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4823A -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4823A
KR20150074823A KR1020130162972A KR20130162972A KR20150074823A KR 20150074823 A KR20150074823 A KR 20150074823A KR 1020130162972 A KR1020130162972 A KR 1020130162972A KR 20130162972 A KR20130162972 A KR 20130162972A KR 20150074823 A KR20150074823 A KR 20150074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voltage
electrode
control panel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8577B1 (ko
Inventor
정경호
김관호
이기용
임형우
김강민
성정민
장현룡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2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577B1/ko
Priority to US14/482,500 priority patent/US10162225B2/en
Priority to EP14191377.2A priority patent/EP2889680B1/en
Priority to JP2014243755A priority patent/JP6535458B2/ja
Priority to CN201410747685.6A priority patent/CN104730718B/zh
Publication of KR20150074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18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having a patterned common electro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2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position or the direction of light beams, i.e. deflection
    • G02F1/294Variable focal length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ome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의 일부 영역은 2차원 영상을 표시하고, 다른 일부 영역은 3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은 서로 대향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에 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렌즈 전극, 상기 제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 및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공통 전극은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공통 전극 및 제2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IMAGE CONTROLLING PANEL FO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의 일부 영역은 2차원 영상을 표시하고, 다른 일부 영역은 3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표시 장치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3차원(3D)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가 관심을 끌고 있으며, 다양한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입체 영상 표시를 구현함에 있어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의 하나는 좌우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좌우 양안 시차를 이용하는 방법은 왼쪽 눈에 도달하는 영상과 오른쪽 눈에 도달하는 영상을 같은 표시 장치에서 표시하고, 이 두 영상을 각각 관찰자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입사하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다. 즉, 양쪽 눈에 각각 다른 영상이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영상을 관찰자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각각 들어가게 하는 방법으로는 베리어(barrier)를 사용하는 방법과 원통형 렌즈(cylindrical lens)의 일종인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베리어를 이용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베리어에 슬릿을 형성하여 이 슬릿을 통해 표시 장치로부터의 영상을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나누어 관찰자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각각 들어가도록 한다.
렌즈를 이용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각각 표시하고 입체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의 영상을 렌즈를 사용하여 광경로를 변경함으로써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으로 나눈다.
최근에는 평면 영상 표시 방법에서 입체 영상 표시 방법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2차원/3차원 겸용 영상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스위칭이 가능한 렌즈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일부 영역, 예를 들면 자막을 표시하는 영역에서는 2차원 영상을 표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의 일부 영역은 2차원 영상을 표시하고, 다른 일부 영역은 3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은 서로 대향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에 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렌즈 전극, 상기 제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 및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공통 전극은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공통 전극 및 제2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공통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일정한 값이고, 상기 제2 공통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값일 수 있다.
상기 제1 공통 전극에는 일정한 제1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2 공통 전극에는 서로 다른 제2 전압 및 제3 전압이 교대로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과 상기 제1 전압의 차는 상기 액정층의 정격 전압의 2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3 전압과 상기 제1 전압의 차는 상기 액정층의 정격 전압의 2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공통 전극과 상기 제2 공통 전극의 경계는 상기 제2 기판의 일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고, 상기 일측 가장자리와 나란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통 전극과 상기 제2 공통 전극의 경계는 상기 제2 기판의 하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고, 상기 하측 가장자리와 나란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통 전극과 상기 제2 공통 전극의 경계는 상기 제2 기판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전극에는 렌즈 구동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전극에는 정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 및 부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이 교대로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정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 및 상기 부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이 상기 렌즈 전극에 인가되는 주기와 상기 제2 전압 및 상기 제3 전압이 상기 제2 공통 전극에 인가되는 주기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정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 및 상기 부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이 상기 렌즈 전극에 인가되는 시점과 상기 제2 전압 및 상기 제3 전압이 상기 제2 공통 전극에 인가되는 시점이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정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 및 상기 부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이 상기 렌즈 전극에 인가되는 시점과 상기 제2 전압 및 상기 제3 전압이 상기 제2 공통 전극에 인가되는 시점이 상기 주기의 절반만큼 차이가 날 수 있다.
