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729A - Apparatus for cooling sever roo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data center therewith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oling sever roo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data center therewi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729A
KR20150081729A KR1020140001496A KR20140001496A KR20150081729A KR 20150081729 A KR20150081729 A KR 20150081729A KR 1020140001496 A KR1020140001496 A KR 1020140001496A KR 20140001496 A KR20140001496 A KR 20140001496A KR 20150081729 A KR20150081729 A KR 20150081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room
outside air
unit
suppl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4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주
박원기
구지현
류근호
고정범
지헌남
Original Assignee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1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1729A/en
Priority to PCT/KR2014/011922 priority patent/WO2015102247A1/en
Priority to US15/109,999 priority patent/US10492338B2/en
Priority to EP14877112.4A priority patent/EP3093565B1/en
Priority to CN201480068728.6A priority patent/CN105829807A/en
Priority to JP2016562714A priority patent/JP6700192B2/en
Publication of KR20150081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7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cooling a server room comprises: an external air introduction unit where an external air is introduced; a filter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external air introduction unit and filtering the external air supplied through the external air introduction unit; a mist injection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lter unit and injecting mist to the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and a supply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ist injection unit and supplying the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mist injection unit to a server room.

Description

서버실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APPARATUS FOR COOLING SEVER ROO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DATA CENTER THEREWITH}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system for a server roo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부의 자연 공기를 이용하여 서버실을 냉각시키는 서버실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that uses external natural air to cool a server room and a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데이터 센터에 구비되는 서버, 네트워크 장비, 엔터프라이즈 장비 등은 열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장비들을 운영하는 데이터 센터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대규모의 설비 또한 운영하고 있다.Servers, network equipment, enterprise equipment, etc. in the data center generate heat. Therefore, the data center operating these equipment also operates a large-scale facility to cool the heat.

데이터 센터의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서는 차가운 공기를 각각의 장비에 공급해 주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이를 위해 차가운 공기를 생성하는 항온기를 이용하고 있다.To cool the data center's heat, cool air must be supplied to each piece of equipment, usually using a thermostat to generate cold air.

그러나, 항온기 및 항온기와 연계되는 설비를 가동하기 위해 소모되는 에너지는 데이터 센터에서 사용되는 전체 전력의 50~60%가량에 해당한다. 따라서, 데이터 센터의 냉각에 투입되는 에너지의 절감을 위하여 건물 밖의 차가운 공기를 서버실로 유입시켜 장비의 열을 냉각시키는 방식이 최근 도입되고 있다.However, the energy consumed to run the equipment associated with the thermostat and the thermostat corresponds to 50 to 60% of the total power used in the data center.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energy input to cooling the data center, a method of cooling the heat of the equipment by introducing cool air outside the building into the server room has been introduced recently.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9514호(공개일 2011년 12월 2일) " 그린컴퓨팅 환경을 실현한 인터넷데이터센터 공조시스템" 등에는 외부 공기가 데이터 센터로 유입되도록 제어하고, 냉각부를 통해 냉각되어 데이터 센터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기술 등이 개발되고 있다. In this connec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129514 (published on December 2, 2011) entitled " Internet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Realizing Green Computing Environment " A technique of cooling the cooling water through the cooling unit and flowing the cooling water into the data center is being developed.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holds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not necessarily be a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부 공기를 이용하여 데이터 센터의 적정 온도 및 습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서버실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capable of maintaining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data center using outside air and a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데이터 센터의 냉각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서버실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Fur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nd a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which can reduce energy consumed in cooling a data cent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부 공기를 이용하여 데이터 센터를 냉각할 수 있는 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서버실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nd a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increase a period during which a data center can be cooled using outside ai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부 공기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유지보수에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서버실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 a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nd a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more effectively block foreign matter contained in outside air and reduce the cost of maintenan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부 공기의 온도/습도 상태에 따른 변화가 많은 환경 조건에 적합한 서버실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suitable for environmental conditions having a large change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 humidity state of outside air, and a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 공급부가 비상 외기 도입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시스템 고장과 같은 비상시에 외기를 바로 서버실 내부로 공급하여 서버실 내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서버실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supply unit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role of the emergency outside air introduction unit, so as to supply the outside air directly into the server room in an emergency such as a system failure, And a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버실과 서버실 냉각 장치의 연결을 위해 기존의 데이터 센터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서버실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nd a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utilize the existing data center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data center in order to connect the server room and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항온기 설치 및 냉기 공급 등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어, 데이터 센터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는 서버실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require the formation of a separate space for the installation of a constant temperature and cold air supply, thereby improving space utilization in the data center, and a data room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server room cooling system to prov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부; 상기 외기 유입부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외기 유입부를 통해 공급된 외기가 필터링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외기에 미스트(mist)를 분사하는 미스트 분사부; 및 상기 미스트 분사부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미스트 분사부를 통과한 외기를 서버실로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서버실 냉각 장치를 개시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n outside air inflow portion into which outside air flows; A filter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outside air inflow unit and filtering outside air supplied through the outside air inflow unit; A mist spraying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lter unit and spraying a mist to the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And a supply unit which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mist sprayer and supplies outsid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mist sprayer to the server room.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기 유입부는, 상기 외기 유입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 댐퍼(damper)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may include a first damper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기 유입부는, 상기 외기에 포함된 수분 또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데미스터 필터(demister filter)를 포함하고, 상기 데미스터 필터는 상기 제1 댐퍼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side air inlet may include a demister filter for blocking moisture or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and the demister filter may b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damper .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미스터 필터는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데미스터 필터는 상기 제1 댐퍼의 일 측에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demister filters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demister filters may be arranged in a zigzag manner on one side of the first damper.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기 유입부에, 상기 서버실 내를 통과한 리턴 공기가 공급되는 리턴 덕트부가 연결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return duct portion to which return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server room may be supplied may be connected to the outside air inlet por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기 유입부와 상기 리턴 덕트부 사이에는, 상기 외기 유입부와 상기 리턴 덕트부 사이의 공기 유동을 제어하는 제2 댐퍼가 개재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second damper for controlling air flow between the outside air inlet and the return duc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outside air inlet and the return duc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외기 유입부에 대해, 상기 외기 유입부의 외기 유입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lter portion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outside air inflow direction of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with respect to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분사부와 상기 공급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미스트 분사부를 통과한 외기를 냉각하는 냉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mist spraying unit and the supply unit and cooling the outsid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ist spraying uni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서버실 냉각 장치 내에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oling section may be formed in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미스트 분사부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미스트 분사부를 통과한 외기를 상기 서버실로 공급하는 제1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ly section may include a first supply section that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mist injection section and supplies outside air passed through the mist injection section to the server room.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부와 상기 서버실 사이에는, 상기 제1 공급부와 상기 서버실 사이의 공기 유동을 제어하는 제1 공급 댐퍼가 개재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first supply damper for controlling the air flow between the first supply unit and the server room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upply unit and the server room.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 댐퍼가 개방되면 상기 외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상기 서버실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first supply damper is opened,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may be supplied into the server room.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부의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미스트 분사부를 통과한 외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서버실로 공급하는 제2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pply unit tha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pply unit and supplies at least a part of the outsid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ist injection unit to the server room.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급부는 상기 미스트 분사부를 통과한 외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서버실로 공급되도록 상기 외기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송풍 팬을 구비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supply unit may include a blowing fan for guiding the flow of the outside air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mist spraying unit is supplied to the server room.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급부는 상기 제1 공급부에 대해, 상기 외기 유입부의 외기 유입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supply portion may be form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ly portion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outside air inflow direction of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급부와 상기 서버실 사이에는, 상기 제2 공급부와 상기 서버실 사이의 공기 유동을 제어하는 제2 공급 댐퍼가 개재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econd supply damper for controlling the air flow between the second supply unit and the server room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supply unit and the server room.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 상기 미스트 분사부 및 상기 공급부는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lter portion, the mist spray portion, and the supply portion may b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어느 한 항의 서버실 냉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실 냉각 장치는,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서버랙을 구비하는 상기 서버실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서버실에 외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을 개시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y one of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es described above, wherein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rver room having a plurality of server racks arranged along a first direction And the outside air is supplied to the server room.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이웃한 상기 서버랙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서버실 냉각 장치로부터 외기를 공급받는 하나 이상의 쿨 존(cool zone)은 상기 서버실 냉각 장치에 대해 개방되어 있고, 서로 이웃한 상기 서버랙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쿨 존으로 유입된 외기가 상기 서버랙에 구비된 서버들을 통과한 후 배기되는 하나 이상의 핫 존(hot zone)은 상기 서버실 냉각 장치에 대해 차단되어 있고, 상기 쿨 존과 상기 핫 존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one or more cool zones formed in a space between adjacent server racks and supplied with outside air from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re open to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One or more hot zones formed in a space between one of the server racks and exhausted after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cool zone passes through servers provided in the server rack is blocked to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 The cool zone and the hot zone may be alternately arrang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은 상기 서버실 냉각 장치로부터 공급받은 외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부는 상기 핫 존과 연결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exhaust unit for exhausting outside air supplied from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to the outside, and the exhaust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hot zon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의 일 측은 상기 서버실 냉각 장치의 리턴 덕트부와 연결되고, 상기 서버실 냉각 장치에서 공급받은 외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리턴 덕트부를 통해 다시 상기 서버실 냉각 장치로 공급 가능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one side of the exhaust unit is connected to the return duct portion of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nd at least a part of the outside air supplied from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is supplied to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gain through the return duct unit It can be possibl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서버실 냉각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서버실 냉각 장치들은 상호 간에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오픈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data center includes a plurality of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e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es are opened .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서버실 내의 상기 서버랙과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supply unit may be formed to face the server rack in the server room.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존의 서버실 구조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isting server room structure can be utilized as it is.

