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7510A - 영상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7510A
KR20150077510A KR1020130165129A KR20130165129A KR20150077510A KR 20150077510 A KR20150077510 A KR 20150077510A KR 1020130165129 A KR1020130165129 A KR 1020130165129A KR 20130165129 A KR20130165129 A KR 20130165129A KR 20150077510 A KR20150077510 A KR 20150077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area
region
dat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3623B1 (ko
Inventor
홍순환
장상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5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623B1/ko
Publication of KR20150077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칩 온 글라스 구조에서의 영상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는 데이터 링크 라인들과 제어신호 링크 라인들의 패턴 구조를 개선하여, 영상 비표시 영역 및 배젤 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영상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구동 집적회로가 칩 온 글라스 방식으로 영상 비표시 영역에 부착된 영상 표시패널; 및 상기 영상 표시패널의 패드부에 접속되어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로 영상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을 전송하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을 구비하며, 상기 영상 표시패널은 상기 영상 비표시 영역의 각 구동 집적회로와 영상 표시영역의 사이 영역이 링크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링크 영역에는 데이터 링크 라인들이 형성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 및 상기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들의 사이 영역에 위치하며 복수의 제어신호 링크 라인들이 형성되는 제어라인 링크 영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칩 온 글라스(Chip On Glass) 구조의 영상 표시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 비표시 영역인 링크 영역에 형성되는 데이터 링크 라인들과 제어신호 링크 라인들의 패턴 구조를 개선하여, 링크 영역 및 배젤 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영상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개발되고 있다.
평판 표시장치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n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들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패널과 영상 표시패널의 각 화소들을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집적회로 및 구동 집적회로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구비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영상 표시패널의 영상 표시 화소들을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집적회로는 TAB(Tape Automated Bonding) 방식에 의해 연성 회로 필름에 부착되어 영상 표시패널의 일 측면에 접속 및 부착되기도 하고, 칩 온 글라스(Chip On Glass) 방식으로 영상 표시패널의 영상 비표시 영역에 부착되기도 한다. 노트북이나 휴대용 단말기기 등에는 조립 과정과 사이즈 등에서 유리한 칩 온 글라스 방식의 영상 표시패널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칩 온 글라스 방식은 영상 표시패널의 영상 비표시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구동 집적회로, 예를 들어 데이터 집적회로 등이 실장 및 부착되어 구성되며, 이 데이터 집적회로는 연성회로기판 및 제어신호 링크 라인들을 통해 영상 데이터와 제어신호들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데이터 집적회로는 출력단인 데이터 링크 라인들을 통해 영상 표시 영역의 각 데이터 라인들로 영상 신호들을 공급한다.
종래의 칩 온 글라스 구조에서는 링크 영역 즉, 각 데이터 집적회로와 영상 표시영역의 데이터 라인들의 사이 영역에 데이터 링크 라인들만 형성되었다. 이에, 각 데이터 집적회로와 데이터 라인들이 대응되는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에만 데이터 링크 라인들의 패턴이 밀집되고, 나머지 영역인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들의 사이 영역과 각 데이터 집적회로의 사이 영역이 더미 영역으로 남게 되었다. 이렇게 링크 영역에 더미 영역이 많이 존재하면 영상 비표시 영역의 면적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고, 별도로 연성회로기판 및 제어신호 링크 라인들까지 형성되면 영상 표시패널의 배젤 면적은 더욱 넓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칩 온 글라스 구조에서의 영상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는 데이터 링크 라인들과 제어신호 링크 라인들의 패턴 구조를 개선하여, 영상 비표시 영역 및 배젤 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영상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패널은 복수의 구동 집적회로가 칩 온 글라스(Chip On Glass) 방식으로 영상 비표시 영역에 부착된 영상 표시패널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와 영상 표시영역의 사이 영역인 링크 영역에는 데이터 링크 라인들이 형성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 및 상기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들의 사이 영역에 위치하며 복수의 제어신호 링크 라인들이 형성되는 제어라인 링크 영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은 상기 영상 표시영역의 데이터 라인들과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가 대응되는 사이 영역이며,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에는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와 상기 영상 표시영역의 데이터 라인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의 데이터 링크 라인이 패터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라인 링크영역은 상기 각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들의 사이 영역이며, 상기 제어라인 링크 영역에는 연성 회로기판 및 패드부로부터 공급된 영상 데이터와 제어신호들을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로 전송하는 