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7020A - 전동기 제어반의 부스바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전동기 제어반의 부스바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7020A
KR20150077020A KR1020130165824A KR20130165824A KR20150077020A KR 20150077020 A KR20150077020 A KR 20150077020A KR 1020130165824 A KR1020130165824 A KR 1020130165824A KR 20130165824 A KR20130165824 A KR 20130165824A KR 20150077020 A KR20150077020 A KR 20150077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bus bar
cabinet
motor control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6937B1 (ko
Inventor
신숙범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5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937B1/ko
Publication of KR20150077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기 제어반의 캐비닛 후면에 설치되는 수직의 부스바를 외부에서 견고하고 간편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이 편리하면서 제품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동기 제어반의 부스바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동기 제어반의 캐비닛(100) 후면에 형성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부스바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200)가 결합되면서 부스바(200)를 지지하게 되는 홀더(300)와, 상기 캐비닛(100)에 형성되면서 홀더(300)의 양측면이 끼워져 홀더(3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400)와, 상기 홀더(300)의 정면에 밀착되어 볼트(B)로 고정되면서 홀더(300)에 결합되는 부스바(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500)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기 제어반의 부스바 지지구조{The bus bar support apparatus for motor control center}
본 발명은 전동기 제어반의 부스바(bus bar)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기 제어반의 캐비닛 후면에 설치되는 수직의 부스바를 외부에서 견고하고 간편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이 편리하면서 제품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동기 제어반의 부스바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 및 일반 산업 설비에 사용되는 다수의 전동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다수의 전동기 각각에 대응하는 제어장치 즉, 유니트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전동기 제어반(Motor Control Center:MCC)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전동기 제어반(MCC)는 다양한 산업시설에 설치되는 전동기와 관련 부하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으로, 변압기에서 공급되는 저압의 전기를 전동기로 배분 및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시 및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제어반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유니트(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격판(21)으로 격리됨과 아울러 도어(도시하지 않음)로 개폐 가능한 유니트(10)가 서로 적층된 상태로 형성되어 케이스(20)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유니트(10)에는 하나의 전동기(미도시)를 제어하기 위한 프레임(11)에 자동 차단기(12)와, 전자 개폐기(13)와, 전류계(14) 등이 소정위치에 취부되어 있고, 후면으로는 전원, 부하 회로측 컨넥터(15,16)는 케이스(20)에 고정되어 있고, 제어회로 컨넥터(17)는 케이블(18)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전원 컨넥터(15)의 다른 한쪽은 케이스(20) 후면에 위치되며 부스바(24)로 지칭되는 바, 상기한 전원 컨넥터(15)가 상기 부스바(24)에 끼워짐으로써 전원이 전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니트(10)의 유니트 파트(10')와 부스바(24)가 형성되는 부스바 파트(22) 사이에는 격벽(30)이 형성되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전동기 제어반의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한 전원 컨넥터(15)와 부스바(24)에 의해 전원이 인가됨과 아울러 부하 회로축 컨넥터(16)와 제어 회로축 컨넥터(16)에 의해 전동기가 제어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스(20)에 개구부(25)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를 통해 부스바(24)를 노출시켜 전원 컨넥터(15)가 연결 가능하게 구성함은 부스바(24)에 약 480V정도의 고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부상을 당할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작업 능률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유니트 파트(10')와 부스바 파트(22) 사이에는 격벽(30)이 되어 있으나 상기 부스바 파트(22)에 형성되는 부스바(24)의 3면 전체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부스바(24)에 인가되는 고압이 외부로 누출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캐비닛의 후면에 부스바를 설치하고자 할 때 케이스의 내부에서 설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부스바를 케이스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케이스에 결합되는 유니트를 빼낸 상태에서 케이스 내부에서 설치하여야 함에 따라 작업이 불편하여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제어반의 캐비킷 후면에 설치되는 부스바를 홀더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용이하게 고정시켜 지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 및 제품의 견고성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스바를 지지하게 되는 절연물의 홀더를 양쪽에서 고정부재로 볼트 체결하게 됨으로써 제품성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한 전동기 제어반의 부스바 지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동기 제어반의 캐비닛 후면에 형성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부스바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가 