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6066A - 잉크, 잉크 카트리지, 및 화상 기록 방법 - Google Patents

잉크, 잉크 카트리지, 및 화상 기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6066A
KR20150076066A KR1020140141587A KR20140141587A KR20150076066A KR 20150076066 A KR20150076066 A KR 20150076066A KR 1020140141587 A KR1020140141587 A KR 1020140141587A KR 20140141587 A KR20140141587 A KR 20140141587A KR 20150076066 A KR20150076066 A KR 20150076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water
recording medium
soluble organic
organic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로 다야
마사히로 데라다
히데타카 가와무라
요헤이 마사다
마사노부 오오츠카
다카하루 아오타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6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2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C09D11/322Pigment 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 B41J2/2107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characterised by the ink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6Inkjet printing inks based on non-aqueous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8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non-macromolecular additives other than solvents, pigments or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D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9D125/08Copolymers of styr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잉크는 수지에 분산된 안료, 계면 활성제, 수용성 유기 용제, 및 물을 함유한다. 상기 잉크 중의 안료 대 수지의 함량의 질량비는 3 초과이다. 상기 계면 활성제는 화학식 1로 나타내지고 그리핀(Griffin) 방법에 의해 측정하여 11 이하의 HLB를 갖는 불소계 계면 활성제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성 유기 용제는 특정의 그룹 A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잉크 중의 그룹 A의 수용성 유기 용제의 총 함량은 잉크 중의 그룹 A의 수용성 유기 용제 이외의 수용성 유기 용제들의 총 함량보다 크다.

Description

잉크, 잉크 카트리지, 및 화상 기록 방법{INK, INK CARTRIDGE, AND IMAGE-RECORDING METHOD}
본 발명은 잉크, 잉크를 함유하는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를 사용하는 화상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착색제로서 제공되는, 수지에 분산된 안료 함유 잉크(이하, "수지 분산 안료"로 지칭됨)가 화상의 내마모성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화상 기록 방법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수지 분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는 화상의 내마모성이 비교적 높지만 화상의 광학 농도가 낮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26827호(이하, 특허문헌으로 언급함)에 개시된 바와 같이 수지 분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 중의 함수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물의 증발을 용이하게 하고, 종이 위의 안료의 응집을 촉진하는 방식으로 화상의 광학 농도를 증가시키려는 시도가 있었다. 상기 특허문헌은 상기 수지 분산 안료 및 다양한 유기제, 예컨대 보습제 및 침투제를 함유하는 잉크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는 수지에 분산된 안료, 계면 활성제, 수용성 유기 용제, 및 물을 함유한다. 안료의 함량 대 수지의 함량의 질량비는 3 초과이다. 상기 계면 활성제는 그리핀(Griffin) 방법에 의해 측정하여 11 이하의 HLB 값을 갖고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지는 불소계 계면 활성제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불소 원자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불소 원자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되, 단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불소 원자를 나타냄을 조건으로 하며; n은 1 이상 30 이하의 수를 나타내고; m은 1 이상 60 이하의 수를 나타낸다. 상기 수용성 유기 용제는 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10,000 이하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및 디글리세롤로 이루어진 그룹 A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용성 유기 용제를 포함한다. 상기 잉크 중의 그룹 A의 수용성 유기 용제의 총 함량은 상기 잉크 중의 그룹 A의 수용성 유기 용제 이외의 수용성 유기 용제들의 총 함량보다 더 크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 농도 및 화상의 내마모성을 둘 다 높은 수준에서 유지할 수 있는 잉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잉크를 함유하는 잉크 카트리지 및 화상 기록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기록 방법에 사용되는 예시적인 화상 기록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기록 매체의 흡수 계수 Ka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흡수 곡선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잉크를 조사하였으며, 상기 잉크가 어느 정도 증가된 광학 농도를 갖지만 필요한 수준에는 부족한 화상을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잉크가 잉크 중의 함수량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다량의 유기제, 예컨대 보습제 및 침투제를 함유하기 때문에 화상의 광학 농도 및 내마모성이 낮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지 분산 안료를 함유하고 높은 광학 농도 및 내마모성을 갖는 화상을 제공할 수 있는 잉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잉크를 함유하는 잉크 카트리지 및 상기 잉크를 사용하는 화상 기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자들은 수지 분산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해서 높은 광학 농도 및 내마모성을 갖는 화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특징, 즉, 안료, 분산성 수지, 특정의 계면 활성제, 및 특정의 수용성 유기 용제를 함유하고; 상기 잉크 중의 안료 함량 대 분산성 수지 함량의 질량비가 3 초과이며; 상기 특정의 수용성 유기 용제가 특정의 함량 관계를 충족하는 잉크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내었다. 상기 방법에 의해서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메커니즘을 이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조사를 수행한 결과 잉크에 특정의 불소계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면 다른 계면 활성제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서 화상의 광학 농도 및 내마모성이 더욱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 이유는 아마도 특정의 불소계 계면 활성제가 다른 계면 활성제에 비해서 잉크와 기록 매체의 접촉각을 더욱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일 것이다. 특정의 불소계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면 잉크와 기록 매체의 접촉각이 감소되어 잉크가 기록 매체의 표면에 평행하게 퍼질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안료 및 수지가 기록 매체의 표면 부근에 잔류하기 쉽다. 이로써, 화상의 농도 및 내마모성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에 의해 수행된 조사를 통해서 모든 불소계 계면 활성제가 위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그리핀 방법에 의해 측정하여 11 이하의 친수성-친유성 평형(HLB)을 갖고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지는 불소계 계면 활성제가 상기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R1은 불소 원자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불소 원자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되, 단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불소 원자를 나타냄을 조건으로 하며; n은 1 이상 30 이하의 수를 나타내고; m은 1 이상 60 이하의 수를 나타낸다.
