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9160A -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9160A
KR20150079160A KR1020130169204A KR20130169204A KR20150079160A KR 20150079160 A KR20150079160 A KR 20150079160A KR 1020130169204 A KR1020130169204 A KR 1020130169204A KR 20130169204 A KR20130169204 A KR 20130169204A KR 20150079160 A KR20150079160 A KR 20150079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positive charge
epoxy resin
polysulfone
antiv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1676B1 (ko
Inventor
김대훈
최원경
임수정
Original Assignee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9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676B1/ko
Publication of KR20150079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3Laminat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83Therm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88Phys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e.g. swelling, coating or impreg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5Support pre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7Organic support material
    • B01D69/1071Woven, non-woven or net m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6Three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46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2Polyethers
    • B01D71/522Aromatic polyethers
    • B01D71/5222Polyetherketone, polyetheretherketone, or polyaryletherket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8Other polymers having nitrogen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0Polyam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66Polymers having sulfur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8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16Pore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33Fibre di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08Specific temperatures applied
    • B01D2323/081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2Specific ratios of component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4Characteristic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16Membrane materials having positively charged functional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0Specific permeability or cut-off r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6Electrical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유리섬유 기반의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대체하면서도 우수한 수투과량을 갖고, 또한, 박테리아 제거성능 및 바이러스 제거성능을 우수한 친환경적인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를 제공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 및 이의 제조방법{Positive electric charge- filter cartridg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박테리아 및 세균 등의 제거 효율을 가지면서도, 바이러스도 제거 가능한 항바이러스 및 제균이 우수한 필터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 속에는 천연유기물질(Natural Organic Matter; NOM)을 비롯한 수많은 이온성 물질, 화학물질이 존재하며 상수처리 과정에서 제거되지 않고 새로운 오염물질을 발생시키는 원인물질로 작용한다. 또한, 최근에는 염소소독으로 제거되지 않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존재여부가 논란이 되고 있다. 바이러스(Virus), 크립토스포리디움(Crytosphoridium), 자이알디아(Giardia) 등으로 분류되는 병원성 미생물은 인체 및 동물의 분변을 통해 환경 중으로 배출되어 하수뿐만 아니라 지표수와 지하수에도 존재한다. 바이러스는 0.02 ~ 0.09㎛, 박테리아는 길이 0.4 ~ 14㎛, 폭 0.2 ~ 1.2㎛의 크기를 갖으며 크립토스포리디움, 자이알디아 등 원생동물은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에 비해서는 비교적 큰 편이다. 바이러스의 경우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일반 여과에 의해서는 거의 처리되지 않으며 내성이 강한 낭종(Cyst)을 형성하여 물에서 수개월이상 안정적으로 살아있다. 현재 물 속의 미량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수처리과정에서 고도응집처리 또는 활성탄 흡착, 막여과가 제시되고 있는데 최근 막을 사용한 정수처리 공정에 대한 국가단위의 대규모 연구가 진행 중이다.
특히, 막 여과에 대해서는 최근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고도정수처리 과정에서 실용화가 타진되고 있는데 아직까지도 경제적인 비용과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폭넓게 이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역삼투막(RO), 나노여과막(NF), 한외여과막(UF), 정밀여과막(MF)으로 분류되는 막을 비롯한 기존 필터들은 공경(pore, 기공)의 사이즈를 이용하여 물리적인 기작에 의거하여 물 중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스템이다.
분리막의 오염물질제거에 대한 주된 메커니즘은 체분리(Sieve) 효과, 즉 입자크기에 의한 제거가 적용되어 물속에 부유하고 있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유기 오염물 등을 제거하여 주는 것이다. 상기 입자크기에 의한 제거 외에도 분리막 표면 전하에 따른 정전기적 흡착에 의해서도 수중의 미생물 등을 걸러주며, 이 방법은 적은 운전압력 대비 높은 투수율 및 높은 입자제거 성능으로 각광 받으면서 연구되고 있다.