상기 렌즈 전극은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렌즈 전극 및 제2 렌즈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 전극 및 상기 제2 렌즈 전극에는 동일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 위에 상기 제1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렌즈 전극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렌즈 버스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 전극과 상기 렌즈 버스선을 연결하는 제1 연결 전극, 및 상기 제2 렌즈 전극과 상기 렌즈 버스선을 연결하는 제2 연결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 전극과 상기 제2 렌즈 전극의 경계는 상기 제1 공통 전극과 상기 제2 공통 전극의 경계와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 전극과 상기 제2 렌즈 전극의 경계는 상기 제1 기판의 일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고, 상기 일측 가장자리와 나란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 전극과 상기 제2 렌즈 전극의 경계는 상기 제1 기판의 하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고, 상기 하측 가장자리와 나란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 전극과 상기 제2 렌즈 전극의 경계는 상기 제1 기판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통 전극은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3 공통 전극 및 제4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은 공통 전극을 분할하고, 일부 영역에 높은 공통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2차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영상 제어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영상 제어 패널의 제1 영상 제어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위 렌즈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구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라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영상 제어 패널의 제1 영상 제어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영상 제어 패널의 제2 영상 제어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을 따라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영상 제어 패널의 제2 영상 제어판의 단면도이다.
도 9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영상 제어 패널의 제2 영상 제어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에 인가되는 렌즈 구동 전압 및 공통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에 인가되는 전압들의 타이밍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의 제1 영상 제어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XIII-XIII선을 따라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의 제1 영상 제어판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A부분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4의 B부분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의 제1 영상 제어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의 제1 영상 제어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의 제2 영상 제어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300), 표시 패널(300)의 영상이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조절하는 영상 제어 패널(800), 및 표시 패널(300)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부(90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300)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패널로써, 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등의 다양한 표시 패널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표시 패널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알 수 있는 모든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2차원의 평면 영상을 표시한다.
영상 제어 패널(800)은 표시 패널(300)로부터 나오는 영상이 사용자에게 2차원으로 표시되거나, 3차원의 입체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조절한다. 먼저, 표시 패널(300)로부터 나오는 영상을 그대로 통과시키면 2차원의 평면 영상이 표시된다. 이와 달리, 표시 패널(300)로부터 나오는 영상을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구분하여 각각 좌안과 우안에 인식될 수 있도록 광경로를 변화시켜주면 3차원의 입체 영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영상 제어 패널(800)은 경우에 따라 2차원 평면 영상이 필요할 때는 2차원 영상이 그대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3차원 입체 영상이 필요할 때는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여 표시될 수 있도록 조절한다.
광원부(900)는 표시 패널(300)이 액정 표시 패널로 이루어진 경우 표시 패널(300)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즉, 자연광을 이용하여 화면을 표시할 경우, 표시 패널(300)이 자발광 소자인 경우에는 광원부(900)가 생략될 수 있다. 광원부(900)는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외부 전극 형광 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 평판 형광 램프(flat fluorescent lamp, FFL),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에 대해 더욱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영상 제어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영상 제어 패널의 제1 영상 제어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위 렌즈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일부 구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라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영상 제어 패널의 제1 영상 제어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영상 제어 패널의 제2 영상 제어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을 따라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영상 제어 패널의 제2 영상 제어판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영상 제어 패널은 서로 대향하는 제1 영상 제어판(100) 및 제2 영상 제어판(200), 제1 영상 제어판(100)과 제2 영상 제어판(200)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3)을 포함한다.
제1 영상 제어판(100)은 제1 기판(110) 및 제1 기판(110) 위에 형성되어 있는 렌즈 전극(130)을 포함한다.
제1 기판(11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기판(110) 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렌즈 전극(130)이 무리를 이루어서 단위 렌즈(UL, unit lens)를 구성하고 있다. 복수의 단위 렌즈(UL)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기판(110) 위에는 제1 기판(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렌즈 버스선(150)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렌즈 버스선(150)은 제1 기판(110)의 상측 가장자리 및 좌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버스선(150)의 형성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제1 기판(110)의 하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기판(110)의 네 가장자리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렌즈 버스선(150)은 렌즈 전극(130)과 연결되어 있다. 렌즈 버스선(150)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렌즈 버스선(150)에 인가되는 전압이 렌즈 전극(130)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동일한 렌즈 버스선(150)에 연결되어 있는 렌즈 전극(130)들에는 동일한 전압이 인가된다. 도면에 렌즈 버스선(150)의 개수가 3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렌즈 버스선(150)이 더 많이 형성될 수 있다.