그러나, 특정의 불소계 계면 활성제만을 사용하면, 어떤 경우에는 기록 매체의 유형에 따라 화상의 광학 농도 또는 내마모성이 증가하지 않는다. 기록 매체, 예컨대 높은 잉크 흡수도를 갖는 백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안료 및 수지가 기록 매체의 표면 부근에 잔류하기 어려워서, 높은 수준의 광학 농도 및 내마모성을 갖는 화상이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수용성 유기 용제에 초점을 맞추고 조사를 더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기록 매체, 예컨대 높은 잉크 흡수도를 갖는 백지를 사용할 경우에도, 잉크가 특정의 불소계 계면 활성제 및 특정의 수용성 유기 용제를 함유하고, 잉크 중의 안료의 함량이 잉크 중의 분산성 수지의 함량의 3배 초과일 경우에는 안료 입자 및 수지 입자가 기록 매체의 표면 부근에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수용성 유기 용제"라는 용어는 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10,000 이하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및 디글리세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이하에서는 "그룹 A의 수용성 유기 용제"로도 지칭된다. 다양한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수용성 유기 용제 및 불소계 계면 활성제를 병용하는 것이 화상의 광학 농도와 내마모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유도하였다. 그룹 A의 수용성 유기 용제와 불소계 계면 활성제의 병용이 화상의 광학 농도와 내마모성을 증가시키는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그 이유가 그룹 A의 수용성 유기 용제의 각 분자가 2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고 그 양 말단에 위치하고 히드록시기에 결합된 탄소 원자들을 갖는다는 사실과 그룹 A의 수용성 유기 용제의 분자가 고도로 대칭성이라는 사실에 기인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안료의 함량이 분산성 수지의 함량의 3배 미만일 경우에는, 높은 광학 농도를 갖는 화상이 얻어지지 않으며, 그 이유는 안료의 분산 안정성이 높아서 그룹 A의 수용성 유기 용제를 사용할 경우조차도 잉크를 기록 매체에 도포할 경우에 안료가 응집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추가의 조사 결과, 본 발명자들은 그룹 A의 수용성 유기 용제의 총 함량이 잉크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그룹 A 이외의 수용성 유기 용제들의 총 함량보다 클 경우에, 화상의 광학 농도 및 내마모성의 증가 효과가 높은 수준으로 얻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잉크는 안료 및 분산성 수지를 함유하고, 안료의 함량은 잉크 중의 분산성 수지의 함량의 3배 초과이며, 잉크가 특정의 불소계 계면 활성제 및 그룹 A의 수용성 유기 용제를 더 함유하고, 그룹 A의 수용성 유기 용제의 함량 및 그룹 A의 수용성 유기 용제 이외의 수용성 유기 용제의 함량이 전술한 바와 같은 특정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안료 입자 및 분산성 수지 입자가 기록 매체의 유형에 무관하게 기록 매체의 표면 부근에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이 상승 작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효과, 즉, 화상의 높은 광학 농도 및 내마모성을 달성할 수 있다.
잉크
본 발명에 따른 잉크는 수지 분산 안료(이하, 간단히 "안료"로 지칭됨), 화학식 1로 나타내지고 11 이하의 HLB를 갖는 불소계 계면 활성제(이하, "화학식 1로 나타내지는 계면 활성제"로 지칭됨), 수용성 유기 용제, 및 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성분들을 이하에 설명한다.
수지 분산 안료
본 발명에 따른 잉크에 함유되는 안료(수지 분산 안료)는 폴리우레탄 수지와는 상이한 수지에 분산된다.
안료
본 발명에 따른 잉크에 사용될 수 있는 안료의 예로서는 무기 안료, 예컨대 카본 블랙, 및 유기 안료를 들 수 있다. 안료는 잉크젯 잉크에 사용될 수 있는 공지된 안료일 수 있다. 잉크 중의 안료의 함량은 잉크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내지 15.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내지 8.0 질량%이다. 안료 함량이 1.0 질량% 미만일 경우에는, 화상의 광학 농도가 불충분할 가능성이 있다. 안료 함량이 8.0 질량% 초과일 경우에는, 경우에 따라 잉크젯 특성, 예컨대 내접착성이 충분히 달성될 수 없다.
안료가 수지에 분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방법
안료가 수지에 분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다. 잉크를 응축하거나 희석함으로써 제조한, 약 10 질량%의 총 고형분을 갖는 액체를 12,000 rpm에서 1 시간 동안 원심 분리한다. 이와 같이 하면, 분산에 기여하지 않는 수용성 유기 용제와 수지가 액체 층에 함유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안료를 함유하는 침강 성분이 회수된다. 안료를 함유하는 침강 성분이 수지를 함유할 경우에, 그 안료가 수지에 분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안료를 함유하는 침강 성분에 함유된 수지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할 경우에는, 안료를 분산시키는 데 기여하며, 이하에서는 "수지 분산제"로서 지칭된다. 액체층에 주성분으로서 함유된 수지는 안료를 분산시키는데 기여하지 않는다.
