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4351A - 위치기반 스마트폰의 알람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기반 스마트폰의 알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4351A
KR20150074351A KR1020130162038A KR20130162038A KR20150074351A KR 20150074351 A KR20150074351 A KR 20150074351A KR 1020130162038 A KR1020130162038 A KR 1020130162038A KR 20130162038 A KR20130162038 A KR 20130162038A KR 20150074351 A KR20150074351 A KR 20150074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application
user
smartphon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6597B1 (ko
Inventor
유연호
김현곤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62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597B1/ko
Publication of KR20150074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기반 스마트폰의 알람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 사용자의 회원 가입을 처리하고, 알람 기능의 알람 어플을 제공하는 알람어플 관리서버와, 알람 어플을 실행하여 알람 시간에 알람 발생시킨 뒤 주어진 미션 수행 결과 또는 사용자의 위치변화에 따라 알람 정지 또는 알람 발생을 제어하고, 지정 목적지에 도달하면 알람 기능을 해제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서 알람 어플 실행시 미션 수행 결과에 따라 일시적으로 알람 해제하고, 사용자가 지정한 목적지에 도달하여야 알람 기능을 해제할 수 있어 알람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기반 스마트폰의 알람 장치{Apparatus For Alarming In Smart Phone Based Location}
본 발명은 위치기반 스마트폰의 알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서 알람 어플 실행시 미션 수행 결과에 따라 일시적으로 알람 해제하고, 사용자가 지정한 목적지에 도달하여야 알람 기능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 위치기반 스마트폰의 알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단순한 음성통화 기능 이외에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 무선 인터넷 기능, 알람 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중 알람 기능은 사용자가 약속한 시간, 기상시간 등 원하는 시간을 설정하고, 알람의 작동되는 횟수와 그 시간 간격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정함으로써 설정된 알람 횟수만큼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계속하여 알람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하거나, 또한 사용자가 음성 녹음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알람음을 선택하여 설정된 알람 작동 횟수에 따라 설정된 알람 시간에 대응하는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알람 발생의 시간이 증가할 때마다 알람 음량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종래기술에서 반복적인 알람을 설정하여 모닝콜 기능을 수행하고는 있지만 알람 해제 버튼을 누르거나 입력창에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간단한 정지 조작으로 알람을 해제시킬 수 있고 다시 잠드는 경우가 있다.
목적지 도달시 알람을 발생시키는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한국등록특허 제10-0444104호)이 있다. 이 선행문헌은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지와 알람발생 시점을 설정하고,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단말기 자신의 위치를 추적하여 목적지에 일정거리 이상 도달한 경우에는 목적지 도달 알람을 발생하는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755500호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가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알림 예약하고 예약한 위치에 도달하면 화면과 소리로 사용자에게 알려주기도 한다.
그러나 선행문헌들은 GPS 기능을 이용하여 목적지 도달 여부에 따라 단순히 알람을 발생하는 기술에 국한되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알람 시간에 알람 발생한 뒤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알람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에 대해서는 기술된 바가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알람 시간에 알람 발생 후 확실하게 사용자가 알람을 인식하였는지를 판단한 뒤 알람 기능을 해제할 필요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44104호(2004년 08월 02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0755500호(2007년 08월 29일 등록)