종래의 수처리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마이크로 섬유 필터는 여과 면적이 작고 정전기력이 없기 때문에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멤브레인 필터는 여과 효율은 높으나 압력 손실이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마이크로 섬유 필터와 멤브레인 필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마이크로 사이즈의 공경을 가지는 섬유 필터에 정전기력을 부과함으로써 섬유 필터의 여과 효율을 증가시키고, 압력 손실을 감소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기술에는 항바이러스 부직포 제조를 위해 유리섬유를 기본 여재로 두고, 유리섬유 제조시에 양전하를 띄는 무기화합물을 첨가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여 양전하 필터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흡착제거 하였다(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04-0301723, 미국 등록특허 7,601,262호 등). 그러나 이 기술은 유리섬유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발암 등의 유해성 논란으로 수처리 공정의 적합성이 우려되는 문제점과 유리섬유를 사용하여 제조시 첨가되는 화합물에 의해 제품군에서 다양화가 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종래기술로는 유리섬유가 아닌 폴리프로필렌 여재를 사용하여 여재 안정성을 높였으며, 후처리 코팅 방식에 의해 양전하 필터 여재를 제조하였다(일본공개특허번호 1994-015167).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바이러스만 제거가 가능할 뿐, 박테리아 및 세균 등을 제거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유량 및 여과압력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박테리아 및 세균의 제거능은 유지하면서, 나노사이즈의 바이러스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전하 카트리지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항바이러스 부직포 및 폴리술폰계 분리막을 포함하며, 필터링(filtering) 방향으로 상기 항바이러스 부직포의 일면에 상기 폴리술폰계 분리막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양전하 카트리지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 부직포는 단층 또는 다층으로 적층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양전하 카트리지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및 셀룰로오스 섬유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의 내부 및 표면에 양전하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양전하 카트리지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 부직포의 양전하 코팅층은 코팅층은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 수소첨가된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수소첨가된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 난연성 에폭시(brominated epoxy) 수지, 및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가교제; 및 폴리에틸렌이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피페라진, 디메틸렌피페라진 및 디페닐아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다관능성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항바이러스 부직포의 양전하 코팅층은 상기 가교제 및 다관능성 아민 화합물를 1 : 0.5 ~ 10 당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 부직포의 부직포는 평균섬도가 0.5 ~ 10㎛ 및 평균공경 1 ~ 3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부직포는 평균두께 0.1 ~ 2㎜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 부직포는 표면전하가 10 ~ 50 mV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양전하 카트리지 필터에 있어서, 상기 폴리술폰계 분리막은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알릴에테르술폰, 폴리페닐설폰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폴리술폰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폴리술폰계 분리막은 평균공경이 0.1 ~ 1㎛ 및 평균두께 100 ~ 180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양전하 카트리지 필터는 평균수투과량이 20 ~ 80 ㎖/cm2·min·bar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바이러스 제거성능이 2 log 이상이고, 박테리아 제거성능이 7 lo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양전하 카트리지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술폰계 분리막의 일면에 상기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단층 또는 다층으로 적층 및 합지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항바이러스 부직포는 양전하 코팅제에 부직포를 침전시켜서 부직포에 양전하 코팅제를 코팅시키는 단계; 및 양전하 코팅제가 코팅된 부직포를 열가교시켜서 양전하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항바이러스 부직포 제조단계에 사용하는 상기 양전하 코팅제는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아세톤 및 메탄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용매;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 수소첨가된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수소첨가된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 난연성 에폭시(brominated epoxy) 수지 및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가교제; 및 폴리에틸렌이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피페라진, 디메틸렌피페라진 및 디페닐아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다관능성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양전하 코팅제는 상기 가교제 및 상기 다관능성 아민 화합물을 1 : 0.5 ~ 10 당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항바이러스 부직포의 제조단계에 있어서, 상기 침전은 15℃ ~ 40℃에서 5초 ~ 15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항바이러스 부직포의 제조단계에 있어서, 열가교는 60℃ ~ 130℃ 하에서, 15초 ~ 8시간 동안 건조 및 가교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항바이러스 부직포의 제조단계에 있어서, 상기 코팅시키는 단계의 침전 전의 부직포는 코로나, 플라즈마, 하이드로차징(hydro-charging), 스퍼터, 프라이머, 화염처리 및 산처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방법으로 부직포의 내부 및 표면을 전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비저장형 직수형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다양한 형태의 양전하 카트리지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이온 필터 카트리지는 박테리아 및 세균 등에 대한 높은 미생물 제거능력을 가지면서도, 마이크로사이즈 및 나노사이즈의 바이러스에 대하여도 우수한 흡착 및 제거하는 성능을 갖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양이온 필터 카트리지는 우수한 수투과유량을 갖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부직포용 양전하 코팅제를 코팅시키기 전의 부직포 내부의 섬유에 대한 SEM 측정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항바이러스 부직포의 부직포 내부의 섬유에 대한 SEM 측정 사진이다.
도 3 ~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양이온 필터 카트리지의 단면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필터링(filtering) 방향은 도 3 및 도4의 화살표 방향을 나타내며, 분리대상 물질이 유입되는 방향에서 유출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술폰계 분리막의 단면구조의 상층부와 하층부가 서로 다른 공경 크기를 갖을 때 비대칭구조라 명칭하고 상층부와 하층부의 기공들이 유사한 공경대를 가질 때 대칭구조라 정의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약비대칭은 상층부와 하층부의 공경 크기 차이가 크지 않으나, 비대칭 구조와 같이 다공성이 높고 유량이 높은 특성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항바이러스 부직포; 및 폴리술폰계 분리막;을 포함하며, 필터링(filtering) 방향으로 상기 항바이러스 부직포의 일면에 상기 폴리술폰계 분리막이 적층되고, 상기 항바이러스 부직포는 단층 또는 다층인 다공성 복합여재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항바이러스 및 제균능이 우수한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300)의 단면 개략도로써, 항바이러스 부직포(302)의 한 측면에 폴리술폰계 분리막(301)이 적층 및 합지되어 있으며,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구현예에 따른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의 단면 개략도로써, 2층 구조의 항바이러스 부직포(302)의 한 측면에 폴리술폰계 분리막(301)이 합지되어 있는 형태로서, 항바이러스 부직포와 폴리술폰계 분리막은 필터링 방향으로 합지되어 있는 형태이다.
