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8819A - 창호용 단열구조 - Google Patents

창호용 단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8819A
KR20150078819A KR1020130168561A KR20130168561A KR20150078819A KR 20150078819 A KR20150078819 A KR 20150078819A KR 1020130168561 A KR1020130168561 A KR 1020130168561A KR 20130168561 A KR20130168561 A KR 20130168561A KR 20150078819 A KR20150078819 A KR 20150078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window frame
pai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9052B1 (ko
Inventor
김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다
김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다, 김순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다
Priority to KR1020130168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052B1/ko
Publication of KR20150078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창호용 단열구조는,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가, 한쌍의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와 이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1체결훅 및 제2체결훅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로 이루어지며, 제1체결훅 및 제2체결훅이 체결되면 한쌍의 제1체결부 및 한쌍의 제2체결부 사이에 보조단열재 설치용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를 마주보도록 한 후 이들 사이에 보조단열재를 위치시키고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를 서로 밀착시키면 제1단열재의 제1체결훅과 제2단열재의 제2체결훅이 서로 체결되며, 이에 따라 제1단열재, 보조단열재, 제2단열재가 결합된다. 그러므로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를 밀어 끼우는 간편한 작업으로 제1단열재, 제2단열재, 보조단열재가 일체화되므로 창문틀단열부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다. 그리고,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 사이에 보조단열재가 더 구비되므로 제1창문틀 및 제2창문틀 사이의 단열효과가 증대된다.

Description

창호용 단열구조{Heat insulated structure for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창호용 단열재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제 1단열재 및 제2단열재를 밀어 끼우는 간편한 작업으로 제1단열재, 제2단열재, 보조단열재가 일체화되므로 창문틀단열부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의 양단을 제1결합홈 및 제2결합홈에 끼운 후 제1누름돌부들 및 제2누름돌부들을 압착시키는 작업으로 제1창문틀 및 제2창문틀 사이에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를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보조단열재의 둘레에 한쌍의 제1체결부 및 한쌍의 제2체결부를 끼우면 제1요철들 및 제2요철들이 보조단열재의 대응면에 접촉되면서 마찰력이 증대되는 창호용 단열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물의 고급화 및 기능성을 갖는 창호로서, 거실의 분합문이나 발코니창 등의 비교적 대형 창호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올림미닫이 방식의 시스템 창호, 그리고 방범 기능을 갖는 방범 창호, 자동문 등 여러가지 형태의 창호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각종 건축물에서 사용되는 창호들은 출입문 및 창문, 이 출입문 및 창문이 슬라이딩 계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호틀 등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이들 창호들은 외기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갖는 내후성을 비롯하여, 내구성 및 유리의 하중을 견디기 위한 높은 기계적 성질, 단열성을 만족하여야 한다.
창문은 보통 유리창(또는 철제창)과 유리창의 둘레를 지지하는 창문틀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구성의 창문은 벽체에 설치된 창문틀프레임에 개폐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창호는 창문의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창문틀에 유리창을 이중으로 설치한 이중단열창을 구비한다.
그런데 종래의 창호는 이중단열창에 의해 단열 효과가 어느 정도 향상되기는 하나, 금속재의 창문틀에 의해 외부의 열기나 냉기가 실내로 전도되는 것은 마찬가지이며, 이에 따라 열전도에 의한 열손실이 여전히 발생되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70213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를 밀어 끼우는 간편한 작업으로 제1단열재, 제2단열재, 보조단열재가 일체화되므로 창문틀단열부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도록 한 창호용 단열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의 양단을 제1결합홈 및 제2결합홈에 끼운 후 제1누름돌부들 및 제2누름돌부들을 압착시키는 작업으로 제1창문틀 및 제2창문틀 사이에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창호용 단열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조단열재의 둘레에 한쌍의 제1체결부 및 한쌍의 제2체결부를 끼우면 제1요철들 및 제2요철들이 보조단열재의 대응면에 접촉되면서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한 창호용 단열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제1연장부의 제1체결훅 및 제2연장부의 제2체결훅 없이도 제1단열재, 제2단열재, 보조단열재를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창호용 단열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호용 단열구조는, 유리창이나 철제창 등의 창을 지지하는 창문틀과, 창문틀에 설치되어서 창문틀을 통해 실외에서 실내측으로 전도되는 냉기 및 열기를 차단하는 창문틀단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창문틀은, 창문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분된 