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275A -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275A
KR20150080275A KR1020130168707A KR20130168707A KR20150080275A KR 20150080275 A KR20150080275 A KR 20150080275A KR 1020130168707 A KR1020130168707 A KR 1020130168707A KR 20130168707 A KR20130168707 A KR 20130168707A KR 20150080275 A KR20150080275 A KR 20150080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content
text
contents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9037B1 (ko
Inventor
양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168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037B1/ko
Publication of KR20150080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컨텐츠 서버는 텍스트를 광고 영역으로 결정하는 광고 컨텐츠 결정부, 텍스트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카테고리 결정부, 결정된 카테고리 및 텍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광고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광고 영역에 매칭시키는 광고 매칭부 및 선택된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자책 컨텐츠를 생성하는 전자책 컨텐츠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OF GENERATING CONTENT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휴대폰 기능과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휴대폰, 이른바 스마트폰이 등장하였다.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와 같이 스마트 단말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인쇄형태로 향유되던 문서 및 도서의 사용 형태가 온라인 또는 모바일 환경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스마트 단말의 사용자는 모바일 환경에서도 오프라인에서의 독서 환경과 같은 서비스를 받고자 한다. 이에 대한 반응하여, 텍스트 형태의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가공한 전자책 컨텐츠가 등장하게 되었다.
최근들어, 전자책 컨텐츠의 소비가 늘면서, 광고주들은 제품광고 및 홍보 등의 목적으로 전자책 컨텐츠 상에 온라인 광고를 게재하고 있는데, 이를 통하여 자사 제품에 대한 광고 효과의 제고에 많은 에너지를 쏟고 있다.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전자책 컨텐츠를 생성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컨텐츠 서버는 텍스트를 광고 영역으로 결정하는 광고 컨텐츠 결정부, 상기 텍스트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카테고리 결정부, 상기 결정된 카테고리 및 상기 텍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광고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 상기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광고 영역에 매칭시키는 광고 매칭부 및 상기 선택된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자책 컨텐츠를 생성하는 전자책 컨텐츠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텍스트를 광고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텍스트의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카테고리 및 상기 텍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광고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광고 영역에 매칭시키고, 상기 선택된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자책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서버 및 상기 전자책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전자책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 1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컨텐츠 생성 방법은 텍스트를 광고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카테고리 및 상기 텍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광고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광고 영역에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자책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컨텐츠 서버는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를 생성 및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 서버(100),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컨텐츠 서버(100)는 저작 중에 있는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텍스트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단어 단위)를 광고 영역으로서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선택받을 경우, 선택된 텍스트를 광고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전자책 컨텐츠를 저작하는 중에, '나이로비 국립공원'이라는 텍스트를 광고 영역으로 선택할 경우, 컨텐츠 서버(100)는 해당 텍스트를 광고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컨텐츠 서버(100)는 자연어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텍스트를 인식하고, 인식된 텍스트가 광고 영역으로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광고 영역으로서 적합한 텍스트에 한하여 해당 텍스트를 광고 영역으로 결정할지에 대한 선택을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하도록 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00)는 광고 영역으로 결정된 텍스트에 대하여, 해당 텍스트의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는 전자책 컨텐츠, 비디오 컨텐츠, 음악 컨텐츠, 쿠폰 컨텐츠 및 여행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서버(100)는 광고 영역으로 결정된 텍스트가 기존에 제작된 전자책 컨텐츠와 관련 있을 경우, 해당 텍스트의 카테고리를 전자책 컨텐츠 카테고리로 결정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00)는 텍스트에 대응하여 결정된 카테고리 및 해당 텍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광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서버(100)는 광고 컨텐츠의 메타 정보(예를 들어, 광고 컨텐츠의 제목, 장르 등)를 이용하여, 해당 텍스트와 연관 있는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광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리스트는 제 2 사용자 단말(300)에게 제공될 수 있고, 또는 제 1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필터링되어 제 2 사용자 단말(300)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영역으로 결정된 텍스트가 'yellow submarine'을 제목으로 하는 음악 컨텐츠와 대응될 경우, 광고 컨텐츠에는 해당 