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291A - Marking system - Google Patents

Mark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291A
KR20150080291A KR1020130168881A KR20130168881A KR20150080291A KR 20150080291 A KR20150080291 A KR 20150080291A KR 1020130168881 A KR1020130168881 A KR 1020130168881A KR 20130168881 A KR20130168881 A KR 20130168881A KR 20150080291 A KR20150080291 A KR 20150080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rking
support portion
roller
lin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8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56041B1 (en
Inventor
강태종
유송원
신성섭
박춘홍
이승구
박동일
Original Assignee
축산물품질평가원
주식회사 아이비하이테크
주식회사 알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축산물품질평가원, 주식회사 아이비하이테크, 주식회사 알텍코리아 filed Critical 축산물품질평가원
Priority to KR1020130168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041B1/en
Publication of KR20150080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2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0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k Je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rking system. The invention provides the marking system, comprising: a guide rail parallel to a first direction; a first support unit coupled to the guide rail to be movable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or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second support unit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unit such that a distance away from the first support unit is variable; a marking unit having at least one roller in contact with a surface of a marking object and coupled to be rotated around one point of the second support unit as a shaft so as to mark information on the surface of the marking object; and a driving means for moving the first support unit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guide rail wherein the marking system performs a marking operation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urface of the marking object and thereby becomes capable of uniformly marking a variety of information on the surface of the marking object.

Description

마킹시스템{MARKING SYSTEM}MARKING SYSTEM

본 발명은 마킹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 돼지 등의 마킹대상체의 표면에 소정의 형상을 자동으로 마킹하는 시스템에 관련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rk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automatically marking a predetermined shape on a surface of a marking object such as a small or a pig.

최근들어 소비자들이 식자재에 표시된 원산지나 품질을 신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In recent years, efforts have been made to ensure that consumers trust the origin or quality of the ingredients displayed.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써, 특허문헌1 및 특허문헌2 등에 소개된 축산물이나 육류의 이력을 관리하는 시스템들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such efforts include systems for managing the history of livestock products and meat introduced in Patent Documents 1 and 2 and the like.

한편, 축산물들의 경우 도축이 완료되고 계측 및 등급판정 등이 이루어지게 되면 도체 표면에 등급이나 중량 등을 표기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livestock products, when the slaughtering is completed and the measurement and grading are performed, the grade or weight is indicated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or.

그런데, 종래에는 관리자가 도장을 도체에 가격하여 등급 등을 도체 표면에 표시하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표시 위치, 품질 등의 편차가 심할 뿐만 아니라, 대량의 도체를 처리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Conventionally, however, the manager has paid the price of the paint on the conductor to display the grade or the like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or, thereby causing a great variation in the display position and quality, and a considerable time is required for processing a large number of conductors .

KRKR 2004-00890622004-0089062 A1A1 KRKR 2005-01114502005-0111450 A1A1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마킹대상체 표면에 각종 정보를 균일하게 자동으로 마킹할 수 있는 마킹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rking system capable of uniformly and automatically mark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n a surface of a marking objec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that are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킹시스템은, 외측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이루어고,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마킹대상체의 상기 곡면에 정보를 마킹하는 마킹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가변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 상기 마킹대상체의 표면에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울러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지지부 상의 한 점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마킹대상체의 표면에 정보를 마킹하는 마킹부; 및 상기 제1 지지부를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arking system for marking information on a curved surface of a marking object, the marking system having at least a curved outer surface and moving in a first direction, A guide rail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 first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guide rail to be movable in a first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or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second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such that a distance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variable; A marking unit having at least one roller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marking object and is rotatably coupled to a point on the second support unit so as to mark information on the surface of the marking object; And driving means for mov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forward or backward on the guide rail.

이때, 상기 마킹대상체와 대향하는 상기 마킹부의 제1 면에는 잉크를 분사하는 인쇄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로울러는, 상기 인쇄노즐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로울러; 및 상기 인쇄노즐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로울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로울러의 적어도 일면은 상기 인쇄노즐 보다 상기 마킹대상체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a printing nozzle for ejecting ink is provided on a first surface of the marking portion facing the marking object, the roller includes: a first roller spaced apart from the printing nozzle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roller spaced apart from the printing nozzle in the second direction, wherei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roller is positioned closer to the marking object than the printing nozzle.

또한, 상기 제2 로울러가 상기 제2 지지부에 가까워지고, 상기 제1 로울러가 상기 제2 지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마킹부를 회전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olle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pring that provides a force to rotate the marking uni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roller approaches the second support unit and the first roller moves away from the second support unit.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의 한 점에 제1 축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부의 다른 한 점에 제2 축이 결합되는 제1 링커;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다른 한 점에 제3 축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부의 또 다른 한 점에 제4 축이 결합되되, 상기 제1 링커와 평행을 이루는 제2 링커;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결합되되,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 사이의 거리와 상기 제3 축과 상기 제4 축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며, 상기 제1 링커는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2 링커는 상기 제3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축 및 상기 제4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되 상기 제1 지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A first linker having a first shaft coupled to one point of the first support unit and a second shaft coupled to another point of the second support unit; And a second linker having a third shaft coupled to another point of the first support unit and a fourth shaft coupled to another point of the second support unit and being parallel to the first linker, 1 supporting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are couple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shaft and the fourth shaft are the same, and the first linker has the center The second linker is rotated about the third axis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rotated about the second axis and the fourth axis and is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 로울러가 상기 마킹대상체에 접촉되면 상기 제1 지지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Further, the driving means may move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first roller contacts the marking object.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킹시스템은,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며,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가변되고, 상부에 상기 가이드레일이 고정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지면이 이루는 예각이 미리 정해진 최소값 이상이 되도록 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기 제1 프레임과 가까워지게 하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arking system comprising: a first frame perpendicular to a ground; A second fram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rame and having a variable angle with the ground and the guide rail being fixed to the upper portion; And a supporting means for bringing the guide rail closer to the first frame while allowing an acute angle formed between the second frame and the ground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minimum value.

이때, 상기 제1 프레임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프레임에 대칭되는 방향에 구비되는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측으로 최대로 이격된 점이 상기 제1 프레임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중 하나에 가깝게 위치되게 상기 제1 프레임의 상기 제2 방향측 단부에 결합되는 진입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third frame disposed in a direction that is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second frame around the first frame; And a point at which a maximum distance from the first frame to the second direction side is located near one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ound the first frame, And a joining entrance guide.