본 실시예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공급부에 고장 발생시 나머지 공급부의 풍량을 높여 전체 풍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a failure occurs in any of the supply units, the air volume of the remaining supply units can be increased to keep the total air volume constant.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실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에 의해, 건물 외부로부터 인입된 외기에 미스트를 분무하여 냉각된 공기를 서버실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온도/습도 상태에 따른 변화가 많은 환경 조건에서도 연중 무중단 운영이 가능하며, 따라서 데이터 센터의 냉각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ray mist to the outside air drawn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o supply cooled air into the server room, It is possible to operate continuously throughout the year even under changing environmental conditions, thus significantly reducing the energy consumed in cooling the data cent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실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에 의해, 오염도에 따라 자동으로 교체되는 이중 필터를 이용하여 외기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차단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고, 유지보수에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by using a double filter that is automatically replac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pollution, And can reduce the maintenance cos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실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에 의해, 건물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외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미스트의 분무량이 조절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외부 공기의 온도/습도 상태에 따른 변화가 많은 환경 조건에서도 최적의 운전이 가능하다.Further,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nd the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outsid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control the amount of mist sprayed on the basis of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humidity It is possible to operate optimally even under environmental conditions in which the change in the temperature / humidity of the outside air is lar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실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에 의해, 시스템 고장과 같은 비상시에 외기를 바로 서버실 내부로 공급하여 서버실 내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outside air to the inside of the server room in an emergency such as a system malfunction,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실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에 의해, 데이터 센터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pace utilization in the data cent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실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에 의해, 서버실과 서버실 냉각 장치을 연결함에 있어 기존의 데이터 센터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nd the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it is without changing the existing data center structure in connecting the server room and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실 냉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서버실 냉각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서버실 냉각 장치의 외기 유입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서버실 냉각 장치의 필터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서버실 냉각 장치의 미스트 분사부 및 냉각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서버실 냉각 장치의 제1 공급부 및 제2 공급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의 쿨 존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의 핫 존의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of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of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lter unit of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of FIG. 1 in detail;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ist generating part and a cooling part of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of FIG. 1 in detail.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supply unit and the second supply unit of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of FIG. 1 in detail;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op view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data center of FIG.
Fig. 9 is a side view of the cool zone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data center of Fig. 7; Fig.
Fig. 10 is a side view of the hot zone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data center of Fig. 7;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terms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not the limitative meaning. Also,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the terms include, including, etc. mean that there is a feature, or element, recited in the specification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may be added. Also,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실 냉각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서버실 냉각 장치의 측면도이다. 한편, 도 3은 도 1의 서버실 냉각 장치의 외기 유입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서버실 냉각 장치의 필터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서버실 냉각 장치의 미스트 분사부 및 냉각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서버실 냉각 장치의 제1 공급부 및 제2 공급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of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of FIG. 1.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of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of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filter unit of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of FIG. 1,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supply portion and the second supply portion of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of FIG. 1 in detail.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ist dispensing portion and the cooling portion in detail.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실 냉각 장치(100)는, 외기 유입부(110), 필터부(120), 미스트 분사부(130), 냉각부(140), 제1 공급부(150) 및 제2 공급부(160)를 포함한다. 1 and 2, a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side air inflow portion 110, a filter portion 120, a mist spray portion 130, A first supply unit 140, a first supply unit 150, and a second supply unit 1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를 이용한 서버실 냉각 장치(100)는 데이터 센터(Data Center)와 같이 열을 냉각시킬 필요가 있는 장소에 차가운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온도/습도 상태에 따른 변화가 많은 환경 조건에서도 연중 무중단으로 외부(예를 들어, 건물 외측)의 공기를 이용하여 보다 저비용으로 서버실(Server Room) 내부를 냉각시키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using outside 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cold outside air to a place where it is necessary to cool the heat such as a data cent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of the Server Room is cooled at a lower cost by using outside air (for example,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t all times throughout the year even under changing environmental conditions.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외기 유입부(110)는 서버실 냉각 장치(100) 외부의 공기를 서버실 냉각 장치(100) 내부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외기 유입부(110)는 OA 댐퍼(outside air damper)(111), 데미스터 필터(demister filter)(113), 격자부(grating)(115) 및 RA 댐퍼(return air damper)(117)를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OA 댐퍼(111)와 데미스터 필터(113) 사이에 소정의 메쉬(mesh)(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2, and 3,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110 serves to introduce air outside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into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The outside air inflow section 110 includes an outside air damper 111, a demister filter 113, a grating 115 and a return air damper 117, . Further,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 predetermined mesh (not shown) may further be provided between the OA damper 111 and the demister filter 113.

