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6672A - Thermosensitive polymer prous sheet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mosensitive polymer sheet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hermosensitive polymer prous sheet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mosensitive polymer sheet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6672A
KR20150076672A KR1020130165161A KR20130165161A KR20150076672A KR 20150076672 A KR20150076672 A KR 20150076672A KR 1020130165161 A KR1020130165161 A KR 1020130165161A KR 20130165161 A KR20130165161 A KR 20130165161A KR 20150076672 A KR20150076672 A KR 20150076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porous sheet
thermosensitive
carbon nanotubes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1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88504B1 (en
Inventor
차봉준
문선경
김명중
Original Assignee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5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504B1/en
Publication of KR20150076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6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5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08J9/0071Nanosized fillers, i.e. having at least one dimension below 100 nanome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composition which has a high deformation rate due to a change in temperature to be suitably used as a temperature sensor, an actuator or the like, and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using the same.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cationic polyelectrolyte, an anionic polyelectrolyte, and a carbon nanotube.

Description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제조방법{Thermosensitive polymer prous sheet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mosensitive polymer sheet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composition and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using the thermosensitive polymer sheet,

본 발명은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의 변화에 따른 변형율이 높아 온도 센서 또는 액츄에이터(actuator) 등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sensitive polymer composition suitable for use as a temperature sensor or an actuato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using the same.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는 처음으로 Iijima가 전기방전법을 사용하여 발견한 이래 국내외적으로 이 새로운 탄소물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많은 연구가 진행중이다. Iijima가 처음으로 발견한 탄소나노튜브는 강철보다 200배가 더 강한 기계적 특성, 우수한 탄성률, 진공 상태에서 2800℃의 온도에서도 견디는 내열특성, 다이아몬드의 2배에 가까운 열전도도 및 구리와 비교하여 1000배가량 높은 전류 이송 능력 등을 보유하고 있어, 모든 공학분야에서의 응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Since the discovery of carbon nanotubes (CNTs) for the first time by Iijima using electric discharge methods, there has been much research on this new carbon material, which is growing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rest. The first carbon nanotube discovered by Iijima is 200 times stronger than steel and h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excellent elasticity, heat resistance to withstand 2800 ° C in vacuum, nearly twic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diamond, and about 1000 times that of copper High current transfer capability, etc., and is considered to be highly applicable in all engineering fields.

또한, 탄소나노튜브는 통상 직경이 1 내지 100나노미터(㎚)이고, 길이는 수 나노미터(㎚)부터 수십 마이크로미터(㎛)인 높은 종횡비(aspect ratio)를 갖는 탄소재료이다. 탄소나노튜브는 탄소 원자 1개가 3개의 다른 탄소 원자와 결합되어 이루어진 벌집모양의 평면형 탄소구조가 말려서 튜브모양을 하고 있다. 탄소나노튜브에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나노튜브를 구성하는 벽의 개수에 따라서는 다중벽 나노튜브(multi-walled nanotube, MWNT), 단일벽 나노튜브(single-walled nanotube, SWNT)로 나눌 수 있는데, 2개 이상의 벽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다중벽 나노튜브라 하고, 1개의 벽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단일벽 나노튜브라 한다.Carbon nanotubes are carbon materials having a high aspect ratio, usually having a diameter of 1 to 100 nanometers (nm) and a length of several nanometers (nm) to several tens of micrometers (占 퐉). Carbon nanotubes have a tubular shape with a honeycomb flat carbon structure in which one carbon atom is combined with three other carbon atoms. There are various kinds of carbon nanotub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walls constituting the nanotubes, they can be divided into multi-walled nanotubes (MWNTs) and single-walled nanotubes (SWNTs) Walled nanotube, and a single-walled nanotube is referred to as a multi-walled nanotube.

나아가, 탄소나노튜브는 높은 표면적과 종횡비로 인하여 기존의 탄소섬유에 비하여 훨씬 적은 양의 첨가만으로도 전기적 성질에서의 임계함량(percolation threshold;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복합체가 전기전도도를 나타내는 탄소나노튜브의 최소함량)을 이룰 수 있는 장점 역시 가지고 있다. 기존의 탄소섬유의 경우 통상적인 전기적 성질에서의 임계함량은 8 ~ 20 중량%임에 반해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경우 임계함량이 감소하며, Potschke는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한 연구결과 탄소나노튜브의 임계함량이 2중량%라고 보고한바 있다(European Polymer Journal 40 (2004) 137-148). 그러나 이값 역시 그다지 작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due to the high surface area and the aspect ratio, the carbon nanotube has a percolation threshold (the carbon nanotube / polymer complex exhibits the minimum electrical conductivity of carbon nanotubes Content) can be achieved. In the case of conventional carbon fibers, the critical content in conventional electrical properties is 8 to 20 wt%, whereas when carbon nanotubes are used, the critical content is reduced. Potschke's study of polycarbonate shows that the critical content of carbon nanotubes 2% by weight (European Polymer Journal 40 (2004) 137-148). Howev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is value was not too small.

또한, 탄소나노튜브는 높은 전기 전도성, 열적 안정성, 인장강도 및 복원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복합재료의 첨가제로 활용되고 있다.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기능성 복합재료를 만들기 위해서는 탄소나노튜브의 다발들을 효과적으로 용매에 분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된 고분자 복합재료를 만들기 위해 서는 고분자 매트릭스(matrix)에 탄소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탄소나노튜브는 긴 길이와 탄소나노튜브 상호 간의 강한 인력으로 인하여 용매에 대해 매우 낮은 분산도를 갖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carbon nanotubes are being utilized as additives for various composites due to their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thermal stability, tensile strength and stability. It is important to effectively disperse the bundles of carbon nanotubes in a solvent in order to form a functional composite material to which carbon nanotubes are added. For example, in order to produce a polymer composite in which carbon nanotubes are dispersed, it is necessary to uniformly disperse carbon nanotubes in a polymer matrix. However, the carbon nanotubes have a problem of having a very low dispersion degree with respect to the solvent due to the long length and the strong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carbon nanotubes.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탄소나노튜브에 대해 화학적 및 물리적 전처리(pre-treatment)과정을 통해 분산력을 갖게 함으로써 고분자 재료와 혼합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기술들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To solve these problems, techniques for mixing carbon nanotubes with a polymer material by providing a dispersion force through a chemical and physical pre-treatment process have been studied.

현재까지 알려진 방법으로는 주로 탄소나노튜브 소재 자체의 분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황산, 염산, 질산 등의 강산성 용액으로 탄소나노튜브 표면을 산화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강산성 용액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에 대한 처리가 어렵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산성용액으로 처리한 탄소나노튜브를 열건조 하는 경우,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increase the dispersibility of the carbon nanotube itself, there is a known method for oxidizing the surface of the carbon nanotube with strong acidic solution such as sulfuric acid, hydrochloric acid or nitric acid. Howev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carbon nanotubes treated with the acidic solution are thermally dried, the dispersibility of the carbon nanotubes is not sufficient.

한편, 일반적으로, 온도센서의 재료로는 금속, 세라믹, 혹은 이들의 복합체, 고분자 등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고분자재료를 이용하여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온도기능성을 부여한 고분자 센서재료가 연구개발되어 왔다.On the other hand, as a material of the temperature sensor, a metal, a ceramic, a complex thereof, a polymer, or the like is generally used. Among them, a polymeric sensor material has been developed which is provided with a temperature-sensitive function that reacts with temperature using a polymer material.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10-0094261(공개일자: 1994년05월20일)에는 도전성을 가진 카본블랙(Carbon Black)을 매체로 하여 고분자와의 합성에 의하여 얻어진 도전성 재료를 이용한 온도센서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Regarding this, in regard to a temperature sensor using a conductive material obtained by synthesizing with a polymer using carbon black having conductivity as a medium, reference is made to Patent Document 10-0094261 (published on May 20, 1994) .

종래의 경우 고분자 재료에 온도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분자에 도전성 재료를 강제 혼입하여 온도에 따른 고분자의 열수축 또는 팽창에 따른 저항변화로써 온도센서기능을 부여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온도센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니게 된다.Conventionally, a conductive material is forcedly mixed in a polymer to impart temperature functionality to the polymer material, and the temperature sensor function is imparted by the change in resistance due to heat shrinkage or expansion of the polymer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However, the temperature sensor manufactured by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method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로, 고분자에 도전성 재료를 강제 혼입할 때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변화율이 상호 일정한 함수관계가 되어야 하는데, 대체로 어떤 온도에서는 갑자기 저항이 올라가든지 또는 갑자기 저항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서 정확한 온도-저항의 계수를 맞추기가 상당히 어려운 문제가 있다.First, when a conductive material is mixed into a polymer, the rate of change in resistance with temperature changes must be a constant function. In general, the resistance increases suddenly at a certain temperature or suddenly decreases in resistance.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match.