또한, 상기 제1 프레임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프레임에 대칭되는 방향에 구비되는 제3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 사이가 동시에 개폐되도록 하는 동기개폐수단이 상기 제1 프레임에 더 구비될 수도 있다.
And a third frame provided in a direction that is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second frame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wherein a gap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a gap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third frame And the synchronizing opening / closing means for simultaneously opening and closing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fram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킹시스템은, 곡면을 포함하는 마킹대상체의 표면에 균일한 품질로 마킹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m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ovides a beneficial effect that the mark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rking object including the curved surface with a uniform quality.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킹대상체의 크기가 균일하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마킹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mark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while stably supporting the marking object even if the size of the marking object is not uniform.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마킹대상체에 동시에 마킹 작업을 수행하면서 균일한 품질로 마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mark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 uniform quality while simultaneously performing a marking operation on two marking objects.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킹대상체의 꼬리부분이 마킹시작점 방향을 향하도록 마킹시스템에 마킹대상체가 진입될 수 있으므로, 마킹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marking object can be entered into the marking system so that the tail portion of the marking object faces the marking start point, so that the quality of the marking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킹시스템의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모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킹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정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킹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킹시스템의 제2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요부의 동작원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프레임의 요부발췌 확대평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e of a m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cond frame of a m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ai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a mai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main part of a first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que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limited thereto, but also may enable others skilled in the art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The terms used herein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 and / or 'comprising' as used herein may be used to refer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도시의 간략화 및 명료화를 위해, 도면은 일반적 구성 방식을 도시하고,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의 논의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 및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유사한 참조부호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For simplicity and clarity of illustration, the drawings illustrate the general manner of construction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eatures and techniques may be omitted so as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the discussion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dditionally, elements of the drawing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For example,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mensions of some of the elements in the figures may be exaggerated relative to other ele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in different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and like reference numbers may indicate similar elements, although not necessarily.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등의 용어는, 만약 있는 경우,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 The terms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similar components, if any, Or to describe the sequence of occurrence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is such that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herein are compatible under suitable circumstances to, for example, operate in a sequence other than those shown or described herein. Likewise, where the method is described as including a series of steps, the order of such steps presented herein is not necessarily the order in which such steps may be performed, any of the described steps may be omitted and / Any other step not described will be additive to the method.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에", "아래에" 등의 용어는, 만약 있다면,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예를 의미한다.
Terms such as "left", "right", "front", "back", "upper", "bottom", "above", "below" And does not necessarily describe an unchanging relative posi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is intended to be interchangeable with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herein, under suitable circumstances, for example, so as to be able to operate in a different direction than that shown or described herein. The term "connected" as used herein is defined as being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in an electrically or non-electrical manner. Objects described herein as "adjacent" may be in physical contact with one another, in close proximity to one another, or in the same general range or region as are appropriate for the context in which the phrase is used. The presence of the phrase "in one embodiment" herein means the same embodiment, although not necessarily.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킹시스템(1000)의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모식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that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xample of use of a marking system 100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소, 돼지 등의 축산물은 꼬리 부분 부터 목 부분까지를 연장하는 선에 의하여 반으로 잘라진 상태에서 중량이 계측되고 판정사에 의하여 등급이 판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Referring to Fig. 1, the livestock products such as cattle, swine and the like are generally measured in a state of being cut in half by a line extending from the tail portion to the neck portion, and the weight is generally measured and judged by the judgment yar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킹시스템(1000)에서는 이러한 소, 돼지 등을 마킹대상체(MO)라고 지칭하였다. 그러나, 소, 돼지 등의 축산물 이외에도 곡면인 표면에 가격, 등급, 중량, 원산지 등의 소정의 정보가 표시되어야 하는 경우라면 모두 마킹대상체(MO)로 볼 수 있을 것이다.In the mark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cattle, pigs, and the like are referred to as a marking object (MO). However, in the case where predetermined information such as price, grade, weight, and country of origin should be displayed on the curved surface in addition to livestock products such as cattle and pigs, all of them can be regarded as a marking object (MO).

먼저, 마킹대상체(MO)의 중량은 계측기(2200)에 의하여 계측될 수 있다. 이때, 계측된 중량 정보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서버(2100)에 저장될 수 있다.First, the weight of the marking object MO can be measured by the measuring instrument 2200. At this time, the measured weight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separate server 2100 connected to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다음으로, 판정사가 위치한 곳으로 마킹대상체(MO)가 이동되면, 판정사는 마킹대상체(MO)의 내부 및 외부 등을 검사하여 등급을 판정할 수 있다. 이렇게 판정된 등급정보는 별도의 입력단말(2300)을 통해 입력될 수 있으며, 입력단말(2300) 또한 전술한 서버(21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등급정보가 서버(210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Next, when the marking object MO is moved to the place where the judgment yarn is located, the judging person can check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marked object MO to judge the grade. The rating information thus determined may be input through a separate input terminal 2300 and the input terminal 2300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21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the ra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100 can do.

한편, 마킹대상체(MO)는 행거(H) 등에 고정될 수 있으며, 행거(H)는 천장 등에 고정 설치된 별도의 이송레일(R) 등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마킹대상체(MO)는 절반으로 잘라진 반도체 한쌍이 한 개의 행거(H)에 고정된 것일 수도 있다.The marking object MO may be fixed to the hanger H or the like and the hanger H may be transported along a separate conveying rail R or the like fixed to the ceiling or the like. Here,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the marking object MO may be one in which a pair of halves of semiconductor chips are fixed to one hanger H.

이와 같은 방식으로 마킹대상체(MO)가 마킹시스템(1000)에 진입하면 마킹부(도 4의 40)가 마킹대상체(MO)의 표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마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마킹부(도 4의 40)는 전술한 서버(21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서버(2100)로부터 마킹대상체(MO)에 마킹해야 할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When the marking object MO enters the marking system 1000 in this manner, the marking unit 40 (FIG. 4) can perform the marking operation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gap with the surface of the marking object MO. The marking unit 40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21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receive information to be marked on the marking object MO from the server 2100.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킹시스템(1000)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정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킹시스템(1000)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킹시스템(1000)의 제2 프레임(300)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사시도이다.FIG. 2A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ark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ark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cond frame 300 of a mark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킹시스템(1000)은, 마킹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마킹모듈(100)이 결합되는 제2 프레임(300), 제2 프레임(300)에서 이격되어 위치되는 제1 프레임(20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2A through 3, a mark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rking module 100, and further includes a second frame (not shown) to which the marking module 100 is coupled 300, a first frame 200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frame 300, and the like.

또한, 제1 프레임(200)을 중심으로 제2 프레임(300)에 대칭되는 방향에 구비되는 제3 프레임(400)도 구비될 수 있다. 마킹대상체(MO)가 절반으로 잘라진 반도체 한 쌍이 한 개의 행거(H)에 고정된 것일 경우, 제3 프레임(400)이 구비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마킹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Also, a third frame 400 provided in a direction symmetrical to the second frame 300 about the first frame 200 may be provided. When a pair of semiconductors in which the marking object MO is cut in half is fixed to one hanger H, a more efficient mark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providing the third frame 400.