OA 댐퍼(outside air damper)(111)는 외기 유입부(110)의 개폐를 제어하여, 외기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OA 댐퍼(111)의 일 예로, 전동 모터 또는 공기압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모터 댐퍼(MD: Motor Damper)가 구비될 수 있다.The outside air damper 111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110 to control the amount of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110. As an example of such an OA damper 111, an electric motor or a motor damper (MD) that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by air pressure may be provided.

데미스터 필터(demister filter)(113)는 증기 중의 수분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로써, 그물망을 여러겹 포개거나 또는 섬유상태의 물체를 충전하는 등의 방법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데미스터 필터(113)는 저항이 작고 집진효율이 높으며, 고도의 내식성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간단하게 청소가 가능하고 경량이므로 취급이 간편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A demister filter (demister filter) 113 removes moisture or foreign matter from the steam. The demister filter 113 is formed by a method of stacking a plurality of webs or filling a fibrous object. Such a demister filter 113 is advantageous in that it has a small resistance, a high dust collecting efficiency, a high corrosion resistance, is easily cleanable, and is light in weight and easy to handl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실 냉각 장치(100)의 외기 유입부(110)는 외기가 유입되는 OA 댐퍼(111)에 바로 인접하게 메쉬(mesh)(미도시)와 데미스터 필터(113)를 구비하여, 서버실 냉각 장치(100) 내부로 외기 내에 포함된 이물질이 들어오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즉, OA 댐퍼(111)에 바로 인접하게 메쉬(mesh)(미도시)를 구비하여, 새 또는 기타 큰 벌레의 인입을 방지하고, 그 내측에는 데미스터 필터(113)를 구비하여 서버실 냉각 장치(100) 내부로 들어오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때 데미스터 필터(113)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풍량을 처리하기 위해 복수 개의 데미스터 필터(113)가 지그재그 배열로 설치되어, 설치면적을 넓힐 수 있다.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110 of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sh (not shown) and a demister (not shown) immediately adjacent to the OA damper 111, (113) so as to prevent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from entering into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That is, a mesh (not shown) is provided immediately adjacent to the OA damper 111 so as to prevent a new or other large insect from being drawn in, and a demister filter 113 is provided inside the mesh cleaner, (100). At this time, a plurality of demister filters 113 may be provided, and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demister filters 113 are arranged in a zigzag arrangement to process the large air volume, so that the installation area can be widened.

외기 유입부(110)의 하부 바닥면, 즉 필터부(120)와 연결되는 면에는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격자부(grating)(115)가 구비되어, 외기 유입부(110)로 유입된 외기를 필터부(120)로 통과시킬 수 있다. A grating 115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110, that is, the surface connected to the filter portion 120, and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110 And can be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120.

한편, 외기 유입부(110)의 일 측에는 서버실 내를 통과한 리턴 공기가 공급되는 리턴 덕트부(17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외기 유입부(110)와 리턴 덕트부(170) 사이에는 외기 유입부(110)와 리턴 덕트부(170) 사이의 공기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RA 댐퍼(return air damper)(11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RA 댐퍼부(117)에 의해 외기와 리턴 공기의 혼합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서버실 냉각 장치(10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A return duct part 170 to which return air passed through the server room may be connected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utside air inflow part 110. The outside air inflow part 110 and the return duct part 170 may be filled with outside air A return air damper 117 for controlling the air flow between the first duct 110 and the return duct 170 may be further formed. By controlling the mixture ratio of the outside air and the return air by the RA damper unit 117,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pplied into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can be controlled to an appropriate level.

한편, 외기 유입부(110)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는, 예를 들어 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되고 전체 내, 외부 씰링 작업을 수행하여 공기 유출이 없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기 유입부(110) 내에는 필터의 차압을 확인할 수 있도록 데미스터 필터용 차압 게이지(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uter case inlet 11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urethane or the like, and may be installed so as to prevent the air from flowing out by performing external and internal sealing operations. Further,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 differential pressure gauge (not shown) for the demister filte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outside air inlet 110 so that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filter can be checked.

상술한 외기 유입부(110)의 데미스터 필터(113)와 필터부(120)의 롤 필터(121)는 외기에 포함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차단하여, 서버실에 구비되는 서버, 네트워크 장비, 엔터프라이즈 장비 등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demister filter 113 of the outside air inflow part 110 and the roll filter 121 of the filter part 120 cut off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to be supplied to servers, And can prevent the failure of enterprise equipment and the like.

다음으로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필터부(120)는 외기 유입부(110)의 일 측에 배치되며, 외기 유입부(110)를 통해 공급된 외기를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필터부(120)는 외기 유입부(110)의 하방에 배치되며, 따라서 외기 유입부(110)의 외기 유입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1, 2 and 4, the filter unit 12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utside air inflow unit 110 and functions to filter the outside air supplied through the outside air inflow unit 110 do. The filter unit 120 is disposed below the outside air inlet 110 and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outside air inlet direction of the outside air inlet 110.

필터부(120)는 롤 필터(roll filter)(121)를 구비할 수 있다. 롤 필터(121)는 외기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다시 한 번 여과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롤 필터(121)는 권취형으로 형성되어 필터의 오염도에 따라 자동으로 교체될 수 있으며, 따라서 1회 장착으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고, 여과 부재의 교체가 간단하여 교체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롤 필터(121)는 별도의 컨트롤러(미도시)를 설치하여 필터의 전, 후 차압에 의해 운전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압력손실 7mmAq~20mmAq 범위에서 차압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운전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차압 범위를 사용자가 지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롤 필터(121)는 내구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스틸 및 양극 산화 처리한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여과 부재의 종류에 따라 여러 번 세척해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The filter unit 120 may include a roll filter 121. The roll filter 121 can perform a function of once again filtering th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Here, the roll filter 121 can be formed as a winding type and can be automatically replac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filter. Therefore, the roll filter 121 can be used for a long time by mounting it once, and replacement of the filter member is simple. The roll filter 121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by a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filter by providing a separate controller (not shown). For example, when the pressure loss is within a range of 7 mmAq to 20 mmAq, Can be set. It is also possible to specify the differential pressure range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roll filter 121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anodized aluminum, or the like, which is highly durable. Alternatively, the roll filter 121 may be washed and reused several time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filter.