수지 분산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에 사용될 수 있는 수지 분산제는 통상적인 잉크젯 잉크에 사용될 수 있는 잉크이다. 본 발명에서, 수지 분산제는 수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수지 분산제가 수용성이라는 사실은 1당량의 알칼리를 사용해서 수지 분산제를 중화시킬 경우에 수지 분산제가 입도를 갖지 않는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수지 분산제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단량체는 구체적으로 이하에 설명한 것들이다. 수지 분산제는 2종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합성된 수지이다. 단량체 중 1종 이상이 친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량체로서는, 스티렌, 비닐나프탈렌, α,β-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과 지방족 알코올의 에스테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피롤리돈, 아크릴아미드, 및 이러한 화합물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되는 친수성 단량체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아크릴산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및 메타크릴산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공중합체의 예로서는 블록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러한 공중합체들의 염을 들 수 있다. 또한, 천연 수지, 예컨대 로진, 쉘락, 또는 전분을 여기서 사용할 수도 있다.
수지 분산제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폴리스티렌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3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15,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수지 분산제는 바람직하게는 50 mg-KOH/g 내지 350 mg-KOH/g,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mg-KOH/g 내지 250 mg-KOH/g의 산가를 갖는다. 수지 분산제의 산가가 상기 범위 내에 있을 때, 수지 분산제에 분산된 안료의 분산 안정성이 높고 바람직한 잉크 토출 안정성이 얻어진다. 수지 분산제의 산가는 전위차 적정에 의해 측정된다. 잉크 중의 수지 분산제의 함량은 잉크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 질량%이다. 잉크 중의 안료 함량 대 수지 분산제 함량의 질량비는 바람직하게는 0.3 이상 내지 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내지 2.0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각 성분의 함량은 잉크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잉크 중의 안료 함량 대 분산성 수지 함량의 질량비는 3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료 함량은 분산성 수지 함량의 바람직하게는 3.3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배 이상 10배 이하이다.
안료 함량
잉크 중의 안료 함량은 잉크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질량%이다. 안료 함량이 1.0 질량% 미만일 경우에는, 경우에 따라 화상의 광학 농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안료 함량이 4.0 질량% 초과일 경우에는, 경우에 따라 내접착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계면 활성제
본 발명에 따른 잉크는 11 이하의 HLB 값을 갖고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지는 불소계 계면 활성제를 함유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식에서, R1은 불소 원자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불소 원자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되, 단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불소 원자를 나타냄을 조건으로 하며; n은 1 이상 30 이하의 수를 나타내고; m은 1 이상 60 이하의 수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불소계 계면 활성제의 HLB는 그리핀 방법에 의해 측정하여 11 이하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HLB는 6 내지 11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핀 방법에 의해 측정한 HLB는 "20 × 친수성 부분들의 화학식량의 합계 / 분자량"으로 정의된다. 화학식 1에서 "CH2CH2(OCH2CH2)mOH" 부분을 상기 정의 중 "친수성 부분들" 대신에 사용해서 HLB를 계산한다.
화학식 1로 나타내지고 11 이하의 HLB를 갖는 불소계 계면 활성제의 예로서는 계면 활성제, 예컨대 듀폰 가부시키가이샤에서 시판하는 FS-3100, FS-30, FSO 및 FSN-100; DIC 코포레이션에서 시판하는 메가페이스(MEGAFACE) F-444; 및 다이킨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에서 시판하는 DSN 403N을 들 수 있다.
잉크 중의 화학식 1로 나타내지는 불소계 계면 활성제의 함량은 잉크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5.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잉크는 화학식 1로 나타내지는 불소계 계면 활성제와 상이한 계면 활성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는, 예를 들면, 아세틸렌 글리콜, 에틸렌 옥시드를 아세틸렌 글리콜에 첨가함으로써 제조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잉크 중의 화학식 1로 나타내지는 불소계 계면 활성제의 함량은 잉크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 및 수용성 유기 용제
본 발명에 따른 잉크는 물 및 수용성 유기 용제를 함유한다. 사용되는 물은 탈이온수(이온 교환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 중의 함수량은 잉크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50 내지 9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 "수용성 유기 용제"는 20℃에서 수중 500 g/L 이상의 용해도를 갖는 유기 용제를 말한다. 수용성 유기 용제는 잉크에 사용될 수 있는 공지된 용제일 수 있다. 수용성 유기 용제의 예로서는 알코올, 글리콜, 알킬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질소 함유 화합물, 및 황 함유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용제를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잉크 중의 수용성 유기 용제의 함량은 잉크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5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45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수용성 유기 용제는 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10,000 이하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및 디글리세롤로 이루어진 그룹 A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며, 그룹 A의 수용성 유기 용제의 총 함량은 그룹 A 이외의 수용성 유기 용제의 총 함량보다 더 클 필요가 있다. 또한, 그룹 A의 수용성 유기 용제의 함량 대 그룹 A 이외의 수용성 유기 용제의 총 함량의 질량비는 잉크의 총 질량을 기준을 하여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그룹 A의 수용성 유기 용제의 총 함량은 잉크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5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45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0 내지 40 질량%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첨가제
본 발명에서, 잉크는 다양한 첨가제, 예컨대 전술한 것 이외의 계면 활성제, pH 조정제, 방청제, 방부제, 항곰팡이제, 항산화제, 환원 억제제, 증발 촉진제, 및 킬레이트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잉크는 테트리톨, 펜티톨, 헥시톨, 헵티톨, 옥티톨 및 10,000 초과 내지 1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그룹 B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 그룹 B로부터 선택된 것을 "그룹 B 첨가제"로도 지칭된다.