먼저, 제1 프레임(200)은 지면에 수직을 이루며 구비되는 제1 프레임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한 개의 레일부가 마킹대상체(MO)의 이동방향에 평행을 이루면서 제1 프레임(2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는 제1 레일부(222)가 제1 고정바에 의하여 제1 프레임부(210)에 고정되고, 제2 레일부(232)가 제2 고정바(231)에 의하여 제1 프레임부(210)에 고정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으나, 레일부의 개수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First, the first frame 200 may include a first frame part 210 provided perpendicularly to the paper surface. At this time, at least one rail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frame 200 while being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arked object MO. 2A and 2B, the first rail part 222 is fixed to the first frame part 210 by the first fixing bar and the second rail part 232 is fixed to the first frame part 210 by the second fixing bar 231. [ And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rail portions may be selectively applied as needed.

다음으로, 제2 프레임(300)의 상부에는 마킹모듈(100)이 결합될 수 있다. 마킹모듈(100)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c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Next, the marking module 1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300. The marking module 1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C.

이때, 제2 프레임(300)은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변경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ngle of the second frame 300 with the ground can be changed.

즉,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301)에 제2 프레임부(31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at is,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frame part 310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part 301 fixed to the ground.

그리고, 제2 프레임(300)에도 적어도 한 개의 레일부가 마킹대상체(MO)의 이동방향에 평행을 이루면서 제2 프레임(3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는 제3 레일부(322)가 제3 고정바(321)에 의하여 제2 프레임부(310)에 고정되고, 제4 레일부(332)가 제4 고정바(331)에 의하여 제2 프레임부(310)에 고정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으나, 레일부의 개수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Also, at least one rail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frame 300 while the second frame 300 is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arked object MO. 2A and 2B, the third rail part 322 is fixed to the second frame part 310 by the third fixing bar 321 and the fourth rail part 332 is fixed to the fourth fixing bar 331 The second frame part 310 is fixed to the second frame part 310. However, the number and positions of the rail parts can be selectively applied as needed.

한편, 제2 프레임(300)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는 90도 이하가 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300)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너무 작아지면 제2 프레임(300) 상부가 제1 프레임(200)에 너무 가까워 질 수 있으며, 그렇게 될 경우 마킹대상체(MO)가 제1 프레임(200)과 제2 프레임(300) 사이로 진입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프레임(300)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의 최소값은 마킹대상체(MO)가 제1 프레임(200)과 제2 프레임(300) 사이로 진입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여기서, 제2 프레임(300)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의 최소값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킹시스템(1000)이 마킹 작업을 수행할 마킹대상체(MO)의 종류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다. 즉, 마킹대상체(MO)가 육우인 경우와 돼지인 경우는 최소값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예컨데, 마킹대상체(MO)가 돼지인 경우, 등급 판단 대상인 도체 중 최소의 두께를 갖는 도체가 제1 프레임(200)과 제2 프레임(300) 사이로 진입할 수 있는 상태에서의 제2 프레임(300)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제2 프레임(300)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의 최소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ngle formed by the second frame 300 with the ground may be 90 degrees or less. If the angle between the second frame 300 and the paper surface is too small,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300 may be too close to the first frame 200. In this case, May not enter between the first frame 200 and the second frame 300. Therefore, the minimum value of the angle formed by the second frame 300 with the ground must be determin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marking object MO can enter between the first frame 200 and the second frame 300. Here, the minimum value of the angle formed by the second frame 300 with the paper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marking object MO on which the marking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marking operation. That is, the minimum value may be different when the marked object MO is beef cattle or pigs. For example, in a case where the marking object MO is pig, a conductor having a minimum thickness among the conductors to be classified can be entered between the first frame 200 and the second frame 300, And the paper surface may be determined as the minimum value of the angle formed by the second frame 300 and the paper surface.

또한, 마킹모듈(100)은 제2 프레임(300)의 상부에 구비되므로, 마킹 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기 위해서는 전술한 최소값 이상을 유지하면서도 제2 프레임(300)의 상부가 제1 프레임(200)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Since the marking module 10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300, in order to smoothly perform the marking opera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300 is held in the first frame 300 200 direction.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킹시스템(1000)에는 지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ark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support means.

일예로써, 도 2a 내지 도 3에서 예시한 제2 베이스부(341), 실린더(342) 및 피스톤(343)을 포함하는 구성이 지지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second base portion 341, the cylinder 342, and the piston 343 illustrated in Figs. 2A to 3 may mean a support means.

제2 베이스부(341)는 지면 또는 베이스부(30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실린더(342)는 제2 베이스부(341)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피스톤(343)의 일단은 실린더(342)와 결합되되, 실린더(342)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343)의 타단은 제2 프레임(300)에 고정될 수 있고, 특히 제2 프레임부(310)에 고정된 제1 보조프레임부(311)와 피스톤(343)의 타단이 결합될 수도 있다.The second base portion 341 may be fixed to the ground or the base portion 301 and the cylinder 342 may be pivotal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ase portion 341. [ In addition, one end of the piston 343 is coupled with the cylinder 342, and the length of insertion into the cylinder 342 can be varied. The other end of the piston 343 may be fixed to the second frame 300 and the other end of the piston 343 may be coupled with the first sub frame part 311 fixed to the second frame part 310 It is possible.

여기서, 피스톤(343)의 타단과 실린더(342)의 이격거리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가변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는 피스톤(343)의 타단이 실린더(342) 방향으로 가까워지게 하는 힘이 작용될 수 있고, 이는 유압, 공압, 스프링의 탄성력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piston 343 and the cylinder 342 can be vari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this range, a force is applied to bring the other end of the piston 343 closer to the cylinder 342 Which can be realized by using hydraulic pressure, pneumatic pressure, elastic force of a spring, or the like.

이에 따라, 제2 프레임(300)과 지면이 이루는 예각은 전술한 최소값 이상이 되면서도 제2 프레임(300)의 상부가 제1 프레임(200)과 가까워지게 하는 힘을 제공받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acute angle formed by the second frame 300 and the ground may be greater than the minimum value described abov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300 may be provided with a force to be close to the first frame 200.

한편, 일실시예에서, 제2 프레임(300)에 대칭되는 제3 프레임(400)이 제1 프레임(200)을 기준으로 제2 프레임(300)과 대칭되는 위치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3 프레임(400) 및 제3 프레임(400)의 상부에 고정되는 마킹모듈(100)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전술한 바와 유사한 바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In an embodiment, the third frame 400 symmetrical to the second frame 300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second frame 300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200. Her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effects of the marking module 100 fix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third frame 400 and the third frame 400 are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평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요부의 동작원리를 예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ai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A to 5C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a mai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킹시스템(1000)은 마킹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킹모듈(100)은 가이드레일(10), 제1 지지부(20), 제2 지지부(30), 마킹부(40) 및 구동수단(60)을 포함할 수 있다.3 to 5C, a mark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rking module 100, and the marking module 100 may include a guide rail 10, a first support portion 20, a second supporting portion 30, a marking portion 40, and a driving means 60.

