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7999A -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7999A
KR20150077999A KR1020130167012A KR20130167012A KR20150077999A KR 20150077999 A KR20150077999 A KR 20150077999A KR 1020130167012 A KR1020130167012 A KR 1020130167012A KR 20130167012 A KR20130167012 A KR 20130167012A KR 20150077999 A KR20150077999 A KR 20150077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state
cumulative time
tim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0156B1 (ko
Inventor
최동욱
최병화
홍성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7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156B1/ko
Priority to US14/263,327 priority patent/US9298221B2/en
Publication of KR20150077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folding)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폴딩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폴딩 상태가 유지된 시간인 폴딩 누적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폴딩 누적 시간에 기초하여 폴딩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폴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Method for displaying folding information and foldable display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의 발달과 함께, 가요성이 있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 내지 구부러져서 돌돌 말 수 있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패널 자체를 접고 펼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라스틱 기판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롤러블, 및 폴더블 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유연성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평면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유연성에 의하여 변형된 3차원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folding)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폴딩 상태가 유지된 시간인 폴딩 누적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폴딩 누적 시간에 기초하여 폴딩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폴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폴딩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는,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혀지는 폴딩부의 스트레인(strain) 값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언폴딩(unfolding)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언폴딩 상태가 누적된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폴딩 정보는 상기 폴딩 누적 시간과 상기 언폴딩 누적 시간을 기초로 도출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정보는 상기 폴딩 누적 시간에서 상기 언폴딩 누적 시간을 뺀 값을 숫자, 색채 또는 바(bar)의 길이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딩 정보는 숫자, 색채 또는 바(bar)의 길이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딩 상태는 정면 폴딩 상태 및 배면 폴딩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폴딩 누적 시간은 상기 폴딩 상태에 따라 정면 폴딩 누적 시간과 배면 폴딩 누적 시간으로 구분되며, 상기 폴딩 정보는 상기 정면 폴딩 누적 시간과 상기 배면 폴딩 누적 시간을 기초로 도출될 수 있다.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가 접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혀지는 폴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 상태를 판단하는 센싱부;
상기 폴딩 상태가 지속된 시간인 폴딩 누적 시간을 측정하는 시간 측정부;
상기 폴딩 누적 시간을 기초로 폴딩 정보를 도출하는 폴딩 정보 도출부; 및
상기 폴딩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폴딩 누적 시간에 기초하여 폴딩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폴딩 정보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스트레인(stain) 측정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레인 측정 센서는 상기 폴딩부에 위치하고 상기 폴딩부의 스트레인 값을 측정하여 상기 스트레인 값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될 때 폴딩 상태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 측정 센서는 복수이며, 상기 복수의 스트레인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스트레인 값의 평균값에 의해 폴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시간 측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언폴딩된 상태에 따른 누적 시간을 측정하며, 상기 폴딩 정보는 상기 폴딩 누적 시간과 상기 언폴딩 누적 시간을 기초로 도출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정보는 상기 폴딩 누적 시간에서 상기 언폴딩 누적 시간을 뺀 값을 숫자, 색채 또는 바(bar)의 길이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딩 정보는 숫자, 색채 또는 바(bar)의 길이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딩 상태는 정면 폴딩 상태 및 배면 폴딩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폴딩 누적 시간은 상기 폴딩 상태에 따라 정면 폴딩 누적 시간과 배면 폴딩 누적 시간으로 구분되며, 상기 폴딩 정보는 상기 정면 폴딩 누적 시간과 상기 배면 폴딩 누적 시간을 기초로 도출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폴딩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폴딩 정보를 제공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트레인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폴딩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트레인 완화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 또는 언폴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면 및 배면으로 접혀질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폴딩 상태 및 언폴딩 상태에 따른 스트레인의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폴딩 정보 검출부(18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폴딩 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한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폴딩 또는 언폴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a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폴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b는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변환되거나,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변환되는 중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c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언폴딩(unfolding)된 상태를 나타낸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19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90)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처리되는 화상, 예를 들어, 텍스트, 비디오, 사진,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 아이콘, 커서 등을 표시한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휴대용 컴퓨터일 경우, 이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90)이 접혀질 수 있어, 사용 환경에 따라 형태를 변형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 및 휴대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다양한 화면 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폴딩이 가능하도록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는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폴딩은 임의의 상당한 변형(deformation)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 위치에서는 폴딩이 가능하지만, 다른 위치에서는 폴딩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체가 유연성을 가져 보다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90)은 접을 수 있는 소재의 플라스틱재 또는 금속 호일로 형성된 유연한 기판, 기판 상에 형성되는 화소부, 및 패시베이션막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90)은 유기발광표시장치, 액정표시장치, 전기영동표시장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폴딩 상태의 경우, 폴딩이 되는 부분에 스트레인(strain)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장시간 폴딩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스트레인이 누적되어 제품의 변형 및 굴곡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인의 누적량은 제품의 수명과 반비례할 수 있다. 폴딩 상태에 의한 스트레인을 완화시키는 하나의 방법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언폴딩 상태로 놓아두는 것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폴딩 상태와 언폴딩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스트레인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정면 및 배면으로 접혀질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상의 축(VA)를 기준으로 정면 또는 배면으로 접혀질 수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접혀지는 폴딩부(105)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81a)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181a)는 스트레인 센서로 폴딩부(105)의 변형에 따른 스트레인 값을 센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센서(181a)는 복수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트레인 값은 복수의 센서(181a)로 부터 센싱된 값의 평균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도 2a의 경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상의 축(VA)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90) 정면으로 폴딩되는 형상을 나타낸다. 도 2b의 경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상의 축(VA)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90)의 배면으로 폴딩되는 형상을 나타낸다.