없음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알람 시간에 알람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알람 발생 이후 바로 알람 기능을 해제하지 않고 지정된 목적지에 도달해야만 알람 기능을 해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스마트폰의 알람 장치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회원 가입을 처리하고, 알람 기능의 알람 어플을 제공하는 알람어플 관리서버; 및 상기 알람어플 관리서버에 IP망을 매개로 연결되고, GPS 위성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를 인식하며, 상기 알람 어플을 실행하여 알람 시간에 알람 발생시킨 뒤 알람 정지 또는 알람 발생을 제어하고, 지정 목적지에 도달하면 알람 기능을 해제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터치패널과, 알람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스마트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폰제어부, 통신부, 알람 어플을 구비하며, 상기 알람 어플은 어플제어부와 알람설정부 및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다운로드받은 알람 어플 프로그램, 알람음, 지리정보 그리고 알람 기능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터치패널 화면에 생성된 알람 어플 아이콘을 터치 조작하여 알람 기능을 활성화하면, 상기 알람설정부에 의해 제공되는 안내 화면에서 알람 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어플제어부는 알람 발생 이후부터 지정된 목적지에 도달하기까지 주어진 미션 수행 결과 또는 사용자의 위치 변화에 따라 알람 정지 또는 알람 발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람 설정부는 알람 시간과 지정 목적지 및 목적지를 중심으로 반경 거리에 해당하는 알람해제 범위를 설정하며, 상기 어플제어부는 사용자 위치가 알람해제 범위에 도달하면 알람 기능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기존과 같이 알람 기능을 간단하게 해제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스마트폰에서 알람 어플 실행시 미션 수행 결과에 따라 일시적으로 알람 해제하고, 사용자가 지정한 목적지에 도달하여야 알람 기능을 해제하므로 알람을 인식한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람 발생 후 사용자 부주의로 잠들거나 태만하게 행동하여 주의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알람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스마트폰의 알람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알람 어플을 실행시 동작 모드별 알람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은 알람 어플 실행시 지정 목적지를 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3b는 알람 어플 실행시 목적지를 중심으로 알람의 해제 범위를 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3c는 알람 어플 실행시 지도상에서 표시된 현재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스마트폰의 알람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스마트폰의 알람 장치는 GPS 위성(2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스마트폰(10)이 IP망(30)을 매개로 알람어플 관리서버(40)에 연결되어 알람어플을 제공받을 수 있다.
스마트폰(10)은 GPS 수신부(11)를 통하여 GPS 위성(20)이 송출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를 인식한다.
스마트폰(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터치패널(12)과 알람음을 출력하는 스피커(13), 스마트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폰제어부(15)를 구비한다. 또한 스미트폰(10)은 IP망(30)을 매개로 알람어플 운영서버(41) 및 알람어플 다운로드 서버(43)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14)를 구비한다.
스마트폰(10)은 알람어플 운영서버(41)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하고, 회원 정보는 사용자 DB(42)에 저장된다. 알람어플 운영서버(41)의 제어에 따라 알람어플 다운로드 서버(43)로부터 알람어플(16)을 다운로드하여 스마트폰(10)에 탑재한 후 알람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알람어플(16)은 어플제어부(17), 알람설정부(18) 및 저장부(19)를 포함한다. 저장부(19)는 다운로드받은 알람 어플 프로그램, 알람음, 지리정보 그리고 알람 기능의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스마트폰(10)의 터치패널(12) 화면에 생성된 알람 어플 아이콘을 터치 조작하여 알람 기능을 활성화하고, 이때 알람설정부(18)에 의해 제공되는 안내 화면에서 알람 기능을 설정하고 예를 들어 알람 시간과 지정 목적지 및 목적지를 중심으로 반경 거리(R)에 해당하는 알람해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알람 기능 설정시 스마트폰(10)이 알람 시간에 도달하면 알람을 발생시키는데, 저장부(19)에 저장된 알람음을 재생하여 스피커(13)를 통하여 출력한다. 알람 발생 이후부터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주의력을 가질 수 있도록 알람 기능을 해제하지 않고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알람 발생과 알람 정지를 제어하며, 이를 담당하는 어플제어부(17)가 알람 일시 해제모드와 이동 미션 모드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를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임의 장소의 어느 시작점에서 알람 설정시간에 도달하면 스마트폰(10)이 알람 발생시키고, 이후 알람 일시 해제모드로 전환된다. 알람 일실 해제모드에서는 터치패널(12)상에서 구현되는 미션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알람 정지 또는 알람 발생을 결정한다. 여기서 미션은 게임이나 질의 응답식으로 진행하는 문제 등이 될 수 있다. 미션 성공시 알람 정지하여 알람음이 출력되지 않지만, 미션 실패시 알람음이 출력된다. 이 알람 일시 해제모드에서 주어지는 미션은 주기적으로 수행된다.