먼저 항바이러스 부직포(302)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항바이러스 부직포는 바이러스를 흡착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5 ~ 90nm 크기인 바이러스를 흡착 제거할 수 있으며, 휴믹산 등 유기오염원을 흡착 제어하여 바이오 파울링을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유리섬유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발암 등의 유해성 논란이 있으며 수처리 공정에 사용에 적합성이 우려되는 문제점과 유리섬유를 사용하여 제조시 첨가되는 화합물에 의한 제품군이 다양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는 바,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리섬유가 아닌 친환경적인 부직포를 이용한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연구한 결과, 부직포가 높은 표면전하를 갖으면서도 부직포에 대한 접합성 및 상용성 등이 우수한 양전하 코팅제를 아래와 같이 개발하였다.
상기 양전하 코팅제는 용매, 가교제 및 다관능성 아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아세톤 및 메탄올 중에서 선택된 1종 및 2종 이상을, 바람직하게는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및 메탄올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다관능성 아민 화합물 간의 가교제 역할 및 바인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부직포와 코팅성분 간에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 수소첨가된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수소첨가된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 난연성 에폭시(brominated epoxy) 수지 및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을 또는 2종 이상을 혼합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 수소첨가된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수소첨가된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 및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수소첨가된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및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의 사용량은 상기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교제를 0.5 ~ 8 중량부로, 바람직하게는 0.8 ~ 7 중량부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6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가교제의 사용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다관능성 아민 화합물이 부직포로부터 쉽게 떨어져 나갈 수 있고, 아민화합물의 수용양이 작아 바이러스 흡착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가 있을 수 있고, 8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양전하 코팅제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부직포의 내부 즉, 부직포의 섬유를 충분하게 코팅시키지 못하여 여재 공경 크기 감소로 인한 투수량 감소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아민 화합물은 부직포의 내부 및 외부에 양전하를 나타내는 정전기적 성질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며, 폴리에틸렌이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피페라진, 디메틸렌피페라진 및 디페닐아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에틸렌트리아민 및 디페닐아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아민 화합물의 사용량은 상기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 15 중량부로, 바람직하게는 0.5 ~ 13 중량부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1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다관능성 아민 화합물의 사용량은 0.3 중량부 미만이면 본 발명의 양전하 카트리지 필터의 바이러스 제거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양전하 코팅제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부직포의 내부 즉, 부직포의 섬유를 충분하게 코팅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미반응물이 용출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양전하 코팅제는 상기 가교제 및 상기 다관능성 아민 화합물을 1 : 0.5 ~ 10당량비로, 바람직하게는 1 : 0.8 ~ 9당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8당량비로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이때, 다관능성 아민 화합물일 가교제 1 당량비에 대하여 0.5 당량비 미만이면 충분한 표면 전하를 여재에 제공할 수 없을 수 있으며, 10당량비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상대적으로 가교제의 사용량이 너무 적어서 미 반응물 발생으로 코팅물이 용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기 양전하 코팅제에 부직포를 코팅시켜서 본 발명의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앞서 설명한 다양한 형태의 양전하 코팅제에 부직포를 침전시켜서 부직포에 양전하 코팅제를 코팅시키는 단계; 및 양전하 코팅제가 코팅된 부직포를 열가교시켜서 양전하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거쳐서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코팅시키는 단계의 침전 전의 부직포는 코로나, 플라즈마, 하이드로차징(hydro-charging), 스퍼터, 프라이머, 화염처리 및 산처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방법으로 부직포의 내부 및 표면을 전처리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코로나, 플라즈마, 하이드로차징 또는 산처리를 수행하여 전처리한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양전하 코팅층와 부직포간의 접착력을 증대시킬 수 도 있다.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제조방법에서 사용하는 상기 양전하 코팅제의 종류, 특징, 성분 등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항바이러스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면 적용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케미컬본딩부직포(Chemical Bonding), 써멀본딩부직포(Thermal Bonding), 에어레이부직포(Air Ray), 습식부직포(Wet Ray), 니들펀칭부직포(Needle Punching), 스판레스(수류결합법-Water zet), 스판본드(Spun Bond), 멜트블로운(Melt Blown) 및 스티치본드(Stitch Bond), 전기방사(electro spinning) 부직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및 셀룰로오스 섬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는 평균두께 0.1 ~ 2㎜ 인 것이, 바람직하게는 0.2 ~ 1㎜ 인 것이 좋으며, 이때, 평균두께 0.1 만약 평균두께가 0.1㎜미만이면, 바이러스 흡착 경로가 짧아서 제거효율이 감소한 문제가 있으며, 2㎜를 초과하면, 여과시 차압발생으로 유량이 감소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0.5 ~ 10㎛ 및 평균공경 1 ~ 3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섬도 0.5 ~ 8㎛ 및 평균공경 2 ~ 10㎛ 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섬도 1 ~ 5㎛ 및 평균공경 3 ~ 8㎛일 수 있다. 이때,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가 0.5㎛ 미만이면, 여과시 차압발생에 따른 유량 감소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0㎛를 초과하면, 다공도가 떨어져 여과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평균공경이 1㎛ 미만이면, 유량 감소한 문제가 있으며, 30㎛를 초과하면, 바이러스 제거성능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항바이러스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전하 코팅제를 코팅시키는 단계의 침전은 15℃ ~ 40℃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게는 20℃ ~ 30℃ 에서 수행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15℃ 미만에서 수행시 에폭시 점착력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4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수행시 용매 증기 발생에 의한 유해환경 및 폭발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온도 범위에서 침전을 수행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침전시간은 5초 ~ 15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20초 ~ 13시간 정도 수행하는 것이 좋다.