잉크가 그룹 B 첨가제를 더 함유할 경우에, 높은 수준의 광학 농도와 내마모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토출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있다.
그룹 B에 포함되는 테트리톨, 펜티톨, 헥시톨, 헵티톨 및 옥티톨의 총 함량은 잉크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3 내지 2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10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룹 B에 포함되는 10,000 초과 내지 1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함량은 잉크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01 내지 1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 내지 5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잉크는 2 cP 내지 10 cP의 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 카트리지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는 잉크 저장부에 저장된다. 잉크 카트리지는 상기 잉크 저장부가 액체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저장 챔버 및 네거티브 압력으로 잉크를 내부에 유지하는 네거티브 압력 발생 부재를 수용하는 네거티브 압력 발생 부재 수용 챔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잉크 카트리지는 상기 잉크 저장부가 액체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잉크 저장 챔버를 포함하지 않고 잉크의 전량을 네거티브 압력 부재를 사용해서 유지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저장부외에도 기록 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상 기록 방법
본 발명에 따른 화상 기록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를 기록 매체에 도포하는 잉크 도포 단계를 포함한다. 화상 기록 방법은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단계 및 잉크를 구비한 기록 매체를 가열하는 가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화상 기록 방법에 사용되는 예시적인 화상 기록 장치의 개략도이다. 화상 기록 장치에서, 권취형 기록 매체(rolled recording medium)를 사용해서 기록을 수행하며, 기록 매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권취된다. 화상 기록 장치는 권취형 기록 매체를 유지하고 공급하기 위한 유닛인 기록 매체 공급 수단(1), 잉크를 기록 매체에 도포하기 위한 유닛인 잉크 도포 수단(2), 기록 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유닛인 가열 수단(3), 및 화상을 가진 기록 매체를 권취하기 위한 유닛인 기록 매체 회수 수단(4)을 포함한다. 기록 매체는 실선으로 표시된 기록 매체 반송 경로를 따라 롤러 쌍, 벨트 등을 포함하는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며 상기 유닛들에 의해 처리된다. 기록 매체 회수 수단(4)에 의해서 권취된 기록 매체는, 기록 매체를 다른 장치에 공급하여 원하는 크기로 절단한 다음 제책용으로 사용되도록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반송 단계에서 기록 매체의 반송 속도는 50 m/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m/분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반송된 기록 매체에 장력이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화상 기록 장치는 장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력 인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기록 매체에서 장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력 인가부 또는 기록 매체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력 조정부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매체 공급 수단(1)과 기록 매체 회수 수단(4) 사이에 배치된 반송 메커니즘에 장착할 수 있다. 기록 매체에 장력을 가하면 기록 매체에 함유된 섬유들이 잉크 중의 물에 의해 팽윤되는 것을 억제한다. 기록 매체에서 섬유의 팽윤은 섬유들 사이의 공간을 증가시키므로, 잉크의 침투 속도를 증가시킨다. 잉크의 침투 속도가 증가하면 잉크가 기록 매체의 표면에 수직 방향으로 기록 매체에 깊게 침투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화상의 광학 농도가 불충분해질 가능성이 있다. 기록 매체에 장력을 가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기록 매체중의 섬유들이 잉크 중의 물에 의해 팽윤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잉크의 침투 속도 증가에 기인한 화상의 광학 농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기록 매체에 가해지는 장력은 20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록 매체에 가해지는 장력이 20 N/m 이상일 경우에, 기록 매체중의 섬유들이 잉크 중의 물에 의해 팽윤되는 것이 효율적으로 억제된다. 기록 매체에 가해지는 장력이 30 N/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0 N/m 내지 100 N/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잉크 도포 단계 및 가열 단계를 이하에 설명한다.
(1) 잉크 도포 단계
본 발명에서, 잉크는 잉크 도포 단계에서 기록 매체에 도포된다. 잉크젯 공정이 잉크를 기록 매체에 도포하는 데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즉, 화상 기록 방법은 잉크젯 공정을 사용한다. 잉크젯 공정은 잉크에 열에너지를 가함으로써 기록 헤드의 배출구로부터 잉크를 배출하는, 소위 열 잉크젯 공정, 또는 압전 소자를 사용해서 기록 헤드의 배출구로부터 잉크를 배출하는, 소위 압전 잉크젯 공정일 수 있다.