음악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음악 재생 UI, 해당 음악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는 음반 구매 사이트 주소, 해당 음악 컨텐츠에 대응하는 가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광고 리스트에는 해당 텍스트와 동음이의어 관계에 있는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영역으로 결정된 텍스트가 'yellow submarine'일 경우, 광고 리스트에는 'yellow submarine' 홍대 바(bar), 비틀즈 음반인 'yellow submarine', 애니메이션 제목인 'yellow submarine' 등의 광고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00)는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 중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광고 컨텐츠를 광고 영역에 매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영역으로 결정된 텍스트가 '나이로비 국립공원'일 경우, 컨텐츠 서버(100)는 '나이로비 국립공원'과 관련 있는 광고 컨텐츠(예를 들어, 나이로비 국립공원 여행 패키지)를 해당 텍스트에 매칭시킬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서버(100)는 텍스트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광고 영역에 매칭시킨 이후, 전자책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00)는 광고 영역으로 결정한 텍스트를 제 1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선택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 대체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서버(100)는 제 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 프로필 정보로부터 제 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에 대한 취향을 분석하고, 광고 영역으로 결정한 텍스트를 제 2 사용자 단말(300)의 취향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로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문장 중 '나이로비 국립공원의 열두 마리 코끼리들이 합창한 Yellow Submarine이 수록된'을, 컨텐츠 서버(100)는 제 2 사용자 단말(300)의 취향에 맞도록 '나이로비 국립공원'을 '싱가폴 동물원'으로 대체할 수 있고, 'Yellow Submarine'을 '윤도현 밴드<타잔>'으로 대체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00)는 제 2 사용자 단말(300)이 광고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텍스트를 터치(또는 클릭)할 경우, 제 1 사용자 단말(200)에게 리워드 통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서버(100)는 제 2 사용자 단말(300)이 광고 컨텐츠가 포함된 텍스트를 통해 해당 광고 컨텐츠를 구매할 경우, 제 1 사용자 단말(200)에게 리워드 통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200)은 전자책 컨텐츠의 내용을 저작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 단말(200)은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텍스트를 광고 영역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광고 영역을 컨텐츠 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200)은 컨텐츠 서버(100)로부터 광고 리스트(광고 영역으로 결정된 텍스트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광고 리스트)를 수신할 경우, 해당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광고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광고 영역에 매칭시키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고, 해당 유저 입력을 컨텐츠 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200)은 광고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텍스트를 제 2 사용자 단말(300)이 터치(또는 클릭)할 경우, 컨텐츠 서버(100)로부터 리워드 통지를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 단말(200)은 제 2 사용자 단말(300)이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 영역을 통해 광고 컨텐츠를 구매할 경우, 컨텐츠 서버(100)로부터 리워드 통지를 전송받을 수 있다.
제 2 사용자 단말(300)은 전자책 컨텐츠를 컨텐츠 서버(100)에게 요청하고, 전자책 컨텐츠를 컨텐츠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책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텍스트에 광고 컨텐츠가 매칭되어 제작된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텍스트(광고 영역으로 결정된 텍스트)는 광고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 대체된 것일 수도 있다.
제 2 사용자 단말(300)은 컨텐츠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전자책 컨텐츠에서 텍스트(광고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텍스트 또는 광고 컨텐츠와 매칭된 텍스트)를 터치(또는 클릭)할 경우, 해당 광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영역으로 결정된 텍스트가 'yellow submarine'이고, 제 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해당 텍스트를 터치했을 경우, 제 2 사용자 단말(300)은 컨텐츠 서버(100)로부터 비틀즈의 'yellow submarine' 음반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감상할 수 있는 음악 재생 UI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200)은 저작자의 단말이고, 제 2 사용자 단말(300)은 구독자의 단말로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은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TV 장치,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TV 장치의 일 예에는 스마트 TV, IPTV 셋톱박스 등이 포함되고, 컴퓨터의 일 예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이 포함되고, 휴대용 단말의 일 예에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은 도 1의 도시된 형태 또는 앞서 예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도 1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400)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4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례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서버(10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텐츠 서버(100)는 광고 컨텐츠 결정부(210), 카테고리 결정부(220), 리스트 생성부(230), 광고 매칭부(240), 전자책 컨텐츠 생성부(250), 텍스트 인식부(260), 컨텐츠 요청 수신부(270), 및 컨텐츠 전송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컨텐츠 서버(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컨텐츠 서버(100)는 이용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될 수도 있으나, 영상 표시 장치에 표현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될 수도 있다.