정면 폴딩의 경우, 폴딩 영역의 상단은 압축이 되고 하단은 인장이 된다. 배면 폴딩의 경우, 폴딩 영역의 상단은 인장되고 하단은 압축된다. 정면 폴딩과 배면 폴딩은 서로 반대의 힘을 받게 된다. 즉, 스트레인 값을 이용하여 정면 폴딩 상태와 배면 폴딩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정면 폴딩 상태에 의한 스트레인을 배면 폴딩 상태로 완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폴딩 상태"는 정면 폴딩 상태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폴딩 상태" 정면 폴딩 상태와 배면 폴딩 상태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도 3은 폴딩 상태 및 언폴딩 상태에 따른 스트레인의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x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y축은 스트레인 값을 나타낸다. 폴딩 상태는 정면 폴딩 상태 및 배면 폴딩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시간에 따라서 언폴딩 상태(UFS), 제1 폴딩 상태(FS1), 언폴딩 상태(UFS), 제2 폴딩 상태(FS2), 언폴딩 상태(UFS)로 순차적으로 변화할 때의 스트레인의 변화값을 나타내고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언폴딩 상태(UFS)에서 제1 폴딩 상태(FS1)로 가면서 폴딩 부분의 스트레인이 증가하게 된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완전히 접혀지게 되면, 폴딩 부문의 스트레인은 최대값을 갖게된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폴딩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스트레인은 시간에 따라서 누적된다. 이러한 스트레인 누적량이 일정 이상 쌓이게 되면 제품의 변형 및 굴곡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폴딩 상태(FS1)에서 언폴딩 상태(UFS)로 되돌아가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받는 스트레인은 완화되게 된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언폴딩 상태(UFS)에서 제2 폴딩 상태(FS2)로 가게 되면 반대 방향의 스트레인을 받게된다. 이와 같은 반대 방향의 스트레인은 제1 폴딩 상태(FS1)로 누적된 스트레인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1 폴딩 상태(FS1)는 정면 폴딩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폴딩 상태(FS2)는 배면 폴딩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폴딩 상태 및 언폴딩 상태를 기초로 한 폴딩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스트레인 누적량을 간접적으로 제공하여 제품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폴딩 상태는 폴딩 부분에서 받은 최대 스트레인값(εmax)을 기준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폴딩 상태는 폴딩 부분의 스트레인 값(ε)이 εref ≤ ε ≤εmaxref = a*εmax, a는 0.5 에서 1 사이의 값)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로 정의할 수 있다. 제2 폴딩 상태는 폴딩 부분의 스트레인 값이 -εmax ≤ ε ≤ -εref ref = a*εmax, a는 0.5 에서 1 사이의 값)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로 정의할 수 있다.
이하, 도 4을 참조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일 뿐이며,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보다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및 커넥터(165)를 이용하여 외부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장치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않음), 휴대폰(도시되지 않음), 스마트폰(도시되지 않음), 태블릿PC(도시되지 않음) 및 서버(도시되지 않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90), 및 폴딩 정보 검출부(180)를 포함한다.
또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입/출력 모듈(160), 저장부(175) 및 전원공급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CPU(11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112)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 등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디스플레이 패널(19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폴딩 정보 검출부(180)로 부터 전달받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폴딩 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190)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9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 및 근거리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 오디오재생 모듈 및 동영상재생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 마이크, 스피커, 진동모터, 커넥터 및 키패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디스플레이 패널(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 내의 롬(112), 램(113)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70)는 커넥터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부로 공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9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90)은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한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다.