사용되는 기록 헤드는,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기록을 수행하는, 소위 직렬(serial) 방식의 기록 헤드, 또는 사용되는 기록 매체의 최대 폭을 커버하는 범위에 배열된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소위 풀라인(full line) 방식의 기록 헤드일 수 있다. 기록 헤드는 고속으로 화상을 기록하는 관점에서 풀라인 방식 잉크젯 기록 헤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풀라인 방식 잉크젯 기록 헤드는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에 수직으로 배열된 노즐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풀라인 방식 잉크젯 기록 헤드는 잉크 색상에 대응하여 배열되는 풀라인 방식 잉크젯 기록 헤드 및 기록 헤드의 반송 방향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풀라인 방식 잉크젯 기록 헤드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2) 가열 단계
본 발명에서, 기록 매체는 잉크를 구비한 기록 매체의 표면 온도가 70℃ 이상이 되도록 가열 단계에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한, "잉크를 구비한 기록 매체의 표면 온도"라는 표현은 잉크를 기록 매체에 도포한지 0.5초 후에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위치에 배치된 기록 매체의 표면의 온도를 의미한다. 특히,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X)의 표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기록 매체는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X)에 잉크를 도포하는 위치(풀라인 방식 잉크젯 기록 헤드의 경우에, 잉크젯 기록 헤드 바로 아래의 위치)로부터 기록 매체가 "V × 0.5/60 (m)"로 주어지는 거리까지 이동한 위치에 배치되며, 여기서 V는 기록 매체의 반송 속도(m/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기록 매체의 표면의 온도를 키엔스 코포레이션에서 시판하는 디지털 적외선 온도 센서 FT-H20을 사용해서 기록 매체의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약 10 cm 떨어진 위치로부터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서, 잉크를 구비한 기록 매체의 표면 온도는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면 온도는 기록 매체가 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1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록 매체의 가열 방법은 기록 매체의 전면(잉크가 도포되는 측면) 및/또는 후면을 가열기를 사용해서 가열하도록 또는 다른 방식으로 가열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 기록 매체는 잉크를 기록 매체에 도포하기 이전, 도중 및 이후에 연속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잉크를 기록 매체에 도포하기 전에, 기록 매체를 가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기록 매체를 가열할 경우에도 기록 매체의 표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7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다.
가열 단계에서, 예컨대 기록 매체를 가열할 때 압력 롤러를 사용해서 가압할 수 있다. 기록 매체를 가압하면 화상의 정착을 증진시킬 수 있다. 기록 매체를 가열 단계 전반에 걸쳐 가압할 필요는 없으며, 가열 단계의 일부에서 가압할 수 있다. 기록 매체를 다단계로 가압할 수 있다. 화상 기록 방법은 가열 단계 이후에 가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록 매체
화상 기록 방법에서, 잉크가 도포되는 기록 매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기록 매체의 예로서는 침투성 기록 매체, 예컨대 백지 및 광택지; 난침투성 기록 매체, 예컨대 인쇄용지; 및 비침투성 기록 매체, 예컨대 유리, 플라스틱 및 필름을 들 수 있다. 기록 매체는 높은 침투성, 특히 물에 대하여 0.3 mL/㎡·ms1/2 이상의 흡수 계수 Ka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일본 타피 시험 방법(JAPAN TAPPI Test Methods)의 "종이 및 보드의 액체 흡수성 측정 방법 제51호"에 설명된 브리스토우 방법(Bristow's method)을 사용해서 기록 매체의 흡수 계수 Ka를 유도한다. 따라서, 많은 시판되는 책자에 설명된 브리스토우 방법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을 것이며, 상기 방법은 습윤 시간 Tw, 흡수 계수 Ka (mL/㎡·ms1 /2), 및 거칠기 지수 Vr (mL/㎡)에 의해 정의된다. 도 2는 예시적인 흡수 곡선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흡수 곡선은 액체와 기록 매체의 접촉으로부터 습윤 시간 Tw가 경과한 후에 액체가 기록 매체에 침투하기 시작하는 침투 모델에 근거한 것이다. 습윤 시간 Tw 이후의 직선의 기울기가 흡수 계수 Ka이다. 흡수 계수 Ka는 기록 매체내로의 액체의 침투 속도에 대응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습윤 시간 Tw는 흡수 계수 Ka를 계산하기 위해 최소 자승법에 의해 측정한 대략적인 직선 A와 직선 B의 교점 AB, 액체의 전이량 V 및 거칠기 지수 Vr에 의해 주어지는 V=Vr 및 교점 AB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측정된다. 본 발명에서, 기록 매체내로 칩입하는 액체는 25℃ 물이다. 즉, 본 발명에서, Ka는 25℃ 물에 대한 흡수 계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기록 방법에 사용되는 기록 매체는 원하는 크기로 미리 절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권취형 기록 매체는 화상을 형성한 후에 원하는 크기로 절단될 수 있다. 장력이 기록 매체에 쉽게 가해지기 때문에 기록 매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권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후술하는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부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안료 분산체의 제조
안료 분산체 A의 제조
기계적 교반기를 구비한 500 mL 가지형 플라스크를 초음파 발생기의 탱크에 넣었다. 500 mL 가지형 플라스크에, 분산성 수지, 즉, 80 mg-KOH/g의 산가를 갖는 스티렌-아크릴산 랜덤 공중합체 1 g, 및 용매로서 제공되는 테트라히드로푸란 120 mL를 첨가한 후에 초음파 교반하였다. 다른 용기에, C.I. 피그먼트 블루 15:3 5 g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120 mL를 첨가한 다음, 압료 입자의 표면이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의해 충분히 습윤될 때까지 쿠라보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에서 시판하는 유성형 믹서를 사용하여 혼합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500 mL 가지형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분산성 수지와 잘 혼합하였다. 이어서, 분산성 수지의 중화도가 100%가 되도록 500 mL 가지형 플라스크에 수산화칼륨 수용액을 첨가하는 방식으로 상(phase) 전환시킨 다음에, 60분 동안 예비혼합한 후 요시다 키카이 컴퍼니 리미티드에서 시판하는 나노마이저(Nanomizer) NM2-L200 AR을 사용해서 2 시간 동안 분산시킴으로써, 분산체를 수득하였다. 회전식 증발기를 사용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분산체로부터 증류 제거하고 분산체의 농도를 조정함으로써, 6.0 질량%의 안료 함량을 갖고 안료의 함량이 분산성 수지의 함량의 5.0배인 안료 분산체 A를 수득하였다.
