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648A - A dry caisson for maintenance water-surface and underwater a structure - Google Patents

A dry caisson for maintenance water-surface and underwater a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648A
KR20150081648A KR1020140001344A KR20140001344A KR20150081648A KR 20150081648 A KR20150081648 A KR 20150081648A KR 1020140001344 A KR1020140001344 A KR 1020140001344A KR 20140001344 A KR20140001344 A KR 20140001344A KR 20150081648 A KR20150081648 A KR 20150081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teel pipe
present
caisson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3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세준
Original Assignee
전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세준 filed Critical 전세준
Priority to KR1020140001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1648A/en
Publication of KR20150081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64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02D23/02Caissons able to be floated on water and to be lowered into water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5/00Joining caissons, sinkers, or other units to each other under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2Restraining of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 caisson for maintaining an underwater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ry caisson for maintaining an underwater structure, capable of making a dry environment in a body by discharging water in the body after assembling the body with a steel pile to be processed among underwater structures in order to work on the steel pile, but having use convenience and high utilization by performing the same work on another steel pile having different diameter without a change to another cais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 caisson is capable of making the dry environment in the body by discharging water in the body after assembling the body with the steel pile to be processed among the underwater structures in order to work on the steel pile, but having use convenience and high utilization by changing the diameter of a through hole accepting the steel pile by operating a changeable attaching unit.

Description

수중 구조물 유지보수를 위한 건식 케이슨{A dry caisson for maintenance water-surface and underwater a structur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 caisson for maintenance of an underwater structure,

본 발명은 수중 구조물 유지보수를 위한 건식 케이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중 구조물 중 강관파일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작업하고자 하는 강관파일 부분에 분할 몸체를 조립한 다음 몸체 내부의 물을 배수하여 몸체 내부 공간을 건식환경으로 만들어 작업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다른 케이슨으로 교체 없이도 직경의 크기가 다른 강관파일에도 동일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수중 구조물 유지보수를 위한 건식 케이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 caisson for maintenance of an underwater structur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 caisson for maintenance of an underwater structure,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same operation on steel pipe files of different diameters without replacing with other caissons. Therefore, maintenance of underwater structure that is easy to use can be performed. ≪ / RTI >

본 발명인 수중 구조물 유지보수를 위한 건식 케이슨이 사용되는 곳은 각종 부두 중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잔교식 항만으로, 강관파일을 부두시설지역, 즉 연안의 해저에 다수의 강관파일을 박아 세우고 그 강관파일의 상부에 콘크리트 몰탈 등으로 구성되는 슬래브를 얹혀놓아서 해상에 두부를 축조시킨 것이다.
The dry caisson for maintenanc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the most widely used pier type port among the various piers. A steel pipe file is installed in a pier area, that is, A slab composed of concrete mortar or the like is placed on the top of the file to make tofu on the sea.

이러한 잔교식 항만에서는 강관파일의 비말대 및 간만대 부분에서 해수에 의한 부식이 일어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such a piercing port, there is a problem that corrosion is caused by seawater in the marginal zone and the tidal zone of the steel pipe pile.

비말대란 해수와 직접 닿지는 않지만 파도에 의해 해수가 흩뿌려지는 부분을 말하며, 간만대란 해수의 만조와 간조에 의해 주기적으로 해수에 잠기거나 공기에 노출되는 부분을 말한다.Scallop is the area where seawater is scattered by waves but does not touch directly with seawater. Tidal disturbance refers to a part of seawater that is periodically immersed in sea water or exposed to air by high tide and low tide.

이렇게 비말대 및 간만대에서 강관파일의 부식이 많이 일어나 이러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내식 재료의 선정, 유기피막 방식(도장, 도금), 전기방식, 부식환경 개선 등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수중에서 작업을 진행하여야하므로 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methods for preventing such corrosion due to corrosion of the steel pipe files in the impingement and tidal zones are, for example, selection of corrosion resistant materials, organic film coating (coating, plating), electric method,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the work in wate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공개특허 2006-0019076는 수중 구조물 중 강관파일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작업하고자 하는 강관파일 부분에 분할 몸체를 조립한 다음 몸체 내부의 물을 배수하여 몸체 내부 공간을 건식환경으로 만들어 줌으로써 평면이 아닌 입체적인 면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수중 구조물 작업용 케이슨을 제안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6-0019076 discloses a method for assembling a split body into a steel pipe file portion to be worked to perform a work on steel pipe files among aquatic structures, draining water inside the body, It is proposed to use a caisson for underwater structure work that can work on a three-dimensional surface instead of a flat surface by making it into an environment.