실외측의 제1창문틀과 실내측의 제2창문틀로 이루어지며; 창문틀단열부는, 양단이 제1창문틀 및 제2창문틀에 각각 결합되어서 제1창문틀 및 제2창문틀이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고 제1창문틀에서 제2창문틀로의 열전달을 차단시키는 제1단열재와, 제1단열재와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양단이 제1창문틀 및 제2창문틀에 각각 결합되어서 제1창문틀 및 제2창문틀이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며 제1창문틀에서 제2창문틀로의 열전달을 차단시키는 제2단열재와,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 사이에 구비되어서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를 지지하고, 제1창문틀에서 제2창문틀 측으로의 열전달을 차단시키는 보조단열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창호용 단열구조의 다른 특징은, 제1창문틀은, 제1창문틀에 돌출되어 있고 제1단열재의 일단 및 제2단열재의 일단 사이에 구비되어서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의 대응 내측 부위를 지지하는 제1지지돌부와, 제1지지돌부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있고 제1단열재의 일단 및 제2단열재의 일단에 체결되는 한쌍의 제1누름돌부와, 제1지지돌부 및 제1누름돌부 사이에 형성되어서 제1단열재의 일단 및 제2단열재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1결합홈으로 이루어지고; 제2창문틀은, 제2창문틀에 돌출되어 있고 제1단열재의 타단 및 제2단열재의 타단 사이에 구비되어서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의 대응 내측 부위를 지지하는 제2지지돌부와, 제2지지돌부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있고 제1단열재의 타단 및 제2단열재의 타단에 체결되는 한쌍의 제2누름돌부와, 제2지지돌부 및 제2누름돌부 사이에 형성되어서 제1단열재의 타단 및 제2단열재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2결합홈으로 이루어지며; 제1단열재의 양단 및 제2단열재의 양단이 제1결합홈 및 제2결합홈에 각각 삽입되면 한쌍의 제1누름돌부들 및 한쌍의 제2누름돌부들을 롤러로 눌러서 제1단열재의 양단 및 제2단열재의 양단이 제1결합홈 및 제2결합홈에 맞물리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창호용 단열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제1단열재는, 제1창문틀의 제1결합홈 및 제2창문틀의 제2결합홈에 각각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제1결합돌부들이 형성되고, 제2단열재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한쌍의 제1연장부와 이 제1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1체결훅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제1체결부로 이루어지며; 제2단열재는, 제1창문틀의 제1결합홈 및 제2창문틀의 제2결합홈에 각각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제2결합돌부들이 형성되고, 제1단열재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한쌍의 제2연장부와 이 제2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어서 제1체결훅에 착탈되는 제2체결훅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제2체결부로 이루어지며; 제1체결훅 및 제2체결훅이 체결되면 한쌍의 제1체결부 및 한쌍의 제2체결부 사이에 보조단열재 설치용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창호용 단열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제1단열재는, 제1창문틀의 제1결합홈 및 제2창문틀의 제2결합홈에 각각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제1결합돌부들이 형성되고, 제2단열재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한쌍의 제1연장부와 이 제1연장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서 보조단열재와의 접촉저항이 증대되도록 제1요철들이 형성된 한쌍의 제1체결부로 이루어지며; 제2단열재는, 제1창문틀의 제1결합홈 및 제2창문틀의 제2결합홈에 각각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제2결합돌부들이 형성되고, 제1단열재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한쌍의 제2연장부와 이 제2연장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서 보조단열재와의 접촉저항이 증대되도록 제2요철들이 형성된 한쌍의 제2체결부로 이루어지며; 보조단열재의 둘레에 한쌍의 제1체결부 및 한쌍의 제2체결부를 끼우면 제1요철들 및 제2요철들이 보조단열재의 대응면에 접촉되면서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창호용 단열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제1단열재는, 제1창문틀의 제1결합홈 및 제2창문틀의 제2결합홈에 각각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제1결합돌부들이 형성되어 있고, 제2단열재는, 제1창문틀의 제1결합홈 및 제2창문틀의 제2결합홈에 각각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제2결합돌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단열재, 제2단열재 및 보조단열재 사이에는 접착재 또는 접착테이프가 도포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가, 한쌍의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와 이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1체결훅 및 제2체결훅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로 이루어지며, 제1체결훅 및 제2체결훅이 체결되면 한쌍의 제1체결부 및 한쌍의 제2체결부 사이에 보조단열재 설치용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를 마주보도록 한 후 이들 사이에 보조단열재를 위치시키고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를 서로 밀착시키면 제1단열재의 제1체결훅과 제2단열재의 제2체결훅이 서로 체결되며, 이에 따라 제1단열재, 보조단열재, 제2단열재가 결합된다. 그러므로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를 밀어 끼우는 간편한 작업으로 제1단열재, 제2단열재, 보조단열재가 일체화되므로 창문틀단열부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다. 그리고,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 사이에 보조단열재가 더 구비되므로 제1창문틀 및 제2창문틀 사이의 단열효과가 증대된다.