먼저, 가이드레일(10)은 마킹대상체(MO)가 이동하는 방향과 평행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마킹대상체(MO)가 이동하는 방향을 제1 방향, 제1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을 제2 방향이라 칭하기로 한다.First, the guide rail 10 may be provided so as to be in parallel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arking object MO. Hereinafter,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rked object MO moves is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second direction.

따라서, 가이드레일(10)은 제1 방향과 평행을 이룰 수 있다.
Therefore, the guide rail 10 can b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다음으로, 제1 지지부(20)는 가이드레일(10)에 결합되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Next, the first support portion 20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10 so as to be movable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일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20)는 통공이 구비되어 가이드레일(10)이 삽입되는 베이스판재(21), 베이스판재(21)와 결합되는 제1 축봉 고정부(24) 및 제2 축봉 고정부(25), 제1 축봉 고정부(24) 및 제2 축봉 고정부(25)에 의하여 베이스판재(21)와 결합되는 축봉(22), 후술할 구동수단(60)과 결합되는 벨트고정부(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ortion 20 includes a base plate 21 having a through hole and into which the guide rail 10 is inserted, a first shaft fixing portion 24 coupled with the base plate 21, A shaft 22 joined to the base plate 21 by the fixing portion 25, the first shaft fixing portion 24 and the second shaft fixing portion 25, (23), and the like.

이에 따라, 제1 지지부(20)는 구동수단(60)에 의하여 가이드레일(10) 상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portion 20 can b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on the guide rail 10 by the driving means 60. [

다음으로, 제2 지지부(30)는 제1 지지부(20)에 결합되되, 제1 지지부(20)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가변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30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20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20 can be varied.

일실시예에서, 제2 지지부(30)는 지지본체(31) 및 링커연결부(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링커연결부(32)에는 연결부재(5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50)는 제1 링커(51) 및 제2 링커(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링커(51)와 제2 링커(52)는 평행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제1 링커(51)는 제1 지지부(20) 상의 한 점에 제1 축(51-1)이 결합되고, 제2 지지부(30)의 다른 한 점, 특히 링커연결부(32) 상의 한 점에 제2 축(51-2)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링커(52)는 제1 지지부(20) 상의 다른 한 점에 제3 축(52-1)이 결합되고, 제2 지지부(30)의 한 점, 특히 링커연결부(32) 상의 한 점에 제4 축(52-2)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축(51-1) 내지 제4 축(52-2)은 별도의 핀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각 축을 중심으로 제1 내지 제2 링커(51, 52), 제1 지지부(20), 제2 지지부(3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30 may include a support body 31 and a linker connection portion 32. The linker connection portion 32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50. [ At this time, the linking member 50 may include a first linker 51 and a second linker 52, and the first linker 51 and the second linker 52 may be parallel. The first linker 51 is engaged with the first shaft 51-1 at one point on the first support portion 2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30, The second axis 51-2 can be coupled to the point. The second linker 52 is connected to another point on the first support portion 20 at a point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30 and particularly at a point on the linker connection portion 32, The fourth axis 52-2 can be coupled to the point. Here, the first axis 51-1 to the fourth axis 52-2 can be coupled by separate pins, and the first and second linkers 51 and 52, the first support portion 20,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30 can be pivotally coupled.

이에 따라, 제2 지지부(30)는 그 한 면이 지향하는 방향이 변화되지 않으면서도 제1 지지부(20)와의 간격이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게 된다.Thus, the gap between the second support portion 30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20 can be made closer or further apart without chang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one support surface 30 is directed.

또한, 제1 지지부(20)의 제1 축(51-1) 및 제3 축(52-1)은 전술한 축봉(22)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shaft 51-1 and the third shaft 52-1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0 may be located in the shaft rod 22 described above.

그리고,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축봉(22) 및 링커연결부(32)를 기준으로 제1 링커(51) 및 제2 링커(52)와 각각 대칭되는 위치에, 제1 링커(51) 및 제2 링커(52)와 각각 대칭되는 제1 보조링커(51') 및 제2 보조링커(52')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3, the first linker 51 and the second linker 52 ar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first linker 51 and the second linker 52 with respect to the shaft rod 22 and the linker connecting portion 32, A first sub linker 51 'and a second sub linker 52' which are respectively symmetrical with the second linker 52 may be further provided.

한편, 제2 지지부(30)는 제1 지지부(20)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링커(52) 상의 한 점과 제1 지지부(20) 상의 한 점을 연결하는 제2 스프링(SP2)에 의하여 전술한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0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to move away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20. Here, the above-described elastic force can be provided by the second spring SP2 connecting one point on the second linker 52 and one point on the first support 20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물론, 제2 스프링(SP2)은 제1 링커(51) 상의 한 점과 제1 지지부(20) 상의 한 점을 연결할 수도 있으나, 제1 링커(51) 상의 한 점에 연결되는 것이 상대적으로 제2 스프링(SP2)의 체결거리가 길어질 수 있으므로 탄성력 제공에 유리하다.
Of course, the second spring SP2 may connect a point on the first linker 51 to a point on the first support portion 20,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spring SP2 is connected to a point on the first linker 51, The fastening distance of the spring SP2 can be prolonged, which is advantageous in providing an elastic force.

다음으로, 마킹부(40)는 제2 지지부(30) 상의 한 점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Next, the marking portion 40 can be pivotally coupled to a point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30 as an axis.