항바이러스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가교는 60℃ ~ 130℃ 하에서, 바람직하게는 70℃ ~ 110℃ 하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100℃에서 건조 및 가교를 수행하는 것이 좋은데, 이때, 열가교 온도가 60℃ 미만이면 가교제와 아민화합물의 가교반응이 충분히 이루어 지지 않아 물성 및 제조 공정의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를 발생할 수 있으며, 130℃를 초과하면 부직포의 열변형을 가져와서 여재의 공경(기공)이 좁아져서 수투과량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상기 온도 범위 내에서 열가교를 수행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열가교 시간은 열가교 온도에 따라 상대적으로 변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15초 ~ 8시간 정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게는 30초 ~ 6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 부직포는 부직포의 내부 및 표면에 양전하 코팅층이 코팅되어 있는데, 상기 양전하 코팅층은 평균두께 0.01 ~ 3㎛을 갖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게는 평균두께 0.05 ~ 1㎛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코팅층의 평균두께가 0.01㎛ 미만이면 코팅 균일도 감소로 인한 물성편차 문제가 있을 수 있고, 3㎛를 초과하면 코팅층 내구성 감소로 용출문제 가 있을 수 있다.
양전하 코팅층을 형성된 본 발명 항바이러스 부직포의 표면전하는10 ~ 50 mV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 50 mV일 수 있다. 이는 부직포의 표면전하가 양전하를 나타냄으로써, 음전하를 갖는 바이러스를 흡착하여 포집할 수 있게 되는데, 만약 부직포의 표면전하가 10mV 미만이면, 바이러스 흡착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0mV를 초과하여도 바이러스 흡착능은 유사하나 공정시 높은 표면전하를 나타내기 위한 반응시간 및 농도 증가에 의한 생산비용 증가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면전하는 Anton Parr 사의 Surpass 모델을 사용하여 흐름전위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된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할 수 있는데,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상기 수학식 1에서, ζ: 제타전위(mV), U : 흐름전위(streaming potential, p:압력(pressure), η: 전해질 점도, ε: 전해질의 기본유전율, ε0 : 전해질의 유전체상수, Kb : 전해질의 전기전도도
다음 폴리술폰계 분리막(301)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술폰계 분리막은 박테리아 및 세균 등을 제거하는 역할 및 마이크로 크기를 가지를 입자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0.2 ~ 20㎛의 미생물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술폰계 분리막은 통상적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폴리술폰계 분리막일 수 있으며, 그 제조방법 역시 통상적으로 당업자들이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무관하다. 그리고 폴리술폰계 분리막의 두께는 100 ~ 180㎛, 바람직하게는 110 ~ 170㎛일 수 있다. 이때, 폴리술폰계 분리막의 두께가 평균두께가 100㎛ 미만이면, 사용주기 감소한 문제가 있으며, 평균두께가 180㎛를 초과하면, 차압발생에 의한 효율 감소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분리막의 종류는 대칭막, 비대칭막, 약대칭막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평막 또는 중공사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술폰계 분리막은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알릴에테르술폰, 폴리페닐설폰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폴리술폰계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및 폴리알릴에테르술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폴리술폰계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술폰계 분리막은 평균공경이 0.1㎛ ~ 1㎛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 0.7㎛일 수 있다. 이때, 평균공경이 0.1㎛ 미만이면, 유량 감소한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를 초과하면, 박테리아 및 세균 등을 제거성능이 미흡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폴리술폰계 분리막은 통상적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폴리술폰계 분리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방법대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풀리술폰계 분리막은 지지체 상에, 폴리술폰계 중합체, 친수성 공경조절제 및 잔량의 용매로 이루어진 고분자용액을 캐스팅하여 막을 형성하는 제1공정; 상기 형성된 막에 온도 20℃ ~ 60℃ 및 습도 30% ~ 99%로 유지된 공기분사에 의해 막의 상층부에 공경(또는 기공)을 형성하는 제2공정; 및 상기 제 2공정 이후, 응고조에 침지하여 상기 지지체로부터 막을 박리시키는 제3공정;을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1공정에 사용되는 지지체는 금속소재 또는 폴리에틸렌 프탈레이트 