상기의 대한민국공개특허 2006-0019076는 수중 구조물 중 강관파일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작업하고자 하는 강관파일 부분에 분할 몸체를 조립한 다음 몸체 내부의 물을 배수하여 몸체 내부 공간을 건식 환경으로 만들어 줌으로써 건식환경의 몸체 내부공간에 작업자가 들어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평면이 아닌 입체적인 면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으나 다양한 크기의 직경의 강관파일에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6-0019076 discloses a method for assembling a divided body into a steel pipe file portion to be worked to perform a work on steel pipe files in an underwater structure, draining the water inside the body, The worker is allowed to perform work on the inner space of the dry environment body to perform work on a three-dimensional surface rather than a flat surfac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be used in a pipe file of various size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중 구조물 중 강관파일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작업하고자 하는 강관파일 부분에 분할 몸체를 조립한 다음 몸체 내부의 물을 배수하여 몸체 내부 공간을 건식환경으로 만들어 작업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다른 케이슨으로 교체 없이도 직경의 크기가 다른 강관파일에도 동일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수중 구조물 유지보수를 위한 건식 케이슨을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pipe file, Provide a dry caisson for maintenance of underwater structures that can be used in a dry environment and can be used in steel pipe files of different diameters without replacing with other caissons. I want to.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중에서 슬라브 하부를 지지하는 강관파일의 유지보수를 수행하기 위한 수중 구조물 유지보수를 위한 건식 케이슨에 있어서, 상기 강관파일이 관통되도록 수용하면서 외면에 밀착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바닥체와, 상기 바닥체의 외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체 및 상기 벽체는 상기 관통홀이 상기 강관파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힌지를 축으로 양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양분되는 면과 상기 강관파일에 밀착되는 면에 설치되어서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차수패킹; 및 상기 바닥체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홀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면서 상기 관통홀의 내경 크기가 줄어들도록 가변함으로써 외경 크기가 작은 강관파일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가변식 밀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y caisson for maintenance of an underwater structure for maintenance of a steel pipe pile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a slab in water, the dry caisson comprising: And a wall extending upwardly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body, wherein the bottom body and the wall are divided into two sections, each of which is divided into two sections along the hinge axis so that the through- Body; An order packing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body to be nested and a surface closely contacted with the steel pipe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thereof; And a variable contact mean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body and projecting toward a central portion of the through hole to allow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to be reduced so that the pipe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steel pipe having a small outer diameter. .

바람직하게 상기 가변식 밀착수단은 상기 몸체의 바닥체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양 측에 각각 구비되는 슬라이딩수단; 및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양 측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구비되어서 인접하는 상기 슬라이딩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관통홀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관통홀의 내경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는 가변 밀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variable contact means includes sliding mean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body, respectively; And a variable tightening portion formed to be slidable on both lower sides with respect to the through hole and connected to the adjacent sliding means to protrude toward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to be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And the like.

바람직하게 상기 가변 밀착부의 내면에는 강관파일 밀착시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packing for preventing water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flexible fastening part when the pipe fitting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s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수중 구조물 중 강관파일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작업하고자 하는 강관파일 부분에 분할 몸체를 조립한 다음 몸체 내부의 물을 배수하여 몸체 내부 공간을 건식환경으로 만들어 작업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가변식 밀착수단의 작동으로 인해 강관파일을 수용하는 관통홀의 내경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어 다른 케이슨으로 교체 없이도 직경의 크기가 다른 강관파일에도 동일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erform maintenance work on a steel pipe file among the underwater structures, a split body is assembled to a portion of a steel pipe file to be worked, and then the water inside the body is drained, In particular, since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for accommodating the steel pipe file can be varied due to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contact means, the same operation can be performed on a steel pipe file having a different diameter without using another caiss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easy to us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구조물 유지보수를 위한 건식 케이슨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작동관계를 보인 사시도.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를 보인 평면도이고, "나"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밀착수단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7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밀착수단을 보인 종단면도이며, "나"는 개략적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 케이슨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 케이슨의 설치 후 모습을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관통홀이 가변된 건식 케이슨의 설치 모습을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y caisson for maintenance of an underwater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ody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contact mea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variable contact mea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 is a schematic plan view.
FIG.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dry caiss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schematic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installation of a dry caisson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 is a schematic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dry caisson having a variable through ho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인 수중 구조물 유지보수를 위한 건식 케이슨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ry caisson for maintenance of an underwat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erms in order to describe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구조물 유지보수를 위한 건식 케이슨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y caisson for maintenance of an underwater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on line A-A of FIG.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수중 구조물 유지보수를 위한 건식 케이슨(10)은 크게 몸체(100), 차수패킹(200) 및 가변식 밀착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dry caisson 10 for maintenance of an underwat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largely a body 100, an order packing 200, and a variable contact means 300.