어느 시작점에서 알람 발생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또는 사용자가 이동하여 위치변화가 있는 경우, 동작모드가 이동 미션 모드로 전환된다. 이동 미션 모드에서는 GPS 수신부(11)를 이용하여 획득한 위치정보에 따라 사용자 상태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알람 발생 또는 알람 정지를 제어한다.
이동 미션 모드는 지정 목적지를 중심으로 반경 거리에 해당하는 알람 해제 범위에 도달하기까지 적용된다. 지정 목적지의 설정은 알람 어플을 실행하여 도 3a와 같이, 안내화면(S1)의 지도상에서 위치한 목적지 표시자를 지정 목적지로 설정하는 설정버튼(B1)과 지정 취소하는 취소버튼(B2)를 이용하여 원하는 지정 목적지를 설정한다. 또한 알람 해제 범위의 설정은 도 3b와 같이 안내화면(S2)에서 지정 목적지의 표시자를 중심으로 각각의 반경 거리(R)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버튼들(B3)을 이용하여 원하는 알람 해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동 미션 모드에서 알람 어플에서 제공하는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3c와 같이 안내화면(S3)을 이용하여 지도상에서 나타나는 위치표시자(파선 참고)를 보고 현재 사용자 위치를 알 수 있다. 사용자 위치가 알람해제 범위에 있으면 알람 기능은 해제된다.
이와 같이 알람 시간에 알람 발생 이후 알람 일시 해제모드에서 주어지는 미션의 수행 결과에 따라 알람을 발생하고 또한 이동미션 모드에서는 사용자의 위치 변화에 따라 알람 정지하거나 알람 발생하므로 사용자의 주의력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스마트폰의 알람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를 참고하여, 스마트폰(10)이 알람어플 운영서버(41)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하고, 알람어플에 대한 전송을 요청한다. 알람어플 운영서버(41)의 제어에 따라 알람어플 다운로드 서버(43)가 알람 어플을 스마트폰(10)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10)의 저장부(19)에 알람 어플을 저장한다(50).
스마트폰(10)의 터치패널(12)의 화면에 생성한 알람 어플 아이콘을 터치하여 알람 어플을 실행하여 알람 시간과 지정 목적지와 알람해제 범위를 설정한다(52). 이후 스마트폰(10)은 알람 시간에 도달하면(54의 예) 알람을 발생한다. 아울러 스마트폰(10)의 어플제어부(17)은 알람 일시 해제모드로 전환하고 일정 주기 마다 미션을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미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56). 여기서 알람 일시 해제모드에서 주어지는 미션은 게임이나 질의 응답식으로 진행하는 문제 등이 될 수 있다.
일시해제 미션 성공시(58의 예) 스마트폰(10)이 알람을 일시적으로 정지하고(60), 미션 실패시 알람을 발생한다(62).
이렇게 알람 발생 후 일정 시간 동안 알람 일시 해제모드가 경과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이동하여 위치변화가 있는 경우, 동작모드가 알람 일시 해제모드에서 이동 미션 모드로 전환된다.
이동 미션 모드인 경우(64의 예), 스마트폰(10)의 GPS 수신부(11)를 통하여 획득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 위치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분석한다. 즉 사용자가 이동중인지 정지(또는 수면) 상태인지를 판단한다(66).
사용자가 이동 중인 경우(68의 예) 어플제어부(17)는 알람 정지시키고(70), 판단 결과 사용자가 정지 상태인 경우(68의 아니오) 어플제어부(72)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13)를 통하여 알람음을 출력한다(72).
이후 사용자 위치가 알람 해제 범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74의 아니오) 계속하여 어플제어부(17)는 이동 미션 모드에 따라 알람 정지와 알람 발생을 제어한다. 사용자 위치가 알람 해제 범위에 도달한 경우(74의 예) 어플제어부(17)는 알람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알람 기능을 해제하고 알람 기능의 설정 정보를 초기화한다(76).