본 발명의 제1창문틀 및 제2창문틀은, 제1지지돌부 및 제2지지돌부와, 제1지지돌부 및 제2지지돌부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있고 제1단열재의 양단 및 제2단열재의 양단에 체결되는 한쌍의 제1누름돌부 및 한쌍의 제2누름돌부와, 제1지지돌부, 제1누름돌부 사이 및 제2지지돌부, 제2누름돌부 사이에 형성되어서 제1단열재의 양단 및 제2단열재의 양단이 결합되는 제1결합홈 및 제2결합홈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단열재의 양단 및 제2단열재의 양단이 제1결합홈 및 제2결합홈에 각각 삽입되면 한쌍의 제1누름돌부들 및 한쌍의 제2누름돌부들을 롤러로 눌러서 제1단열재의 양단 및 제2단열재의 양단이 제1결합홈 및 제2결합홈에 맞물리도록 한다. 그러므로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의 양단을 제1결합홈 및 제2결합홈에 끼운 후 제1누름돌부들 및 제2누름돌부들을 압착시키는 작업으로 제1창문틀 및 제2창문틀 사이에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는, 한쌍의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와, 이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서 보조단열재와의 접촉저항이 증대되도록 제1요철들 및 제2요철들이 형성된 한쌍의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단열재의 둘레에 한쌍의 제1체결부 및 한쌍의 제2체결부를 끼우면 제1요철들 및 제2요철들이 보조단열재의 대응면에 접촉되면서 마찰력이 증대되며, 이에 따라 제1단열재, 제2단열재 및 보조단열재 사이의 체결력이 극대화된다.
본 발명의 제1단열재, 제2단열재 및 보조단열재 사이에는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 역할을 수행하는 접착재 또는 접착테이프가 도포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단열재에 도포된 접착재 또는 접착테이프로부터 이형지를 떼어낸 후 접착재 또는 접착테이프의 접착면에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를 부착시키면 제1단열재, 제2단열재, 보조단열재가 접착재 또는 접착테이프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따라서 별도의 제1연장부의 제1체결훅 및 제2연장부의 제2체결훅 없이도 제1단열재, 제2단열재, 보조단열재를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창호용 단열구조를 보인 사용상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발췌한 부분 확대 결합 단면도 및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창호용 단열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결합 단면도 및 분리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창호용 단열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결합 단면도 및 분리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창호용 단열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결합 단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창호용 단열구조를 보인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발췌한 부분 확대 결합 단면도 및 분리 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창문(10)은 유리창(20)이나 철제창 등의 창을 지지하는 창문틀(30)과, 창문틀(30)에 설치되어서 창문틀(30)을 통해 실외에서 실내측으로 전도되는 냉기 및 열기를 차단하는 창문틀단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창문틀(30)은, 창문틀(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분된 실외측의 제1창문틀(31)과 실내측의 제2창문틀(35)로 이루어진다.
제1창문틀(31)은, 제1창문틀(31)에 돌출되어 있고 제1단열재(41)의 일단 및 제2단열재(46)의 일단 사이에 구비되어서 제1단열재(41) 및 제2단열재(46)의 대응 내측 부위를 지지하는 제1지지돌부(32)와, 제1지지돌부(32)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있고 제1단열재(41)의 일단 및 제2단열재(46)의 일단에 체결되는 한쌍의 제1누름돌부(33)와, 제1지지돌부(32) 및 제1누름돌부(33) 사이에 형성되어서 제1단열재(41)의 일단 및 제2단열재(46)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1결합홈(34)으로 이루어진다.
제2창문틀(35)은, 제2창문틀(35)에 돌출되어 있고 제1단열재(41)의 타단 및 제2단열재(46)의 타단 사이에 구비되어서 제1단열재(41) 및 제2단열재(46)의 대응 내측 부위를 지지하는 제2지지돌부(36)와, 제2지지돌부(36)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있고 제1단열재(41)의 타단 및 제2단열재(46)의 타단에 체결되는 한쌍의 제2누름돌부(37)와, 제2지지돌부(36) 및 제2누름돌부(37) 사이에 형성되어서 제1단열재(41)의 타단 및 제2단열재(46)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2결합홈(38)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1단열재(41)의 양단 및 제2단열재(46)의 양단이 제1결합홈(34) 및 제2결합홈(38)에 각각 삽입되면 한쌍의 제1누름돌부(33)들 및 한쌍의 제2누름돌부(37)들을 롤러로 눌러서 제1단열재(41)의 양단 및 제2단열재(46)의 양단이 제1결합홈(34) 및 제2결합홈(38)에 맞물리도록 구비된다.