다음으로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미스트 분사부(130)는 필터부(120)의 일 측에 배치되며 필터부(120)를 통과한 외기에 미스트(mist)를 분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세히, 미스트 분사부(130)는 분사 노즐(131)을 구비하며, 서버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가 적정 상태로 유지되도록, 외기 유입부(110)를 통해 인입된 외기에 미세한 입자의 물 즉, 미스트(Mist)를 분사한다. 즉, 미스트 분사부(130)는 외기에 미스트를 분사함으로써 외기의 특징인 낮은 습도를 높이고 온도는 낮추어, 장비 운영에 적합한 공기를 서버실 내부에 공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미스트 분사부(130)는 펌프로 물의 압력을 올려 분사 노즐(131)을 통해 미스트 분사부(130)를 통과하는 외기에 직접분사방식으로 미스트를 분사할 수 있다. 여기서 미스트 분사의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 분사 노즐(131)과 냉각부(140)의 냉각 부재(141) 간의 거리는 최적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기에 미스트를 직접 분사하는 것만으로도 외기의 온도를 약 2~4℃ 정도 낮출 수 있으므로, 냉각부(140)의 작동 시간을 감소시켜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2, and 5, the mist sprayer 130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lter unit 120, and functions to spray a mist to the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120 . In detail, the mist sprayer 130 is provided with a spray nozzle 131. The mist sprayer 130 is configured to spray fine particles of water, that is, water, into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110 so as to mainta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server room in an appropriate state, The mist is sprayed. That is, the mist sprayer 130 blows mist to the outside air to raise the low humidity characteristic of the outside air and lower the temperature to supply air suitable for the equipment operation to the inside of the server room. The mist spraying unit 130 may pump the water by the pump to spray the mist through the spray nozzle 131 directly to the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mist spraying unit 130. Here,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mist spraying, the distance between the injection nozzle 131 and the cooling member 141 of the cooling unit 140 can be optimized. In this way, by directly spraying the mist to the outside air,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can be lowered by about 2 to 4 DEG C, so that the operation time of the cooling part 140 is reduced and the energy saving effect can be obtained.

한편, 미스트 분사부(130)에는 응축된 물을 포집하기 위한 드레인부(13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드레인부(133)는 미스트 분사부(130) 하부에 형성되어 응축되어 바닥에 고인 물을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ist sprayer 130 may further include a drain 133 for collecting the condensed water. The drain 133 may b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ist sprayer 130 and may condense and discharge water from the bottom to the outside smoothly.

한편, 냉각부(140)는 미스트 분사부(130)와 제1 공급부(150) 사이에 배치되어, 미스트 분사부(130)를 통과한 외기를 한번 더 냉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냉각부(140)는 냉각 코일 형태의 냉각 부재(14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여기서 냉각 부재(141)는 타원형 코일(oval coil)일 수 있다. 즉, 냉각 부재(141)는 타원 형상의 동관으로 형성되어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코일 후방의 냉각 성능이 개선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타원형 코일은 고 풍속에도 낮은 정압을 유지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에 적합하다. The cooling unit 140 is disposed between the mist dispensing unit 130 and the first supply unit 150 to cool the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mist dispensing unit 130 once more. The cooling part 140 may include a cooling member 141 in the form of a cooling coil, wherein the cooling member 141 may be an oval coil. That is, the cooling member 141 may be formed as an elliptical copper pipe so as to minimize the air resistance and improve the cooling performance in the rear of the coil. Such an elliptical coil can maintain a low static pressure even at high wind speed, which is suitable for energy saving.

종래의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의 경우, 서버실 냉각 장치와는 별도로 서버실의 일 측에 차가운 공기를 생성하는 항온기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 경우, 서버실의 일 측에 항온기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데이터 센터 내에 항온기를 배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며, 또한 서버실과 항온기의 연결을 위해 서버실의 구조를 변경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In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data center, apart from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it is common to provide a thermostat for generating cold air on one side of the server room. In this case, since a thermostat should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rver room, a separate space for arranging the thermostat in the data center is requir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of the server room must be changed in order to connect the server room and the thermostat Respectively.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실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의 경우, 항온기 역할을 수행하는 냉각부(140)를 서버실 냉각 장치(100) 내부에 구비하여, 항온기 배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데이터 센터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서버실과 항온기의 연결을 위해 서버실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지므로, 기존의 데이터 센터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활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contrast, in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nd the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unit 140 serving as a thermostat is provided in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space utilization in the data center is improved by elimin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space for the thermostat arrangement. Furthermore, since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server room structure to connect the server room and the thermostat,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data center can be utilized without modification.

다음으로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공급부(150)는 미스트 분사부(130) 또는 냉각부(140)의 일 측에 배치되어, 미스트 분사부(130) 또는 냉각부(140)를 통과한 외기를 서버실, 특히 서버실의 하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공급부(150)는 제1 공급 댐퍼(151)를 구비하며, 제1 공급 댐퍼(151)는 제1 공급부(150)의 개폐를 제어하여, 제1 공급부(150)를 통해 서버실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제1 공급 댐퍼(153)의 일 예로, 전동 모터 또는 공기압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모터 댐퍼(MD: Motor Damper)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공급 댐퍼(151)는 시스템 고장과 같은 비상 시에, 외기를 바로 서버실 내부로 공급하여 서버실 내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1, 2, and 6, the first supply unit 15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ist spraying unit 130 or the cooling unit 140, and the mist supplying unit 130 or the cooling unit 14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rver room, particularly the server room. The first supply part 150 includes a first supply damper 151. The first supply damper 151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supply part 150 to supply the first supply part 150 to the server room through the first supply part 150. [ Thereby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to be supplied. An example of the first supply damper 153 may be an electric motor or a motor damper (MD) which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by air pressure. The first supply damper 151 may function to prevent the temperature inside the server room from being raised by supplying the outside air directly into the server room in an emergency such as a system failure.