일실시예에서, 마킹부(40)는 연결프레임(41), 고정프레임(42), 제1 로울러(43) 및 제2 로울러(4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쇄노즐(N)이 구비된 인쇄기(I)가 고정프레임(42)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프레임(41)은 제2 지지부(30) 상의 한점, 특히 지지본체(31)의 한 점에 핀 등에 의하여 축결합될 수 있고, 고정프레임(42)은 연결프레임(41)이 축결합된 점의 반대편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42)에는 제1 로울러 고정부재(43F)에 의하여 제1 로울러(4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로울러 고정부재(44F)에 의하여 제2 로울러(44)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rking portion 40 may include a connecting frame 41, a stationary frame 42, a first roller 43 and a second roller 44, The printing machine I can be fixed to the fixed frame 42. [ Here, the connection frame 41 can be axially coupled to one point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30, in particular, by a pin or the like at one point of the support main body 31,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oint where it has been made. The first roller 4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frame 42 by the first roller fixing member 43F and the second roller 44 is rotated by the second roller fixing member 44F Lt; / RTI >

한편, 제1 로울러(43) 및 제2 로울러(44)가 고정프레임(42)의 상부에 구비될 경우, 고정프레임(42)의 하부에는 제1 로울러(43)에 대칭되는 제1 보조 로울러(43') 및 제2 로울러(44)에 대칭되는 제2 보조 로울러(4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보조 로울러(43')는 제2 보조 로울러 고정부재(43F')에 의하여 고정프레임(42)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보조 로울러(44')는 제2 보조 로울러 고정부재(44F')에 의하여 고정프레임(42)에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43 and 44 ar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frame 42, the first sub-roller 43 and the second sub- And a second auxiliary roller 44 'symmetrical to the second roller 44'. At this time, the first auxiliary roller 43 'may be fixed to the fixed frame 42 by the second auxiliary roller fixing member 43F', and the second auxiliary roller 44 'may be fixed to the second auxiliary roller fixing member 43' 44F 'to be fixed to the fixed frame 42.

이에 따라, 제1 로울러(43) 내지 제2 보조 로울러(44')가 마킹대상체(MO)에 접촉됨으로써, 고정프레임(42)에 고정된 인쇄기(I)의 인쇄노즐(N)이 마킹대상체(MO)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마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inting nozzles N of the printing presses I fixed to the stationary frame 42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arked objects MO by the first to fourth sub-rollers 43 to 44 '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marking operation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gap with the MO.

여기서, 고정프레임(42)의 표면 중 마킹대상체(MO)에 대향하는 면을 제1 면으로 칭할 수 있으며, 인쇄노즐(N)은 제1 면 상에서 마킹대상체(MO)를 향하여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로울러(43) 내지 제2 보조 로울러(44') 역시 제1 면에서 마킹대상체(MO) 방향으로 돌출되게 고정됨으로써 인쇄노즐(N)과 마킹대상체(MO)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해 줄 수 있다.
Here, the surface of the fixed frame 42 facing the marked object MO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surface, and the print nozzle N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surface toward the marked object MO. The first roller 43 to the second auxiliary roller 44 'are also fixed on the first surface so as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marking object MO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rinting nozzle N and the marking object MO is constant You can keep it.

한편, 마킹부(40)가 제2 지지부(30)에 결합됨에 있어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2 로울러(44)가 제1 로울러(43)에 비하여 제2 지지부(30)에 가까운 거리에 위치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이 탄성력은 제1 스프링(SP1)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일실시예에서, 제1 스프링(SP1)은 고정프레임(42) 중 제2 로울러 고정부재(44F)에 인접한 위치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제2 지지부(30)에 고정됨으로써 전술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marking portion 40 is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30, the second roller 44 is positioned closer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30 than the first roller 43,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is elastic force may be provided by the first spring SP1. In one embodiment, the first spring SP1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tationary frame 42 adjacent to the second roller fixing member 44F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30, so that the aforementioned elastic force can be provided.

일실시예에서, 고정프레임(42)을 기준으로 제1 스프링(SP1)과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 보조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더 구비되어 탄성력 제공 기능을 분담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second auxiliary spring (not shown) provided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first spring SP1 with respect to the fixed frame 42 may be further provided to share the elastic force providing function.

또한, 제1 로울러 고정부재(43F)에 인접한 위치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제2 지지부(30)에 고정되는 제1 보조스프링(SP1-1)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The first auxiliary spring SP1-1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one end fix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roller fixing member 43F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30. [

이에 따라,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할 마킹모듈(100)의 동작과정에서 마킹부(40)가 초기상태로 원활하게 원상복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마킹부(40)의 과도한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5, the marking unit 40 can smoothly return to the initial stat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marking module 100, and at the same time, the excessive vibration of the marking unit 40 can be prevented .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탄성력은 연결프레임(41)과 제2 지지부(30)의 결합점에 토션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this elastic force may be realized by providing a torsion spring at a coupling point between the connection frame 41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0. [

또한, 제1 로울러(43) 또는 제2 로울러(44)에 연결되는 인코더(45)가 더 구비될 수 있다.Further, an encoder 45 connected to the first roller 43 or the second roller 44 may be further provided.

여기서, 인코더(45)는 제1 로울러(43)의 회전여부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킹대상체(MO)가 이동됨에 따라 제1 로울러(43)가 마킹대상체(MO)에 접촉되면 회전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 시점을 인코더(45)가 인식하여 별도의 제어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제1 지지부(20), 제2 지지부(30) 및 마킹부(40)의 이동을 개시시키고, 마킹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encoder 45 may perform a function of detecting whether the first roller 43 rotates. As the marking object MO moves, when the first roller 4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marked object MO, the rotation starts. The encoder 45 recognizes this point of time and sends it to a separate control means (not shown) A signal is transmitted to start the movement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0, the second support portion 30, and the marking portion 40, and a mark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인코더(45)가 제2 로울러(44)에 연결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1 로울러(43)와 제2 로울러(44)의 회전운동을 동기화 할 수 있도록 제1 로울러(43) 및 제2 로울러(44)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타이밍 벨트(46)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The encoder 45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roller 44 as shown in the figure. In this case, the first roller 43 and the second roller 44 may be rotated by the first roller 43 and the second roller 44, 43 and a timing belt 46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44.

다음으로, 구동수단(60)은 가이드레일(10) 상에서 제1 지지부(20)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driving means 60 can perform a function of mov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20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on the guide rail 10. [

일실시예에서, 구동수단(60)은 구동베이스(65), 모터(61), 제1 기어(62), 제2 기어(63) 및 구동벨트(64)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rive means 60 may include a drive base 65, a motor 61, a first gear 62, a second gear 63, and a drive belt 64.

먼저, 구동베이스(65)는 가이드레일(10)의 일단 또는 제3 프레임(400) 상단부에 고정되어 모터(61) 등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irst, the driving base 65 is fixed to one end of the guide rail 10 or the upper end of the third frame 400 to support the motor 61 and the like.

그리고, 모터(61)는 구동베이스(65) 상에 고정되며, 모터(61)의 회전축에는 제1 기어(62)가 구비될 수 있다.The motor 61 is fixed on the driving base 65 and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61 may be provided with the first gear 62.

또한, 가이드레일(10)의 타단 또는 제2 프레임(300) 상단부에는 제2 기어(63)가 고정되며, 제2 기어(63)와 제1 기어(62)에 연결되는 구동벨트(64)가 구비될 수 있다.A second gear 63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guide rail 10 or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rame 300 and a drive belt 64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63 and the first gear 62 .

