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4380A - 낚시바늘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낚시바늘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4380A
KR20150074380A KR1020130162107A KR20130162107A KR20150074380A KR 20150074380 A KR20150074380 A KR 20150074380A KR 1020130162107 A KR1020130162107 A KR 1020130162107A KR 20130162107 A KR20130162107 A KR 20130162107A KR 20150074380 A KR20150074380 A KR 20150074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late
fishing
magnetic force
force generating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두환
Original Assignee
장두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두환 filed Critical 장두환
Priority to KR1020130162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4380A/ko
Publication of KR20150074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3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바늘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여러 가닥의 낚시줄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각 낚시줄의 낚시바늘에 먹이를 끼우는 과정에서 각 낚시줄과 각 낚시바늘이 서로 엉키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여러 가닥의 낚시줄에 연결된 각 축광부재의 축광 효율을 균일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어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낚시바늘 정렬장치{positioning device for fishing hooks}
본 발명은 여러 가닥의 낚시줄에 먹이 등을 끼우는 과정이나 각 낚시줄을 차례대로 투척하는 과정에서 각 낚시줄이 서로 엉키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고 각 낚시바늘에 축광부재를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축광효율을 최대화 시켜 낚시 성공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상에서 갈치 등의 어류 낚시를 할 경우 어획 대상 종류에 따라 여러가닥의 낚시줄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낚시줄은 여러 가닥으로 나뉘어져 있되 단부가 상호 연결되어 수중으로 투척할 때 순차적으로 동시에 투척 된다.
이때 각 낚시줄을 바다 등의 수중에 투척하기 전 각 낚시줄에 연결된 각 낚시바늘 마다 먹이 등을 끼우는 작업을 실시하는데, 이때 각 낚시바늘 마다 먹이를 끼우는 과정에서 낚시줄이 엉키는 등의 현상이 발생 되기 쉽다.
또한 낚시줄을 수중으로 투척하는 과정에서 낚시줄이 상호 엉키는 등의 현상으로 인해 어획 작업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를 갖는다.
또한 야간 낚시 경우 빛을 이용해 어류을 유인하기 위해 낚시바늘에 별도의 축광부재를 설치하는데,
축광부재는 낚시바늘을 수중으로 투척하기 전에 선상에 설치된 조명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흡수한 뒤 투척 후 수중에서 발광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이렇게 기존에는 축광부재가 선상의 조명만을 이용해 빛을 축광하기 때문에 선상 조명과 축광부재 간 거리가 멀 경우 축광율이 떨어져, 결국 수중에서의 발광효율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여러 가닥의 낚시줄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선상조명과의 거리에 따라 각 낚시줄에 연결된 축광부재 간 축광 효율이 일정하지 못한 단점도 갖는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937548호(2010.01.11)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여러 가닥의 낚시줄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각 낚시줄의 낚시바늘에 먹이를 끼우는 과정에서 각 낚시줄과 각 낚시바늘이 서로 엉키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여러 가닥의 낚시줄에 연결된 각 축광부재의 축광 효율을 균일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어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는,
복수개의 낚시줄 마다 연결되어 있는 각 낚시바늘이 간격을 두고 안착될 수 있는 설치판, 상기 설치판 표면 중 상기 각 낚시바늘이 위치하는 지점마다 자력이 발산되도록 하는 자력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판 중 자력이 발산되는 각 지점 마다 설치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력 발생부는 복수 개의 자석 형태이고 상기 각 설치홈에 삽입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판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낚시바늘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력 발생부는 상기 설치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상기 설치판의 일측에는 상기 설치판의 길이 방향을 따란 보조 설치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광부는 보조 설치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판 