결합되면서 부스바를 지지하게 되는 홀더와, 상기 캐비닛에 형성되면서 홀더의 양측면이 끼워져 홀더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홀더의 정면에 밀착되어 볼트로 고정되면서 홀더에 결합되는 부스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는 정면에 부스바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양측면에 고정부재 내로 끼워져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끼움부가 형성되고, 정면 양쪽에 홀더를 고정부재에 볼트로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캐비닛에 일체화되면서 내측면에 중앙을 관통하여 홀더의 끼움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제어반의 부스바 지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어반의 캐비닛 후면에 형성되는 부스바를 절연물의 홀더에 결합하면서 상기 홀더를 캐비닛에 형성된 고정부재로 고정시키며 상기 홀더의 정면에 부스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를 고정하게 됨으로써 캐비닛에 유니트를 결합한 상태에서 부스바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하여 작업자에게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스바를 홀더 및 고정부재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사용자게에 신뢰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동기 제어반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전동기 제어반을 도시한 평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지지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지지구조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지지구조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지지구조의 결합단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지지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지지구조의 결합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지지구조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지지구조의 결합단면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동기 제어반의 캐비닛(100) 후면에 형성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부스바(200)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200)가 결합되는 홀더(300)와, 상기 홀더(30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00)와, 상기 홀더(300)의 정면에 고정되어 부스바(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500)를 포함하여 형성되어진다.
상기 홀더(300)는 캐비닛(100)의 후면에 형성되어 부스바(200)를 결합하면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홀더(300)는 부스바(200)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절연물로 형성되어진다.
상기 홀더(300)는 정면에 부스바(2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310)가 형성되며, 양측면에 상기 고정부재(400)에 끼워지면서 홀더(3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끼움부(320)가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홀더(300)의 정면 양쪽에는 홀더(300)를 고정부재(400)에 볼트(B)로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홀(330)이 형성되어진다.
한편, 상기 결합부(310)는 부스바(200)의 수량에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400)는 캐비닛(100)의 후면에 형성되면서 홀더(300)의 양측면이 끼워져 홀더(300)를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00)는 내측면에 중앙을 관통하여 홀더(300)의 끼움부(320)가 끼워져 홀더(3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홈부(410)가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400)는 캐비닛(1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브라켓(600)으로 고정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00)의 정면에는 홀더(300)의 볼트홀(330)로 삽입되는 볼트(B)가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홀(420)이 형성되어진다.
한편, 상기 체결홀(420)은 홀더(300)의 설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하로 다수 형성되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커버(500)는 홀더(300)의 정면에 밀착되어 홀더(300)에 고정되면서 부스바(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500)에는 홀더(300)의 정면에 밀착되면서 홀더(300)에 볼트(B)로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B)가 결합되는 볼트홀(510)이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커버(500)는 부스바(200)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절연물로 형성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전동기 제어반의 캐비닛(100) 후면에 전류를 공급하는 부스바(200)가 설치되어지는데, 이때 상기 부스바(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캐비닛(100) 후면에 부스바(200)를 결합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부스바 지지구조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부스바 지지구조는 상기 부스바(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부스바(200)가 결합되는 홀더(30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홀더(300)의 결합부(310) 내로 부스바(200)가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스바(200)가 결합되는 홀더(300)는 끼움부(320)가 고정부재(400)의 홈부(410)에 끼워지면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00)의 홈부(410)에 끼움부(320)가 끼워지면서 양쪽의 고정부재(400) 사이에 홀더(300)가 유동되지 않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홀더(300)의 볼트홀(330)로 볼트(B)를 삽입하여 체결홀(420)에 볼트(B)가 체결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홀더(300)의 볼트홀(330)과 고정부재(400)의 체결홀(420)에 볼트(B)를 체결하여 고정부재(400)에 홀더(3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끼움부(320)가 홈부(410)에 끼워지면서 상기 홀더(300)가 