각 단위 렌즈(UL)를 구성하는 복수의 렌즈 전극(130)은 사선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단위 렌즈(UL)에는 복수의 구역(R)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구역(R)은 서로 다른 폭으로 이루어져 있다. 단위 렌즈(UL)의 중심에 위치하는 구역(R)이 가장 넓은 폭을 가지고, 단위 렌즈(UL)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구역(R)의 폭이 좁아진다. 단위 렌즈(UL)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은 대칭으로 이루어진다. 도 3에서는 단위 렌즈(UL)의 대략적인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복수의 구역(R) 중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 하나의 단위 렌즈(UL)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구역(R)을 도시하고 있으나, 구역(R)의 개수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시된 것보다 많거나 적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각 구역(R)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렌즈 전극(130)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구역(R)은 상이한 폭으로 이루어지므로, 각 구역(R)에 형성되어 있는 렌즈 전극(130)의 개수도 상이하게 이루어진다. 즉, ①번 구역(R)에 형성되어 있는 렌즈 전극(130)의 개수와 ②번 구역(R)에 형성되어 있는 렌즈 전극(130)의 개수는 상이하다.
하나의 구역(R)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렌즈 전극(130)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렌즈 전극(130)은 제1 기판(110) 위에 일방향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렌즈 전극(130)은 제1 기판(110)의 일측 가장자리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뻗을 수 있다. 렌즈 전극(130)은 제1 기판(11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이와 마주보는 타측 가장자리로 뻗어 있다. 예를 들면, 렌즈 전극(130)은 제1 기판(110)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하측 가장자리까지 연결되도록 뻗어 있다.
도 5가 실제 렌즈 전극(130)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 및 도 4에서는 렌즈 전극(130)이 모여서 구성하는 있는 구역(R) 및 단위 렌즈(UL)의 개념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서는 렌즈 전극(130) 사이의 간격 등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렌즈 전극(130)은 인듐-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인듐-아연 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렌즈 전극(130)에는 렌즈 구동 전압이 인가된다. 렌즈 구동 전압은 정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 및 부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을 포함한다. 정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은 소정의 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의미하고, 부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은 소정의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의미한다. 렌즈 전극(130)에는 정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과 부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이 교대로 인가된다.
제2 영상 제어판(20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판(210) 및 제2 기판(210)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220, 230)을 포함한다.
공통 전극(220, 230)은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공통 전극(220) 및 제2 공통 전극(230)은 포함한다. 공통 전극(220, 230)은 제2 기판(210)의 대부분을 덮도록 면전극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제1 공통 전극(220)과 제2 공통 전극(230)의 경계는 제2 기판(210)의 일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고, 일측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제1 공통 전극(220)과 제2 공통 전극(230)의 경계가 제2 기판(210)의 하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고, 하측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공통 전극(220)과 제2 공통 전극(230)의 경계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1 공통 전극(220)과 제2 공통 전극(230)의 경계의 위치에 대한 예시를 살펴본다. 도 9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영상 제어 패널의 제2 영상 제어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통 전극(220)과 제2 공통 전극(230)의 경계가 제2 기판(210)의 우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고, 우측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통 전극(220)과 제2 공통 전극(230)의 경계가 제2 기판(21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공통 전극(220)과 제2 공통 전극(230)의 경계가 제2 기판(210)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 사이의 중앙부에 상측 가장자리 또는 하측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공통 전극(220) 및 제2 공통 전극(230)은 인듐-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인듐-아연 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공통 전극(220) 및 제2 공통 전극(230)에는 공통 전압이 인가된다. 공통 전압은 제1 전압, 제2 전압, 및 제3 전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공통 전극(220)에는 제1 전압이 인가되고, 제2 공통 전극(230)에는 제2 전압 및 제3 전압이 교대로 인가될 수 있다. 제1 전압은 일정한 전압으로써, 앞서 설명한 정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과 부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을 구분하는 기준 전압이 될 수 있다. 제2 전압은 제1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고, 제3 전압은 제1 전압보다 낮은 전압일 수 있다. 즉, 제2 전압과 제3 전압은 상이한 전압으로써, 제2 공통 전극(230)에는 상이한 두 전압이 스윙(swing)하는 형태로 인가된다.
액정층(3)은 복수의 액정 분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21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기판(110) 위에 형성되어 있는 렌즈 전극(130)과 제2 기판(210)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220, 230)에 각각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층(3)의 액정 분자에 전계가 형성된다.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210) 위에는 각각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의 공정을 통해 배향막이 선경사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의 구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에 인가되는 렌즈 구동 전압 및 공통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에 인가되는 전압들의 타이밍도이다.
도 11에서 가로축은 하나의 단위 렌즈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렌즈 전극(130)의 고유 번호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전압의 크기를 나타낸다. 각 렌즈 전극(130)에는 서로 다른 렌즈 구동 전압이 인가되고, 이들 렌즈 구동 전압을 연결하여 실선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공통 전압을 구성하는 제1 전압(Vcom1), 제2 전압(Vcom2), 및 제3 전압(Vcom3)은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하나의 단위 렌즈(UL)의 중앙에 위치하는 렌즈 전극(130)으로부터 양측으로 멀어지면서, 렌즈 구동 전압이 높아졌다 낮아지는 형태를 반복하게 된다. 이때, 렌즈 구동 전압이 높아졌다가 낮아지는 형태의 주기는 하나의 존을 의미한다.