안료 분산체 B 내지 D의 제조
사용되는 분산성 수지의 양을 각각 1.5 g, 2.0 g 및 2.5 g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안료 분산체 A를 제조하는 데 사용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안료 분산체 B, 안료 분산체 C 및 안료 분산체 D를 제조하였다. 안료 분산체 B에서 안료의 함량은 분산성 수지의 함량의 3.3배였다. 안료 분산체 C에서, 안료의 함량은 분산성 수지의 함량의 2.5배였다. 안료 분산체 D에서, 안료의 함량은 분산성 수지의 함량의 2.0배였다.
잉크의 제조
각각의 물질의 함량이 질량% 단위로 하기 표 1 내지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도록 물질들을 혼합하고; 교반에 의해 충분히 분산시킨 후에; 밀리포어 코포레이션에서 시판하는 유리 필터인 AP20을 통해서 여과함으로써, 잉크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에서, 화학식 1로 나타내지는 계면 활성제 및 화학식 1 이외의 식으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를 각각 "화학식 1" 및 "화학식 1 이외"로 별도로 기재한다. 또한, 이하의 그룹 A에 포함되는 수용성 유기 용제 및 그룹 A에 포함되지 않는 수용성 유기 용제를 각각 "그룹 A" 및 "그룹 A 이외"로 별도로 기재한다. 또한, 이하의 그룹 B에 포함되는 첨가제 및 그룹 B에 포함되지 않는 첨가제를 각각 "그룹 B" 및 "그룹 B 이외"로 별도로 기재한다.
그룹 A: 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10,000 이하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및 디글리세롤
그룹 B: 테트리톨, 펜티톨, 헥시톨, 헵티톨, 옥티톨 및 10,000 초과 내지 1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하기 표에 기재된 계면 활성제에 대한 약어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다.
계면 활성제
(1) 화학식 1로 나타내지는 계면 활성제
(1-1) 11 이하의 HLB를 갖는 화학식 1로 나타내지는 계면 활성제
- F-444: DIC 코포레이션에서 시판하고 8.5의 HLB를 갖는 메가페이스(MEGAFACE) F-444
- FSO: 듀폰 가부시키가이샤에서 시판하고 9.5의 HLB를 갖는 조닐(Zonyl) FSO
- FS-3100: 듀폰 가부시키가이샤에서 시판하고 9.8의 HLB를 갖는 캡스톤(Capstone) FS-3100
- DSN403N: 다이킨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에서 시판하고 10.0의 HLB를 갖는 유니다인(UNIDYNE) DSN403N
- FS-30: 듀폰 가부시키가이샤에서 시판하고 11.0의 HLB를 갖는 캡스톤 FS-30
(1-2) 11 초과의 HLB를 갖는 화학식 1로 나타내지는 계면 활성제
- S-242: AGC 세이미 케미컬 컴퍼니 리미티드에서 시판하고 12.0의 HLB를 갖는 서플론(SURFLON) S-242
- S-243: AGC 세이미 케미컬 컴퍼니 리미티드에서 시판하고 15.0의 HLB를 갖는 서플론 S-243
(2) 화학식 1 이외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계면 활성제
(2-1) 화학식 1 이외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불소계 계면 활성제
- 프터전트(Ftergent) 250: 네오스 컴퍼니 리미티드에서 시판하고 10.4의 HLB를 갖는 프터전트 250
(2-1) 불소계 계면 활성제 이외의 계면 활성제
- AE100: 가와켄 파인 케미컬스 컴퍼니 리미티드에서 시판하고 16.3의 HLB를 갖는 아세틸렌 글리콜 계면 활성제인 아세틸레놀(Acetylenol) E100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화상의 평가
화상 샘플의 제조
600 dpi의 노즐 밀도를 갖는 교세라 코포레이션에서 시판하는 압전 잉크젯 헤드 KJ4를 구비한, 도 1에 도시된 화상 기록 장치를 사용해서 표 6에 나타낸 조건(사용된 잉크의 유형, 잉크를 도포하는 동안의 기록 매체의 표면 온도, 및 장력 인가 수단으로부터 기록 매체에 가해지는 장력)하에서, 64 g/㎠의 평량을 갖는 오지 페이퍼 컴퍼니 리미티드에서 시판하는 기록 매체인 OK 프린스 하이 퀄리티(OK Prince High Quality)상에 100%의 기록 듀티(duty)를 갖는 3 제곱 센티미터 솔리드 화상이 기록되도록 화상 샘플 1을 제조하였다. 91 g/㎠의 평량을 갖는 미츠비시 페이퍼 밀즈 리미티드에서 시판하는 기록 매체인 DL 9084상에 3 mm의 폭 및 100%의 기록 듀티를 갖는 3개의 선 및 17 mm의 폭 및 100%의 기록 듀티를 갖는 하나의 선이 네개의 선이 서로 평행하게 기록되도록 화상 샘플 2를 제조하였다. 또한, 기록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온도 25℃, 상대 습도 55%, 잉크 토출 주파수 39 kHz, 기록 매체 반송 속도 100 m/s, 및 기록시 1 도트당 약 13 pL의 잉크 토출 체적. 