필름이며, 상기 금속소재 특성상, 그 표면온도는 5℃ ~ 30℃일 수 있고, 지지체의 바람직한 일례로는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구리, 알루미늄합금 또는 구리합금 폴리에틸렌 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분자용액은 폴리술폰계 중합체 8 ~ 40중량%, 친수성 공경 조절제 10 ~ 20중량% 및 잔량의 용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용액의 친수성 공경조절제는 내부 공경(또는 기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친수성 공경조절제는 용매와 잘 혼합되는 것이라면 사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량평균분자량 10,000 ~ 100,000의 범위를 가지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친수성 공경조절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N-메틸-2-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및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사용되며, 이때, 용매의 함량은 전체 100 중량%에서 상기 조성함량을 제외한 잔량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용액에는 에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글리콜류; 에탄올 및 메탄올을 포함하는 알코올류; 및 아세톤을 포함하는 케톤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친수성 첨가제를 더 혼합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공정은 형성된 막에 공경(또는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제2공정에서 형성되는 막 상층부의 평균공경크기는 0.01 ㎛~ 0.50 ㎛ 직경이며, 상기 상층부를 제외한 막의 하층부의 평균공경크기가 0.45 ㎛ ~ 20 ㎛ 직경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층부에 공경을 형성하는 조건은 공기분사온도 20 ~ 60? 및 습도 30% ~ 99%로 유지된 조건하에서 0.01 ~ 5 m/min의 속도로 공기분사를 수행하여 공경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공기 노출시간은 5초 ~ 1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는데, 만약 상기 공기분사속도가 0.01 m/min 미만이면, 공정 컨트롤의 문제가 있고, 5 m/min를 초과하는 속도로 수행되면, 막 표면에 흠집을 발생하여 공경 형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공기분사시의 공기 노출시간이 5초 미만이면, 표면의 공경 형성이 미흡하므로, 응고시키기 위한 체류시간을 충분하게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기노출시간이 10분을 초과하면, 막의 외관이 좋지 않아져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공기분사에 의해 형성되는 폴리술폰계 분리막 상층부의 공경크기는 0.01㎛ ~ 0.5㎛이며, 폴리술폰계 분리막 하층부의 공경크기 0.45㎛ ~ 20㎛일 수 있으며, 하층부의 공경형성은 지지체 상에 고분자용액을 캐스팅할 때, 지지지체와 고분자용액간의 온도차에 의해 공경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체는 금속소재의 특성상 그 표면온도가 5℃ ~ 30℃이며, 이때, 지지체의 온도가 5℃ 미만으로 지나치게 낮으면, 접촉하는 고분자용액간의 온도차가 커져 균일한 도포가 어려워 막형성이 어려울 수 있으며, 반면에 30℃로 높게 유지되면, 고분자용액간의 온도차가 작아져 열유도상전이법에 의한 공경의 구조를 조절하기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 상에 캐스팅되는 고분자용액의 온도는 상기 지지체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유지하되, 바람직하게는 10℃ ~ 40℃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폴리술폰계 분리막 제조방법에 의해 상층부의 공경크기는 0.01㎛ ~ 0.50㎛이고, 하층부의 공경크기가 0.45㎛ ~ 20㎛인 비대칭구조의 폴리술폰계 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 ~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는 폴리술폰계 분리막의 일면에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단층 또는 다층으로 적층시켜서 제조할 수 있으며, 또는 항바이러스 부직포 일면에 폴리술폰계 분리막을 적층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적층시키는 방법으로는 통상적으로 사용가능한 방법으로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크로스 적층(수평 적층) 및 버티컬적층(수직 적층)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항바이러스 부직포는 단층 또는 다층으로 적층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다층 적층시키는 방법도 통상적으로 사용가능한 방법으로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크로스 적층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적층 후에는 압축하는 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는 전체 평균수투과량이 20 ~ 80 ㎖/cm2·min·bar로 높은 수투과량을 갖으면서도, 박테리아 제거성능이 7log 이상 및 바이러스 제거성 능2log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5log 이상 및 바이러스 제거성능 2.5log 이상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log 이상 및 바이러스 제거성능 3.0log 이상일 수 있다.