먼저, 상기 몸체(100)는 바닥체(110) 및 상기 바닥체(110)의 외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벽체(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체(110)에는 여기서는 미도시 된 강관파일이 관통되도록 수용하면서 그 외면에 밀착되는 관통홀(1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100)는 힌지(130)를 축으로 양분되게 구성되는데 이와 관련된 상세한 구성 부분은 하기에서 다시 언급하기로 한다.The body 100 includes a bottom body 110 and a wall body 120 extending up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body 110. The bottom body 110 is provided with a steel pipe And a through hole 112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while accommodating the through hole. At this time, the body 100 is divided into two parts with the hinge 130 as an axis, and the detailed constituent parts related thereto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한편, 상기 몸체(100)는 부력을 가질 수 있도록 그 내부에 미도시 된 부력재가 구비되는데, 이는 종래 기술에서도 이미 제안되어 있는 바,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0)를 구성하는 벽체(120)의 상면에는 강관파일이 지지하는 슬라브에 밀착 고정되어서 몸체(10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수직실린더(160)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벽체(120)의 내벽에는 강관파일의 측면에 밀착 고정되어서 몸체(10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수평실린더(170)를 더 포함하는데, 이 또한 종래에서 언급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Meanwhile, the body 100 is provided with a buoyancy member (not shown) so as to have buoyancy, which has already been proposed in the prior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upper surface of the wall 120 constituting the body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vertical cylinder 160 tightly fixed to the slab supported by the steel pipe to prevent the body 100 from shaking, 120 further includes a horizontal cylinder 170 which is tightly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teel pipe to prevent the body 100 from being shaken. Since this is also referred to in the related art, anothe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계속해서, 상기 차수패킹(200)은 상기 몸체(100)의 양분되는 면 및 상기 관통홀(112)의 내면에 구비되어서 틈새를 통해서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 또한 다양한 형태의 패킹 형태가 설치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secondary packing 200 is provided on both the surface of the body 1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2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gap, Can be installed.

마지막으로, 상기 가변식 밀착수단(300)은 상기 바닥체(110)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홀(112)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면서 상기 관통홀(112)의 내경 크기를 작게 가변시켜 외경 크기가 작은 강관파일에도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 구성 및 작동관계는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The variable contact means 30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member 110 and protrudes toward the central portion of the through hole 112 to vary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12 to be small, So that it can be closely attached to a small steel pipe file.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에서 간략하게 언급한 몸체(100) 및 가변식 밀착수단(300)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etails of the configura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body 100 and the variable abutting means 300 briefly referred to above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작동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를 보인 평면도이고, "나"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a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bod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I"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도 3 내지 5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몸체(100)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원판 형태이며 중앙에 관통홀(112)이 형성된 바닥체(110) 및 상기 바닥체(110)의 외주로부터 상부로 형성된 벽체(120)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120)의 후측에 구비된 힌지(130)를 축으로 상기 벽체(120) 및 바닥체(110)가 양 측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되며, 이 양분되는 동작을 위해 상기 바닥체(110)에는 신축 작동하는 유압실린더(150)가 설치되고, 이 유압실린더(150)의 신축 운동에 의해 상기 몸체(100)는 힌지(130)를 축으로 벌어지거나 닫히게 된다.3 to 5, the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110 having a disk shape and having a through hole 112 at the center thereof, A wall 120 and a wall 120 and a bottom 110 on both sides of a hinge 130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wall 120, A hydraulic cylinder 150 is provided on the bottom body 110 to extend and contract and the body 100 is opened or closed by the hinge 130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ovement of the hydraulic cylinder 150.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전면에는 닫혔을 때 이 상태를 단단히 고정하기 위한 잠금부재(14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데, 이 잠금부재(140)는 양분되는 몸체(100)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볼트봉(142) 및 다른 몸체(100)에 설치되는 너트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잠금부재(140)의 구성을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종래기술에서도 언급하고 있듯이 다양한 형태가 제안될 수 있다.A locking member 140 is further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00 to firmly fix the locking member 140 when the locking member 140 is closed. And a nut portion 144 provided on the other body 100. The bolt rod 142 and the nut portion 144 are provided on the other body 100, respectively. Of course,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 member 140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forms can be proposed as mentioned in the related art.