창문틀단열부(40)는, 제1단열재(41), 제2단열재(46), 보조단열재(51)로 이루어진다.
제1단열재(41)는, 양단이 제1창문틀(31) 및 제2창문틀(35)에 각각 결합되어서 제1창문틀(31) 및 제2창문틀(35)이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고 제1창문틀(31)에서 제2창문틀(35)으로 열전달을 차단시킨다.
제2단열재(46)는, 제1단열재(41)와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양단이 제1창문틀(31) 및 제2창문틀(35)에 각각 결합되어서 제1창문틀(31) 및 제2창문틀(35)이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며 제1창문틀(31)에서 제2창문틀(35)으로 열전달을 차단시킨다.
보조단열재(51)는, 제1단열재(41) 및 제2단열재(46) 사이에 구비되어서 제1단열재(41) 및 제2단열재(46)를 지지하고, 제1창문틀(31)에서 제2창문틀(35) 측으로의 열전달을 차단시킨다.
여기서, 제1단열재(41)는, 제1창문틀(31)의 제1결합홈(34) 및 제2창문틀(35)의 제2결합홈(38)에 각각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제1결합돌부(42)들이 형성되고, 제2단열재(46)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한쌍의 제1연장부(44)와 이 제1연장부(44)의 단부에 형성된 제1체결훅(45)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제1체결부(43)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2단열재(46)는 제1창문틀(31)의 제1결합홈(34) 및 제2창문틀(35)의 제2결합홈(38)에 각각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제2결합돌부(47)들이 형성되고, 제1단열재(41)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한쌍의 제2연장부(49)와 이 제2연장부(49)의 단부에 형성되어서 제1체결훅(45)에 착탈되는 제2체결훅(50)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제2체결부(48)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체결훅(45) 및 제2체결훅(50)이 체결되면 한쌍의 제1체결부(43) 및 한쌍의 제2체결부(48) 사이에 보조단열재(51) 설치용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창호용 단열구조는, 제1단열재(41) 및 제2단열재(46)를 마주보도록 한 후 이들 사이에 보조단열재(51)를 위치시키고 제1단열재(41) 및 제2단열재(46)를 서로 밀착시키면 제1단열재(41)의 제1체결훅(45)과 제2단열재(46)의 제2체결훅(50)이 서로 체결되며, 이에 따라 제1단열재(41), 보조단열재(51), 제2단열재(46)가 결합된다.
또한, 제1단열재(41)의 양단 및 제2단열재(46)의 양단이 제1결합홈(34) 및 제2결합홈(38)에 각각 삽입되면 한쌍의 제1누름돌부(33)들 및 한쌍의 제2누름돌부(37)들을 롤러로 눌러서 제1단열재(41)의 양단 및 제2단열재(46)의 양단이 제1결합홈(34) 및 제2결합홈(38)에 맞물리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창호용 단열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결합 단면도 및 분리 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1단열재(41)가 제1창문틀(31)의 제1결합홈(34) 및 제2창문틀(35)의 제2결합홈(38)에 각각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제1결합돌부(42)들이 형성되고, 제2단열재(46)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한쌍의 제1연장부(44)와 이 제1연장부(44)의 내측면에 형성되어서 보조단열재(51)와의 접촉저항이 증대되도록 제1요철(52)들이 형성된 한쌍의 제1체결부(43)로 이루어진다.