제1 전압(Vcom1)은 가장 높은 렌즈 구동 전압과 가장 낮은 렌즈 구동 전압의 사이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제1 전압(Vcom1)은 9V이고, 렌즈 구동 전압은 16.5V와 2V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때, 9V와 16.5V 사이의 전압값을 가지는 렌즈 구동 전압을 정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이라 하고, 2V와 9V 사이의 전압값을 가지는 렌즈 구동 전압을 부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이라 한다.
제1 공통 전극(220)에는 일정한 제1 전압(Vcom1)이 인가되고, 렌즈 전극(130)에는 정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과 부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이 교대로 인가된다. 예를 들어 현재 프레임에서 16.5V의 렌즈 구동 전압이 인가된 렌즈 전극(130)에는 다음 프레임에서 2V의 렌즈 구동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제1 공통 전극(220)에 제1 전압(Vcom1)이 인가되고, 렌즈 전극(130)에 렌즈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제1 공통 전극(220)과 렌즈 전극(130) 사이에 위치한 액정층(3)에는 전계가 형성되고, 프레넬 존 플레이트로 동작하게 된다. 프레넬 존 플레이트는 일반적으로 프레넬 존(Fresnel zone)과 같이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복수의 동심원을 이용하여 렌즈 역할을 하도록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즉, 영상 제어 패널(800)이 렌즈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표시 패널(300)로부터 나오는 영상을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구분하여 각각 좌안과 우안에 인식될 수 있도록 광경로를 변화시켜 3차원의 입체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제2 전압(Vcom2)은 렌즈 구동 전압의 최대값보다 높은 값을 가지고, 제3 전압(Vcom3)은 렌즈 구동 전압의 최대값보다 낮은 값을 가진다. 이때, 제2 전압(Vom2)과 제1 전압(Vcom1)의 차는 액정층(3)의 정격 전압의 2배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3 전압(Vcom3)과 제1 전압(Vcom1)의 차는 액정층(3)의 정격 전압의 2배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의 정격 전압이 6~7V일 때 제2 전압(Vcom2)은 23.5V이고, 제3 전압(Vcom3)은 -5V일 수 있다.
제2 공통 전극(230)에는 제2 전압(Vcom2)과 제3 전압(Vcom3)이 교대로 인가된다. 예를 들어 현재 프레임에서 제2 공통 전극(230)에 제2 전압(Vcom2)이 인가되면, 다음 프레임에서 제2 공통 전극(230)에 제3 전압(Vcom3)이 인가된다.
제2 공통 전극(230)에 제2 전압(Vcom2)이 인가되고, 렌즈 전극(130)에 렌즈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제2 공통 전극(230)과 렌즈 전극(130) 사이에 위치한 액정층(3)에는 높은 전계가 형성되어, 액정 분자가 제1 기판(110) 또는 제2 기판(210)에 대해 대략 수직이 된다. 렌즈 구동 전압이 어떤 값인지 여부에 상관 없이 제2 공통 전극(230)에 매우 높은 전압이 인가되므로 액정층(3)에는 높은 전계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제2 공통 전극(230)에 제3 전압(Vcom3)이 인가되고, 렌즈 전극(130)에 렌즈 구동 전압이 인가될 때에도, 제2 공통 전극(230)과 렌즈 전극(130) 사이에 위치한 액정층(3)에는 높은 전계가 형성되어, 액정 분자가 제1 기판(110) 또는 제2 기판(210)에 대해 대략 수직이 된다. 렌즈 구동 전압이 어떤 값인지 여부에 상관 없이 제2 공통 전극(230)에 매우 낮은 전압이 인가되므로 액정층(3)에는 높은 전계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통 전극(230)에 23.5V의 제2 전압(Vcom2)과 -5V 제3 전압(Vcom3)이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교대로 인가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먼저, 렌즈 전극 1의 경우 2V의 부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과 16.5V의 정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이 교대로 인가되고 있다. 렌즈 전극(130)에 2V의 부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이 인가될 때 제2 공통 전극에 -5V의 제3 전압(Vcom3)이 인가되고 있으며, 액정층(3)에는 7V의 전계가 형성된다. 다음 프레임에서 렌즈 전극(130)에 16.5V의 정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이 인가될 때 제2 공통 전극에 23.5V의 제2 전압(Vcom2)이 인가되고 있으며, 액정층(3)에는 7V의 전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액정층(3)의 정격 전압이 6~7V일 때 액정층(3)에 7V의 전계가 형성되어 액정 분자는 수직한 방향으로 서게 된다.