이렇게 구성되면, 특히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는 힌지(130)를 축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강관파일(420)로 끼움되면서 상기 강관파일(420)이 바닥체(110)에 형성된 관통홀(112)로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4, the body 100 is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file 420 while being hung around the hinge 130, and the steel pipe file 420 is inserted into the bottom body 110 And is received in the through hole 112 formed therein.

한편, 양분되는 상기 바닥체(110)의 하면에는 후술할 가변식 밀착수단(300)을 설치하기 위해 각각 슬라이드공(114,114')이 형성되는데, 즉 양분되는 바닥체(110)에 대칭되게 각각 형성되어 같이 양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각각 형성된 상기 슬라이드공(114,114') 일측에는 상기 관통홀(112)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레일부(116,116')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레일부(116,116')는 바닥체(110)에 형성된 관통홀(112)로 돌출되지 않도록 그 끝단을 상기 관통홀(112) 형상을 따라 형성하여 상기 레일부(116,116')가 관통홀(112)의 형상에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체(110)에는 상기 슬라이드공(114,114')을 상부로 연장하는 돌출부(118,11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slide holes 114 and 114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body 110 in order to provide a variable contact means 300 to be described later. In other words, So that it can be divided into two. A pair of rails 116 and 116 'for guiding the slide holes 114 and 114' to the side of the through hole 112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formed slide holes 114 and 114 '. The rails 116 and 116' So that the rail portions 116 and 116 'do not interfere with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112 so that they do not protrude into the through hole 112 formed in the through hole 112. The bottom member 110 is formed with projections 118 and 118 'extending upward to the slide holes 114 and 114', respectively.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밀착수단을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밀착수단을 보인 종단면도이며, "나"는 개략적 평면도이다.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contact mea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ariable contact mea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Quot; is a schematic plan view.

먼저, 도 6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가변식 밀착수단(300)은 크게 슬라이딩수단(310) 및 가변 밀착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6, the variable contact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iding unit 310 and a deformable contact unit 320.

상기 슬라이딩수단(3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바닥체(110)에 형성된 관통홀(112)을 중심으로 상부 양 측에 각각 구비되어서 바닥체(110)에 형성된 돌출부(118,118')를 통해 슬라이드공(114,114') 내부로 피스톤로드의 끝 부분이 인입된다.
7, the sliding unit 310 is provided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through hole 112 formed in the bottom body 110 of the body 100, The ends of the piston rod are drawn into the slide holes 114 and 114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lide grooves 118 and 118'.

그리고, 상기 가변 밀착부(320)는 관통홀(112)의 내경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되, 양분된 한 쌍으로 구성되어져 양분되는 상기 바닥체(110)의 하면에 형성된 슬라이드공(114,114') 내부에 대칭되게 각각 구비됨과 동시에 레일부(116,116')에 안치됨과 동시에 상측이 상기 슬라이딩수단(310)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어서 상기 슬라이딩수단(310)의 신축 작동에 의해서 상기 관통홀(112) 중심부 쪽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서로 밀착되었을 때 상기 관통홀(112)의 내경 크기(W)를 가변시켜 작은 크기(W')를 가지도록 한다.The variable adherence unit 320 is provided to vary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12. The variable adherence unit 320 includes a pair of slide holes 114 and 114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body 110, And the upper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piston rod of the sliding means 310 so that the through hole 112 is form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of the sliding means 310. In addition, The inner diameter W of the through hole 112 may be varied so as to have a small size W 'when it is slid toward the center and closely adhered to each other.