중 상기 발광부가 설치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각 자력 발생부가 위치하는 지점 사이 구간에는 광 조사유도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된 빛이 상기 광 조사유도레일의 경로를 따라 상기 자력 발생부가 위치하는 지점을 향해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 조사유도레일은 상기 설치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종방향으로 수평배열되어 있는 제1레일, 상기 설치판의 폭 방향을 따라 횡 방향으로 수평배열되되 상기 각 제1레일과 교차 되는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제2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각 낚시줄의 낚시바늘이 설치판 상에 간격을 두고 안착 되어 배열 되되 각 낚시바늘이 자력 발생부의 자력에 의해 해당 안착지점에 부착된 상태로 위치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낚시바늘에 먹이 등을 끼우는 과정에서 각 낚시바늘이나 낚시줄이 서로 엉키는 등의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자력 발생부가 복수개의 자석 형태로 각 낚시바늘의 안착지점마다 개별적으로 배치됨에 따라 각 낚시바늘의 원치 않는 이동 현상이 더욱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설치판에 발광부가 설치됨에 따라 발광부와 낚시바늘이 상호 근접한 상태에서 발광부로부터 발산된 빛이 낚시바늘의 축광부재에 조사되므로,
각 축광부재의 축광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축광부재가 설치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됨에 따라 각 낚비바늘에 연결된 각 축광부재의 축광효율이 균일하게 향상되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빛이 광 조사유도레일을 따라 조사됨으로 빛이 각 낚시바늘의 축광부재 마다 정확히 조사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또한 광 조사유도레일이 상호 교차된 제1레일 및 제2레일로 구성됨에 따라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빛이 각 제1레일 및 제2레일에 의해 분산되므로 설치판 전체 면적에 걸쳐 조사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결국 각 축광부재에 균일하게 조사되는 장점도 갖는다.
도1은 전체 저면 분해 사시도
도2는 전체 상면 분해사시도
도3은 결합 사시도
도4는 평면 개략도
도5는 설치판 상에 낚시바늘이 안착된 상태의 평면 개략도
도6은 자력 발생부와 발광부의 설치구조 및 제1레일의 형성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 낚시바늘 정렬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설치판(100)과 자력 발생부(200), 발광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설치판(100)은 복수개의 낚시바늘(20)이 안착되어 정렬이 이루어지는 공간 제공기능 및 후술하는 자력 발생부(200)와 발광부(400)의 설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일정 면적 및 길이를 갖는 판재 형태이고 전체적으로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후술할 발광부(400)에서 조사되는 빛이 각 낚시바늘(20)까지 원활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체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어 후술할 자력 발생부(200)로부터 발산된 자력이 설치판 전체에 분포되지 않고 자력 발생부(200)의 설치지점에 국한되어 발산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설치판(100)의 형상과 크기 등은 도면의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의 낚시바늘(20)이 간격을 두고 안착 배열될 수 있음과 동시에 후술할 자력 발생부(200)의 설치 및 자력발산이 가능한 구조라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설치판(100)은 선상의 테두리에 설치되는데, 이때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선상에 고정 설치되거나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미도시M )는 특정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설치판(100)을 선상 등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형 구현이 가능하다.
그리고 설치판(100)의 하부면에는 [도 1]과 [도 5] 및 [도 6]과 같이 후술할 자력 발생부(200)의 설치를 위한 설치홈(110)이 위쪽을 향해 일정깊이 파여진 형태로 형성되는데, 설치홈(110)은 설치판(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된다.
이때 설치홈(110)의 배열 개수는 설치판(100)에 안착될 낚시바늘(20)의 개수 이상으로 형성되어, 설치판(100)에 안착될 각 낚시바늘(20) 모두 자력 발생부(200)와 대응되도록 한다.
그리고 설치홈(110)의 하부면 일측 테두리 부근에는 후술할 발광부(400)의 설치를 위한 보조 설치홈(120)이 형성되는데, 보조 설치홈(120)은 설치판(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설치홈(110)는 하나의 레일 형태가 아니라 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설치판(100)에는 광 조사유도레일(500)이 형성되는데,
광 조사유도레일(500)은 후술할 발광부(400)가 보조 설치홈(120)에 설치된 상태에서 발광부(400)로부터 조사된 빛을 분산시켜 설치판(100) 전체 면적에 걸쳐 골고루 조사되도록 함에 따라 각 낚시바늘에 설치된 축광부재(30)의 축광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다시 제1레일(510)과 제2레일(520)로 나뉘어 구성된다.