제2 공급부(160)는 제1 공급부(150)의 일 측에 배치되어, 미스트 분사부(130) 또는 냉각부(140)를 통과한 외기를 서버실, 특히 서버실의 상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제2 공급부(160)는 제1 공급부(150)의 상방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공급부(160)는 송풍 팬(161) 및 제2 공급 댐퍼(163)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econd supply unit 160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supply unit 150 and serves to supply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mist spraying unit 130 or the cooling unit 140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rver room, . The second supply unit 160 may be formed above the first supply unit 150. The second supply unit 160 may include a blowing fan 161 and a second supply damper 163.

송풍 팬(161)은 외기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제2 공급부(160) 쪽으로 빨아들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일직선상에 배치된 필터부(120), 미스트 분사부(130), 냉각부(140) 및 제1 공급부(150)를 따라 이동하는 자연적인 공기 유로의 상부에 송풍 팬(161)을 설치함으로써, 송풍 팬(161)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공급부(150)에서 제2 공급부(160)로의 전환운전 시 지연시간이 필요 없게 되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The air blowing fan 161 sucks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110 toward the second supply portion 160. That is, a blowing fan 161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a natural air flow path that moves along the filter unit 120, the mist spraying unit 130, the cooling unit 140, and the first supply unit 150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verse rotation of the blowing fan 161 and to avoid the delay time in switching operation from the first supply unit 150 to the second supply unit 160. [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1)은 복수 개의 송풍 팬(161)을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송풍 팬(161)의 풍량을 개별적으로 조절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일부의 송풍 팬(161)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송풍 팬(161)의 풍량을 높여 전체 풍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air conditioning system 1 of the data c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blowing fans 161, and may be configured to separately control the airflow of the respective blowing fans 161 So that even if a failure occurs in a part of the blowing fan 161, the air volume of the remaining blowing fan 161 can be increased to keep the total air volume constant.

한편, 제2 공급 댐퍼(163)는 제2 공급부(160)의 개폐를 제어하여, 제2 공급부(160)를 통해 서버실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제2 공급 댐퍼(163)의 일 예로, 전동 모터 또는 공기압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모터 댐퍼(MD: Motor Damper)가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supply damper 163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supply unit 160 and controls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server room through the second supply unit 160. As an example of the second supply damper 163, an electric motor or a motor damper (MD) that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by air pressure may be provided.

이와 같이, 서버실 냉각 장치(100) 하부에 배치되는 제1 공급부(150)와, 서버실 냉각 장치(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공급부(160)를 함께 구비함으로써, 서버랙(도 7의 210 참조)의 구성에 따라 외기의 공급 구조를 달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서버실 냉각 장치(100) 하부에 배치되는 제1 공급부(150)를 형성함으로써, 종래 냉기공급 배관으로 사용되던 서버랙(도 7의 210 참조)의 하부 공간을 서버랙(도 7의 210 참조)의 일부로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서버실(200) 공간을 추가로 확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first supply unit 150 disposed below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and the second supply unit 160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are provided together so that the server rack 210), the effect of varying the supply structure of the outside air can be obtained. Further, by forming the first supply unit 150 disposed below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the lower space of the server rack (see 210 in FIG. 7) used as the conventional cool air supply pipe can be divided into a server rack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ditional space for the server room 200.

즉, 종래의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의 경우, 서버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해 서버실의 하부에 냉기 공급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야 하였다. 따라서 서버실 하부에 일정 정도 공간을 남겨두고, 그 위에 서버를 배치하기 위한 바닥면을 형성하여야 하였으며, 따라서 냉각 방식 변경시 서버실의 구조를 변경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서버실 하부에 형성된 공간만큼 서버실 내부의 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공간 활용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That is, in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data center, a space for supplying cool air has to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erver room in order to supply cool air to the server roo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eave a certain space in the lower part of the server room and to form a floor for placing the server thereon.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of the server room must be changed when changing the cooling metho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ace inside the server room is reduced by the spac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rver room, and the space utilization is lowered.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실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의 경우, 서버실 냉각 장치(100) 하부에 배치되는 제1 공급부(150)와, 서버실 냉각 장치(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공급부(160)를 함께 구비함으로써, 서버실 하부에 냉기 공급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어, 데이터 센터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서버실과 서버실 냉각 장치의 연결을 위해 서버실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지므로, 기존의 데이터 센터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활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contrast, in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nd the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supply unit 150 disposed under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separate space for supplying cool air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rver room by providing the second supply portion 160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rver 100, Can be obtained. Furthermore, since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server room structure to connect the server room and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data center can be utilized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서버실 냉각 장치(100)에는 외기 유입부(110)로부터 인입되는 외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측정부는 일 예로,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에서 측정된 외기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measurement unit (not shown)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outsid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ir inlet 110. The measuring unit may include, for example,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a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humidity. Information o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outside air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can be transmit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제어부(미도시)는 측정부(미도시)로부터 수신한 외기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외기 유입부(110)를 통해 인입된 외기가 적정 온도/습도가 되도록 미스트 분사부(130)에서 분사되는 미스트의 분사량을 조절하여 유입된 외기가 냉각 또는 가습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and the humidity of the outside air received from the measuring unit (not shown) So that the introduced outside air is cooled or humidified.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는 서버실 내부의 온도/습도에 대한 정보와 외기의 온도/습도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서버실 내부의 냉각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미스트의 분사량을 조절함으로써 외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가, 서버실 내부의 온도는 적정 온도이지만 가습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미스트의 분사량을 조절함으로써 서버실 내부로 공급되는 외기의 습도를 높일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not shown) compares information on the temperature / humidity inside the server room and information on the temperature / humidity of the outside air and adjusts the amount of mist spray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side of the server room needs to be cooled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can be lowered. On the contrary,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server room is the proper temperature, but the humidification is necessary, the humidity of the outside air supplied into the server room can be increas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mist spray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의 쿨 존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의 핫 존의 측면도이다.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lan view of a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of FIG. FIG. 9 is a side view of the cool zone of the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of FIG. 7, and FIG. 10 is a side view of the hot zone of the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of FIG.

여기서, 도 9의 차가운 공기(SA: Supply Air)는 쿨 존(CZ)에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며, 도 10의 뜨거운 공기(RA: Return Air)는 핫 존(HZ)에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다. 9 shows the air flow in the cool zone CZ and the return air RA in FIG. 10 shows the air flow in the hot zone HZ .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서버실 냉각 장치(100)를 구비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1)은 서버실(200), 서버실(200) 내에 제1 방향(A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서버랙(210) 및 서버실(200)의 일 측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외기가 유입되어 이를 서버실(200)로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실 냉각 장치(100)를 포함한다.7, 8, 9, and 10, a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1 including a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includes a server room 200, a server room 200, A direction), and one or mor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es 100 that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rver room 200 and supply outside air to the server room 200 from the outside, .