표 6에서, "기록 매체에 가해지는 장력" 항목에서 기호 "-"는 반송하는 동안 기록 매체에 가해지는 장력 이상인 표면 장력이 장력 인가 수단에 의해 기록 매체에 가해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화상 기록 장치에서, 잉크 액적 13 ng을 사용해서 600 dpi × 600 dpi의 해상도로 1/600 제곱 인치 단위 영역에 도트를 가하는 조건을 100%의 기록 듀티로서 정의한다. 기록 매체의 표면 온도는 키엔스 코포레이션에서 시판하는 디지털 적외선 온도 센서인 FT-H20을 사용해서 잉크를 도포하는 동안 기록 매체의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약 10 cm 떨어진 위치로부터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서, 하기 항목들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기준으로서, AA 내지 B는 허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였고 C는 허용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화상의 광학 농도
수득한 화상 샘플 1의 광학 농도를 그레택맥베스(GretagMacbeth)에서 시판하는 반사 농도계인 DI19I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각 화상의 광학 농도를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AA: 광학 농도가 1.15 이상임.
A: 광학 농도가 1.10 내지 1.15 미만임.
B: 광학 농도가 1.00 내지 1.10 미만임.
C: 광학 농도가 1.00 미만임.
화상의 내마모성
화상 샘플 2를 기록한 후 3분 이내에, 105 g/㎠의 평량을 갖는 오지 페이퍼 컴퍼니 리미티드에서 시판하는 OK 탑코트 플러스(OK Top Coat Plus)를 화상 위에 놓고 접촉 면적이 12.6 ㎠이 되도록 그 위에 500 g의 추를 놓았다. 화상 샘플 2가 기록된 기록 매체와 OK 탑코트 플러스를 그들 사이의 상대 속도가 10 cm/s가 되도록 서로 1회 마찰시키는 방식으로 내마모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 작업에서, 기록된 4개의 선을 추의 접촉 표면이 직각으로 교차해서 통과하도록 추를 세팅하였다. 이어서, 추가 위에 놓인 OK 탑코트 플러스의 12.6 ㎠ 영역에 부착된 잉크를 스캐너(캐논 가부시키가이샤에서 시판하는 다기능 장치인 iR3245F; 600 dpi; 그레이 스케일; 사진 모드) 및 256 그레이 스케일의 휘도 128 미만인 부분의 면적 비율(잉크 부착 면적 비율)을 계산하였다. 화상의 내마모성을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AA: 잉크 부착 면적 비율이 1% 이하임.
A: 잉크 부착 면적 비율이 1% 초과 내지 3%임.
B: 잉크 부착 면적 비율이 3% 초과 내지 5%임.
C: 잉크 부착 면적 비율이 5% 초과임.
토출 안정성의 평가
세이코 엡손 코포레이션에서 시판하는 잉크젯 프린터인 PX-205의 황색 잉크 텡크에 각각의 잉크를 충전하였다. A4 크기 화상용 황색({R, G, B}= {255, 255, 0}, RGB 256 그레이 스케일) 화상 데이터를 인쇄 품질 기준을 갖는 10장의 시트상에 연속적으로 인쇄함으로써, 화상 샘플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화상 샘플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서 토출 안정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A: 10장의 화상 샘플 전부 줄무늬 또는 색상 불균일을 갖지 않음.
B: 일부 화상 샘플이 줄무늬 또는 색상 불균일을 가짐.
Figure pat00009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등가의 구조와 기능을 모두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수지에 분산된 안료와,
    계면 활성제와,
    수용성 유기 용제와,
    물을 포함하고,
    상기 안료의 함량 대 상기 수지의 함량의 질량비는 3 초과이며,
    상기 계면 활성제는 그리핀(Griffin) 방법에 의해 구해지는 11 이하의 HLB 값을 갖고 화학식 1로 나타내지는 불소계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고:
    [화학식 1]
    Figure pat00010

    (상기 식에서, R1은 불소 원자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불소 원자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되, 단 R2 및 R3 중 하나 이상은 불소 원자를 나타냄을 조건으로 하며; n은 1 이상 30 이하의 수를 나타내고; m은 1 이상 60 이하의 수를 나타냄);
    상기 수용성 유기 용제는, 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10,000 이하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및 디글리세롤로 이루어진 그룹 A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용성 유기 용제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 중의 그룹 A의 수용성 유기 용제의 총 함량은 상기 잉크 중의 그룹 A의 수용성 유기 용제 이외의 수용성 유기 용제의 총 함량보다 큰, 잉크.