렌즈 전극 2의 경우 12.25V의 정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과 6.25V의 부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이 교대로 인가되고 있다. 렌즈 전극(130)에 12.25V의 정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이 인가될 때 제2 공통 전극(230)에 -5V의 제3 전압(Vcom3)이 인가되고 있으며, 액정층(3)에는 17.25V의 전계가 형성된다. 다음 프레임에서 렌즈 전극(130)에는 6.25V의 부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이 인가되고 제2 공통 전극(230)에는 23.5V의 제2 전압(Vcom2)이 인가되고 있으며, 액정층(3)에는 17.25V의 전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액정층(3)의 정격 전압이 6~7V일 때 액정층(3)에 17.25V의 전계가 형성되어 액정 분자는 수직한 방향으로 서게 된다.
즉, 렌즈 전극(130)에 인가되는 렌즈 구동 전압의 크기에 관계 없이 제2 공통 전극(230)에 매우 높은 전압과 매우 낮은 전압이 교대로 인가됨에 따라 액정층(3)에는 높은 전계가 형성되어 액정 분자는 수직한 방향으로 서게 된다. 따라서, 표시 패널(300)로부터 나오는 영상을 그대로 통과시켜 2차원의 평면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800)은 서로 분리되어 있는 두 개의 공통 전극(220, 230)에 서로 다른 공통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일부 영역은 3차원의 입체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 영역은 2차원의 평면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공통 전극(220)에 대응하는 부분은 3차원의 입체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제2 공통 전극(230)에 대응하는 부분은 2차원의 평면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의 하단 약 10% 정도의 영역에 자막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제2 공통 전극(230)이 제2 기판(210)의 하단 약 10% 정도의 영역을 차지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의 우측 단부 약 10% 정도의 영역에 자막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제2 공통 전극(230)이 제2 기판(210)의 우측 단부 약 10% 정도의 영역을 차지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때, 정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 및 부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이 렌즈 전극(130)에 인가되는 주기와 제2 전압 및 제3 전압이 제2 공통 전극(230)에 인가되는 주기는 동일하다.
도 12에서 정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 및 부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이 렌즈 전극(130)에 인가되는 시점과 제2 전압 및 제3 전압이 제2 공통 전극(230)에 인가되는 시점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 및 부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이 렌즈 전극(130)에 인가되는 시점과 제2 전압 및 제3 전압이 제2 공통 전극(230)에 인가되는 시점이 상이할 수 있다. 이때, 정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 및 부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이 렌즈 전극(130)에 인가되는 시점과 제2 전압 및 제3 전압이 제2 공통 전극(230)에 인가되는 시점이 정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과 부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의 인가 주기의 절반만큼 차이가 날 수 있다.
렌즈 전극 2의 경우 12.25V의 정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과 6.25V의 부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이 교대로 인가되고 있다. 렌즈 전극(130)에 12.25V의 정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이 인가될 때 제2 공통 전극(230)에는 반주기 동안 -5V의 제3 전압(Vcom3)이 인가되고, 나머지 반주기 동안 23.5V의 제2 전압(Vcom2)이 인가된다. 액정층(3)에는 처음 반주기 동안에는 17.25V의 전계가 형성되고, 나머지 반주기 동안에는 11.25V의 전계가 형성된다. 다음 프레임에서 렌즈 전극(130)에는 6.25V의 부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이 인가될 때 제2 공통 전극(230)에는 반주기 동안 23.5V의 제2 전압(Vcom2)이 인가되고, 나머지 반주기 동안 -5V의 제3 전압(Vcom3)이 인가된다. 액정층(3)에는 처음 반주기 동안에는 17.25V의 전계가 형성되고, 나머지 반주기 동안에는 11.25V의 전계가 형성된다.
즉, 렌즈 구동 전압의 인가 시점과 공통 전압의 인가 시점의 차이를 주어, 액정층(3)에 계속하여 높은 전계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액정층(3)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과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통 전극뿐만 아니라 렌즈 전극도 분리되도록 형성한다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의 제1 영상 제어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XIII-XIII선을 따라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의 제1 영상 제어판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A부분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17은 도 14의 B부분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의 제1 영상 제어판(100)은 제1 기판(110) 및 제1 기판(110) 위에 형성되어 있는 렌즈 전극(130)을 포함한다.