물론, 상기 가변 밀착부(320)의 맞닿는 부분에는 패킹(330)이 구비되어서 밀폐력을 우수하게 하는 것은 당연하다.
Of cours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packing 330 is provided at the abutting portion of the variable abutting portion 320 to provide excellent sealing force.

결국,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변식 밀착수단(300)을 구비하여서 관통홀(112)의 크기가 줄어들도록 가변할 수 있어 직경 사이즈가 작은 강관파일도 수용하면서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그 사용처를 다변화시키면서도 사용이 편리하도록 된 것에 큰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As a resul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vary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112 by providing the variable contact means 300 so that a steel pipe file having a small diameter size can be held in close contact while being used, Which is a convenient feature.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중 구조물 유지보수를 위한 건식 케이슨(10)의 사용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use of the dry caisson 10 for maintenanc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 케이슨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 케이슨의 설치 후 모습을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관통홀이 가변된 건식 케이슨의 설치 모습을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다.FIG.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dry caiss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chematic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installation of a dry caiss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stallation of a dry caisson having a variable through ho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8을 참조로 하면, 수중 구조물(400)인 슬라브(410)를 지지하는 강관파일(420)에 대한 유지보수를 위해 부력을 가지는 몸체(100)를 수면에 띠운 상태로 접근하게 되며, 이때 상기 몸체(100)는 바닥체(110)의 상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150)의 동작에 의해 힌지(130)를 축으로 양분된 상태로 벌어져서 접근하게 된다. 그런 뒤, 상기 몸체(100)의 바닥체(110)에 형성된 관통홀(112)로 강관파일(420)이 수용되면 다시 유압실린더(150)를 동작시켜서 벌어졌던 몸체(100)를 닫게 하면 설치가 완료되며, 이후 미도시 된 펌프 등을 이용하여 설치 과정에서 몸체(100)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펌핑하여 건식 환경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내부에서 도색을 하는 등 유지보수를 할 수 있게 한다.Referring to FIG. 8, the body 100 having buoyancy approaches the water surface for maintenance of the steel pipe file 420 supporting the slab 410, which is the underwater structure 400, At this time, the body 100 is opened by approaching the hinge 130 in a state of being bis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150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body 110. Then, when the steel pipe file 420 is received in the through hole 112 formed in the bottom body 110 of the body 100, the hydraulic cylinder 150 is operated again to close the body 100, And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body 100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is pumped to the exterior by using a pump or the like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reby enabling the operator to perform maintenance such as painting in the interior by forming a dry environment.

물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에 구비된 수직실린더(160) 및 수평실린더(170)를 통해서 슬라브(410) 하면과 강관파일(420)의 외면에 몸체(100)를 단단히 고정하여 유속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바닥체(110)에 형성된 관통홀(112)은 강관파일을 수용하면서 그 외벽에 차수패킹(200)을 매개로 밀착되어서 내부로 더 이상 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9, the body 100 is firmly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lab 410 and the steel pipe 420 through the vertical cylinder 160 and the horizontal cylinder 170 provided in the body 100, So as not to be shaken by the flow velocity. The through hole 112 formed in the bottom body 110 receives the steel pipe file and is tightly adhered to the outer wall of the steel pipe via the secondary packing 200 so that water can no longer flow into the inside.

이때, 상기 유지보수를 해야 될 강관파일(420)이 동일한 직경을 가지게 되면 크게 문제될 것이 없으나, 구조물의 종류나 그 설계에 의해서 상기 강관파일(420)은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는데, 종래의 타입에 의하면 강관파일(420)의 직경 사이즈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내경 크기를 갖는 관통홀(112)이 구비된 건식 케이슨(110)을 별도로 제작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 문제를 극복하게 된 것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에 도시된 강관파일(4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강관파일(420a)에 본 발명의 건식 케이슨(1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한 설치 과정을 거치게 되나 관통홀(112)의 내경 크기보다 강관파일(420a)의 직경이 작게 되므로 그 틈새로 물이 지속적으로 유입될 것이다.In this case, if the steel pipe file 420 to be maintained has the same diameter, it is not a big problem. However, the steel pipe file 420 may have various diameter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structure and its desig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 caisson 110 having the through-hole 112 having the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steel pipe file 420 is manufactured separately.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10, in order to install the dry caiss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eel pipe file 420a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eel pipe file 420 shown in Fig. 9, However, since the diameter of the tubular pipe 420a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hole 112, water will continuously flow into the gap.