상기 복수의 제어신호 링크 라인이 패터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드부는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의 사이 영역에 대응되면서도 상기 링크 영역과 겹치지 않는 영상 비표시 영역의 최 외곽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드부는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의 사이 영역 및 상기 링크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과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영상 비표시 영역의 최 외곽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는 복수의 구동 집적회로가 칩 온 글라스 방식으로 영상 비표시 영역에 부착된 영상 표시패널; 및 상기 영상 표시패널의 패드부에 접속되어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로 영상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을 전송하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을 구비하며, 상기 영상 표시패널은 상기 영상 비표시 영역의 각 구동 집적회로와 영상 표시영역의 사이 영역이 링크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링크 영역에는 데이터 링크 라인들이 형성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 및 상기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들의 사이 영역에 위치하며 복수의 제어신호 링크 라인들이 형성되는 제어라인 링크 영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은 상기 영상 표시영역의 데이터 라인들과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가 대응되는 사이 영역이며,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에는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와 상기 영상 표시영역의 데이터 라인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의 데이터 링크 라인이 패터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라인 링크영역은 상기 각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들의 사이 영역이며, 상기 제어라인 링크 영역에는 상기 연성 회로기판 및 상기 패드부로부터 공급된 영상 데이터와 제어신호들을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로 전송하는 상기 복수의 제어신호 링크 라인이 패터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드부는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의 사이 영역에 대응되면서도 상기 링크 영역과 겹치지 않는 영상 비표시 영역의 최 외곽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드부는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의 사이 영역 및 상기 링크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과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영상 비표시 영역의 최 외곽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기술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는 칩 온 글라스 구조에서의 영상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는 데이터 링크 라인들과 제어신호 링크 라인들의 패턴 구조를 개선하여, 영상 비표시 영역 및 배젤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패드 영역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 패드 영역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다른 정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의 영상 표시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외에 플라즈마 표시패널과 전계방출 표시장치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은 상기의 평판 표시장치들에 모두 적용 가능하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액정 표시장치에 적용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액정 표시장치는 복수의 구동 집적회로(33)가 칩 온 글라스(Chip On Glass) 방식으로 영상 비표시 영역에 부착된 액정패널(20); 상기 액정패널(20)의 패드부(40)에 접속되어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33)로 영상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을 전송하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40); 상기 액정패널(20)을 지지하는 패널 가이드(10); 및 상기 액정패널(20)로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수납하고 상기 액정패널(20)의 배면을 커버하는 바텀 케이스(5)를 구비한다.
액정패널(20)은 하부기판(20a) 및 상부기판(20b), 상기 하부기판(20a) 및 상부기판(20b)의 사이에 형성된 액정, 하부기판(20a)과 상부기판(20b)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스페이서(미도시)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액정패널(20)의 상부기판(20b)은 컬러필터; 블랙 매트릭스; 및 공통전극 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하부기판(20a)은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에 의해 정의되는 셀 영역마다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와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화소전극을 구비한다. 액정의 모드에 따라 공통전극은 상부기판(20b)이 아닌 하부기판(20a)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 기판(20a)의 일단은 상부 기판(20b)의 일단 보다 길게 연장된다. 이러한 하부 기판(20a)의 일단은 영상 비표시 영역으로써, 영상 비표시 영역에는 칩(chip)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구동 집적회로(33)가 칩 온 글라스 방식으로 부착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패드부(40)가 형성되고, 이 패드부(40)에는 연성회로기판(30)이 접속 및 부착된다.
영상 비표시 영역에는 각 구동 집적회로(33)와 영상 표시영역의 사이 영역인 링크 영역이 정의된다. 이러한, 링크 영역은 각 구동 집적회로(33)와 영상 표시 영역의 데이터 라인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데이터 링크 라인들이 형성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 및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들의 사이 영역으로써 각 구동 집적회로(33)에 영상 데이터와 제어신호들을 공급하는 복수의 제어신호 링크 라인들이 형성되는 제어라인 링크영역으로 구분된다.
