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4485A -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 및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 및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4485A
KR20150074485A KR1020130162312A KR20130162312A KR20150074485A KR 20150074485 A KR20150074485 A KR 20150074485A KR 1020130162312 A KR1020130162312 A KR 1020130162312A KR 20130162312 A KR20130162312 A KR 20130162312A KR 20150074485 A KR20150074485 A KR 20150074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interface
wireless
wireless terminal
home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훈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2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4485A/ko
Publication of KR20150074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4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Abstract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이 제공되며, 무선 단말로부터 태깅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태깅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모드로 진입시키는 단계, 무선 단말로부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연결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연결 이벤트에 기초하여 무선 단말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 및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HOME APPLIANCE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 및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태깅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활성화시켜 대기 전력을 줄일 수 있는 기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업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무선통신환경을 구축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스마트 단말의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무선통신환경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사용자는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때,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IP 주소를 이용하여 식별하고 연결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09-0024032호(2009.03.06 공개)에는 IP 주소에 삽입된 가전 구분자만을 이용하여 가전기기를 판별하고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가전기기 간의 식별 과정과 통신 과정은 무선통신 인터페이스가 항상 활성화 상태로 유지되고 있어야 하므로,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속적으로 구동하는데 필요한 대기 전력의 전력 소비량이 높아질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24032호(2009.03.06 공개)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킹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태깅 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대기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 및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 단말로부터 태깅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태깅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모드로 진입시키는 단계, 무선 단말로부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연결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연결 이벤트에 기초하여 무선 단말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가전기기와 무선 단말 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NFC 태깅만으로도 무선랜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와 무선 단말이 연동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무선통신 연결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연결 시스템(1)은 무선 단말(100), 무선랜 AP(200),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무선통신 연결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3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무선 단말(100)과 무선랜 AP(2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무선 단말(1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4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무선랜 AP(200)를 경유하여 무선 단말(100)과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400)가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3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300)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블루투스, NFC를 포함한 근거리 무선 통신,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1에 개시된 무선 단말(100), 무선랜 AP(200),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400)는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단말(100)은, 태그 기반 인터페이스와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태그 기반 인터페이스는, RFID 또는 NFC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는, 블루투스, 지그비, UWB, IrDA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무선 단말(1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AP(200)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무선랜 AP(200)는, 전파나 적외선을 이용하여 무선 환경에서 일정 환경 내의 기기들을 연결해주는 라우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랜 AP(200)는, 다대다(多對多)로 연결되는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400)는,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전자레인지, 청소기, TV 등의 전자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400)는, 태그 기반 인터페이스와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태그 기반 인터페이스는, RFID 또는 NFC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는, 블루투스, 지그비, UWB, IrDA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와 무선 단말이 연동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400)는, 태깅 수신부(410), 활성화부(420), 이벤트 수신부(430), 연결부(440), 모드 전환부(450), 제어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미도시) 또는 무선통신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무선통신 연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무선 단말(100)로 전송하면, 무선 단말(100)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무선통신 연결 서비스 프로그램이 무선 단말(1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태깅 수신부(410)는, 무선 단말(100)로부터 태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태깅 신호는 무선 단말(100)의 NFC 접촉 신호일 수 있다. 이때, 접촉은 물리적인 접촉일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400)의 태그 기반 인터페이스는 활성화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태깅 신호는, 무선 단말(100)의 NFC 접촉 신호에 의한 태깅 신호이고, 태깅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400)의 태그 기반 인터페이스는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활성화부(420)는, 수신된 태깅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모드로 진입시킬 수 있다. 즉,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는 태깅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만 활성화 모드로 진입시켜 활성화시킴으로써,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킴에 따른 전력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이벤트 수신부(430)는, 무선 단말(100)로부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연결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연결부(440)는, 수신된 연결 이벤트에 기초하여 무선 단말(100)과 연결할 수 있다.
모드 전환부(45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무선 단말(100)로부터 연결 이벤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필요할 때만 용이하게 온/오프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기 전력으로 인한 전력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는,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이고, 무선 단말(100)로부터 태깅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모드 전환부(450)는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4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400)의 버튼일 수 있으며, 입력은 물리적인 버튼 누름일 수 있다.
여기서,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단말(100)과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400)가 일대일 연결되는 애드혹 모드(Ad hoc Mode) 또는 무선 단말(100)과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400)가 무선랜 AP(Access Point, 200)를 통하여 연결되는 인프라스트럭쳐 모드(Infrastructure Mode)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460)는, 무선 단말(100)과 연결되는 경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무선 단말(1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6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은, 가전기기와 무선 단말을 연동함에 있어서, 가전기기와 무선 단말 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NFC 태깅만으로도 무선랜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활성화된 무선랜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와 무선 단말을 간단히 연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무선랜을 구동함에 따른 대기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력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단말과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 간의 연동의 일 실시예를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① 무선 단말(100)로부터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400)에 대한 NFC 태깅 신호가 수신되면, ②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400)는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모드로 진입시킨다. ③ 그리고 나서,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무선 단말(100)과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400)가 연결되면, 무선 단말(100)에서는 제어 신호를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a) 무선랜 AP(200)를 경유하여 무선 단말(100)과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400)가 다대다(多對多)로 연결되는 인프라스트럭쳐 모드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무선 단말(100)과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400)는 (b)와 같이, 애드 혹 모드로 연결되어 일대일로 통신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3의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무선통신 연결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400)는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는 비활성화 모드를 유지하고, 태그 기반 인터페이스는 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S4100). 이때, 무선 단말(100)로부터 NFC 태깅 신호가 수신되면(S4200),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400)는,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한다(S4300). 즉,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동함으로써 발생하는 대기 전력을 낭비하지 않기 위하여, NFC 태깅 신호라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는 방식을 이용한다. 그리고 나서,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40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무선통신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모드를 유지시키고(S4400, S4500),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이 발생하거나 무선 단말(100)과의 연결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S4600, S4700), 무선통신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모드를 유지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 S4100으로 복귀하여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한다.