광고 컨텐츠 결정부(210)는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광고 영역으로 선택할 경우, 해당 텍스트를 광고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단말(200)이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나이로비 국립공원'이라는 텍스트를 광고 영역으로 선택할 경우, 광고 컨텐츠 결정부(210)는 '나이로비 국립공원'를 광고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 결정부(210)는 텍스트 인식부(260)에 의해 인식된 텍스트(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텍스트)가 광고 영역으로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텍스트를 광고 영역으로 결정할지에 대한 선택을 직접 하거나, 제 1 사용자 단말(200)가 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후자의 경우, 광고 컨텐츠 결정부(21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선택된 텍스트를 광고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카테고리 결정부(220)는 광고 영역으로 결정된 텍스트에 대하여, 텍스트의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는 전자책 컨텐츠, 비디오 컨텐츠, 음악 컨텐츠, 쿠폰 컨텐츠, 및 여행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 결정부(220)는 '나이로비 국립공원'이라는 텍스트를 여행 컨텐츠 카테고리에 포함시킬 수 있다.
리스트 생성부(230)는 텍스트의 카타고리 및 해당 텍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광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는 텍스트가 의미하는 광고 컨텐츠의 메타 정보(예를 들어, 광고 컨텐츠의 제목, 장르 등)를 이용하여 결정된 것일 수 있다. 또한,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는 상호간 동음이의어 관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가 '나이로비 국립공원'일 경우, 리스트 생성부(230)는 '이태원 카페 나이로비' 또는 '나이로비 국립공원 여행 패키지' 등을 광고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리스트 생성부(230)는 제 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전자책 컨텐츠의 요청을 받는 시점에 대응하는 컨텐츠(예를 들어, 전자책 컨텐츠의 요청 당시 유행했던 음악 컨텐츠 등)를 포함하는 광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광고 매칭부(240)는 리스트 생성부(230)에서 생성한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광고 영역에 매칭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고 매칭부(240)는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선택받고, 선택받은 광고 컨텐츠를 광고 영역에 매칭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광고 매칭부(240)는 제 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광고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광고 컨텐츠를 광고 영역에 매칭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광고 매칭부(240)는 제 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 프로필 정보로부터 제 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에 대한 취향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광고 매칭부(240)는 광고 영역으로 결정한 텍스트에 제 2 사용자 단말(300)의 취향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매칭시킬 수 있다.
광고 매칭부(240)는 제 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전자책 컨텐츠의 요청을 받는 시점을 더 이용하여,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광고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광고 영역에 매칭시킬 수 있다. 여기서, 광고 리스트에는, 예를 들어, 전자책 컨텐츠의 요청 시점에 유행한 음악이 광고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으나, 과거에 유행했던 음악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전자책 컨텐츠 생성부(250)는 텍스트를 광고 영역으로 결정한 이후에 전자책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책 컨텐츠 생성부(250)는 텍스트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 중, 제 1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선택된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자책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책 컨텐츠 생성부(250)는 광고 영역으로 결정한 텍스트를 제 1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선택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 대체하고, 대체된 내용으로 전자책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광고 컨텐츠를 생성 및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를 생성 및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컨텐츠 서버(100)는 광고 컨텐츠와 매칭된 광고 영역 즉, 광고 영역으로 결정된 텍스트의 글씨체 또는 색을 다른 텍스트와 구분지어 다르게 표시함으로써, 제 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광고 컨텐츠와 매칭된 광고 영역인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00)는 제 1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광고 영역으로 결정된 텍스트에 대하여, 해당 텍스트의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는 전자책 컨텐츠, 비디오 컨텐츠, 음악 컨텐츠, 쿠폰 컨텐츠 및 여행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는 