제2단열재(46)는, 제1창문틀(31)의 제1결합홈(34) 및 제2창문틀(35)의 제2결합홈(38)에 각각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제2결합돌부(47)들이 형성되고, 제1단열재(41)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한쌍의 제2연장부(49)와 이 제2연장부(49)의 내측면에 형성되어서 보조단열재(51)와의 접촉저항이 증대되도록 제2요철(53)들이 형성된 한쌍의 제2체결부(48)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보조단열재(51)의 둘레에 한쌍의 제1체결부(43) 및 한쌍의 제2체결부(48)를 끼우면 제1요철(52)들 및 제2요철(53)들이 보조단열재(51)의 대응면에 접촉되면서 마찰력이 증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창호용 단열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결합 단면도 및 분리 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단열재(41)는, 제1창문틀(31)의 제1결합홈(34) 및 제2창문틀(35)의 제2결합홈(38)에 각각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제1결합돌부(42)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2단열재(46)는, 제1창문틀(31)의 제1결합홈(34) 및 제2창문틀(35)의 제2결합홈(38)에 각각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제2결합돌부(47)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1단열재(41), 제2단열재(46) 및 보조단열재(51) 사이에는 접착재(54)가 도포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보조단열재(51)에 도포된 접착재(54)로부터 이형지를 떼어낸 후 접착재(54)의 접착면에 제1단열재(41) 및 제2단열재(46)를 부착시키면 제1단열재(41), 제2단열재(46), 보조단열재(51)가 접착재(54)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창호용 단열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결합 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창호용 단열구조는, 제1창문틀(31)은, 제1창문틀(31)에 돌출되어 있고 제1단열재(41)의 일단 및 제2단열재(46)의 일단 사이에 구비되어서 제1단열재(41) 및 제2단열재(46)의 대응 내측 부위를 지지하는 제1지지돌부(32)와, 제1지지돌부(32)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있고 제1단열재(41)의 일단 및 제2단열재(46)의 일단에 체결되는 한쌍의 제1누름돌부(33)와, 제1지지돌부(32) 및 제1누름돌부(33) 사이에 형성되어서 제1단열재(41)의 일단 및 제2단열재(46)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1결합홈(34)으로 이루어진다.
제2창문틀(35)은, 제2창문틀(35)에 돌출되어 있고 제1단열재(41)의 타단 및 제2단열재(46)의 타단 사이에 구비되어서 제1단열재(41) 및 제2단열재(46)의 대응 내측 부위를 지지하는 제2지지돌부(36)와, 제2지지돌부(36)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있고 제1단열재(41)의 타단 및 제2단열재(46)의 타단에 체결되는 한쌍의 제2누름돌부(37)와, 제2지지돌부(36) 및 제2누름돌부(37) 사이에 형성되어서 제1단열재(41)의 타단 및 제2단열재(46)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2결합홈(38)으로 이루어진다.
제1단열재(41)는, 제1창문틀(31)의 제1결합홈(34) 및 제2창문틀(35)의 제2결합홈(38)에 각각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제1결합돌부(42)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2단열재(46)는, 제1창문틀(31)의 제1결합홈(34) 및 제2창문틀(35)의 제2결합홈(38)에 각각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제2결합돌부(47)들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단열재(51)는, 제1단열재(41) 및 제2단열재(46) 사이에 구비되어서 제1단열재(41) 및 제2단열재(46)를 지지하고, 제1창문틀(31)에서 제2창문틀(35) 측으로의 열전달을 차단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창호용 단열구조는, 제1단열재(41) 및 제2단열재(46) 사이에 보조단열재(51)를 위치시키고, 제1단열재(41)의 양단 및 제2단열재(46)의 양단을 제1결합홈(34) 및 제2결합홈(38)에 각각 삽입시킨 후, 한쌍의 제1누름돌부(33)들 및 한쌍의 제2누름돌부(37)들을 롤러로 눌러서 제1단열재(41)의 양단 및 제2단열재(46)의 양단이 제1결합홈(34) 및 제2결합홈(38)에 맞물리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창호용 단열구조는, 제1창문틀(31)의 제1결합홈(34) 및 제2창문틀(35)의 제2결합홈(38), 그리고 제1단열재(41)의 제1결합돌부(42) 및 제2단열재(46)의 제2결합돌부(47)로 이루어진 결합구조에 의해 별도의 체결훅들이나 접착재없이 제1단열재(41), 제2단열재(46), 보조단열재(51)가 일체로 결합되므로 부품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조립공수가 절감되므로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제1단열재(41) 및 제2단열재(46)가, 한쌍의 제1연장부(44) 및 제2연장부(49)와 이 제1연장부(44) 및 제2연장부(49)의 단부에 형성된 제1체결훅(45) 및 제2체결훅(50)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제1체결부(43) 및 제2체결부(48)로 이루어지며, 제1체결훅(45) 및 제2체결훅(50)이 체결되면 한쌍의 제1체결부(43) 및 한쌍의 제2체결부(48) 사이에 보조단열재(51) 설치용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단열재(41) 및 제2단열재(46)를 마주보도록 한 후 이들 사이에 보조단열재(51)를 위치시키고 제1단열재(41) 및 제2단열재(46)를 서로 밀착시키면 제1단열재(41)의 제1체결훅(45)과 제2단열재(46)의 제2체결훅(50)이 서로 체결되며, 이에 따라 제1단열재(41), 보조단열재(51), 제2단열재(46)가 결합된다.
그러므로 제1단열재(41) 및 제2단열재(46)를 밀어 끼우는 간편한 작업으로 제1단열재(41), 제2단열재(46), 보조단열재(51)가 일체화되므로 창문틀단열부(40)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다. 그리고, 제1단열재(41) 및 제2단열재(46) 사이에 보조단열재(51)가 더 구비되므로 제1창문틀(31) 및 제2창문틀(35) 사이의 단열효과가 증대된다.