다시 말해, 링크 영역 중 복수의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은 영상 표시 영역의 데이터 라인들과 각 구동 집적회로(33)가 대응되는 사이 영역으로써, 복수의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에는 각 구동 집적회로(33)와 영상 표시 영역의 데이터 라인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의 데이터 링크 라인이 패터닝된다.
링크 영역 중 각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들의 사이 영역인 제어라인 링크영역에는 연성 회로기판(30) 및 패드부(40)로부터 공급된 영상 데이터와 제어신호들을 각각의 구동 집적회로(33)로 전송하는 복수의 제어신호 링크 라인이 패터닝된다.
링크 영역 중 각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들의 사이 영역들이 더미 영역으로 구분되지 않고, 복수의 제어신호 링크 라인들이 형성되는 제어라인 링크영역으로 활용되면, 링크 영역의 활용 폭을 높이고 그 면적 또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링크 영역 패턴 구조 및 그 설계 기술 특징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 후에 구체적으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각각의 구동 집적회로(33)는 연성 회로기판(30)과 패드부(40) 및 복수의 제어신호 링크 라인을 통해 영상 데이터와 복수의 제어신호들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와 복수의 제어신호들을 이용하여 액정패널(20)을 구동하기 위한 영상 신호(또는, 계조 전압) 등을 생성하고, 이를 복수의 데이터 링크 라인들로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라인들로 공급한다.
연성 회로기판(30)은 복잡한 회로를 유연한 절연 필름 위에 형성한 회로기판으로써 연성 재료인 PET(polyester) 또는 PI(polyimide)와 같은 내열성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는 기판이다. 연성 회로기판(30)은 FOG(Film on Glass) 방식이나 TAB(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등으로 액정패널(20)의 영상 비표시 영역에 형성된 패드부(40)에 각각 부착된다. 연성 회로기판(30)은 유연성 때문에 공간의 유용한 이용과 입체 배선 등이 가능한 장점으로 중소형의 영상 표시장치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액정패널(20)의 배면에 배치된 백 라이트 유닛은 바텀 케이스(50)의 내부 적어도 한 측면에 배치되어 광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각 광원의 발광면과 마주하는 입광부로 입사된 광의 진행 방향을 전면으로 변화시켜 출광시키는 도광판, 도광판 상에 배치되어 도광판과 그 입광면으로부터의 광을 수직으로 출사시키는 복수의 광학 시트 등을 구비하여, 액정패널(20)의 배면으로 광을 공급한다.
패널 가이드(10)에는 액정패널(20)의 적어도 한 측면 및 배면 일부가 안착 될 수 있도록 단턱이 형성되어, 액정패널(20)의 적어도 한 측면 및 배면 일부면이 안착 및 고정된다.
바텀 케이스(50)는 백 라이트 유닛을 이루는 복수의 광원과 도광판을 비롯한 복수의 광학 시트가 수납되도록 사각 프레임 형상의 구조로 형성된다. 바텀 케이스(50)의 내부 바닥면에는 반사 시트가 배치된다.
도 2는 도 1의 "A" 패드 영역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패널(20)의 비표시 영역에는 각 구동 집적회로(33)와 영상 표시영역 간에 링크 영역이 정의된다. 그리고, 링크 영역과는 인접하면서도 비표시 영역의 최외곽에는 연성 회로기판(42)의 각 패드들이 전기적으로 접촉 및 부착되는 패드부(40)가 각각 배치된다.
패드부(40)는 각 구동 집적회로(33)의 사이 영역에 대응되면서도 상기 링크 영역과 겹치지 않는 영상 비표시 영역의 최 외곽면에 형성될 수 있다.
링크 영역에는 각 구동 집적회로(33)와 영상 표시 영역의 데이터 라인들 간에 각각 대응하여 복수의 데이터 링크 라인(34)들이 형성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즉, 복수의 데이터 링크 라인(34) 패턴 형성 영역)이 구분 및 정의된다. 그리고, 각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들의 사이 영역으로써, 각 구동 집적회로(33)에 영상 데이터와 제어신호들을 공급하는 복수의 제어신호 링크 라인(45)들이 형성되는 제어라인 링크영역(즉, 복수의 제어신호 링크 라인 패턴 형성 영역)이 구분 및 정의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링크 영역 중 복수의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은 영상 표시 영역의 데이터 라인들과 각 구동 집적회로(33)가 대응되는 사이 영역으로써, 복수의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에는 각 구동 집적회로(33)와 영상 표시 영역의 데이터 라인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의 데이터 링크 라인(34) 패턴이 형성된다.