전술한 제1 지지부(20)의 벨트고정부(23)가 구동벨트(64)에 고정됨으로써, 구동벨트(64)의 이동에 따라 제1 지지부(20)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을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The belt fixing portion 23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0 is fixed to the drive belt 64 so that the first support portion 2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drive belt 64 It can be.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킹모듈(100)의 동작원리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mark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C.

도 5a는 마킹대상체(MO)에 마킹부(40)가 접촉한 초기의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5A illustrates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marking portion 4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arked object MO.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로울러(43)가 제2 로울러(44)에 비하여 제2 지지부(30)에서 멀리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타원 형상의 마킹대상체(MO)에 제1 로울러(43)가 먼저 접촉되면서 인쇄노즐(N)이 마킹대상체(MO)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이렇게 제1 로울러(43)가 마킹대상체(MO)에 접촉하여 회전을 시작하면 전술한 인코더(45)가 제1 로울러(43)의 회전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제1 지지부(20), 제2 지지부(30) 및 마킹부(40)의 이동이 시작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20)는 마킹대상체(MO)의 이동방향인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Since the first roller 43 is located farther away from the second support 30 than the second roller 44, the first roller 43 is firs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lliptical marking object MO, It is possible to secure a state in which the printing nozzles N mainta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marked object MO. When the first roller 4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marked object MO and starts to rotate, the encoder 45 senses the rotation of the first roller 43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e second support portion 30, and the marking portion 40 can start to move. At this time, the first support part 20 starts to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which i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marked object MO.

다음으로, 도 5b를 참조하여 후속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follow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마킹대상체(MO)의 전방이 제1 방향을 향하도록 마킹대상체(MO)가 진행된다고 가정하면,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는 인쇄노즐(N)이 마킹대상체(MO)의 전방 측의 표면에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곳에 위치하고 있지만, 도 5b에 예시된 상태에서는 인쇄노즐(N)이 마킹대상체(MO)의 중간 정도의 표면에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곳에 위치하고 있다. Assuming that the marking object MO advances in such a manner that the front of the marking object MO faces the first direction, in the state as illustrated in FIG. 5A, the printing nozzle N is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rking object MO 5B, the printing nozzles N are loc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termediate surface of the marking target object MO, as shown in FIG. 5B.

마킹대상체(MO)가 소 또는 돼지 등의 도체인 경우, 일반적으로 마킹대상체(MO)의 중간 부분이 가장 두껍다. 따라서, 마킹부(40), 특히 제1 로울러(43) 및 제2 로울러(44)가 마킹대상체(MO)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라면 도 5b에 예시된 경우가 제1 로울러(43) 및 제2 로울러(44)와 제1 지지부(20)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은 시점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인쇄기(I)가 고정된 마킹부(40)는 그 크기가 가변될 수 없는 상태인 바, 마킹부(40)의 절대적인 위치 자체가 도 5a에 예시된 상태 보다 제1 지지부(20) 측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킹시스템(1000)에서는 제2 지지부(30)가 제1 지지부(2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When the marking object MO is a conductor such as a bulb or a pig, generally the middle portion of the marking object MO is thickest. 5B, the markers 40, particularly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43 and 43, ar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marked object MO, the first roller 43 and the second roller 44,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roller 44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20 may be shortest. Here, since the marking portion 40 to which the printing machine I is fixed can not be varied in size, the absolute position of the marking portion 40 itself is smaller than the state illustrated in FIG. 5A toward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0 Should be moved. For this, in the mark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30 can be mov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20. [

이에 따라, 마킹대상체(MO)가 타원 형상 등으로 이루어져, 정보가 마킹될 표면이 곡면을 이루는 경우에도 인쇄노즐(N)이 마킹대상체(MO)의 표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even when the marking object MO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or the like, and the surface on which the information is to be marked is a curved surface, the printing nozzle N can mainta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urface of the marking object MO.

다음으로, 도 5c를 참조하면, 인쇄노즐(N)이 마킹대상체(MO)의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지지부(30)는 도 5a에 예시된 위치와 비슷한 위치로 복귀되고, 마킹부(40)는 도 5a에 예시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됨으로써 인쇄노즐(N)과 마킹대상체(MO)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5C, as the printing nozzle N is moved rearward of the marked object MO,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30 is returned to a position similar to the position illustrated in FIG. 5A, and the marking portion 40 are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llustrated in FIG. 5A,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rinting nozzle N and the marked object MO can be kept constant.

여기서, 제2 지지부(30)가 제1 지지부(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전술한 제2 스프링(SP2)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한 동작일 수 있다.
Here, the second support portion 30 may be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20 by an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second spring SP2.

이상에서 설명한 과정이 완료되면 구동수단(60)은 제1 지지부(20)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고, 제1 스프링(SP1) 및 제2 스프링(SP2)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따라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마킹모듈(100)이 복귀될 수 있다.
When the process described above is completed, the driving means 60 moves the first support portion 20 in the first direction to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first spring SP1 and the second spring SP2 The marking module 100 may be returned to the state illustrated in FIG. 5A.

이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마킹시스템(1000)에 진입되는 마킹대상체(MO)의 곡면인 표면에 균일한 품질의 마킹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uniform quality marking can be performed on the curved surface of the marking object MO entering the marking system 1000 at regular intervals.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프레임(200)의 요부발췌 확대평면도이다.6 is an enlarged fragmentary plan view of a main part of a first fram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마킹대상체(MO)가 소 또는 돼지 등의 도체인 경우, 통상적으로 판정사는 도체의 꼬리 방향에 위치하여 도체의 등급을 판정하게 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6, when the marked object MO is a conductor such as a cow or a pig, the judgment yarn is usually positioned in the tail direction of the conductor to determine the grade of the conductor.

한편, 마킹대상체(MO)는 행거(H)에 걸린 상태에서 이송레일(R)을 따라 마킹시스템(1000)으로 진입하게 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킹대상체(MO)가 진행방향으로 우회전하여 마킹시스템(1000)을 지나가도록 이송레일(R)이 설치된 경우에는, 마킹 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rking object MO enters the marking system 1000 along the conveying rail R in a state where the marking object MO is caught by the hanger H, and as shown in FIG. 1,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carry out the marking operation when the conveying rail R is provided so as to pass through the marking system 1000.

특히, 마킹대상체(MO)가 소 또는 돼지 등의 도체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꼬리 측 방향 부터 반대방향을 향하여 마킹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마킹 품질을 향상에 유리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marking object MO is a conductor such as a cow or a pig, it is generally advantageous to improve the marking quality by performing a marking operation from the tail side to the opposite direction.