둘째, 본 발명의 제1창문틀(31) 및 제2창문틀(35)은, 제1지지돌부(32) 및 제2지지돌부(36)와, 제1지지돌부(32) 및 제2지지돌부(36)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있고 제1단열재(41)의 양단 및 제2단열재(46)의 양단에 체결되는 한쌍의 제1누름돌부(33) 및 한쌍의 제2누름돌부(37)와, 제1지지돌부(32), 제1누름돌부(33) 사이 및 제2지지돌부(36), 제2누름돌부(37) 사이에 형성되어서 제1단열재(41)의 양단 및 제2단열재(46)의 양단이 결합되는 제1결합홈(34) 및 제2결합홈(38)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단열재(41)의 양단 및 제2단열재(46)의 양단이 제1결합홈(34) 및 제2결합홈(38)에 각각 삽입되면 한쌍의 제1누름돌부(33)들 및 한쌍의 제2누름돌부(37)들을 롤러로 눌러서 제1단열재(41)의 양단 및 제2단열재(46)의 양단이 제1결합홈(34) 및 제2결합홈(38)에 맞물리도록 한다.
그러므로 제1단열재(41) 및 제2단열재(46)의 양단을 제1결합홈(34) 및 제2결합홈(38)에 끼운 후 제1누름돌부(33)들 및 제2누름돌부(37)들을 압착시키는 작업으로 제1창문틀(31) 및 제2창문틀(35) 사이에 제1단열재(41) 및 제2단열재(46)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제1단열재(41) 및 제2단열재(46)는, 한쌍의 제1연장부(44) 및 제2연장부(49)와, 이 제1연장부(44) 및 제2연장부(49)의 내측면에 형성되어서 보조단열재(51)와의 접촉저항이 증대되도록 제1요철(52)들 및 제2요철(53)들이 형성된 한쌍의 제1체결부(43) 및 제2체결부(48)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단열재(51)의 둘레에 한쌍의 제1체결부(43) 및 한쌍의 제2체결부(48)를 끼우면 제1요철(52)들 및 제2요철(53)들이 보조단열재(51)의 대응면에 접촉되면서 마찰력이 증대되며, 이에 따라 제1단열재(41), 제2단열재(46) 및 보조단열재(51) 사이의 체결력이 극대화된다.
넷째, 본 발명의 제1단열재(41), 제2단열재(46) 및 보조단열재(51) 사이에는 제1체결부(43) 및 제2체결부(48) 역할을 수행하는 접착재(54)가 도포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단열재(51)에 도포된 접착재(54)로부터 이형지를 떼어낸 후 접착재(54)의 접착면에 제1단열재(41) 및 제2단열재(46)를 부착시키면 제1단열재(41), 제2단열재(46), 보조단열재(51)가 접착재(54)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그러므로 별도의 제1연장부(44)의 제1체결훅(45) 및 제2연장부(49)의 제2체결훅(50) 없이도 제1단열재(41), 제2단열재(46), 보조단열재(51)를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10 : 창문 20 : 유리창
30 : 창문틀 31 : 제1창문틀
32 : 제1지지돌부 33 : 제1누름돌부
34 : 제1결합홈 35 : 제2창문틀
36 : 제2지지돌부 37 : 제2누름돌부
38 : 제2결합홈 40 : 창문틀단열부
41 : 제1단열재 42 : 제1결합돌부
43 : 제1체결부 44 : 제1연장부
45 : 제1체결훅 46 : 제2단열재
47 : 제2결합돌부 48 : 제2체결부
49 : 제2연장부 50 : 제2체결훅
51 : 보조단열재 52 : 제1마찰돌기
53 : 제2마찰돌기 54 : 접착재

Claims (5)

  1. 유리창이나 철제창 등의 창을 지지하는 창문틀(30)과, 창문틀(30)에 설치되어서 창문틀(30)을 통해 실외에서 실내측으로 전도되는 냉기 및 열기를 차단하는 창문틀단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창문틀(30)은, 창문틀(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분된 실외측의 제1창문틀(31)과 실내측의 제2창문틀(35)로 이루어지며;
    창문틀단열부(40)는,
    양단이 제1창문틀(31) 및 제2창문틀(35)에 각각 결합되어서 제1창문틀(31) 및 제2창문틀(35)이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고 제1창문틀(31)에서 제2창문틀(35)으로 열전달을 차단시키는 제1단열재(41)와,
    제1단열재(41)와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양단이 제1창문틀(31) 및 제2창문틀(35)에 각각 결합되어서 제1창문틀(31) 및 제2창문틀(35)이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며 제1창문틀(31)에서 제2창문틀(35)으로 열전달을 차단시키는 제2단열재(46)와,
    제1단열재(41) 및 제2단열재(46) 사이에 구비되어서 제1단열재(41) 및 제2단열재(46)를 지지하고, 제1창문틀(31)에서 제2창문틀(35) 측으로의 열전달을 차단시키는 보조단열재(5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단열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창문틀(31)은, 제1창문틀(31)에 돌출되어 있고 제1단열재(41)의 일단 및 제2단열재(46)의 일단 사이에 구비되어서 제1단열재(41) 및 제2단열재(46)의 대응 내측 부위를 지지하는 제1지지돌부(32)와, 제1지지돌부(32)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있고 제1단열재(41)의 일단 및 제2단열재(46)의 일단에 체결되는 한쌍의 제1누름돌부(33)와, 제1지지돌부(32) 및 제1누름돌부(33) 사이에 형성되어서 제1단열재(41)의 일단 및 제2단열재(46)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1결합홈(34)으로 이루어지고;