그 중 제1레일(510)은 발광부(400)로부터 조사된 빛이 설치판(100)의 폭방향, 즉 횡방향으로의 분산경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설치판(100)의 하부면 중 보조 설치홈(120)과 반대쪽 테두리 사이 구간을 가로지르는 레일 형태로 형성되되 설치판(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수평 배열 형성된다.
이때 각 제1레일(510)은 설치판(100)의 바닥면에 v커팅 홈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레일(520) 발광부(400)로부터 조사된 빛이 설치판(100)의 길이방향, 즉 종방향으로의 분산경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설치판(100)의 하부면 중 보조 설치홈(120)과 반대쪽 테두리 사이 구간에서 설치판(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다란 레일 형태로 형성되되, 설치판(100)의 폭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수평 배열 형성된다.
이때 각 제2레일(520)은 제1레일(510)과 마찬가지로 설치판(100)의 바닥면에 v커팅 홈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광 조사유도레일(500)은 제1레일(510)과 제2레일(520)이 상호 교차된 형태를 갖게 된다.
이러한 설치판(100)에는 자력 발생부(200)가 설치된다.
자력 발생부(200)는 설치판(100) 표면 중 낚시바늘(20)이 안착되는 지점에 자력을 발생시켜 각 낚시바늘(20)이 설치판(100) 상에서 원치 않게 이동하는 현상을 막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자석 형태이고 설치판(100)의 각 설치홈(110) 내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설치판(100)의 상부면 중 각 자력 발생부(200)가 설치된 지점에는 자력 발생부(200)로부터 발산된 자력이 형성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설치판의 재질이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각 자력 발생부(200)의 자력이 설치판(100) 전체에 걸쳐 형성되지 않고, 오로지 각 자력 발생부(200)가 위치한 지점에만 국부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설치판(100)이 전체적으로 투명재질올 이루어짐에 따라, 설치판(100)의 상부면에는 내부의 자력 발생부(200)가 투영된 상태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에서 자력 발생부(200)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고, 결국 각 자력 발생부(200) 위치 지점에 낚시바늘(20)을 정확히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자력 발생부(200)는 일반적인 영구자석이 사용되거나 별도 전원공급부와 연결된 전자석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자력 발생부(200)가 설치홈(110) 내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설치홈(110)의 내부 및 입구는 실리콘 등의 충진재(300)가 충진되어 자력 발생부(200)의 이탈 및 흔들림 현상을 방지한다.
참고로 자력 발생부(200)의 이탈방지는 충진재(300) 구조 외에 설치홈(110) 하부면에 별도의 마개를 설치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설치홈(110) 입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여 자력 발생부의 교체 등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자력 발생부(200)까지 설치된 상태에서 설치판(100)에는 발광부(400)가 설치된다.
발광부(400)는 낚시바늘(20)이 설치판(100) 상에 안착 설치된 상태에서 각 낚시바늘(20)에 설치된 축광부재(30)에 빛을 조사하여 축광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pcb기판(410)에 발광램프(420)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발광부(400)는 pcb기판(410)이 보조 설치홈(12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제작되고 발광램프(420)는 pcb기판(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발광부(400)는 보조 설치홈(120)에 삽입설치됨에 따라 각 발광램프(420)는 보조 설치홈(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판(100) 전체 길이방향 구간에 걸쳐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각 발광램프(420)는 각 자력 발생부(200)를 향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발광부(400)는 pcb기판(410)이 전선을 통해 외부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된다.