고정부재(400)로부터 상,하로 이동될 수 있어 상기 홀더(30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00)에 상,하로 다수의 체결홀(420)이 형성되어짐에 따라 상기 홀더(300)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홀더(300)의 볼트홀(330)과 고정부재(400)의 체결홀(420)에 볼트(B)를 체결하여 고정부재(400)에 홀더(30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300)에 부스바(200)가 끼워진 상태에서 홀더(300)의 정면에 커버(500)를 볼트(B)로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홀더(300)에 끼워지는 부스바(200)가 이탈되지 않고 홀더(3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스바 지지구조는 상기 홀더(300)에 부스바(200)를 결합시 종래에서처럼 캐비닛에 결합되는 유니트를 빼낸 상태에서 캐비닛 내부에서 결합하지 않고 캐비닛(100)의 외부에서 부스바(200)가 결합되는 홀더(300)와 커버(50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캐비닛(100)에 유니트를 결합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부스바(200)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캐비닛
200 : 부스바
300 : 홀더
310 : 결합부
320 : 끼움부
330,510 : 볼트홀
400 : 고정부재
410 : 홈부
420 : 체결홀
500 : 커버
600 : 브라켓
B : 볼트

Claims (7)

  1. 전동기 제어반의 캐비닛 후면에 형성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부스바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후면에 형성되며 부스바를 결합시켜 지지하는 홀더와;
    상기 캐비닛의 후면 양쪽면에 형성되면서 홀더의 양측면이 끼워져 홀더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홀더의 정면에 고정되어 홀더에 끼워지는 부스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제어반의 부스바 지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정면에 부스바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가 형성되며, 양측면에 고정부재에 끼워지면서 홀더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끼움부가 형성되고, 정면 양쪽에 홀더를 고정부재에 볼트로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제어반의 부스바 지지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내측면에 중앙을 관통하여 홀더의 끼움부가 끼워져 홀더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되며, 정면에 홀더가 고정부재에 볼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제어반의 부스바 지지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은 홀더의 설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하로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제어반의 부스바 지지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캐비닛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브라켓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제어반의 부스바 지지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정면에는 홀더의 정면에 커버가 밀착되면서 홀더에 볼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제어반의 부스바 지지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와 커버는 부스바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절연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제어반 부스바 지지구조.
KR1020130165824A 2013-12-27 2013-12-27 전동기 제어반의 부스바 지지구조 KR101566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824A KR101566937B1 (ko) 2013-12-27 2013-12-27 전동기 제어반의 부스바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824A KR101566937B1 (ko) 2013-12-27 2013-12-27 전동기 제어반의 부스바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020A true KR20150077020A (ko) 2015-07-07
KR101566937B1 KR101566937B1 (ko) 2015-11-06

Family

ID=5378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824A KR101566937B1 (ko) 2013-12-27 2013-12-27 전동기 제어반의 부스바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9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941A (ko) 2017-02-24 2018-09-03 조규완 부스바 지지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668B1 (ko) 2009-07-10 2009-09-18 (주)시그너스시스템 조립식 모터 컨트롤 센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6937B1 (ko) 2015-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2093705A3 (en) A cabinet for mounting electronic equipment
US7858886B2 (en) Mounting bracket and method
US10045456B2 (en) Horizontal uninterrupted power supply design
KR101336969B1 (ko)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KR102163626B1 (ko) Mcsg 용 인출 모듈
KR101506670B1 (ko) 레일식 전원 분배장치
EP3151352A2 (en) System for isolating power conductors using cover assemblies
KR101566937B1 (ko) 전동기 제어반의 부스바 지지구조
JP6356863B1 (ja) 電力用盤
EP3855587B1 (en) Power supply apparatus
KR102208227B1 (ko) 메탈 클레드 스위치기어
JP2008084586A (ja) 天井吊り下げ型情報コンセント
CN103532025A (zh) 一种电控柜底板支架
KR101931786B1 (ko) 배전반 및 그 조립 방법
EP3273758B1 (en) Motor control center
KR101029293B1 (ko)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JP2001177927A (ja) 配電盤
CN210350454U (zh) 用于电气控制柜的易拆装布线槽
CN210201160U (zh) Ats控制器安装结构、机柜及电器设备
CN207134667U (zh) 一种电控设备安装支架
CN220341988U (zh) 一种配电母线槽装置及控制柜
CN215343479U (zh) 环形控制柜
JP6356864B1 (ja) 重量盤
KR102625538B1 (ko) 릴레이보드 탈부착형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CN217010237U (zh) 综合保护模组及具有其的开关电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