한편, 무선 단말(100)은 애드 혹 모드로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400)와 연결되는 경우, 일대일로 연결을 유지하고, 인프라스트럭쳐 모드로 연결되는 경우 무선랜 AP(200)를 경유하여 연결을 유지한다(S4910). 여기서, 무선 단말(100)이 제어 신호를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400)로 전송하는 경우(S4930),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400)는, 동작을 수행하고(S4950), 그 결과를 무선 단말(100)로 피드백한다(S4970).
이와 같은 도 4의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3을 통해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단계들(S4100~S497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7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는, 무선 단말로부터 태깅 신호를 수신한다(S5100).
그리고 나서,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는, 수신된 태깅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모드로 진입시킨다(S5200).
여기서,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는, 무선 단말로부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연결 이벤트를 수신하고(S5300), 수신된 연결 이벤트에 기초하여 무선 단말과 연결한다(S5400).
이와 같은 도 5의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에서 실행되는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에 있어서,
    무선 단말로부터 태깅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태깅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모드로 진입시키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연결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연결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단말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 신호는 상기 무선 단말의 NFC 접촉 신호에 의한 태깅 신호이고,
    상기 태깅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태그 기반 인터페이스는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인, 가전기기의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는,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태깅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상기 연결 이벤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가전기기의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는,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태깅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가전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모드를 유지하는 것인, 가전기기의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무선 단말과 가전기기가 일대일 연결되는 애드혹 모드(Ad hoc Mode) 또는 상기 무선 단말과 가전기기가 무선랜 AP(Access Point)를 통하여 연결되는 인프라스트럭쳐 모드(Infrastructure Mode)를 제공하는 것인, 가전기기의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과 연결된 경우, 상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가전기기의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
  7.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가전기기에 있어서,
    무선 단말로부터 태깅 신호를 수신하는 태깅 수신부;
    상기 수신된 태깅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모드로 진입시키는 활성화부;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연결 이벤트를 수신하는 이벤트 수신부;
    상기 수신된 연결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단말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는,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태깅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상기 연결 이벤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
KR1020130162312A 2013-12-24 2013-12-24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 및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 KR201500744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312A KR20150074485A (ko) 2013-12-24 2013-12-24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 및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312A KR20150074485A (ko) 2013-12-24 2013-12-24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 및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485A true KR20150074485A (ko) 2015-07-02

Family

ID=53787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312A KR20150074485A (ko) 2013-12-24 2013-12-24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 및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44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25669A (zh) * 2015-11-16 2016-03-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通信接口电路及其控制方法以及应用其的家用电器
CN106814711A (zh) * 2015-12-01 2017-06-09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利用移动终端控制家电设备的方法以及该移动终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25669A (zh) * 2015-11-16 2016-03-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通信接口电路及其控制方法以及应用其的家用电器
CN105425669B (zh) * 2015-11-16 2018-06-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通信接口电路及其控制方法以及应用其的家用电器
CN106814711A (zh) * 2015-12-01 2017-06-09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利用移动终端控制家电设备的方法以及该移动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85645A1 (en) Operating method for communication profil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484197B2 (en) Internet of Things (IoT)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end, and user end
CN103512159B (zh) 空调及空调控制系统
US20150006296A1 (en) NOTIFICATION DISMISSAL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ENVIRONMENT
CN103841626A (zh) 一种物联网无线终端及其配置方法及移动终端
CN103199899A (zh) 促进无线通信的系统与方法
CN103199901A (zh) 促进无线通信的系统与方法
CN103533512A (zh) 一种配置设备加入网络群组的方法、装置及系统
CN103685733A (zh) 一种遥控控制方法及终端
CN103118327A (zh) 基于WiFi的信息传递系统及方法
CN107508715B (zh) 配置信息获取、处理方法、装置和系统
EP2901623A1 (en) Device event notification registration through direct interaction with mobile device
CN104283743A (zh) 一种家庭网络设备及代理服务发现的方法
WO2015000379A1 (zh) 空调器的远程控制方法和空调器的远程控制系统
CN105577721A (zh) 终端远程控制方法和系统
CN104834224A (zh) 一种智能手机按键控制智能家居的方法
CN105814915A (zh) 在连接建立之后切换至通告定位符
US8611242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use of a mobile hotspot function in a wireless device
KR20210043608A (ko) Ue의 sor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3345828A (zh) 一种智能终端控制电脑的方法及系统
KR20150074485A (ko) 무선통신 기반 가전기기 및 무선통신 연결 제어방법
CN112104479A (zh) 一种智能设备批量零配方法
US20160269958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KR20090039017A (ko) 이동단말을 이용한 콘텐츠 예약 다운로드 방법, 시스템 및이를 위한 이동단말
CA2771282C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use of a mobile hotspot function in a wireles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