참고로 발광부(400)의 전원 공급구조는 이 외에 설치판(100)에 별도 배터리 등을 설치하여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 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자력 발생부(200)와 발광부(400)가 설치되어 있는 설치판(100)을 선상(미도시) 테두리에 고정 설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하고자 하는 여러 가닥의 낚시줄(10) 마다 연결되어 있는 낚시바늘(20)을 설치판(100) 상부면에 안착시키는데, 이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설치판(100)는 투명 재질이므로 사용자는 외부에서도 자력 발생부(200)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각 낚시바늘(20)을 설치판(100)의 상부면 중 각 자력 발생부(200)와 상하 동일선상 지점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각 낚시바늘(20)이 설치판(100) 상부면 중 각 자력 발생부(200)가 위치한 지점 상에 안착됨과 동시에 각 낚시바늘(20)은 해당 위치의 자력 발생부(200)로부터 발산된 자력에 의해 해당 지점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각 낚시바늘(20)에 먹이 등을 끼우는 과정에서 각 낚시바늘(20)이 원치않게 이동하여 서로 엉키는 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낚시바늘(2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먹이를 끼울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이때 각 낚시바늘(20)에는 각각 별도의 축광부재(30)가 설치되어 있는데, 축광부재(30)는 외부로부터 조사된 빛을 흡수한 후 자체적으로 발광이 이루어지는 공지구조가 적용된다.
위의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광부(400)에 전원을 인가하면 각 발광램프(420)가 발광하게 되고, 각 발광램프(420)로부터 조사된 빛은 각 낚시바늘(20)을 향해 조사된다.
이때 발광램프(420)로부터 조사된 빛은 광 조사유도레일(500)의 각 제1레일(510)과 제2레일(520)의 형성 경로를 따라 조사되는데,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1레일(510)과 제2레일(520)이 설치판(100) 전체 면적에 걸쳐 상호 교차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판(100) 전체 면적에 걸쳐 분산된 형태로 조사된다.
따라서 발광램프(420)로부터 조사된 빛은 각 낚시바늘(20)마다 균일한 수준으로 조사됨으로 각 낚시바늘(20)의 축광부재(30)의 축광효율이 균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만약 발광램프를 led로 사용할 경우 led는 전력소모율이 낮은 장점을 갖는 반면 빛이 직선방향으로 조사되는 단점이 있는데, 이렇게 직선방향으로 조사될 경우에도 조사된 빛이 각 제1레일(510)과 제2레일(520)의 경로를 따라 설치판(100) 전체 면적에 걸쳐 분산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렇게 발광부(400)가 설치판(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축광부재(30)에 빛을 조사함에 따라 기존에 비해 빛의 조사 거리가 짧으므로, 그만큼 축광 효율이 극대화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 상태에서 낚시줄(10)에 연결된 무게추(미도시)를 수중으로 투척하면 각 낚시바늘(20)과 개별적으로 연결된 낚시줄(10)이 함께 따라서 순차적으로 수중에 투하된다.
이처럼 낚시바늘(20)이 수중으로 투척되기 이전에 설치판(100) 상에 정렬된 상태로 수중에 투척됨에 따라 각 낚시줄(10)의 엉킴 현상이 방지되고, 낚시바늘이 수중에 투척되는 과정에서도 엉킴 현상이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선상에서 여러 가닥의 낚시줄을 동시에 사용하는 과정에서 각 낚시줄에 연결된 낚시바늘을 설치판 상에 자력을 이용해 위치 정렬시킴에 따라 낚시 바늘에 먹이 등을 끼우는 과정이 손쉽고 그 과정에서 낚시바늘이나 낚시줄이 상호 엉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설치판에 발광부(400)를 설치함에 따라 각 낚시바늘(20)의 축광부재(30)의 축광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발광부(400)로부터 조사된 빛이 광 조사유도레일(500)에 의해 설치판(100) 전체 면적에 걸쳐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각 낚시바늘(20)의 축광효율이 균등하게 이루어질 도록 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설치판에 자력 발생부를 설치하고 설치판 표면 중 각 자력 발생부가 위치한 지점에 낚시바늘을 안착시켜 각 낚시바늘이 각 자력 발생부의 자력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각 낚시바늘에 먹이를 끼우기 손쉬움은 물론 그 과정에서 각 낚시바늘이나 낚시줄이 엉키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0 : 낚시줄 20 : 낚시바늘
30 : 축광부재 100 : 설치판
110 : 설치홈 120 : 보조 설치홈
200 : 자력 발생부 300 : 충진재
400 : 발광부 410 : pcb기판
420 : 발광램프 500 : 광 조사유도레일
510 : 제1레일 520 : 제2레일

Claims (6)

  1. 복수개의 낚시줄마다 연결되어 있는 각 낚시바늘이 간격을 두고 안착될 수 있는 설치판,
    상기 설치판 표면 중 상기 각 낚시바늘이 위치하는 지점마다 자력이 발산되도록 하는 자력 발생부
    를 포함하는