10 : 스마트폰
20 : GPS 위성
30 : IP망
40 : 알람 어플 관리서버

Claims (3)

  1. 스마트폰 사용자의 회원 가입을 처리하고, 알람 기능의 알람 어플을 제공하는 알람어플 관리서버; 및
    상기 알람어플 관리서버에 IP망을 매개로 연결되고, GPS 위성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를 인식하며, 상기 알람 어플을 실행하여 알람 시간에 알람 발생시킨 뒤 알람 정지 또는 알람 발생을 제어하고, 지정 목적지에 도달하면 알람 기능을 해제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스마트폰의 알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터치패널과, 알람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스마트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폰제어부, 통신부, 알람 어플을 구비하며,
    상기 알람 어플은 어플제어부와 알람설정부 및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다운로드받은 알람 어플 프로그램, 알람음, 지리정보 그리고 알람 기능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터치패널 화면에 생성된 알람 어플 아이콘을 터치 조작하여 알람 기능을 활성화하면, 상기 알람설정부에 의해 제공되는 안내 화면에서 알람 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어플제어부는 알람 발생 이후부터 지정된 목적지에 도달하기까지 주어진 미션 수행 결과 또는 사용자의 위치 변화에 따라 알람 정지 또는 알람 발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스마트폰의 알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설정부는 알람 시간과 지정 목적지 및 목적지를 중심으로 반경 거리에 해당하는 알람해제 범위를 설정하며,
    상기 어플제어부는 사용자 위치가 알람해제 범위에 도달하면 알람 기능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스마트폰의 알람 장치.
KR1020130162038A 2013-12-24 2013-12-24 위치기반 스마트폰의 알람 장치 KR101556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038A KR101556597B1 (ko) 2013-12-24 2013-12-24 위치기반 스마트폰의 알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038A KR101556597B1 (ko) 2013-12-24 2013-12-24 위치기반 스마트폰의 알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351A true KR20150074351A (ko) 2015-07-02
KR101556597B1 KR101556597B1 (ko) 2015-10-01

Family

ID=53787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038A KR101556597B1 (ko) 2013-12-24 2013-12-24 위치기반 스마트폰의 알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5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3814A (zh) * 2016-11-17 2017-04-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假关机的操作方法和装置
WO2019083137A1 (ko) * 2017-10-24 2019-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알림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982A (ko) 2017-08-30 2019-03-08 심정현 날씨 정보 및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알람시간을 자체 조절하는 알람앱
KR102171863B1 (ko) 2019-06-24 2020-10-29 최은호 기상 알람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상 알람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3814A (zh) * 2016-11-17 2017-04-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假关机的操作方法和装置
WO2019083137A1 (ko) * 2017-10-24 2019-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알림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90045562A (ko) * 2017-10-24 2019-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알림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297025B2 (en) 2017-10-24 2022-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notif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6597B1 (ko)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191B1 (ko) 스마트 단말기 제어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EP3660662A2 (en) Method, apparatus, system, device for controlling intelligent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1290880B2 (en) Electronic device
EP3086539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leting smart scene
KR102318227B1 (ko)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US8732801B2 (en) Wireless connection method and device
JP6317047B2 (ja) インターフェース表示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RU264348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сбора информации
KR102611321B1 (ko) 다중-사용자 환경에서 지능형 경보들
US20190268321A1 (en) Electronic device
US20170180531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a device
CN109165063A (zh) 隐私保护方法和终端设备
EP3163804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etting working mode of device
US20150074555A1 (en) Rearranging chat messages
KR101556597B1 (ko) 위치기반 스마트폰의 알람 장치
US20170339513A1 (en)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06817492A (zh) 红包活动提醒的方法和装置
CN111615071A (zh) 对讲机的组队方法及装置
CN108009269B (zh) 显示页面数据的方法、装置
CN107911380B (zh) 身份验证方法及装置
CN105930266B (zh) 网页调试方法及装置
CN107734139A (zh) 终端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JP6257040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携帯型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002872B1 (ko) 외부 디바이스를 통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채팅 방법 및 시스템
KR101548966B1 (ko) 타인 연계형 스마트폰의 알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5