따라서, 마킹대상체(MO)가 마킹시스템(1000)에 진입함에 있어서, 꼬리측 방향이 제1 방향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진입되는 것이 마킹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킹시스템(1000)은 진입안내부(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marking object MO enters the marking system 1000, entering the marking object MO in a state in which the tailing direction is directed toward the first direction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marking operation. The marking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entry guide unit 240.

진입안내부(240)는 제1 프레임(200)으로부터 제2 방향측으로 최대로 이격된 점(P1)이 제 프레임을 중심으로 제3 프레임(400) 또는 제4 프레임 측에 가깝도록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entrance guide unit 240 is formed so that the point P1 that is the maximum distance from the first frame 200 to the second direction side is located near the third frame 400 or the fourth frame side about the first frame 200 .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안내부(240)는 진입안내 로울러(242)를 포함함으로써 마킹대상체(MO)가 보다 효율적으로 롤링되도록 할 수도 있다.
Her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entrance guide unit 240 may include the entry guide roller 242 to allow the marking object MO to be rolled more efficiently.

한편, 일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200)과 제2 프레임(300) 사이 및 제1 프레임(200)과 제3 프레임(400) 사이가 동시에 개폐되도록 하는 동기개폐수단(261, 262)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ynchronizing switching means 261 and 262 for simultaneous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frame 200 and the second frame 300 and the first frame 200 and the third frame 400 .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부(210)에 동기개폐수단(261, 262)이 축결합되어 마킹대상체(MO)가 모두 동기개폐수단(261, 262)에 접촉된 상태에서 동기개폐수단(261, 262)이 열리면 마킹시스템(1000) 내부로 마킹대상체(MO)가 진입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synchronous opening / closing means 261 and 262 are axially coupled to the first frame portion 210 so that all of the marked objects MO contact the synchronizing opening / closing means 261 and 262 The marking object MO can be introduced into the marking system 1000 when the synchronizing opening and closing means 261 and 262 are opened.

이에 따라, 일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마킹대상체(MO)에 동시에 마킹 작업을 수행하면서 균일한 품질로 마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며, 마킹대상체(MO)의 꼬리부분이 마킹시작점 방향을 향하도록 마킹시스템(1000)에 마킹대상체(MO)가 진입될 수 있으므로, 마킹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Th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mark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 uniform quality while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marking operation on the two marking objects MO, and the tail portion of the marking object MO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marking start point The marking object MO can be introduced into the marking system 1000 so that the quality of the marking can be improved.

MO : 마킹대상체 H : 행거
R : 이송레일 1000 : 마킹시스템
2100 : 서버 2200 : 계측기
2300 : 입력단말 100 : 마킹모듈
10 : 가이드레일 20 : 제1 지지부
21 : 베이스판재 22 : 축봉
23 : 벨트고정부 24 : 제1 축봉 고정부
25 : 제2 축봉 고정부 30 : 제2 지지부
31 : 지지본체 32 : 링커연결부
40 : 마킹부 41 : 연결프레임;
42 : 고정프레임 43 : 제1 로울러
43F : 제1 로울러 고정부재 44 : 제2 로울러
44F : 제2 로울러 고정부재 43' : 제1 보조 로울러
43F' : 제1 보조 로울러 고정부재 44' : 제2 보조 로울러
44F' : 제2 보조 로울러 고정부재 45 : 인코더
46 : 타이밍 밸트 I : 인쇄기
N : 인쇄노즐 50 : 연결부재
51 : 제1 링커 51-1 : 제1 축
51-2 : 제2 축 52 : 제2 링커
52-1 : 제3 축 52-2 : 제4 축
51' : 제1 보조링커 52' : 제2 보조링커
SP1 : 제1 스프링 SP2 : 제2 스프링
SP1-1 : 제1 보조스프링 60 : 구동수단
61 : 모터 62 : 제1 기어
63 : 제2 기어 64 : 구동벨트
65 : 구동베이스 200 : 제1 프레임
210 : 제1 프레임부
222 : 제1 레일부 231 : 제2 고정바
232 : 제2 레일부 240 : 진입안내부
242 : 진입안내 로울러 261, 262 : 동기개폐수단
300 : 제2 프레임 301 : 베이스부
310 : 제2 프레임부 311 : 제1 보조프레임부
321 : 제3 고정바 322 : 제3 레일부
331 : 제4 고정바 332 : 제4 레일부
341 : 제2 베이스부 342 : 실린더
343 : 피스톤 400 : 제3 프레임
MO: Marking object H: Hanger
R: Feed rail 1000: Marking system
2100: server 2200: instrument
2300: input terminal 100: marking module
10: guide rail 20: first support portion
21: base plate material 22: shaft rod
23: Belt fixing part 24: First shaft rod fixing part
25: second shaft rod fixing portion 30: second supporting portion
31: support body 32: linker connecting portion
40: marking portion 41: connection frame;
42: fixed frame 43: first roller
43F: first roller fixing member 44: second roller
44F: second roller fixing member 43 ': first auxiliary roller
43F ': first auxiliary roller fixing member 44': second auxiliary roller fixing member
44F ': second auxiliary roller fixing member 45: encoder
46: Timing belt I: Printing machine
N: printing nozzle 50: connecting member
51: first linker 51-1: first axis
51-2: second axis 52: second linker
52-1: third axis 52-2: fourth axis
51 ': first sub linker 52': second sub linker
SP1: first spring SP2: second spring
SP1-1: First auxiliary spring 60: Driving means
61: motor 62: first gear
63: second gear 64: drive belt
65: driving base 200: first frame
210: a first frame part
222: first rail part 231: second fixed bar
232: second rail part 240: entry guide part
242: entrance guide roller 261, 262: synchronous opening / closing means
300: second frame 301: base part
310: second frame part 311: first sub frame part
321: third fixing bar 322: third rail part
331: fourth fixing bar 332: fourth lower part
341: second base portion 342: cylinder
343: Piston 400: Third frame

Claims (8)