둘째로, 고분자에 다량의 도전성 재료를 강제 혼입시키는 과정 속에서 고분자 및 도전성 재료가 파괴되어 기본특성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다.Secondly, polymer and conductive material are destroyed in the process of forcibly mixing a large amount of conductive material into a polymer, so that basic characteristics are often not obtained.

셋째로, 혼합물이기 때문에 얇은 두께의 제품가공이 어려워 매우 민감한 부위의 순간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Thirdly, since it is a mixture, it is difficult to process a product having a thin thickness, so that it is difficult to measure an instant at a very sensitive region.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종래의 고분자 센서와 달리 고분자에 도전성 재료를 강제로 혼입하지 않아 고분자 및 도전성 재료가 파괴되지 않으며, 얇은 두께로도 가공할 수 있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unlike a conventional polymer senso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mosensitive polymer A porous sheet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using the same are provided.

또한, 온도의 변화에 따른 변형율이 높아 온도 센서 또는 액츄에이터(actuator) 등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composition suitable for use as a temperature sensor, an actuator, or the like due to its high strain rate due to a change in temperatu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composition comprising a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an anionic polymer electrolyte and carbon nanotub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은 폴리알릴아민하이드로클로라이드(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AH),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PEI), 폴리디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폴리메타크릴록시에틸트리알킬암모늄 할라이드(polymethacryloxyethyltrialkyl ammonium halide), 폴리아릴아민클로라이드(polyallylamine chloride),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아미노에틸레이티드 폴리아크릴아미드(aminoethylated polyacrylamide), 폴리비닐아민(polyvinylamine), 호프만감성-폴리아크릴아미드(Hofman-degradated polyacrylamide), 폴리에틸렌아민(polyethyleamine), 양이온화 녹말(cationized starch) 및 키토산(chitosan)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AH), polyethylenimine (PEI),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But are not limited to, polymethacryloxyethyltrialkyl ammonium halides, polyallylamine chlorides, polyacrylamides, aminoethylated polyacrylamides, polyvinylamines,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ofman-degradated polyacrylamide, polyethyleamine, cationized starch, and chitosan.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은 폴리스티렌설포닉엑시드-코-말레익엑시드(polystyrenesulfonicacid-co-maleicacid), 폴리아크릴엑시드(polyacrylicacid), 폴리스티렌설포닉엑시드 (polystyrenesulfonicacid), 폴리메타아크릴엑시드(polymetacrylicacid), 폴리비닐포스페이트(polyvinylphosphate) 및 폴리4-암모늄스티렌설포닉엑시드(poly4-ammoniumstyrenesulfonicacid)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ionic polyelectrolyt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styrenesulfonic acid-co-maleic acid, polyacrylic acid, polystyrenesulfonic acid, polystyrenesulfonic acid, And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methacrylic acid, polyvinylphosphate, and poly4-ammonium styrenesulfonic acid.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다중벽나노튜브(MWNT)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n nanotube may be a multi-walled nanotube (MW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평균 직경 1 ~ 20 ㎚이고, 평균 길이 1 ~ 300 ㎛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n nanotubes may have an average diameter of 1 to 20 nm and an average length of 1 to 300 μm.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개질되지 않은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n nanotubes may not be physically and chemically modifi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탄소나노튜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1,000 중량부의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및 10 ~ 2,000 중량부의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may include 10 to 1,000 parts by weight of the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and 10 to 2,000 parts by weight of the anionic polymer electrolyt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n nanotubes.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조성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친수성 고분자 다공성 지지체로 여과하여 친수성 고분자 다공성 지지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 시트를 건조 및 열처리하여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a mixture by mixing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Filtering the mixture with a hydrophilic polymer porous support to prepare a polymer sheet comprising a hydrophilic polymer porous support; And drying and heat-treating the polymer sheet to produce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Sensitive porous polymeric porous shee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친수성 고분자 다공성 지지체는 셀룰로오스, 재생셀룰로오스, 아라미드, 폴리이서술폰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ophilic polymer porous support may include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regenerated cellulose, aramid, polyisophthalon, and nyl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과는 감압여과, 가압여과, 중력여과 및 열여과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r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group consisting of vacuum filtration, pressure filtration, gravity filtration and heat filtr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처리는 5 ~ 100 ㎫ 및 90 ~ 300℃에서 30분 ~ 1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treatment may be performed at 5 to 100 MPa and 90 to 300 ° C for 30 minutes to 1 hour.

나아가,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및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제1층; 상기 제1층의 하부에 형성되고, 탄소나노튜브 및 다공성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2층; 및 상기 제2층의 하부에 형성되고, 다공성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3층; 을 포함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다공성 시트를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el cell comprising a first layer comprising a carbon nanotube, a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and an anionic polymer electrolyte; A second layer formed below the first layer and including a carbon nanotube and a porous hydrophilic polymer; And a third layer formed below the second layer, the third layer comprising a porous hydrophilic polymer;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porous sheet comprising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porous shee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은 폴리알릴아민하이드로클로라이드(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AH),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PEI), 폴리디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폴리메타크릴록시에틸트리알킬암모늄 할라이드(polymethacryloxyethyltrialkyl ammonium halide), 폴리아릴아민클로라이드(polyallylamine chloride),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아미노에틸레이티드 폴리아크릴아미드(aminoethylated polyacrylamide), 폴리비닐아민(polyvinylamine), 호프만감성-폴리아크릴아미드(Hofman-degradated polyacrylamide), 폴리에틸렌아민(polyethyleamine), 양이온화 녹말(cationized starch) 및 키토산(chitosan)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AH), polyethylenimine (PEI),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But are not limited to, polymethacryloxyethyltrialkyl ammonium halides, polyallylamine chlorides, polyacrylamides, aminoethylated polyacrylamides, polyvinylamines,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ofman-degradated polyacrylamide, polyethyleamine, cationized starch, and chitosan.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은 폴리스티렌설포닉엑시드-코-말레익엑시드(polystyrenesulfonicacid-co-maleicacid), 폴리아크릴엑시드(polyacrylicacid), 폴리스티렌설포닉엑시드 (polystyrenesulfonicacid), 폴리메타아크릴엑시드(polymetacrylicacid), 폴리비닐포스페이트(polyvinylphosphate) 및 폴리4-암모늄스티렌설포닉엑시드(poly4-ammoniumstyrenesulfonicacid)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ionic polyelectrolyt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styrenesulfonic acid-co-maleic acid, polyacrylic acid, polystyrenesulfonic acid, And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methacrylic acid, polyvinylphosphate, and poly4-ammoniumstyrenesulfonic acid.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다중벽나노튜브(MWNT)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n nanotube may be a multi-walled nanotube (MW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평균 직경 1 ~ 20 ㎚이고, 평균 길이 1 ~ 300 ㎛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n nanotubes may have an average diameter of 1 to 20 nm and an average length of 1 to 300 μm.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셀룰로오스, 재생셀룰로오스, 아라미드, 폴리이서술폰 및 나일론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ophilic polym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regenerated cellulose, aramid, polyisophthalon, and nyl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다공성 시트는 25 ~ 120 ℃에서 시트상의 일측면 가열에 따라 측정한 변형율이 0.1 ~ 50%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porous sheet may have a strain of 0.1 to 50% measured at one side heating on a sheet at 25 to 120 ° C.

본 발명은 종래의 고분자 센서와 달리 고분자에 도전성 재료를 강제로 혼입하지 않아 고분자 및 도전성 재료가 파괴되지 않으며, 얇은 두께로도 가공할 수 있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다공성 시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다공성 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porous sheet composition which can be processed to a thin thickness without destroying the polymer and the conductive material because the polymer is not mixed with the conductive material forcibly, unlike the conventional polymer sensor, and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porous sheet production method.