eBooks, Movies, 및 Music를 포함하고 있는 VG 서비스(301), 카페/음식점 쿠폰, 여행 상품을 포함하고 있는 실물 재화 연계 서비스(302)로 구분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00)는 제 2 사용자 단말(300)이 광고 영역을 터치(또는 클릭)할 경우, 광고 영역에 매칭된 광고 컨텐츠를 제 2 사용자 단말(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 단말(300)이 전자책 컨텐츠인 '김연수의 <7번국도>'(303)에 포함된 텍스트 중, '나비로비 국립공원'(304)을 터치할 경우, 컨텐츠 서버(100)는 '나비로비 국립공원'에 매칭된 여행 컨텐츠(306)를 제 2 사용자 단말(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책 컨텐츠에 특정 카페 또는 음식점을 나타내는 텍스트가 있을 경우, 컨텐츠 서버(100)는 해당 텍스트를 광고 영역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광고 영역에 해당 특정 카페 또는 음식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 컨텐츠를 매칭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사용자 단말(300)이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텍스트 중, 'yellow submarine'(305)를 터치할 경우, 컨텐츠 서버(100)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비틀즈의 'yellow submarine'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음악 재생 UI(307)를 제 2 사용자 단말(300)에게 제공할 수 있고, 비틀즈의 'yellow submarine' 음반을 판매하는 음반 판매 사이트로 연동할 수 있는 구매 연동 UI(307)를 제 2 사용자 단말(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사용자 단말(300)이 비틀즈의 'yellow submarine' 음반을 구매할 경우, 컨텐츠 서버(100)는 해당 전자책 컨텐츠에 'yellow submarine'를 배경 음악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b 내지 도 3c는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컨텐츠 서버(100)는 자연어 처리 기술에 포함된 형태소 분석 및/또는 개체명 인식을 통해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텍스트를 인식하고, 인식된 텍스트가 광고 영역으로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00)는 광고 영역으로 결정된 텍스트에 대해, 광고 리스트에 포함시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해당 텍스트와 연관 있는 광고 컨텐츠)를 카테고리(301 및 302)로부터 추출하여 검색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00)는 해당 텍스트와 연관 있는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광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는 상호간 동음이의어 관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영역으로 결정된 텍스트가 '나이로비 국립공원'(304)일 경우, 광고 리스트(308)에는 '이태원 카페 나이로비' 또는 '나이로비 국립공원 여행 패키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광고 영역으로 결정된 텍스트가 'yellow submarine'(305)일 경우, 광고 리스트(309)에는 홍대의 바(bar)명인 'yellow submarine', 비틀즈 음반인 'yellow submarine', 애니메이션 제목인 'yellow submarin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00)는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 중,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광고 컨텐츠를 광고 영역에 매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서버(100)는 '나이로비 국립공원'(304)에 여행 컨텐츠(예를 들어, 나이로비 국립공원 여행 패키지)를 매칭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컨텐츠 서버(100)는 'yellow submarine'(305)에 비틀즈 음반인 'yellow submarine'를 매칭시킬 수 있다.
컨텐츠 서버(100)는 해당 광고 영역에 제 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선택된 광고 컨텐츠를 매칭시킨 이후, 전자책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컨텐츠 서버(100)는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텍스트 중, 광고 영역으로 결정된 텍스트를 광고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 대체시킬 수 있다. 이 때, 광고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제 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 프로필 정보로부터 분석된 제 2 사용자 단말(300)의 취향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전자책 컨텐츠를 요청받은 시점에 대응하여 유행한 컨텐츠와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이로이 국립공원의 열두 마리 코끼리들이 합창한 yellow submarine이 수록된~'을 포함한 전자책 컨텐츠에서, 컨텐츠 서버(100)는 제 2 사용자 단말(300)의 취향에 대응되게 '나이로이 국립공원'을 '해외 유명 동물원'(310)으로 대체할 수 있고, 'yellow submarine'을 '신나는 rock 음악'(312)으로 대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나이로비 국립공원의 열두 마리 코끼리들이 합창한 Yellow Submarine이 수록된 ~'을 포함한 전자책 컨텐츠에서, 컨텐츠 서버(100)는 제 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전자책 컨텐츠를 요청받은 시점에 대응하여 '나이로비 국립공원'을 '싱가폴 동물원'으로 대체할 수 있고, 'yellow submarine'을 '윤도현 밴드<타잔>'으로 대체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텍스트 인식부(260)는 자연어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텍스트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텍스트 인식부(260)는 자연어 처리 기술에 포함된 형태소 분석 및/또는 개체명 인식을 통해 텍스트를 인식할 수 있다.