폴딩 정보 검출부(180)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폴딩 상태를 기초로 폴딩 정보를 검출한다. 폴딩 정보 검출부(180)에서 검출된 폴딩 정보는 제어부(11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패널(19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5는 폴딩 정보 검출부(18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폴딩 정보 검출부(180)은 센싱부(181), 시간 측정부(183), 폴딩 정보 도출부(185) 및 폴딩 정보 저장부(187)를 포함한다.
센싱부(181)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폴딩 상태 및/또는 언폴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센싱부(181)가 상기 폴딩 상태를 평가하는 것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접혀지는 부분인 폴딩부의 스트레인 값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센싱부(181)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접혀지는 부분에 배치되는 스트레인(strain) 센서로 부터 출력값을 받아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폴딩 상태 또는 언폴딩 상태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딩 부분의 스트레인 값(ε)이 a*εmax ≤ ε ≤εmax (a는 0.5 에서 1 사이의 값)의 범위에 포함될 때, 정면 폴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스트레인 값이 -εmax ≤ ε ≤ -a*εmax (a는 0.5 에서 1 사이의 값)의 범위에 포함될 때는 배면 폴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센싱부(181)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접혀지는 부분의 화소들의 간섭값에 의해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폴딩 상태 또는 언폴딩 상태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시간 측정부(183)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폴딩 상태 및/또는 언폴딩 상태로 유지된 시간인 폴딩 누적 시간 및/또는 언폴딩 누적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폴딩 정보 도출부(185)는 상기 폴딩 누적 시간을 기초로 폴딩 정보를 도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폴딩 정보 도출부(185)는 정면 폴딩 상태로 유지된 누적 시간인 폴딩 누적 시간을 합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폴딩 정보 도출부(185)는 폴딩 누적 시간에서 언폴딩 누적 시간을 뺀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폴딩 정보 도출부(185)는 정면 폴딩 상태 유지시간 및 배면 폴딩 상태 유지시간을 기초로 폴딩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면 폴딩 상태 유지시간과 배면 폴딩 상태 유지시간을 각각 따로 도출할 수도 있고, 이를 더하거나 뺀 값을 도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폴딩 정보 도출부(185)는 한 회의 폴딩 상태가 지속되는 시간이 임계 시간에 도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폴딩 정보 저장부(187)은 폴딩 정보 도출부(185)에서 도출된 폴딩 정보를 저장한다. 폴딩 정보 저장부(187)에 저장된 폴딩 정보는 제어부(11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패널(19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 정보는 청각적 신호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회의 폴딩 상태가 임계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알림음 등을 통해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4 및 5와 관련하여 상술한 모바일 장치뿐만 아니라, TV 또는 의료용 데이터 표시 장치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우선,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상태를 평가한다. (S1) 상기 폴딩 상태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혀지는 폴딩부의 스트레인 값에 기초하여 평가할 수 있다. 상기 폴딩 상태는 정면 폴딩 상태 및 배면 폴딩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폴딩 상태가 유지된 시간인 폴딩 누적 시간을 측정한다. (S2) 폴딩 누적 시간은 정면 폴딩 누적 시간과 배면 폴딩 누적 시간을 각각 측정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폴딩 누적 시간에 기초하여 폴딩 정보를 도출한다.(S3) 일부 실시예에서, 폴딩 정보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초기화 시점부터 정면 폴딩 상태의 누적 시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폴딩 정보는 상기 정면 폴딩 누적 시간과 상기 배면 폴딩 누적 시간을 기초로 도출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딩 정보는 상기 정면 폴딩 누적 시간과 상기 배면 폴딩 누적 시간의 차이값일 수 있다.
상기 폴딩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언폴딩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및 언폴딩 상태로 유지된 시간인 언폴딩 누적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폴딩 정보는 폴딩 누적 시간과 언폴딩 누적 시간의 차이값일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폴딩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S4) 일부 실시예에서, 폴딩 정보는 숫자화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숫자에 색체를 결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딩 정보에 포함된 폴딩 누적 시간이 언폴딩 누적 시간보다 큰 경우는 적색으로 표시하고, 언폴딩 누적 시간이 폴딩 누적 시간보다 큰 경우는 녹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폴딩 정보는 바(bar)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바(bar)의 방향, 길이 또는 형상에 따라서 폴딩 누적 시간 또는 언폴딩 누적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바(bar)에 색체를 결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딩 정보에 포함된 폴딩 누적 시간이 언폴딩 누적 시간보다 큰 경우는 적색으로 표시하고, 언폴딩 누적 시간이 폴딩 누적 시간보다 큰 경우는 녹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폴딩 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한 예를 나타낸다.