이때, 각각의 서버랙(210)에는 복수 개의 서버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서버랙(210)의 사이의 공간은 교대로 핫 존(hot zone, HZ)과 쿨 존(cool zone, CZ)이 된다. 여기서, 쿨 존(CZ)은 서버실 냉각 장치(100)와 연결되어 서버실 냉각 장치(100)로부터 찬 공기를 공급받는다. 쿨 존(CZ)으로 공급된 찬 공기는 서버랙(210)으로 유입되고, 서버랙(21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서버를 통과하면서 이에 의해 가열된 후, 핫 존(HZ) 및 이와 연결된 배기부(22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서버실 냉각 장치(100)로 다시 공급된다. 따라서, 쿨 존(CZ)은 서버실 냉각 장치(100)와 연결되어 오픈되어 있으며, 핫 존(HZ)은 서버실 냉각 장치(100)에 대해 차단되어 있다. 여기서, 도 7에는 핫 존(HZ)과 쿨 존(CZ)들이 서로 연통되어 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도시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핫 존(HZ)과 쿨 존(CZ)들이 서로 연통될 수도 있으나, 효율적인 서버의 냉각을 위해서는 핫 존(HZ)과 쿨 존(CZ)이 서로 차단되고 쿨 존(CZ)은 서버실 냉각 장치(100)와 연결되어 서버실 냉각 장치(100)로부터 차가운 공기(SA: Supply Air)를 공급받고, 핫 존(HZ)은 서버실 냉각 장치(100)에 대해 차단되어, 뜨거운 공기(RA: Return Air)를 서버실(200) 상부에 구비된 배기부(220)로 배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plurality of servers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server racks 210. The spaces between the server racks 210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hot zone (HZ) and a cool zone (CZ) do. Here, the cool zone (CZ) is connected to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to receive cold air from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cool zone CZ flows into the server rack 210,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servers provided in the server rack 210 and is heated by the hot zone HZ, (220), or is returned to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Therefore, the cool zone CZ is opened in connection with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and the hot zone HZ is blocked from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 7, the hot zone HZ and the cool zones CZ are shown a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However, the hot zones HZ and the cool zones CZ may b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However, in order to efficiently cool the server, the hot zone HZ and the cool zone CZ are cut off from each other, the cool zone CZ is connected to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The hot zone HZ is shut off from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and hot air (RA) is supplied to the exhaust unit 220 provided on the server room 200, As shown in Fig.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서버실(200)의 쿨 존(CZ)으로 공급되는 차가운 공기(SA: Supply Air)는 각각의 일련의 서버랙(210)으로 공급되며, 서버랙(210)으로부터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RA: Return Air)는 핫 존(HZ)을 통해 서버실(200) 상부에 구비된 배기부(220)로 유입된다. 배기부(220)로 유입된 공기는 필요에 따라 서버실 냉각 장치(100)로 다시 유입되거나, 또는 서버실(200)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Cool air (SA) supplied to the cool zone (CZ) of the server room (200) is supplied to each series of server racks (210) and discharged from the server rack (210) Hot air (RA) is introduced into the exhaust part 220 provided above the server room 200 through the hot zone HZ. The air introduced into the exhaust unit 220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again or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server room 200 as necessary.

여기서, 배기부(220)는 서버실(200) 상부에 설치되어 서버실(200) 내부의 공기를 배기한다. 배기부(220)는 일 예로 덕트(Duck)로 구현될 수 있는데, 서버실 냉각 장치(100)로부터 공급된 차가운 공기가 서버실(200)에 구비된 서버랙(210)을 통해 가열되어 서버실(200) 상부로 올라가면, 이를 흡기하여 서버실(200)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Here, the exhaust unit 220 is disposed above the server room 200 to exhaust air inside the server room 200. Cooling air supplied from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may be heated by a server rack 210 provided in the server room 200 to cool the server room 200. [ (200), it can be sucked and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server room (200).

이와 같은 서버실(200)의 배기부(220)는 서버실 냉각 장치(100)의 리턴 덕트부(17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서버실(200)에서 배출된 뜨거운 공기는 배기부(220) 및 리턴 덕트부(170)를 통해 서버실 냉각 장치(100)로 유입됨으로써, 외기와 서버실(200) 내부의 공기가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미스트 분사부(130)는 혼합된 공기에 미스트를 분무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서버실(200)이 냉각 또는 가습되도록 할 수 있다.The exhaust unit 220 of the server room 200 may be connected to the return duct unit 170 of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server room 200 under control of the control unit flows into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through the exhaust unit 220 and the return duct unit 170, Of air can be mixed. In this case, the mist sprayer 130 can more effectively cool or humidify the server room 200 by spraying the mist to the mixed air.

한편, 서버실 냉각 장치(100)는 제1 방향(도 7의 A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서버실 냉각 장치(100)는 상호 간에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오픈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서버실 냉각 장치(100)는 상호 간에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서로 이웃한 서버실 냉각 장치(100)의 측벽은 모두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서버실 냉각 장치(100)를 구비한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1) 전체가 일체로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송풍 팬(161)이 각각의 송풍 팬(161)의 풍량을 개별적으로 조절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일부의 송풍 팬(161)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송풍 팬(161)의 풍량을 높여 전체 풍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es 100 may be provided along a first direction (direction A in FIG. 7).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es 100 may be opened to allow air flow between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es 100. That is, each of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es 10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side wall of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adjacent to each other is opened so that air can flow between them. Accordingly, the entire air conditioning system 1 of the data center having the plurality of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es 100 can be operated integrally.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blowing fans 161 are configured to individually adjust the air flow rates of the respective blowing fans 161, so that even if some blowing fans 161 fail, the remaining blowing fans 161 So that the total air volume can be maintained constant.