이는 종래의 필터 카트리지는 박테리아만 제거가 가능하거나, 바이러스만을 제거가 가능한 필터 카트리지로써, 나노사이즈인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을 동시에 제거할 수 없었으며, 또한, 동일한 유량에서 종래의 기술의 필터 카트리지로는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를 제거하더라도 제거능에서 박테리아 제거성능 7log 이상 및 바이러스 제거성능 2log 이상을 동시에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는 평균수과량도 20 ㎖/cm2·min·bar 이상을, 바람직하게는 20 ~ 80 ㎖/cm2·min·bar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80 ㎖/cm2·min·bar을 갖을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적정 유량을 유지함으로써, 사용수명도 증가하게 할 뿐만 아니라,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는 비저장 직수형 필터의 필터 카트리지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특히, 제약용 비저장 직수형 필터 또는 가정용 비저장 직수형 정수기 필터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 실시예 ]
실시예 1 : 항바이러스 부직포의 제조
디메틸렌아세트아마이드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4.5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이민 4.5 중량부를 혼합한 후, 25℃에서 30분간 교반하여 제조한 용액을 메탄올 용액에 20%로 희석하여 전체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0.9 중량부 및 상기 폴리에틸렌이민 0.9 중량부를 포함하는 양전하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평균공경 6㎛, 섬도 3㎛ 및 평균두께 703㎛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상기 양전하 코팅제에 25℃에서 12시간 침적시킨 후, 이를 꺼내서, 80℃에서 6시간 동안 열 가교를 실시하여 부직포의 내부 및 표면에 평균두께 1㎛의 양전하 코팅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양전하 코팅제로 침전, 열가교처리 전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SEM 측정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고, 열가교 처리 후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SEM 측정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과 도 2를 비교해보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내부 섬유에 양전하 코팅층이 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침전 시간을 30초 동안만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열가교 온도 및 시간을 100℃에서 5분간 열 가교를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전체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0.9 중량부 및 상기 폴리에틸렌이민 0.9 중량부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전체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0.9 중량부 및 상기 폴리에틸렌이민 1.8 중량부를 포함하는 양전하 코팅제를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전체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0.9 중량부 및 상기 폴리에틸렌이민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양전하 코팅제를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전체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0.9 중량부 및 상기 폴리에틸렌이민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양전하 코팅제를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전체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0.9 중량부 및 상기 디페닐아민 0.9 중량부를 포함하는 양전하 코팅제를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평균공경 15㎛, 섬도 7㎛ 및 평균두께 653㎛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사용하여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코팅 용액을 메탄올 용액에 희석하지 않고 이를 이용한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제조하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서, 평균공경 50㎛, 섬도 15㎛ 및 평균두께 996㎛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열가교 온도 및 시간을 50℃에서 6 시간 동안 열가교를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열가교 온도 및 시간을 145℃에서 2 시간 동안 열가교를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전체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0.9 중량부 및 상기 폴리에틸렌이민 0.3 중량부를 포함하는 양전하 코팅제를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전체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0.9 중량부 및 상기 폴리에틸렌이민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양전하 코팅제를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 10, 비교예 1 ~ 5 에서 제조된 다공성 복합여재의 기본 물성을 파악하기 위해 분리막 기공 평가기(Maker:PMI, model: CFP-1200-AE) 기기를 사용하여 평균공경을 측정하였고, 평막 평가기((주)웅진케미칼 제작)를 이용하여 직경이 90mm인 샘플 홀더를 통해 일정한 압력(1bar)으로 단위면적 및 분당 유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평막 평가기((주)웅진케미칼 제작)-직경이 90mm인 샘플 홀더를 통해 1bar의 정압에서 PFU/㎖(PFU: plaque formingunits)단위로 8×105/㎖로 희석한 바이러스(MS2 phage) 용액을 투과시켜 미생물 제거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당량비
(에폭시 : PEI)
부직포
평균
두께(㎛)
여재
평균공경
(㎛)
침전
온도
(℃)
침전
시간
열가교
온도
(℃)
열가교
시간
평균수투과량
(㎖/cm2·min·bar)
표면전하
(mV)
바이러스
제거성능(log)
실시예 1 1:2 703 6 25 12시간 80 6시간 73 35 4.7
실시예 2 1:2 701 6 25 30초 80 6시간 70 30 3.5
실시예 3 1:2 704 6 25 12시간 100 5 분 68 30 2.6
실시예 4 1:2 702 6 25 12시간 80 6시간 62 28 3.8
실시예 5 1:4 702 6 25 12시간 80 6시간 75 36 4.9
실시예 6 1:8 702 6 25 12시간 80 6시간 74 42 5.1
실시예 7 1:1 699 6 25 12시간 80 6시간 79 23 3.0
실시예 8 1:1 708 6 25 12시간 80 6시간 58 26 3.4
실시예 9 1:2 653 15 25 12시간 100 5 분 69 35 4.4
실시예 10 1:2 695 6 25 12시간 80 6시간 65 33 4.5
비교예 1 1:2 996 50 25 12시간 80 6시간 92 25 1.0
비교예 2 1:2 702 6 25 12시간 50 6시간 53 5 0.6
비교예 3 1:2 730 6 25 12시간 145 2시간 19 37 4.9
비교예 4 1:0.3 704 6 25 12시간 50 6시간 33 7 1.4
비교예 5 1:11 703 6 25 12시간 50 6시간 38 27 1.6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 실시예 10의 항바이러스 부직포의 바이러스 제거 성능은 항바이러스 부직포 제조조건에 따라 2.0log 이상, 바람직하게는 2.6 ~ 4.7log로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평균수투과량 또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평균공경이 30㎛ 초과한 부직포를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 평균수투과량은 우수하나, 바이러스 제거성능이 미흡한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열가교 온도가 60℃ 미만이었던 비교예 2의 경우, 항바이러스 성능이 저조했는데, 이는 양전하 코팅제 성분이 부직포에 잘 가교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열가교 온도가 130℃를 초과한 비교예 3의 경우, 바이러스 제거성능이 매우 우수했으나, 평균수투과량이 크게 떨어졌는데, 이는 부직포의 공경이 열변형이 일어나서 공경이 작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다관능성 아민 화합물을 가교제 1 당량비에 대하여 0.5 당량비 미만으로 사용한 비교예 4의 경우, 바이러스 제거성능은 크게 감소하여 그 기능을 잃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관능성 아민 화합물을 가교제 1 당량비에 대하여 10 당량비를 초과하여 사용한 비교예 5의 경우, 실시예 6과 비교할 때 더이상의 바이러스 제거성능 향상이 없었으며, 오히려 평균수투과량이 감소하는 문제를 보였으며, 바이러스 제거성능도 감소했는데, 이는 미반응물이 용출되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제조예 1 :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항바이러스 부직포의 일면에 평균공경 0.2㎛ 영역대 및 평균두께 125㎛의 폴리술폰막(웅진케미칼사 제품)을 적층하여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를 제조하되, 평균공경 0.45㎛ 영역대 및 및 평균두께 125㎛의 폴리술폰막(웅진케미칼사 제품)을 사용하여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르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를 제조하되, 도 4와 같은 형태인 2층으로 적층된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사용하여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를 제조하되, 도 5와 같은 형태인 3층으로 적층된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사용하여 양전하 필터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를 제조하되, 평균공경 0.90㎛ 영역대 및 및 평균두께 125㎛의 폴리술폰막(웅진케미칼사 제품)을 사용하여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르 제조하였다.
