터내셔날 소형 면상발열체 패키지를 포함하는 발열장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005B1 (ko) * 2009-05-29 2009-12-10 김규호 상전이물질을 이용한 건축용 난방패널
JP2012172928A (ja) 2011-02-22 2012-09-10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蓄熱式床暖房の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146A (ko) * 2018-11-01 2020-05-1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온도조절 매트
KR102512302B1 (ko) * 2022-04-12 2023-03-23 (주)더지 엘이디 매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034A (ko) 2015-07-15
KR101546870B1 (ko) 2015-08-27
KR101546872B1 (ko) 2015-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870B1 (ko) 전기, 온수용 매트
KR100513271B1 (ko) 다공질의 난연성 압축섬유를 이용한 난방파이프
KR100794624B1 (ko) 원적외선 면상발열체가 구비된 온열장판
KR101246177B1 (ko) 온수매트
KR200422188Y1 (ko) 난방용 매트
CN207727841U (zh) 一种拼装式地热板块
KR20080014539A (ko) 온수 난방이 가능한 원적외선 방사체 매트의 제조 방법
CN207570386U (zh) 供热垫
KR200304461Y1 (ko) 온수매트의 온수튜브의 고정구조
KR20110041899A (ko) 전기온돌 황토패널
KR102257155B1 (ko) 열효율을 향상시킨 카본온돌판 및 카본온돌판이 형성된 온열기구
KR101662113B1 (ko) 수분이 충진된 방열파이프, 그 제조방법 및 그를 구비한 온열매트
KR20180001131U (ko) 냉온 겸용 매트
CN101161218B (zh) 热敷垫
CN209846640U (zh) 一种真空蒸汽电热床垫
KR200476255Y1 (ko)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매트 장치
JP3621772B2 (ja) 均熱ヒ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炉
KR102663991B1 (ko) 히트파이프를 내장한 바닥난방구조
CN208870345U (zh) 一种干式地暖模块
JP3078015U (ja) 簡易型液体加熱管の構造
KR20120010446A (ko) 히트패널
CN206073239U (zh) 一种地板式水暖垫
KR20130031862A (ko) 냉온 액형 매트 제조 방법 및 그 냉온 액형 매트
JP3946853B2 (ja) 床暖房構造
KR20090004445U (ko) 전열부가 내장된 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