또한, 온도의 변화에 따른 변형율이 높아 온도 센서 또는 액츄에이터(actuator) 등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다공성 시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다공성 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porous sheet composition suitable for use as a temperature sensor, an actuator, or the like due to a high strain rate due to a change in temperatu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emperature responsive polymer porous porous sheet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다공성 시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의 단면 SEM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제1층의 단면 SEM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제2층의 단면 SEM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제3층의 단면 SEM 사진이다.
도 6은 실험예 1에서 실시예 1의 고분자 시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고분자 시트이다.
도 7은 실험예 1에서 비교예 1의 고분자 시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고분자 시트이다.
도 8은 실험예 1에서 비교예 2의 고분자 시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고분자 시트이다.
도 9는 실험예 2에서 측정한 온도에 따른 변형율 그래프이다.
도 10은 실험예 2에서 측정한 29 ℃에서 핫플레이트 상의 고분자 시트 사진이다.
도 11은 실험예 2에서 측정한 122 ℃에서 핫플레이트 상의 고분자 시트 사진이다.
도 12는 실험예 2에서 측정한 84 ℃에서 핫플레이트 상의 고분자 시트 사진이다.
도 13은 실험예 2에서 측정한 30 ℃에서 핫플레이트 상의 고분자 시트 사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rous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SEM photograph of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prepared in Example 1. Fig.
3 is a cross-sectional SEM photograph of the first layer of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produced in Example 1. Fig.
4 is a sectional SEM photograph of the second layer of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produced in Example 1. Fig.
5 is a cross-sectional SEM photograph of the third layer of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prepared in Example 1. Fig.
6 is a polymer sheet prepared in Experimental Example 1 by using the polymer sheet composition of Example 1. Fig.
7 is a polymer sheet prepared by using the polymer sheet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in Experimental Example 1. Fig.
Fig. 8 is a polymer sheet prepared using the polymer sheet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2 in Experimental Example 1. Fig.
FIG. 9 is a graph of strai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measured in Experimental Example 2. FIG.
10 is a photograph of a polymer sheet on a hot plate at 29 DEG C measured in Experimental Example 2. FIG.
11 is a photograph of a polymer sheet on a hot plate at 122 DEG C measured in Experimental Example 2. Fig.
12 is a photograph of a polymer sheet on a hot plate at 84 DEG C measured in Experimental Example 2. FIG.
13 is a photograph of a polymer sheet on a hot plate at 30 DEG C measured in Experimental Example 2. Fig.

이하, 본 발명은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고분자에 도전성 재료를 강제로 혼입하여 제조한 고분자 센서는 어떤 온도에서는 갑자기 저항이 올라가든지 또는 갑자기 저항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서 정확한 온도-저항의 계수를 맞추기가 상당히 어려운 문제, 고분자에 다량의 도전성 재료를 강제 혼입시키는 과정 속에서 고분자 및 도전성 재료가 파괴되어 기본특성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은 문제 및 혼합물이기 때문에 얇은 두께의 제품가공이 어려워 매우 민감한 부위의 순간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the polymer sensor produced by forcibly mixing a conductive material into a polymer has a problem that the resistance suddenly rises suddenly at a certain temperature or abruptly decreases in resistanc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djust the coefficient of the accurate temperature-resistanc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ocess a thin part of the product because it is a problem and a mixture in which the polymer and the conductive material are broken and the basic characteristics are not exhibited in the process of forcibly mixing a large amou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into the conductive material .

이에 본 발명은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종래의 고분자 센서와 달리 고분자에 도전성 재료를 강제로 혼입하지 않아 고분자 및 도전성 재료가 파괴되지 않으며, 얇은 두께로도 가공할 수 있으며, 온도의 변화에 따른 변형율이 높아 온도 센서 또는 액츄에이터(actuator) 등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providing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composition comprising a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an anionic polymer electrolyte, and a carbon nanotube. Unlike a conventional polymer sensor, a conductive material is not forcedly mixed into a polymer so that the polymer and the conductive material are not destroyed. The polymer can be processed to have a small thickness, and the strain due to the temperature change is hig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composition suitable for use as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composition comprising a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an anionic polymer electrolyte and carbon nanotubes.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은 양이온성을 가지는 통상의 고분자 전해질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알릴아민하이드로클로라이드(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AH),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PEI), 폴리디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폴리메타크릴록시에틸트리알킬암모늄 할라이드(polymethacryloxyethyltrialkyl ammonium halide), 폴리아릴아민클로라이드(polyallylamine chloride),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아미노에틸레이티드 폴리아크릴아미드(aminoethylated polyacrylamide), 폴리비닐아민(polyvinylamine), 호프만감성-폴리아크릴아미드(Hofman-degradated polyacrylamide), 폴리에틸렌아민(polyethyleamine), 양이온화 녹말(cationized starch) 및 키토산(chitosan)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ationic polyelectroly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nventional polymer electrolyte having a cationic property, but is preferably a 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AH), a polyethyleneimine (PEI), a polydiaryldimethylammonium chloride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polymethacryloxyethyltrialkyl ammonium halide, polyallylamine chloride, polyacrylamide, aminoethylated polyacrylamide, polyvinylamine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amine, Hofman-degradated polyacrylamide, polyethyleamine, cationized starch, and chitosan.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은 음이온성을 가지는 통상의 고분자 전해질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설포닉엑시드-코-말레익엑시드(polystyrenesulfonicacid-co-maleicacid), 폴리아크릴엑시드(polyacrylicacid), 폴리스티렌설포닉엑시드 (polystyrenesulfonicacid), 폴리메타아크릴엑시드(polymetacrylicacid), 폴리비닐포스페이트(polyvinylphosphate) 및 폴리4-암모늄스티렌설포닉엑시드(poly4-ammoniumstyrenesulfonicacid)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nionic polyelectroly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n ordinary polymer electrolyte having an anionic property, but is preferably a polystyrenesulfonic acid-co-maleic acid, a polyacrylic acid, a polystyrene surfactant, And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styrenesulfonic acid, polymethacrylic acid, polyvinylphosphate and poly4-ammoniumstyrenesulfonic acid.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통상적으로 구매 및/또는 제조할 수 있는 탄소나노튜브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다중벽나노튜브(MWNT)를 사용할 수 있다.
The carbon nanotub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arbon nanotube that can be conventionally purchased and / or manufactured, but preferably a multiwalled nanotube (MWNT) can be used.

또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통상적으로 구매 및/또는 제조할 수 있는 탄소나노튜브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개질되지 않은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개질되지 않고, 평균 직경 1 ~ 20 ㎚이고, 평균 길이 1 ~ 300 ㎛인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수 있다.The carbon nanotubes may be carbon nanotubes that are not physically and chemically modified, but may be physically and chemically modified. Examples of the carbon nanotub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arbon nanotubes that are not chemically modified and have an average diameter of 1 to 20 nm and an average length of 1 to 300 占 퐉 can be used.

통상적으로 시트 또는 분리막에 첨가하는 탄소나노튜브는 산 또는 플라즈마로 표면을 개질한 것을 첨가하여 친수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개질되지 않은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개질로 인해 생기는 탄소나노튜브의 길이감소, 표면결함 등을 사전에 예방하여 탄소나노튜브 고유의 열적, 전기적 특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Carbon nanotubes added to sheets or separation membranes generally serve to increase the hydrophilicity by adding acid or plasma modified surfac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by manufacturing using carbon nanotubes that are not physically and chemically modifie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thermal and electrical properties inherent to the carbon nanotubes can be confirmed by preventing the decrease in the length of the carbon nanotubes and the surface defects caused by the carbon nanotubes.

만약, 평균 직경 20 ㎚를 초과하는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경우, 탄소나노튜브간의 접촉거리 (tunneling distance)가 증가하여 열전도 성능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f carbon nanotubes having an average diameter exceeding 20 nm are used, the tunneling distance between the carbon nanotubes may increase, which may result in a decrease in heat conduction performance.

나아가, 만약, 평균 길이 300 ㎛를 초과하는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경우, 제조 및 공급상 어려움이 있고 경제적으로 불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Further, if carbon nanotubes having an average length exceeding 300 μm are used, there is a difficulty in manufacturing and supplying the carbon nanotubes, which may cause economically disadvantageous problems.

더불어,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조성물은 탄소나노튜브,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및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이라면 그 함량을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탄소나노튜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1,000 중량부의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및 10 ~ 2,000 중량부의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ent of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ontains carbon nanotubes, a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and an anionic polymer electrolyte. Preferably,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composition contains 10 to 1,000 weight parts per 100 weight parts of carbon nanotubes A negative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and 10 to 2,000 parts by weight of an anionic polyelectrolyte.