그러나, 바닥체(110)의 하면에 설치된 가변식 밀착수단(300)인 슬라이딩수단(310)을 동작시켜 이에 연결된 한 쌍의 가변 밀착부(320)를 중심을 향해 슬라이딩 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관통홀(112)의 내경 크기는 상기 가변 밀착부(320)로 인해 점차 줄어들게 되고, 곧 상기 가변 밀착부(320)가 상기 강관파일(420a)의 외면에 밀착하게 되어 발생된 틈새를 없애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되면 역시 물을 외부로 펌핑하여 동일한 건식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강관파일(420a)에 대한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However, the sliding means 310, which is the variable contact means 300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body 110, is operated to slide the pair of the deformable contact portions 320 connected to the sliding means 310 toward the center.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12 is gradually reduced due to the variable adherence portion 320 and the gap formed by the variable adherence portion 320 adhering closely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tube 420a I will get rid of it. Once installed, it also pumps water out and provides the same dry environment to enable maintenance on the steel pipe file 420a.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가변식 밀착수단(300)을 통해 관통홀(112)의 내경 사이즈를 가변할 수 있으므로 대부분의 강관파일에는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지 않고도 설치 사용가능한 장점이 있어, 그 사용처가 다변화됨은 물론이고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새로운 제품 제작에 따른 비용절감과 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12 can be varied through the variable contact means 300, most of the steel pipe files can be installed and used without being replaced with new ones. And is easy to use.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cost savings and time savings for new products.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has outlined rather broadly the features and technic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hat the claims of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that constitute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t should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isclosed concepts and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can be used immediately as a basis for designing or modifying other structures to accomplish the invention and similar purposes.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ed or altered equivalent structur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a basis for modifying or designing the invention to the other structures for carrying out the same purpose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본 발명의 건식 케이슨 100 : 몸체
110 : 바닥체 112 : 관통홀
114 : 슬라이드공 116 : 레일부
118 : 돌출부 120 : 벽체
130 : 힌지 140 : 잠금부재
142 : 볼트봉 144 : 너트부
150 : 유압실린더 160 : 수직실린더
170 : 수평실린더 200 : 차수패킹
300 : 가변식 밀착수단 310 : 슬라이딩수단
320 : 가변 밀착부 330 : 패킹
400 : 수중 구조물 410 : 슬라브
420,420a : 강관파일
10: Dry caiss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Body
110: bottom body 112: through hole
114: slide ball 116:
118: protrusion 120: wall
130: hinge 140: locking member
142: bolt rod 144: nut part
150: Hydraulic cylinder 160: Vertical cylinder
170: Horizontal cylinder 200: Order packing
300: Variable contact means 310: Sliding means
320: Variable adhesion part 330: Packing
400: underwater structure 410: slab
420, 420a: Steel pipe file

Claims (3)

수중에서 슬라브 하부를 지지하는 강관파일의 유지보수를 수행하기 위한 수중 구조물 유지보수를 위한 건식 케이슨에 있어서,
상기 강관파일이 관통되도록 수용하면서 외면에 밀착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바닥체와, 상기 바닥체의 외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체 및 상기 벽체는 상기 관통홀이 상기 강관파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힌지를 축으로 양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양분되는 면과 상기 강관파일에 밀착되는 면에 설치되어서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차수패킹; 및
상기 바닥체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홀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면서 상기 관통홀의 내경 크기가 줄어들도록 가변함으로써 외경 크기가 작은 강관파일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가변식 밀착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구조물 유지보수를 위한 건식 케이슨.
A dry caisson for underwater structure maintenance for performing maintenance of a steel pipe pile for supporting a slab bottom in water,
And a wall extending upwardly from an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body, wherein the bottom body and the wall are formed such that the through-hole is in contact with the steel pipe A body that is bisected axially to accommodate the file;
An order packing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body to be nested and a surface closely contacted with the steel pipe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thereof; And
A variable contact mean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body and projecting toward a central portion of the through hole to vary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to be reduced so that the variable contact means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steel pipe file having a small outer diameter;
Wherein the dry caisson for maintenance of an underwater structure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opening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식 밀착수단은
상기 몸체의 바닥체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양 측에 각각 구비되는 슬라이딩수단; 및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양 측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구비되어서 인접하는 상기 슬라이딩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관통홀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관통홀의 내경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는 가변 밀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구조물 유지보수를 위한 건식 케이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ariable contact means
Sliding mean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body, respectively; And
A variable abutting portion that is slidab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and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by being connected to the adjacent sliding means and protruding toward a central portion of the through hole;
Wherein the dry caisson for maintenance of an underwater structure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opening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밀착부의 내면에는 강관파일 밀착시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구조물 유지보수를 위한 건식 케이슨.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packing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ariable tightly coupled portion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when the pipe fitting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KR1020140001344A 2014-01-06 2014-01-06 A dry caisson for maintenance water-surface and underwater a structure KR2015008164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344A KR20150081648A (en) 2014-01-06 2014-01-06 A dry caisson for maintenance water-surface and underwater a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344A KR20150081648A (en) 2014-01-06 2014-01-06 A dry caisson for maintenance water-surface and underwater a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648A true KR20150081648A (en) 2015-07-15