외측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이루어고,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마킹대상체의 상기 곡면에 정보를 마킹하는 마킹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가변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
상기 마킹대상체의 표면에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울러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지지부 상의 한 점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마킹대상체의 표면에 정보를 마킹하는 마킹부; 및
상기 제1 지지부를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는
마킹시스템.
A marking system for marking information on a curved surface of a marked object moving at least in part in a first direction,
A guide rail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 first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guide rail to be movable in a first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or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second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such that a distance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variable;
A marking unit having at least one roller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marking object and is rotatably coupled to a point on the second support unit so as to mark information on the surface of the marking object; And
Driving means for mov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forward or backward on the guide rail;
Containing
Marking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킹대상체와 대향하는 상기 마킹부의 제1 면에는 잉크를 분사하는 인쇄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로울러는,
상기 인쇄노즐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로울러; 및
상기 인쇄노즐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로울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로울러의 적어도 일면은 상기 인쇄노즐 보다 상기 마킹대상체에 가깝게 위치하는
마킹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rinting nozzle for jetting ink is provided on a first surface of the marking portion opposed to the marking object,
The roller,
A first roller spaced apart from the printing nozzle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roller spaced apart from the printing nozzle in the second direction;
/ RTI >
Wherei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roller is positioned closer to the marking object than the printing nozzle
Marking syste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울러가 상기 제2 지지부에 가까워지고, 상기 제1 로울러가 상기 제2 지지부에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상기 마킹부를 회전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마킹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first spring that provides a force to rotate the marking portion in a direction such that the second roller approaches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first roller moves away from the second support portion
Marking system.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의 한 점에 제1 축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부의 다른 한 점에 제2 축이 결합되는 제1 링커;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다른 한 점에 제3 축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부의 또 다른 한 점에 제4 축이 결합되되, 상기 제1 링커와 평행을 이루는 제2 링커;
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결합되되,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 사이의 거리와 상기 제3 축과 상기 제4 축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며,
상기 제1 링커는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2 링커는 상기 제3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축 및 상기 제4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되 상기 제1 지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
마킹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linker having a first shaft coupled to a point of the first support and a second shaft coupled to another point of the second support; And
A second linker having a third shaft coupled to another point of the first support and a fourth shaft coupled to another point of the second support, the second linker being parallel to the first linker;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and a distance between the third axis and the fourth axis are the same,
The first linker is rotated about the first axis,
The second linker is rotated about the third axis,
Wherein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rotated about the second axis and the fourth axis and is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Marking system.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 로울러가 상기 마킹대상체에 접촉되면 상기 제1 지지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마킹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driving means includes:
When the first roller contacts the marking object, moves the first support portion in the second direction
Marking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며,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가변되고, 상부에 상기 가이드레일이 고정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지면이 이루는 예각이 미리 정해진 최소값 이상이 되도록 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기 제1 프레임과 가까워지게 하는 지지수단;
을 더 포함하는
마킹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fram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second fram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rame and having a variable angle with the ground and the guide rail being fixed to the upper portion; And
Supporting means for bringing the guide rail close to the first frame while allowing an acute angle formed between the second frame and the ground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minimum value;
Further comprising
Marking system.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프레임에 대칭되는 방향에 구비되는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측으로 최대로 이격된 점이 상기 제1 프레임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중 하나에 가깝게 위치되게 상기 제1 프레임의 상기 제2 방향측 단부에 결합되는 진입안내부;
를 더 포함하는
마킹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A third frame disposed in a direction that is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second frame around the first frame; And
Side end portion of the first frame so that a point which is maximally spaced from the first frame toward the second direction side is positioned closer to one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ound the first frame ;
Further comprising
Marking system.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프레임에 대칭되는 방향에 구비되는 제3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 사이가 동시에 개폐되도록 하는 동기개폐수단이 상기 제1 프레임에 더 구비되는
마킹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And a third frame provided in a direction that is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second frame around the first frame,
The first frame is further provided with a synchronous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simultaneous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third frame
Marking system.
KR1020130168881A 2013-12-31 2013-12-31 Marking system KR1015560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881A KR101556041B1 (en) 2013-12-31 2013-12-31 Mark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881A KR101556041B1 (en) 2013-12-31 2013-12-31 Mark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291A true KR20150080291A (en) 2015-07-09
KR101556041B1 KR101556041B1 (en) 2015-10-01

Family

ID=53792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881A KR101556041B1 (en) 2013-12-31 2013-12-31 Mark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041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6949A (en) * 2018-10-01 2018-12-18 智锐达仪器科技南通有限公司 A kind of livestock ketone body epidermis laser burn engrav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1944488B1 (en) 2017-08-22 2019-02-18 (주)애니텍 Marking system
KR20190021278A (en) 2019-01-24 2019-03-05 (주)애니텍 Marking system
KR20200104168A (en) * 2019-02-26 2020-09-03 (주)애니텍 Marking system
WO2022226670A1 (en) * 2021-04-28 2022-11-03 Agrosuper S.A: Branding machine for animal carcasses
WO2023177049A1 (en) * 2022-03-15 2023-09-21 (주)애니텍 Mark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5606A (en) 2003-08-26 2005-03-17 Fujihira Industry Co Ltd Electronic marking system for animal
WO2008051094A1 (en) 2006-10-25 2008-05-02 Kevin Wilkie Direct meat mark identification system
KR100784760B1 (en) 2006-10-31 2007-12-14 주식회사 려암 Injector for animals
KR20130013594A (en) 2011-07-28 2013-02-06 현대제철 주식회사 Marking device for cutting testing sampl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488B1 (en) 2017-08-22 2019-02-18 (주)애니텍 Marking system
CN109006949A (en) * 2018-10-01 2018-12-18 智锐达仪器科技南通有限公司 A kind of livestock ketone body epidermis laser burn engrav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KR20190021278A (en) 2019-01-24 2019-03-05 (주)애니텍 Marking system
KR20200104168A (en) * 2019-02-26 2020-09-03 (주)애니텍 Marking system
WO2022226670A1 (en) * 2021-04-28 2022-11-03 Agrosuper S.A: Branding machine for animal carcasses
WO2023177049A1 (en) * 2022-03-15 2023-09-21 (주)애니텍 Mar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6041B1 (en)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041B1 (en) Marking system
US8273004B2 (en) Paper folding mechanism and paper folding apparatus
CN103221312A (en) Labeling device
CN203998298U (en) Cloth feed machine pay-off
KR20130129273A (en) Marking device
KR101944488B1 (en) Marking system
CN106136484B (en) The pulling-on piece feedway of zipper head assembling device
CN104379227A (en) Zipper assembly device
KR20190021278A (en) Marking system
US20090090230A1 (en) Device for Cutting a Ribbon Made of Paper, Plastics or Similar Material
KR102202066B1 (en) Marking system
KR20170043563A (en) Bead core forming device
JP5290621B2 (en) Conveyor device
US3126138A (en) onulak
JP2006228746A (en) Clamp apparatus for double-core shielded wire
CN106004097A (en) Marking clamp and marking workstation suitable for multiple vehicle models
CN108778933A (en) A kind of equipment for being moved along the article that direction of advance is constantly advanced
CN106166890B (en) Printing machine with changing of printing plates device
JP2006294607A (en) Rubber plug insertion device for two-core shielding wire
JP40971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nveying heating material
CN204545840U (en) For press-fiting material-receiving device and the press-loading device of workpiece
CN218519415U (en) Automatic marking device
CN209937098U (en) Flexible dotting mechanism in detection equipment
CN219173540U (en) Conveying device
JPH0629988Y2 (en) Intestinal feeding device of natural intestinal wiener sausage fill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