만약, 탄소나노튜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미만의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할 경우, 음이온 전해질 간의 응집, 가교가 약하여 기계적 강도가 약한 불균일한 탄소나노튜브 층이 발생할 수 있으며, 탄소나노튜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0 중량부를 초과하는 양의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할 경우, 경제적으로 불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f the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less than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n nanotubes, uneven carbon nanotube layer having weak mechanical strength may be generated due to weak coagulation and crosslinking between the anionic electrolytes, If the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is contained in an amount exceeding 1,0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an economically disadvantageous problem may arise.

게다가, 만약, 탄소나노튜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미만의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할 경우, 탄소나노튜브와 음이온 전해질 간의 파이-파이 상호작용이 약하여 기계적 강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탄소나노튜브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00 중량부를 초과하는 양의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할 경우, 양이온 전해질 간의 결합 후 과잉의 음이온성 전해질 고분자를 세척하기 위해 과량의 물을 사용하는 등의 경제적으로 불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anionic polymer electrolyte contains less than 10 parts by weight of the anionic polymer electrolyt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n nanotubes, the pi-phyta interaction between the carbon nanotube and the anionic electrolyte may be weak, , And an anionic polyelectrolyte in an amount exceeding 2,0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n nanotubes, it is economically advantageous to use an excess amount of water to clean excess anionic electrolytic polymer after bonding between the cation electrolytes Disadvantages can arise.

한편, 탄소나노튜브와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또는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만을 포함할 경우, 비교예 1 내지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성형성이 좋지 않아 고분자 시트로 제조하기 적합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면 7 내지 8 참조).
On the other hand, when only the carbon nanotubes and the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or the anionic polymer electrolyte were included,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not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a polymer sheet because of poor moldability as seen in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To 8).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이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G. 1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은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조성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S1). First, a mixture is prepared by mixing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S1).

상기 혼합은 통상적으로 고체와 액체를 혼합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교반할 수 있다.The mix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ethod for mixing a solid and a liquid, but it can be preferably stirred.

상기 교반은 음이온 전해질 간의 균일한 상호작용 및 양이온 전해질 간의 균일한 응집을 위해 수행할 수 있으며, 교반 속도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100 ~ 1,000 rpm 에서 5 ~ 30 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The agitation can be carried out for uniform interaction between the anion electrolytes and uniform agitation between the cation electrolytes. The agitation spe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preferably 5 to 30 minutes at 100 to 1,000 rpm.

만약, 교반 속도가 100 rpm 미만일 경우, 탄소나노튜브와 음이온 및 양이온 전해질간의 균일한 응집이 어렵고, 시트 제조시 탄소나노튜브의 일부가 탈락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교반 속도가 1,000 rpm을 초과할 경우, 제조공정상 불리한 단점이 있을 수 있다.If the stirring speed is less than 100 rpm,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aggregate the carbon nanotubes with the anion and the cation electrolyte, and a part of the carbon nanotubes may fall off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sheet. If the stirring speed is 1,000 rpm If it is exceeded, there may be disadvantages of normal manufacturing process.

만약, 교반 시간이 5 분 미만일 경우, 탄소나노튜브와 음이온 및 양이온 전해질 간의 균일한 응집이 어렵고, 시트 제조시 탄소나노튜브의 일부가 탈락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교반 시간이 30 분을 초과할 경우, 제조공정상 불리한 단점이 있을 수 있다.
If the agitation time is less than 5 minutes,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aggregate the carbon nanotubes with the anion and the cation electrolyte, and a part of the carbon nanotubes may fall off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sheet. If the agitation time is 30 minutes If it is exceeded, there may be disadvantages of normal manufacturing process.

다음, 상기 혼합물을 친수성 고분자 다공성 지지체로 여과하여 친수성 고분자 다공성 지지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시트를 제조한다(S2).Next, the mixture is filtered with a hydrophilic polymer porous support to produce a polymer sheet comprising a hydrophilic polymer porous support (S2).

상기 친수성 고분자 다공성 지지체는 통상적인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다공성 시트 또는 막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 재생셀룰로오스, 아라미드, 폴리이서술폰 및 나일론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하고 평균 두께 100 ~ 400 ㎛의 시트 또는 막일 수 있다. The hydrophilic polymer porous support may be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regenerated cellulose, aramid, polyisophthalon, and nylon, although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porous sheet or membrane including a common hydrophilic polymer. , More preferably a sheet or a film containing at least one of the above-mentioned groups and having an average thickness of 100 to 400 mu m.

만약, 평균 두께 100 ㎛ 미만의 친수성 고분자 다공성 지지체를 사용할 경우, 기계적 강도가 약하여 여과시 리크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평균 두께 400 ㎛를 초과하는 친수성 고분자 다공성 지지체를 사용할 경우, 여과시간이 증가하여 경제적으로 불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f a hydrophilic polymer porous support having an average thickness of less than 100 탆 is used, mechanical strength may be weak and leakage may occur during filtration. If a hydrophilic polymer porous support having an average thickness exceeding 400 탆 is used, Which may cause economically disadvantageous problems.

또한, 상기 친수성 고분자 다공성 지지체는 통상적으로 기공을 가지는 것이라면 기공도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기공도 20 ~ 85%의 친수성 고분자 다공성 지지체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ydrophilic polymer porous support usually has pores, but the porosit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 hydrophilic polymer porous support having a porosity of 20 to 85% can be used.

만약, 기공도 20 % 미만의 친수성 고분자 다공성 지지체를 사용할 경우, 여과시간이 증가하여 경제적으로 불리하고 탄소나노튜브의 일부가 다공성 지지층 내로 삽입되기 어려워 열변형률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기공도 85 %를 초과하는 친수성 고분자 다공성 지지체를 사용할 경우, 기계적 강도가 약하여 불균일한 시트가 제조될 수 있거나 탄소나노튜브의 일부가 과량 삽입되어 열변형률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f a hydrophilic polymer porous support having a porosity of less than 20% is used, the filtration time increases, which is economically disadvantageous, and a part of the carbon nanotube is hardly inserted into the porous support layer, When a hydrophilic polymer porous support having a porosity of more than 85% is used, a non-uniform sheet may be produced due to a low mechanical strength, or a part of the carbon nanotubes may be excessively inserted, resulting in a problem of low heat strain.

상기 여과는 통상적으로 혼합물을 다공성 시트(또는 막)으로 여과하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감압여과, 가압여과, 중력여과 및 열여과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r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ethod of filtering the mixture with a porous sheet (or membrane), but it may preferably include at least one ki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acuum filtration, pressure filtration, gravity filtration and heat filtration.

다음으로, 상기 고분자 시트를 건조 및 열처리하여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를 제조한다(S3).Next, the polymer sheet is dried and heat-treated to produce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S3).

상기 건조는 통상적으로 고분자 시트를 건조하는 조건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탈수 및 건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분 ~ 1 시간 동안 20 ~ 80℃에서 건조할 수 있다. The dry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ndition for drying the polymer sheet, but it is preferably dehydrated and dried, and more preferably from 20 to 80 ° C for 30 minutes to 1 hour.

만약, 30 시간 미만으로 건조할 경우, 과량의 물을 함유하여 열처리시 바람직한 형태의 시트가 제조되기 어려워 제조공정상 불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1 시간을 초과하여 건조할 경우, 적절한 건조 시간을 초과하여 경제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f it is dried for less than 30 hours, excessive water may be contained and it may be difficult to produce a sheet of the desired shape upon heat treatment, which may cause a problem of normal manufacturing. If drying is performed for more than 1 hour, Economic problems can arise.

만약, 20℃ 미만의 온도에서 건조할 경우, 건조가 미미하고 과량의 물을 함유하여 열처리시 바람직한 형태의 시트가 제조되기 어려워 제조공정상 불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8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건조할 경우, 급격한 수분감소로 수축 등의 시트형태가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f drying i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lower than 20 ° C, the drying is insufficient and excessive water is contain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produce a sheet having a desired shape at the time of heat treatment. , There may arise a problem that sheet shape such as shrinkage becomes uneven due to rapid decrease of moisture.

상기 열처리는 통상적으로 고분자 시트를 제조하는 공정에 사용되는 열처리 공정의 온도조건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5 ~ 100 ㎫ 및 90 ~ 300℃에서 30분 ~ 1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The heat treat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temperature condition of a heat treatment process used in a process of producing a polymer sheet, but it may preferably be performed at 5 to 100 MPa and at 90 to 300 ° C for 30 minutes to 1 hour.