Family

ID=53793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344A KR20150081648A (en) 2014-01-06 2014-01-06 A dry caisson for maintenance water-surface and underwater a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1648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853B1 (en) * 2015-10-06 2016-08-10 아주지오텍(주) Dry tank for underwater file casing
CN110499710A (en) * 2019-08-29 2019-11-26 中天路桥有限公司 A kind of underwater constructing tie beam device of small hanging box and its technique
KR102123558B1 (en) * 2019-12-16 2020-06-16 이진길 Tank allowing dry work for underwater framework for bridge construction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ing that
NL2027956B1 (en) * 2021-04-13 2022-10-24 Theodorus Johannes Straver Albertus Work equip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853B1 (en) * 2015-10-06 2016-08-10 아주지오텍(주) Dry tank for underwater file casing
CN110499710A (en) * 2019-08-29 2019-11-26 中天路桥有限公司 A kind of underwater constructing tie beam device of small hanging box and its technique
KR102123558B1 (en) * 2019-12-16 2020-06-16 이진길 Tank allowing dry work for underwater framework for bridge construction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ing that
NL2027956B1 (en) * 2021-04-13 2022-10-24 Theodorus Johannes Straver Albertus Work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1648A (en) A dry caisson for maintenance water-surface and underwater a structure
WO2011044556A3 (en) Wave suppressor and sediment collection system
RU2018138980A (en) WIND TURBINE GASKET
NO339112B1 (en) Antifouling device in center well
CN103774611B (en) Arc transmission breakwater
TW201700892A (en) Large-diameter submerged water pipe counterweight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for easily dragging and sinking in simple overall structure and easy to install
CN105752285B (en) A kind of rigid steel pipes tension tendon alignment system for many floating drums of connecting
CN101775812A (en) Built-in buoy towing barrel-shaped foundation sinking method
JP2013253444A (en) Multilayer sewerage pipe
KR100641605B1 (en) Caisson for maintenance of under- water structure
CN208266910U (en) Negative pressure bucket
KR101487513B1 (en) Wave absorbing apparatus of moonpool
CN104762942B (en) Fixed platform soft soil foundation seabed, aquatic building ocean fixed installation construction method
KR101255961B1 (en) Caison breakwater construction method
KR102183041B1 (en) Fixed anchor construction method of marine structure
RU2015152044A (en) DEEP WATER DETACHABLE TOURNEY SYSTEM WITH FW RIGGER CONFIGURATION
Vijay et al. Retrofitting of floating bridges with perforated outer cover for mitigating wave-induced responses
KR20150021611A (en) Vertical pontoon type semi-rig
CN103850235A (en) Offshore platform pile leg protection device
Mardani et al. Analysis and assessment of installing blocks on performance of stilling basins
JP5393376B2 (en) Double-pipe tremy device and earth and sand charging method
CN205188987U (en) Toper basis of belted steel system slope pterygoid lamina among ocean engineering
KR101606926B1 (en) Floating structures binder
CN204386525U (en) A kind of drilling fluid treatment system and movable drilling fluid storage device thereof
McGovern et al. Evolution of local scour around a collared monopile through tidal cy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