제조예 6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를 제조하되, 평균공경 0.2㎛ 영역대 및 평균두께 145㎛의 폴리술폰막(웅진케미칼사 제품)을 사용하여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르 제조하였다.
비교제조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항바이러스 부직포만으로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로 사용하였다.
비교제조예 2
평균공경 0.2㎛ 영역대 및 평균두께 125㎛의 폴리술폰막(웅진케미칼사 제품)만을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로 사용하였다.
비교제조예 3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를 제조하되, 평균공경 1.2 ㎛ 영역대 및 평균두께 120㎛의 폴리술폰막(웅진케미칼사 제품)을 사용하여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제조예 4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를 제조하되, 평균공경 0.2 ㎛ 영역대 및 평균두께 190㎛의 폴리술폰막(웅진케미칼사 제품)을 사용하여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2
상기 제조예 1 ~ 6, 비교제조예 1 ~ 4 에서 제조된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의 기본 물성을 파악하기 위해 분리막 기공 평가기(Maker:PMI, model: CFP-1200-AE) 기기를 사용하여 평균공경을 측정하였고, 평막 평가기((주)웅진케미칼 제작)를 이용하여 직경이 90mm인 샘플 홀더를 통해 일정한 압력(1bar)으로 단위면적 및 분당 유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평막 평가기((주)웅진케미칼 제작)을 이용하여 직경이 90mm인 샘플 홀더를 통해 1bar의 정압에서 CFU/㎖(CFU: colony-forming units)단위로 8.2×107/㎖로 희석한 박테리아(Pseudomonasdiminuta) 용액을 투과시켜 미생물 제거성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평막 평가기((주)웅진케미칼 제작)-직경이 90mm인 샘플 홀더를 통해 1bar의 정압에서 PFU/㎖(PFU: plaque formingunits)단위로 8×105/㎖로 희석한 바이러스(MS2 phage) 용액을 투과시켜 미생물 제거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폴리술폰막
평균
두께(㎛)
폴리술폰막
평균공경(㎛)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의
평균수투과량
(㎖/cm2·min·bar)
바이러스
제거성능
(log)
박테리아
제거성능
(log)
제조예 1 125 0.2 36 4.7 9.3
제조예 2 125 0.45 47 4.5 9.1
제조예 3 125 0.2 32 5.0 9.1
제조예 4 125 0.2 64 5.3 9.2
제조예 5 125 0.90 34 2.7 7.5
제조예 6 145 0.2 73 4.8 9.5
비교제조예 1 - - 61 4.5 0.3
비교제조예 2 125 0.2 54 0.1 8.9
비교제조예 3 120 1.2 19 4.5 5.8
비교제조예 4 190 0.2 28 4.8 9.8
상기 표 2의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제조에 1 ~ 제조예 6의 경우, 바이러스 제거성능이 2log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2.5log ~ 5.0log로 매우 우수했으며, 박테리아 제거성능 또한 7log 이상, 바람직하게는 7.5log 이상으로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평균수과량도 20㎖/cm2·min·bar 이상으로 적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폴리술폰막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제조예 1의 경우, 박테리아 제거효과가 거의 없었으며,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제조예 2의 경우, 바이러스 제거 효과가 거의 없었다.
평균공경이 1㎛를 초과한 폴리술폰막을 사용한 비교제조예 3의 경우, 제조예 1과 비교할 때, 박테리아 제거성능이 크게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평균두께가 190㎛를 초과한 폴리술폰막을 사용한 비교제조예 4의 경우, 제조예 1 및 제조예 6와 비교해 보면, 박테리아 제거성능이 상승했으나, 평균수투과량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가 우수한 수투과량, 바이러스 제거성능 및 박테이라 제거성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발명의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는 기존의 유기섬유 기반의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필터 카트리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필터 카트리지는 다양한 직수형 필터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바람직하게는 비저장형 직수형 필터로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약용 비저장형 직수형 필터 등에 적용시킬 수 있다.