만약, 90 ℃ 미만의 온도로 처리할 경우, 양이온 및 음이온 전해질 간의 정전기적 가교결합이 충분치 못해 균일한 탄소나노튜브층의 형성이 문제가 될 수 있으며, 30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처리할 경우, 전해질, 다공성 지지체의 부분적인 열분해 및 다공성 지지체와의 계면접착력 증가로 온도에 따른 시트의 열변형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f treated at a temperature of less than 90 ° C., the electrochemical cross-linking between the cation and the anion electrolyte is not sufficient, and formation of a uniform carbon nanotube layer may be a problem. When treated at a temperature exceeding 300 ° C., The thermal deformation of the electrolyte, the porous support, and the interfacial adhesion between the porous support and the porous support may reduce the thermal deformation of the sheet due to the temperature.

만약, 30분 미만의 시간으로 열처리를 수행할 경우, 탄소나노튜브 층과 다공성 지지체층 간의 계면접착이 충분치 못해 균일한 시트 형성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1 시간을 초과하는 시간 동안 열처리를 수행할 경우, 경제적으로 불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f th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for less than 30 minutes, interfacial adhesion between the carbon nanotube layer and the porous support layer may not be sufficient, resulting in difficulty in forming a uniform sheet, and heat treatment may be performed for more than 1 hour This can lead to economically disadvantageous problems.

만약 5 ㎫ 미만의 압력으로 열처리하게 되면 탄소나노튜브의 다공성 지지체층으로의 삽입이 충분치 않아 열변형률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100 ㎫을 초과하는 압력으로 열처리하게 되면 탄소나노튜브의 다공성 지지체층으로의 과도한 삽입 및 두께 감소로 열변형률 역시 좋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f th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at a pressure of less than 5 MPa, insertion of the carbon nanotubes into the porous support layer may not be sufficient, and heat strain may be reduced. If th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at a pressure exceeding 100 MPa, And the thermal deformation rate may also be poor.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는 통상적인 고분자 시트의 두께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200 ~ 600 ㎛ 두께일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the thickness of a conventional polymer sheet, but it may preferably be 200 to 600 탆 thick.

만약, 200 ㎛ 미만의 두께로 고분자 시트를 제조할 경우, 탄소나노튜브층과 다공성 지지체층 간의 구분이 명확치 않고 각 층간의 열변형률 차이가 크지 않아 열변형률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600 ㎛를 초과하는 두께로 고분자 시트를 제조할 경우, 시트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 온도에 따른 열변형이 억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When a polymer sheet having a thickness of less than 200 μm is produc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arbon nanotube layer and the porous support layer is unclear and the thermal strain difference between the respective layers is not large, When the polymer sheet is produced at a thickness exceeding 占 퐉, the thickness of the sheet is too thick, so that the thermal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may be suppresse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를 나타내는 SEM 사진으로서 이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G. 2 is a SEM photograph showing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탄소나노튜브,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및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제1층(210)을 설명한다.First, a first layer 210 including a carbon nanotube, a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and an anionic polymer electrolyte will be described.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통상적으로 구매 및/또는 제조할 수 있는 탄소나노튜브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다중벽나노튜브(MWNT)를 사용할 수 있다.
The carbon nanotub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arbon nanotube that can be conventionally purchased and / or manufactured, but preferably a multiwalled nanotube (MWNT) can be used.

나아가,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통상적으로 구매 및/또는 제조할 수 있는 탄소나노튜브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개질되지 않은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개질되지 않고, 평균 직경 1 ~ 20 ㎚이고, 평균 길이 1 ~ 300 ㎛인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수 있다.Further, the carbon nanotub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arbon nanotube that can be conventionally purchased and / or manufactured, but it is preferable to use carbon nanotubes that are not physically and chemically modified, Carbon nanotubes that are not chemically modified and have an average diameter of 1 to 20 nm and an average length of 1 to 300 占 퐉 can be used.

통상적으로 시트 또는 분리막에 첨가하는 탄소나노튜브는 산 또는 플라즈마로 표면을 개질한 것을 첨가하여 친수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개질되지 않은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개질로 인해 생기는 탄소나노튜브의 길이감소, 표면결함 등을 사전에 예방하여 탄소나노튜브 고유의 열적, 전기적 특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Carbon nanotubes added to sheets or separation membranes generally serve to increase the hydrophilicity by adding acid or plasma modified surfac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by manufacturing using carbon nanotubes that are not physically and chemically modifie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thermal and electrical properties inherent to the carbon nanotubes can be confirmed by preventing the decrease in the length of the carbon nanotubes and the surface defects caused by the carbon nanotubes.

만약, 평균 직경 1㎚를 초과하는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경우,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경우, 탄소나노튜브간의 접촉거리 (tunneling distance)가 증가하여 열전도 성능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f carbon nanotubes having an average diameter exceeding 1 nm are used, the tunneling distance between the carbon nanotubes may increase,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thermal conductivity.

나아가, 만약, 평균 길이 300 ㎛를 초과하는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경우, 제조 및 공급상 어려움이 있고 경제적으로 불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Further, if carbon nanotubes having an average length exceeding 300 μm are used, there is a difficulty in manufacturing and supplying the carbon nanotubes, which may cause economically disadvantageous problems.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은 양이온성을 가지는 통상의 고분자 전해질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알릴아민하이드로클로라이드(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AH),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PEI), 폴리디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폴리메타크릴록시에틸트리알킬암모늄 할라이드(polymethacryloxyethyltrialkyl ammonium halide), 폴리아릴아민클로라이드(polyallylamine chloride),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아미노에틸레이티드 폴리아크릴아미드(aminoethylated polyacrylamide), 폴리비닐아민(polyvinylamine), 호프만감성-폴리아크릴아미드(Hofman-degradated polyacrylamide), 폴리에틸렌아민(polyethyleamine), 양이온화 녹말(cationized starch) 및 키토산(chitosan)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tionic polyelectroly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nventional polymer electrolyte having a cationic property, but is preferably a 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AH), a polyethyleneimine (PEI), a polydiaryldimethylammonium chloride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polymethacryloxyethyltrialkyl ammonium halide, polyallylamine chloride, polyacrylamide, aminoethylated polyacrylamide, polyvinylamine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amine, Hofman-degradated polyacrylamide, polyethyleamine, cationized starch, and chitosan.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은 음이온성을 가지는 통상의 고분자 전해질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설포닉엑시드-코-말레익엑시드(polystyrenesulfonicacid-co-maleicacid), 폴리아크릴엑시드(polyacrylicacid), 폴리스티렌설포닉엑시드 (polystyrenesulfonicacid), 폴리메타아크릴엑시드(polymetacrylicacid), 폴리비닐포스페이트(polyvinylphosphate) 및 폴리4-암모늄스티렌설포닉엑시드(poly4-ammoniumstyrenesulfonicacid)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nionic polyelectroly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n ordinary polymer electrolyte having an anionic property, but is preferably a polystyrenesulfonic acid-co-maleic acid, a polyacrylic acid, a polystyrene surfactant, And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styrenesulfonic acid, polymethacrylic acid, polyvinylphosphate and poly4-ammoniumstyrenesulfonic acid.

상기 제1층의 평균 두께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고분자 시트의 두께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60 ~ 120 ㎛일 수 있다.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usually the thickness of the polymer sheet to be used, but it may preferably be 60 to 120 탆.

만약, 제1층의 평균 두께가 60 ㎛ 미만이면, 열변형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제1층의 평균 두께가 120 ㎛를 초과하면, 탄소나노튜브의 강직성으로 열변형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is less than 60 占 퐉, there may arise a problem that the thermal strain rate decreases. 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exceeds 120 占 퐉, the problem that the thermal strain rate decreases due to the rigidity of the carbon nanotube May occur.

다음, 상기 제1층의 하부에 형성되고, 탄소나노튜브 및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2층(220)을 설명한다.Next, the second layer 220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layer and including the carbon nanotubes and the hydrophilic polymer will be described.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통상적으로 구매 및/또는 제조할 수 있는 탄소나노튜브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다중벽나노튜브(MWNT)를 사용할 수 있다.
The carbon nanotub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arbon nanotube that can be conventionally purchased and / or manufactured, but preferably a multiwalled nanotube (MWNT) can be used.