링크 영역 중 제어라인 링크영역은 각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들의 사이 영역으로써, 제어라인 링크영역에는 연성 회로기판(30) 및 패드부(40)를 통해 공급된 영상 데이터와 제어신호들을 각각의 구동 집적회로(33)로 전송하는 복수의 제어신호 링크 라인(45) 패턴이 형성된다.
만일,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들의 사이 영역들이 더미 영역으로 구분되면, 더미 영역들과 각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들 간의 단차를 줄이기 위해 별도의 절연체 층을 더 형성해야하는 공정 과정이 추가되어야 한다. 그리고, 복수의 제어신호 링크 라인(45) 패턴들은 영상 비표시 영역의 와곽부를 둘러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영상 비표시 영역의 면적 및 이를 감싸는 베젤 면적 또한 넓어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더미 영역을 구분하지 않고 제어라인 링크영역으로 활용하면, 별도의 절연체 층 형성 공정 없이 링크 영역의 활용 폭을 높일 수 있고, 영상 비표시 영역의 폭(B) 또한 제어라인 링크영역의 활용 면적만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의 "A" 패드 영역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다른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패널(20)의 비표시 영역에는 각 구동 집적회로(33)와 영상 표시영역 간에 링크 영역이 정의된다.
링크 영역과 인접하거나 일부 중첩되면서도 비표시 영역의 최외곽에는 연성 회로기판(42)의 각 패드들이 전기적으로 접촉 및 부착되는 패드부(40)가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패드부(40)는 각 구동 집적회로(33)의 사이 영역 및 상기 링크 영역과도 일부 중첩되도록 영상 비표시 영역의 최 외곽면에 형성될 수 있다.
패드부(40)가 각 구동 집적회로(33)의 사이 영역에 중첩되도록 형성된 경우에도 링크 영역에는 각 구동 집적회로(33)와 영상 표시 영역의 데이터 라인들 간에 각각 대응하여 복수의 데이터 링크 라인(34)들이 형성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즉, 복수의 데이터 링크 라인(34) 패턴 형성 영역)이 구분 및 정의된다.
각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들의 사이 영역인 제어라인 링크영역에는 연성 회로기판(30) 및 패드부(40)를 통해 공급된 영상 데이터와 제어신호들을 각각의 구동 집적회로(33)로 전송하는 복수의 제어신호 링크 라인(45) 패턴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부(40)가 각 구동 집적회로(33)의 사이 영역까지 중첩되도록 형성되면, 복수의 제어신호 링크 라인(45) 패턴이 형성되는 제어라인 링크영역의 면적은 더욱 좁혀질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비표시 영역의 폭(C) 또한 제어라인 링크영역의 활용 면적만큼 줄일 수 있으면서도, 패드부(40)가 영상 표시 영역과 좁혀진 거리에 대응하여 더욱 좁혀질 수 있다.