도 7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90)은 폴딩 정보 표시부(195)를 포함하고 있다. 폴딩 정보 표시부(195)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초기시점을 "00"로 표시하고, 폴딩 정보를 폴딩 누적 시간에서 언폴딩 누적 시간을 뺀 양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 정보 표시부(195)에는 "+01", "+02", "-01" "-02" 등으로 폴딩 누적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는 폴딩 누적 시간이 더 많음을 나타내고, "-"는 언폴딩 누적 시간이 더 많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인 경우는 적색으로 표시하고, "-"인 경우는 녹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90)은 폴딩 정보 표시부(195)를 포함하고 있다. 폴딩 정보 표시부(195)는 바(bar) 형상을 하고 있다. 폴딩 정보가 양수인 경우 바 형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표시하고, 음수인 경우 바 형상의 왼쪽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오른쪽 부분은 적색으로, 왼쪽 부분은 녹색으로 표현하는 등 색체를 이용하여 폴딩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폴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그 외에도 다양한 모양, 색채 등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그 밖에 폴딩 정보는 청각적 신호를 통해서 표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05: 폴딩부
181a: 센서
190: 디스플레이 패널
195: 폴딩 정보 표시부
180: 폴딩 정보 검출부
181: 센싱부
183: 시간 측정부
185: 폴딩 정보 도출부
187: 폴딩 정보 저장부
110: 제어부
120: 이동 통신 모듈
130: 서브 통신 모듈
140: 멀티 미디어 모듈
160: 입출력 모듈
170: 전원 공급부
175: 저장부

Claims (15)

  1.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folding)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폴딩 상태가 유지된 시간인 폴딩 누적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폴딩 누적 시간에 기초하여 폴딩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폴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딩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혀지는 폴딩부의 스트레인(strain) 값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폴딩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언폴딩(unfolding)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언폴딩 상태가 유지된 시간인 언폴딩 누적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폴딩 정보는 상기 폴딩 누적 시간과 상기 언폴딩 누적 시간을 기초로 도출되는 폴딩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정보는 상기 폴딩 누적 시간에서 상기 언폴딩 누적 시간을 뺀 값을 숫자, 색채 또는 바(bar)의 길이의 조합으로 나타내는 폴딩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정보는 숫자, 색채 또는 바(bar)의 길이의 조합으로 나타내는 폴딩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상태는 정면 폴딩 상태 및 배면 폴딩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폴딩 누적 시간은 상기 폴딩 상태에 따라 정면 폴딩 누적 시간과 배면 폴딩 누적 시간으로 구분되며,
    상기 폴딩 정보는 상기 정면 폴딩 누적 시간과 상기 배면 폴딩 누적 시간을 기초로 도출되는 폴딩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가 접혀지는 폴딩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8.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혀지는 폴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 상태를 판단하는 센싱부;
    상기 폴딩 상태가 지속된 시간인 폴딩 누적 시간을 측정하는 시간 측정부;
    상기 폴딩 누적 시간을 기초로 폴딩 정보를 도출하는 폴딩 정보 도출부; 및
    상기 폴딩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폴딩 정보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스트레인(stain) 측정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레인 측정 센서는 상기 폴딩부에 위치하고 상기 폴딩부의 스트레인 값을 측정하여 상기 스트레인 값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될 때 폴딩 상태로 판단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측정 센서는 복수이며,
    상기 복수의 스트레인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스트레인 값의 평균값에 의해 폴딩 상태를 판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측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언폴딩 상태를 유지한 시간인 언폴딩 누적 시간을 측정하며,
    상기 폴딩 정보는 상기 폴딩 누적 시간과 상기 언폴딩 누적 시간을 기초로 도출되는 폴딩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정보는 상기 폴딩 누적 시간에서 상기 언폴딩 누적 시간을 뺀 값을 숫자, 색채 또는 바(bar)의 길이의 조합으로 나타내는 폴딩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정보는 숫자, 색채 또는 바(bar)의 길이의 조합으로 나타내는 폴딩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상태는 정면 폴딩 상태 및 배면 폴딩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폴딩 누적 시간은 상기 폴딩 상태에 따라 정면 폴딩 누적 시간과 배면 폴딩 누적 시간으로 구분되며,
    상기 폴딩 정보는 상기 정면 폴딩 누적 시간과 상기 배면 폴딩 누적 시간을 기초로 도출되는 폴딩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167012A 2013-12-30 2013-12-30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60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012A KR102160156B1 (ko) 2013-12-30 2013-12-30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4/263,327 US9298221B2 (en) 2013-12-30 2014-04-28 Method of displaying folding information and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012A KR102160156B1 (ko) 2013-12-30 2013-12-30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999A true KR20150077999A (ko) 2015-07-08
KR102160156B1 KR102160156B1 (ko) 2020-09-28

Family

ID=53481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012A KR102160156B1 (ko) 2013-12-30 2013-12-30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98221B2 (ko)
KR (1) KR1021601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0851A (ko) * 2016-01-29 2017-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KR20180012390A (ko) 2016-07-26 2018-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0096324A1 (ko) * 2018-11-07 2020-05-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132087B2 (en) 2019-06-14 2021-09-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72835S1 (en) * 2014-03-26 2016-11-29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USD772188S1 (en) * 2014-03-26 2016-11-22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including pair of interchangeable components