게다가,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통상적으로 구매 및/또는 제조할 수 있는 탄소나노튜브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개질되지 않은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개질되지 않고, 평균 직경 1 ~ 20 ㎚이고, 평균 길이 1 ~ 300 ㎛인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bon nanotub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arbon nanotube that can be conventionally purchased and / or manufactured, but it is preferable to use carbon nanotubes that are not physically and chemically modified, Carbon nanotubes that are not chemically modified and have an average diameter of 1 to 20 nm and an average length of 1 to 300 占 퐉 can be used.

통상적으로 시트 또는 분리막에 첨가하는 탄소나노튜브는 산 또는 플라즈마로 표면을 개질한 것을 첨가하여 친수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개질되지 않은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개질로 인해 생기는 탄소나노튜브의 길이감소, 표면결함 등을 사전에 예방하여 탄소나노튜브 고유의 열적, 전기적 특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Carbon nanotubes added to sheets or separation membranes generally serve to increase the hydrophilicity by adding acid or plasma modified surfac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by manufacturing using carbon nanotubes that are not physically and chemically modifie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thermal and electrical properties inherent to the carbon nanotubes can be confirmed by preventing the decrease in the length of the carbon nanotubes and the surface defects caused by the carbon nanotubes.

만약, 평균 직경 20㎚를 초과하는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경우,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경우, 탄소나노튜브간의 접촉거리 (tunneling distance)가 증가하여 열전도 성능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f carbon nanotubes having an average diameter exceeding 20 nm are used, the tunneling distance between the carbon nanotubes may increase, resulting in a decrease in heat conduction performance.

나아가, 만약, 평균 길이 300 ㎛를 초과하는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경우, 제조 및 공급상 어려움이 있고 경제적으로 불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Further, if carbon nanotubes having an average length exceeding 300 μm are used, there is a difficulty in manufacturing and supplying the carbon nanotubes, which may cause economically disadvantageous problems.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통상적으로 고분자 시트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 재생셀룰로오스, 아라미드, 폴리이서술폰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ydrophilic 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used in the production of a polymer sheet, but may preferably include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regenerated cellulose, aramid, polyisapharm, and nylon.

상기 제2층의 평균 두께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고분자 시트의 두께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80 ~ 150 ㎛일 수 있다.The average thickness of the second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the thickness of the polymer sheet to be used, but it may preferably be 80 to 150 탆.

만약, 제2층의 평균 두께가 80 ㎛미만이면, 열변형율이 감소하고 열변형시 탄소나노튜브층과 다공성 지지체 층간의 박리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제2층의 평균 두께가 150 ㎛를 초과하면, 두께 증가에 의해 열변형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second layer is less than 80 占 퐉, the thermal deformation rate may decrease and a problem of peeling between the carbon nanotube layer and the porous support layer may occur during thermal deformation. 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second layer exceeds 150 占 퐉 , There may arise a problem that the thermal strain rate de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thickness.

다음으로, 상기 제2층의 하부에 형성되고,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3층(230)을 설명한다.Next, the third layer 230 formed below the second layer and including the hydrophilic polymer will be described.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통상적으로 고분자 시트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 재생셀룰로오스, 아라미드, 폴리이서술폰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ydrophilic 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used in the production of a polymer sheet, but may preferably include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regenerated cellulose, aramid, polyisapharm, and nylon.

상기 제3층의 평균 두께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고분자 시트의 두께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150 ~ 250 ㎛일 수 있다.The average thickness of the third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usually the thickness of the polymer sheet to be used, but it may preferably be 150 to 250 탆.

만약, 제3층의 평균 두께가 150 ㎛미만이면, 제1층과 제2층 간의 열변형률 차이가 미미하여 열변형율이 좋지않고, 제3층의 평균 두께가 250 ㎛를 초과하면, 두께증가로 열변형율이 좋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third layer is less than 150 占 퐉, the difference in thermal strai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ayers is insignificant and the thermal strain rate is not good. 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third layer exceeds 250 占 퐉, A problem that the strain rate is not good may occur.

나아가,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는 통상적인 고분자 시트의 두께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200 ~ 600 ㎛ 두께일 수 있다. Further, the thickness of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thickness of the conventional polymer sheet is 20 to 600 μm.

만약, 200 ㎛ 미만의 두께로 고분자 시트를 제조할 경우, 탄소나노튜브층과 다공성 지지체층 간의 구분이 명확치 않고 각 층간의 열변형률 차이가 크지 않아 열변형률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600 ㎛를 초과하는 두께로 고분자 시트를 제조할 경우, 시트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 온도에 따른 열변형이 억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When a polymer sheet having a thickness of less than 200 μm is produc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arbon nanotube layer and the porous support layer is unclear and the thermal strain difference between the respective layers is not large, When the polymer sheet is produced at a thickness exceeding 占 퐉, the thickness of the sheet is too thick, so that the thermal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may be suppressed.

더불어,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는 25 ~ 120 ℃에서온도증가에 따른 길이변형을 사진으로 측정한 뒤 계산한 변형율이 0.1 ~ 50%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may have a calculated deformation rate of 0.1 to 50% after measuring the length deformation of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at 25 to 120 ° C with temperature increase.

구체적으로, 실험예 2 및 도면 9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율이 높으며, 이로 인해 온도 센서 또는 액츄에이터(actuator) 등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pecifically, as can be seen in Experimental Example 2 and FIG. 9, the deformation rat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was high,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suitable for use as a temperature sensor or an actuator.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 실시예Example ]]

실시예Example 1.  One.

다중벽탄소나노튜 (한화케미칼, CM250, 평균 직경 10 ~ 15 ㎚, 평균 길이 200 ㎛)1 g, 폴리스티렌설포닉엑시스-말레익엑시드 (알드리치사, Mw: 20,000) 10g을 증류수 500ℓ에 투입한 후 500rpm의 교반 속도로 3분간 교반하였다. 여기에 폴리디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Aldrich, MW350,000) 5g을 추가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이후 약 10분간 추가로 교반하여 온도감응성 고분자 시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진공수단(advantec사, aspirator)이 부착된 필터플라스크와 연결된 펀넬 내에 다공성 셀룰로오스 시트(whatman, 5B, 직경 185 ㎜)를 장착한 후 상기 시트 조성물을 펀넬 내에 투입하여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 시트 조성물을 감압여과하여 고분자 시트를 제조하였다.1 g of a multiwall carbon nanotube (Hanwha Chemical, CM250, average diameter 10 to 15 nm, average length 200 탆) and 10 g of polystyrene sulfonic acid-maleic acid (Mw: 20,000) were added to 500 L of distilled water The mixture was stirred at a stirring speed of 500 rpm for 3 minutes. To this, 5 g of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Aldrich, MW 350,000) was further added to disperse uniformly. Thereafter, the mixture was further stirred for about 10 minutes to prepare a thermosensitive polymer sheet composition. Then, a porous cellulose sheet (whatman, 5B, 185 mm in diameter) was mounted in a funnel connected with a vacuum flask equipped with an aspirator, and the sheet composition was placed in a funnel to decompress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sheet composition Followed by filtration to prepare a polymer sheet.

이후 펀넬에서 분리된 고분자시트를 30 ℃의 조건하에서 40분간 건조한 후 170℃ 및 20 ㎫에서 1 시간 동안 가압 열처리하여 온도감응성 고분자 시트를 제조하였다.Thereafter, the polymer sheet separated from the funnel was dried at 30 ° C. for 40 minutes, and then subjected to pressure heat treatment at 170 ° C. and 20 MPa for 1 hour to prepare a thermosensitive polymer sheet.

제조한 온도감응성 고분자 시트의 단면은 전자주사현미경(SEM, SNE-3000M)으로 촬영하여 도면 2에 나타내었고, 도 2의 단면 중 제1층(210)은 SEM 으로 촬영하여 도면 3에, 도 2의 단면 중 제2층(220)은 SEM으로 촬영하여 도면 4에, 도 2의 단면 중 제3층(230)은 SEM으로 촬영하여 도면 5에 나타냈다.
The cross section of the manufactured thermosensitive polymer sheet was photograph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SNE-3000M) and shown in Fig. 2. The first layer 210 of the section of Fig. 2 was photographed by SEM, The second layer 220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layer 220 is photographed by SEM, and the third layer 230 of the cross section of FIG. 2 is photographed by SEM and is shown in FIG.