컨텐츠 요청 수신부(270)는 제 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전자책 컨텐츠를 요청받을 수 있다.
컨텐츠 전송부(280)는 전자책 컨텐츠 생성부(250)에서 생성한 전자책 컨텐츠를 제 2 사용자 단말(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DB(미도시)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DB(미도시)는 컨텐츠 서버(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 컨텐츠 서버(100)와 컨텐츠 서버(10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DB(미도시)의 일 예에는 컨텐츠 서버(10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당업자라면, 광고 컨텐츠 결정부(210), 카테고리 결정부(220), 리스트 생성부(230), 광고 매칭부(240), 전자책 컨텐츠 생성부(250), 텍스트 인식부(260), 컨텐츠 요청 수신부(270) 및 컨텐츠 전송부(28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100),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의 컨텐츠 서버(100), 제 1 사용자 단말(200)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1에서 컨텐츠 서버(100)는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텍스트를 광고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컨텐츠 서버(100)는 단계 S401에서 광고 영역으로 결정된 텍스트에 대하여 텍스트의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405에서 컨텐츠 서버(100)는 단계 S403에서 결정된 카테고리 및 텍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광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407에서 컨텐츠 서버(100)는 단계 S405에서 생성된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광고 영역에 매칭시킬 수 있다.
단계 S409에서 컨텐츠 서버(100)는 단계 S407에서 선택된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자책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01 내지 S409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컨텐츠 서버
200: 제 1 사용자 단말
300: 제 2 사용자 단말

Claims (18)

  1. 컨텐츠 서버에 있어서,
    텍스트를 광고 영역으로 결정하는 광고 컨텐츠 결정부;
    상기 텍스트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카테고리 결정부;
    상기 결정된 카테고리 및 상기 텍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광고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
    상기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광고 영역에 매칭시키는 광고 매칭부; 및
    상기 선택된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자책 컨텐츠를 생성하는 전자책 컨텐츠 생성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는 상기 선택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 대체되는 것인, 컨텐츠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자연어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텍스트를 인식하는 텍스트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서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인식부는 상기 자연어 처리 기술에 포함된 형태소 분석 및/또는 개체명 인식을 통해 상기 텍스트를 인식하는 것인, 컨텐츠 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 결정부는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상기 텍스트를 광고 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인, 컨텐츠 서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매칭부는 상기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 중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광고 컨텐츠를 상기 광고 영역에 매칭시키는 것인, 컨텐츠 서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는 전자책 컨텐츠, 비디오 컨텐츠, 음악 컨텐츠, 쿠폰 컨텐츠, 및 여행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서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책 컨텐츠를 요청받는 컨텐츠 요청 수신부; 및
    상기 생성된 전자책 컨텐츠를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매칭부는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광고 영역에 매칭시키는 것인, 컨텐츠 서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매칭부는 상기 전자책 컨텐츠를 요청받는 시점을 더 이용하여
    상기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광고 영역에 매칭시키는 것인, 컨텐츠 서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는 상호간 동음이의어 관계인 것인, 컨텐츠 서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는 상기 텍스트가 의미하는 광고 컨텐츠의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것인, 컨텐츠 서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책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광고 영역을 결정한 이후에 상기 전자책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인, 컨텐츠 서버.
  14.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텍스트를 광고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텍스트의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카테고리 및 상기 텍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광고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광고 영역에 매칭시키고, 상기 선택된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자책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서버; 및
    상기 전자책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전자책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 1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전자책 컨텐츠의 내용을 저작하는 제 2 사용자 단말에게 리워드 통지를 전송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는 상기 선택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 대체되는 것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광고 영역을 결정한 이후에 상기 전자책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18. 컨텐츠 생성 방법에 있어서,
    텍스트를 광고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카테고리 및 상기 텍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광고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광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광고 영역에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자책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생성 방법.