만일,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들의 사이 영역들이 더미 영역으로 구분되면, 더미 영역들과 각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들 간의 단차를 줄이기 위해 별도의 절연체 층을 더 형성해야하는 공정 과정이 추가되어야 한다. 그리고, 복수의 제어신호 링크 라인(45) 패턴들은 영상 비표시 영역의 와곽부를 둘러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영상 비표시 영역의 면적 및 이를 감싸는 베젤 면적 또한 넓어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링크 영역 중 각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들의 사이 영역들이 더미 영역으로 구분되지 않고, 복수의 제어신호 링크 라인들이 형성되는 제어라인 링크영역으로 활용되면, 별도의 절연체 층 형성 공정 없이 링크 영역의 활용 폭을 높일 수 있고, 영상 비표시 영역의 면적 또한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패널 가이드 20: 액정패널
30: 연성 회로기판 33: 구동 집적회로
34: 복수의 데이터 링크 라인 40: 패드부
45: 제어신호 링크 라인 50: 바텀 케이스

Claims (10)

  1. 복수의 구동 집적회로가 칩 온 글라스(Chip On Glass) 방식으로 영상 비표시 영역에 부착된 영상 표시패널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와 영상 표시영역의 사이 영역인 링크 영역에는
    데이터 링크 라인들이 형성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 및
    상기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들의 사이 영역에 위치하며 복수의 제어신호 링크 라인들이 형성되는 제어라인 링크 영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은
    상기 영상 표시영역의 데이터 라인들과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가 대응되는 사이 영역이며,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에는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와 상기 영상 표시영역의 데이터 라인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의 데이터 링크 라인이 패터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라인 링크영역은
    상기 각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들의 사이 영역이며,
    상기 제어라인 링크 영역에는 연성 회로기판 및 패드부로부터 공급된 영상 데이터와 제어신호들을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로 전송하는 상기 복수의 제어신호 링크 라인이 패터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의 사이 영역에 대응되면서도 상기 링크 영역과 겹치지 않는 영상 비표시 영역의 최 외곽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패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의 사이 영역 및 상기 링크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과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영상 비표시 영역의 최 외곽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패널.
  6. 복수의 구동 집적회로가 칩 온 글라스 방식으로 영상 비표시 영역에 부착된 영상 표시패널; 및
    상기 영상 표시패널의 패드부에 접속되어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로 영상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을 전송하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을 구비하며,
    상기 영상 표시패널은 상기 영상 비표시 영역의 각 구동 집적회로와 영상 표시영역의 사이 영역이 링크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링크 영역에는 데이터 링크 라인들이 형성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 및 상기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들의 사이 영역에 위치하며 복수의 제어신호 링크 라인들이 형성되는 제어라인 링크 영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은
    상기 영상 표시영역의 데이터 라인들과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가 대응되는 사이 영역이며,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에는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와 상기 영상 표시영역의 데이터 라인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의 데이터 링크 라인이 패터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라인 링크영역은
    상기 각 데이터 라인 링크 영역들의 사이 영역이며,
    상기 제어라인 링크 영역에는 상기 연성 회로기판 및 상기 패드부로부터 공급된 영상 데이터와 제어신호들을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로 전송하는 상기 복수의 제어신호 링크 라인이 패터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의 사이 영역에 대응되면서도 상기 링크 영역과 겹치지 않는 영상 비표시 영역의 최 외곽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각 구동 집적회로의 사이 영역 및 상기 링크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과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영상 비표시 영역의 최 외곽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장치.
KR1020130165129A 2013-12-27 2013-12-27 영상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 KR102113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129A KR102113623B1 (ko) 2013-12-27 2013-12-27 영상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129A KR102113623B1 (ko) 2013-12-27 2013-12-27 영상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510A true KR20150077510A (ko) 2015-07-08
KR102113623B1 KR102113623B1 (ko) 2020-05-22

Family

ID=53790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129A KR102113623B1 (ko) 2013-12-27 2013-12-27 영상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6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5095A (ko) * 2011-09-29 2013-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18217B1 (ko) * 2006-09-29 2013-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217B1 (ko) * 2006-09-29 2013-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130035095A (ko) * 2011-09-29 2013-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623B1 (ko)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2358B2 (en) Display device with signal lines routed to decrease size of non-display area
US9875699B2 (en) Display device
US7642553B2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US10756143B2 (en) Transparent display panel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620498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with connecting portion formed in fan-out region
KR20080024826A (ko) 액정표시장치
CN105511138B (zh) 具有窄边框区的平板显示器
US20080048948A1 (en) Display device, flexible member, and method thereof
CN109491134B (zh) 一种显示装置
KR20140038823A (ko)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20535B1 (ko) 표시장치
KR101931248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11294A (ko) 액정표시장치
US20110234937A1 (en) Mold fr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323456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40028461A (ko) 액정표시장치
CN111399294B (zh) 阵列基板及显示面板
JP2007041263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368391B1 (ko) 액정표시장치
US10719157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module
KR102113623B1 (ko) 영상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
KR2022005601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22802A (ko) 액정표시장치
US10288913B2 (en) Display panel
US11388820B2 (en) Driving circuit board and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