  2. 제1항에 있어서,
    테트리톨, 펜티톨, 헥시톨, 헵티톨, 옥티톨 및 10,000 초과 100,000 이하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그룹 B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잉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그룹 A의 수용성 유기 용제의 총 함량 대 상기 그룹 A의 수용성 유기 용제 이외의 수용성 유기 용제의 총 함량의 질량비는 3 이상인, 잉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계면 활성제 이외의 계면 활성제의 함량이 상기 잉크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질량% 이하인, 잉크.
  5.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 저장부에 저장된 잉크는 제1항에 따른 잉크인, 잉크 카트리지.
  6.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단계와,
    상기 기록 매체에 잉크를 도포하는 잉크 도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는 제1항에 따른 잉크인, 화상 기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도포 단계에 이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표면 온도가 70℃ 이상이 되도록, 잉크를 구비한 상기 기록 매체를 가열하는 가열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기록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도포 단계에서, 상기 잉크는 20 N/m 이상의 장력으로 상기 기록 매체에 도포되는, 화상 기록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단계에서,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 속도는 50 m/분 이상인, 화상 기록 방법.
KR1020140141587A 2013-12-26 2014-10-20 잉크, 잉크 카트리지, 및 화상 기록 방법 KR201500760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69658 2013-12-26
JPJP-P-2013-269658 2013-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066A true KR20150076066A (ko) 2015-07-06

Family

ID=51661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587A KR20150076066A (ko) 2013-12-26 2014-10-20 잉크, 잉크 카트리지, 및 화상 기록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38743B2 (ko)
EP (1) EP2889342B1 (ko)
JP (1) JP2015143344A (ko)
KR (1) KR20150076066A (ko)
CN (1) CN104745003B (ko)
RU (1) RU201414224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37389B1 (en) 2014-04-22 2019-01-02 Canon Kabushiki Kaisha Ink, ink cartridge, and image-recording method
WO2020080121A1 (ja) * 2018-10-15 2020-04-23 Dic株式会社 水性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印刷物及び印刷物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3001A (en) * 1997-12-18 2000-11-28 Fuji Xerox Co., Ltd. Ink jet recording ink,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ink jet recording method
JP3952794B2 (ja) 2002-02-05 2007-08-01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インクセ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装置、記録方法
JP2004189870A (ja) * 2002-12-11 2004-07-08 Fuji Xerox Co Ltd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並びに、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05001217A (ja) * 2003-06-11 2005-01-06 Fuji Xerox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DE602005018507D1 (de) * 2004-09-17 2010-02-04 Ricoh Kk Aufzeichnungstinte, tintenpatrone, tintenaufzeichnung, tintenstrahlaufzeichnungsvorrichtung sowie tintenstrahlaufzeichnungsverfahren
JP4803356B2 (ja) * 2005-08-15 2011-10-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セ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方法、記録物
KR101031797B1 (ko) * 2006-03-10 2011-04-29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기록용 잉크, 잉크 카트리지, 잉크젯 기록 방법 및 잉크젯 기록 장치
US8252207B2 (en) * 2006-09-15 2012-08-28 Ricoh Company, Ltd. Ink for inkjet recording, ink set for inkjet recording, ink media set for inkjet recording, ink cartridge, inkjet recording method,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5152631B2 (ja) * 2006-09-15 2013-02-27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セット、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メディアセ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263584B2 (ja) * 2007-06-12 2013-08-14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インクメディアセ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EP2028242B1 (en) * 2007-08-14 2013-07-10 Ricoh Company, Ltd. Inkjet ink, and ink cartridge, inkjet recording method,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record using the same
JP2010222417A (ja) 2009-03-19 2010-10-07 Seiko Epson Corp 顔料分散液、該顔料分散液を含む水性インク組成物、並びに該水性インク組成物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記録物
JP5582096B2 (ja) * 2011-05-30 2014-09-0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水性インク、そ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8690308B2 (en) * 2012-03-30 2014-04-08 Eastman Kodak Company Inkjet ink comprising dynamic surface tension ag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43344A (ja) 2015-08-06
EP2889342B1 (en) 2018-08-15
CN104745003B (zh) 2017-04-12
US20150184007A1 (en) 2015-07-02
CN104745003A (zh) 2015-07-01
EP2889342A1 (en) 2015-07-01
US9238743B2 (en) 2016-01-19
RU2014142244A (ru)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0523B2 (en) Ink, ink cartridge, and image-recording method
KR101929612B1 (ko) 잉크, 잉크 카트리지 및 화상 기록 방법
US10196532B2 (en) Ink, ink cartridge, and image recording method
JP2017132980A (ja) インク、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記録方法
US9353278B2 (en) Ink, ink cartridge, and image-recording method
KR101929611B1 (ko) 잉크, 잉크 카트리지 및 화상 기록 방법
KR20150076066A (ko) 잉크, 잉크 카트리지, 및 화상 기록 방법
JP2015214687A (ja) インク、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記録方法
US9587131B2 (en) Image recording method, ink set, and method for preparing ink set
JP6789663B2 (ja) インク、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記録方法
JP6789744B2 (ja) 画像記録方法、インクセット、及びインクセットの調製方法
EP2818330B1 (en) Image recording method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JP2018178014A (ja) インク、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