이와 같이 서로 통공된 복수 개의 서버실 냉각 장치(100)를 구비하여, 서버실(200) 외측의 공간 전체를 하나의 냉각 장치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공기저항을 줄여 반송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냉각 장치 내부에 덕트가 없어 주위환경이 복잡하지 않고 유지보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기류의 안정화로 장비 내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장비의 수명도 증가하며, 안정된 공기 흐름으로 정압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1)은 빌트업(BUILT UP) 방식과 패키지(PACKAGE) 방식을 혼합한 구조로 빌트업 방식의 장점인 공간 활용의 우수성과, 패키지 방식의 장점인 기밀 및 단열의 우수성을 모두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By providing a plurality of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es 100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use the entire space outside the server room 200 as one cooling apparatus, thereby reducing the air resistance and reducing the traveling power. And there is no duct in the cooling devic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not complicated and a maintenance space can be ensured. Furthermore, the stabilization of the airflow minimizes the noise and vibration in the equipment, increases the service life of the equipment, and minimizes static pressure loss with stable airflow. The air condition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that combines a BUILT UP method and a PACKAGE method. The air conditioning system 1 has advantages of space utilization, which is an advantage of the built-up method, It is possible to obtain both the excellent airtightness and the excellent heat insulation.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1)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the air conditioning system 1 of the data cent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데이터 센터 외부의 외기는 서버실 냉각 장치(100)의 외기 유입부(110)를 통해 서버실 냉각 장치(100) 내부로 인입된다. 이때, 외기에 포함되는 이물질은 외기 유입부(110) 및 필터부(120)를 통해 차단될 수 있다. 이물질이 차단된 외기는 서버실 냉각 장치(100)의 미스트 분사부(130)를 통과하면서, 미스트 분사부(130)에서 분무되는 미스트로 인해 냉각 또는 가습된다. 이후, 냉각 또는 가습된 외기는 서버실 냉각 장치(100)의 일 측에 구비되는 제1 공급부(150) 및/또는 제2 공급부(160)를 통해 서버실(200)로 공급된다. 이때, 서버실 냉각 장치(100)는 외기의 온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서버실 냉각 장치(100)의 냉각부(140)에 구비되는 냉각 부재(141)를 가동시킴으로써, 서버실(200) 내부로 보다 차가운 공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The outside air outside the data center is drawn into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through the outside air inlet 110 of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At this time, the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outside air can be cut off through the outside air inlet 110 and the filter unit 120. [ The air outside the room is cooled or humidified by the mist sprayed from the mist sprayer 130 while passing through the mist sprayer 130 of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The cooled or humidified ambient air is then supplied to the server room 200 through the first supply unit 150 and / or the second supply unit 16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At this time,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operates the cooling member 141 provided in the cooling unit 140 of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100 when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So that cooler air can be supplied.

다음으로, 서버실(200)의 쿨 존(CZ)으로 공급된 차가운 공기는 서버실(200)에 구비된 서버랙(210)으로 유입되고, 서버랙(21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서버에 의해 가열된 후 핫 존(HZ)으로 배출되며, 핫 존(HZ)의 상측에 구비된 배기부(220)를 통해 서버실(200)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배기부(220)로 배출된 공기의 일부는 서버실 냉각 장치(100)의 리턴 덕트부(170)를 통해 외기 유입부(110)로 다시 공급될 수도 있다.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cool zone CZ of the server room 200 flows into the server rack 210 provided in the server room 200 and is supplied to the server rack 200 by a plurality of servers included in the server rack 200 And is discharged to the hot zone HZ after being heated and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server room 200 through the exhaust unit 22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t zone HZ. At this time, a part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exhaust part 220 may be supplied to the outside air inlet part 110 through the return duct part 170 of the server room cooling device 100, if necessary.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장비 수량을 줄임으로써, 공간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미스트 분사부(130)와 냉각부(140) 사이의 간격을 최적화함으로써, 미스트 분사에 의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외기 유로의 굴곡을 최소화하여 자연 기류 공간을 확보하여 외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저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1차 측 동력전기 없이 2차 측 배기동력만으로 냉각이 가능해짐으로써, 서버실 내의 외기 공급 확보율 증대로 인해 에너지를 더욱 저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utilize the space by reducing the number of equipments provided 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data center. Further, by optimizing the interval between the mist spraying section 130 and the cooling section 140,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oling efficiency by the mist spraying can be obtain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minimizing the bending of the outside air flow path, securing a natural air flow space, and reducing the power for flowing the outside air. Furthermore, since cooling can be performed only by the secondary side exhaust power without primary side power transmiss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further reducing the energy due to an increase in the supply rate of outside air supply in the server room.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
100: 서버실 냉각 장치
110: 외기 유입부
120: 필터부
130: 미스트 분사부
140: 냉각부
150: 제1 공급부
160: 제2 공급부
200: 서버실
210: 서버랙
220: 배기부
1: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100: Server room cooling system
110: outside air inlet
120:
130: mist sprayer
140:
150:
160:
200: Server room
210: Server rack
220:

Claims (25)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부;
상기 외기 유입부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외기 유입부를 통해 공급된 외기가 필터링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외기에 미스트(mist)를 분사하는 미스트 분사부; 및
상기 미스트 분사부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미스트 분사부를 통과한 외기를 서버실로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서버실 냉각 장치.
An outside air inflow portion into which outside air flows;
A filter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outside air inflow unit and filtering outside air supplied through the outside air inflow unit;
A mist spraying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lter unit and spraying a mist to the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And
And a supply unit that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mist spray unit and supplies outsid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ist spray unit to the server roo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유입부는,
상기 외기 유입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 댐퍼(damper)를 포함하는 서버실 냉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side-
And a first damper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유입부는,
상기 외기에 포함된 수분 또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데미스터 필터(demister filter)를 포함하고, 상기 데미스터 필터는 상기 제1 댐퍼의 일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실 냉각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utside-
And a demister filter for blocking water or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wherein the demister filter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damp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미스터 필터는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데미스터 필터는 상기 제1 댐퍼의 일 측에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실 냉각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plurality of the demister filters ar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demister filters are zigzagged on one side of the first damp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유입부에,
상기 서버실 내를 통과한 리턴 공기가 공급되는 리턴 덕트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실 냉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And a return duct unit to which return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server room is supplied is connected to the return duct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유입부와 상기 리턴 덕트부 사이에는,
상기 외기 유입부와 상기 리턴 덕트부 사이의 공기 유동을 제어하는 제2 댐퍼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실 냉각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Between the outside air inlet portion and the return duct portion,
And a second damper for controlling an air flow between the outside air inlet and the return duct portion is interpos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외기 유입부에 대해, 상기 외기 유입부의 외기 유입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실 냉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portion is form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outside air inflow direction of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with respect to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분사부와 상기 공급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미스트 분사부를 통과한 외기를 냉각하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는 서버실 냉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ol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mist spraying unit and the supply unit and cooling the outsid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ist spraying uni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서버실 냉각 장치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실 냉각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oling unit is formed in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미스트 분사부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미스트 분사부를 통과한 외기를 상기 서버실로 공급하는 제1 공급부를 포함하는 서버실 냉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ly portion includes a first supply portion that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mist spray portion and supplies outside air passed through the mist spray portion to the server room.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부와 상기 서버실 사이에는,
상기 제1 공급부와 상기 서버실 사이의 공기 유동을 제어하는 제1 공급 댐퍼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실 냉각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Between the first supply part and the server room,
Wherein a first supply damper for controlling the air flow between the first supply unit and the server room is interpos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 댐퍼가 개방되면 상기 외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상기 서버실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실 냉각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when the first supply damper is opened,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is supplied into the server room.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부의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미스트 분사부를 통과한 외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서버실로 공급하는 제2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서버실 냉각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 first supply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pply part,
And a second supply unit for supplying at least a part of the outside air passed through the mist spraying unit to the server room.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급부는 상기 미스트 분사부를 통과한 외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서버실로 공급되도록 상기 외기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송풍 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실 냉각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second supply unit includes a blowing fan for guiding the flow of the outside air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mist spraying unit is supplied to the server room.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급부는 상기 제1 공급부에 대해, 상기 외기 유입부의 외기 유입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실 냉각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econd supply portion is form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an outside air inflow direction of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ly por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급부와 상기 서버실 사이에는,
상기 제2 공급부와 상기 서버실 사이의 공기 유동을 제어하는 제2 공급 댐퍼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실 냉각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Between the second supply unit and the server room,
And a second supply damper for controlling the flow of air between the second supply unit and the server room is interpos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 상기 미스트 분사부 및 상기 공급부는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실 냉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unit, the mist spraying unit, and the supply unit are disposed on a straight line.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의 서버실 냉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실 냉각 장치는,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서버랙을 구비하는 상기 서버실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서버실에 외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
A refrigerator comprising a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7,
Wherein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rver room including a plurality of server racks arranged along a first direction to supply outside air to the server room.
제 18 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한 상기 서버랙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서버실 냉각 장치로부터 외기를 공급받는 하나 이상의 쿨 존(cool zone)은 상기 서버실 냉각 장치에 대해 개방되어 있고,
서로 이웃한 상기 서버랙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쿨 존으로 유입된 외기가 상기 서버랙에 구비된 서버들을 통과한 후 배기되는 하나 이상의 핫 존(hot zone)은 상기 서버실 냉각 장치에 대해 차단되어 있고,
상기 쿨 존과 상기 핫 존은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
19. The method of claim 18,
At least one cool zone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adjacent server racks and supplied with outdoor air from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is open to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Wherein at least one hot zone formed in a space between adjacent server racks and exhausted after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cool zone passes through servers provided in the server rack is shut off to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And,
Wherein the cool zone and the hot zone are alternately arranged.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은 상기 서버실 냉각 장치로부터 공급받은 외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부는 상기 핫 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data center further includes an exhaust unit for exhausting outside air supplied from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to the outside,
And the exhaust unit is connected to the hot zone.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의 일 측은 상기 서버실 냉각 장치의 리턴 덕트부와 연결되고,
상기 서버실 냉각 장치에서 공급받은 외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리턴 덕트부를 통해 다시 상기 서버실 냉각 장치로 공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
21. The method of claim 20,
One side of the exhaust part is connected to a return duct part of the server room cooling device,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outside air supplied from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is supplied to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 through the return duct unit.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서버실 냉각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서버실 냉각 장치들은 상호 간에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오픈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es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es are formed so as to be open to allow air flow between the server room cooling apparatuses.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서버실 내의 상기 서버랙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ly portion is formed to face the server rack in the server room.
제 18 항에 있어서,
기존의 서버실 구조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
19. The method of claim 18,
A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existing server room structure can be utilized as it is.
제 18 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공급부에 고장 발생시 나머지 공급부의 풍량을 높여 전체 풍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
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when the failure occurs in any one of the supply units, the air volume of the remaining supply units is increased to keep the total air volume constant.
KR1020140001496A 2014-01-06 2014-01-06 Apparatus for cooling sever roo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data center therewith KR20150081729A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496A KR20150081729A (en) 2014-01-06 2014-01-06 Apparatus for cooling sever roo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data center therewith
PCT/KR2014/011922 WO2015102247A1 (en) 2014-01-06 2014-12-05 Server room cooling device, filter module for introducing outer air, and data center air-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same
US15/109,999 US10492338B2 (en) 2014-01-06 2014-12-05 Server room cooling device, filter module for introducing outer air, and data center air-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same
EP14877112.4A EP3093565B1 (en) 2014-01-06 2014-12-05 Server room cooling device
CN201480068728.6A CN105829807A (en) 2014-01-06 2014-12-05 Server room cooling device, filter module for introducing outer air, and data center air-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same
JP2016562714A JP6700192B2 (en) 2014-01-06 2014-12-05 Server room cool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496A KR20150081729A (en) 2014-01-06 2014-01-06 Apparatus for cooling sever roo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data center therewith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386A Division KR20160043943A (en) 2016-04-06 2016-04-06 Apparatus for cooling sever roo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data center therewit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729A true KR20150081729A (en) 2015-07-15

Family

ID=53793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496A KR20150081729A (en) 2014-01-06 2014-01-06 Apparatus for cooling sever roo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data center therewi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172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310B1 (en) * 2016-01-21 2017-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Built-up air conditioning system
KR20210012850A (en) * 2019-07-24 2021-02-03 바이스 클리마테크닉 게엠베하 Air conditioned roo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310B1 (en) * 2016-01-21 2017-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Built-up air conditioning system
KR20210012850A (en) * 2019-07-24 2021-02-03 바이스 클리마테크닉 게엠베하 Air conditioned roo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32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ooling sever roo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data center therewith
JP6700192B2 (en) Server room cooling device
KR20150122578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ooling sever roo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data center therewith
US20100041327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ir conditioning using fans located under flooring
CN206094352U (en) A cooling system that is used for complete machine cabinet of computer lab
CN102016431A (en) Dehumidifier apparatus and method
JP2015046176A (en) Server room cooling device and method using natural air
US9551496B2 (en) Displacement-induction neutral wall air terminal unit
WO2020098155A1 (en) Warehouse type micromodule
KR102031238B1 (en) Apparatus for cooling sever room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center using therewith
CN115978670A (en) Distributed air conditioner purification system for tall and big clean factory building
KR20160043943A (en) Apparatus for cooling sever roo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data center therewith
KR20150081729A (en) Apparatus for cooling sever roo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data center therewith
KR101579883B1 (en)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center system using heat exchanger
KR101995120B1 (en)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without exhaust fan
JP6038702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GB2567762A (en) Evaporative cooler apparatus and method
KR101439507B1 (en) A operating device of constant temperature constant humidity for servers and network equipment
KR20160128285A (en) Apparatus for cooling sever roo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data center therewith
KR200482412Y1 (en) Perforated sheet for air current inducement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data center therewith
KR20200086461A (en) Air conditioner having oxygenation and fine dust removal
KR101597506B1 (en)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50091694A (en) Filter module for introducing outside ai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data center therewith
KR101563696B1 (en) Humidifying and Ventilating Apparatus
KR102221020B1 (en) Server room air conditio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501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017

Effective date: 2019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