300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 301 : 폴리술폰계 분리막
302 : 항바이러스 부직포

Claims (16)

  1. 항바이러스 부직포 및 폴리술폰계 분리막을 포함하며,
    필터링(filtering) 방향으로 상기 항바이러스 부직포의 일면에 상기 폴리술폰계 분리막이 적층되고,
    상기 항바이러스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및 셀룰로오스 섬유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의 내부 및 표면에 양전하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카트리지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하 코팅층은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 수소첨가된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수소첨가된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 난연성 에폭시(brominated epoxy) 수지 및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가교제; 및
    폴리에틸렌이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피페라진, 디메틸렌피페라진 및 디페닐아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다관능성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카트리지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 및 다관능성 아민 화합물를 1 : 0.5 ~ 10 당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카트리지 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평균섬도가 0.5 ~ 10㎛ 및 평균공경 1 ~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카트리지 필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평균두께 0.1 ~ 2㎜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카트리지 필터.
  6. 제 1항에 있어서, 항바이러스 부직포는 표면전하가 10 ~ 50 mV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카트리지 필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술폰계 분리막은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알릴에테르술폰, 폴리페닐설폰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폴리술폰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카트리지 필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술폰계 분리막은
    평균공경이 0.1 ~ 1㎛ 및 평균두께 100 ~ 1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카트리지 필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균수투과량이 20 ~ 80 ㎖/cm2·min·b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카트리지 필터.
  10. 제9항에 있어서,
    바이러스 제거성능이 2 log 이상이고, 박테리아 제거성능이 7 lo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카트리지 필터.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양전하 카트리지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저장형 직수형 필터.
  12. 폴리술폰계 분리막의 일면에 항바이러스 부직포를 단층 또는 다층으로 적층 및 합지시켜서 제조하며,
    상기 항바이러스 부직포는 양전하 코팅제에 부직포를 침전시켜서 부직포에 양전하 코팅제를 코팅시키는 단계; 및 양전하 코팅제가 코팅된 부직포를 열가교시켜서 양전하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카트리지 필터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하 코팅제는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아세톤 및 메탄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용매;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 수소첨가된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수소첨가된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 난연성 에폭시(brominated epoxy) 수지 및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가교제; 및
    폴리에틸렌이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피페라진, 디메틸렌피페라진 및 디페닐아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다관능성 아민 화합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카트리지 필터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은 15℃ ~ 40℃에서 5초 ~ 15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카트리지 필터의 제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교는 60℃ ~ 130℃ 하에서, 15초 ~ 8시간 동안 건조 및 가교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카트리지 필터의 제조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시키는 단계의 침전 전의 부직포는 코로나, 플라즈마, 하이드로차징(hydro-charging), 스퍼터, 프라이머, 화염처리 및 산처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방법으로 부직포의 내부 및 표면을 전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카트리지 필터의 제조방법.
KR1020130169204A 2013-12-31 2013-12-31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1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204A KR101611676B1 (ko) 2013-12-31 2013-12-31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204A KR101611676B1 (ko) 2013-12-31 2013-12-31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160A true KR20150079160A (ko) 2015-07-08
KR101611676B1 KR101611676B1 (ko) 2016-04-11

Family

ID=53791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204A KR101611676B1 (ko) 2013-12-31 2013-12-31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67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04010A1 (fr) * 2006-07-19 2008-01-25 Univ Rouen Filtre antiviral et son utilisation dans un purificateur d'air , climatiseur ou humidificateur
WO2008098185A1 (en) * 2007-02-09 2008-08-14 Donaldson Company, Inc. Combination filter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1676B1 (ko) 201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hid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polymeric nano-composite membranes for water treatment
KR101642608B1 (ko)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필터용 여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72660B1 (ko) 나노섬유웹층을 포함하는 역삼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487575B1 (ko) 내오염성이 우수한 역삼투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2211659B1 (ko) 항바이러스 및 제균이 우수한 필터 카트리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53794B1 (ko) 보론제거능이 우수한 역삼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972172B1 (ko) 고기능성 역삼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2141265B1 (ko) 수처리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7859B1 (ko) 나노입자 함유 이중층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0533A (ko) 다기능성 다공성 분리막, 이의 제조방법 및 ro 전처리 필터
KR101599112B1 (ko) 항바이러스 여재용 양전하 코팅제, 항바이러스 여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79213A (ko) 내압성이 우수한 역삼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2609B1 (ko) 정수기용 카트리지 필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카트리지
KR101765130B1 (ko) 항바이러스 여재용 양전하 코팅제, 항바이러스 여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6343470B2 (ja) Nf膜の製造方法
KR101944118B1 (ko) 내오염 성능이 우수한 역삼투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790174B1 (ko) Pva 코팅된 중공사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1675B1 (ko)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1676B1 (ko) 양전하 필터 카트리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37446B1 (ko) 다공성 복합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
KR20200013892A (ko) 내오염성 역삼투 분리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내오염성 역삼투 모듈
KR20180038695A (ko) 직수타입 정수기용 양전하 미디어,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직수타입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
KR101797556B1 (ko) 항바이러스 여재용 양전하 코팅제, 항바이러스 여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81544A (ko) 비대칭성 코팅막을 포함하는 기능성 양전하 미디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3414B1 (ko) 내오염성이 우수한 폴리아마이드계 역삼투 분리막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