렌즈 전극(130)은 제1 기판(110)의 일측 가장자리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뻗어 있다. 렌즈 전극(130)은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렌즈 전극(132) 및 제2 렌즈 전극(134)을 포함한다. 각각의 렌즈 전극(130)의 제1 렌즈 전극(132)과 제2 렌즈 전극(134)은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제1 렌즈 전극(132)과 제2 렌즈 전극(134)에는 동일한 렌즈 구동 전압이 인가된다. 제1 기판(110) 위에는 제1 기판(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렌즈 버스선(150)이 형성되어 있다. 렌즈 버스선(150)은 렌즈 전극(130)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버스선(150)은 제1 렌즈 전극(132)과 연결되어 있고, 제2 렌즈 전극(134)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렌즈 전극(132) 및 제2 렌즈 전극(134)에는 동일한 렌즈 구동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제1 렌즈 전극(132), 제2 렌즈 전극(134), 및 렌즈 버스선(150) 위에는 절연막(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막에는 렌즈 버스선(150)을 노출시키는 제1 접촉 구멍(181)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렌즈 전극(132)을 노출시키는 제2 접촉 구멍(18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렌즈 전극(134)을 노출시키는 제3 접촉 구멍(185)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막 위에는 제1 접촉 구멍(181)을 통해 렌즈 버스선(150)과 연결되고, 제2 접촉 구멍(183)을 통해 제1 렌즈 전극(132)과 연결되어 있는 제1 연결 전극(16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접촉 구멍(181)을 통해 렌즈 버스선(150)과 연결되고, 제3 접촉 구멍(185)을 통해 제2 렌즈 전극(134)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 전극(17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연결 전극(160)은 제1 렌즈 전극(132)과 렌즈 버스선(150)을 연결하고, 제2 연결 전극(170)은 제2 렌즈 전극(134)과 렌즈 버스선(150)을 연결한다.
제1 렌즈 전극(132)과 제2 렌즈 전극(134)을 이격시키는 경계는 제1 공통 전극(도 7의 220)과 제2 공통 전극(도 7의 230)의 경계와 일치한다. 제1 렌즈 전극(132)과 제2 렌즈 전극(134)의 경계는 제1 기판(110)의 일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고, 일측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제1 렌즈 전극(132)과 제2 렌즈 전극(134)의 경계가 제1 기판(110)의 하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고, 하측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렌즈 전극(132)과 제2 렌즈 전극(134)의 경계가 제1 기판(110)의 우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고, 우측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 공통 전극에는 매우 높은 전압과 매우 낮은 전압이 스윙하며 인가됨에 따라 렌즈 전극(130)이 커플링(coupling)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800)에서는 렌즈 전극(130)이 제1 렌즈 전극(132)과 제2 렌즈 전극(134)으로 분리 형성됨에 따라 제2 공통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1 렌즈 전극(132)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은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과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전극이 뻗은 방향에 있어서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의 제1 영상 제어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앞선 실시예에서 렌즈 전극(130)은 제1 기판(110)의 일측 가장자리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뻗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전극(130)이 제1 기판(110)의 일측 가장자리와 나란한 방향으로 뻗어 있다. 예를 들면, 렌즈 전극(130)이 제1 기판(110)의 좌측 또는 우측 가장자리와 나란한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렌즈 전극(130)이 형성되어 있는 구역(R)은 제1 기판(110)의 일측 가장자리와 나란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복수의 렌즈 전극(130)으로 구성되어 있는 단위 렌즈(UL)도 제1 기판(110)의 일측 가장자리와 나란한 방향으로 뻗어 있다.
다음으로,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은 도 1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과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전극의 분리 위치에 있어서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의 제1 영상 제어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제1 렌즈 전극과 제2 렌즈 전극의 경계는 제1 기판(110)의 하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고, 하측 가장자리와 나란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렌즈 전극과 제2 렌즈 전극의 경계가 제1 기판(110)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측 가장자리 또는 하측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이루어져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2차원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이 3차원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에 비해 매우 작은 반면에, 본 실시예에서는 2차원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과 3차원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의 비율이 유사하다.
다음으로,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은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과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통 전극이 4분할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의 제2 영상 제어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공통 전극이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통 전극(220, 230, 240, 250)이 제1 공통 전극(220), 제2 공통 전극(230), 제3 공통 전극(240), 및 제4 공통 전극(250)의 네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다.
공통 전극(220, 230, 240, 250)을 네 부분으로 분리하는 경계는 십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기판(210)의 중앙부에서 교차할 수 있다.