도 3 내지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층 및 제2층에 존재하는 탄소나노튜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3층에는 탄소나노튜브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can be seen from Figs. 3 to 4, carbon nanotubes existing i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could be identified. Also, as can be seen from FIG. 5, it was confirmed that carbon nanotubes were not present in the third layer.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시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 polymer sheet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anionic polymer electrolyte was not us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2.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시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 polymer sheet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was not used.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성형성 평가 1. Formability Evaluation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고분자 시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고분자 시트를 제조하였으며, 상기 고분자 시트의 성형성을 평가하였다.A polymer sheet was prepared using the polymer sheet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nd the moldability of the polymer sheet was evaluated.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고분자 시트 조성물을 각각 진공 플라스크 내에 부은 후 진공탈수하여 고분자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고분자 시트는 30 ℃의 조건하에서 40분간 건조한 후 170 ℃ 및 20 ㎫에서 1 시간 동안 가압 열처리하였다.Specifically, the polymer sheet compositions prepar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were respectively poured into a vacuum flask and dehydrated in vacuo to prepare a polymer sheet. The polymer sheet thus prepared was dried under the condition of 30 캜 for 40 minutes and then subjected to pressure heat treatment at 170 캜 and 20 MPa for 1 hour.

제조한 고분자 시트는 도면 6 내지 8에 나타냈으며, 도 6은 실시예 1의 고분자 시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고분자 시트, 도 7는 비교예 1의 고분자 시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고분자 시트, 도 8는 비교예 2의 고분자 시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고분자 시트이다.
6 to 8 show a polymer sheet prepared using the polymer sheet composition of Example 1, FIG. 7 shows a polymer sheet prepared by using the polymer sheet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8 is a polymer sheet prepared using the polymer sheet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2. Fig.

도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및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고분자 시트 조성물은 성형성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6, it was found that the polymer sheet composition comprising the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and the anionic polyelectrolyte of Example 1 was excellent in moldability.

도 7 내지 8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만 포함하는 고분자 시트 조성물 및 비교예 2의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고분자 시트 조성물은 성형성이 낮아 균일하고 평평한 시트 형태를 제조하기 적합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FIGS. 7 to 8, the polymer sheet composition including only the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polymer sheet composition including the anionic polymer electrolyte of Comparative Example 2 had a low formability, resulting in a uniform and flat sheet form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ot suitable for production.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조성물은 성형성이 뛰어나 고분자 시트 제조에 적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moldability and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a polymer sheet.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2. 온도에 따른 변형 측정 2. Measurement of strain according to temperature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의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율을 측정하였다. The strain of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prepared in Example 1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구체적으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직경 15 ㎝)를 8.6 ㎝ × 2.0 ㎝ × 0.423 ㎝ (가로 × 세로 × 두께)로 절삭하고, 절삭한 고분자 시트를 핫플레이트에 올리고 29 ℃에서 125 ℃까지 승온하면서 고분자 시트의 가로 길이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이후 125 ℃에서 30 ℃까지 감온하면서 고분자 시트의 가로 길이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고분자 시트의 가로 길이 및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고분자 시트의 변형율을 계산하였으며, 계산 결과는 도면 9에 나타냈다.Specifically,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diameter 15 cm) prepared in Example 1 was cut to 8.6 cm x 2.0 cm x 0.423 cm (width x length x thickness), the cut polymer sheet was placed on a hot plate, The change in the transverse length of the polymer sheet was measured while the temperature was elevated to 125 ° C, and the change in the transverse length of the polymer sheet was measured while the temperature was lowered from 125 ° C to 30 ° C. The strain rate of the polymer sheet was calculated using the transverse length of the measured polymer sheet and the following equation (1), and the calculation results are shown in FIG.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또한, 승온 시작 온도인 29 ℃에서 핫플레이트 상의 고분자 시트 사진은 도면 10에, 감온 시작 온도인 122 ℃에서 핫플레이트 상의 고분자 시트 사진은 도면 11에, 온도에 따른 변형율 중 가장 큰 변형율을 보인 84 ℃에서 핫플레이트 상의 고분자 시트 사진은 도면 12에, 감온 과정 중 최종 온도인 30 ℃에서 핫플레이트 상의 고분자 시트 사진은 도면 13에 나타냈다.
The polymer sheet on the hot plate at 29 ° C, which is the temperature for starting the heating, is shown in FIG. 10, and the polymer sheet on the hot plate at 122 ° C for the temperature for starting the temperature sensing is shown in FIG. 12 is a photograph of a polymer sheet on a hot plate, and FIG. 13 is a photograph of a polymer sheet on a hot plate at a final temperature of 30 ° C during a warming process.

도 9 내지 1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승온 및 감온과 같은 온도 변화에 따라 실시예 1의 고분자 시트는 변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80 ℃에서 125 ℃로의 승온 및 110 ℃에서 35 ℃로의 감온에서 큰 변형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can be seen from Figs. 9 to 13, it was confirmed that the polymer sheet of Example 1 was deform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such as the temperature increase and the temperature decrease. Particularly, the temperature rise from 125 deg. C to 80 deg. C,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showed a large strain rate.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조성물은 얇은 두께로 가공할 수 있으며 높은 성형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는 온도의 변화에 따른 변형율이 높아 온도 센서 또는 액츄에이터(actuator) 등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As can be seen from Examples, Comparative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it was confirmed that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cessed to a thin thickness and has high moldability. In addition, the temperature responsive polymer porous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strain rate due to a change in temperature, which is suitable for use as a temperature sensor or an actuator.