    제2창문틀(35)은, 제2창문틀(35)에 돌출되어 있고 제1단열재(41)의 타단 및 제2단열재(46)의 타단 사이에 구비되어서 제1단열재(41) 및 제2단열재(46)의 대응 내측 부위를 지지하는 제2지지돌부(36)와, 제2지지돌부(36)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있고 제1단열재(41)의 타단 및 제2단열재(46)의 타단에 체결되는 한쌍의 제2누름돌부(37)와, 제2지지돌부(36) 및 제2누름돌부(37) 사이에 형성되어서 제1단열재(41)의 타단 및 제2단열재(46)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2결합홈(38)으로 이루어지며;
    제1단열재(41)의 양단 및 제2단열재(46)의 양단이 제1결합홈(34) 및 제2결합홈(38)에 각각 삽입되면 한쌍의 제1누름돌부(33)들 및 한쌍의 제2누름돌부(37)들을 롤러로 눌러서 제1단열재(41)의 양단 및 제2단열재(46)의 양단이 제1결합홈(34) 및 제2결합홈(38)에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단열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단열재(41)는, 제1창문틀(31)의 제1결합홈(34) 및 제2창문틀(35)의 제2결합홈(38)에 각각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제1결합돌부(42)들이 형성되고, 제2단열재(46)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한쌍의 제1연장부(44)와 이 제1연장부(44)의 단부에 형성된 제1체결훅(45)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제1체결부(43)로 이루어지며;
    제2단열재(46)는, 제1창문틀(31)의 제1결합홈(34) 및 제2창문틀(35)의 제2결합홈(38)에 각각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제2결합돌부(47)들이 형성되고, 제1단열재(41)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한쌍의 제2연장부(49)와 이 제2연장부(49)의 단부에 형성되어서 제1체결훅(45)에 착탈되는 제2체결훅(50)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제2체결부(48)로 이루어지며;
    제1체결훅(45) 및 제2체결훅(50)이 체결되면 한쌍의 제1체결부(43) 및 한쌍의 제2체결부(48) 사이에 보조단열재(51) 설치용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단열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단열재(41)는, 제1창문틀(31)의 제1결합홈(34) 및 제2창문틀(35)의 제2결합홈(38)에 각각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제1결합돌부(42)들이 형성되고, 제2단열재(46)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한쌍의 제1연장부(44)와 이 제1연장부(44)의 내측면에 형성되어서 보조단열재(51)와의 접촉저항이 증대되도록 제1요철(52)들이 형성된 한쌍의 제1체결부(43)로 이루어지며;
    제2단열재(46)는, 제1창문틀(31)의 제1결합홈(34) 및 제2창문틀(35)의 제2결합홈(38)에 각각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제2결합돌부(47)들이 형성되고, 제1단열재(41)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한쌍의 제2연장부(49)와 이 제2연장부(49)의 내측면에 형성되어서 보조단열재(51)와의 접촉저항이 증대되도록 제2요철(53)들이 형성된 한쌍의 제2체결부(48)로 이루어지며;
    보조단열재(51)의 둘레에 한쌍의 제1체결부(43) 및 한쌍의 제2체결부(48)를 끼우면 제1요철(52)들 및 제2요철(53)들이 보조단열재(51)의 대응면에 접촉되면서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단열구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단열재(41)는, 제1창문틀(31)의 제1결합홈(34) 및 제2창문틀(35)의 제2결합홈(38)에 각각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제1결합돌부(42)들이 형성되어 있고,
    제2단열재(46)는, 제1창문틀(31)의 제1결합홈(34) 및 제2창문틀(35)의 제2결합홈(38)에 각각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제2결합돌부(47)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단열재(41), 제2단열재(46) 및 보조단열재(51) 사이에는 접착재(54) 또는 접착테이프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단열구조.