KR1020130168707A 2013-12-31 2013-12-31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69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707A KR102169037B1 (ko) 2013-12-31 2013-12-31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707A KR102169037B1 (ko) 2013-12-31 2013-12-31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275A true KR20150080275A (ko) 2015-07-09
KR102169037B1 KR102169037B1 (ko) 2020-10-22

Family

ID=53792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707A KR102169037B1 (ko) 2013-12-31 2013-12-31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03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9564A1 (ko) * 2016-06-02 2017-12-07 주식회사 플런티코리아 앱 리스트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00711A (ko) * 2017-12-20 2018-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앱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107779A (ko) * 2019-03-08 2020-09-16 신상현 커스터마이즈 된 아이디 카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184932A1 (ko) * 2019-03-08 2020-09-17 신상현 커스터마이즈 된 아이디 카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2065868A1 (ko) * 2020-09-25 2022-03-31 김정우 Apl 광고 제공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400A (ko) * 2001-12-10 2003-06-18 현소영 멀티 팝업창을 통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22688A (ko) * 2008-08-20 2010-03-03 (주)모아진 전자책을 이용한 키워드 방식의 광고방법 및 그 장치
KR20110135208A (ko) * 2010-06-10 2011-12-16 (주)이니셜커뮤니케이션즈 전자책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20084150A1 (en) * 2010-09-30 2012-04-05 Yahoo! Inc. Ebook advertising and related techniques
KR20120075608A (ko) * 2010-12-17 2012-07-09 주식회사 케이티 이-북 콘텐츠의 태그를 통해 광고를 제공하는 이-북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400A (ko) * 2001-12-10 2003-06-18 현소영 멀티 팝업창을 통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22688A (ko) * 2008-08-20 2010-03-03 (주)모아진 전자책을 이용한 키워드 방식의 광고방법 및 그 장치
KR20110135208A (ko) * 2010-06-10 2011-12-16 (주)이니셜커뮤니케이션즈 전자책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20084150A1 (en) * 2010-09-30 2012-04-05 Yahoo! Inc. Ebook advertising and related techniques
KR20120075608A (ko) * 2010-12-17 2012-07-09 주식회사 케이티 이-북 콘텐츠의 태그를 통해 광고를 제공하는 이-북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9564A1 (ko) * 2016-06-02 2017-12-07 주식회사 플런티코리아 앱 리스트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10984192B2 (en) 2016-06-02 2021-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lication list provid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KR20180000711A (ko) * 2017-12-20 2018-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앱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52905B1 (ko) * 2017-12-20 201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앱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107779A (ko) * 2019-03-08 2020-09-16 신상현 커스터마이즈 된 아이디 카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184932A1 (ko) * 2019-03-08 2020-09-17 신상현 커스터마이즈 된 아이디 카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2065868A1 (ko) * 2020-09-25 2022-03-31 김정우 Apl 광고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037B1 (ko)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3354B2 (en) Override of automatically shared meta-data of media
US11776018B2 (en) Universal ad creative
CN107203894B (zh) 信息推送方法和装置
US9645797B2 (en) Development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xternal functionality
US11341153B2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pplications on a device for serving media
US10031725B2 (en) Entity-based external functionality for software developers
US92625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between a sender and a recipient via a personalized message including an audio clip extracted from a pre-existing recording
US9626158B1 (en) Dynamic availability-based integration of external functionality
US9043412B2 (en) Computer device for reading e-book and server for being connected with the same
US11528319B2 (en) Automatic population of a network accessible content collection
US20170315788A1 (en) Dynamic Entity Inference for Developer Integration of Entity-Based External Functionality
CN106688215B (zh) 针对内容效能优化的自动点击类型选择
US201600349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embedded search within messaging applications
KR102169037B1 (ko)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373608A (zh) 一种基于输入法的场景式内容推送方法及其系统
US20140164915A1 (en) Conversion of non-book documents for consistency in e-reader experience
US20150039475A1 (en) Point of sale system and method for sampling and purchasing digital content
JP7163003B2 (ja) 配信装置、配信方法、及び配信プログラム
US10528645B2 (en) Content search using visual styles
US8825524B2 (en) Electronic book provision system and electronic book distribution device
Bernritter et al. Mobile technology and advertising: Moving the research agenda forward
KR102119398B1 (ko) 광고 제공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
US10616161B1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content extraction and propagation in HTML messages
Mena Data mining mobile devices
KR101369504B1 (ko) 콘텐츠 분할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