USD778864S1 (en) * 2014-03-26 2017-02-14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USD778865S1 (en) * 2014-03-26 2017-02-14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USD782436S1 (en) * 2014-04-15 2017-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USD776632S1 (en) * 2014-04-15 2017-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USD781827S1 (en) * 2014-04-15 2017-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KR102171450B1 (ko) * 2014-08-18 2020-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4571534B (zh) * 2015-02-10 2019-03-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震动提示方法及电子设备
KR102359544B1 (ko) * 2015-06-22 2022-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D804443S1 (en) 2015-10-02 2017-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US10146257B2 (en) * 2015-10-02 2018-12-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oldable device having sensor
USD822658S1 (en) 2016-06-30 2018-07-10 Intel Corporation Computer notebook
USD901494S1 (en) * 2017-05-31 2020-11-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09584725B (zh) * 2019-01-02 2021-10-01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10050049A (ko) * 2019-10-25 2021-05-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4846A1 (en) * 2000-11-02 2002-07-18 Satoru Kishimoto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KR20120015890A (ko) * 2010-08-13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0475B2 (ja) * 2000-09-25 2004-05-24 三洋電機株式会社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JP3911515B2 (ja) 2005-10-13 2007-05-0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方法、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909922B2 (ja) * 2008-02-29 2012-04-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可撓操作可能な情報表示端末装置、及び情報表示用インタフェース
US8251278B2 (en) * 2008-08-29 2012-08-28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Display control based on bendable display containing electronic device conformation sequence status
KR101063882B1 (ko) 2009-03-13 2011-09-15 한국과학기술원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89625B1 (ko) 2011-06-23 2017-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3105311A (ja) 2011-11-14 2013-05-3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
JP2013105312A (ja) 2011-11-14 2013-05-3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79615B1 (ko) 2011-11-23 2018-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887452B1 (ko) 2011-12-15 2018-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69066A (ko) 2011-12-16 2013-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4846A1 (en) * 2000-11-02 2002-07-18 Satoru Kishimoto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KR20120015890A (ko) * 2010-08-13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0851A (ko) * 2016-01-29 2017-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KR20180012390A (ko) 2016-07-26 2018-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0096324A1 (ko) * 2018-11-07 2020-05-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052679A (ko) * 2018-11-07 2020-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132087B2 (en) 2019-06-14 2021-09-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156B1 (ko) 2020-09-28
US9298221B2 (en) 2016-03-29
US20150185787A1 (en)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156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1169686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330027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CN104866080B (zh) 屏幕内容显示方法和系统
EP2948829B1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4510344A5 (ko)
KR20190141518A (ko)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변경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2016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gmenting an index generated by a near eye display
JP6109413B2 (ja) 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装置、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30141670A (ko)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3197833A (zh) 在图像显示设备中对应用布局进行缩放的装置和方法
CN110413837B (zh) 视频推荐方法和装置
CN107532881B (zh) 一种测量的方法及终端
KR102394081B1 (ko) 감지 회로를 이용한 벤딩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US20120105589A1 (en) Real time three-dimensional menu/icon shading
KR102082661B1 (ko) 전자 장치의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
US10078793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
US20200341623A1 (en) Image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8225278A (zh) 一种测距方法、移动终端
CN113271807A (zh) 保护罩装置
US20220413787A1 (en) Screenshot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US2014018483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ctivating camera device
US105921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ple display device projection
KR102184122B1 (ko) 화면 표시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US20140165014A1 (en) Touch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