Claims (20)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조성물.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composition comprising a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an anionic polymer electrolyte, and a carbon nano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은 폴리알릴아민하이드로클로라이드(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AH),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PEI), 폴리디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폴리메타크릴록시에틸트리알킬암모늄 할라이드(polymethacryloxyethyltrialkyl ammonium halide), 폴리아릴아민클로라이드(polyallylamine chloride),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아미노에틸레이티드 폴리아크릴아미드(aminoethylated polyacrylamide), 폴리비닐아민(polyvinylamine), 호프만감성-폴리아크릴아미드(Hofman-degradated polyacrylamide), 폴리에틸렌아민(polyethyleamine), 양이온화 녹말(cationized starch) 및 키토산(chitosan)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조성물.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AH), polyethylenimine (PEI),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polymethacryloxyethyltrialkyl But are not limited to, polymethacryloxyethyltrialkyl ammonium halide, polyallylamine chloride, polyacrylamide, aminoethylated polyacrylamide, polyvinylamine, Hoffmann emulsion-polyacrylamide Wherein the thermally responsive polymeric porous sheet composition comprise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ofman-degraded polyacrylamide, polyethylamine, cationized starch, and chitosa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은 폴리스티렌설포닉엑시드-코-말레익엑시드(polystyrenesulfonicacid-co-maleicacid), 폴리아크릴엑시드(polyacrylicacid), 폴리스티렌설포닉엑시드 (polystyrenesulfonicacid), 폴리메타아크릴엑시드(polymetacrylicacid), 폴리비닐포스페이트(polyvinylphosphate) 및 폴리4-암모늄스티렌설포닉엑시드(poly4-ammoniumstyrenesulfonicacid)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조성물.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nionic polyelectrolyt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styrenesulfonic acid-co-maleic acid, polyacrylic acid, polystyrenesulfonic acid, polymethacrylic acid, wherein the thermally sensitive polymeric porous sheet composition comprise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methacrylic acid, polyvinylphosphate, and poly4-ammoniumstyrenesulfonic ac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다중벽나노튜브(MW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조성물.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rbon nanotubes are multi-wall nanotubes (MW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평균 직경 1 ~ 20 ㎚이고, 평균 길이 1 ~ 3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조성물.5. The thermosensitive polymeric porous sheet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arbon nanotubes have an average diameter of 1 to 20 nm and an average length of 1 to 300 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개질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조성물.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rbon nanotubes are not physically and chemically modif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탄소나노튜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1,000 중량부의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및 10 ~ 2,000 중량부의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조성물.The thermosensitive polymeric porous sheet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osition comprises 10 to 1,000 parts by weight of the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and 10 to 2,000 parts by weight of the anionic polyelectrolyt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n nanotubes.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조성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친수성 고분자 다공성 지지체로 여과하여 친수성 고분자 다공성 지지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 시트를 건조 및 열처리하여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제조방법.
7. A method for preparing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composition, comprising: mixing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o prepare a mixture;
Filtering the mixture with a hydrophilic polymer porous support to prepare a polymer sheet comprising a hydrophilic polymer porous support; And
Drying and heat-treating the polymer sheet to produce a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Wherein the thermally responsive polymer porous sheet comprises a thermally responsive polym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 다공성 지지체는 셀룰로오스, 재생셀룰로오스, 아라미드, 폴리이서술폰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hydrophilic polymer porous support comprise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regenerated cellulose, aramid, polyisophthalon, and nyl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는 감압여과, 가압여과, 중력여과 및 열여과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ltration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acuum filtration, pressure filtration, gravity filtration, and heat filtr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5 ~ 100 ㎫ 및 90 ~ 300℃에서 30분 ~ 1 시간 동안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at 5 to 100 MPa and at 90 to 300 캜 for 30 minutes to 1 hou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시트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제1층;
상기 제1층의 하부에 형성되고, 탄소나노튜브 및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2층; 및
상기 제2층의 하부에 형성되고,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3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제조방법.
The polymer sheet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polymer sheet
A first layer comprising carbon nanotubes;
A second layer formed below the first layer and including carbon nanotubes and a hydrophilic polymer; And
A third layer formed below the second layer and including a hydrophilic polymer;
Wherein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comprises a thermosensitive polymer.
탄소나노튜브,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및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제1층;
상기 제1층의 하부에 형성되고, 탄소나노튜브 및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2층; 및
상기 제2층의 하부에 형성되고,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3층;
을 포함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A first layer comprising a carbon nanotube, a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and an anionic polymer electrolyte;
A second layer formed below the first layer and including carbon nanotubes and a hydrophilic polymer; And
A third layer formed below the second layer and including a hydrophilic polymer;
Wherein the temperature-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is a thermosensitive polym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은 폴리알릴아민하이드로클로라이드(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AH),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PEI), 폴리디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폴리메타크릴록시에틸트리알킬암모늄 할라이드(polymethacryloxyethyltrialkyl ammonium halide), 폴리아릴아민클로라이드(polyallylamine chloride),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아미노에틸레이티드 폴리아크릴아미드(aminoethylated polyacrylamide), 폴리비닐아민(polyvinylamine), 호프만감성-폴리아크릴아미드(Hofman-degradated polyacrylamide), 폴리에틸렌아민(polyethyleamine), 양이온화 녹말(cationized starch) 및 키토산(chitosan)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ationic polyelectrolyt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AH), polyethylenimine (PEI),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polymethacryloxyethyltrialkyl But are not limited to, polymethacryloxyethyltrialkyl ammonium halide, polyallylamine chloride, polyacrylamide, aminoethylated polyacrylamide, polyvinylamine, Hoffmann emulsion-polyacrylamide Wherein the thermally responsive polymeric porous sheet comprise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ofman-degradated polyacrylamide, polyethylamine, cationized starch, and chitosa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은 폴리스티렌설포닉엑시드-코-말레익엑시드(polystyrenesulfonicacid-co-maleicacid), 폴리아크릴엑시드(polyacrylicacid), 폴리스티렌설포닉엑시드 (polystyrenesulfonicacid), 폴리메타아크릴엑시드(polymetacrylicacid), 폴리비닐포스페이트(polyvinylphosphate) 및 폴리4-암모늄스티렌설포닉엑시드(poly4-ammoniumstyrenesulfonicacid)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anionic polyelectrolyt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styrenesulfonic acid-co-maleic acid, polyacrylic acid, polystyrenesulfonic acid, polymethacrylic acid, wherein the thermally sensitive polymeric porous sheet comprise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methacrylic acid, polyvinylphosphate, and poly4-ammoniumstyrenesulfonic aci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다중벽나노튜브(MW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14. The thermosensitive polymeric porous sheet as claimed in claim 13, wherein the carbon nanotubes are multi-wall nanotubes (MWNT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및 제2층의 탄소나노튜브는 평균 직경 1 ~ 20 ㎚이고, 평균 길이 1 ~ 3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17. The thermosensitive polymeric porous sheet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carbon nanotubes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have an average diameter of 1 to 20 nm and an average length of 1 to 300 m.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 및 제3층의 친수성 고분자는 셀룰로오스, 재생셀룰로오스, 아라미드, 폴리이서술폰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 The thermosensitive polymeric porous sheet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hydrophilic polymer of the second layer and the third layer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regenerated cellulose, aramid, polyisophthalon and nylon.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는 25 ~ 120 ℃에서 온도증가에 따른 길이수축을 측정한 변형율이 0.1 ~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19.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8, wherein the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has a strain rate of 0.1 to 50% measured at 25 to 120 DEG C, Sheet.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는 평균 두께가 200 ~ 6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다공성 시트.19. The thermosensitive polymeric porous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8, wherein the thermosensitive polymer porous sheet has an average thickness of 200 to 600 mu m.
KR1020130165161A 2013-12-27 2013-12-27 Thermosensitive polymer prous sheet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mosensitive polymer sheet using the same KR1015885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161A KR101588504B1 (en) 2013-12-27 2013-12-27 Thermosensitive polymer prous sheet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mosensitive polymer shee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161A KR101588504B1 (en) 2013-12-27 2013-12-27 Thermosensitive polymer prous sheet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mosensitive polymer sheet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672A true KR20150076672A (en) 2015-07-07
KR101588504B1 KR101588504B1 (en) 2016-01-25

Family

ID=5378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161A KR101588504B1 (en) 2013-12-27 2013-12-27 Thermosensitive polymer prous sheet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mosensitive polymer sheet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50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1906A (en) * 2018-09-30 2019-03-12 昆明理工大学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lithium sulfur battery anode materi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5467A (en) * 2010-01-20 2011-07-27 국방과학연구소 The flexible polymer electrode compositon and a method for preparation polymer actuator using the same
KR101123859B1 (en) * 2010-02-26 2012-03-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Reverse Osmosis Membrane Containing Carbon Nanotub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5467A (en) * 2010-01-20 2011-07-27 국방과학연구소 The flexible polymer electrode compositon and a method for preparation polymer actuator using the same
KR101123859B1 (en) * 2010-02-26 2012-03-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Reverse Osmosis Membrane Containing Carbon Nanotub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1906A (en) * 2018-09-30 2019-03-12 昆明理工大学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lithium sulfur battery anode material
CN109461906B (en) * 2018-09-30 2021-08-20 昆明理工大学 Preparation method of lithium-sulfur battery positive electrode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504B1 (en) 201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 France et al. Functional materials from nanocellulose: utilizing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s in bottom‐up fabrication
KR101963139B1 (en) Producing method of carbon aerogel and carbon aerogel made by the same
Zhou et al. Effects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CNTs) and integrated MWCNTs/SiO2 nano-additives on PVDF polymeric membranes for vacuum membrane distillation
US10258932B2 (en) Porous carbon films
Wu et al. Stretchable strain sensors based on PDMS composites with cellulose sponges containing one-and two-dimensional nanocarbons
Pandey et al. An overview on the cellulose based conducting composites
US5985112A (en) Nanofiber packed beds having enhanced fluid flow characteristics
US9284193B2 (en) Method for preparing graphene oxide films and fibers
Jeong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electrospun PVA/MWNTs composite nanofibers
Zhang et al. Actuator materials based on graphene oxide/polyacrylamide composite hydrogels prepared by in situ polymerization
US9751763B2 (en) Material and applications therefor
JP5604843B2 (en) High-density carbon nanotube aggreg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Fei et al. Humidity switching properties of sensors based on multiwalled carbon nanotubes/polyvinyl alcohol composite films
JP2016191017A (en) Production method of nanocarbon-containing functional porous body
KR102651920B1 (en) Fuel cell separator precursor and fuel cell separator
JP2016191014A (en) Carbon nanotube-containing functional porous body
Spitalsky et al. High volume fraction carbon nanotube–epoxy composites
Xiong et al. Preparation and thermal properties of soluble poly (phthalazinone ether sulfone ketone) composites reinforced with multi-walled carbon nanotube buckypaper
JP2022121865A (en) Method for producing carbon nanotube molded body and carbon nanotube molded body
Mechrez et al. Structure and properties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 porous sheets with enhanced elongation
KR101588504B1 (en) Thermosensitive polymer prous sheet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mosensitive polymer sheet using the same
JP5190905B2 (en) Surface treated clay film
Wang et al. Utility of whiskerized carbon fabric surfaces in resistive heating of composites
KR101467353B1 (en) Sheet-type hybrid heating composite
JP5172171B2 (en) Method for producing conductive fluororesin thin film and conductive fluororesin thin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