KR1020130168561A 2013-12-31 2013-12-31 창호용 단열구조 KR101579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561A KR101579052B1 (ko) 2013-12-31 2013-12-31 창호용 단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561A KR101579052B1 (ko) 2013-12-31 2013-12-31 창호용 단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819A true KR20150078819A (ko) 2015-07-08
KR101579052B1 KR101579052B1 (ko) 2015-12-21

Family

ID=53791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561A KR101579052B1 (ko) 2013-12-31 2013-12-31 창호용 단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0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8983A (ko) * 2015-07-15 2017-01-25 임식규 원가절감형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2078728B1 (ko) * 2019-06-05 2020-02-18 임종필 저비용 고효율 창호용 단열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710B1 (ko) * 2016-06-22 2018-05-04 (주)노성 Al창호 단열차단구조
KR102287537B1 (ko) * 2020-12-02 2021-08-11 보영산업(주) 단열 및 조립성이 향상된 창문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615A (ja) * 1999-07-08 2001-01-23 Fujisash Co 断熱サッシ構成材の断熱装置
JP2001355378A (ja) * 2000-06-14 2001-12-26 Tokai Kogyo Co Ltd 断熱サッシ用のジョイント部材,その組付方法,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材料並びに断熱サッシ
KR200281198Y1 (ko) * 2002-04-18 2002-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알루미늄 창호의 단열성 향상 구조
KR200296712Y1 (ko) * 2002-07-20 2002-12-05 주식회사 신탁스코리아 단열창호
KR101270213B1 (ko) 2011-03-31 2013-05-31 임식규 단열성능을 갖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615A (ja) * 1999-07-08 2001-01-23 Fujisash Co 断熱サッシ構成材の断熱装置
JP2001355378A (ja) * 2000-06-14 2001-12-26 Tokai Kogyo Co Ltd 断熱サッシ用のジョイント部材,その組付方法,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材料並びに断熱サッシ
KR200281198Y1 (ko) * 2002-04-18 2002-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알루미늄 창호의 단열성 향상 구조
KR200296712Y1 (ko) * 2002-07-20 2002-12-05 주식회사 신탁스코리아 단열창호
KR101270213B1 (ko) 2011-03-31 2013-05-31 임식규 단열성능을 갖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8983A (ko) * 2015-07-15 2017-01-25 임식규 원가절감형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2078728B1 (ko) * 2019-06-05 2020-02-18 임종필 저비용 고효율 창호용 단열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052B1 (ko) 201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052B1 (ko) 창호용 단열구조
KR101065044B1 (ko) 가변프레임형 이중단열 커튼월
AU2015394926B2 (en) Structure for blocking heat transfer through thermal bridge of curtain wall building
ITMI20102272A1 (it) Guarnizione magnetica per mobili frigoriferi
KR101206423B1 (ko) 복합단열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1432187B1 (ko) 멀티 커튼월 프레임
CN203655029U (zh) 一种防水隔热密封性能高的木铝复合内开窗
KR20160002973U (ko) 단열 창호 프레임
KR20130002394A (ko) 유리창호의 커튼 월 구조
KR101364129B1 (ko) 가이드프레임과 실내측 창문틀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1815400B1 (ko) 결로 방지 창틀 고정용 브래킷
KR101896484B1 (ko) 복합 단열 시스템 도어
KR101631226B1 (ko) 단열재가 내장된 강화유리문 조립체
KR101527874B1 (ko) 복합 미서기 창호
KR200486437Y1 (ko) 복합창호
CN202202726U (zh) 门窗玻璃的节能构造
KR20140100285A (ko) 시스템 창호의 단열구조
KR20100125614A (ko) 커튼월 샷시조립체
KR200448090Y1 (ko) 개선된 단열구조를 갖는 창틀프레임
CN106032738A (zh) 建筑玻璃门窗及幕墙玻璃的活动中空保温法
KR101364126B1 (ko) 창프레임과 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
CN205206689U (zh) 将单层玻璃转换为双层玻璃的装置
KR200387662Y1 (ko) 고층 건축물의 커튼 월용 단열 패널
CN211081506U (zh) 一种推拉窗的窗扇连接结构
CN211818989U (zh) 一种玻璃垫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