제1 공통 전극(220), 제2 공통 전극(230), 제3 공통 전극(240), 및 제4 공통 전극(250)은 동일한 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제1 공통 전극(220), 제2 공통 전극(230), 제3 공통 전극(240), 및 제4 공통 전극(250)이 상이한 면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공통 전극(220)에는 일정한 제1 전압이 인가되고, 제2 공통 전극(230), 제3 공통 전극(240), 및 제4 공통 전극(250)에는 제2 전압과 제3 전압이 교대로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제1 공통 전극(220)이 위치하는 영역은 3차원 입체 영상을 표시하게 되고, 제2 공통 전극(230), 제3 공통 전극(240), 및 제4 공통 전극(250)이 위치하는 영역은 2차원 평면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공통 전극(220, 230, 240, 250)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일부 영역은 2차원 평면 영상을 표시하고, 다른 일부 영역 3차원 입체 영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3: 액정층 100: 제1 영상 제어판
110: 제1 기판
130: 렌즈 전극 132: 제1 렌즈 전극
134: 제2 렌즈 전극 150: 렌즈 버스선
160: 제1 연결 전극 170: 제2 연결 전극
200: 제2 영상 제어판 210: 제2 기판
220: 제1 공통 전극 230: 제2 공통 전극
240: 제3 공통 전극 250: 제4 공통 전극
300: 표시 패널 800: 영상 제어 패널
900: 광원부

Claims (22)

  1. 서로 대향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에 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렌즈 전극,
    상기 제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 및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공통 전극은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공통 전극 및 제2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일정한 값이고,
    상기 제2 공통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값인,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 전극에는 일정한 제1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2 공통 전극에는 서로 다른 제2 전압 및 제3 전압이 교대로 인가되는,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과 상기 제1 전압의 차는 상기 액정층의 정격 전압의 2배 이상인,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압과 상기 제1 전압의 차는 상기 액정층의 정격 전압의 2배 이상인,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 전극과 상기 제2 공통 전극의 경계는 상기 제2 기판의 일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고, 상기 일측 가장자리와 나란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 전극과 상기 제2 공통 전극의 경계는 상기 제2 기판의 하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고, 상기 하측 가장자리와 나란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 전극과 상기 제2 공통 전극의 경계는 상기 제2 기판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전극에는 렌즈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전극에는 정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 및 부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이 교대로 인가되는,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 및 상기 부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이 상기 렌즈 전극에 인가되는 주기와 상기 제2 전압 및 상기 제3 전압이 상기 제2 공통 전극에 인가되는 주기가 동일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 및 상기 부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이 상기 렌즈 전극에 인가되는 시점과 상기 제2 전압 및 상기 제3 전압이 상기 제2 공통 전극에 인가되는 시점이 동일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 및 상기 부극성의 렌즈 구동 전압이 상기 렌즈 전극에 인가되는 시점과 상기 제2 전압 및 상기 제3 전압이 상기 제2 공통 전극에 인가되는 시점이 상기 주기의 절반만큼 차이가 나는,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1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전극은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렌즈 전극 및 제2 렌즈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전극 및 상기 제2 렌즈 전극에는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는,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위에 상기 제1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렌즈 전극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렌즈 버스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전극과 상기 렌즈 버스선을 연결하는 제1 연결 전극, 및
    상기 제2 렌즈 전극과 상기 렌즈 버스선을 연결하는 제2 연결 전극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전극과 상기 제2 렌즈 전극의 경계는 상기 제1 공통 전극과 상기 제2 공통 전극의 경계와 일치하는,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전극과 상기 제2 렌즈 전극의 경계는 상기 제1 기판의 일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고, 상기 일측 가장자리와 나란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전극과 상기 제2 렌즈 전극의 경계는 상기 제1 기판의 하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고, 상기 하측 가장자리와 나란한,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21.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전극과 상기 제2 렌즈 전극의 경계는 상기 제1 기판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22.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전극은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3 공통 전극 및 제4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KR1020130162972A 2013-12-24 2013-12-24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KR102118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972A KR102118577B1 (ko) 2013-12-24 2013-12-24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US14/482,500 US10162225B2 (en) 2013-12-24 2014-09-10 Image controlling panel for display device displaying one of two dimensional image and three 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EP14191377.2A EP2889680B1 (en) 2013-12-24 2014-10-31 Liquid Crystal Lens Panel for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JP2014243755A JP6535458B2 (ja) 2013-12-24 2014-12-02 表示装置用映像制御パネルおよ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CN201410747685.6A CN104730718B (zh) 2013-12-24 2014-12-09 用于显示装置的图像控制面板及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972A KR102118577B1 (ko) 2013-12-24 2013-12-24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823A true KR20150074823A (ko) 2015-07-02