    낚시바늘 정렬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설치판 중 자력이 발산되는 각 지점마다 설치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력 발생부는 복수개의 자석 형태이고 상기 각 설치홈에 삽입설치되어 있는
    낚시바늘 정렬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설치판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낚시바늘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를 더 포함하는
    낚시바늘 정렬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자력 발생부는 상기 설치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상기 설치판의 일측에는 상기 설치판의 길이 방향을 따란 보조 설치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광부는 보조 설치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낚시바늘 정렬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설치판 중 상기 발광부가 설치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각 자력 발생부가 위치하는 지점 사이 구간에는 광조사유도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된 빛이 상기 광 조사유도레일의 경로를 따라 상기 자력 발생부가 위치하는 지점을 향해 유도되는
    낚시바늘 정렬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광 조사유도레일은 상기 설치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종방향으로 수평배열되어 있는 제1레일,
    상기 설치판의 폭방향을 따라 횡 방향으로 수평배열되되 상기 각 제1레일과 교차되는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제2레일
    을 포함하는 낚시바늘 정렬 장치.






KR1020130162107A 2013-12-24 2013-12-24 낚시바늘 정렬장치 KR201500743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107A KR20150074380A (ko) 2013-12-24 2013-12-24 낚시바늘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107A KR20150074380A (ko) 2013-12-24 2013-12-24 낚시바늘 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380A true KR20150074380A (ko) 2015-07-02

Family

ID=5378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107A KR20150074380A (ko) 2013-12-24 2013-12-24 낚시바늘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438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855A (ko) 2017-08-24 2019-03-06 서대현 낚시바늘 배열 지지구 어셈블리
KR20220001832U (ko) * 2021-01-18 2022-07-26 임선식 낚시채비용 정렬장치
KR20230094332A (ko) * 2021-12-21 2023-06-28 박동순 낚시대 거치용 받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855A (ko) 2017-08-24 2019-03-06 서대현 낚시바늘 배열 지지구 어셈블리
KR20220001832U (ko) * 2021-01-18 2022-07-26 임선식 낚시채비용 정렬장치
KR20230094332A (ko) * 2021-12-21 2023-06-28 박동순 낚시대 거치용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90588A1 (en) Light device of vehicle
KR20150074380A (ko) 낚시바늘 정렬장치
EP3162202B1 (en) Pest trap
KR101147511B1 (ko) 집어장치
EP2694718B1 (en) Carpet unit arrangement and carpet unit
JP2015069901A (ja) 照明器具
JP2015101892A (ja) 視線誘導装置
JP6695131B2 (ja) 洗面化粧台
CN204062593U (zh) Led诱鱼灯
RU2017116862A (ru) Гибкий оптический источник для пульсоксиметрии
KR101212252B1 (ko) 광로 유도판이 구비된 led 조명 장치
CN209915843U (zh) 一种马桶盖板的导光结构
AT517621B1 (de) Vorrichtung für die kombinierte Abgabe von Wärmestrahlung und Licht
KR101009535B1 (ko) 광고용 패널
KR101396230B1 (ko) 자가 발전형 발광체
KR102353332B1 (ko) 집어 효과가 우수한 집어등
KR20140109144A (ko) 액체에 엘이디설치부가 침지되어 방열효과가 우수한 엘이디 집어등의 방열구조 및 그것이 적용된 엘이디 집어등
US20220295774A1 (en) Arthropod lure or repellent, arthropod trap, and lighting device
JP6934978B2 (ja) 洗面化粧台
JP2017162649A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JP7277197B2 (ja) 捕虫器
ES2127468T3 (es) Pantalla operada magneticamente.
JP2017018071A (ja) 誘引用エッジ作出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捕虫器
JP6277484B2 (ja) 照明器具
KR101349712B1 (ko) 빛의 발산각을 조절하는 수단을 갖는 엘이디 집어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