KR102118577B1 KR102118577B1 (ko) 2020-06-04

Family

ID=51947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972A KR102118577B1 (ko) 2013-12-24 2013-12-24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62225B2 (ko)
EP (1) EP2889680B1 (ko)
JP (1) JP6535458B2 (ko)
KR (1) KR102118577B1 (ko)
CN (1) CN104730718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0633A (ko) * 2007-12-10 2009-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표시 장치
JP2011154197A (ja) * 2010-01-27 2011-08-11 Sony Corp 立体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635B2 (ja) 1992-04-03 2000-09-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3次元立体画像/2次元画像共存型表示装置
JPH10293286A (ja) * 1997-02-21 1998-11-04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WO2004114001A1 (en) 2003-06-20 2004-12-29 Casio Computer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0728112B1 (ko) 2005-03-04 2007-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리어 장치,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7705937B2 (en) * 2005-06-30 2010-04-27 Nec Lcd Technologies, Ltd.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S2771676T3 (es) 2005-12-20 2020-07-06 Koninklijke Philips Nv Dispositivo de visualización autoestereoscópica
JP5498676B2 (ja) 2008-09-24 2014-05-21 株式会社東芝 立体画像表示装置
KR20120018370A (ko) 2009-05-28 2012-03-0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무안경 입체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11107589A (ja) 2009-11-20 2011-06-02 Sony Corp 立体表示装置
US8427626B2 (en) 2010-01-27 2013-04-23 Sony Corporation Lens array element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2013871A (ja) 2010-06-30 2012-01-19 Sony Corp レンズアレイ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2003072A (ja) 2010-06-17 2012-01-05 Sony Corp レンズアレイ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2002042A1 (ja) * 2010-06-30 2012-01-0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1893763B (zh) 2010-07-01 2011-10-05 深圳超多维光电子有限公司 一种2d/3d显示切换装置及其驱动装置及方法
KR101677997B1 (ko) 2010-09-14 2016-1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232086B1 (ko) 2010-10-08 2013-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로컬디밍 제어방법
JP2012113521A (ja) 2010-11-25 2012-06-14 Sharp Corp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068440A (ko) 2010-12-17 2012-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20088467A (ko) 2011-01-31 2012-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 영상 표시 영역 내에 부분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62251B1 (ko) * 2011-03-18 2017-07-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1840876B1 (ko) 2011-09-08 2018-03-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JP5789553B2 (ja) * 2012-03-29 2015-10-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5286436B1 (ja) * 2012-04-27 2013-09-11 株式会社東芝 映像表示装置
TWI454791B (zh) * 2012-05-23 2014-10-01 Au Optronics Corp 電驅動液晶透鏡面板與立體顯示面板
KR101476884B1 (ko) * 2012-06-22 2014-12-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럴랙스 배리어 타입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2082996B1 (ko) 2013-02-13 2020-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 표시 장치 및 3차원 표시 장치용 액정 렌즈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0633A (ko) * 2007-12-10 2009-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표시 장치
JP2011154197A (ja) * 2010-01-27 2011-08-11 Sony Corp 立体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89680A1 (en) 2015-07-01
EP2889680B1 (en) 2019-09-11
CN104730718B (zh) 2019-07-23
CN104730718A (zh) 2015-06-24
KR102118577B1 (ko) 2020-06-04
US10162225B2 (en) 2018-12-25
JP6535458B2 (ja) 2019-06-26
JP2015121785A (ja) 2015-07-02
US20150177573A1 (en) 2015-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985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 3D image
KR101722661B1 (ko) 2d/3d 겸용 표시 장치
KR101622650B1 (ko) 액정 전계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입체 표시 장치
KR101852121B1 (ko) 전자 영상 기기
KR101649235B1 (ko) 입체 표시 장치
US20130308067A1 (en) 2d/3d switchable parallax barrier display
KR20120130397A (ko) 렌즈 모듈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CN102749713A (zh) 显示设备
US20140104545A1 (en) Display device
KR20120047534A (ko) 광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50142891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JP2013015613A (ja) レンズモジュールおよび表示装置
US9470926B2 (en) Liquid crystal lens module
CN104079911B (zh) 立体图像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9557570B2 (en)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lens panel for the same
KR102081328B1 (ko) 3차원 표시 장치 및 3차원 표시 장치용 전환부
KR20150069415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위한 액정 렌즈 패널 장치
KR102118577B1 (ko) 표시 장치용 영상 제어 패널
KR102114757B1 (ko) 영상 표시 장치
US20160195739A1 (en)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lens panel
KR20120068440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5045001B (zh) 图像显示设备
KR20150033166A (ko) 입체영상표시장치
KR20140060835A (ko) 스윗처블 입체 영상 표시장치
US20150131012A1 (en)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lens panel device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